KR102379861B1 - 재활용 분리수거함 - Google Patents

재활용 분리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861B1
KR102379861B1 KR1020210190860A KR20210190860A KR102379861B1 KR 102379861 B1 KR102379861 B1 KR 102379861B1 KR 1020210190860 A KR1020210190860 A KR 1020210190860A KR 20210190860 A KR20210190860 A KR 20210190860A KR 102379861 B1 KR102379861 B1 KR 102379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coupling
collection box
sli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경
김재민
Original Assignee
김준경
김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경, 김재민 filed Critical 김준경
Priority to KR102021019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13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fixing and mounting of the receptacle to walls,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65F1/0073Flexible receptacles fixed on a frame or in an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분리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수평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시스템 가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수거함이 장착되어 재활용 물품을 수거하되, 상기 분리수거함은 수평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외면에는 수직프레임에 밀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고정구;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 고정구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 작동을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슬라이딩 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 수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고 보관공간을 통해 재활용 물품을 수거하는 수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분리수거함은 재활용 물품이 수거되는 수거수단과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딩 수단을 결합 또는 분리구조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 물품을 용이하게 수거 또는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분리수거함{A box for collecting a garbage separately}
본 발명은 재활용 분리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물품이 수납되는 수거함의 구조를 슬라이딩 구조로 개선하여 재활용 물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 분리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내에서는 매일 많은 량의 세탁물이 발생하고, 개인 각자에게서 발생하는 세탁물은 별도의 수거 바구니를 비치하여 모아두거나 또는 개인이 직접 세탁기에 투입한다.
그러나 별도의 바구니에 세탁물을 넣어두는 경우 세탁물이 외부로 방치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색상이 있는 의류나 속옷 또는 양말 등 분리하여 세탁해야하는 세탁물과 일반 세탁물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세탁시에는 이를 일일이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개인이 세탁기 내부에 직접 투입하는 경우 역시 매번 그 세탁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해야할 뿐만 아니라 세탁조에 여러 종류의 옷이 함께 혼합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시에 이를 분리한 후 세탁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48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26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재활용 물품이 수거되는 수거수단과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딩 수단을 결합 또는 분리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활용 분리수거함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수평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시스템 가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수거함이 장착되어 재활용 물품을 수거하되, 상기 분리수거함은 수평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외면에는 수직프레임에 밀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고정구;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 고정구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 작동을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슬라이딩 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 수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고 보관공간을 통해 재활용 물품을 수거하는 수거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전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배면에 전방 결합부가 형성되며, 수평 내면에는 전방 수평 결합부가 형성되고, 수평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수단의 인출시 프레임 고정구에 위치한정될 수 있도록 수평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모서리 부재; 후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전면에 후방 결합부가 형성되며, 수평 내면에는 후방 수평 결합부가 형성되고, 수평 외면에는 상기 프레임 고정구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후방 모서리 부재;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와 후방 모서리 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는 전방 결합부와 후방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측면 결합부가 관통형성되며, 외면에는 프레임 고정구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부재;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와 전방 모서리 부재 및 후방 모서리 부재와 후방 모서리 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에는 전후방 수평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수평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 수평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거수단을 구성하는 상부 사각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거함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결합부 및 후방 결합부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부재의 내측면 끝단 부분에는 전후방 수평 결합부의 걸림돌기와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끼움 결합홈에 삽입되는 끼움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수평 결합부 및 후방 수평 결합부는 전후방 수평 부재가 삽입되는 부재 삽입홈과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의 수평 결합홈에 결합되는 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부재 삽입홈의 상부와 전후방 수평 부재의 상부는 정단면상 "m, U, ㅛ ,
Figure 112021152110412-pat00001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거수단은 접힘이 가능하도록 원단재질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재활용 물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사각통 형상의 수거함; 중공형상으로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 또는 분리되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수거함 연결구와 결합되는 상부 사각틀; 및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을 구성하는 보관공간의 하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거함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내부 사각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거함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하부 고정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수거함의 외부에는 하부 고정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는 하부 사각틀과 상기 하부 사각틀의 일 측에 결합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비닐롤 또는 휴지 또는 타올을 거치할 수 있는 걸림고리로 구성되는 거치구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분리수거함은 재활용 물품이 수거되는 수거수단과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딩 수단을 결합 또는 분리구조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 물품을 용이하게 수거 또는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구성하는 프레임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후방 모서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전방 모서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측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전후방 수평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수거함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구성하는 수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구성하는 수거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저면사시도.
