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852B1 - 분리할 수 있는 필터 세그먼트를 가진 흡연 물품 - Google Patents

분리할 수 있는 필터 세그먼트를 가진 흡연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852B1
KR102378852B1 KR1020197002017A KR20197002017A KR102378852B1 KR 102378852 B1 KR102378852 B1 KR 102378852B1 KR 1020197002017 A KR1020197002017 A KR 1020197002017A KR 20197002017 A KR20197002017 A KR 20197002017A KR 102378852 B1 KR102378852 B1 KR 10237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erforations
wrapper
rod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631A (ko
Inventor
프라나브 쿨카르니
플로리안 헤이넨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9002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2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1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adjustable means for modifying the degree of filtration of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축 방향으로 정렬된 제1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을 갖는 필터(12)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2)이 개시된다. 필터 포장지(18)는 상기 필터(12) 주위에 제공되고, 티핑 포장지(20)는 상기 필터 포장지(18) 주위에 제공된다. 천공들(22)은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에 레이저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천공들(22)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의 포지션에 위치된다. 상기 천공들(22)은 상기 필터(12)에 파단 라인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천공들(22)에 의해 형성된 상기 파단 라인을 따라 상기 필터(12)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모크 전달은 제1소정의 레벨에서 제2소정의 레벨로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할 수 있는 필터 세그먼트를 가진 흡연 물품
본 발명은 필터, 흡연 물품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연 물품은 소비자가 담배를 피우는 동안 다양한 레벨들의 강도를 허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레벨들의 강도는 흡연 물품의 다양한 TNCO 레벨들과 관련이 있으며, TNCO 레벨들은 총 에어로졸 잔류물(tar), 니코틴, 및 일산화탄소(CO) 레벨들과 관련된다.
WO2011/121328A2에는 흡연 물품으로의 또는 가스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가변 유동 시스템이 있는 필터를 갖는 흡연 물품이 기재된다. 가스 유동을 허용하는 변형 가능한 보어(bore)를 갖는 밸브(valve) 또는 하나 이상의 통기부(ventilation areas)를 덮는 제거 가능한 섹션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가변 유동 시스템을 생성하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논의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예들은 이동 가능한 부품상의 통기부 구멍들의 폐색(occlusion) 레벨에 따라 통기부 조절을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품을 갖는 흡연 물품을 지칭한다. 이러한 예들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결합 표면과 주류연 (mainstream smoke)의 강도 표시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인덱싱 매커니즘(indexing mechanism)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예들은 부분적인 제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주류연의 강도 표시는 조절(adjustment)이 강도의 레벨을 증가시키고 있는지 또는 감소시키고 있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명백하지 않다. 이는 잘못된 조절로 이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불쾌한 경험을 초래할 수 있다.
WO2012/120001에는 계면에서 서로 인접한 2개 이상의 필터 세그먼트들을 갖는 흡연 물품이 기재된다. 필터 세그먼트들은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 플러그 랩(plug wrap)에 의해 외접된다. 필터 포장지는 필터의 일부분과 담배 막대의 인접한 부분을 둘러싸서 필터와 담배 막대를 연결한다. 필터 포장지는 필터 세그먼트들의 사이의 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주형 천공들을 (perforations) 포함한다. 계면은 비-다공성이며 어떠한 천공들을 포함하지 않는 플러그 랩으로 덮여 있다. 사용자는 필터 포장지의 천공들의 위치에서 필터의 입구 말단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필터 세그먼트들을 분리함으로써 주류연의 맛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WO2012/120001에 기술된 흡연 물품에는 다수의 단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로, 필터 포장지가 흡연 물품상에 위치된 후에 플러그 랩에 천공을 뚫지 않고는 필터 포장지에 천공들을 형성하는 실용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에, 흡연 물품이 제조상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WO2012/120001의 필터 포장지는 흡연 물품상에 위치되기 전에 천공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필터 세그먼트들 사이의 계면에서 필터 포장지를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조 단계가 필요하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고 비효율적이라고 간주된다. 이 경우, 제조 공차들(manufacturing tolerances)은 분리된 세그먼트들 중 하나의 계면에서 필터 포장지를 넘어 연장되는 플러그 랩의 눈에 띄는 림(rim)에 의해 야기된 찢어진 필터 포장지의 보기 흉한 모습을 피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것은 필터 포장지와 불투과성 플러그 랩의 생삭이 다른 경우 특히 두드러진다. 둘째로, 공기 불투과성 플러그 랩은 어떠한 천공들도 포함하지 않도록 특별히 고안된 것이다. WO2012/120001의 문맥에서 필터 포장지의 천공들을 통한 통기를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플러그 랩에 천공들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플러그 랩에서의 찢김(tear)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또한 잠재적으로 불리하다. 찢어진 플러그 랩은 보기에 좋지 않은 외관을 나타낼 수 있고, 섬유 재료의 느슨한 가닥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흡연 물품의 입 단부(the mouth end)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할 수 있다. 이 천공되지 않은 플러그 랩의 또 다른 잠재적인 단점은 플러그 랩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 필터 세그먼트들을 차단하는 저항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 랩들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분리되기가 더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바자에게 명백한 방식으로 TNCO 레벨들을 조절할 수 있고, 종래의 담배 제조 기계에 대한 약간의 조절로 제조될 수 있는 흡연 물품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흡연성 막대(smokeable rod)는 외부 포장지(outer wrapper)에 의해 외접된(circumscribed) 흡연성 물질(smokeable material)을 포함하고, 상기 흡연성 막대는 필터 단부(filter end), 및 스모크 단부(smoke end)를 갖고; 필터 막대(filter rod)는 스모크 단부(smoke end), 입 단부(mouth end),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필터 포장지(filter wrapper)에 의해 외접된 다수의 필터 세그먼트들(filter segments)을 가지며, 인접한 필터 세그먼트는 대응하는 필터 계면(filter interfaces)에서 접하고, 및 상기 필터 막대의 상기 스모크 단부는 상기 흡연성 막대의 상기 필터 단부와 접하며, 티핑 포장지(tipping wrapper)는 상기 필터 막대 및 상기 필터와 흡연성 막대들을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상기 흡연성 막대의 상기 필터 단부를 둘러싸고, 및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은 상기 필터 막대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천공들(perforations)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들은 실질적으로 필터 계면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막대는 상기 스모크 단부를 포함하는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first set of filter segments), 및 상기 입 단부를 포함하는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second set of filter segments)로 분리되고,
