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936B1 - 미용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용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936B1
KR102376936B1 KR1020210117100A KR20210117100A KR102376936B1 KR 102376936 B1 KR102376936 B1 KR 102376936B1 KR 1020210117100 A KR1020210117100 A KR 1020210117100A KR 20210117100 A KR20210117100 A KR 20210117100A KR 102376936 B1 KR102376936 B1 KR 10237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unit
housing
heat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택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주)아스테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스테라시스 filed Critical (주)아스테라시스
Priority to KR102021011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936B1/ko
Priority to PCT/KR2021/013782 priority patent/WO2023033230A1/ko
Priority to CN202180097435.0A priority patent/CN11724186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52Body part for treatment of skin or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Peltier element,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8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 A61F2007/028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duri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미용관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미용관리장치는: 내부에 매질이 수용되고,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부; 홀더부에 결합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및 하우징부를 냉각시키도록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용관리장치{BEAUTY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미용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발생부의 과열을 방지하고, 피부 접촉부가 저온으로 유지되어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미용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을 마사지하는 수단에 의해 피부노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피부미용기구가 많이 제안된다. 미용기구는 피부미용, 물리치료, 비만관리 등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미용기구는 피부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증가시키고 피부가 리프팅되게 한다. 또한, 미용기구는 초음파가 피하지방까지 도달되어 피하지방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도 상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미용기구는 미용기구 내부에 초음파 발생부(160)가 발열됨에 따라 하우징이 뜨겁게 가열되므로, 미용기구의 사용시간이 제한된다. 또한, 하우징의 피부 접촉부가 가열되면, 피부 접촉부가 피부를 가열하여 통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3643호(2014.02.05. 공개, 발명의 명칭 : 피부미용기구)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 발생부의 과열을 방지하고, 피부 접촉부가 저온으로 유지되어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미용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는: 내부에 매질이 수용되고,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홀더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바디부; 상기 하우징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조사되는 하우징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 바디부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부와 상기 냉각부에 연결되는 열전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부, 상기 하우징 커버부 및 상기 열전도부는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부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냉각부에 접촉되는 접촉 패널부; 및 상기 하우징 바디부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 패널부에서 연장되는 열전도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부의 외측면에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 패널부에는 상기 평면부에 접촉되도록 평면 형태의 열전도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접촉 패널부에 냉각면부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펠티어소자일 수 있다.
상기 미용관리장치는 상기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에서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발열면부에 접촉되는 방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발열면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방열공간부가 형성되는 방열블록; 상기 방열공간부에 방열매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는 공급관부; 및 상기 방열공간부에서 방열매체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펠티어소자일 수 있다.
상기 미용관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발열면부에서 열을 방열시키도록 복수의 상기 발열면부에 접촉되는 방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닛은, 복수의 상기 발열면부에 접촉되고, 내부에 방열공간부가 형성되는 방열블록; 상기 방열공간부에 방열매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는 공급관부; 및 상기 방열공간부에서 방열매체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펠티어소자는 상기 방열블록의 외측면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부가 하우징부를 냉각시키므로, 하우징부의 접촉부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초음파 발생부가 초음파를 조사할 때에 피부가 하우징부의 냉기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가 냉각됨에 따라 열에 의한 통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부가 초음파 발생부를 냉각시키므로,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부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부가 초음파 발생부를 냉각시키므로, 초음파 발생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용관리장치의 사용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용관리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미용관리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100)는 하우징부(110), 홀더부(150), 초음파 발생부(160) 및 냉각부(17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내부에 매질이 수용되고,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매질이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부(121)가 형성된다. 매질로는 초음파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투과되는 초순수(DI water)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10)는 알루미늄 재질과 같은 열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다.
