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871B1 - Water Supply Device For Stall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Device For St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871B1
KR102376871B1 KR1020210078881A KR20210078881A KR102376871B1 KR 102376871 B1 KR102376871 B1 KR 102376871B1 KR 1020210078881 A KR1020210078881 A KR 1020210078881A KR 20210078881 A KR20210078881 A KR 20210078881A KR 102376871 B1 KR102376871 B1 KR 10237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case
uni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홍대
강남규
전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
탁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 탁동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
Priority to KR102021007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8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8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y-to-manage water supplier for a barn, which facilitates cold water supply to livestock. The water supplier includes: a cooling unit including a heat exchanger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us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unit and a refrigerant-based cooling cycle; and the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water supply stand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case storing water inside; a first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case and causing water movement to the cooling unit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for water movement after cooling by the cool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st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Further included is a water control unit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pip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unit case. The water supply stand has a side surface provided with a water inflow pipe extending into the water supply unit cas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case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st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stan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upply pipe opening height of the water control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water supply stand is immersed i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case.

Description

축사용 급수기{Water Supply Device For Stall}Water Supply Device for Livestock{Water Supply Device For Stall}

본 발명은 축사에서 기르는 가축에게 물을 공급하는 축사용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급수대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여름철의 환경에서 시원한 물을 공급하는 축사용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stock waterer for supplying water to livestock raised in a livestock barn,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vestock waterer for supplying cool water in a summer environment while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water fountain.

일반적으로 다수의 가축을 가두어 기르는 축사에서 사용하는 급수대는 축사의 일측에 배치되어 가축들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을 담아 놓는 용기를 의미하며, 통상 축사에서는 축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급수대를 설치한다. 급수통에 직접 물을 공급하거나 수도 시설을 이용하여 물이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a watering stand used in a barn that confines and rears a large number of livestock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barn and refers to a container that holds water so that the livestock can drink water. . Water is supplied directly to the water supply tank or water can be supplied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by using a water supply facility.

그런데, 급수대는 오염의 여지가 있으며, 이의 처리에는 노동력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여름철의 경우에는 급수통 내부의 수온이 상승하여 미생물이 쉽게 번식함으로써 가축이 질병에 걸릴 수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fountain is subject to contamination, and labor is required for its treat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mm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rises, and microorganisms can easily multiply, thereby causing disease in livestock.

이에 특허문헌 1 과 같은 축사용 급수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 은 급수대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가축에게 일정 온도의 깨끗한 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급수대의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기 때문에 급수대의 이물이 순환 유로에 들어올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거름망이 있다고 하더라도 거름망의 크기가 크면 순환 유로에 이물이 유입되어 오염되며, 거름망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축사 운영자에게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Accordingly, a water supply device for livestock such as Patent Document 1 has been developed. Patent Document 1 intends to provide clean water at a certain temperature to livestock by continuously circulating water from a drinking fountain. However, since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tation is continuously circulated, there is a risk tha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ter supply station may enter the circulation passage. In small cases, continuous management is required, which inevitably places a burden on the livestock barn operator.

한편, 여름철의 고온의 기후는 가축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며, 이를 경감해주기 위하여 냉수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ot climate in summer acts as a stress to livestock, and it is necessary to supply cold water to alleviate this.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784388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8438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가 쉬우면서 가축에게 냉수를 제공하기에 용이한 축사용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vestock waterer that is easy to manage and provides cold water to livestock.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축사용 급수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supply for livestock as follow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는 냉매를 통한 냉각 사이클 및 물공급부로부터 전달된 물을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부; 및 상면이 개방된 급수대 및 물공급원에 연결되 공급관을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공급부 케이스,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부로 물이 이동되는 제 1 연결관과 상기 냉각부에서 냉각된 물이 이동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물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대는 측면에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 내부로 연장하는 물유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이 상기 급수대로 공급되며, 적어도 급수대의 일부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상기 급수대의 저면은 상기 물 조절부의 공급관 개방 높이보다 낮게 위치한다.The livestock wate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ling unit including a cooling cycle through a refrigerant and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water transferr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with the refrigerant; and a water supply unit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supply cas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 water supply cas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ase, and the water moves to the cooling unit a first connection pipe to be used, a second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cooled by the cooling unit is moved, and the water supply st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wherein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case It further includes a water control unit to open and close,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inlet pipe extending into the water supply unit case on a side surfac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case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unit is the water.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stan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opening height of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control unit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ly unit case.