(i) 주류연(mainstream smoke)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흡연성 및 필터 막대들을 통해 상기 스모크 단부에서 상기 입 단부까지 흐르는 상기 주류연의 스모크 전달(smoke deliveries)을 줄이고, 및
(ii) 스모크 전달은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로부터 상기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을 분리함으로써 제1소정의 레벨(first predefined level)로부터 제2소정의 레벨(second predefined level)로 증가할 수 있도록 파단 라인(rupture line)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상기 천공들; 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Smoking article)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은 상기 흡연 물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바에 따라, 상기 흡연 물품으로부터의 상기 스모크 전달을 증가시키는 간단한 매커니즘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에 천공들이 제공되어 깨끗한 찢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이 분리된 후, 상기 사용자는 찢어짐과 관련될 수 있는 최소한의 결함으로 상기 입 단부에 새로운 필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의 상기 천공들은 또한 주류연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주류연으로부터 스모크 전달을 유리하게 감소시켜 TNCO 레벨들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단 라인은 적어도 12N과 같이 적어도 9N의 전단력 하에 분리(break)되거나 파단(rupture)되도록 구성된다. 이 최소 파단력은 소비자에게 상기 필터 세트들이 적절하게 분리되었고 분리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감지 피드백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단 라인은 15N이하와 같이 20N이하의 전단력 하에 분리되거나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최대 파단력은 소비자가 용이하게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을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단력은 상기 파단 라인의 cm 당 상기 천공들 수를 선택함으로써 조정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파단력의 미세 조절을 위해 필터 및 티핑 포장지의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단 라인의 cm 당 상기 천공들 수는 20이하, 예를 들어 18이하, 예를 들어 16 이하이다. 더 많은 수의 천공들은 상기 천공들의 불균일한 분포를 제공하여 상기 제1및 제2세트의 필터들이 분리되면 바람직하지 않은 외관을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처럼 많은 수의 천공들은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 사이에 약한 부착을 초래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흡연 물품을 포장으로부터 꺼낼 때 또는 입으로 상기 흡연 물품을 도입할 때, 소비자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흡연 물품을 분리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단 라인의 cm 당 상기 천공들 수는 12이상, 예를 들면, 14 이상이다. Cm 당 적어도 12개의 천공들을 제공함으로써, 담배 산업에서 흔히 사용되는 두께를 가진 티핑 및 필터 포장지들을 사용할 때 깨끗한 찢김이 더욱 촉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은 상기 주류연으로부터 스모크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기 영역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기 영역에서는 공기가 상기 주류연으로 들어감으로, 따라서, 상기 연기 전달에서의 상기 TNCO 레벨들이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분리되기 전, 상기 스모크 전달은 상기 티핑 및 필터 포장지들 내의 상기 천공들 및 상기 통기 영역에 의해 희석된다.
일 구성에서, 상기 통기 영역은 상기 천공들의 다운스트림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통기 영역은 상기 천공들 및 상기 필터 막대의 상기 입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리 후, 상기 스모크 전달은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을 통해 상기 주류연으로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희석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에서, 상기 통기 영역은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모트 전달은 분리 후 상기 통기 영역에 의해서만 희석된다.
또 다른 구성에서, 2개의 통기 영역들이 제공된다; 하나의 영역은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에 위치하고, 제2영역은 상기 천공들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한다. 분리되기 전, 상기 스모크 전달은 상기 천공들 및 양쪽 통기 영역들을 통해 주류연으로 공기 유입에 의해 희석된다. 분리 후, 상기 스모크 전달은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통기 영역에 의해서만 희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에 통기공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공들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또한 어레이(array) 형태로 분산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는 미립자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미립자 물질은 탄소와 같은, 흡착제 또는 식물 잎과 같은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립자 물질의 효과는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이 분리된 후에 감소(또는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상기 미립자 물질은 상기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후에 상기 미립자 물질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향료, 또는 액체를 캡슐화화는 부서지기 쉬운 캡슐(frangible caps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의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압축력과 같이 요구되는 힘을 가함으로써, 소비자가 상기 부서지기 쉬운 캡슐을 깨뜨린(breaks) 후에 방출된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는 캐비티(cavity) 또는 리세스(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비티 또는 리세스는 상기 제1및 제2 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 중 하나에만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흡연 구성은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이 분리된 후에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티 또는 리세스는 상기 흡연 물품이 분리 후에 고체 필터 단부로부터 중앙-홀 필터 단부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에 제공될 될 수 있다.
