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728B1 - 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 - Google Patents

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728B1
KR102379728B1 KR1020200037284A KR20200037284A KR102379728B1 KR 102379728 B1 KR102379728 B1 KR 102379728B1 KR 1020200037284 A KR1020200037284 A KR 1020200037284A KR 20200037284 A KR20200037284 A KR 20200037284A KR 102379728 B1 KR102379728 B1 KR 102379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garden
water
side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0500A (en
Inventor
김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20003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728B1/en
Publication of KR2021012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5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여 식물의 뿌리가 길게 뻗어 나갈 수 있도록 하며 실 뿌리가 풍성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텃밭용 화분을 모듈로하여 조성된 정원이다. 즉, 본 발명은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배열 가능한 복수 개의 텃밭용 화분;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모듈과, 물탱크모듈의 일단에 설치되어 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배관모듈을 포함하는 물탱크부; 공급배관모듈에 설치된 습도센서모듈과, 습도센서모듈 그리고 외부의 전원모듈과 연결되어 습도센서모듈과 전원모듈의 입력신호를 연산하여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출력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며 물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펌프부; 및 출력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는 개폐모듈과 물을 식물에 분사시키는 노즐모듈이 구비된 분사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rden created by using a module for gardening pots that allow the roots to come into contact with air so that the roots of plants can extend long and the thread roots can grow abundantl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ar garden using flowerpots for a vegetable garde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pots for a vegetable garden that can be arranged continuously; a water tank unit including a water tank module for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nd a supply pipe modul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ater tank module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water; a control unit including a humidity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module, a humidity sensor module, and an operation modu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module to calculate input signals of the humidity sensor module and the power module and output an output signal; a pump unit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and is capable of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unit; and a spraying unit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module operating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and a nozzle module for spraying water to plants.

Description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

본 발명은 화분으로 조성되는 정원과 관련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garden composed of flowerpots.

현재, 도심 및 사옥에는 정원이 많이 생기고 있다. 정원은 사람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많은 정원은 이러한 장점에 기초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장점을 발휘하는 정원을 조성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듣다. 아울러, 공사 기간도 길다.Currently, there are many gardens in the city center and office buildings. A garden not only provides a place for people to relax, but can also alleviate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Many gardens are built on the basis of these advantages. However, it is expensive to create a garden that exhibits the aforementioned advantages.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그러나, 고 비용과 장 시간에 걸쳐 정원이 조성되더라도, 현재 정원의 조성에 사용되는 화분은 통기성과 배수성이 좋지 못한 화분들로 조성된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일례로, 현재의 정원 조성에 사용되는 화분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1005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것 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화분은 곰팡이가 쉽게 피는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심어진 식물들의 뿌리를 서클링 시키며 흙 속의 영양분을 원활하게 흡수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따라, 식물이 건강하게 자라지 못해 식물을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들고 있다.However, even if a garden is created at high cost and over a long period of time, most of the pots currently used for garden composition are made of pots with poor air permeability and drainage. For example, most of the flowerpots used in the present garden composition are thos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10054. These pots create an environment for mold to thrive. In addition, it circles the roots of the planted plants and prevents them from absorbing nutrients from the soil smoothly. According to such a problem, the plant does not grow healthy, and a lot of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to manage the plant.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10054호 (공개일자: 2018.01.3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10054 (published date: 2018.01.30)

본 발명은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여 식물의 뿌리가 길게 뻗어 나갈 수 있도록 하며 실 뿌리가 풍성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텃밭용 화분을 하나의 모듈로 하여 조성된 정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den formed by using, as a module, a potted plant for a vegetable garden that allows the roots of plants to grow long by contacting the air with the roots and to allow the thread roots to grow abundantly.

