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495B1 -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 Google Patents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495B1
KR102377495B1 KR1020200108822A KR20200108822A KR102377495B1 KR 102377495 B1 KR102377495 B1 KR 102377495B1 KR 1020200108822 A KR1020200108822 A KR 1020200108822A KR 20200108822 A KR20200108822 A KR 20200108822A KR 102377495 B1 KR102377495 B1 KR 102377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shell
fixing
fixed bod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7670A (ko
Inventor
박관식
박민우
Original Assignee
박관식
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관식, 박민우 filed Critical 박관식
Priority to KR102020010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4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2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using contruction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9Reducing the effects of electromagnetic noise on the functioning of hearing aids, by, e.g. shielding, signal processing adaptation, selective (de)activation of electronic parts in hearing a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귀에 꽂아지는 제1 영역의 외경 및 내경이 그 반대에 위치하는 페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영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쉘의 내부 공간에 리시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은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을 향하여 삽입되며, 제1 영역의 홀의 직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리시버를 쉘의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고정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청기의 쉘에 리시버를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링을 통하여 쉘의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리시버의 파손을 방지하여 보청기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Receiver pocket for fixing hearing aid}
본 발명은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청기의 쉘에 리시버를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충격으로부터 리시버를 보호할 수 있는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일종의 확성장치로서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장착하는 기구로서,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진동으로 변환한 후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따라 증폭기로 확대하여 리시버를 통해 음파로 출력한다.
이러한 보청기는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입력받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및 증폭된 소리를 내보내는 리시버로 이루어진다.
보청기의 종류는 그 모양 및 크기에 따라 몸에 부착하는 포켓형, 귀 뒤로 거는 귀걸이형, 외이도 입구를 일부 채우는 외이도형 및 외이도 내로 완전히 넣어 타인의 눈에 잘 뛰지 않는 고막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보청기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있다.
한편, 보청기에는 마이크로 폰을 통해 수신된 소리를 증폭시키는 리시버가 구비된다. 이러한 리시버를 쉘 안에 고정시킬 때에, 길쭉하게 형성되는 리시버 안내장치를 리시버의 종단에 접착제로 결합시킨 후에 쉘에 삽입하여 리시버를 쉘 안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리시버 안내장치를 리시버에 접착제로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리시버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리시버 안내장치를 통해 리시버를 안내하는 중에 리시버와 분리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리시버를 안내한 후에도 쉘 안에 리시버가 안정적으로 고정이 된 상태이지 확인이 어려우며, 안정적으로 고정이 안된 경우에는 리시버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리시버를 쉘의 내부로 편리하게 안내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5793호, 2016년 1월 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청기의 쉘에 리시버를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충격으로부터 리시버를 보호할 수 있는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에 꽂아지는 제1 영역의 외경 및 내경이 그 반대에 위치하는 페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영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쉘의 내부 공간에 리시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은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을 향하여 삽입되며, 제1 영역의 홀의 직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리시버를 쉘의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고정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리시버 고정용 포켓은 쉘에 삽입되는 고정몸체의 종단에 제1 영역에 형성되는 홀을 관통하여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고정몸체를 쉘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몸체;를 더 포함하며, 안내몸체는 연장방향을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몸체를 쉘의 내부로 안내한 후에 쉘의 바깥에서 고정몸체와 분리되어 고정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리시버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몸체는 고정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쉘의 내주면에 고정몸체를 밀착시키고 외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링을 구비하며, 충격흡수링은 고정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은 보청기의 쉘에 리시버를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링을 통하여 쉘의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리시버의 파손을 방지하여 보청기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이 적용된 보청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의 안내몸체가 제거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이 적용된 보청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의 안내몸체가 제거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이 적용된 보청기는 이어팁(110), 쉘(120), 페이스 플레이트(130) 및 고정 포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리시버를 쉘(120)에 견고하면서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어팁(110)은 쉘(12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어팁(110)은 쉘(120)과 결합된 후에 귀 속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복수의 연질팁(111)이 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판막(111)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이어팁(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어 귓속에 삽입된 후에 견고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쉘(120)은 귀의 삽입방향의 종단에 위치하여 귀에 꽂아지는 제1 영역(121)의 외경 및 내경이 그 반대에 위치하여 페이스 플레이트(130)와 결합되는 제2 영역(12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쉘(120)은 외주면에 이어팁(110)과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복수의 고리홈(123)이 외주면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종단에 설치되는 이어팁 고정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이어팁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쉘(120)은 페이스 플레이트(13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페이스 플레이트(130)와 결합되는 면에 결합구(122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1221)는 쉘(120)과 페이스 플레이트(130)가 결합되는 접촉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돌기형성의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소정간격으로 연속해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쉘(120)을 페이스 플레이트(130)에서 분리할 때에 간편한 분리를 통해서 간편한 조립 및 수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청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닌 기술자로도 쉽게 분리하여 안전하게 수리를 할 수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130)는 일측면이 쉘(12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쉘(12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130)는 쉘(120)과 결합되는 면에 링홈(1311)이 형성되고, 쉘(120)에는 링홈(1311)에 탈부착 결합될 수 있는 탈부착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포켓(140)은 쉘(120)의 종단에 형성된 제1 영역(121)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정몸체(141) 및 안내몸체(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몸체(141)는 쉘(1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리시버(R)를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고정몸체(141)는 양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에 제1 홀(1411)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 홀(1412)이 형성된다. 이때, 제2 홀(1412)은 리시버(R)가 삽입되는 입구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홀(1411)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제1 홀(1411)은 제2 홀(141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홀(1412)을 통해 리시버(R)가 삽입된 후에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시버(R)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리시버(R)에 구비되는 스피커 영역이 제1 홀(1411)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고정몸체(141)는 외주면에 둘레면의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링(1413)을 구비할 수 있다. 충격흡수링(1413)은 쉘(120)의 내주면에 고정몸체(141)를 밀착시킬 수 있어 보청기를 떨어뜨렸을 때 보청기의 리시버(R)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켜 리시버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리시버(R)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정몸체(141)의 종단에는 쉘(120)의 제1 영역(121)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고정몸체(141)를 쉘(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링(1414)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몸체(141)는 전체적으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고정링(1414)이 늘어지면서 홀에 결합된 후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링(1414)이 홀에 고정되면, 정확한 고정몸체(141)의 고정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링(1414)은 중앙에 홀이 형성된 안내몸체(142)가 제거된 후에 리시버(R)에서 전달되는 소리를 홀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안내몸체(142)는 쉘(120)에 삽입되는 고정몸체(141)의 종단에서 연장되어 고정몸체(141)를 쉘(120)의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안내몸체(142)는 연장방향을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몸체(141)를 쉘(120)의 내부로 안내한 후에 쉘(120)의 바깥에서 고정몸체(141)에서 분리되어 고정몸체(141)에 배치된 리시버(R)의 안정적인 배치를 유도할 수 있다.
고정 포켓(140)은 고정몸체(141)와 안내몸체(142)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리시버(R)를 쉘의 내부에 고정시킬 때에 리시버의 종단에 접착제로 결합시킨 후에 쉘에 삽입하여 리시버를 쉘 안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후에 쉘에 삽입하여 리시버를 쉘 안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리시버 안내장치는 본원발명과 다르게 리시버 안내장치를 리시버에 접착제로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리시버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리시버 안내장치를 통해 리시버를 안내하는 중에 리시버와 분리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리시버를 안내한 후에도 쉘 안에 리시버가 안정적으로 고정이 안되고 리시버가 흔들릴 수 있으며, 보청기가 바닥에 떨어지기 되면 충격으로 인해서 리시버가 분리되거나 고장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원발명은 안내몸체(142)와 리시버를 고정하는 고정 포켓(140)이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몸체(142)를 통해 안정적으로 쉘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으며, 고정 포켓(140)의 내부에 리시버가 고정되고, 외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링(1413)을 통해 충격에도 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보호할 수 있어 보청기(1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이어팁 120 : 쉘
130 : 페이스 플레이트 140 : 고정 포켓
141 : 고정몸체 142 : 안내몸체