상기 티핑 포장지는 윈도우(window)를 통해 상기 필터 막대의 적어도 일부를 볼 수 있는 상기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사용자가 필터 계면(filter interfaces)에 접하는 인접한 필터 세그먼트들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상기 파단 라인을 따라 천공된 포장지들을 분리 함으로써 상기 필터 막대가 분리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흡연 물품의 사용 방법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간단한 매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포장지는 필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윈도우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윈도우 영역에서 투명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필터 포장지에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윈도우를 제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필터 계면에 포함되지 않은 필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윈도우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에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티핑 포장지는 하나 이상의 향료 조성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료 조성물들은 냉각 효과(cooling effect) 및/또는 맛 지각(taste percep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냉각제 조성물들의 예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EP0847268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향료 조성물들은 상기 티핑 포장지 전체 또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상기 천공 라인(perforation line)의 다운스트림의 상기 티핑 포장지 섹션(section)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천공 라인의 업스트림의 상기 티핑 포장지 섹션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의 분리 후에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상기 천공 라인의 업스트림의 상기 티핑 포장지 섹션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천공 라인의 다운스트림의 상기 티핑 포장지 섹션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향료 조성물의 효과는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의 분리 후에만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상기 천공 라인의 다운스트림의 상기 티핑 포장지 섹션은 제1향료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 라인의 업스트림의 상기 티핑 포장지 섹션은 상기 제1향료 조성물과 상이한 제2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의 분리는 소비자에게 상이한 냉각 효과 및/또는 맛 지각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포장지 내의 상기 다수의 천공들은 양 포장지들이 상기 필터 막대 주위에 감싸진 후 상기 티핑 포장지 내의 상기 다수의 천공들과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의 각각의 천공들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된 천공들은 레이저로 간단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펀칭(punching)과 같은 상기 천공들을 동시에 형성하는 다른 형태도 고려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티핑 및 필터 포장지들 내의 상기 다수의 천공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핑 및 필터 포장지들은 완성된 흡연 물품에 상기 천공들을 일치(register) 하도록 상기 흡연 물품의 제조 공정 중에 하나의 포장지를 다른 포장지에 대해 위치설정하는 것을 돕는 기준(reference) 또는 일치 마크(register marks)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 천공들은 정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포장지들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기 투과성일 수 있고 그것을 통해 공기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일 구성에서 상기 필터 포장지는 공기 투과성일 수 있고 상기 티핑 포장지는 공기 불투과성일 수 있다. 양 포장지들의 상기 천공들이 일치(register)하지 않으면, 상기 티핑 포장지의 상기 천공들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공기 투과성 필터 포장지를 가로질러 상기 주류연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티핑 포장지에만 통기공들을 형성하거나 상기 티핑 및 필터 포장지들에 통기공들을 형성하여 통기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상기 필터 포장지는 공기 불투과성일 수 있고, 상기 티핑 포장지는 공기 투과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양 포장지들의 상기 천공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필터 포장지 천공들이 상기 티핑 포장지 천공들에 어느 정도 일치하지 않는 한 상기 티핑 포장지의 상기 천공들을 통과하는 공기가 주류연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상부의 티핑 포장지가 공기 투과성이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 포장지 천공들을 통한 상기 천공들의 정렬과 무관하게 상기 주류연에 공기가 유입될 것이다. 통기 영역은 상기 필터 포장지에만 통기공들을 형성하거나 상기 티핑 및 필터 포장지들에 통기공들을 형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연성 막대는 담배 막대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연성 물질은 담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흡연성 물질은 필러 담배를 커트할 수 있다. 커트된 필러 담배는 재구성된 담배, 또는 확장된 담배와 같은 널리 알려진 다른 담배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중간 제품(intermediate product)으로서 상기 흡연 물품과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담배 물품에 사용 시, 티핑 포장지가 상기 필터 포장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필터 포장지는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에 직접 인접하거나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에 접촉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흡연성 막대는 외부 포장지에 의해 외접된 커트 필러 담배(cut filler tobacco)와 같은 흡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필터 단부, 및 스모크 단부를 갖는 상기 흡연성 막대를 제공하는 단계; 스모크 단부, 입 단부,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필터 포장지에 의해 외접된 다수의 필터 세그먼트들을 가지는 필터 막대, 인접한 필터 세그먼트는 대응하는 필터 계면에서 접하는 단계; 상기 흡연성 막대의 상기 필터 단부와 접하는 상기 필터 막대의 상기 스모크 단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막대 및 적어도 상기 흡연성 막대의 상기 필터 단부에 티핑 포장지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 상기 필터 및 흡연성 막대들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막대 주위에 원주 방향인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의 다수의 천공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막대를 상기 스모크 단부를 포함하는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 및 상기 입 단부를 포함하는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로 분할되도록 필터 계면의 위치에 상기 천공들을 실질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 주류연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흡연성 및 필터 막대들을 통해 상기 스모크 단부에서 상기 입 단부까지 흐르는 상기 주류연의 스모크 전달을 줄이고, 및
(ii) 스모크 전달은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로부터 상기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을 분리함으로써 제1소정의 레벨(first predefined level)로부터 제2소정의 레벨(second predefined level)로 증가할 수 있도록 파단 라인(rupture line)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주류연으로부터 스모크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에 통기공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기공들은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에 2개의 통기공들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개의 영역은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에 제공되고 다른 1개의 영역은 상기 천공들의 다운스트림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의 상기 다수의 천공들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레이저에 의해 제공된다. 레이저 천공은 제조 공정 중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에 상기 천공들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레이저 천공은 또한 상기 필터 막대를 분리한 후에 깔끔한 마무리를 제공하며, 특히 섬유 물질(종이와 같은)로 포장지를 만들면 더욱 그렇다. 상기 필터 막대로의 상기 레이저의 침투는 상기 흡연 물품의 통기를 조절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장치의 특징들은 방법 특징 및 그-역(vice-versa)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연 물품의 다른 측면도로서, 필터 및 티핑 페이퍼(tipping papers)가 풀린 구성으로 되어있다;
도 3은 필터의 세그먼트가 부분적으로 분리된 도 1에 도시된 흡연 물품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연 물품의 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연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연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연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연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 동안의 흡연 물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단 전단력(rupture shear force)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장치의 상세도이다; 및
도 11A 내지 도 11D는 박리 후의 테스트 담배의 사진들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스모크 단부(10) 및 입 단부(11)를 갖는 흡연 물품(2)의 측면도이다. 상기 흡연 물품(2)은 외부 포장지(6)에 의해 둘러싸인 절단 필러 담배를 포함하는 담배 막대(4)를 포함한다. 상기 흡연성 막대(4)는 필터 단부(8)를 포함하고 상기 스모크 단부(10)에서 상기 흡연성 물질은 공기에 노출된다. 상기 흡연 물품은 또한 측 정렬된 제1 및 제2 필터 세그먼트들(14, 16)을 포함하는 필터(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은 계면에서 서로 접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14, 16)은 접촉하거나, 또는 작은 갭이 그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14)의 일 단부는 상기 흡연성 막대(4)의 상기 필터 단부(8)와 접한다.