그리고, 이렇게 조성된 정원이 환경 인자를 작동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요소로 활용하여 조성된 정원을 가꾸는 데 투입되는 인력 및 비용이 적게 드는 정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den that requires less manpower and less cost to cultivate the garden created in this way by using the environmental factor as a factor for calcul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은, 연속적으로 배열 가능한 복수 개의 텃밭용 화분;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lurality of pots for a vegetable garden that can be continuously arranged;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모듈과, 상기 물탱크모듈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배관모듈을 포함하는 물탱크부;a water tank unit including a water tank module for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nd a supply pipe modul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ater tank module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water;

상기 공급배관모듈에 설치된 습도센서모듈과, 상기 습도센서모듈 그리고 외부의 전원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습도센서모듈과, 상기 전원모듈의 입력신호를 연산하여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including a humidity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module, a humidity sensor module and an external power module connected to the humidity sensor module, and a calculation module configured to calculate an input signal of the power module and output an output signal;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며 상기 물탱크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펌프부; 및a pump uni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and capable of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unit; and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는 개폐모듈과, 상기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모듈이 구비된 분사부를 포함하고,An opening/closing module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and a spraying unit provided with a nozzle module for spraying the water,

상기 텃밭용 화분은,The potted plant for the garden,

제1측면판모듈, 제2측면판모듈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제1측면판모듈의 내측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측면판모듈의 내측면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바모듈이 구비된 화분프레임부;A flowerpot having a first side plate module, a second side plate module, and a connection bar modu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and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frame part;

하면 중앙에 연결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측면판모듈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측면판모듈의 상단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부; 및a plurality of support units having a connection guid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ne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and

판형으로 형성되어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외면돌기와 내면으로 돌출되는 내면돌기가 교차 형성되고, 상기 외면돌기와 상기 내면돌기의 일단부가 절단되어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이 어느 하나의 지지대부에 형성된 연결가이드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지지대부에 형성된 연결가이드홀에 연결되는 돌기공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outer protrusions that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are crossed with an inner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inner surface, one end of the outer protrusion and the inner protrusion is cut to form a through hole, and one side is formed in one of the support parts. It is connected to the guide hole, the other side may include a protrusion case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uide hole formed in the other support.

상기 전원모듈은,The power module is

상기 지지대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솔라셀모듈을 더 포함하고,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further comprising a solar cell module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sunlight,

상기 연결가이드홀은 폭이 상기 내면돌기 및 상기 외면돌기의 돌출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guide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less than the protruding lengths of the inner protrusion and the outer protrusion.

상기 지지대부는 내부가 비워있는 직육면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가이드홀은 상기 파이프의 하면의 중앙에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be formed of a pipe having an empty interior, and the connection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center of a lower surface of the pi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상기 연결바모듈은 상기 제1측면판모듈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바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a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ng bar install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and a second connecting ba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상기 지지대부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타공홀을 관통하는 연결모듈에 의해 상기 제1측면판모듈과 상기 제2측면판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connection perforated hole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late module and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by a connection modu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hole.

본 발명에 따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은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면서 세근의 발생을 촉진하며 실 뿌리가 풍성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다. 또한, 이렇게 조성된 정원이 환경 인자를 작동 제어 신호를 연산하는 요소로 활용하여 조성된 정원을 가꾸는 데 투입되는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generation of fine roots while the roots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and allows the thread roots to grow abundantly. In addition, the manpower and cost for cultivating the garden created in this way can be reduced by using the environmental factor as a factor for calcula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그리고, 본 발명은 텃밭용 화분이 두 개의 지지판에 돌기공케이스를 설치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사면의 나무인 화분에 비해 제작이 간단해, 신속하게 조성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pot for the garden is formed in a structure to install a protrusion case on two support plates, so it is simpler to manufacture compared to a planter that is a tree on all sides, and can be quickly 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텃밭용 화분이 복수 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구성하는 텃밭용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텃밭용 화분에 설치된 분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텃밭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텃밭용 화분을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지지대부에 돌기공케이스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ots for a vegetable garden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constituting Figure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praying unit installed in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the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of FIG. 3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case part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of FIG. 4 .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 후술되는 내용 및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후술되는 내용 및 이하에게 개시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are described. The following descriptions and drawings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merely an exampl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below and the content to be described below.

