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561B1 -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561B1
KR102378561B1 KR1020200172461A KR20200172461A KR102378561B1 KR 102378561 B1 KR102378561 B1 KR 102378561B1 KR 1020200172461 A KR1020200172461 A KR 1020200172461A KR 20200172461 A KR20200172461 A KR 20200172461A KR 102378561 B1 KR102378561 B1 KR 10237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livery
collection device
consumer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효현
Original Assignee
권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효현 filed Critical 권효현
Priority to KR102020017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6Arrangements on packages concerning bar-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으로서, (A)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이 소비자로부터 다회용 용기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주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이 소비자 정보 및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다회용 용기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주문된 배달 및 포장음식이 적어도 하나의 다회용 용기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배송되는 단계; (D)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관리 서버가 다회용 용기의 미반납을 확인한 경우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E) 소비자가 사용된 다회용 용기를 무인수거장치에 반납하는 단계; 및 (F) 무인수거장치가 다회용 용기 반납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에 반납 완료를 통지하고 소비자 정보 및 반납된 다회용 용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MULTI-DISPOSABLE CONTAINERS FOR DELIVERY AND PACKAGED FOOD USING UNMANNED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 무인수거장치 및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이 관리 서버를 통해 연계되어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를 수거, 세척 및 재분배하기 위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에 의한 배달 및 포장음식 소비 증가로 인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이 매우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8년 중국의 폐기물 수입 중단 이후 우리나라는 넘쳐나는 쓰레기 배출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플라스틱은 생산에 5초, 사용에는 5분이 걸릴 뿐이지만 폐기 후 분해되는 데에는 500년의 시간이 소요되는 물질로서,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일회용 용기의 사용은 순전히 판매 편의적인 측면만 고려된 것이며 소각과 매립에 따른 사회적 환경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특히 용기 회수 과정 자체에 인력이나 시간적 및 경제적인 비용이 매우 소요되고 있어 많은 배달 및 포장음식점에서는 현재 일회용 용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회용 용기가 널리 활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다회용 용기를 사용하면서도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에 용기 회수 및 관리에 대한 부담을 주지 않는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이나 시스템이 없다.
이에 따라 점점 늘어나는 배달 및 포장음식 소비에 맞춰 다회용 용기 사용을 장려하고 사용 후 버려지는 배달 및 포장음식용 일회용 용기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쓰레기 처리 나아가 환경에 끼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를 손쉽게 수거, 세척 및 분배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은: (A)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이 소비자로부터 다회용 용기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주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이 소비자 정보 및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다회용 용기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주문된 배달 및 포장음식이 적어도 하나의 다회용 용기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배송되는 단계; (D)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관리 서버가 다회용 용기의 미반납을 확인한 경우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E) 소비자가 사용된 다회용 용기를 무인수거장치에 반납하는 단계; 및 (F) 무인수거장치가 다회용 용기 반납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에 반납 완료를 통지하고 소비자 정보 및 반납된 다회용 용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은, (G) 무인수거장치에 반납된 용기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 관리 서버가 해당 무인수거장치의 용기 수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세척업체 관리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H)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받은 세척업체에 의해 무인수거장치로부터 다회용 용기가 모두 수거되는 단계; 및 (I) 세척업체가 수거된 다회용 용기들을 세척하고,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들에 재분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다회용 용기는 다회용 용기에 표시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푸쉬(PUSH) 알림 또는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소비자가 스마트 단말을 