도 15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구성하는 프레임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후방 모서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전방 모서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측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전후방 수평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수거함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분리수거함을 구성하는 수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먼저, 본원발명인 재활용 분리수거함(100)은 양측으로 벽면이나 기둥이 구비된 공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재활용 분리수거함(10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직프레임(20) 및 상기 수직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40)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수평 프레임(30)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시스템 가구(10)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재활용 분리수거함(100)은 용도 및 목적 등에 따라 시스템 가구(10)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재활용 물품(의류, 신발, 플라스틱 용기, 고철 등)을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발명인 재활용 분리수거함(100)은 프레임 고정구(200), 슬라이딩 수단(300), 수거수단(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와 슬라이딩 수단(300)이 맞닿는 부분에는 슬라이딩 수단(3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 이외에도 원활한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하여 공지된 슬라이딩 기구, 레일 등의 설치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는 시스템 가구(10)의 수직프레임(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전후방으로 배치되고, 외면에는 상기 수직프레임(20)에 밀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 후, 수평동일선상의 수직프레임(20)에 프레임 결합홈(210)을 밀착시킨 다음, 체결구를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20)과 프레임 고정구(20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는 정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은 프레임 고정구(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은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 작동을 통해 인출 또는 인입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은 시스템 가구(10)의 수직프레임(20)에 고정된 프레임 고정구(20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 인출되고, 후방으로 이동시 인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은 한 쌍의 전방 모서리 부재(310), 한 쌍의 후방 모서리 부재(320), 한 쌍의 측면 부재(330), 한 쌍의 전후방 수평 부재(340), 수거함 연결구(350)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310)는 전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310)는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수단(300)의 전방 모서리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310)는 배면에 전방 결합부(311)가 형성되며, 수평 내면에는 전방 수평 결합부(312)가 형성되고, 수평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의 인출 또는 인입시 프레임 고정구(200)에 위치한정될 수 있도록 수평 돌출부(31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310)는 배면에 형성되는 전방 결합부(311)를 통해 측면 부재(330)와 결합하고, 수평 내면에 형성되는 전방 수평 결합부(312)을 통해 전후방 수평 부재(3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 수평 결합부(311)의 내측면에 측면 부재(330)와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돌기(311a)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끼움 결합홈(31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310)의 전방 수평 결합부(312)는 전후방 수평 부재(340)가 삽입되는 부재 삽입홈(312a)과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수평 결합홈(341)에 결합되는 부재 결합돌기(31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재 삽입홈(312a)의 상부와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상부는 전후방 수평 부재(340)와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단면상 "m, U, ㅛ ,
Figure 112021152110412-pat00002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 모서리 부재(320)는 후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즉, 상기 후방 모서리 부재(320)는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수단(300)의 후방 모서리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방 모서리 부재(320)는 전방 모서리 부재(310)의 동일선상에 위치함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 모서리 부재(320)는 후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전면에 후방 결합부(321)가 형성되며, 수평 내면에는 후방 수평 결합부(322)가 형성되고, 수평 외면에는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부(323)가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 모서리 부재(320)는 후면에 형성되는 후방 결합부(321)를 통해 측면 부재(330)와 결합하고, 수평 내면에 형성되는 후방 수평 결합부(322)을 통해 전후방 수평 부재(340)와 결합하며, 상기 수평 가이드부(323)를 통해 슬라이딩 수단(300)의 작동시 프레임 고정구(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방 수평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측면 부재(330)와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돌기(321a)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끼움 결합홈(32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모서리 부재(320)의 후방 수평 결합부(322)는 전후방 수평 부재(340)가 삽입되는 부재 삽입홈(322a)과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수평 결합홈(341)에 결합되는 부재 결합돌기(32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재 삽입홈(322a)의 상부와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상부는 전후방 수평 부재(340)와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단면상 "m, U, ㅛ ,