따라서, 본 발명은 후술되는 내용 및 이하에게 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정의 되지 않고, 오로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fined by the following content and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defined only by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 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명확하고 간결해질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 텃밭용 화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r and concis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after an overview of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erpot for a gard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텃밭용 화분이 복수 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s for a vegetable garden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은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여 식물의 뿌리가 길게 뻗어 나갈 수 있도록 하며 실 뿌리가 풍성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텃밭용 화분(2)들로 조성된 정원이 된다. 이러한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공간의 외측에 텃밭용 화분(2)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조성된 정원이 될 수 있다. 또한,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 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텃밭용 화분(2)이 일렬로 연결되며 담을 형성하는 정원(1-1)으로 조성될 수 있다.A modular garden (1) using a potted plant for a vegetable garden is a garden composed of potted plants (2) for a vegetable garden that allows the roots to contact the air so that the roots of plants can extend long and the thread roots can grow abundantly. . As shown in FIG. 1, the modular garden 1 using such a potted plant for a vegetable garden can be a garden in which pots for a vegetable garden 2 are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outside of a rectangular space. In addition, the modular garden (1)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is a garden (1-)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s (2) for a garden are connected in a line and form a wall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to the shape as shown in FIG. 1) can be formed.

이와 같이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 1-1)은 복수 개의 텃밭용 화분(2)들이 연결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성된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은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D)을 제공한다.In this way, the modular garden (1, 1-1)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lowerpots (2) for a vegetable garde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modular garden using flowerpots for vegetable gardens created in this way provides a rest space (D) where users can take a break.

또한,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은 환경 인자를 감지하고, 이를 연산의 한 요소로 활용해 텃밭용 화분(2)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정원을 관리하는 인력 없이도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은 솔라셀모듈(420)을 포함하여 유료의 전기사용 없이 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ar garden (1) using a potted plant for a vegetable garden detect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uses it as an element of calculation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to the potted plant (2) for the garden,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without manpower to manage the garden. can be managed In addition, the modular garden 1 using flowerpots for a vegetable garden can be managed without the use of paid electricity, including the solar cell module 420 .

즉, 본 발명의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은 식물이 튼튼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면서, 자연에너지로 손쉽게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은 텃밭용 화분(2), 물탱크부(3), 제어부(4), 펌프부(5), 분사부(6)를 포함한다.That is, the modular garden 1 using the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aged with natural energy while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can grow strongly. The modular garden 1 using such a potted plant for a garden includes a potted plant 2 for a vegetable garden, a water tank unit 3, a control unit 4, a pump unit 5, and a spray unit 6 .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odular garden 1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1을 구성하는 텃밭용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의 블록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constituting FIG. 1,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텃밭용 화분(2)은 내부에 흙을 수용하여 사용자가 식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이 된다. 특히, 텃밭용 화분(2)은 돌기공케이스부(30)에 형성된 관통홀(330)을 통해 흙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통홀(330)을 통해 물탱크부(3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식물에 흡수되고, 나머지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뿌리가 여분의 물에 의해 썩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The flowerpot for the garden (2) becomes a flowerpot in which the user can plant a plant by accommodating the soil therein. In particular, the pot 2 for the vegetable garden allows air to smoothly flow into the soil through the through hole 330 formed in the protrusion case part 30 so that the roots of the plant can smoothly inhale the air. 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unit 31 through the through hole 330 is absorbed by the plant, the remaining water is smoothly discharged, and the root is prevented from rotting due to the excess water.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텃밭용 화분(2)은 화분프레임부(10), 지지대부(20), 돌기공케이스부(30)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아울러, 텃밭용 화분(2)은 물탱크부(31)과 연결되어, 물탱크부(31)에서 공급하는 물을 받을 수 있다.The flowerpot 2 for a vegetable garden having such a characteristic includes the planter frame part 10, the support part 20, the protrusion case part 30, etc. as components. In addition, the flowerpot 2 for a vegetable garden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unit 31 to receiv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unit 31 .

물탱크부(31)는 텃밭용 화분(2)과 이격되어 텃밭용 화분(2)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물탱크부(31)는 물탱크모듈(31)과 공급배관모듈(32) 및 공급배관모듈(32)에서 분기된 분기배관모듈(321)을 포함한다. 여기서, 물탱크모듈(31)은 내부에 물(B)을 수용하는 저장모듈이 되고, 공급배관모듈(32)은 물탱크모듈(31)의 일단에 설치되어 물(B)이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이 된다. 그리고 분개배관모듈(321)은 공급배관모듈(32)에서 분기된 관이 된다. The water tank unit 31 is spaced apart from the potted plant 2 for the vegetable garden and stores water supplied to the potted plant 2 for the vegetable garden. The water tank unit 31 includes a water tank module 31 , a supply pipe module 32 , and a branch pipe module 321 branched from the supply pipe module 32 . Here, the water tank module 31 becomes a storage modul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B therein, and the supply pipe module 32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ater tank module 31 to provide a path for the water B to move. becomes a pipe And the branch pipe module 321 is a pipe branched from the supply pipe module 32 .