홀더부(15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홀더부(150)는 하우징부(110)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매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홀더부(150)는 초음파 발생부(16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초음파 발생부(160)는 홀더부(150)에 결합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초음파 발생부(160)로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제시한다. 트랜스듀서는 고강도집속초음파(HIFU)를 발생한다. 초음파 발생부(16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킨 후 초음파를 포커싱하여 피부에 조사한다. 초음파 발생부(160)는 매질과 접촉됨에 따라 매질에 의해 냉각되므로, 초음파 발생부(160)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고, 미용관리장치(100)의 사용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냉각부(170)는 하우징부(110)를 냉각시키도록 하우징부(110)에 설치된다. 냉각부(170)가 하우징부(110)를 냉각시키므로, 하우징부(110)의 접촉부(131)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초음파 발생부(160)가 초음파를 조사할 때에 피부가 하우징부(110)의 냉기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가 냉각됨에 따라 열에 의한 통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부(110)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170)는 냉각매체를 순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거나, 전기를 공급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소자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하우징 바디부(120), 하우징 커버부(130) 및 열전도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부(120)에는 홀더부(150)가 수용된다. 하우징 바디부(120)에는 복수의 체결홀부(123)가 형성된다. 하우징 바디부(120)의 일측에는 매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초음파가 투과할 수 있도록 밀폐용 필름부(125)가 설치된다. 밀폐용 필름부(125)는 하우징 바디부(120)의 하측에 적층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부(130)는 하우징 바디부(120)에 결합되고, 초음파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조사된다. 하우징 커버부(130)의 일측에는 피부에 접촉되어 초음파를 조사하도록 접촉부(131)가 형성된다. 접촉부(131)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부(130)에는 복수의 후크부(133)가 형성되고, 하우징 바디부(120)의 하측에는 후크부(133)가 걸려 구속되도록 구속부(126)가 형성된다.
열전도부(140)는 하우징 바디부(120)를 냉각시키도록 하우징 바디부(120)와 냉각부(170)에 연결된다. 열전도부(140)에는 복수의 관통홀부(145)가 형성되고, 하우징 바디부(120)에는 관통홀부(145)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체결홀부(123)가 형성된다. 체결부재(146)가 관통홀부(145)를 통과하여 체결홀부(123)에 체결됨에 따라 열전도부(140)가 하우징 바디부(120)에 결합된다. 열전도부(140)가 하우징 바디부(120)와 냉각부(170)에 연결되므로, 냉각부(170)의 냉각 에너지가 열전도부(140)를 통해 하우징 바디부(120)와 하우징 커버부(130)에 전도된다. 하우징 바디부(120)가 열전도부(140)에 의해 냉각됨에 따라 하우징 바디부(120)에 수용된 매질이 냉각된다. 또한, 하우징 바디부(120)가 하우징 커버부(130)에 냉각 에너지를 전도함에 따라 하우징 커버부(130)의 접촉부(131)가 냉각되므로, 피부가 하우징 커버부(130)에 의해 냉각됨에 따라 열에 의한 통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홀더부(150)는 수용 공간부(121)가 형성되는 홀더 바디부(151)와, 홀더 바디부(151)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리드부(153)와, 리드부(153)와 홀더 바디부(151)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도록 리드부(153)와 홀더 바디부(151)에 개재되는 실링부(154)를 포함한다. 리드부(153)는 수용 공간부(121)를 커버하도록 판형태로 형성되고, 실링부(154)는 리드부(153)의 둘레를 따라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리드부(153)에는 수용 공간부(121)에 매질을 주입하도록 주입부(155)가 형성되고, 주입부(155)는 마개부(156)에 의해 폐쇄된다. 리드부(153)에는 복수의 홀더 체결부(152)가 형성되고, 복수의 홀더 체결부(152)는 하우징 바디부(120)의 홈부(127)에 체결된다. 이때, 실링부(154)는 하우징 바디부(120)와 리드부(153) 사이의 틈새를 실링한다.
