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205B1 -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205B1
KR102378205B1 KR1020210053305A KR20210053305A KR102378205B1 KR 102378205 B1 KR102378205 B1 KR 102378205B1 KR 1020210053305 A KR1020210053305 A KR 1020210053305A KR 20210053305 A KR20210053305 A KR 20210053305A KR 102378205 B1 KR102378205 B1 KR 10237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tab
coupling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준
Original Assignee
윤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준 filed Critical 윤석준
Priority to KR102021005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2Testing of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방향으로 분기되고, 분기 단부에 탭부가 형성된 제1몸체가 구비된 탭분기부와; 상기 제1몸체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하부 결합탭이 형성되고, 변압기 부싱의 일측에 구비된 부싱탭에 상단부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단부에 상부 결합탭이 형성된 탭결합부와; 상기 탭결합부와 직교되게 상기 제1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L'자 형태가 되게 결합되어 누설전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누설전류 진단부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와 직교되게 상기 제1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절연열화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절연열화 측정부와;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탭분기부, 상기 탭결합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 및 상기 보호부는, 서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며 결합되도록 각 내부의 중심에는 도체부재가 구비된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ADAPTER FOR DIAGNOSING LEAKAGE CURRENT AND MEASURING INSULATION AGING FOR TRANSFORMER BUSHING}
본 발명은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싱의 부싱탭에서 어댑터를 분리 및 설치하는 반복 작업을 하지 않고도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과 절연열화 측정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의 전력계통 초고압 설비 사용은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 설비 중 변압기의 고장은 대단위 정전 및 화재 발생 등 사회적 및 경제적으로 피해가 크다.
상기 변압기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하여 송배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변압기의 일측에는 그에 구비되는 권선코일의 단자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부싱(bushing)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의 자연열화로 인한 고장은 연평균 1건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부싱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부싱의 진단방법은, 절연열화 측정(1회/3년), 절연유 가스분석(1회/년), 누설전류 진단방법 등이 있으며, 변전소 종합예방진단시스템을 구축하여 부싱 누설전류를 실시간 감시하고 있다.
또한, 변압기 부싱 누설전류 진단장치는 전력용 유입변압기의 부싱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누설전류값으로 부싱의 절연상태를 분석 및 진단한다.
이와 같은 변압기 부싱 누설전류 진단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변압기 부싱 누설전류 진단장치(20)는, 부싱(1)의 일측에 구비된 부싱탭에 설치된 누설전류 진단용 어댑터(10)에 연결되어 변화하는 부싱(1)의 실시간 누설전류값으로 부싱의 절연상태를 분석 및 진단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로컬 유닛(local unit)(30)은, 누설전류 센서(미도시)에서 검출된 신호 데이터를 취득하여 처리한다.
또한, 도 1의 변압기 부싱 누설전류 진단장치(20)에 의해 누설전류가 측정된 변압기는, 부싱(1)의 절연열화 측정을 위해서 도 2와 같은 변압기 부싱 절연열화 측정장치를 설치하며, 부싱 절연열화 측정을 실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변압기 부싱 절연열화 측정장치는, 부싱(1)의 부싱탭에 설치된 절연열화 측정용 어댑터(10a)와, 이 절연열화 측정용 어댑터(10a)에 연결된 절연열화 측정장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의 변압기 부싱 절연열화 측정장치를 통한 부싱(1)의 절연열화 측정방법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절연열화를 측정하기 위해 도 1의 누설전류 진단용 어댑터(10)를 부싱탭에서 분리한다.(단계 51)
이어서, 도 2의 상기 절연열화 측정용 어댑터(10a)를 부싱(1)의 부싱탭에 설치한다.(단계 53)
그리고 도 2의 부싱(1)의 절연열화 측정장비(40)를 통하여 부싱의 절연열화를 측정한다.(단계 55)
또한, 부싱(10의 절연열화를 측정 후, 부싱탭에서 절연열화 측정용 어댑터(10a)를 제거한다.(단계 57)
이어서, 다시 상기 누설전류 진단용 어댑터(10)를 부싱(1)의 부싱탭에 설치한다.(단계 59)
이와 같이, 종래의 변압기 부싱 절연열화 측정장치를 통한 부싱 절연열화 측정방법은, 도 3의 단계(step)를 반복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도 3과 같은 단계의 반복 즉, 어댑터(10,10a)를 반복적으로 분리와 설치 작업으로 부싱(1)의 부싱탭(1a)의 나사산을 손상시켜 절연유가 유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연유의 유출은 부싱(1)의 절연파괴와 변압기의 화재까지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싱(1)의 절연열화 측정을 위한 불안정한 고소작업인 어댑터(10,10a)의 분리 및 설치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누설전류 진단용 어댑터(10) 탈착시마다 정상적으로 접속되었는지 점검하는 추가적인 확인 공정이 필요하여 업무의 비효율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부싱의 부싱탭에서 어댑터를 분리 및 설치하는 반복 작업을 하지 않고도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과 절연열화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는,
