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342B1 - 블록의 움직임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의 움직임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342B1
KR102377342B1 KR1020200057698A KR20200057698A KR102377342B1 KR 102377342 B1 KR102377342 B1 KR 102377342B1 KR 1020200057698 A KR1020200057698 A KR 1020200057698A KR 20200057698 A KR20200057698 A KR 20200057698A KR 102377342 B1 KR102377342 B1 KR 10237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ock
cell size
measuring
spacer gri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0921A (ko
Inventor
장영기
김순기
이학인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34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G21C3/3424Fabrication of spacer gr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접촉블록과 가동블록, 가동블록을 움직이는 구동부와 가동블록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측정부 등을 구비하여 간단하고 정밀하게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의 움직임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Measurement apparatus for determining cell size of nuclear fuel assembly spacer gri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직접 측정 장치를 셀 내부에 삽입하여 접촉식으로 지지격자의 셀 크기를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핵연료집합체에서 지지격자는 연료봉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핵연료의 연소가 진행되면서, 연료봉은 원자로의 고속 유동장 내에 배치되어 진동과 마모가 발생하고, 중성자 조사로 인해 성장, 휨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지지격자가 연료봉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가는 핵연료의 건전성을 좌우하는 핵심 인자이다.
지지격자의 셀크기는 연료봉의 지지성능에 영향을 주며, 셀크기는 지지격자 셀의 중앙 높이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맞은편 상하부에 위치하는 딤플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도1 참조) 연료봉 지지성능은 핵연료의 연소 중 중성자 조사로 인하여 점차 변화하므로, 이를 판단하기 위해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측정한다. 핵연료의 연소 후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측정하여 연료봉의 건전성 등 특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상기 특성은 연소성능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
지지격자의 셀크기는 핵연료집합체로부터 연료봉을 제거한 뒤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저장조 내에서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나, 정밀측정이 필요한 경우는 핫셀 시험시설로 이송하여 안내관 및 계측관을 절단하고 측정한다. 그러나 방사화된 부품 등을 외부(ex. 핫셀 시험시설)로 이송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측정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핫셀 시험시설이 아닐 경우, 물이 가득 찬 저장조 내에 보관된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은 쉽지 않으며 국내는 발전소 저장조 내에서 셀크기를 측정해본 경험이 없다. 따라서, 간편한 방식으로 정밀하게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의 개선이 필요하다.
제10-1244865호(2013.03.12.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개선한 핵연료집합체의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조 내에 보관된 핵연료집합체의 지지격자 셀크기를 간단하고 정밀하게 측정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관통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지격자 스프링 또는 지지격자 딤플과 접촉할 수 있는 돌출면을 구비하는 접촉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블록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촉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가동블록 및 상기 가동블록의 직선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블록은 상기 돌출면의 반대 측에 제1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블록은 상기 제1 경사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접촉블록을 수평 이동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블록은 상기 제1 경사면에 접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접촉블록을 수평 이동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수직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블록이 상기 수직 가이드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접촉블록이 상기 수평 가이드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블록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블록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힘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 방법은, 상기 측정 장치를 지지격자 셀에 삽입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측정 장치의 접촉블록이 지지격자의 스프링 또는 딤플에 닿을 때까지 가동블록을 삽입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가동블록의 삽입 깊이를 측정하여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계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격자를 핫셀 시험시설로 이송하지 않고, 저장조 내에서 셀크기를 측정할 수 있어 종래 대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절약된다.
또한, 측정에 걸리는 시간이 감소하므로 설계반영을 위한 피드백이 곧바로 가능하며 연구 시간 단축의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장치의 제작이 용이한 반면 고장 우려가 적으며, 선형변위 변환기의 사용으로 측정값의 정확도는 향상된다.
