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786B1 -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 Google Patents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786B1
KR102379786B1 KR1020200101770A KR20200101770A KR102379786B1 KR 102379786 B1 KR102379786 B1 KR 102379786B1 KR 1020200101770 A KR1020200101770 A KR 1020200101770A KR 20200101770 A KR20200101770 A KR 20200101770A KR 102379786 B1 KR102379786 B1 KR 102379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rriage
base
type walking
chan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211A (en
Inventor
정부환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102020010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786B1/en
Priority to PCT/KR2020/011055 priority patent/WO2022034952A1/en
Publication of KR2022002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61H2201/1223Frequency controlled A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61H2201/5066Limi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에 설치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20);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는 센터 브래킷(4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캐리지(72)를 직선 운동시키는 드라이빙 유닛(70); 상기 캐리지(72)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52)이 관통되어 형성된 터닝 블록(50); 한쪽에 링 헤드(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 되며,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고정된 로드(60); 및 상기 센터 브래킷(4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레일(100)과 상기 제2 고정 레일(102) 중에 어느 하나와 방향이 일치되는 로터리 레일(9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type walking aids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changing the walking direction, the base (10)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xed rails (100, 102); a disk 20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enter bracket 40 passing through the base 10 and installed on the disk 20; a driving unit 70 installed on the base 10 to linearly move the carriage 72; a turning block 5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arriage 72 and has a sliding hole 52 through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od (60) having a ring head (62) formed on one side, sliding in the sliding hole (52), and having the ring head (62) fixed to the disk (20); and a rotary rail 90 installed on the center bracket 40 and having the same direction as any one of the first fixing rail 100 and the second fixing rail 102 .

Description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본 발명은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에서 보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type walking aid that allows the user to change a walking direction in a rail-type walking aid.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 하지 마비 환자, 재활 치료 환자, 거동이 불편한 사람 등은 하지의 근력이 약하여 자력 보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In general, stroke patients, paraplegics, rehabilitation patients, and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may find it difficult to walk on their own because the muscle strength of the lower extremities is weak.

보행보조기구는 자력 보행이 어려운 사람이 자신 체중으로 인한 부하를 경감시킨 상태에서 쉽게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이다.A walking aid is to assist a person who has difficulty walking on his/her own so that they can easily walk while reducing the load caused by their own weight.

종래에 보행보조기구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가 알려져 있는데, 사용자가 이동 경로는 레일의 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어 단조로우며 보행 방향을 전환하지 않거나 전환하더라도 매번 같은 경로에서 레일 배치 방향에 한정하여 보행 방향이 전환되는 것으로 인체 근육 중에 사용하지 않은 근육이 있을 수 있어 재활 치료에 한계가 있다.Conventionally, as a walking aid device, a rail type walking aid device is known, but the user's movement path can be limited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so it is monotonous, and even if the walking direction is not changed or changed, walking is limited to the rail arrangement direction on the same path every time. As the direction is changed, there may be unused muscles among the muscles of the human body, so there is a limit to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따라서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가 설치된 재활센터, 병원,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설치 공간 내에서, 보행보조기구로 보행을 하는 사용자가 다양한 이동 경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an installation space such as a rehabilitation center, hospital, or home where rail-type walking aids are installed, the movement path can be changed frequently so that users who walk with a walking aid can selectively exercise along various moving paths. Technology development is urgently required.

또한, 특허문헌 1의 보행 훈련 시스템은 회전 바를 끈으로 연결된 구성이고, 회전 바의 끈을 바로 아래 향으로 당기는 제1 동작과 이동 목적 방향으로 젖히는 형태로 당기는 제2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gait training system of 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rotating bar with a string,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operation of pulling the string of the rotating bar directly downwards and a second operation of pulling the string of the rotating bar in the form of bending it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그러나 상기 회전 바는 시소 운동하여 연결 바를 뽑아 올려야 하는 구성이므로 수직 방향으로 전체적인 외관 크기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rotating bar is configured to pull up the connecting bar by performing a seesaw motion, the overall external size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formed to be high.

또한,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연속하여 취하는 것은 사용자 스스로 행동하기에 불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조자가 도와줄 필요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act on his own to continuously take the first motion and the second motion, and an assistant who helps the user in rehabilitation treatment may need to help.