하우징 바디부(120), 하우징 커버부(130) 및 열전도부(140)는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예들 들면, 하우징 바디부(120), 하우징 커버부(130) 및 열전도부(14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냉각부(17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열전도부(140)를 통해 하우징 바디부(120)와 하우징 커버부(130)에 전도되어 초음파 발생부(160)를 냉각시키고, 피부를 냉각시키면서 피부 치료나 미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170)의 냉기가 매질을 통해 초음파 발생부(160)를 냉각시키므로, 초음파 발생부(16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초음파 발생부(160)의 구동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용관리장치(100)의 사용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부(110)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전도부(140)는 하우징 바디부(120)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설치된다. 복수의 열전도부(140)가 하우징 바디부(120)를 냉각시키므로, 하우징 바디부(120)가 전체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도부(140)를 통해 열전달 경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열전도부(140)의 설치 개수는 초음파 발생부(160)의 용량이나 미용관리장치(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열전도부(140)는 냉각부(170)에 접촉되는 접촉 패널부(141)와, 하우징 바디부(12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접촉 패널부(141)에서 연장되는 열전도 패널부(142)를 포함한다. 접촉 패널부(141)는 냉각부(170)의 냉각면부(171)에 밀착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고, 열전도 패널부(142)는 하우징 바디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다. 접촉 패널부(141)와 열전도 패널부(142)는 직각이나 거의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열전도 패널부(142)는 하우징 바디부(12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부(120)의 외측면에 평면부(122)가 형성되고, 열전도 패널부(142)에는 평면부(122)에 접촉되도록 평면 형태의 열전도면부(143)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부(110)와 열전도 패널부(142)의 열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바디부(120)의 외측면에 복수의 열전도핀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열전도 패널부(142)에 열전도핀부에 끼워지도록 열전도홈부(127)(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우징 바디부(120)와 열전도 패널부(142)의 접촉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170)는 접촉 패널부(141)에 냉각면부(171)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펠티어소자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펠티어소자는 접촉 패널부(141)에 냉각면부(171)가 안착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접촉 패널부(141)에 크기가 큰 펠티어소자가 하나 안착되거나 접촉 패널부(141)에 크기가 작은 펠티어소자가 복수 개가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펠티어소자의 개수는 펠티어소자의 용량, 초음파 발생부(160)의 용량 및 미용관리장치(10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미용관리장치(100)는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172)에서 열을 방열시키도록 발열면부(172)에 접촉되는 방열유닛(180)을 더 포함한다. 방열유닛(180)이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172)에 접촉되므로,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172)에서 열이 신속하게 방열될 수 있다. 따라서, 펠티어소자의 냉각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유닛(180)은 방열블록(181), 공급관부(185) 및 배출관부(186)를 포함한다.
방열블록(181)은 발열면부(172)에 안착되고, 내부에 방열공간부(182)가 형성된다. 방열블록(181)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방열공간부(182)에는 방열매체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방열핀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급관부(185)는 방열공간부(182)에 방열매체를 공급하도록 방열블록(181)에 연결된다. 공급관부(185)는 방열블록(181)에서 하우징부(110)의 반대측에 연결된다. 공급관부(185)는 미용관리장치(100)의 냉각탱크에 연결된다. 냉각탱크에는 방열매체가 수용되고, 방열매체를 냉각시키도록 라디에이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배출관부(186)는 방열공간부(182)에서 방열매체를 배출시키도록 방열블록(181)에 연결된다. 배출관부(186)는 방열블록(181)에서 하우징부(110)의 반대측에 연결된다. 배출관부(186)는 미용관리장치(100)의 냉각탱크에 연결된다.
공급관부(185)는 방열매체를 방열블록(181)에 공급하고, 방열블록(181)에서 열교환된 방열매체는 배출관부(186)를 통해 냉각탱크에 배출된다. 따라서,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172)의 열기가 방열블록(181)을 통해 방열매체에 방출됨에 따라 펠티어소자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관리장치(100)는 하우징부(110), 홀더부(150), 초음파 발생부(160) 및 냉각부(17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내부에 매질이 수용되고,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매질이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부(121)가 형성된다. 매질로는 초음파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투과되는 초순수(DI water)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10)는 알루미늄 재질과 같은 열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다.
홀더부(15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홀더부(150)는 하우징부(110)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매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홀더부(150)는 초음파 발생부(16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초음파 발생부(160)는 홀더부(150)에 결합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초음파 발생부(160)로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제시한다. 트랜스듀서는 고강도집속초음파(HIFU)를 발생한다. 초음파 발생부(16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킨 후 초음파를 포커싱하여 피부에 조사한다. 초음파 발생부(160)는 매질과 접촉됨에 따라 매질에 의해 냉각되므로, 초음파 발생부(160)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냉각부(170)는 하우징부(110)를 냉각시키도록 하우징부(110)에 설치된다. 냉각부(170)가 하우징부(110)를 냉각시키므로, 하우징부(110)의 접촉부(131)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초음파 발생부(160)가 초음파를 조사할 때에 피부가 하우징부(110)의 냉기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가 냉각됨에 따라 열에 의한 통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부(110)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170)는 냉각매체를 순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거나, 전기를 공급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소자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이러한 냉각부(170)는 냉각매체를 순환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거나, 전기를 공급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소자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하우징 바디부(120), 하우징 커버부(130) 및 열전도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부(120)에는 홀더부(150)가 수용된다. 하우징 바디부(120)에는 복수의 체결홀부(123)가 형성된다. 하우징 바디부(120)의 일측에는 매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초음파가 투과할 수 있도록 밀폐용 필름부(125)가 설치된다. 밀폐용 필름부(125)는 하우징 바디부(120)의 하측에 적층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부(130)는 하우징 바디부(120)에 결합되고, 초음파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조사된다. 하우징 커버부(130)의 일측에는 피부에 접촉되어 초음파를 조사하도록 접촉부(131)가 형성된다. 접촉부(131)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부(130)에는 복수의 후크부(133)가 형성되고, 하우징 바디부(120)의 하측에는 후크부(133)가 걸려 구속되도록 구속부(126)가 형성된다.