3방향으로 분기되고, 분기 단부에 탭부가 형성된 제1몸체가 구비된 탭분기부와;
상기 제1몸체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하부 결합탭이 형성되고, 변압기 부싱의 일측에 구비된 부싱탭에 상단부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단부에 상부 결합탭이 형성된 탭결합부와;
상기 탭결합부와 직교되게 상기 제1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L'자 형태가 되게 결합되어 누설전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누설전류 진단부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와 직교되게 상기 제1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절연열화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절연열화 측정부와;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탭분기부, 상기 탭결합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 및 상기 보호부는, 서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며 결합되도록 각 내부의 중심에는 도체부재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재의 외부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탭결합부는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는 상기 제1몸체의 일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 및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몸체의 정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탭결합부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위에는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는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탭결합부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의 도체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단부에는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탄성 가능하게 구비된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내부의 빈 공간에는 도체 스프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는, 상기 제1몸체에 돌출 구비된 측부탭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 누설전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누설전류 진단장치와 연결되게 커넥터가 구비된 누설전류 진단부재;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측부탭에 연결되게 구비된 제4탭부와 타단부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재와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구비된 제4몸체와; 상기 제4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그 내부에 설치된 제4도체부재와; 상기 제4도체부재와 상기 제4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4도체부재를 절연되게 하는 제4절연부재;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재는, 일단은 상기 접속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게 구비된 결합바디와; 상기 결합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접속부재 내부의 제4도체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보호회로와; 상기 결합바디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보호회로의 외부를 감싸 절연되게 하는 충진절연재;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몸체의 내부의 정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면부로 돌출 설치된 제3몸체와; 상기 제3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그 내부에 상기 제3몸체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절연열화 측정장비와 연결되게 구비된 제3도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3도체부재는 수평 도체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도체부재와 상기 제3몸체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설치되어 절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모자 형태로 이루어진 방수 캡과; 상기 방수 캡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3도체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구비된 쇼트 캡;을 포함하되, 상기 쇼트 캡은, 상기 제3몸체와 결합되게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제5몸체와; 상기 제5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3도체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된 제5도체부재;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를 적용함으로써, 부싱에서 어댑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부싱의 절연열화 측정 및 누설전류 진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싱의 내구성의 개선으로, 기존처럼 절연유가 유출을 방지하며, 부싱의 절연파괴와 변압기의 화재도 예방할 수 있고,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의 점검 공정의 단축으로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압기 부싱 누설전류 진단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변압기 부싱 절연열화 측정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변압기 부싱 절연열화 측정장치를 통한 부싱의 절연열화 측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저면도.
도 7은 도 5의 부분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탭분기부와 탭결합부를 분해한 상세분해도.
도 9는 도 7에서 탭분기부와 절연열화 측정부 및 보호부를 분해한 상세분해도.