KRKR 10-161823110-1618231 B1B1 KRKR 10-2011-011042510-2011-0110425 AA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일과 다른 레일이 교차하는 지점에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여 보행 경로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that can diversify a walking path by installing a direction changing device at a point where a rail and other rails inters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향전환장치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높은 위치에 있는 손잡이만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한 번의 동작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 치료 당사자 혼자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type walking aid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person in rehabilitation treatment alone by enabling it to be implemented with one operation of pulling only the handle in a high position downward in operating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provide a conversion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에 설치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20);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는 센터 브래킷(4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캐리지(72)를 직선 운동시키는 드라이빙 유닛(70); 상기 디스크(20)와 상기 캐리지(72) 중에 어느 하나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52)이 관통되어 형성된 터닝 블록(50); 한쪽에 링 헤드(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 되며,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고정되거나,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서 회전 운동 되는 로드(60); 및 상기 센터 브래킷(4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레일(100)과 상기 제2 고정 레일(102) 중에 어느 하나와 방향이 일치되는 로터리 레일(90)을 포함한다.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xed rails (100, 102) the base 10 installed; a disk 20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enter bracket 40 passing through the base 10 and installed on the disk 20; a driving unit 70 installed on the base 10 to linearly move the carriage 72; a turning block 5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any one of the disk 20 and the carriage 72 and has a sliding hole 52 through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ing head 62 is formed on one side and slides in the sliding hole 52 , and when the ring head 62 is installed on the disk 20 , the ring head 62 is fixed to the disk 20 . or, when the ring head 62 is installed on the carriage 72, the ring head 62 is rotated in the carriage 72, the rod 60; and a rotary rail 90 installed on the center bracket 40 and having the same direction as any one of the first fixing rail 100 and the second fixing rail 102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72)가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상기 베이스(10)의 설치된 복수의 로프 가이드(86); 및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를 거쳐 상기 캐리지(72)에 연결되고, 양쪽 끝부분이 외부로 연장되는 로프(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70 is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linear guide rail 78 for the carriage 72 to move in a straight line. ; a plurality of rope guides 86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it may include a rope 80 connected to the carriage 72 via the plurality of rope guides 86, both ends of which exten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72)가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된 너트 블록(112);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 블록(112)에 나사 결합한 스크루(114); 및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루(114)를 구동시키는 모터(11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70 is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linear guide rail 78 for the carriage 72 to move in a straight line. ; a nut block 112 installed on the carriage 72; a screw 114 installed on the base 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near guide rail 78 and screwed to the nut block 112; and a motor 116 installed on the base 10 to drive the screw 114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상기 모터(116)의 정역 회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8); 및 상기 제어부(118)에 무선통신으로 정회전 신호와 역회전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8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tor 116; and a switch 120 for providing a forward rotation signal and a reverse rot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8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사용자가 보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로터리 레일을 임의로 방향 전환할 수 있고, 이로써 보행 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경로로 보행할 수 있다.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arbitrar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tary rail in the direction that the user wants to walk, thereby arbitrarily changing the walking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walk in more diverse paths.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외관 크기를 살펴볼 때, 종래에 시소 운동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를 적용한 방향전환장치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께를 얇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oking at the external size, it can provid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rection changing device to which a component for a seesaw motion is applied.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로터리 레일의 방향을 수동으로 전환할 때 로프의 양쪽 끝부분에서 위쪽에 있는 로프 끝부분을 잡아당기는 한 번의 동작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one operation of pulling the upper end of the rope from both ends of the rope when manual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otary rail This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 사시도와 저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상면 사시도 및 분해 저면 사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고정 레일이 4방향으로 연결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천장에 설치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부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캐리지의 운동과 로드와 터닝 블록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드라이빙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로터리 레일에 행거 드라이버(200)가 위치한 상태에서 로터리 레일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캐리지의 운동과 로드와 터닝 블록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a top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n exploded top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rail-type walking aid device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xed rail is connected in four directions in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l-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l-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and the rod and the turning block.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unit i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ubstitute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rection change of the rotary rail is made in a state where the hanger driver 200 is located on the rotary rail in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the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mponents in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l type walking aid device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and the rod and the turning block.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ly show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mpon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but the size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so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부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과 저면 사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저면 분해 사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고정 레일이 4방향으로 연결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천장에 설치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rail type walking aid device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xed rail is connected in four directions in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베이스(10), 디스크(20), 베어링 유닛(30), 센터 브래킷(40), 터닝 블록(50), 로드(60), 드라이빙 유닛(70) 및 로터리 레일(9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10, the disk 20, the bearing unit 30, the center bracket 40, the turning block 50, the rod 6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unit 70 and a rotary rail 90 .

상기 베이스(10)는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에 설치되고, 베어링 시트(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가장자리에 레일 홀더(14)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10 may be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xing rails 100 and 102 , and a bearing seat 12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base 10 may have a rail holder 14 formed at an edge thereof.

상기 베어링 시트(12)는 축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에 별개 구성요소를 부가하고 상기 별개 구성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The bearing seat 12 may be axial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on the separate component by adding a separate component to the base 10 .