열전도부(140)는 하우징 바디부(120)를 냉각시키도록 하우징 바디부(120)와 냉각부(170)에 연결된다. 열전도부(140)에는 복수의 관통홀부(145)가 형성되고, 하우징 바디부(120)에는 관통홀부(145)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체결홀부(123)가 형성된다. 체결부재(146)가 관통홀부(145)를 통과하여 체결홀부(123)에 체결됨에 따라 열전도부(140)가 하우징 바디부(120)에 결합된다. 열전도부(140)가 하우징 바디부(120)와 냉각부(170)에 연결되므로, 냉각부(170)의 냉각 에너지가 열전도부(140)를 통해 하우징 바디부(120)와 하우징 커버부(130)에 전도된다. 하우징 바디부(120)가 열전도부(140)에 의해 냉각됨에 따라 하우징 바디부(120)에 수용된 매질이 냉각된다. 또한, 하우징 바디부(120)가 하우징 커버부(130)에 냉각 에너지를 전도함에 따라 하우징 커버부(130)의 접촉부(131)가 냉각되므로, 피부가 하우징 커버부(130)에 의해 냉각됨에 따라 열에 의한 통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홀더부(150)는 수용 공간부(121)가 형성되는 홀더 바디부(151)와, 홀더 바디부(151)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리드부(153)와, 리드부(153)와 홀더 바디부(151)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도록 리드부(153)와 홀더 바디부(151)에 개재되는 실링부(154)를 포함한다. 리드부(153)는 수용 공간부(121)를 커버하도록 판형태로 형성되고, 실링부(154)는 리드부(153)의 둘레를 따라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리드부(153)에는 수용 공간부(121)에 매질을 주입하도록 주입부(155)가 형성되고, 주입부(155)는 마개부(156)에 의해 폐쇄된다. 리드부(153)에는 복수의 홀더 체결부(152)가 형성되고, 복수의 홀더 체결부(152)는 하우징 바디부(120)의 홈부(127)에 체결된다. 이때, 실링부(154)는 하우징 바디부(120)와 리드부(153) 사이의 틈새를 실링한다.
하우징 바디부(120), 하우징 커버부(130) 및 열전도부(140)는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예들 들면, 하우징 바디부(120), 하우징 커버부(130) 및 열전도부(14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냉각부(17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열전도부(140)를 통해 하우징 바디부(120)와 하우징 커버부(130)에 전도되어 초음파 발생부(160)를 냉각시키고, 피부를 냉각시키면서 피부 치료나 미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170)의 냉기가 매질을 통해 초음파 발생부(160)를 냉각시키므로, 초음파 발생부(16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초음파 발생부(160)의 구동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용관리장치(100)의 사용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발생부(16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부(110)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부(170)는 냉각부(170)는 하우징부(110)의 일측에 하우징부(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펠티어소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펠티어소자는 하우징부(110)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펠티어소자의 개수는 펠티어소자의 용량, 초음파 발생부(160)의 용량 및 미용관리장치(10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열전도부(140)는 하우징 바디부(120)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설치된다. 복수의 열전도부(140)가 하우징 바디부(120)를 냉각시키므로, 하우징 바디부(120)가 전체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도부(140)를 통해 열전달 경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열전도부(140)의 설치 개수는 초음파 발생부(160)의 용량이나 미용관리장치(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열전도부(140)는 냉각부(170)에 접촉되는 접촉 패널부(141)와, 하우징 바디부(12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접촉 패널부(141)에서 연장되는 열전도 패널부(142)를 포함한다. 접촉 패널부(141)는 냉각부(170)의 냉각면부(171)에 밀착되도록 수직하게 배치되고, 접촉 패널부(141)와 열전도 패널부(142)는 하우징 바디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다. 접촉 패널부(141)와 열전도 패널부(142)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 바디부(120)의 외측면에 평면부(122)가 형성되고, 열전도 패널부(142)에는 평면부(122)에 접촉되도록 평면 형태의 열전도면부(143)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부(110)와 열전도 패널부(142)의 열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바디부(120)의 외측면에 복수의 열전도핀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열전도 패널부(142)에 열전도핀부에 끼워지도록 열전도홈부(127)(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우징 바디부(120)와 열전도 패널부(142)의 접촉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미용관리장치(100)는 복수의 발열면부(172)에서 열을 방열시키도록 복수의 발열면부(172)에 접촉되는 방열유닛(180)을 더 포함한다. 방열유닛(180)이 복수의의 발열면부(172)에 접촉되므로, 복수의 발열면부(172)에서 열이 신속하게 방열될 수 있다. 따라서, 펠티어소자의 냉각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유닛(180)은 방열블록(181), 공급관부(185) 및 배출관부(186)를 포함한다.
