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825B1 - 경사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경사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825B1
KR102378825B1 KR1020210098020A KR20210098020A KR102378825B1 KR 102378825 B1 KR102378825 B1 KR 102378825B1 KR 1020210098020 A KR1020210098020 A KR 1020210098020A KR 20210098020 A KR20210098020 A KR 20210098020A KR 102378825 B1 KR102378825 B1 KR 10237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device
device body
laser
ground surfac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명
Original Assignee
이용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명 filed Critical 이용명
Priority to KR102021009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825B1/ko
Priority to KR1020210194255A priority patent/KR20230016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4Shot p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01C2009/06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경사도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는, 지표면 상에 거치될 수 있는 원통형 구조의 측정장치 본체부;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지표면 상에 거치되어 측정장치 본체부를 지지하는 측정장치 고정부;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의 기울기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기울기 검출부;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 상에 형성하는 제1레이저 조사부;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제1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과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또 다른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 상에 형성하는 제2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를 기점으로 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형태의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 상에 형성하는 제3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 주위 지표면에 레이저라인을 형성하여 지표면 경사를 레이저라인의 변형된 정도를 통해 가늠함으로써 지표면 경사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골퍼로 하여금 골프볼 퍼팅 방향과 퍼팅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사도 측정장치{Inclination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경사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 주위 지표면에 레이저라인을 형성하여 지표면 경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사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코스는, 티잉 그라운드와 페어웨이 그리고 그린으로 구성되며, 티잉 그라운드는 대개 티(Tee)를 꼽고 그 위에 골프공을 올려 놓은 다음 첫 번째 샷(티샷)을 날리는 곳으로서 대부분 지면이 평평하다.
또한, 페어웨이는 티잉 그라운드와 퍼팅을 하는 그린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골프공을 티샷하기에 용이하도록 잔디가 다듬어져 있으며, 티잉 그라운드에서 치는 샷의 목표점으로 본다.
또한, 상기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 사이에 위치한 페어웨이 뿐만 아니라, 골프의 공략적인 묘미를 더하기 위하여 워터해저드(연못이나 개울) 및 벙커(모래웅덩이)도 일부러 만들어 놓는다.
한편, 골퍼들이 평균적으로 가지고 다니는 골프클럽은 대략 드라이버 1개, 우드 2개, 아이언 9개, 퍼터 1개 등 일반적으로 14개로 볼 수 있는데, 이중 우드는 헤드의 형상을 둥그스름하게 형성하여 볼을 될 수록 멀리 보내기 위한 클럽이며, 티잉 그라운드에서 티샷을 할 때 주로 이용한다.
또한, 아이언은 주로 페어웨이에서 사용하며 헤드가 삼각형모양의 철판형태로 이루어져 세컨샷에 알맞은 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골라 쓰는 클럽이다.
이러한 아이언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페어웨이에서 홀(Hole)을 공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그 소재는 스틸, 티타늄, 머레이징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퍼터는 홀컵(Hole cup)에 근접한 곳에서 즉, 그린에서 사용하며 헤드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을 때려 굴리는 경우에 사용한다.
한편, 홀컵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골프 경기의 원만한 진행을 위하여 그린에 놓인 자신의 골프공 대신 볼 마커를 놓아 퍼팅 할 골프공의 위치를 그린에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볼 마커는 통상 동전 형상으로 골프공이 위치한 그린 위에 볼 마커를 놓은 후 골프공을 회수한 다음 자신의 퍼팅 시 볼마크의 표시 위치에 의해 자신의 골프공 위치를 식별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볼 마커는 단순히 동전을 사용하거나 또는 원판형의 합성수지에 특정 메이커의 로고나 문자 등을 주합하여 형성된 것임으로, 골프볼의 현위치를 표시하기에는 손색이 없으나 기타 다른 기능 예를 들어 그린의 상황 및 홀컵의 방향을 파악하는 등의 기능은 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팅 구역에서 골프볼의 현위치를 표시함은 물론 그린에 놓인 골프볼에서 목표 점인 홀컵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골프용 볼 마커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골프용 볼 마커 역시 퍼팅 방향을 지시함에 있어 단순히 색상이 다른 방향지시부 만을 이용할 뿐, 홀컵 방향을 정확하게 지시할 수 없고, 주위 지표면의 경사 정도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골프용 볼 마커는 사용자의 눈 짐작을 이용하게 되어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913호 (등록일자: 2005년12월01일)
본 발명의 목적은,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 주위 지표면에 레이저라인을 형성하여 지표면 경사를 레이저라인의 변형된 정도를 통해 가늠함으로써 지표면 경사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골퍼로 하여금 골프볼 퍼팅 방향과 퍼팅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는, 지표면 상에 거치될 수 있는 원통형 구조의 측정장치 본체부;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지표면 상에 거치되어 측정장치 본체부를 지지하는 측정장치 고정부;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의 기울기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기울기 검출부;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상에 형성하는 제1레이저 조사부;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제1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과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또 다른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상에 형성하는 제2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를 기점으로 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형태의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상에 형성하는 제3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 조사부 및 제2레이저 조사부는, 측정장치 본체부의 일측면에 상하 높이방향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는, 내측 하부면 중앙에 레이저 조사부를 장착하고, 소정 크기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상방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의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과 볼팅체결되어 하부 하우징의 상부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는 구조이고, 볼팅체결 동작에 의해 상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제2레이저 조사부의 제2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라인을 측방으로 반사시켜 지표면 상으로 조사하는 도립 