상기 레일 홀더(14)는 상기 복수의 고정 레일(100, 102) 중에 낱개의 고정 레일이 설치될 수 있고, 용접, 수나사와 암나사, 리벳 등의 체결 수단으로 레일 홀더(14)와 고정 레일을 고정할 수 있다.In the rail holder 14, a single fixed rail may be installed among the plurality of fixed rails 100 and 102, and the rail holder 14 and the fixed rail are fix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welding, male and female screws, and rivets.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가 T 교차점에 설치될 때 도 1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 홀더(14)는 3개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레일(100, 102)은 총 3개를 연결할 수 있다.Whe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T intersection, as shown in FIGS. 1 to 4, the rail holder 14 is formed of three, and the plurality of fixed rails ( 100, 102) can connect a total of three.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가 십자 교차점에 설치될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 홀더(14)는 4개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레일(100, 102)은 총 4개를 연결할 수 있다.Similarly, as shown in FIG. 5 whe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cross, the rail holder 14 is formed of four, and the plurality of fixed rails 100 , 102) can connect a total of four.

상기 복수의 고정 레일(100, 102)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스탠드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xing rails 100 and 102 may be firmly fixed to a ceiling or a stand structure of a building.

상기 디스크(2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볼트 등의 체결 요소를 관통시키도록 스루 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스루 홀(22)은 볼트의 개수에 비례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k 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 and a through hole 22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 fastening element such as a bol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may be form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bolts.

상기 베어링 유닛(30)은 축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30)은 상기 베어링 시트(12)에 설치될 수 있고, 베어링 유닛(30)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20)가 얹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bearing unit 30 may receive a vertical load by axially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earing unit 30 may be installed on the bearing seat 12 , and the disk 20 may b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unit 30 .

상기 센터 브래킷(4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로부터 상기 베어링 유닛(30)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브래킷(40)의 상면에는 탭(42)이 형성될 수 있다.The center bracket 40 may be installed on the disk 20 through the bearing unit 30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 A tab 42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enter bracket 40 .

상기 터닝 블록(50)은 상기 디스크(20) 상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닝 블록(50)은 수직 방향으로 볼트 홀(54)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홀(54)에는 볼트(56)가 삽입될 수 있다.The turning block 50 may be installed on the disk 20 and a sliding hole 52 may be formed. In addition, in the turning block 50 , a bolt hole 54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bolt 56 may be inserted into the bolt hole 54 .

상기 볼트(56)는 상기 볼트 홀(54)과 스루 홀(22)을 거쳐 상기 탭(42)에 체결되어 상기 디스크(20)와 상기 센터 브래킷(40)과 상기 터닝 블록(50)을 고정할 수 있고, 이로써 터닝 블록(50)이 회전하면 센터 브래킷(4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bolt 56 is fastened to the tab 42 through the bolt hole 54 and the through hole 22 to fix the disk 20, the center bracket 40, and the turning block 50. In this way, when the turning block 50 rotates, the center bracket 40 can rotate together.

상기 로드(60)는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끼워져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하며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로드(60)가 각도 운동하면 로드(60)의 각도 운동에 따라 상기 터닝 블록(50)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rod 60 is fitted and coupled in the sliding hole 52 , and may slide in the sliding hole 52 and move in a straight line. When the rod 60 angularly moves, the turning block 50 may rotate in place according to the angular movement of the rod 60 .

즉, 상기 로드(60)는 상기 터닝 블록(50)에 대하여 왕복 직선운동하고,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왕복 회전 운동하는 것으로써 복합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rod 60 can perform a complex motion by reciprocating linear motion with respect to the turning block 50 and reciprocating rotation mo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10 .

또한, 상기 로드(60)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터닝 블록(50)을 좀 더 작은 힘으로 쉽게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length of the rod 60 is longer, the turning block 50 can be easily angularly rotated with a smaller force.

상기 로드(60)는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60)는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As for the rod 60 , when the ring head 62 is installed on the disk 20 , the ring head 62 may be fixed to the disk 20 . In addition, when the ring head 62 is installed on the carriage 72 , the rod 60 may rotate in the carriage 72 .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로드(60)를 각도 운동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7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may angularly move the rod 60 .

상기 로터리 레일(90)은 상기 센터 브래킷(40)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의 작동으로 상기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 중에 어느 하나와 방향이 일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The rotary rail 90 may be installed on the center bracket 40 , so that the direction coincides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xed rails 100 and 102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70 . can be rotated to

상기 로터리 레일(90)의 끝부분은 회전 반경과 대응하는 크기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로터리 레일(90)이 회전할 때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The end of the rotary rail 90 may b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rotation, thereby avoiding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when the rotary rail 90 rotat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로드(60)의 구동이 수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전체 외관의 높이(두께)는 상하 방향으로 시소 운동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시킬 수 있다.In the rail-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driving of the rod 60 is made in a horizontal plane, the height (thickness) of the entire exterior is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esaw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erformed. Thus, it can be formed relatively low.