일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평면 상에서 상기 물공급부와 다른 위치에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oling unit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at a different location on a plane.

일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대와 연결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높게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일단부는 상기 급수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서 상기 급수대에 연결되며, 상기 타단부는 상기 물 조절부의 공급관 개방 높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fountain is higher than the other end and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fountain at a certain height away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fountain, and the other end is the supply pipe of the water control unit It can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open height.

일실시예에서, 상기 물유입관은 내부에 일방향 밸브가 배치되며, 상기 냉각부 및 상기 물공급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는 물공급부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물의 온도를 측정하게 배치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제 1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냉각부의 열교환부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순환 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inlet pipe has a one-way valve disposed therei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s arrang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side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a circulation pump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ase to the heat exchange unit of the cool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irculation pump of the circulation pump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You can control the ac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대는 버켓형상이며,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에는 복수의 급수대가 일열로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has a bucket shape, an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units may be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일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은 다른 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혹은 상기 급수대는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se may be separable from the other surface or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se.

일실시예에서, 상기 냉각 사이클은 증발기, 응축기, 펌프 및 팽창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 사이클이 내부에 배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냉각부 케이스 및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 케이스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는 연결되며, 상기 팬 및 응축기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oling cycle includes an evaporator, a condenser, a pump and an expansion valve, and the cooling unit includes a cooling unit case having an opening disposed therein and a fan for cooling the condenser, The cooling unit case and the water supply unit cas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an and the condense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결관, 제 2 연결관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연결관은 상기 냉각부와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서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positions in the water supply cas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ase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cooling unit. there i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관리부담이 적으면서도 가축에게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축사용 급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vestock waterer capable of supplying cold water to livestock while reducing the management burden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에서 냉각부 및 물공급부의 일부를 전개한 부분 전개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물공급부의 급수대의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ter supply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developed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cooling unit and a water supply unit in the water supply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upper', 'upper', 'upper surface', 'lower', 'lower', 'lower surface', 'side', etc.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in fact, elements or components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s placed.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 내지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에서 냉각부 및 물공급부의 일부를 전개한 부분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5 에는 본 발명의 물공급부의 급수대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to 5 show an embodiment of a water dispenser fo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vestock wate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livestock wate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ly developed view in which a cooling unit and a water supply unit are partially developed in the livestock water feeder according to an example is shown, and FIGS. 4 and 5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1)는 가축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0)와 상기 물공급부(10)의 측면, 즉, 평면상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물공급부(10)의 물(W)을 냉각하면서 순환시키는 냉각부(30)를 포함한다. 1 to 3 , the livestock water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ter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water to livestock and a sid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10, that is, different from the plane. It is disposed at the position, and includes a cooling unit 30 that circulates while cooling the water (W) of the water supply unit (10).

물공급부(10)는 상면이 개방되어 가축이 접근가능한 급수대(12)와 물탱크 혹은 수도와 같은 물공급원(WS)에 연결된 공급관(18)을 포함하며, 냉각부(30)는 상기 물공급부(10)에 연결된 관을 통하여 순환되는 물이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냉매가 순환되는 냉각 사이클(32)을 포함한다. The water supply unit 10 includes a water supply station 12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ccessible to livestock, and a supply pipe 18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WS) such as a water tank or water supply, and the cooling unit 30 is the water supply unit ( 10) includes a cooling cycle 32 in which the refrigerant circulates so that the water circulated through the tube connected to the tube can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물공급부(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공급부 케이스(11),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부로 물이 이동되는 제 1 연결관(13)과 상기 냉각부(30)에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물이 이동되는 제 2 연결관(14),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의 상면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대(12)를 포함한다. 축사용 급수기(1)는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공급밸브(70)를 포함하는 물 조절부(20)를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1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ase 11, the water supply case 11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the water is moved to the cooling unit. The first connection pipe 13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14 through which the cooled water is transferred by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in the cooling unit 30, and the water supply stand 12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se 11 includes The livestock waterer 1 further includes a water control unit 20 including a supply valve 70 that opens and closes the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

물공급부(10)는 6면이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이 내부 공간에 상기 물공급원(WS)과 연결되는 공급관(18), 냉각부(30)로 물을 유출 혹은 냉각부(30)로부터 물을 유입시키는 제 1 및 제 2 연결관(13, 14)이 연결된다. 내부 공간은 물이 채워질 수 있어서 일종의 물 탱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10 has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water supply unit case 11 on six sides, and in this interior space, water is supplied to the supply pipe 18 and the cooling unit 3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W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 and 14 for introducing water from the outlet or cooling unit 30 are connected. The interior space can be filled with water, thus serving as a kind of water tank.