도 10은 도 7의 누설전류 진단부의 상세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가 변압기 부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도 4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4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 5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서 탭분기부와 탭결합부를 분해한 상세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는 도 7에서 탭분기부와 절연열화 측정부 및 보호부를 분해한 상세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 7의 누설전류 진단부의 상세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가 변압기 부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200)는, 3방향으로 분기되고, 분기 단부에 탭부(237,239)가 형성된 제1몸체(231)가 구비된 탭분기부(230)와, 이 탭분기부(230)의 제1몸체(231)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1몸체(23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하부 결합탭(251b)이 형성되고, 변압기 부싱(1)의 일측에 구비된 부싱탭(1a)에 상단부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단부에 상부 결합탭(251a)이 형성된 탭결합부(250)와, 이 탭결합부(250)와 직교되게 상기 제1몸체(23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L'자 형태가 되게 결합되어 누설전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누설전류 진단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200)는,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와 직교되게 탭분기부(230)의 몸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절연열화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절연열화 측정부(270)와, 이 절연열화 측정부(27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연열화 측정부(270)를 보호하는 보호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탭분기부(230), 탭결합부(250), 누설전류 진단부(210),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보호부(29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며 결합되도록 각 내부의 중심에는 도체부재(215,233,235,253,277,29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탭분기부(230), 탭결합부(250), 누설전류 진단부(210),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보호부(290)의 각 몸체(213,231,251,271,295)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도체부재(215,233,235,253,277,297)와 탭분기부(230), 탭결합부(250), 누설전류 진단부(210),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보호부(290)의 몸체(213,231,251,271,295) 사이에는 도면에는 전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217,25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탭결합부(250)는 탭분기부(230)의 제1몸체(231)의 상부에 설치되고, 누설전류 진단부(210)는 상기 제1몸체(231)의 일 측부에 설치되되 탭결합부(250)와 함께 'L'자 형태가 되게 설치되며,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보호부(290)는 상기 제1몸체(231)의 정면부(또는 배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탭분기부(230)는, 제1몸체(231)와, 이 제1몸체(231)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탭결합부(250)와 결합되게 하는 상부탭(237)과, 상기 제1몸체(231) 일 측부로 돌출 구비되어 누설전류 진단부(210)와 결합되게 하는 측부탭(239)과, 상기 제1몸체(231) 내부 중심에 설치되되 상부탭(237) 외부로 돌출되어 탭결합부(25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수직 도체부재(235)와, 상기 제1몸체(231) 내부 중심에 설치되되 측부탭(239) 외부로 돌출되어 누설전류 진단부(21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수평 도체부재(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231), 상부탭(237) 및 측부탭(239) 내부에는 수직 도체부재(235)와 수평 도체부재(233)를 감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연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탭분기부(230)에 탭결합부(250)와 누설전류 진단부(210)가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L'자 형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탭결합부(250)와 누설전류 진단부(210)가 결합되는 결합부위에는,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는 스페이서(spacer)(209,219,257a,257b)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209,219,257a,257b)의 형성으로 내부의 도체부재(215,253)나 절연부재(217,255)를 적절하게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하며, 작동의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탭결합부(250)와 누설전류 진단부(210)의 도체부재(215,253)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단부에는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탄성 가능하게 구비된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내부의 빈 공간에는 도체 스프링(220)이 구비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결합부(250)는, 제2몸체(251)와, 이 제2몸체(251) 중심에 설치된 제2도체부재(253)와, 이 제2도체부재(253)와 제2몸체(251) 사이에 설치되어 절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2절연부재(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도체부재(253)의 내부로 상부 및 하부에는 스페이서(257a,257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체부재(253)의 양 결합단부에는 제2도체부재(253)와 수직 도체부재(235)가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부싱탭(1)의 단자(미도시)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제1탄성부(253a)가 형성되고, 이 제1탄성부(253a)의 내부의 빈 공간(253b)에는 도체 스프링(220)이 구비되어 상기 수직 도체부재(235)와 