Figure 112021152110412-pat00003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 부재(330)는 전방 모서리 부재(310)와 후방 모서리 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부재(330)는 내부에 전방 결합부(310)와 후방 결합부(320)에 끼움 결합되는 측면 결합부(331)가 관통형성되며, 외면에는 프레임 고정구(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 부재(330)는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수단(300)의 양측에 배치하면서도 측면 결합부(331)을 후방 모서리 부재(310)와 후방 모서리 부재(320)에 결합하며, 외면에는 슬라이딩 수단(300)의 작동시 프레임 고정구(200)를 따라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32)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 부재(330)는 전후방 모서리 부재(310, 320)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후방 수평 결합부(311, 321)의 걸림돌기(311a, 321a)와 결합되는 걸림홈(333)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끼움 결합홈(311b, 321b)에 삽입되는 끼움 돌기(33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는 후방 모서리 부재(310)와 후방 모서리 부재(310) 및 전방 모서리 부재(320)와 전방 모서리 부재(32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는 내부에 전후방 수평 결합부(311, 321)와 끼움 결합되는 수평 결합홈(34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는 동일선상에 위치한 전방 모서리 부재(310)의 전방 수평 결합부(312)과 전방 모서리 부재(310)의 전방 수평 결합부(312)에 수평 결합홈(341)을 결합하거나 또는 후방 모서리 부분(320)의 후방 수평 결합부(322)과 후방 모서리 부재(320)의 후방 수평 결합부(322)에 수평 결합홈(341)을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상부(342)는 정단면상 "m, U, ㅛ ,
Figure 112021152110412-pat00004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상부(342)는 전후방 모서리 부재(310, 320)의 부재 삽입홈(312a, 322a)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수거함 연결구(350)는 간격을 두고 일단이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거수단(400)의 상부 사각틀(4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수거함 연결구(350)는 간격을 두고 전후방 수평 부재(340)와 수거함(400)의 상부 사각틀(42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의 작동시 수거수단(400)을 연동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거함 연결구(350)는 전후방 수평 부재(340)와 수거수단(4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은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외측 결합홈(351)이 형성되고 내측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내측 결합홈(3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거함 연결구(350)는 측면상 "
Figure 112021152110412-pat00005
"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 및 수거수단(400)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수거수단(400)은 슬라이딩 수단(300)과 결합된다.
즉, 상기 수거수단(400)은 슬라이딩 수단(300)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의 작동시 인입 또는 인출하고, 보관공간을 활용하여 재활용 물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거수단(400)은 수거함(410), 상부 사각틀(420), 내부 사각틀(430)을 포함한다.
상기 수거함(410)은 접힘이 가능하도록 원단재질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입구(4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재활용 물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보관공간(412)이 형성되고, 상부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고정부재(413)가 장착된다.
즉, 상기 수거함(410)은 비사용시 접히고, 사용시 하부 방향으로 펼쳐지고, 내부에 형성되는 보관공간(412)을 통해 재활용 물품을 수거하게 된다.
상기 상부 사각틀(420)은 중공형상으로 상기 수거함(4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413)를 통해 고정 또는 분리되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을 구성하는 수거함 연결구(350)와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 사각틀(420)은 수거함(410)의 상부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413)를 통해 수거함(410)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내부 사각틀(430)은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410)을 구성하는 보관공간(412)의 하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거함(41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즉, 상기 내부 사각틀(430)은 수거함(410)의 보관공간(412)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보관공간(4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사각틀(430)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거수단(400)은 도시된 도 13 및 14와 같이 상기 수거함(410)의 하부에 비닐롤(450) 또는 휴지 또는 타올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구(4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거함(4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하부 고정부재(414)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거함(410)의 외부에 장착되는 거치구(440)는 하부 고정부재(414)를 통해 탈부착되는 하부 사각틀(441)과 상기 하부 사각틀(441)의 일 측에 결합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비닐롤(450) 또는 휴지 또는 타올을 거치할 수 있는 걸림고리(4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거함(410)은 사각형 형상의 하부 사각틀(441)에 절곡형성되는 걸림고리(442)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고리(442)에 비닐롤(450) 또는 휴지 또는 타올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거함(410)의 하부에는 상기 비닐롤(450)과 휴지 또는 타올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공(415)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재활용 분리수거함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직프레임(20)을 배치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40)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수평 프레임(30)을 결합하여 시스템 가구(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가구(10)를 구성하는 수평동일선상의 수직프레임(20)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전후방으로 배치되고, 외면에는 상기 수직프레임(20)에 밀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결합홈(2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고정구(200)를 고정결합한다.