물공급부 케이스(11)의 상면(11a)에는 급수대(12)가 연결되는데, 상기 상면(11a)에 형성된 관통공(11b)에 상기 급수대(12)가 삽입되며, 상기 급수대(12)는 일부분이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채워진 물(W)에 잠길 수 있다. 급수대(12)는 버켓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축이 물을 섭취하기에 용이한 구조라면 다른 구조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급수대(12)는 상기 상면(11a)에서 복수개가 일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복수열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 water source 12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1a of the water supply case 11, and the water source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b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1a, and the water source 12 is partially It can be submerged in the water (W) fill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The water fountain 12 may be configured in a bucket shape, and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as long as the structure is easy for livestock to consume water. A plurality of water fountains 12 may be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surface 11a, and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f necessary.

급수대(12)는 측면과 저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경계가 모호한 경우에는 가장 하측 부분을 중심으로 수평에 가까운 면을 저면으로, 수직에 가까운 면을 측면으로 볼 수도 있다. 버켓형 급수대(12)의 경우 저면(12b)이 아닌 측면(12c)에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채워진 물(W)이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는 물유입관(12a)이 연결된다. 상기 물유입관(12a)은 상기 급수대(12)와 연결된 일단부(12e)가 타단부(12f)보다 높게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일단부(12e)는 상기 급수대(12)의 저면(12b)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서 상기 급수대(12)에 연결된다. 상기 물유입관(12a) 안에는 일방향 밸브(12d)가 배치되어, 물유입관(12a) 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만이 가능하고 물유입관(12a)을 통하여 급수대(12) 내부의 물이 외부로 물이 빠져나오지는 못한다. The water fountain 12 may include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nd when the boundary is ambiguous, a surface close to a horizontal plane may be viewed as a bottom surface, and a surface close to a vertical surface may be viewed as a side surface around the lowermost part. In the case of the bucket-type water fountain 12, it extend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supply case 11 so that the water W fill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can flow into the side 12c rather than the bottom 12b. The water inlet pipe 12a is connected. The water inlet pipe 12a has one end 12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higher than the other end 12f, and the one end 12e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t is separated from (12b) by a certain height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tation (12). A one-way valve 12d is disposed in the water inlet pipe 12a, so that only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inlet pipe 12a, and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stand 12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2a to the outside. Water cannot escape.

급수대(12)는 상면(11a)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면(11a) 전체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로부터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대(12)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 급수대(12)를 분리 혹은 상면(11a)을 분리하여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water supply station 12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upper surface 11a, or alternatively, the entire upper surface 11a may be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case 11 . When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t is also possible to clean the water supply station 12 by removing the water supply station 12 or removing the upper surface 11a.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에는 배수밸브(80)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밸브(80)를 개패하기 위한 레버(미도시)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의 외면에는 제어부(60), 상기 제어부(60)와 연결된 표시 및 조작부(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축사용 급수기(1)의 동작을 조절하거나 동작 상태를 보여줄 수 있다. 다르게 제어부(60)는 통신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 혹은 사용자 단말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급수기(1)를 조작할 수 있다. A drain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ase 11 , and a drain valve 80 is provided in the drain pipe, and a leve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valve 8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ase 11 . can be provided in In addition, a control unit 60 and a display and manipulation unit 5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11 , and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1 for livestock by a user's operation can be adjusted or the operation status can be displaye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6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may provide information to a server or a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a user may operate the water dispenser 1 .

또한, 물공급원(WS)와 연결되는 공급관(18)에는 추가의 온도 조절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온도 조절 장치는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동파를 예방할 수도 있으며, 공급되는 물이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addition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18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WS,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coming water to prevent freezing, and the supplied water It may be possible to maintain this constant temperature level.