단자와의 접속과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는, 도 4,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탭분기부(230)의 제1몸체(231)의 내부(230a)의 정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면부로 돌출 설치된 제3몸체(271)와, 이 제3몸체(271)의 길이 방향으로 그 내부에 제3몸체(271)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절연열화 측정장비(40)와 연결되게 구비된 제3도체부재(2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도체부재(277)는 수평 도체부재(2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도체부재(277)와 제3몸체(271) 사이에는 절연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절연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는, 도 4,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분기부(230)의 제1몸체(231)에 돌출 구비된 측부탭(239)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접속부재(210a)와, 이 접속부재(210a)의 타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 누설전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누설전류 진단장치(20)와 연결되게 커넥터(211)가 구비된 누설전류 진단부재(2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210a)는, 일단부가 탭분기부(230)의 측부탭(239)에 연결되게 구비된 제4탭부(213c)와 타단부가 누설전류 진단부재(210b)와 결합되는 플랜지부(213a)가 구비된 제4몸체(213)와, 이 제4몸체(213)의 길이 방향으로 그 내부에 설치된 제4도체부재(215)와, 이 제4도체부재(215)의 외부면에 제4몸체(213) 사이에 설치되어 제4도체부재(215)를 절연되게 하는 제4절연부재(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도체부재(215)의 단부에는 수평 도체부재(233)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2탄성부(215a)가 구비되고, 이 제2탄성부(215)의 내부의 빈 공간(215b)에는 도체 스프링(220)이 구비되어 제4도체부재(215)와 수평 도체부재(233)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재(210b)는, 일단은 상기 접속부재(210a)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211)가 결합되게 구비된 결합바디(201)와, 이 결합바디(201)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은 접속부재(210a) 내부의 제4도체부재(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211)와 연결되는 보호회로(205)와, 상기 결합바디(201) 내부에 충진되어 보호회로(205)의 외부를 감싸 절연되게 하는 충진절연재(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211)는 N형 커넥터가 적용되며, 차폐기능이 있는 동축케이블(미도시)과 연결되고, 이 동축케이블은 어댑터(200)의 후단에 연결되는 인출선으로서, 부싱(1) 누설전류 진단장치(20, 도 1 참조)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211)는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반대편에 리드단자(211a)가 구비되어 있고, 이 리드단자(211a)는 상기 보호회로(205)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205)는 접속부재(210a)의 제4도체부재(215)의 연장부(215c)와 연결된다.
이러한 보호회로(205)와 리드단자(211a) 및 연장부(215c)와의 연결은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도체부재(215)의 제2탄성부(215a) 주변에는 스페이서(219)가 형성되어 제4도체부재(215)와 제4절연부재(217)를 적절하게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하며, 작동의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290)는, 절연열화 측정부(27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모자(cap) 형태로 이루어진 방수 캡(291)과, 이 방수 캡(291)의 내부 공간(291a)에 설치되어 상기 제3도체부재(27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구비된 쇼트 캡(short cap)(29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쇼트 캡(290a)은, 제3몸체(271)와 결합되게 구비된 케이스(293)와, 이 케이스(293)에 설치된 제5몸체(295)와, 이 제5몸체(295)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3도체부재(27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된 제5도체부재(2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모자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방수 캡(291)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쇼트 캡(290a)에 이물질(예컨대, 비(rain))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방수 기능), 쇼트 캡(290a)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그리고 도 8과 도 9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233a와 235b는 수평 도체부재(233)와 수직 도체부재(235)의 끝단부에 돌출된 돌출부로써, 상기 제1탄성부(253a)와 2탄성부(215a)에 결합되는 결합부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203은 각 부재의 탭부에 체결되어 상기 부재들을 연결하는 너트부재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또한, 도면번호 207은 각 부재를 체결하는 볼트 또는 스크루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209는 스페이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전력설비가 설치된 현장 환경상 부싱 절연열화 측정 및 진단시스템을 검교정 진행하기 위해서 어댑터를 탈거한 후, 재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많은 시간의 소요와 함께 잦은 탈착으로 부싱탭의 나사산이 마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전력설비 고장을 증가시킬 개연성이 항시 존재하므로, 개선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어댑터(10,10a)의 경우에는, 부싱(1)의 절연열화 측정 및 누설전류 진단장치 검교정시에는 부싱(1)의 부싱탭(1a)에서 어댑터(10,10a)를 분리해야만 시험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현장에서 부싱(1)의 절연열화 측정 및 누설전류 진단장치에 대한 검교정 진행시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내지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200)를 적용하면, 부싱(1)에서 상기 어댑터(200)를 