필터 포장지(18)는 상기 제1및 제2 세그먼트들(14, 16)을 포함하여 상기 필터(12) 주위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 포장지(18)는 공기 투과성 또는 공기 불투과성 섬유질 종이, 또는 비섬유질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티핑 포장지(20)는 상기 필터 포장지(18) 주위에 제공된다. 상기 티핑 포장지(20)는 상기 제1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을 둘러싸고 또한 상기 필터(12) 및 흡연성 막대(4)를 함께 부착하기 위해 상기 흡연성 막대(4)의 상기 필터 단부(8)를 둘러싸고 있다.
천공들(22)은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에 상기 필터(12) 주위의 원주 방향(circumferentially)으로 제공된다. 상기 천공들(22)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및 제2 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의 포지션에 위치된다. 상기 천공들(22)은 상기 필터 포장지(18)의 구멍들이 상기 티핑 포장지(20)의 구멍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흡연 물품(2)의 제조 중에 레이저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에는 상기 필터(12) 주위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통기공들(24)이 제공된다. 상기 통기공들(24)는 상기 제1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과 정렬하지 않는다. 상기 통기공들(24)은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14)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위치, 스모크 전달의 관점에서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upstream)에 제공된다. 상기 통기공들(24)은 또한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티핑 포장지(20)의 각 구멍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제조 중에 레이저에 의해 생성된다.
사용 중, 상기 천공들(22)은 상기 필터(12)에 파단 라인(rupture line)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천공들(22)에 의해 형성된 상기 파단 라인을 따라 상기 필터(12)를 분리(break)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모크 전달은 제1소정 레벨(predefined level)에서 제2소정 레벨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천공들(22) 및 상기 통기공들(24)은 상기 스모크 단부(10)로부터 상기 흡연성 막대(4) 및 필터(12)를 통해 상기 입 단부(11)로 흐르는 주류연으로부터의 스모크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흡연 물품(2) 내로 각각의 공기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기부 구멍들(24)은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가 분리된 후에도 상기 메인스트림 스모크에 환기를 계속 제공한다.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를 분리하기 전에 상기 통기공들(24) 및 상기 천공들(22) 모두에 의해 통기가 제공된다. 이것은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의 분리 후에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TNCO 레벨들의 조절을 허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기공들(24)은 상기 티핑 포장지(20)에만 제공되고 상기 필터 포장지(18)는 공기 투과성이다. 따라서, 사용 중, 상기 티핑 포장지(20) 내의 상기 통기공들(24)을 횡단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 투과성 필터 포장지(18)를 가로질러 상기 주류연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티핑 포장지(20)의 상기 통기공들(24)은 상기 흡연 물품(2)의 제조 중에 레이저에 의해 생성되는 대신에 상기 티핑 포장지(20)가 적용되어 상기 흡연성 막대(4)를 상기 필터(12)에 연결하기 전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특히 상기 천공들(22)이 레이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추가의 레이저 빔 스플리터와 같은 상기 통기공들(24)을 형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장치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윈도우(23)는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에 제공된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의 상기 천공들(2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개별 필터 세그먼트들을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23)는 상기 흡연 물품(2)의 의도된 기능에 관해 사용자를 학습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가 탈착 가능한 것을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 상기 윈도우(23)는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에 존재한다. 그것은 포장 재료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포장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포장 재료들은 전체가 투명할 수 있고, 단지 영역별로 투명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필터 세그먼트(16)의 부분적인 분리를 도시하는 흡연 물품의 측면도이다. 사용자는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를 잡을 수 있고, 상기 천공들(22)의 라인을 따라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를 찢어 분리할 수 있다. 분리 후 상기 흡연 물품(2)은 강한 향과 더 높은 TNCO 레벨들을 제공하기 위해 흡연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18, 20)의 상기 천공들(22)은 깨끗한 찢김 및 원래의 입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관을 갖는 새로운 입 단부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4는 필터(12)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1및 제2세그먼트들(14, 16)을 포함하는 이중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12)는 27mm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14)는 15mm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는 12mm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의 상기 천공들(22)은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입 단부(11)로부터 12mm에, 상기 필터 계면과 정렬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의 상기 통기공들(24)은 또한 레이저에 의해 상기 입 단부(11)로부터 19mm에 제공된다.