이 실시예에서 냉각부(30)는 상기 물공급부(10)의 측면에 연결되나, 연결되지 않고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냉각부(30)는 상기 제 1 연결관(13) 및 제 2 연결관(14)를 통하여 물공급부 케이스(11)의 내부에 채워진 물(W)을 냉각부(30)를 순환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13, 14) 사이에 어느 위치에 순환 펌프(15)가 배치되어 순환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연결관(13)을 통하여 상기 물공급부(10)로부터 상기 냉각부(30)로 유입된 물은 상기 냉각 사이클(32)의 증발기(32d)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낮아지며, 차가워진 물은 순환 펌프(15) 및 제 2 연결관(14)을 통하여 다시 물공급부(10)로 보내진다. 따라서, 물공급부 케이스(11) 내부에 채워진 물은 냉각부(30)를 순환하면서 지속적으로 차가워지며, 그에 의해서 외부에서의 열유입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32d)는 일종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10, but it is also possible to be disposed at a distant position without being connected. The cooling unit 30 may circulate the water W fill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ipe 13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14 to the cooling unit 30, , a circulation pump 1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pes 13 and 14 to provide circulation power.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unit 30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13 exchanges heat with the evaporator 32d of the cooling cycle 32 to lower the temperature, and the cooled water It is sent back to the water supply unit 10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15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14 . Accordingly,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is continuously cooled while circulating the cooling unit 30 ,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even if heat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Here, the evaporator 32d may be a kind of heat exchanger.

냉각 사이클(32)은 냉매 유로(32a)를 통하여 압축기(32c), 응축기(32b), 및 팽창 밸브(32e), 증발기(32d)가 연결되며, 증발기(32c)에서 차가워진 냉매와 상기 물과 열교환하면서 상기 순환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 In the cooling cycle 32, the compressor 32c, the condenser 32b, the expansion valve 32e, and the evaporator 32d are connected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32a, and the refrigerant cooled in the evaporator 32c and the water The circulating water may be cooled during heat exchange.

냉각 사이클(32)의 응축기(32b)에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팬(33)이 상기 냉각부(30)에 배치된다. 냉각부(30)는 냉각부 케이스(31)에 의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그 내부 공간에 상기 냉각 사이클(32), 순환 펌프(15) 및 팬(33)이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 케이스(31)에는 개구인 공기 유입홀(34)과 유출홀(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팬(33)에 의해서 공기 유입홀(34)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응축기(32b)에서 냉매로부터 열을 뺏어서 공기 유출홀(35)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으며, ㅇ이 실시예에서 (33) 및 응축기(32b)는 유출홀(3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A fan 33 is disposed in the cooling unit 30 to cool the refrigerant in the condenser 32b of the cooling cycle 32 . The cooling unit 30 has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oling unit case 31 , in which the cooling cycle 32 , the circulation pump 15 and the fan 33 may be disposed. An air inlet hole 34 and an outlet hole 35 that are openings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unit case 31 ,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hole 34 by the fan 33 is cooled in the condenser 32b. Heat can be taken from and escaped through the air outlet hole 35 , and in this embodiment 33 and the condenser 32b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hole 35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물(W)은 물공급부(10)의 케이스(11)에 저장되며, 급수대(12)는 일부분이 상기 물(W)에 잠기며, 물유입관(12a)을 통하여 급수대(12) 내부로 물이 들어와 가축이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물공급부(10)에 저장된 물은 순환 펌프(15)에 의해서 냉각부(30)를 거쳐 오면서 냉각되어 일정한 온도의 물이 물공급부(10)에 저장된다. 따라서, 여름철에 축사용 급수기(1)로 공급되는 열로 인하여 물공급부(10)의 일부분이 더워지는 것은 막을 수 있으며, 특히 급수대(12) 내부로 들어온 물이 장시간 체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저장된 물과 상기 급수대(12)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차가운 온도가 유지될 수 있어서, 가축들이 언제나 시원한 물을 섭취할 수 있어서 가축의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W) is stored in the case 11 of the water supply unit 10,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s partially submerged in the water (W), the water inlet pipe (12a) Water enters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station 12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becomes a state in which livestock can e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10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oling unit 30 by the circulation pump 15 , and water at a constant temperature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1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10 from becoming hot due to the heat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1 for livestock in summer, and in particular, even if the water entering the water supply stand 12 stays for a long time, the water supply unit case 11 ) can be maintained at a cold temperature due to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stand 12 and the water supply stand 12, so that livestock can always consume cool water, thereby relieving the stress of the livestock.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급수대(12) 안에 들어온 물은 급수대(12)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냉각부(30)를 순환하는 물은 물공급부(10) 내부의 깨끗한 물만이므로, 순환되는 물에 별도의 관리, 예를 들면 필터 교체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수기(1)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관리가 없다고 하더라도 신선하고 차가운 물을 지속적으로 가축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급수대(12)의 측면에 물유입관(12a)이 설치되어 통상 저면(12b)에 쌓이는 이물질이 물유입관(12a)을 통하여 물공급부 케이스(1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없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entering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station 12 , and the water circulating in the cooling unit 30 is only clean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10 , so it is circulated There is no need for separate maintenance of the water being used, eg filter replacem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continuously provide fresh and cold water to livestock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manage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dispenser 1 is operated. In particular,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water inlet pipe 12a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stand 12, so tha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12b are usually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supply case 11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2a.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1)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냉각 사이클(32), 상기 팬(33),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 내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한 온도 센서(19), 상기 제 1 연결관(13)에 구비되어 순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21) 및 순환 펌프(15), 및 표시 및 조작부(50)가 연결된다. 온도 센서(19)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물공급부 케이스(11)의 여러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ivestock water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60 , wherein the control unit 60 includes the cooling cycle 32 , the fan 33 , and the water supply unit case 11 . ) A temperature sensor 19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water, a valve 21 and a circulation pump 15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13 to open and close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 display and operation unit 50 are connected do. Although only one temperature sensor 19 is shown,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water supply case 11 .