이러한 물탱크모듈(31)에 저장된 물은 펌프부(5)의 작동 여부에 따라 공급배관모듈(32) 및 공급배관모듈(32)에서 분기된 분기배관모듈(321)을 경유하여 분사부(6)를 통해 텃밭용 화분(2)에 분사될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module 31 passes through the branch piping module 321 branched from the supply piping module 32 and the supply piping module 32 depending on whether the pump unit 5 operates or not, and the injection unit 6 ) can be sprayed to the pot (2) for the vegetable garden.

제어부(4)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펌프부(5) 및 분사부(6)를 구동 시키는 장치가 된다. 이러한 제어부(4)는 공급배관모듈(32)에 설치된 습도센서모듈(41) 그리고 습도센서모듈(41) 및 전원모듈(4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모듈(43)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4)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모듈(43)은 제1입력단이 전원모듈(42)과 연결되고, 제2입력단이 습도센서모듈(41)과 연결된 논리곱게이트 즉, 앤드 게이트(And gate)가 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 is a device that operates the pump unit 5 and the injection unit 6 by calculat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4 receives a signal from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and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and the power module 42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module 32 and outputs a single signal. include That is, the controller 4 may b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Here, the operation module 43 may be an AND gate, in which a first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42 , and a second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

이때, 습도센서모듈(41)은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값이 기준값 즉, 노이즈 마진 이상의 값이 측정되면 측정된 값을 디지털 신호‘1’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모듈(42)은 상용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용전원을 직류 5V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 또는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솔라셀모듈(420)과 솔라셀모듈(420)에서 생선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배터리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may measure the external humidity, and if the measured value is a reference value, that is, a value greater than the noise margin is measured, the measured value may be output as a digital signal '1'. And the power module 42 is driven by commercial power, a device that converts commercial power to DC 5V and outputs it or a solar cell module 420 that converts sunlight into electricity and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420 It may be formed as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for storing.

제어부(4)는 이러한 습도센서모듈(41)과 전원모듈(42)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습도센서모듈(41)과 전원모듈(42)로부터 디지털 신호‘1’이 수신되면 디지털 신호‘1’을 출력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어느 하나의 디지털 신호가‘0’이면 디지털 신호‘0’을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 receiv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and the power module 42, and when the digital signal '1' is received from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and the power module 42, the digital signal '1' ' can be output as an output signal. On the other hand, if any one digital signal is '0', the digital signal '0' may be output.

제어부(4)는 출력신호 즉, 디지털 신호‘0’또는 디지털 신호‘1’을 통해 펌프부(5) 및 분사부(6)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 5 and the injection unit 6 through an output signal, that is, a digital signal '0' or a digital signal '1'.

펌프부(5)는 기계적 작동으로 압력을 통해 물탱크부(31)에 있는 물을 공급배관모듈(32)로 빨아들이는 장치이다. 이러한 펌프부(5)는 제어부(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물을 분사부(6)로 공급한다. 일례로, 펌프부(5)는 상용전원이 인가되고, 제어부(4)에서 디지털 신호‘1’이 인가되면 턴-온 되어 작동하게 되면서 분사부(6)에서 분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The pump unit 5 is a device that sucks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31 into the supply pipe module 32 through mechanical operation and pressure. The pump unit 5 operates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4 and supplies water to the injection unit 6 . For example,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o the pump unit 5 and the digital signal '1' is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4, the pump unit 5 is turned on and operated so that the minute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unit 6 .