두 가지 버전의 담배가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6)의 분리 전 후의 TNCO 레벨들의 측정하는 테스트로 분석되었다. 상기 담배의 양 버전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가 57mm인 담배 막대(4) 및 길이가 27mm인 필터 막대(12)를 포함하는 총 길이가 84mm 였다. 상기 각각의 테스트 담배들의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18, 20)은 상기 제1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에(상기 필터 막대(12)의 상기 입 단부(11)로부터 12mm에 위치됨)33개의 천공들(22)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테스트 담배들의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18, 20)은 12개의 통기공들(24)을(상기 필터 막대(12)의 상기 입 단부(11)로부터 23mm의 거리에서 상기 천공들(22)의 업스트림에 위치됨) 포함한다. 상기 담배의 양 버전의 상기 천공들(22) 및 통기공들(24)은 레이저로 형성되었다. 상기 두 가지 테스트 담배들의 유일한 차이점은 통기공들에 의해 제공되는 통기 레벨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통기공들(24)의 형성하는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14)로의 레이저 침투(penetration) 깊이에 있다. 테스트 담배(A)는 테스트 담배(B)보다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14)에서 더 높은 레벨의 레이저 침투를 가지므로, 따라서, 테스트 담배(A)는 테스트 담배(B)보다 통기 레벨이 높았다.
ISO 3308 조건 하에서 각각의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들(16)을 분리하기 전과 후의 담배(A) 및 담배(B)에 대해 TNCO 레벨들 및 담배 당 퍼프 수(number of puffs per)이 측정되었다.
담배 A: 필터 세그먼트들의 압력 강하는 580mmH2O이다.
분리 전(Before detachment) 분리 후(After detachment)
통기 레벨(Level of ventilation)
Figure 112019007420399-pct00001
80%
Figure 112019007420399-pct00002
40%
총 에어로졸 잔류물(Total Aerosol Residue) 1.2 mg 8.7 mg
니코틴(Nicotine) 0.11 mg 0.73 mg
일산화탄소(CO) 1.1 mg 7.4 mg
퍼프 수(Number of puffs) 7.2 6.7
담배 B: 필터 세그먼트들의 압력 강하는 360mmH2O이다.
분리 전(Before detachment) 분리 후(After detachment)
통기 레벨(Level of ventilation)
Figure 112019007420399-pct00003
80%
Figure 112019007420399-pct00004
20%
총 에어로졸 잔류물(Total Aerosol Residue) 1.5 mg 11.3 mg
니코틴(Nicotine) 0.14 mg 0.86 mg
일산화탄소(CO) 1.0 mg 9.7 mg
퍼프 수(Number of puffs) 7.2 6.1
담배 (A) 및 담배(B)에 대한 테스트 결과는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들(16)을 분리한 후에 통기 레벨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도 5는 필터(112)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필터 세그먼트들(114)의 제1세트 및 제2필터 세그먼트(116)는 상기 천공들(22)과 관련된 파단 라인의 양측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114)의 제1세트는 상기 입 단부를 향한 중앙-홀 필터 세그먼트(118) 및 상기 스모크 단부를 향한 고체 단부-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16)는 또한 고체 단부-면을 갖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세그먼트이다.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116)는 고체 단부-면 흡연 물품을 중앙-홀 흡연 물품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파단 라인을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필터(212)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1필터 세그먼트(214) 및 필터 세그먼트들(216)의 제2세트는 상기 천공들(22)과 관련된 파단 라인의 양측에 제공된다.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214)는 고체 단부-면을 갖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세그먼트이다.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216)의 제2세트는 상기 흡연 물품의 상기 입 단부를 향한 고체 단부-면(218)을 갖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 세그먼트 및 주류연에 향을 제공하는 캡슐(220)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220)은 멘톨(menthol)과 같은 향을 제공하거나 수분 배출(water release)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캡슐(220)은 파열될(be frangible) 수 있고 상기 향제(flavouring)는 사용 전에 상기 캡슐(220)을 파단 시킴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캡슐(22)을 포함하는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216)의 제2세트는 상기 캡슐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담배 맛을 증가시키기 위패 상기 파단 라인을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도 7은 필터 (312)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필터 세그먼트들(314)의 제1세트 및 제2필터 세그먼트(316)는 상기 천공들(22)과 관련된 파단 라인의 양측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314)의 제1세트는 상기 입 단부를 향한 중공 세그머트(318) 및 상기 스모크 단부를 향한 숯 필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316)는 고체 단부-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이다.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316)는 고체 단부-면 흡연 물품을 리세스 필터 흡연 물품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파단 라인을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필터(412)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필터 세그먼트들(414)의 제1세트 및 제2필터 세그먼트(416)는 상기 천공들(22)과 관련된 파단 라인의 양측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414)의 제1세트는 서로 축 방향으로 정렬된 3개의 필터 세그먼트들(418, 420, 4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필터 세그먼트(416)는 TNCO 레벨들을 증가시키고 담배 맛을 증가시키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흡연 물품(2)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흡연 물품 제조기에서 제조되며, 본 발명에 따라 특정 변형들이 이루어 진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컨베이어 드럼들은 제조 단계 공정 사이에 흡연성 막대(4) 및 필터들(12)를 운반하고, 관련된 위치들에 외부 포장지(6), 필터 포장지(18) 및 티핑 포장지(20)를 제공하도록 제공된다. 