한편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고정 레일(100, 102)을 바둑판 모양으로 조합하여 설치하고, 각 고정 레일의 교차점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여 보행 경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fixed rails 100 and 102 are combined and installed in a checkerboard shape, and a rail-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each fixed rail. Thus, a variety of walking paths can be configured.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은 도 1, 도 3 및 도 7부터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부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캐리지의 운동과 로드와 터닝 블록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driving unit 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3 and 7 to 10 .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l-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l-type walking aids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and the rod and the turning block.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은, 링 헤드(62),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캐리지(72), 링크 샤프트(74), 복수의 로프 가이드(86) 및 로프(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70 may include a ring head 62 , a linear guide rail 78 , a carriage 72 , a link shaft 74 , a plurality of rope guides 86 and a rope 80 . there is.

상기 링 헤드(62)는 상기 로드(60)의 끝부분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ing head 6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t the end of the rod 60 .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linear guide rail 78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 .

상기 캐리지(72)는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에 설치되어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에서 선형 운동하며 활주할 수 있다.The carriage 72 may be installed on the linear guide rail 78 to slide while linearly moving on the linear guide rail 78 .

상기 링크 샤프트(74)는 상기 캐리지(7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링 헤드(62)에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link shaft 74 may be formed on the carriage 72 , and may be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ring head 62 to rotate.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는 상기 베이스(10)의 설치될 수 있고, 롤러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하여 로프(80)가 롤러에서 이탈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ope guides 86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the roller surface may be concave, so that the rope 80 may ru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roller.

또한,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는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의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로프(80)가 베이스(10)를 벗어나는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ope guides 86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near guide rail 78 , and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pe 80 leaves the base 10 .

상기 로프(80)는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를 거쳐 상기 캐리지(72)에 연결되고, 양쪽 끝부분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프(80)의 양쪽 끝에는 각각 제1, 2 손잡이(82, 84)가 형성될 수 있다.The rope 80 is connected to the carriage 72 via the plurality of rope guides 86, and both ends may extend to the outside. First and second handles 82 and 84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pe 80, respectively.

상기 로프(80)는 커넥터(76)로 캐리어(72)에 묶일 수 있고, 커넥터(76)는 예를 들면 클램프, 클립, 볼트 너트 등의 구성일 수 있다.The rope 80 may be tied to the carrier 72 with a connector 76 , and the connector 76 may be, for example, a clamp, a clip, a bolt nut, or the like.

제1 손잡이(82)가 당겨진 상태이면 제2 손잡이(84)는 제1 손잡이(82)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andle 82 is in a pulled state, the second handle 84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handle 82 .

또한, 제1 손잡이(82)가 당겨진 상태이면 도 7을 참조할 때 로터리 레일(90)은 제2 고정 레일(102)과 방향이 일치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handle 82 is in a pulled state, the direction of the rotary rail 90 may coincide with the second fixing rail 102 when referring to FIG. 7 .

제2 손잡이(84)를 당기면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로프(80)는 캐리지(72)를 끌어당기고, 이로써 캐리지(7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아래에서 출발하여 왼쪽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로터리 레일(90)은 제2 고정 레일(102)과 방향이 어긋나고 제1 고정 레일(100)과 일치하는 쪽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7 and 8, when the second handle 84 is pulled, the rope 80 pulls the carriage 72, whereby the carriage 72 starts from the lower right and upwards to the left, as shown in FIG. can move The rotary rail 90 may be deviated from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xed rail 102 and may be rotationally moved to coincide with the first fixed rail 100 .

제2 손잡이(84)를 완전하게 당기면 도 9의 (a)와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80)는 캐리지(72)를 왼쪽 상측으로 이동되고, 로터리 레일(90)은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레일(100)과 일치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handle 84 is completely pulled, the rope 80 moves the carriage 72 to the upper left side as shown in FIGS. 9 (a) and 10 (c), and the rotary rail 90 is shown in FIG. As shown in (b) of 9, it may coincide with the first fixing rail 100 .

캐리지(72)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임의로 요동치지 않고 안정된 자세에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어 로프(80)를 당기는 힘이 다소 약하더라도 쉽게 이동할 수 있다.By moving along the linear guide rail 78, the carriage 72 can travel smoothly in a stable posture without arbitrarily swinging, so that it can move easily even if the pulling force of the rope 80 is somewhat weak.