방열블록(181)은 복수의 발열면부(172)에 안착되고, 내부에 방열공간부(182)가 형성된다. 방열블록(181)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방열공간부(182)에는 방열매체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방열핀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181)은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172)가 밀착되도록 사각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공급관부(185)는 방열공간부(182)에 방열매체를 공급하도록 방열블록(181)에 연결된다. 공급관부(185)는 방열블록(181)에서 하우징부(110)의 반대측에 연결된다. 공급관부(185)는 미용관리장치(100)의 냉각탱크(미도시)에 연결된다. 냉각탱크에는 방열매체가 수용되고, 방열매체를 냉각시키도록 라디에이터(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배출관부(186)는 방열공간부(182)에서 방열매체를 배출시키도록 방열블록(181)에 연결된다. 배출관부(186)는 방열블록(181)에서 하우징부(110)의 반대측에 연결된다. 배출관부(186)는 미용관리장치(100)의 냉각탱크에 연결된다.
공급관부(185)는 방열매체를 방열블록(181)에 공급하고, 방열블록(181)에서 열교환된 방열매체는 배출관부(186)를 통해 냉각탱크에 배출된다. 따라서,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172)의 열기가 방열블록(181)을 통해 방열매체에 방출됨에 따라 펠티어소자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미용관리장치 110: 하우징부
120: 하우징 바디부 121: 수용 공간부
122: 평면부 123: 체결홀부
125: 밀폐용 필름부 126: 구속부
127: 홈부 130: 하우징 커버부
131: 접촉부 133: 후크부
140: 열전도부 141: 접촉 패널부
142: 열전도 패널부 143: 열전도면부
145: 관통홀부 146: 체결부재
147: 결합홀부 150: 홀더부
151: 홀더 바디부 152: 홀더 체결부
153: 리드부 154: 실링부
155: 주입부 156: 마개부
160: 초음파 발생부 170: 냉각부
171: 냉각면부 172: 발열면부
180: 방열유닛 181: 방열블록
182: 방열공간부 183: 방열핀부
184: 결합부재 185: 공급관부
186: 배출관부

Claims (13)

  1. 내부에 매질이 수용되고,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측면에 평면부가 형성된 홀더 바디부를 구비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냉각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홀더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바디부;
    상기 하우징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조사되는 하우징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 바디부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부와 상기 냉각부에 연결되는 열전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냉각부에 접촉되는 접촉 패널부; 및
    상기 하우징 바디부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 패널부에서 연장되는 열전도 패널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바디부의 외측면에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 패널부에는 상기 하우징 바디부의 평면부에 접촉되도록 평면 형태의 열전도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접촉 패널부에 냉각면부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펠티어소자이고, 상기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에서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발열면부에 접촉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바디부의 평면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부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부의 평면부는 상기 열전도면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관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부, 상기 하우징 커버부 및 상기 열전도부는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부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관리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발열면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방열공간부가 형성되는 방열블록;
    상기 방열공간부에 방열매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는 공급관부; 및
    상기 방열공간부에서 방열매체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관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소자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복수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관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펠티어소자의 발열면부에서 열을 방열시키도록 복수의 상기 발열면부에 접촉되는 방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관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복수의 상기 발열면부에 접촉되고, 내부에 방열공간부가 형성되는 방열블록;
    상기 방열공간부에 방열매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는 공급관부; 및
    상기 방열공간부에서 방열매체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관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펠티어소자는 상기 방열블록의 외측면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관리장치.