Claims (3)

  1. 귀에 꽂아지는 제1 영역이 그 반대에 위치하는 페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영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쉘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리시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고정 포켓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을 향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1 영역의 홀 직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시버를 상기 쉘의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의 종단에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홀을 관통하여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고정몸체를 상기 쉘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몸체는,
    연장방향을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를 상기 쉘의 내부로 안내한 후에 상기 쉘의 바깥에서 상기 고정몸체와 분리되어 상기 고정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리시버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고정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쉘의 내주면에 상기 고정몸체를 밀착시키고 외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링을 구비하며,
    상기 충격흡수링은,
    상기 고정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KR1020200108822A 2020-08-27 2020-08-27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KR102377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22A KR102377495B1 (ko) 2020-08-27 2020-08-27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22A KR102377495B1 (ko) 2020-08-27 2020-08-27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670A KR20220027670A (ko) 2022-03-08
KR102377495B1 true KR102377495B1 (ko) 2022-03-23

Family

ID=8081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22A KR102377495B1 (ko) 2020-08-27 2020-08-27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4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9206A (ja) * 2006-10-23 2008-05-08 Star Micronics Co Ltd 挿入型イヤホン
KR101748168B1 (ko) * 2016-05-11 2017-06-16 박관식 쉘 및 실리콘 슬리브 팁이 상호 탈부착 용이한 듀얼 마이크형 보청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793B1 (ko) 2014-09-30 2016-01-15 정금필 스마트 보청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9206A (ja) * 2006-10-23 2008-05-08 Star Micronics Co Ltd 挿入型イヤホン
KR101748168B1 (ko) * 2016-05-11 2017-06-16 박관식 쉘 및 실리콘 슬리브 팁이 상호 탈부착 용이한 듀얼 마이크형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670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989B2 (en) Earset
US8462971B2 (en) Ear mold with adapter seal
US8971545B2 (en) Earpiece
JP2018522504A (ja) インイヤ型ヘッドホンによる雑音低減
EP3058761B1 (en) Suspension for a hearing device receiver
WO2001024579A3 (en) Insert earphone assembly for audiometric test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200221205A1 (en) In-ear earphone including drum safety filter path
KR102377495B1 (ko) 보청기용 리시버 고정 포켓
US9025807B2 (en) Couplable hearing apparatus for a hearing device, coupling element and hearing device
US10820124B2 (en) Suspension assembly for hearing aid receiver
US20170358291A1 (en) Feedback microphone adaptor for noise canceling headphone
US11095964B2 (en) Bone-conduction earphone microphone
FR2638071A1 (fr) Dispositif d'ecoute pour un casque de protection
US20080304674A1 (en) Hearing device test adapter
KR102443165B1 (ko)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JP5091711B2 (ja) 耳垢侵入防止チップ及び補聴器
EP3664466A1 (en) An earphone with an active noise cancelling feedback microphone arranged at the rear-side of a speaker diaphrag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n earphone
DK2180725T3 (da) Høretelefonindretning med svingningsfrakoblet høretelefon
KR102377507B1 (ko) 페이스 플레이트의 연결구조
KR102020330B1 (ko) 이어폰 어셈블리
US11711642B2 (en) Earphones
JP2003125476A (ja) イアホン
KR102430360B1 (ko) 멀티 이어팁
US20100098277A1 (en) Receiver facility with a moveable receiver
US20160270959A1 (en) Ear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