상기 드라이빙 유닛(70)은 전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드라이빙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driving unit 70 may be electrically operat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unit i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드라이빙 유닛(70)의 다른 예는, 링 헤드(62),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캐리지(72), 링크 샤프트(74), 너트 블록(112), 스크루(114) 및 모터(1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unit 70 includes a ring head 62 , a linear guide rail 78 , a carriage 72 , a link shaft 74 , a nut block 112 , a screw 114 , and a motor 116 .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링 헤드(62),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캐리지(72) 및 링크 샤프트(74)의 구성은 앞서 설명된 구성 설명과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ring head 62 , the linear guide rail 78 , the carriage 72 , and the link shaft 74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너트 블록(112)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될 수 있다.The nut block 112 may be installed on the carriage 72 as shown in FIG. 11 .

상기 스크루(114)는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너트 블록(112)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The screw 114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near guide rail 78 , and may be screwed to the nut block 112 .

즉, 스크루(114)가 회전하면 상기 너트 블록(112)은 선형 이동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crew 114 rotates, the nut block 112 may move linearly.

상기 모터(116)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루(1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스크루(114)와 상기 모터(116)는 축이 직결될 수 있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열(117a, 117b)을 갖추어 연결할 수 있다.The motor 116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 to drive the screw 114 . The screw 114 and the motor 116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 shaft, and may be connected with gear trains 117a and 117b as shown in FIG. 11 .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모터(116)를 구동함으로써 기계적 힘으로 로터리 레일(90)을 방향 전환할 수 있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That is,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nient advantage because it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tary rail 90 by mechanical force by driving the motor (116).

상기 모터(116)는 원격 제어할 수 있고,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motor 116 can be remotely controll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제어부(118)와 스위치(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8 and a switch 120 .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모터(116)의 정역 회전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8 may control a forward/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tor 116 .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 제어부(118)에 정회전 신호와 역회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switch 120 may provide a forward rotation signal and a reverse rot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8 .

상기 스위치(120)는 방향전환장치마다 유선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switch 120 may be installed by connecting each direction change device by wire.

또한, 상기 제어부(118)와 상기 스위치(120)는 무선 통신부를 갖추고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이때 스위치(120)는 원격제어장치로써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8 and the switch 12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 this case, the switch 120 may be carried by a user as a remote control device.

또한, 복수의 방향전환장치마다 스위치(120)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보행 경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레일의 가장 바깥쪽을 따라 보행할 수 있도록 로터리 레일(9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임의 구간은 행거 드라이버(200)가 로터리 레일(90)이 진입 완료한 직후에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 changing devices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connecting the switch 120 to the network, thereby arbitrarily changing the walking path. For example, the direction of the rotary rail 9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person can walk along the outermost part of the fixed rail, and in an arbitrary section, the hanger driver 200 changes the direction immediately after the rotary rail 90 has entered. You can control it to switch.

행거 드라이버(200)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로터리 레일에 행거 드라이버(200)가 위치한 상태에서 로터리 레일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The hanger driv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12 is a diagram substitute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rection change of the rotary rail is made in a state where the hanger driver 200 is located on the rotary rail i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 드라이버(200)는 상기 로터리 레일(90)과 제1, 2 고정 레일(100, 102)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롤러 휠이 갖춰질 수 있고, 사용자가 매달릴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12, the hanger driver 200 may be equipped with a roller wheel so as to travel along the rotary rail 90 and the first and second fixed rails 100 and 102, and a ring so that the user can hang it. can be formed.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로터리 레일(90)의 양쪽에는 도 2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킹 유닛(9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유닛(92)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블로킹 유닛(92)의 반원 호 부분은 아래쪽에서 올려다볼 때 일부가 상기 제1, 2 고정 레일(100, 102)과 중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locking units 92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rail 90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blocking unit 92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and the semicircular arc portion of the blocking unit 92 may partially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fixing rails 100 and 102 when viewed from the bottom. .

상기 블로킹 유닛(92)은 예를 들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레일(90)과 제2 고정 레일(102)이 방향 일치일 때 제1 고정 레일(100)을 통하여 다른 행거 드라이버(200)가 로터리 레일(90)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92 is another hanger through the first fixed rail 100 when the rotary rail 90 and the second fixed rail 102 are align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B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 200 from entering the rotary rail 90 .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레일(90)과 제1, 2 고정 레일(100, 102)이 방향 불일치일 때 제1, 2 고정 레일(100,102)을 통하여 다른 행거 드라이버(200)가 로터리 레일(90)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b), when the rotary rail 90 and the first and second fixed rails 100 and 102 do not match in directions, another hanger driver ( 200)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oward the rotary rail (9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하우징 케이스(94)가 베이스(10)를 포함하여 베이스(10)에 설치된 구성요소의 바깥쪽에 씌워져 내부 구성요소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case 94 is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base 10, including the base 10, so that the internal components are removed from the outside. can prot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제1, 2 커버(96, 9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covers (96, 98).