분리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부싱의 절연열화 측정 및 누설전류 진단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200)는, 3방향으로 분기된 탭분기부(230)의 제1몸체(231)에 탭결합부(250), 누설전류 진단부(210),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보호부(290)를 모두 구비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하고, 기존의 어댑터(10,10a)가 길이가 길어져 부싱플랜지 밖으로 튀어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도 11은 현장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200)를 부싱(1)의 부싱탭(1a)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 기존과 달리 개선된 어댑터(200)는 부싱(1)의 플랜지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200)에 누설전류 진단부(210)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절연열화 측정부(270)에 보호부(290)를 체결하여 어댑터(200)에 누설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절연열화 측정 등 누설전류 회로를 개방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에서 보호부(290)를 분리함으로써 노출된 제3도체부재(277)에 절연열화 측정장비(40)를 접속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200)는, 종래처럼 부싱(1)의 절연열화 측정 및 누설전류 진단시에 부싱(1)에서 어댑터(200)를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즉, 종래에는 부싱(1)의 절연열화 측정 및 누설전류 진단시에 부싱(1)에서 해당 어댑터(10,10a)를 부싱(1)에서 반복하여 분리 및 체결함으로써, 조립 불량으로 인한 어댑터(10,10a)의 나사산에 불량이 발생되고, 부싱탭(1a)에 연결된 동축케이블의 결선이 잘 안되어 풀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발명에 따른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200)를 적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부싱
200. 어댑터
210. 누설전류 진단부
230. 탭분기부
231. 제1몸체
250. 탭결합부
270. 절연열화 측정부
290. 보호부

Claims (10)

  1. 3방향으로 분기되고, 분기 단부에 탭부(237,239)가 형성된 제1몸체(231)가 구비된 탭분기부(230)와;
    상기 제1몸체(231)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23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하부 결합탭(251b)이 형성되고, 변압기 부싱(1)의 일측에 구비된 부싱탭(1a)에 상단부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단부에 상부 결합탭(251a)이 형성된 탭결합부(250)와;
    상기 탭결합부(250)와 직교되게 상기 제1몸체(23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L'자 형태가 되게 결합되어 누설전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누설전류 진단부(210)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와 직교되게 상기 제1몸체(23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절연열화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절연열화 측정부(270)와;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를 보호하는 보호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탭분기부(230), 상기 탭결합부(250),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상기 보호부(290)는, 서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며 결합되도록 각 내부의 중심에는 도체부재(215,233,235,253,277,297)가 구비되되,
    상기 탭부(237,239)는, 상기 제1몸체(231)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탭결합부(250)와 결합되게 하는 상부탭(237)과, 상기 제1몸체(231) 일 측부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와 결합되게 하는 측부탭(23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분기부(230), 상기 탭결합부(250),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상기 보호부(290)의 각 몸체(213,231,251,271,295)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도체부재(215,233,235,253,277,297)와 상기 탭분기부(230), 상기 탭결합부(250),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상기 보호부(290)의 몸체(213,231,251,271,295)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217,255)가 구비되며,
    상기 탭결합부(250)는 상기 제1몸체(23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는 상기 제1몸체(231)의 일 측부에 설치되되, 상기 탭결합부(250)와 함께 'L'자 형태가 되게 설치되며,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 및 상기 보호부(290)는 상기 제1몸체(231)의 정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는,
    상기 제1몸체(231)에 돌출 구비된 측부탭(239)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접속부재(210a)와;
    상기 접속부재(210a)의 타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연결되고, 그 타단부에 누설전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누설전류 진단장치(20)와 연결되게 커넥터(211)가 구비된 누설전류 진단부재(210b);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는,
    일단부가 상기 제1몸체(231)의 내부(230a)의 정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면부로 돌출 설치된 제3몸체(271)와;
    상기 제3몸체(271)의 길이 방향으로 그 내부에 상기 제3몸체(271)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절연열화 측정장비(40)와 연결되게 구비된 제3도체부재(277);를 포함하되,
    상기 제3도체부재(277)는 수평 도체부재(2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도체부재(277)와 상기 제3몸체(271)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설치되어 절연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290)는,
    상기 절연열화 측정부(27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모자(cap) 형태로 이루어진 방수 캡(291)과;