제어부(60)는 온도 센서(19)에서 측정된 온도 혹은 시간에 기초에서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11) 내부의 물을 냉각부(30)로 순환시켜 온도를 유지한다. 이때, 제 1 연결관(13)과 제 2 연결관(14)은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냉각부(30)를 통과하여 차가원진 물이 물공급부(10)로 들어오는 제 2 연결관(14)이 상대적으로 냉각부(30)로부터 먼위치에, 물공급부(10)에서 냉각부(30)로 유입되는 제 1 연결관(13)이 상대적으로 냉각부(30)에 인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물공급부 케이스(11) 내에서 저장된 물(W)의 온도가 균일하게 한다. The control unit 60 maintains the temperature by circulating the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case 11 to the cooling unit 30 based on the temperature or tim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9 .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pipe 13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14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positions in the water supply case 11 , and the different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unit 30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0 . In a position where the second connection pipe 14 entering into the cooling unit 30 is relatively far from the cooling unit 30 , the first connection pipe 13 flowing into the cooling unit 30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is relatively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30 . ) can be connected to a posi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by making the posi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 stor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is uniform.

표시 및 조작부(50)는 온도 센서(19)에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며, 설정 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구비한다. 제어부(60)와 연동하여 축사용 급수기(1)를 제어한다. The display and operation unit 50 display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9 , can display a set temperature, and the like, and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that a user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60, the livestock water feeder 1 is control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축사용 급수기(1)는 물공급부 케이스(11)의 내부의 수위와 연동하여 물공급원(WS)의 공급관(18)에 설치된 공급밸브(70)를 포함하는 물 조절부(2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물 조절부(20)는 부구를 포함하여 부구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공급밸브(7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조인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위를 전자식으로 측정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수위를 계산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부구를 통하여 공급밸브(70)를 개방 혹은 폐쇄하는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예를 들면, KR 10-0766032 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feeder 1 for livestock is water control including a supply valve 70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18 of the water supply source WS in conjunction with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supply case 11 . part 20 .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control unit 20 has a structure that opens or closes the supply valve 7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loat, including the floa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water level electronically. ,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ndirectly calculates the water level. Since the structure for opening or closing the supply valve 70 through the buoyancy is widely known (eg, KR 10-0766032, etc.),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물 조절부(20)는 적어도 급수대(12)의 저면이 물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물 조절부(20)의 공급밸브(70) 개방 높이는 상기 급수대(12)의 저면(12b)은 보다 높게 설정된다. 한편, 급수대(12)의 물유입관(12a)의 내부 공간측 단부(12f)는 급수대(12)의 저면(12b)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저면(12b)와 동일하게, 상기 물유입관(12a)의 단부(12f)가 상기 물 조절부(20)의 공급밸브(70) 개방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급수대(12)의 일부가 물에 잠겨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급수대(12) 내부로 물유입관(12a)을 통하여 저장된 물이 유입된다. 상기 물의 유입에는 별도의 동력은 불필요하며, 케이스(11) 내부 공간에서의 수위와 급수대(12) 내부 수위에 기인한 압력 차이로 인하여 상기 물유입관(12a)을 통하여 물이 유입될 수 있다. In the water control unit 20, the opening height of the supply valve 70 of the water control unit 20 is set higher so that at leas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ink 12 can be submerged in water. .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pace side end 12f of the water inlet pipe 12a of the water fountain 12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12b of the water supply station 12, which is the same as the bottom surface 12b, the It means that the end 12f of the water inlet pipe 12a is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pening height of the supply valve 70 of the water control unit 20 . Accordingly, the stored water flows into the water supply station 12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2a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s submerged in water. A separate power is not required for the inflow of water, and wate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2a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level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 and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supply stand 12 .