상기 제1 커버(96)는 제1 고정 레일(100)과 인접한 다른 제2 고정 레일(102)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으로 배치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96 may be disposed at a point where an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fixing rail 100 and the other second fixing rail 102 adjacent to the first fixing rail 100 is disposed at a right angle.

상기 제2 커버(98)는 제1 고정 레일(100) 또는 제2 고정 레일(102)이 직선으로 배치되고 그사이에 다른 고정 레일이 없을 때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cover 98 may be used when the first fixing rail 100 or the second fixing rail 102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there is no other fixing rail therebetween.

상기 제1, 2 커버(96, 98)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레일(90)이 제1, 2 고정 레일(100, 102)과 방향이 어긋났을 때 행거 드라이버(2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vers 96 and 98 are the hanger driver 200 when the rotary rail 90 is out of dir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ed rails 100 and 102 as shown in (b) of FIG. 8 .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에서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캐리지의 운동과 로드와 터닝 블록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A rail 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mponents in the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rail type walking 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l-type walking aid device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and the rod and the turning block.

캐리지(72)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드라이빙 유닛(70)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 설명과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The driving unit 70 for moving the carriage 72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a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는 베어링 시트(12)가 형성될 수 있고, 베어링 시트(12)에 베어링 유닛(30)이 배치될 수 있다.A bearing seat 12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10 , and a bearing unit 30 may be disposed on the bearing seat 12 .

베어링 유닛(30)은 축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30)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20)가 얹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bearing unit 30 may receive a vertical load by axially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disk 20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unit 30 .

센터 브래킷(4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로부터 상기 베어링 유닛(30)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될 수 있다.The center bracket 40 may be installed on the disk 20 through the bearing unit 3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

상기 디스크(20)의 위쪽에는 터닝 샤프트(24)가 갖춰질 수 있다. 상기 터닝 샤프트(24)는 상기 디스크(20)와 일체로 묶일 수 있고, 결국 터닝 샤프트(24)가 회전 운동하면 디스크(20)와 센터 브래킷(40)이 함께 회전 운동할 수 있다.A turning shaft 24 may be provided above the disk 20 . The turning shaft 24 may be integrally bundled with the disk 20 , and eventually, when the turning shaft 24 rotates, the disk 20 and the center bracket 40 may rotate together.

터닝 블록(50)은 캐리지(72)의 위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터닝 블록(50)과 상기 캐리지(72) 중에 어느 한쪽에 샤프트(59)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베어링(58)이 배치될 수 있고, 샤프트(59)가 베어링(58)에 결합할 수 있다.The turning block 5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ve the carriage 72 . In more detail, a shaft 59 is formed on either one of the turning block 50 and the carriage 72 , and a bearing 58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the shaft 59 is a bearing 58 . can be coupled to

이로써, 캐리지(72)가 리니어 가이드 레일(78)에서 직선 이동하면 터닝 블록(50)은 캐리지(72)와 함께 직선 이동하고, 터닝 블록(50)은 캐리지(72)에서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arriage 72 moves linearly on the linear guide rail 78 , the turning block 50 moves linearly together with the carriage 72 , and the turning block 50 rotates fre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arriage 72 . can

또한, 상기 터닝 블록(50)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홀(5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 the turning block 50 may have a sliding hole 52 formed therein.

상기 로드(60)는 직선으로 뻗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느 한쪽에 링 헤드(62)가 형성될 수 있다.The rod 60 is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nd a ring head 62 may be formed on either side.

상기 로드(60)는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끼워져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하며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로드(60)가 각도 운동하면 로드(60)의 각도 운동에 따라 상기 터닝 블록(50)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rod 60 is fitted and coupled in the sliding hole 52 , and may slide in the sliding hole 52 and move in a straight line. When the rod 60 angularly moves, the turning block 50 may rotate in place according to the angular movement of the rod 60 .

상기 링 헤드(62)는 상기 터닝 샤프트(24)에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터닝 샤프트(24)와 링 헤드(62)는 볼트로 조립되거나, 키가 꽂히거나, 용접될 수 있다.The ring head 62 may be fixed to the turning shaft 24 . In more detail, the turning shaft 24 and the ring head 62 may be assembled with bolts, inserted with a key, or welded.