다음으로, 배면에 전방 결합부(311)가 형성되며, 수평 내면에는 전방 수평 결합부(312)가 형성되고, 수평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의 인출시 프레임 고정구(200)에 위치한정될 수 있도록 수평 돌출부(313)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모서리 부재(310)를 후방 양측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전방 수평 결합부(311)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311a)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끼움 결합홈(311b)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수평 결합부(312)는 전후방 수평 부재(340)가 삽입되는 부재 삽입홈(312a)과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수평 결합홈(341)에 결합되는 부재 결합돌기(3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310)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후방으로 전면에 후방 결합부(321)가 형성되며, 수평 내면에는 후방 수평 결합부(322)가 형성되고, 수평 외면에는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부(323)가 형성되는 후방 모서리 부재(32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후방 수평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321a)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끼움 결합홈(321b)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 수평 결합부(322)는 전후방 수평 부재(340)가 삽입되는 부재 삽입홈(322a)과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수평 결합홈(341)에 결합되는 부재 결합돌기(322b)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310)와 후방 모서리 부재(320)의 사이로 내부에 전방 결합부(310)와 후방 결합부(320)에 끼움 결합되는 측면 결합부(331)가 관통형성되며, 외면에는 프레임 고정구(20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32)이 형성되는 측면 부재(33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측면 부재(330)의 끝단 부분에는 상기 전후방 수평 결합부(311, 321)의 걸림돌기(311a, 321a)와 결합되는 걸림홈(333)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끼움 결합홈(311b, 321b)에 삽입되는 끼움 돌기(33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동일선상의 전방 모서리 부재(310)의 전방 수평 결합부(312)와 전방 수평 결합부(312) 또는 후방 모서리 부재(320)의 후방 수평 결합부(322)와 후방 수평 결합부(322)에 전후방 수평 부재(340)의 수평 결합홈(341)을 결합하여 슬라이딩 수단(300)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원단재질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입구(4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재활용 물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보관공간(412)이 형성되고, 상부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고정부재(413)가 장착되는 수거함(410), 중공형상으로 상기 수거함(4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413)를 통해 고정 또는 분리되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을 구성하는 수거함 연결구(350)와 결합되는 상부 사각틀(420),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410)을 구성하는 보관공간(412)의 하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거함(4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내부 사각틀(430)로 구성되는 수거수단(400)을 구성한다.
이후,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을 구성하는 전후방 수평 부재(340)와 수거수단(400)을 구성하는 상부 사각틀(420)에 외측은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외측 결합홈(351)이 형성되고 내측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내측 결합홈(352)이 형성되는 수거함 연결구(350)를 복수개수 결합하면, 상기 슬라이딩 수단(300)과 수거수단(400)의 조립은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 가구(10)를 구성하는 수평프레임(30)에 결합된 프레임 고정구(200)와 프레임 고정구(200)의 사이에 수거수단(400)이 결합된 슬라이딩 수단(300)을 결합하면, 재활용 분리수거함(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재활용 분리수거함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재활용 분리수거함(100)을 통해 재활용 물품을 수거하고자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에 양측이 지지되는 슬라이딩 수단(300)을 전방으로 당기면된다.
이때, 상기 수거수단(400)은 슬라이딩 수단(300)과 함께 연동작동하여 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재활용 분리수거함(100)을 통해 재활용 물품을 수거된 수거수단(400)을 인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 고정구(200)에 양측이 지지되는 슬라이딩 수단(300)을 후방으로 밀면된다.
이때, 상기 수거수단(400)은 슬라이딩 수단(300)과 함께 연동작동하여 후방으로 인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재활용 분리수거함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재활용 물품을 간단하게 수거할 뿐만 아니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시스템 가구 20 : 수직프레임
30 : 수평프레임 40 : 공간
100 : 재활용 분리수거함
200 : 프레임 고정구 210 : 프레임 결합홈
300 : 슬라이딩 수단 310 : 전방 모서리 부재
311 : 전방 결합부 311a : 걸림돌기
311b : 끼움 결합홈 312 : 전방 수평 결합부
312a : 부재 삽입홈 312b : 부재 결합돌기
313 : 수평 돌출부
320 : 후방 모서리 부재 321 : 후방 결합부
321a : 걸림돌기 321b : 끼움 결합홈
322 : 후방 수평 결합부 322a : 부재 삽입홈
322b : 부재 결합돌기 323 : 수평 가이드부
330 : 측면 부재 331 : 측면 결합부
332 : 가이드 홈 333 : 걸림홈
334 : 끼움 돌기
340 : 전후방 수평 부재 341 : 수평 결합홈
350 : 수거함 연결구 351 : 외측 결합홈
352 : 내측 결합홈
400 : 수거수단 410 : 수거함
411 : 입구 412 : 보관공간
413 : 상부 고정부재 420 : 상부 사각틀
430 : 내부 사각틀

Claims (6)

  1.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수평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시스템 가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수거함이 장착되어 재활용 물품을 수거하되,
    상기 분리수거함은,
    수평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외면에는 수직프레임에 밀착된 후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고정구;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 고정구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후진 작동을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슬라이딩 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 수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고 보관공간을 통해 재활용 물품을 수거하는 수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거수단은, 접힘이 가능하도록 원단재질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재활용 물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사각통 형상의 수거함;