원뿔구조의 반사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 조사부 및 제2레이저 조사부는,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하나의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일정 간격 반경이 점점 커지는 다수의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일정 크기의 격자 모양이 일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다수의 무아레(moire) 무늬를 형성하는 레이저 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 중앙에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볼팅 체결 결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볼팅 체결 결속구에 볼팅 체결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볼팅 체결 동작에 의해 상하 길이가 변경되는 볼팅 체결 나사부; 상기 볼팅 체결 나사부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하부 하우징의 상단 구조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이며, 하부면에 반사판을 탑재하는 반사판 장착부; 및 상기 반사판 장착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 장착부의 하부면에 장착된 반사판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사도 측정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측정장치 본체부, 측정장치 고정부, 기울기 검출부, 제1레이저 조사부, 제2레이저 조사부 및 제3레이저 조사부를 구비함으로써,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 주위 지표면에 레이저라인을 형성하여 지표면 경사를 레이저라인의 변형된 정도를 통해 가늠함으로써 지표면 경사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골퍼로 하여금 골프볼 퍼팅 방향과 퍼팅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도 측정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부 하우징, 상부 커버 및 반사판을 구비함으로써,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 주위 지표면에 하나의 레이저라인, 다수의 레이저라인 또는 일정 크기의 격자 모양이 일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 지표면의 지형을 다양한 형상의 레이저 라인을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골퍼로 하여금 골프볼 퍼팅 방향과 퍼팅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마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사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경사도 측정장치의 제2레이저 조사부의 높이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에 의해 지표면 상에 형성되는 레이저라인의 종류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경사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측정장치 본체부(110), 측정장치 고정부(120), 기울기 검출부(130), 제1레이저 조사부(141), 제2레이저 조사부(142) 및 제3레이저 조사부(143)를 구비함으로써,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 주위 지표면에 레이저라인을 형성하여 지표면 경사를 레이저라인의 변형된 정도를 통해 가늠함으로써 지표면 경사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골퍼로 하여금 골프볼 퍼팅 방향과 퍼팅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 본체부(110)는, 지표면 상에 거치될 수 있는 원통형 구조로서, 사용자의 주머니 또는 휴대용 가방에 손쉽게 수납되어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측정장치 고정부(120)는,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지표면 상에 거치되어 측정장치 본체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평면상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장착될 수 있다.
기울기 검출부(130)는,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기울기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기울기 검출부(130)는 유체(132)가 수납된 구조로서, 유체(132) 내부에 부유하는 공기방울(131)을 이용하여 수평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1레이저 조사부(141)는,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측정장치 본체부(110)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제2레이저 조사부(142)는,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레이저 조사부(141)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과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또 다른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제3레이저 조사부(143)는,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측정장치 본체부(110)를 기점으로 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형태의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경사도 측정장치의 제2레이저 조사부의 높이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장치에 의해 지표면 상에 형성되는 레이저라인의 종류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5를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 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하부 하우징(111), 상부 커버(112) 및 반사판(11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하우징(111)은, 내측 하부면 중앙에 레이저 조사부(140)를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소정 크기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상방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상부 커버(112)는, 하부 하우징(111)과 볼팅체결되어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는 구조로서, 볼팅체결 동작에 의해 상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반사판(113)은, 상부 커버(112)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2레이저 조사부(142)의 제2레이저 발생부(140b)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라인을 측방으로 반사시켜 지표면 상으로 조사하는 도립 원뿔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이저 조사부(141) 및 제2레이저 조사부(142)는, 측정장치 본체부의 일측면에 상하 높이방향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이저 조사부(141) 및 제2레이저 조사부(1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하나의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일정 간격 반경이 점점 커지는 다수의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일정 크기의 격자 모양이 일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다수의 무아레(moire)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하우징(111)의 내측 하부면 중앙에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볼팅 체결 결속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커버(112)는, 특정 구조의 볼팅 체결 나사부(111B), 반사판 장착부(112A) 및 핸들부(112B)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커버(112)의 볼팅 체결 나사부(111B)는, 볼팅 체결 결속구(111A)에 볼팅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볼팅 체결 동작에 의해 상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반사판 장착부(112A)는, 볼팅 체결 나사부(111B)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 하우징(111)의 상단 구조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이며, 하부면에 반사판(113)을 탑재할 수 있다. 이때, 반사판 장착부(112A)의 하부면에 장착된 반사판(113)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12B)는, 반사판 장착부(112A)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부 하우징(111), 상부 커버(112) 및 반사판(113)을 구비함으로써,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 주위 지표면에 하나의 레이저라인, 다수의 레이저라인 또는 일정 크기의 격자 모양이 일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 지표면의 지형을 다양한 형상의 레이저 라인을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골퍼로 하여금 골프볼 퍼팅 방향과 퍼팅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경사도 측정장치