즉, 상기 로드(60)는 상기 터닝 블록(50)에 대하여 왕복 직선운동하고,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상기 베어링 유닛(30)의 축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That is, the rod 60 may reciprocate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turning block 50 , and may rotate about the axis of the bearing unit 30 with respect to the base 10 .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72)가 오른쪽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고, 로터리 레일(90)은 로드(60)의 길이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4 , the carriage 72 may be located at the lower right side, and the rotary rail 9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ngth of the rod 60 .

이후,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72)가 왼쪽 위쪽으로 이동을 하면, 로드(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터리 레일(90)은 로드(60)와 함께 회전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4B , when the carriage 72 moves upward to the left, the rod 60 rotates clockwise, and the rotary rail 90 rotates together with the rod 60 .

이후,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72)가 왼쪽 위쪽으로 이동 완료되면 로드(60)가 회전 완료되고, 로터리 레일(90)의 방향전환이 완료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4( c ), when the carriage 72 is moved upwardly to the left, the rotation of the rod 60 is completed, and the direction change of the rotary rail 90 is completed.

한편으로, 캐리지(72)는 도 14를 참조하면, 왼쪽 위쪽에서 오른쪽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하면 로드(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터리 레일(90)은 로드(6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방향 전환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rriage 72 can move from upper left to lower right, referring to FIG. 14 , in which case the rod 6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rotary rail 90 moves together with the rod 60 . Change the direction counterclockwis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will be abl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which are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에서 레일의 방향을 전환하여 사용자의 보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The rail-type walking aid direction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ail in the rail-type walking aid installed on the ceiling so that the user's walking direction can be changed.

10: 베이스 12: 베어링 시트
14: 레일 홀더 20: 디스크
22: 스루 홀 24: 터닝 샤프트
30: 베어링 유닛
40: 센터 브래킷 42: 탭
50: 터닝 블록 52: 슬라이딩 홀
54: 볼트 홀 56: 볼트
58: 베어링 59: 샤프트
60: 로드 62: 링 헤드
70: 드라이빙 유닛
72: 캐리지 74: 링크 샤프트
76: 커넥터 78: 리니어 가이드 레일
80: 로프 82, 84: 제1, 2 손잡이
86: 로프 가이드 90: 로터리 레일
92: 블로킹 유닛 94: 하우징 케이스
96, 98: 제1, 2 커버 100, 102: 제1, 2 고정 레일
112: 너트 블록 114: 스크루
116: 모터 118: 제어부
120: 스위치 200: 행거 드라이버
10: base 12: bearing seat
14: rail holder 20: disc
22: through hole 24: turning shaft
30: bearing unit
40: center bracket 42: tab
50: turning block 52: sliding hole
54: bolt hole 56: bolt
58: bearing 59: shaft
60: rod 62: ring head
70: driving unit
72: carriage 74: link shaft
76: connector 78: linear guide rail
80: rope 82, 84: first, second handle
86: rope guide 90: rotary rail
92: blocking unit 94: housing case
96, 98: first and second covers 100, 102: first and second fixing rails
112: nut block 114: screw
116: motor 118: control unit
120: switch 200: hanger driver

Claims (4)

복수의 제1, 2 고정 레일(100, 102)에 설치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20);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는 센터 브래킷(4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캐리지(72)를 직선 운동시키는 드라이빙 유닛(70);
상기 디스크(20)와 상기 캐리지(72) 중에 어느 하나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52)이 관통되어 형성된 터닝 블록(50);
한쪽에 링 헤드(6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52)에서 활주 되며,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디스크(20)에 고정되거나,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되면 상기 링 헤드(62)가 상기 캐리지(72)에서 회전 운동 되는 로드(60); 및
상기 센터 브래킷(4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레일(100)과 상기 제2 고정 레일(102) 중에 어느 하나와 방향이 일치되는 로터리 레일(90);
을 포함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a base 10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xing rails 100 and 102;
a disk 20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enter bracket 40 passing through the base 10 and installed on the disk 20;
a driving unit 70 installed on the base 10 to linearly move the carriage 72;
a turning block 5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any one of the disk 20 and the carriage 72 and has a sliding hole 52 through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ring head 62 is formed on one side and slides in the sliding hole 52 , and when the ring head 62 is installed on the disk 20 , the ring head 62 is fixed to the disk 20 . or, when the ring head 62 is installed on the carriage 72, the ring head 62 is rotated in the carriage 72, the rod 60; and
a rotary rail (90) installed on the center bracket (40) and having the same direction as any one of the first fixed rail (100) and the second fixed rail (102);
Rail type walking aids direction chang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72)가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상기 베이스(10)의 설치된 복수의 로프 가이드(86); 및
상기 복수의 로프 가이드(86)를 거쳐 상기 캐리지(72)에 연결되고, 양쪽 끝부분이 외부로 연장되는 로프(80);
를 포함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70 is
a linear guide rail (78)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allowing the carriage (72) to move in a straight line;
a plurality of rope guides 86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a rope (80) connected to the carriage (72) via the plurality of rope guides (86) and extending at both ends to the outside;
Rail type walking aids direction chang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드라이빙 유닛(7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72)가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78);
상기 캐리지(72)에 설치된 너트 블록(112);
상기 리니어 가이드 레일(78)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 블록(112)에 나사 결합한 스크루(114); 및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루(114)를 구동시키는 모터(116);
를 포함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70 is
a linear guide rail (78)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allowing the carriage (72) to move in a straight line;
a nut block 112 installed on the carriage 72;
a screw 114 installed on the base 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near guide rail 78 and screwed to the nut block 112; and
a motor 116 installed on the base 10 to drive the screw 114;
Rail type walking aids direction changing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16)의 정역 회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8); 및
상기 제어부(118)에 무선통신으로 정회전 신호와 역회전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120);
를 포함하는 레일 형식 보행보조기구 방향전환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control unit 118 for controlling a forward/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tor 116; and
a switch 120 for providing a forward rotation signal and a reverse rot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8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ail type walking aids direction changing device comprising a.
KR1020200101770A 2020-08-13 2020-08-13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KR102379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70A KR102379786B1 (en) 2020-08-13 2020-08-13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PCT/KR2020/011055 WO2022034952A1 (en) 2020-08-13 2020-08-19 Direction-switching device for rail-type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70A KR102379786B1 (en) 2020-08-13 2020-08-13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11A KR20220021211A (en) 2022-02-22
KR102379786B1 true KR102379786B1 (en) 2022-03-25