    중공형상으로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 또는 분리되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수거함 연결구와 결합되는 상부 사각틀; 및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을 구성하는 보관공간의 하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거함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내부 사각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분리수거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전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배면에 전방 결합부가 형성되며, 수평 내면에는 전방 수평 결합부가 형성되고, 수평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수단의 인출시 프레임 고정구에 위치한정될 수 있도록 수평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모서리 부재;
    후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전면에 후방 결합부가 형성되며, 수평 내면에는 후방 수평 결합부가 형성되고, 수평 외면에는 상기 프레임 고정구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후방 모서리 부재;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와 후방 모서리 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는 전방 결합부와 후방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측면 결합부가 관통형성되며, 외면에는 프레임 고정구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부재;
    상기 전방 모서리 부재와 전방 모서리 부재 및 후방 모서리 부재와 후방 모서리 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에는 전후방 수평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수평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 수평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거수단을 구성하는 상부 사각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거함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분리수거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결합부 및 후방 결합부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부재의 내측면 끝단 부분에는 전후방 수평 결합부의 걸림돌기와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끼움 결합홈에 삽입되는 끼움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분리수거함.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수평 결합부 및 후방 수평 결합부는 전후방 수평 부재가 삽입되는 부재 삽입홈과 상기 전후방 수평 부재의 수평 결합홈에 결합되는 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부재 삽입홈의 상부와 전후방 수평 부재의 상부는 정단면상 "m, U, ㅛ ,
    Figure 112021152110412-pat00006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분리수거함.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하부 고정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수거함의 외부에는 하부 고정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는 하부 사각틀과 상기 하부 사각틀의 일 측에 결합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비닐롤 또는 휴지 또는 타올을 거치할 수 있는 걸림고리로 구성되는 거치구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분리수거함.
KR1020210190860A 2021-12-29 2021-12-29 재활용 분리수거함 KR10237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860A KR102379861B1 (ko) 2021-12-29 2021-12-29 재활용 분리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860A KR102379861B1 (ko) 2021-12-29 2021-12-29 재활용 분리수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861B1 true KR102379861B1 (ko) 2022-03-29

Family

ID=8099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860A KR102379861B1 (ko) 2021-12-29 2021-12-29 재활용 분리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8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671U (ko) 1992-07-21 1994-02-15 문성호 싱크대용 오물봉지 걸이대
KR200445489Y1 (ko) 2007-12-13 2009-08-04 주식회사 원구 비닐봉지 고정장치
KR20170000931U (ko) * 2015-09-03 2017-03-13 주식회사 일광산업 가구 일체형 인출식 분리 수거함
KR200483955Y1 (ko) * 2017-03-28 2017-07-13 김준경 바지 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671U (ko) 1992-07-21 1994-02-15 문성호 싱크대용 오물봉지 걸이대
KR200445489Y1 (ko) 2007-12-13 2009-08-04 주식회사 원구 비닐봉지 고정장치
KR20170000931U (ko) * 2015-09-03 2017-03-13 주식회사 일광산업 가구 일체형 인출식 분리 수거함
KR200483955Y1 (ko) * 2017-03-28 2017-07-13 김준경 바지 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420A (en) Recycle trash container
KR102379861B1 (ko) 재활용 분리수거함
KR200415144Y1 (ko) 슬림 수납함
KR20040029651A (ko) 가정용 분리용 쓰레기통
WO2020018966A1 (en) Garment hanger apparatus
KR200388738Y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대
KR20170000931U (ko) 가구 일체형 인출식 분리 수거함
KR20070104022A (ko) 쓰레기 분리 수거대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CN220350706U (zh) 一种新型家用塑料垃圾桶
KR200419253Y1 (ko) 물품걸이구를 구비한 신발장 선반의 조립구조
KR200448738Y1 (ko) 재활용품 분리수거용 바스켓
CN217118016U (zh) 一种温控智能售卖柜
CN217117820U (zh) 一种多功能衣柜
US4722438A (en) Organizer container for garment hangers
CN214139907U (zh) 一种垃圾篮
CN219791107U (zh) 一种包装假睫毛的可降解套盒
CN208585642U (zh) 一种多功能的垃圾桶
CN214650954U (zh) 一种静配用一体式垃圾袋及应用其的垃圾收纳结构
CN215533505U (zh) 一种可折叠的收纳箱
CN215776415U (zh) 一种方便存放拿取的衣柜
CN210895682U (zh) 一种公用洗衣机的控制器
CN211811486U (zh) 垃圾分类分体式回收装置
KR20200089140A (ko) 비닐봉투 걸이형 분리수거함
CN210506918U (zh) 一种便挂便提拿的洗衣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