분사부(6)는 펌프부(5)를 통해 공급된 물을 텃밭용 화분(2)에 분사하는 장치가 된다. 이러한 분사부(6)는 개폐모듈(61)과 노즐모듈(62)을 포함한다. 여기서, 개폐모듈(61)은 노즐모듈(62)과 공급배관모듈(32)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배관모듈(32)에서 노즐모듈(62)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모듈(61)은 제어부(4)와 연결되어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물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열 수 있다.The spraying unit 6 becomes a device for spraying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pump 5 to the potted plant 2 for a vegetable garden. The spray unit 6 includes an opening/closing module 61 and a nozzle module 62 . Here, the opening/closing module 6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nozzle module 62 and the supply pipe module 32 to block the flow of water moving from the supply pipe module 32 to the nozzle module 62 . The opening/closing module 61 may block or open the path of water according to a digital signal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 and transmitted.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분사부의 작동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jection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텃밭용 화분에 설치된 분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praying unit installed in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분사부(6)는 제어부(4)에서 출력되는 신호 즉, 출력신호를 통해 작동한다. 즉, 분사부(6)는 디지털 신호‘0’이 입력되면 식물에 물을 분사하지 않고, 디지털 신호‘1’이 입력되면 식물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분사부의 개폐모듈(61)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 형성되어, 제어부(4)를 통해 디지털 신호‘0’이 입력되면 물의 경로를 차단하고, 디지털 신호‘1’이 입력되면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물의 경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injection unit 6 operates through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4 , that is, an output signal. That is, when the digital signal '0' is input, the spray unit 6 may not spray water to the plant, and when the digital signal '1' is input, the spray unit 6 may spray water to the plant. At this time, the opening/closing module 61 of the injection unit is formed as a solenoid valve, and when a digital signal '0' is inpu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4, the water path is blocked, and when a digital signal '1' is inputted, the water The water path can be opened so that it can escape.

분사부(6)는 이와 같이 작동하며 제어부(4)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텃밭용 화분(2)에 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분사부(6)는 제어부(4)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종속되어 작동됨에 따라, 제어부(4)의 습도센서모듈(41)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종속되어 작동될 수 있다. 즉, 분사부(6)는 습도센서모듈(41)에서 디지털 신호‘1’이 출력되면 물을 분사하고, 습도센서모듈(41)에서 디지털 신호‘0’이 출력되면 물을 분사하지 않을 수 있다.The spraying unit 6 operates in this way and may selectively spray water to the potted plant 2 for the garden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4 . In addition, as the injection unit 6 is operated depending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4 , it may be operated depending on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of the control unit 4 . That is, the spray unit 6 may spray water when the digital signal '1' is output from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and may not spray water when the digital signal '0' is output from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

이와 같이, 분사부(6)는 외부의 환경 인자를 통해 작동되며 정원을 가꾸는 데 투입되는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spraying unit 6 is operated through a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and can reduce the manpower and cost invested in gardening.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면서 세근의 발생을 촉진하며 실 뿌리가 풍성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텃밭용 화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lowerpot for the garden that promote the generation of fine roots while the roots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and allow the thread roots to grow abundant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텃밭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텃밭용 화분을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the flowerpot for a garden of FIG. 3 .

텃밭용 화분(2)은 돌기공케이스부(30)에 형성된 외면돌기(310)와 내면돌기(320)의 관통홀(33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뿌리가 공기와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며 뿌리에서 세근이 풍성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텃밭용 화분(2)은 화분프레임부(10)의 연결바모듈(120), 지지대대부(20)의 길이 및 돌기공케이스부(30)의 크기가 다양하게 제작 가능해 다양한 크기로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텃밭용 화분(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분프레임부(10), 지지대부(20), 돌기공케이스부(30)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여기서, 화분프레임부(10)는 지지대부(20)를 지지하는 골조가 된다. 화분프레임부(10)는 제1측면판모듈(111), 제2측면판모듈(112)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바모듈(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화분프레임부(10)는 연결바모듈(120)의 일단이 제1측면판모듈(111)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측면판모듈(112)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바모듈(120)은 일단이 제1측면판모듈의 하단의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측면판모듈의 하단의 중앙에 연결되는 연결바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판모듈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바(121)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바(122)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owerpot 2 for the garden is such that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holes 330 of the outer protrusions 310 and the inner protrusions 320 formed in the protrusion case part 30 so that the roots can smoothly contact the air. do. This promotes the growth of the root and allows the fine roots to grow abundantly from the root. In addition, the pot (2) for the vegetable garden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sizes, such as the connection bar module 120 of the planter frame part 10, the length of the support stand part 20, and the size of the protrusion case part 30, so it can be easily formed in various sizes. can be The flowerpot 2 for a vegetable garden having such a characteristic includes the planter frame part 10, the support part 20, the protrusion case part 30, etc. as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Here, the flowerpot frame unit 10 becomes a frame supporting the support unit 20 . The flowerpot frame part 1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module 111 , a second side plate module 112 , and at least one connecting bar module 120 . This flowerpot frame part 1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bar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11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112 . can be In addition, the connection bar module 12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as a connecting bar or a first side plate module as shown. It may be formed of a first connection bar 121 installed on one side and a second connection bar 12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center of the .