도 9는 제조 공정 동안의 흡연 물품의 측면도이다.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티핑 포장지(20)는 상기 필터(12) 주위에 임의의 천공들 또는 통기공들 없이 초기에 제공된다. 상기 천공들(22) 및 통기공들(24)은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티핑 포장지(20)가 상기 흡연 물품(2)상에 제공된 후에 각각의 레이저들(30, 32)에 의해 제공된다. 구멍들을 형성하기 위해,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흡연 물품(2)이 회전되고, 빛이 상기 레이저들(30, 32)에 의해 상기 필터(12) 상으로 향하여 상기 필터(12)의 전체 원주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천공들(22)의 라인 및 통기공들(24)의 라인을 만든다. 상기 제조 공정은 상기 필터 포장지(18) 및 상기 티핑 포장지(20) 내의 개별 천공들 (및 통기공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됨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레이저는 거울들 및 빔 스플리터들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상기 천공들(22) 및 상기 통기공들(24)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32)는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18, 20)에 관통-구멍들로서 상기 통기공들(24)을 생성한다. 상기 레이저 광은 또한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18, 20) 아래에 놓인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14) 내로 다소 연장되어 거기에 월스(wells) 또는 피츠(pits)를 형성한다.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14) 내로의 상기 레이저(32)의 침투는 통기 레벨을 조절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조 중 상기 레이저(32)가 상기 제1필터 세그먼트(14) 내로 더 많이 침투하면 상기 통기공들(24)을 통하는 통기가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레이저(30)는 상기 제1 또는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또는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
4가지의 담배 버전은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14, 16)의 제1및 제2세트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전단력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에서 분석되었다. 모든 버전은 총 길이 84mm를 가지며, 길이 57mm인 담배 막대(4) 및 길이 27mm인 필터 막대(12), 및 24.5mm인 담배 둘레를 포함한다. 모든 테스트 담배들에서 사용된 상기 필터 포장지(18)는21.5g/m2의 평량(basis weight) 및 70νm의 두께를 가지며, 모든 테스트 담배들에서 사용된 상기 티핑 포장지(20)는 31g/m2의 평량 및 36νm의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테스트 담배들의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18, 20)은 상기 필터 막대(12)의 상기 입 단부(11)로부터 12mm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에 다수의 천공들(22)을 포함한다. 이 천공들(22)은 레이저로 형성된다. 4가지의 테스트 담배들의 유일한 차이점은 상기 제1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에서의 천공들(22)의 수이다. 테스트 담배 C는 30개의 천공(22)(cm 당 13개의 천공)을 가지며, 테스트 담배 D는 33개의 천공(22)(cm당 14개의 천공)을 가지며, 테스트 담배 E는 36개의 천공(22)(cm 당 16개의 천공)을 가지며, 테스트 담배 F는 38개의 천공(22)(cm 당 17개의 천공)을 가진다.
파단력은 Yamaden Co., Ltd.에서 시판되는 크립 미터 장치(creep meter apparatus) Rheoner II, RE2-33005B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테스트에 사용된 상기 크립 미터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홀더(501) 및 테이퍼드 헤드(504)의 단부의 원통형의 경질 막대(503)를 갖는 로드 셀(502)을 구비한다. 상기 홀더(501)는 상기 로드 셀(502)을 향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로드 셀은(502) 고정되어 있다.
전단력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16)의 제2세트만이 상기 홀더(501)로부터 돌출할 때까지 흡연 물품이 상기 홀더(501)에 삽입된다. 상기 흡연 물품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측정된, 상기 경질 막대(503) 및 상기 홀더(501) 사이의 거리는 소비자가 상기 제1및 제2 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14, 16)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흡연 물품을 잡는 방식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4.5mm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홀더(501)는 소정의 테스트 속도로 상기 로드 셀쪽으로 변위되어 상기 흡연 물품의 상기 필터 막대(12)가 상기 경질 막대(503)의 상기 헤드(504)와 접촉한다. 상기 홀더(501)의 변위 및 상기 필터 막대(12)에 가해지는 전단력은 테스트 동안 측정된다. 상기 필터 막대(12)가 상기 경질 막대(503)의 상기 헤드(504)와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홀더(501)가 상기 테스트 흡연 물품의 직경보다 긴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한 후에 시험이 종료된다. 이는 상기 필터 세그먼트(16)의 제2세트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소정의 거리는 상기 테스트 흡연 물품의 직경보다 10%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 중 측정된 최대 전단력을 등록하고 19개의 다른 샘플에 대해 테스트를 반복한다. 테스트 흡연 물품의 파단 전단력은 상기 흡연 물품의 20개의 샘플에 대해 측정된 최대 전단력의 평균 값이다.
전술한 절차에 따라 테스트 담배 C, D, E 및 F의 상기 제1및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14, 16)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전단력이 측정되었다. 상기 담배 홀더의 전진 속도는 10mm/s로 설정되었고 상기 담배 홀더(501)가 접촉 위치로부터 10mm 전진하면 테스트는 멈추도록 설정되었다. 하기 표는 상기 다른 테스트 담배들의 파단 전단력을 나타낸다.