사용하여 GPS를 통해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수거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무인수거장치의 용기 수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무인수거장치 중 추가 용기 수거가 가능한 상태의 무인수거장치에 소비자가 다회용 용기를 반납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관리 서버가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의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의 위치를 GPS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세척업체 관리시스템에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분출된 다회용 용기 종류 및 개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I) 단계에 있어서, 세척업체는 관리 서버로부터 통지된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의 분출된 다회용 용기의 종류 및 개수에 맞춰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재분배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하여,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은: 소비자로부터 다회용 용기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주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 상기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소비자 정보 및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다회용 용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 사용된 다회용 용기를 소비자로부터 반납받는, 무인수거장치; 및 관리 서버가 무인수거장치에 반납된 용기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에 전송한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다회용 용기의 미반납을 확인한 경우 소비자 단말에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소비자는 GPS를 통해 소비자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수거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무인수거장치의 용기 수용 상태를 확인하고, 소비자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무인수거장치 중 추가적으로 용기 수거가 가능한 상태의 무인수거장치에 다회용 용기를 반납하고, 상기 무인수거장치는 다회용 용기 반납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에 반납 완료를 통지하고 반납된 다회용 용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의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의 위치를 GPS를 통해 확인하고,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에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분출 다회용 용기 개수 정보를 저장하고, 세척업체는 관리 서버로부터 통지된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의 분출 다회용 용기 개수에 맞춰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재분배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회용 용기 사용을 장려함으로써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회용 용기를 회수, 세척, 배송하기 위한 신규 고용을 창출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의식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QR 코드/바코드를 활용한 다회용 용기 추적, 세척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다회용 용기의 '제공-배달-반납-수거-판매점 회수'로 이어지는 추적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다회용 용기(또는 그릇)의 사용 이력 및 이용 통계를 관리하고, 용기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다회용 용기 회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소비자,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 (100)(이하, 편의를 위해 '배달 및 포장음식점 관리 시스템 (100)'라고 함), 관리 서버(200), 무인수거장치(300) 및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 (400) 간의 개략적인 신호/메시지/정보 전달 관계를 도시한다.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의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의 메인 서버로서 배달 및 포장음식점 관리 시스템 (100), 무인수거장치(300) 및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 (400)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고 필요 정보를 저장한다.
무인수거장치(300)는 원하는 위치 또는 특정 위치 등에 고정되어 또는 분리/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배달 및 포장음식용 용기를 수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무인수거장치(300)가 필요에 따라 곳곳에 설치되어 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 무인수거장치(300)는 GPS, 통신을 위한 통신부, 용기를 수거 및 보관하기 위한 수거부, 소비자 정보와 용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비자는 본 시스템/방법을 사용하거나 본 시스템의 구성 장치/서버들과 통신하는 과정에서 소비자 단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소비자 단말은 본 시스템으로의 접근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 단말이거나 모바일 장치, 핸드헬드 장치 등의 기타 휴대가능 장치일 수 있다.
배달 및 포장음식점 관리 시스템 (100)과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 (400)은 각 음식점/세척 업체 가맹점/지점들에 설치된 관리 시스템 에 해당하나, 대안으로 해당 음식점/세척 업체들의 본사에 설치되고 각 가맹점/지점의 서버와 연결된 본사 관리 시스템 일 수도 있다.
먼저, 배달 및 포장음식점 관리 시스템 (100)이 소비자로부터 (예를 들어,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유선 전화를 통해) 다회용 용기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주문 메시지를 수신한다(S1010).