이와 같은 화분프레임부(10)는 연결바모듈(120)의 길이 및 제1측면판모듈(111)과 제2측면판모듈(112)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Such a flowerpot frame part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ar module 120 and the sizes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111 and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112 .

지지대부(20)는 돌기공케이스부(30)와 연결되며 돌기공케이스부(30)를 제1측면판모듈(111)과 제2측면판모듈(112)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대부(20)는 내부가 비워져 있는 파이프로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타공된 연결가이드홀(200) 그리고 상면과 하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연결타공홀(210)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대부(20)는 연결가이드홀(200)이 형성되는 시작점에 돌기공케이스부(30)가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사선 방향으로 사선면이 형성되어 연결가이드홀(200)의 너비 보다 큰 너비를 갖는 입구가이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case part 30 and connects the protrusion case part 30 to the first side plate module 111 and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112 . This support unit 20 is formed of a pi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a connection guide hole 200 perfor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nd a connection perforated hole 210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formed into a structure. Here, the support part 20 has a diagonal surfac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hole case part 30 can be easily fitted at the starting point where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is formed, so that i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 It may further include an entrance guide hole having a width.

이와 같은, 지지대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부(21)와 제1지지대부(21)와 동일한 형상의 제2지지대부(22)로 형성될 수 있다.As such, the support part 20 may be formed of the first support part 2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2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pport part 21 .

지지대부(20)는 연결가이드홀(200)을 통해 돌기공케이스부(30)가 내부에 삽입되며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타공홀(210) 그리고 연결타공홀(210)을 관통하는 연결모듈(220)을 통해 제1측면판모듈(111)과 제2측면판모듈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0 allows the protrusion case part 30 to be inserted and connected therein through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 In addition, it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111 and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220 penetrating the connection hole 210 and the connection hole 210 .

돌기공케이스부(30)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외면돌기(310)와 내면으로 돌출되는 내면돌기(320)가 교차 형성되고, 외면돌기와 내면돌기의 일단부가 절단되어 관통홀(3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돌기공케이스부(30)는 일측이 제1지지대에 형성된 연결가이드홀(2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지지대에 형성된 연결가이드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돌기공케이스부(30)는 제1지지대부(21)와 제2지지대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공케이스부(3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protrusion hole case part 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plastic material, and a plurality of outer protrusions 310 protruding to the outer surface and inner protrusions 320 protruding to the inner surface are crossed, and one end of the outer protrusion and the inner protrusion is cut. It includes a through hole 330 . One side of the protrusion case part 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formed in the first support,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The protrusion case part 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2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2 . A description of such a protrusion case part 30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텃밭용 화분(2)은 사면의 나무인 화분에 비해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화분 제작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A flowerpot for a garden having such a component (2)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 manner compared to a flowerpot that is a tree on all sides. Accordingly, it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of flowerpots.

이하, 도 8의 도면을 참조하여, 돌기공케이스부의 특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of FIG. 8,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rusion hole case pa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돌기공케이스부(30)는 일측이 제1지지대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지지대에 연결되며 수용공간이 형성된 형상 일례로, 종단면이‘U’와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며 제1측면판모듈(111)과 제2측면판모듈(112)에 연결될 수 있다.The protrusion case part 30 is an example of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and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111) and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112 may be connected.

돌기공케이스부(30)는 수용공간에 흙과 식물의 뿌리(B)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관통홀(330)을 통해 흙과 뿌리에 공기가 유입되고, 흙에 유입된 물(C)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돌기공케이스부(30)는 뿌리가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며 큰 뿌리에서 실 뿌리가 풍성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관통홀(33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며 돌기공케이스부(30)에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한다.The protrusion case part 30 allows the soil and roots (B) of plants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air flows into the soil and roots through the through hole 330, and the water (C) introduced into the soil Allow it to drain smoothly. Such a protrusion case part 30 allows the root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large roots can grow abundantly. In addition, wate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330 and mold does not form in the protrusion case part 30 .