110: 측정장치 본체부
111: 하부 하우징
111A: 볼팅 체결 결속부
111B: 볼팅체결 나사부
112: 상부 커버
112A: 반사판 장착부
112B: 핸들부
112C: 상하위치 변경부
113: 반사판
120: 측정장치 고정부
130: 기울기 검출부
131: 공기방울
132: 유체
141: 제1 레이저 조사부
142: 제2 레이저 조사부
143: 제3 레이저 조사부
151: 배터리 충전포트
152: 전원 스위치
153: 배터리

Claims (5)

  1. 지표면 상에 거치될 수 있는 원통형 구조의 측정장치 본체부(110);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지표면 상에 거치되어 측정장치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측정장치 고정부(120);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기울기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기울기 검출부(130);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110)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 상에 형성하는 제1레이저 조사부(141);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제1레이저 조사부(141)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과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또 다른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 상에 형성하는 제2레이저 조사부(142); 및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고, 측정장치 본체부(110)를 기점으로 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형태의 레이저 라인을 지표면 상에 형성하는 제3레이저 조사부(143);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 본체부(110)는,
    내측 하부면 중앙에 레이저 조사부를 장착하고, 소정 크기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상방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의 하부 하우징(111);
    상기 하부 하우징(111)과 볼팅체결되어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는 구조이고, 볼팅체결 동작에 의해 상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상부 커버(112); 및
    상기 상부 커버(112)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제2레이저 조사부(142)의 제2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라인을 측방으로 반사시켜 지표면 상으로 조사하는 도립 원뿔구조의 반사판(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 조사부 및 제2레이저 조사부는, 측정장치 본체부의 일측면에 상하 높이방향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 조사부(141) 및 제2레이저 조사부(142)는,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하나의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일정 간격 반경이 점점 커지는 다수의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일정 크기의 격자 모양이 일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을 조사하거나,
    다수의 무아레(moire)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 중앙에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볼팅 체결 결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볼팅 체결 결속구에 볼팅 체결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볼팅 체결 동작에 의해 상하 길이가 변경되는 볼팅 체결 나사부;
    상기 볼팅 체결 나사부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하부 하우징의 상단 구조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이며, 하부면에 반사판을 탑재하는 반사판 장착부; 및
    상기 반사판 장착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 핸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장치.
KR1020210098020A 2021-07-26 2021-07-26 경사도 측정장치 KR10237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20A KR102378825B1 (ko) 2021-07-26 2021-07-26 경사도 측정장치
KR1020210194255A KR20230016560A (ko) 2021-07-26 2021-12-31 경사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20A KR102378825B1 (ko) 2021-07-26 2021-07-26 경사도 측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255A Division KR20230016560A (ko) 2021-07-26 2021-12-31 경사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825B1 true KR102378825B1 (ko) 2022-03-25

Family

ID=809352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020A KR102378825B1 (ko) 2021-07-26 2021-07-26 경사도 측정장치
KR1020210194255A KR20230016560A (ko) 2021-07-26 2021-12-31 경사도 측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255A KR20230016560A (ko) 2021-07-26 2021-12-31 경사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88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712A (ja) * 1985-03-18 1986-09-2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パツト用水準器
KR200402913Y1 (ko) 2005-09-03 2005-12-08 박충기 골프용 볼 마커
KR100715624B1 (ko) * 2005-10-18 2007-05-08 고재섭 골프 볼마커
KR20120025115A (ko) * 2010-09-07 2012-03-15 이재복 골프용 볼 마커 및 마커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712A (ja) * 1985-03-18 1986-09-2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パツト用水準器
KR200402913Y1 (ko) 2005-09-03 2005-12-08 박충기 골프용 볼 마커
KR100715624B1 (ko) * 2005-10-18 2007-05-08 고재섭 골프 볼마커
KR20120025115A (ko) * 2010-09-07 2012-03-15 이재복 골프용 볼 마커 및 마커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60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223A (en) Golfball stencil
US20160346660A1 (en) Alignment training mat for golf
US7112146B2 (en) Putting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US20100130299A1 (en) Visual Aid
KR20080005443U (ko)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용 볼마크
US20100248855A1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100715624B1 (ko) 골프 볼마커
KR102378825B1 (ko) 경사도 측정장치
US20240017149A1 (en) Golf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2001000310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0220088448A1 (en) Golf ball marker with rotating target aiming device
KR102239061B1 (ko) 레이저 라인 볼마커
KR101576254B1 (ko) 골프 스마트 마커
US6607449B2 (en) Putting disc
KR101794238B1 (ko) 골프용 볼마커
US20170326427A1 (en) Golf swing teaching device
KR100615969B1 (ko) 골프용 경사계
KR102046721B1 (ko) 골프 연습용 골프 티
US20060199663A1 (en) Putting alignment system
KR101642688B1 (ko) 골프용 경사표시기
KR101648690B1 (ko) 퍼팅연습기
KR102413567B1 (ko)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US20080161137A1 (en) Golf tee
CN201015704Y (zh) 高尔夫球挥杆练习装置
KR20120135453A (ko) 골프 퍼팅 방향 조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