이후, 배달 및 포장음식점 관리 시스템 (100)이 소비자 정보 및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다회용 용기의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S1020). 관리 서버(200)는 각 배달 및 포장음식점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분출된 다회용 용기 종류 및 개수 정보(즉 용기 불출 정보)를 저장한다. 일 예로,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다회용 용기는 다회용 용기에 표시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고, 이 경우 배달 및 포장음식점 관리 시스템 (100)이 스캔된 바코드/QR 코드 정보를 용기 불출 정보로서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도 2 참조). 일 예로, 다회용 용기들은 상호 다른 업종이나 업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후, 주문된 배달 및 포장음식이 적어도 하나의 다회용 용기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배송된다(S1030).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관리 서버(200)가 다회용 용기의 미반납을 확인한 경우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전송한다(S1040). 일 예로,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푸쉬(PUSH) 알림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관리 서버(200)가 용기 반납을 먼저 확인한 경우, 소비자에게 용기 반납 요청 메시지를 별도로 전송하지 않는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예컨대 배달 및 포장음식의 종류, 업체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후, 소비자가 사용된 다회용 용기를 무인수거장치(300)에 반납한다(S1050). 소비자는 용기 반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용기를 무인수거장치(300)에 반납할 수도 있다. 소비자는 스마트 단말을 사용하여 GPS를 통해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수거장치(300)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무인수거장치(300)의 용기 수용 상태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소비자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무인수거장치(300) 중 추가 용기 수거가 가능한 상태의 무인수거장치(300)에 소비자가 다회용 용기를 반납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먼저 GPS를 통해 무인수거함의 위치를 확인하고 나아가 각 무인수거함에 용기 반납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꽉 찬 무인수거장치에 용기를 반납하러 가거나 길을 헤멜일 없이 용기를 효율적으로 반납할 수 있다. 일 예로, 소비자는 무인수거장치(300)의 디스플레이나 버튼 등을 통해 소비자 정보를 입력하고 구비된 스캐너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용기 반납을 완료한다. 일 예로, 무인수거장치(300)에 스크린을 구비하여 다회용 용기 사용을 독려하고 소비자 인식을 제고하는 메시지를 24시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스크린을 광고 매체로 사용함으로써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도 있다.
이후, 무인수거장치(300)가 다회용 용기 반납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200)에 반납 완료를 통지하고 소비자 정보 및 반납된 다회용 용기 정보를 전송한다(S1060).
이후, 무인수거장치(300)에 반납된 용기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 관리 서버(200)가 해당 무인수거장치(300)의 용기 수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 (400)에 전송한다(S1070). 관리 서버(200)는 각 무인수거장치(300)에 반납된 용기의 개수를 (예컨대,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카운팅하며, 무인수거장치(300)에 일정량 이상의 용기가 수거되었을 시 세척업체로 용기 수거 요청을 한다. 상기 S1070 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가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300)의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 (400)의 위치를 GPS를 통해 확인하고, 관리 서버(200)가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300)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 (400)에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 예로, 관리 서버(200)는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30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세척업체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선순위 세척업체에서 용기 수거가 불가능한 경우 후순위 세척업체로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이후,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받은 세척업체에 의해 무인수거장치(300)로부터 다회용 용기가 모두 수거된다(S1080).
이후, 세척업체가 수거된 다회용 용기들을 세척하고,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들에 재분배한다(S1090). 일 예로, 세척업체는 전문세척업체일 수 있고 그 경우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업체들과 소비자의 위생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세척과 함께 필요에 따라 용기 소독 및 포장도 더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일 예로, 세척업체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통지된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의 분출된 다회용 용기의 종류 및 개수에 맞춰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재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은, 소비자로부터 다회용 용기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주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 (100); 상기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소비자 정보 및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다회용 용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200); 사용된 다회용 용기를 소비자로부터 반납받는, 무인수거장치(300); 및 관리 서버가 무인수거장치에 반납된 용기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에 전송한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 (40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다회용 용기의 미반납을 확인한 경우 소비자 단말에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소비자는 GPS를 통해 소비자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수거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무인수거장치의 용기 수용 상태를 확인하고, 소비자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무인수거장치 중 추가적으로 용기 수거가 가능한 상태의 무인수거장치에 다회용 용기를 반납하고, 상기 무인수거장치는 다회용 용기 반납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에 반납 완료를 통지하고 반납된 다회용 용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의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의 위치를 GPS를 통해 확인하고,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에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분출 다회용 용기 개수 