돌기공케이스부(30)는 지지대부의 내부에 수용된 내면돌기(320)와 외면돌기(310)를 통해 지지대부(2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내면돌기(320)와 외면돌기(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돌기공케이스부(30)가 흙과 식물에 의해 무게에 의해 쳐지면, 쳐지는 힘에 대응해 돌기공케이스부(30)가 지지대부(20)에서 하강하게 되면서 지지대부(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otrusion hole case part 30 may be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20 through the inner protrusion 320 and the outer protrusion 310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part. Moreover, the inner protrusion 320 and the outer protrusion 310 are, as shown in FIG. 6, when the protrusion case part 30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is struck by the weight by soil and plants, the sagging force Correspondingly, as the protrusion case part 30 descends from the support part 20 , it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support part 20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2: 텃밭용 화분 3: 물탱크부
31: 물탱크모듈 32: 공급배관모듈
4: 제어부 41: 습도센서모듈
42: 전원모듈 420: 솔라셀모듈
43: 연산모듈
5: 펌프부 6: 분사부
61: 개폐모듈 62: 노즐모듈
10: 화분프레임부
111: 제1측면판모듈 112: 제2측면판모듈
120: 연결바모듈
121: 제1연결바 122: 제2연결바
20: 지지대부 21: 제1지지대부
22: 제2지지대부 200: 연결가이드홀
210: 연결타공홀 220: 연결모듈
30: 돌기공케이스부 310: 외면돌기
320: 내면돌기 321: 분기배관모듈
330: 관통홀 A: 식물
1: Modular garden using potted plants
2: Planter for garden 3: Water tank part
31: water tank module 32: supply pipe module
4: control unit 41: humidity sensor module
42: power module 420: solar cell module
43: operation module
5: Pump part 6: Injection part
61: opening/closing module 62: nozzle module
10: flowerpot frame part
111: first side plate module 112: second side plate module
120: connection bar module
121: first connecting bar 122: second connecting bar
20: support portion 21: first support portion
22: second support unit 200: connection guide hole
210: connection hole 220: connection module
30: protrusion case part 310: outer protrusion
320: inner projection 321: branch piping module
330: through hole A: plant

Claims (6)

삭제delete 연속적으로 배열 가능한 복수 개의 텃밭용 화분(2);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모듈(31)과, 상기 물탱크모듈(31)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배관모듈(32)을 포함하는 물탱크부(3);
상기 공급배관모듈(32)에 설치된 습도센서모듈(41)과, 상기 습도센서모듈(41) 그리고 외부의 전원모듈(42)과 연결되어 상기 습도센서모듈(41)과 상기 전원모듈의 입력신호를 연산하여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모듈(43)을 포함하는 제어부(4);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며 상기 물탱크부(3)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펌프부(5); 및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는 개폐모듈(61)과 상기 물을 분사하는 노즐모듈(62)이 구비된 분사부(6)를 포함하고,
상기 텃밭용 화분(2)은,
제1측면판모듈(111), 제2측면판모듈(112)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제1측면판모듈의 내측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측면판모듈의 내측면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바모듈(120)이 구비된 화분프레임부(10);
하면 중앙에 연결가이드홀(200)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측면판모듈(111)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측면판모듈의 상단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부(20); 및
판형으로 형성되어 외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외면돌기(310)와 내면으로 돌출되는 내면돌기(320)을 포함하고, 상기 외면돌기(310)와 상기 내면돌기의 일단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관통홀(330)을 포함하고, 일측이 어느 하나의 지지대부(20)에 형성된 연결가이드홀(200)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지지대부(20)에 형성된 연결가이드홀(200)에 연결되는 돌기공케이스부(30)를 포함하는,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A plurality of pots for a vegetable garden (2) that can be arranged continuously;
a water tank unit (3) including a water tank module (31) for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nd a supply pipe module (32)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ater tank module (31)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water;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module 32,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and the external power module 42 are connected to the input signal of the humidity sensor module 41 and the power module. a control unit 4 including an arithmetic module 43 for calculating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a pump unit (5)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and is capable of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unit (3); and
and an injection unit 6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module 61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and a nozzle module 62 for spraying the water,
The potted plant for the garden (2),
The first side plate module 111 ,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112 ,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The planter frame unit 10 provided with the bar module 120;
When a connection guide hole 20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11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module. ); and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protrusions 310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an inner protrusion 320 protruding to the inner surface, and a through hole 330 formed by cutting one end of the outer protrusion 310 and the inner protrusion. Includ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formed in any one support unit 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formed in the other support unit 20, a protrusion case A modular garden using a potted plant for a vegetable garden, including a part (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모듈(42)은,
상기 지지대부(20)에 설치되며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솔라셀모듈(4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가이드홀(200)은,
폭이 상기 내면돌기(320) 및 상기 외면돌기(310)의 돌출 길이 이하로 형성되는,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module 42,
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20 and further comprises a solar cell module 420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sunlight,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the width of which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inner protrusion 320 and the outer protrusion 31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부(20)는,
내부가 비워져 있는 직육면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가이드홀(200)은,
상기 파이프의 하면의 중앙에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unit 20,
It is formed of a cuboidal pipe with an empty inside,
The connection guide hole 200,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모듈(120)은,
상기 제1측면판모듈(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바(121)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바(122)를 더 포함하는,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bar module 120,
A modular garden using a flowerpot for a vegetable garden,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bar 121 installed on one side and a second connection bar 12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center of the first side plate module 111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부(20)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타공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타공홀(210)을 관통하는 연결모듈(220)에 의해 상기 제1측면판모듈(111)과 상기 제2측면판모듈(112)에 연결되는,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pport unit 20,
At least one connection hole 210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first side plate module 11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re formed by a connection module 220 penetrating the connection hole 210 . A modular garden using a potted plant for a garden, connected to the plate module 112 .
KR1020200037284A 2020-03-27 2020-03-27 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 KR102379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84A KR102379728B1 (en) 2020-03-27 2020-03-27 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84A KR102379728B1 (en) 2020-03-27 2020-03-27 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00A KR20210120500A (en) 2021-10-07
KR102379728B1 true KR102379728B1 (en) 2022-03-28