도1은 지지격자 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를 지지격자 셀에 삽입하여 셀크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를 지지격자 셀에 삽입하여 셀크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1은 지지격자 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3은 셀크기 측정장치(100)를 물리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측정장치(100)는 내부에 중공(111)이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중공(111)에 위치하며 수평 이동을 통해 지지격자 스프링(11) 또는 딤플(12)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블록(120)과 상기 접촉블록(120)에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는 가동블록(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중공(111)이 구비되어 그 안에서 접촉블록(120)과 가동블록(130)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관통부(112)가 구비되어 접촉블록(120)의 일면이 상기 관통부(112)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된다. 접촉블록(120)은 하우징(110) 안에서 수평으로 움직이고, 가동블록(130)은 하우징(110) 안에서 수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상기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수평 가이드(113)와 수직 가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또는 수직 가이드는 하우징(110)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홈과 접촉블록(120) 또는 가동블록(130)에 구비된 돌기로 표현되었다. 상기 돌기가 홈을 따라 움직여 가이드 되는 방식이며, 그 외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할 수 있는 공지의 가이드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시, 하우징(110)이 지지격자 셀의 내부로 삽입되며, 하우징(110)은 이에 적절한 길이 또는 너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격 조정에 의해 하우징(110)을 지지격자의 셀 내부로 삽입시키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수단은 기계 구동에 관한 공지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접촉블록(120)은 하우징(110)의 관통부(11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지지격자 스프링(11) 또는 지지격자 딤플(12)과 접촉할 수 있는 돌출면(121)과 상기 돌출면(121)의 반대 측에 제1 경사면(122)를 구비한다. 접촉블록(120)은 전술한 수평 가이드(113)를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수평 방향 움직임은 가동블록(130)의 움직임에 따른다. 즉, 가동블록(130)이 하우징(110)의 상부로부터 중공(111)에 삽입되어 접촉블록에(120)에 힘을 가하고, 그에 의해 접촉블록(120)이 수평으로 움직인다.
접촉블록(120)에서 제1 경사면(122)은 돌출면(112)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가동블록(130)에 의해 힘을 받는 면에 해당한다. 제1 경사면(122)은 접촉블록(120)의 단면이 아래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경사는 가동블록(130)에 형성된 경사와 대응되어 서로 면접한다.
가동블록(130)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며, 가동블록(130)이 하우징(110)에 삽입될수록 접촉블록(120)을 바깥으로 밀어 외부로 돌출시킨다. 수직 방향 움직임은 전술한 수직 가이드(114)를 따르며, 가동블록(130)을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수단인 구동부(140)에 의해 움직인다. 구동부(140)는 원격으로 동작 가능한 기계적 구성으로서 전력을 사용하여 가동블록(130)의 직선 방향 움직임을 제어한다. 구동부(140)는 가동블록(130)을 움직일 수 있는 수단으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가동블록(130)은 제1 경사면(122)에 대응된 제2 경사면(131)을 구비한다. 제2 경사면(131)은 가동블록(130)의 수평 단면이 아래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가동블록(130)이 쐐기형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블록(130)을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하면, 제1 경사면(122)과 제2 경사면(131)이 접하게 되고, 더 삽입하면 제2 경사면(131)이 제1 경사면(122)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접촉블록(120)을 하우징(110)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접촉블록(120)은 지지격자의 스프링(11) 또는 딤플(12)과 접촉될 때까지 가동블록(130)에 밀려 이동할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셀크기 측정장치(100)를 지지격자 셀에 넣은 뒤 접촉블록(120)이 스프링(11)에 접촉될 때까지 가동블록(130)을 하우징(110)에 삽입한 것이다. 도4b를 참조하면, 가동블록(130)에 의해 접촉블록(120)이 외부로 더 돌출되어 지지격자 스프링(11)에 접촉하고 있다.