    상기 방수 캡(29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3도체부재(27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구비된 쇼트 캡(290a);을 포함하되,
    상기 쇼트 캡(290a)은,
    상기 제3몸체(271)와 결합되게 구비된 케이스(293)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제5몸체(295)와;
    상기 제5몸체(295)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3도체부재(27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된 제5도체부재(297);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결합부(250)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가 결합되는 결합부위에는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는 스페이서(209,219,257a,257b)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209,219,257a,257b)의 형성으로 내부의 도체부재(215,253)나 절연부재(217,255)를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결합부(250)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210)의 도체부재(215,253)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단부에는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탄성 가능하게 구비된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내부의 빈 공간에는 도체 스프링(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210a)는,
    일단부가 상기 측부탭(239)에 연결되게 구비된 제4탭부(213c)와 타단부가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재(210b)와 결합되는 플랜지부(213a)가 구비된 제4몸체(213)와;
    상기 제4몸체(213)의 길이 방향으로 그 내부에 설치된 제4도체부재(215)와;
    상기 제4도체부재(215)와 상기 제4몸체(21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4도체부재(215)를 절연되게 하는 제4절연부재(217);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진단부재(210b)는,
    일단은 상기 접속부재(210a)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211)가 결합되게 구비된 결합바디(201)와;
    상기 결합바디(201)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접속부재(210a) 내부의 제4도체부재(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211)와 연결되는 보호회로(205)와;
    상기 결합바디(201)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보호회로(205)의 외부를 감싸 절연되게 하는 충진절연재(203);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53305A 2021-04-23 2021-04-23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KR10237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05A KR102378205B1 (ko) 2021-04-23 2021-04-23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05A KR102378205B1 (ko) 2021-04-23 2021-04-23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205B1 true KR102378205B1 (ko) 2022-03-25

Family

ID=8093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305A KR102378205B1 (ko) 2021-04-23 2021-04-23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2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0481A (ja) * 2010-06-24 2012-01-12 Swcc Showa Cable Systems Co Ltd ケーブル接続装置および耐電圧試験方式
KR20180003199U (ko) * 2017-05-02 2018-11-1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측정용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0481A (ja) * 2010-06-24 2012-01-12 Swcc Showa Cable Systems Co Ltd ケーブル接続装置および耐電圧試験方式
KR20180003199U (ko) * 2017-05-02 2018-11-1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측정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4279B2 (en) Partial discharge detection test link, partial dischar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on a power cable
CN101615497A (zh) 变压器与电流传感器的一体连接结构
WO2016190823A1 (en) Link box with built-in partial discharge sensor
WO2019194754A1 (en) Link box with built-in insulator type voltage divider and inductive partial discharge sensor
KR101692638B1 (ko) 크로스 링크 자기수축형 열화진단 케이블 접속재
KR102378205B1 (ko)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CN109116200B (zh) 一种内置甚高频局放传感装置的高压电缆绝缘接头
KR102380282B1 (ko) 부싱 어댑터를 이용한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장치
KR102146972B1 (ko) 지하 전력 케이블의 부분 방전 모니터링
KR102312704B1 (ko) 부싱 어댑터를 이용한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장치
KR102312569B1 (ko)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진단 및 절연열화 측정 겸용 어댑터
CN216215756U (zh) 10kV柱上开关的自动化终端验收装置
CN117501135A (zh) 对绝缘电力电缆系统的功能可靠性评估
KR102089180B1 (ko) 가스절연개폐기용 부분방전 진단장치
CN108710005B (zh) 介损局放传感器结构及容性高压电器设备检测机构
CN109378652B (zh) 一种电缆连接器
KR102624121B1 (ko) 지상변압기 케이블 vlf 진단용 절연부싱
CN110879305A (zh) 一种避雷器在线监测接线箱
KR102355644B1 (ko) 권선저항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30027308A (ko) 브이엘에프 피디 및 티디 진단용 케이블 플러그
CN204855624U (zh) 容性设备末屏电流无损取样装置
KR102530465B1 (ko) 전력케이블의 부분방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접속부의 부분방전 진단 방법
US20030157823A1 (en) Hermetically sealed nuclear instrumentation connector
CN220105190U (zh) 应力锥检验装置
CN220752250U (zh) 一种单相转三相的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