천공들(Perforations) 파단 전단력(N) (Rupture shear force (N))
담배(C) 30 19.7
담배(D) 33 18.7
담배(E) 36 14.1
담배(F) 38 13.8
4가지 버전의 담배의 파단 라인의 양태는 또한 상기 제1및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14, 16)의 수동 분리 후에 분석되었다. 모든 버전은 84mm의 총 길이를 가지며, 길이가 57mm인 담배 막대(4), 길이가 27mm인 필터 막대(12) 및 둘레가 24.5mm인 담배를 포함한다. 모든 테스트 담배들에서 사용된 상기 필터 포장지(18)는21.5g/m2의 평량(basis weight) 및 70νm의 두께를 가지며, 모든 테스트 담배들에서 사용된 상기 티핑 포장지(20)는 31g/m2의 평량 및 36νm의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테스트 담배들의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18, 20)은 상기 필터 막대(12)의 상기 입 단부(11)로부터 12mm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에 다수의 천공들(22)을 포함한다. 이 천공들(22)은 레이저로 형성된다. 4가지의 테스트 담배들의 유일한 차이점은 상기 제1및 제2필터 세그먼트들(14, 16) 사이의 계면에서의 천공들(22)의 수이다.
도 11a에 도시된 테스트 담배는 20개의 천공(22)을 갖는다. 커트(cut)가 깨끗하지 않고 섬유가 선명하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테스트 담배는 28개의 천공(22)을 갖는다. 커트는 이전의 것보다 깨끗하나 일부 섬유가 여전히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c에 도시된 테스트 담배는 33개의 천공(22)을 갖는다. 커트가 깨끗하고 섬유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테스트 담배 D에 해당한다.
도 11d에 도시된 테스트 담배는 40개의 천공(22)을 갖는다. 커트가 이전의 것만큼 깨끗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원인은 천공들(22)의 고밀도 ‹š문에 파단 라인을 따라 천공들(22)이 고르지 않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Claims (15)

  1. 흡연성 막대(smokeable rod)는 외부 포장지(outer wrapper)에 의해 외접된(circumscribed) 흡연성 물질(smokeable material)을 포함하고, 상기 흡연성 막대는 필터 단부(filter end), 및 스모크 단부(smoke end)를 갖고,
    필터 막대(filter rod)는 스모크 단부(smoke end), 입 단부(mouth end),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필터 포장지(filter wrapper)에 의해 외접된 다수의 필터 세그먼트들(filter segments)을 가지며, 인접한 필터 세그먼트는 대응하는 필터 계면(filter interfaces)에서 접하고, 및 상기 필터 막대의 상기 스모크 단부는 상기 흡연성 막대의 상기 필터 단부와 접하며,
    티핑 포장지(tipping wrapper)는 상기 필터 막대 및 상기 필터와 흡연성 막대들을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상기 흡연성 막대의 상기 필터 단부를 둘러싸고, 및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은 상기 필터 막대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천공들(perforations)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들은 실질적으로 필터 계면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막대는 상기 스모크 단부를 포함하는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first set of filter segments), 및 상기 입 단부를 포함하는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second set of filter segments )로 분리되고,
    (i) 주류연(mainstream smoke)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흡연성 및 필터 막대들을 통해 상기 스모크 단부에서 상기 입 단부까지 흐르는 상기 주류연의 스모크 전달(smoke deliveries)을 줄이고, 및
    (ii) 스모크 전달은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로부터 상기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을 분리함으로써 제1소정의 레벨(first predefined level)로부터 제2소정의 레벨(second predefined level)로 증가할 수 있도록 파단 라인(rupture line)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상기 천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들은 상기 필터 포장지의 구멍들이 상기 티핑 포장지의 구멍들과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흡연 물품(Smoking article).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은 상기 주류연으로부터의 스모크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기 영역(ventilation reg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 영역은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upstream) 또는 다운스트림(downstream)에 위치하는,
    흡연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영역은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 통기공들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들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어레이(array)형태로 산재되거나 또는 배열된,
    흡연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는 미립자 물질(particulate material), 부서지기 쉬운 캡슐(frangible capsule), 캐비티(cavity), 또는 리세스(rec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핑 포장지는 원도우(window)를 통해 상기 필터 막대의 적어도 일부를 볼 수 있는 상기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흡연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포장지는 필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윈도우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윈도우 영역에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흡연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은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은 하나의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포장지 내의 상기 다수의 천공들은 상기 티핑 포장지 내의 상기 다수의 천공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흡연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라인의 cm 당 상기 천공들의 수는 12 이상인,
    흡연 물품.