지지격자 셀크기는 스프링과 딤플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데, 가동블록(130)이 삽입된 깊이를 측정하여 지지격자 셀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측정장치(100)는 가동블록(130)의 삽입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부(160)와 가동블록에 가해진 힘을 측정하는 힘측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측정부(160) 또는 힘측정부(150)에서 측정된 값으로 지지격자 셀크기를 연산하는 연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측정부(160)는 구동부(140)가 가동블록(130)을 움직일 때, 가동블록(130)이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가동블록(130)에 눈금을 형성하여 눈금을 읽는 방식에 의하거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센서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선형 가변 변위 변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측정부(160)는 구동부(140) 또는 가동블록(130)에 연결되며, 측정방식 또는 센서의 타입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힘측정부(150)는 가동블록(130)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수단이다. 힘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를 구비하여 구동부(140)에서 가동블록(130)에 가하는 힘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힘측정부(150)를 구비함으로써, 가동블록(130)의 이동거리에 따른 힘의 변화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힘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접촉블록(120)이 움직이는 상태일 때 힘 측정값과 접촉블록(120)이 스프링(11) 또는 딤플(12)에 접촉되었을 때 힘 측정값은 서로 다를 것이므로 작용하는 힘이 변화하는 시점에 접촉블록(120)이 접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힘측정부(150)는 구동부(140) 또는 가동블록(130)에 연결되며, 측정방식 또는 센서의 타입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연산부(170)는 변위측정부(160) 또는 힘측정부(150)에서 측정된 값으로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산출한다. 지지격자의 셀크기는 가동블록(130)이 삽입된 깊이로부터 연산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제2 경사면(131)의 각도(A)가 도시된다. 가동블록(130)이 움직인 거리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접촉블록(120)의 수평 방향 위치 변화를 계산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두께를 고려하여 셀크기를 산출한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048775805-pat00001
W: 지지격자의 셀크기
Figure 112020048775805-pat00002
: 접촉블록 폭 길이
Figure 112020048775805-pat00003
: 가동블록 삽입 깊이
Figure 112020048775805-pat00004
: 하우징의 두께
A: 제2 경사면의 각도
가동블록(130)을 하우징(110)에 삽입하면서, 가동블록(130)의 수직 방향 변위와 힘이 모니터링된다. 접촉블록(120)이 스프링(11) 또는 딤플(12)에 접촉되면 가동블록(130)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고 그 시점에서 가동블록(130)의 삽입 깊이를 이용하여 지지격자 셀크기를 산출한다.
가동블록(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의 일정 위치에서부터 그 움직인 거리가 측정된다. 가동블록(130)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기준점은 일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동블록(130)과 하우징(110)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수학식 1 공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셀크기가 정해진 지지격자에 측정장치(100)를 실험하여 검정하고, 산출된 셀크기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200)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접촉블록(220)이 두 개이며, 하우징(210)의 양 측면에 관통부가 구비되어 각 접촉블록(220)이 하우징(210)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구비하며, 가동블록(230)을 삽입할수록 접촉블록(220)이 더 돌출되어 스프링(11) 또는 딤플(12)에 닿을 수 있다. 따라서, 가동블록(230)의 삽입 깊이에 따른 접촉블록(220)의 수평 방향 이동거리를 환산하여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100)를 예로하여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방법을 아래 설명한다.(도4a, 도4b 참조)
먼저, 측정 장치(100)를 지지격자 셀에 삽입한다. 측정 장치(100)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기계 장치에 의해 지지격자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구동부(140)를 작동하여 가동블록(130)을 하우징(110)으로 삽입한다. 가동블록(130)이 삽입되면서 접촉블록(120)은 하우징(110)의 바깥으로 점점 돌출되며, 접촉블록(120)이 스프링(11) 또는 딤플(12)에 접촉할 때까지 가동블록(130)을 삽입한다. 가동블록(130)을 삽입하는 과정 중 변위측정부(160)와 힘측정부(150)는 가동블록(130)의 삽입 깊이와 가동블록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한다. 접촉블록(120)이 스프링(11) 또는 딤플(12)에 접촉하면, 가동블록(130)에 작용하는 힘이 증가하며 해당 시점에 가동블록(130)의 삽입 깊이를 확인한다. 연산부(170)는 측정된 가동블록(130)의 삽입 깊이로 연산하여 지지격자 셀크기를 산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 셀 11: 스프링
12: 딤플
10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
110: 하우징 111: 중공
112: 관통부 113: 수평 가이드
114: 수직 가이드 120: 접촉블록
121: 돌출면 122: 제1 경사면
130: 가동블록 131: 제2 경사면
140: 구동부 150: 힘측정부
160: 변위측정부 170: 연산부
20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
210: 하우징 213: 수평 가이드
214: 수직 가이드 220: 접촉블록
221: 돌출면 230: 가동블록
240: 구동부 250: 힘측정부
260: 변위측정부 270:연산

Claims (10)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관통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지격자 스프링 또는 지지격자 딤플과 접촉할 수 있는 돌출면을 구비하는 접촉블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블록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촉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가동블록; 및
    상기 가동블록의 직선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블록은 상기 돌출면의 반대 측에 제1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블록은 상기 제1 경사면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접촉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블록은 상기 제1 경사면에 접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접촉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직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블록이 상기 수직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접촉블록이 상기 수평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블록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블록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힘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장치.