Family

ID=7811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284A KR102379728B1 (en) 2020-03-27 2020-03-27 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7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323A (en) 2022-06-10 2023-12-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ulti-purpose urban agricultural modular planter
CN115182621A (en) * 2022-07-19 2022-10-14 厦门晶晟富阳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photovoltaic wisdom leisure courtyar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106Y1 (en) * 2006-03-27 2006-06-28 신현성 Water nozzle of prefabricated flower be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434A (en) * 2008-09-24 2010-04-01 유지현 Watering device for hence with hanging flower p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92857B1 (en) 2016-07-20 2019-06-25 김세용 Flowerport With Fastening Member Fasten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106Y1 (en) * 2006-03-27 2006-06-28 신현성 Water nozzle of prefabricated flower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00A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7125C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JP5608799B1 (en) Hydroponics equipment
KR102379728B1 (en) Modular Garden Compose Of Flower Pots
US10701874B2 (en) Pot flower
CN211703084U (en) Material convenient mechanical device of growing seedlings is used in gardens of getting
CN202565823U (en) Combined cultivation box
CN203015567U (en) Device constantly supplying moisture for ornamental plant bonsai
US20050279020A1 (en) Hermet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being free-from-irrigation
CN203523417U (en) Flower pot
JP2014083013A (en) Automatic watering device
KR20070093504A (en) Padestal for installing a vegetation mat
CN214413611U (en) Municipal garden environmental protection auxiliary device that grows seedlings
KR200423501Y1 (en) Padestal for installing A Vegetation mat
CN206433511U (en) A kind of intelligent irrigation jardiniere
CN208523319U (en) Hydrocone type is from irrigation flowerpot
CN219555743U (en) Landscape flower box
KR20220057992A (en) Flowerpat for Terrarium
CN217217732U (en) Automatic liquid supply device for gardening cultivation
CN2494112Y (en) Catchwork infiltrating irrigation flower-pot
CN210094085U (en) Water-retaining flowerpot capable of continuously and slowly releasing water
CN220402654U (en) Green irrigation equipment that plants
CN209732177U (en) combined water storage substrate
JP6333642B2 (en) Planting plant for greening and greening wall using the planter
CN216532813U (en) Transparent flower box
CN212232465U (en) Indoor portable lawn is planted and cur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