  12. 흡연성 막대는 외부 포장지에 의해 외접된 흡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필터 단부, 및 스모크 단부를 갖는 상기 흡연성 막대를 제공하는 단계;
    스모크 단부, 입 단부,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필터 포장지에 의해 외접된 다수의 필터 세그먼트들을 가지는 필터 막대, 인접한 필터 세그먼트는 대응하는 필터 계면에서 접하고, 및 상기 흡연성 막대의 상기 필터 단부와 접하는 상기 필터 막대의 상기 스모크 단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필터 막대 및 적어도 상기 흡연성 막대의 상기 필터 단부에 티핑 포장지를 제공하여 상기 필터 및 흡연성 막대들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막대 주위에 원주 방향인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의 다수의 천공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막대를 상기 스모크 단부를 포함하는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 및 상기 입 단부를 포함하는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로 분할되도록 필터 계면의 위치에 상기 천공들을 실질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i) 주류연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흡연성 및 필터 막대들을 통해 상기 스모크 단부에서 상기 입 단부까지 흐르는 상기 주류연의 스모크 전달을 줄이고, 및
    (ii) 스모크 전달은 상기 제2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로부터 상기 제1세트의 필터 세그먼트들을 분리함으로써 제1소정의 레벨(first predefined level)로부터 제2소정의 레벨(second predefined level)로 증가할 수 있도록 파단 라인(rupture line)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들은 상기 필터 포장지의 구멍들이 상기 티핑 포장지의 구멍들과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흡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연으로부터 스모크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에 통기공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공들은 상기 천공들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공되는,
    흡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의 상기 다수의 천공들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흡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및 티핑 포장지들 내의 상기 다수의 천공들은 레이저에 의해 제공되는,
    흡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97002017A 2016-07-04 2017-07-03 분리할 수 있는 필터 세그먼트를 가진 흡연 물품 KR102378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7732 2016-07-04
EP16177732.1 2016-07-04
PCT/EP2017/066468 WO2018007300A1 (en) 2016-07-04 2017-07-03 Smoking article with detachable filter seg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631A KR20190025631A (ko) 2019-03-11
KR102378852B1 true KR102378852B1 (ko) 2022-03-24

Family

ID=5636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017A KR102378852B1 (ko) 2016-07-04 2017-07-03 분리할 수 있는 필터 세그먼트를 가진 흡연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478096A1 (ko)
JP (1) JP6951370B2 (ko)
KR (1) KR102378852B1 (ko)
EA (1) EA036696B1 (ko)
PH (1) PH12018502395A1 (ko)
TW (1) TWI737759B (ko)
WO (1) WO2018007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17536D0 (en) * 2018-10-29 2018-12-12 Nerudia Ltd Smoking substitute consumable
FR3096874B1 (fr) * 2019-06-07 2022-06-24 Republic Tech Na Llc Ensemble de filtres en carton en forme de batonnet, preforme pour sa fabrication et son emballage
CN113287780A (zh) * 2021-06-25 2021-08-2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大烟雾量的两用型卷烟及其使用方法和用途
CN114794533A (zh) * 2022-04-15 2022-07-29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选择不同口味的加热卷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106A (ja) * 2003-02-04 2006-07-20 ヒョン リー 透明な抽出フィルター巻きタバコ
JP2008173099A (ja) * 2007-01-17 2008-07-31 Hideki Sano フィルター部可変のフィルター付きタバ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7579A (en) * 1952-12-10 1956-05-29 Milton G Gage Filter tip cigarette
DE2909432A1 (de) * 1979-03-07 1980-09-11 Karl Friedrich Schaefer Zigarettenfilter
GB9400985D0 (en) * 1994-01-19 1994-03-16 Rothmans International Ltd Filtered smoking article
BR9610312A (pt) 1995-08-29 1999-07-06 Mane V Fils Sa Composições refrescantes
EP2002737A1 (en) * 2007-06-12 2008-12-17 Philip Morris Products S.A. Improved smoking article
JP2011205917A (ja) 2010-03-29 2011-10-20 British American Tobacco Japan Kk 換気レベルを変えられる喫煙品
CN201905221U (zh) * 2010-12-30 2011-07-27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焦油调控型滤棒
EP2497382A1 (en) 2011-03-07 2012-09-12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including two or more filter segments
GB201209345D0 (en) * 2012-05-25 2012-07-11 Filtrona Filter Prod Dev Co Tobacco smoke filter and method of prod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106A (ja) * 2003-02-04 2006-07-20 ヒョン リー 透明な抽出フィルター巻きタバコ
JP2008173099A (ja) * 2007-01-17 2008-07-31 Hideki Sano フィルター部可変のフィルター付きタバ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2990A (ja) 2019-08-22
TW201804918A (zh) 2018-02-16
EA201892598A1 (ru) 2019-06-28
PH12018502395A1 (en) 2019-07-15
EA036696B1 (ru) 2020-12-09
EP3478096A1 (en) 2019-05-08
JP6951370B2 (ja) 2021-10-20
KR20190025631A (ko) 2019-03-11
TWI737759B (zh) 2021-09-01
WO2018007300A1 (en)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852B1 (ko) 분리할 수 있는 필터 세그먼트를 가진 흡연 물품
US7878963B2 (en) Smoking article with a restrictor
EP1845809B1 (en) Slim cigarette
KR102345860B1 (ko) 반경방향으로 단단한 흡연 물품 필터
KR101108636B1 (ko) 담배 필터
CA2801373C (en) Tobacco smoke filter
KR20170089944A (ko) 흡연 물품
KR20110096560A (ko) 흡연 물품의 필터
RU2602357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двумя или более сегментами фильтра
JP6676857B2 (ja) 異なる種類の喫煙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EP2554060A1 (en) Filter element incorporating a breakable capsule, method of manufacturing a cigarette having a filter element incorporating a breakable capsul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cigarette having a filter element incorporating a breakable capsule
TW201201716A (en) LIP smoking article wrapper, smoking article, method and apparatus
JP2012502628A (ja) 喫煙品用フィルター
EP3027071B1 (en) Filter element for a smoking article
GB2119221A (en) Cigarette filter
KR20130139295A (ko) 통기성 흡연 물품
JP6554693B2 (ja) チップペーパーウェブ
US202103782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rolll papers or wrap with tips
US4723561A (en) Smoking articles
KR20200136483A (ko) 흡연 물품
KR102190097B1 (ko) 향 필터 제조방법
KR20090070943A (ko) 분리형 담배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