정보를 저장하고, 세척업체는 관리 서버로부터 통지된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의 분출 다회용 용기 개수에 맞춰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재분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는 일 예로 스테인레스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관리 편의 및 업종간 호환 사용을 위해 표준화 및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될 수 있고, 각 용기를 식별하기 위한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각각의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내용을 통해 본 발명은 소비자 및 업체에게 다회용 용기 사용을 장려하여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회용 용기를 회수, 세척 및 배송하기 위한 신규 고용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의식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설명된 방법은 단일 시스템 내에서 서로 조합되거나 선택 가능한 옵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상술한 기술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상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상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
200: 관리 서버
300: 무인수거장치
400: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

Claims (10)

  1.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방법으로서,
    (A)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이 소비자로부터 다회용 용기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주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이 소비자 정보 및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다회용 용기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주문된 배달 및 포장음식이 적어도 하나의 다회용 용기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배송되는 단계;
    (D)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관리 서버가 다회용 용기의 미반납을 확인한 경우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E) 소비자가 사용된 다회용 용기를 무인수거장치에 반납하는 단계;
    (F) 무인수거장치가 다회용 용기 반납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에 반납 완료를 통지하고 소비자 정보 및 반납된 다회용 용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G) 무인수거장치에 반납된 용기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 관리 서버가 해당 무인수거장치의 용기 수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 단계는,
    관리 서버가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의 주변에 있는 다수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의 위치를 GPS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확인된 다수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의 위치와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가까운 순으로 주변 세척업체들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선순위 세척업체에서 용기 수거가 불가능한 경우 후순위 세척업체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에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H)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받은 세척업체에 의해 무인수거장치로부터 다회용 용기가 모두 수거되는 단계; 및
    (I) 세척업체가 수거된 다회용 용기들을 세척하고,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들에 재분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다회용 용기는 다회용 용기에 표시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특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푸쉬(PUSH) 알림 또는 문자메시지 형태로 전송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소비자가 스마트 단말을 사용하여 GPS를 통해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수거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무인수거장치의 용기 수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무인수거장치 중 추가 용기 수거가 가능한 상태의 무인수거장치에 소비자가 다회용 용기를 반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분출된 다회용 용기 종류 및 개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I) 단계에 있어서,
    세척업체는 관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통지된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의 분출된 다회용 용기의 종류 및 개수에 맞춰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재분배하는, 방법.
  8.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소비자로부터 다회용 용기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주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
    상기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소비자 정보 및 배달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다회용 용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
    사용된 다회용 용기를 소비자로부터 반납받는, 무인수거장치; 및
    관리 서버가 무인수거장치에 반납된 용기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경우에 전송한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다회용 용기의 미반납을 확인한 경우 소비자 단말에 사용된 다회용 용기의 반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소비자는 GPS를 통해 소비자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수거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무인수거장치의 용기 수용 상태를 확인하고,
    소비자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무인수거장치 중 추가적으로 용기 수거가 가능한 상태의 무인수거장치에 다회용 용기를 반납하고,
    상기 무인수거장치는 다회용 용기 반납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 서버에 반납 완료를 통지하고 반납된 다회용 용기 정보를 전송하며,
    관리 서버가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의 주변에 있는 다수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의 위치를 GPS를 통해 확인하고,
    관리 서버가 확인된 다수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의 위치와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인수거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가까운 순으로 주변 세척업체들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선순위 세척업체에서 용기 수거가 불가능한 경우 후순위 세척업체의 세척업체 관리 시스템에 용기 수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분출 다회용 용기 개수 정보를 저장하고,
    세척업체는 관리 서버로부터 통지된 각 배달 및 포장음식 판매점의 분출 다회용 용기 개수에 맞춰 세척된 다회용 용기들을 재분배하는, 시스템.