  8. 제3항의 측정 장치를 이용한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를 지지격자 셀에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측정 장치의 접촉블록이 지지격자의 스프링 또는 딤플에 닿을 때까지 가동블록을 삽입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가동블록의 삽입 깊이를 측정하여 지지격자의 셀크기를 계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가동블록을 하우징에 삽입시키면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가동블록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는 시점의 상기 가동블록의 삽입 깊이를 측정하여 지지격자 셀크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격자 셀크기 측정방법.
KR1020200057698A 2020-05-14 2020-05-14 블록의 움직임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237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98A KR102377342B1 (ko) 2020-05-14 2020-05-14 블록의 움직임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98A KR102377342B1 (ko) 2020-05-14 2020-05-14 블록의 움직임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21A KR20210140921A (ko) 2021-11-23
KR102377342B1 true KR102377342B1 (ko) 2022-03-23

Family

ID=7869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98A KR102377342B1 (ko) 2020-05-14 2020-05-14 블록의 움직임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3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94064A1 (en) 2015-12-31 2017-07-06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asurement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pressive loading that will be applied to a fuel rod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2389B1 (fr) * 1993-11-12 1996-01-26 Fbfc Dispositif de mesure de la force exercée par un ressort de grille.
KR101244865B1 (ko) 2011-07-08 2013-03-1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지지격자 폭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94064A1 (en) 2015-12-31 2017-07-06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asurement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pressive loading that will be applied to a fuel rod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21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012B1 (ko) 핵연료집합체의 핵연료봉 외경 측정장치
CN103364182B (zh) 一种高温环境下测试片弹簧刚度的装置
JP2017009587A (ja) 造波装置および造波方法
US4728483A (en) Apparatus for integrated fuel assembly inspection system
JP6011486B2 (ja) 材料試験機
KR102377342B1 (ko) 블록의 움직임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US9640285B2 (en) Probe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oxide layer of fuel rod
CN105180763A (zh) 混凝土结构钢筋保护层厚度检测环境校准装置及操作方法
JP5515036B2 (ja) 応力保持装置およびx線回折装置
CN103267477A (zh) 可调节变阻式结构面三维形貌测量装置
US107538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ication and calibration of hamburg wheel tracker devices
CN100521143C (zh) 载台装置
KR102379429B1 (ko) 롤러를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CN104457565A (zh) 一种缺陷尺寸测量装置和方法
US5661766A (en) Nuclear fuel assembly bow and twist measurement apparatus
KR100933210B1 (ko) 슬라이드 레일의 외측홈 측정장치
CN209432325U (zh) 一种建筑结构中木板本体承载力检测设备
CN109839312B (zh) 空气中系泊缆静态刚度标定装置
KR102412794B1 (ko) 탄성을 이용한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셀크기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CN113739680B (zh) 一种河道自动测量护坡平整度的标尺
JPH0587976A (ja) 核燃料バンドルのスペ―サのスプリング力を測定するゲ―ジ
CN203365097U (zh) 摩擦力测试仪
CN206848114U (zh) 沥青针入度仪
RU2543677C1 (ru) Измеритель искривления трубчатого канала
KR20240001936A (ko) 진직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직도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