KR1020210117100A 2021-09-02 2021-09-02 미용관리장치 KR10237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00A KR102376936B1 (ko) 2021-09-02 2021-09-02 미용관리장치
PCT/KR2021/013782 WO2023033230A1 (ko) 2021-09-02 2021-10-07 미용관리장치
CN202180097435.0A CN117241860A (zh) 2021-09-02 2021-10-07 美容护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00A KR102376936B1 (ko) 2021-09-02 2021-09-02 미용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936B1 true KR102376936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00A KR102376936B1 (ko) 2021-09-02 2021-09-02 미용관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76936B1 (ko)
CN (1) CN117241860A (ko)
WO (1) WO202303323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214B1 (ko) * 2013-12-13 2014-05-14 심영호 수랭식 냉각 구조를 갖는 초음파 시술 장치
KR20140144420A (ko) * 2013-06-11 2014-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641309B1 (ko) * 2015-07-07 2016-07-20 (주)클래시스 방열부재가 결합된 카트리지
KR101648837B1 (ko) * 2015-07-07 2016-08-17 (주)클래시스 냉각기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KR20190023842A (ko) * 2017-08-30 2019-03-08 권승열 과도 집속 방지 기능을 갖는 초점 가변형 hifu 어셈블리
KR20190063723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리센스메디컬 냉각 장치 및 그 방법
KR102165047B1 (ko) * 2020-03-04 2020-10-13 이가연 냉각부가 구비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420A (ko) * 2013-06-11 2014-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394214B1 (ko) * 2013-12-13 2014-05-14 심영호 수랭식 냉각 구조를 갖는 초음파 시술 장치
KR101641309B1 (ko) * 2015-07-07 2016-07-20 (주)클래시스 방열부재가 결합된 카트리지
KR101648837B1 (ko) * 2015-07-07 2016-08-17 (주)클래시스 냉각기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KR20190023842A (ko) * 2017-08-30 2019-03-08 권승열 과도 집속 방지 기능을 갖는 초점 가변형 hifu 어셈블리
KR20190063723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리센스메디컬 냉각 장치 및 그 방법
KR102165047B1 (ko) * 2020-03-04 2020-10-13 이가연 냉각부가 구비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41860A (zh) 2023-12-15
WO2023033230A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369B1 (ko) 초음파 치료 도포기
KR101985569B1 (ko) 미용 기구
KR100851274B1 (ko) 국소 피부마취장치를 위한 프로브
KR101840279B1 (ko) 찜질사우나마스크
KR101457666B1 (ko) 냉각 기능을 가진 초음파 트랜스듀서
JP2005317746A5 (ko)
WO2023045658A1 (zh) 美容仪、接触式美容仪和皮肤保养组件
KR100556230B1 (ko) 자기 치료기용 코일 냉각장치
KR20180024882A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안면 냉온 찜질 장치
KR101641309B1 (ko) 방열부재가 결합된 카트리지
KR102376936B1 (ko) 미용관리장치
KR20180087488A (ko) 초음파 시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시스템
KR101325569B1 (ko) 공냉식과 수냉식으로 열을 방열시켜 주는 방열싱크 어셈블리
KR20240004565A (ko) 제모기
KR20210158629A (ko) 초점 가변형 초음파 치료장치
KR101720107B1 (ko) 냉마사지 기구 냉각장치
JP6994543B2 (ja) 脱毛器及び半導体冷却片
KR20080090136A (ko) 피부관리기
KR101668613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복합 미용 기기
JP4325026B2 (ja) 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CN219538646U (zh) 冷热敷头
KR20150106050A (ko) 열전 소자를 이용한 냉수/온수 제조기
KR20200031372A (ko) 전력변환장치
KR20010045825A (ko) 냉매를 이용한 열전달 장치
CN219166629U (zh) 一种脱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