KR1020200172461A 2020-12-10 2020-12-10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61A KR102378561B1 (ko) 2020-12-10 2020-12-10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61A KR102378561B1 (ko) 2020-12-10 2020-12-10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561B1 true KR102378561B1 (ko) 2022-03-25

Family

ID=8093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461A KR102378561B1 (ko) 2020-12-10 2020-12-10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5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13A (ko) * 2021-02-16 2022-08-23 조서희 배달 플랫폼과 연계된 다회용기 리사이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17563B1 (ko) 2022-05-26 2023-04-04 강근원 루프 qr 코드를 이용한 다회 용기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WO2024010187A1 (ko) * 2022-07-08 2024-01-11 오이스터에이블 주식회사 용기 회수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794A (ko) * 2005-09-26 2007-03-29 윤세원 이동수단 이용 고객을 위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대여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8694A (ko) * 2006-07-21 2008-01-24 정태훈 재활용 용기의 회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0331B1 (ko) * 2011-12-19 2013-11-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회수 대상물을 회수하는 시스템 및 회수 대상물을 회수하는 방법
KR20160001407A (ko)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유니온네트웍스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음식 그릇 회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623B1 (ko) * 2018-11-09 2019-08-02 최동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콜드체인 배송 및 회수 시스템
KR102278724B1 (ko) * 2020-12-08 2021-07-19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배달음식용 포장물품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794A (ko) * 2005-09-26 2007-03-29 윤세원 이동수단 이용 고객을 위한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대여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8694A (ko) * 2006-07-21 2008-01-24 정태훈 재활용 용기의 회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0331B1 (ko) * 2011-12-19 2013-11-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회수 대상물을 회수하는 시스템 및 회수 대상물을 회수하는 방법
KR20160001407A (ko)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유니온네트웍스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음식 그릇 회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782430B1 (ko) * 2014-06-27 2017-10-23 주식회사 유니온네트웍스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음식 그릇 회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623B1 (ko) * 2018-11-09 2019-08-02 최동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콜드체인 배송 및 회수 시스템
KR102278724B1 (ko) * 2020-12-08 2021-07-19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배달음식용 포장물품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CT 기반의 배달그룻 토털 시스템, [online], 2018년 11월 01일, [2019년 09월 17일 검색], 인터넷:<URL: http://otrade.co/funding/311>*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13A (ko) * 2021-02-16 2022-08-23 조서희 배달 플랫폼과 연계된 다회용기 리사이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69514B1 (ko) 2021-02-16 2023-08-21 조서희 배달 플랫폼과 연계된 다회용기 리사이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17563B1 (ko) 2022-05-26 2023-04-04 강근원 루프 qr 코드를 이용한 다회 용기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WO2024010187A1 (ko) * 2022-07-08 2024-01-11 오이스터에이블 주식회사 용기 회수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561B1 (ko) 무인수거장치를 활용한 배달 및 포장음식용 다회용 용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44063B2 (en) Networked disposal and sample provisioning apparatus
US7080777B2 (en) Networked disposal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US7886973B2 (en) Networked waste processing apparatus
US20040199545A1 (en) Networked disposal and replenishment apparatus
US200800775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billing information to dynamically route vehicles
CN103955848A (zh) 移动终端销售管理实现方法及系统
WO2001059638A1 (fr) Procede de collecte utilisant un processeur d&#39;informations, procede de commande ou de vente
KR101110488B1 (ko) 계란코드관리방법 및 계란검색코드관리시스템
CN108665258A (zh) 一种人工自助混合收银系统及方法
JP2007535716A (ja) ネットワーク型廃棄物処理装置
TWM481077U (zh) 回收物之回收處理系統
CN110708389A (zh) 智慧环卫云平台及其数据处理方法
CN116797238A (zh) 一种基于在线监测平台的售后服务管理系统及其调度方法
KR101967207B1 (ko) 배달음식용 그릇 뚜껑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230043519A (ko) 다회용 컵 회수 재공급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230043514A (ko) 다회용 컵 반납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202618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second terminal apparatus
KR20230043518A (ko) 다회용 컵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회용 컵 회수 관리 시스템
JP2018005696A (ja) 備蓄品管理システム、備蓄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598807A (zh) 一种带扫码装置的智能收货柜
EP3832568A1 (en) Stock management method
CN111153377B (zh) 加油站设备智能管理系统
KR102424157B1 (ko) 식품 용기의 수거 및 재사용 서비스에 관한 비즈니스 모델 제공방법
US20200134544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onation of Unsaleable Inven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