Family

ID=8024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70A KR102379786B1 (en) 2020-08-13 2020-08-13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9786B1 (en)
WO (1) WO202203495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1145A (en) * 2021-07-29 2024-04-19 더 보드 오브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KRAS mutant canc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482B1 (en) 2013-04-26 2014-10-23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Harness system using of pressure feedback function and training system for gait rehabilitation
KR101618231B1 (en) 2014-11-26 2016-05-04 주식회사 마르페 System for gait training
CN107397665A (en) 2017-08-27 2017-11-28 常俊红 A kind of medical automatic cupping device
JP2018117770A (en) 2017-01-24 2018-08-02 株式会社モリトー Care lift device
KR102147033B1 (en) 2019-03-13 2020-08-21 정부환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425A (en) 2010-04-01 2011-10-07 김세곤 Apparatus diverting direction for walking assistance device
KR20160115245A (en) * 2015-03-26 2016-10-0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A gait rehabilitation system
KR20160115263A (en) * 2015-03-26 2016-10-06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A gait rehabilitation device
KR20190121966A (en) * 2018-04-19 2019-10-29 (주) 에스에이텍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482B1 (en) 2013-04-26 2014-10-23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Harness system using of pressure feedback function and training system for gait rehabilitation
KR101618231B1 (en) 2014-11-26 2016-05-04 주식회사 마르페 System for gait training
JP2018117770A (en) 2017-01-24 2018-08-02 株式会社モリトー Care lift device
CN107397665A (en) 2017-08-27 2017-11-28 常俊红 A kind of medical automatic cupping device
KR102147033B1 (en) 2019-03-13 2020-08-21 정부환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11A (en) 2022-02-22
WO2022034952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033B1 (en)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CA2661566A1 (en) Kneading and rolling robotic massage device
JP6723284B2 (en) Upper limb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US9248071B1 (en) Walking, rehabilitation and exercise machine
KR20110110425A (en) Apparatus diverting direction for walking assistance device
US9802078B2 (en) High knees exercise apparatus
KR102379786B1 (en) Direction switching device of rail type walking assist device
KR101618231B1 (en) System for gait training
CN102458587A (en) Exercise apparatus with flexible element
CN109152943A (en) Equipment for assisting executing user's physical training
CN112933541A (en) Thrombus prevention device
CN113289316B (en) Horizontal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bed
CN113304448A (en)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JP4848514B2 (en) Arm and shoulder exercise equipment
KR200459496Y1 (en) Shoulder Joint Therapeutic Machinery
CN113730880A (en) Training subassembly and joint movemen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113289317A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bed
KR20080004148A (en) Auto twister
US7935028B2 (en) Exercise device and its arm rest
CN216653285U (en) Training subassembly and have joint training function's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CN216934603U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bed
US11219568B2 (en) Standing assistance apparatus
JP4205735B2 (en) Combined health exercise equipment for wheelchair disabled people or rehabilitation therapists
CN113730874A (en) Training subassembly and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113304442A (en)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with joint train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