도 4 및 도 5 에는 이러한 모습이 잘 도시되어 있다. 도 4 의 경우에는 정상 상태에서 물공급부 케이스(11) 내부에 저장된 물이 급수대(12)로 유입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수위에 따라서 물 조절부(20)가 물공급원(WS)으로부터 물을 유입시키는 공급밸브(70) 개방 높이를 보이고 있다. 도 5 에서 보이듯이, 물조절부(20)가 물을 유입시키기 위하여 공급밸브(20)를 개방하는 높이는 급수대(12)의 저면(12b)이나 물유입관(12a)의 단부(12f) 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and 5 illustrate this aspect well. In the case of FIG. 4,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stored inside the water supply case 11 flows into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n a normal state is shown, and in FIG. It shows the opening height of the supply valve 70 to introduce water from. As shown in FIG. 5 , the height at which the water control unit 20 opens the supply valve 20 to introduce water is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12b of the water supply stand 12 or the end 12f of the water inlet pipe 12a. it can be seen tha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급수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An operation of the water dispenser 1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술한 구조의 축사용 급수기(1)는 초기에는 물이 내부에 없으므로, 물공급원(WS)과 연결된 공급밸브(70)가 개방되어 물공급부 케이스(11) 내부로 물이 유입되며, 일정 수위까지 계속해서 물이 유입된다. 물이 유입됨에 따라서, 상기 급수대(12) 내부로도 물이 유입된다. 물공급부 케이스(11) 내부에 물이 충분히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60)는 물공급부 케이스(11)의 물을 냉각부(30)로 보내서 냉각 순환시킨다. 냉각부(30)에서는 물공급부 케이스(11)로부터 넘어온 물을 냉각시킨 후 다시 물공급부 케이스(11)로 보내며,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저장된 물은 냉각부(30) 순환에 의해서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가축이 급수대(12)의 물을 먹는 경우에 급수대(12) 안의 물의 수위가 낮아지며 물유입관(12a)에 의해서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급수대(12)의 물은 저장된 물에 대응되는 수위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에 상기 물 조절부(20)가 물공급원(WS)으로부터 물을 공급하게 한다. Since the water feeder 1 for livestock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does not have water in it initially, the supply valve 7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WS is opened, and water flows into the water supply case 11 inside, and up to a predetermined water level. Water continues to flow in. As water flows in, water flows into the water supply station 12 as well. When the water is sufficiently stor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the control unit 60 sends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ase 11 to the cooling unit 30 for cooling circulation. The cooling unit 30 cools the water flowing over from the water supply case 11 and then sends it back to the water supply case 11 ,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is cooled by the cooling unit 30 circulation. can When the livestock eats water from the drinking fountain 12,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s lowered, and the stored water is introduced by the water inlet pipe 12a,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s maintained at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stored water. Also,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tored water is lowered, the water control unit 20 supplie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WS.

냉각부(30)는 물공급부 케이스(11)로부터 물이 넘어오면 냉각 사이클(32)를 동작시키며, 팬(33)이 구동되어 응축기(32b)를 냉각시키고, 증발기(32d)에서 냉매가 넘어온 물을 냉각시킨다. The cooling unit 30 operates the cooling cycle 32 when water flows over from the water supply case 11, the fan 33 is driven to cool the condenser 32b, and the refrigerant flows over the water from the evaporator 32d. to cool

외부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에도 급수대(12)의 일부가 온도 조절된 물(W)에 잠겨 있어 급수대(12) 안에 모인 물은 물공급부 케이스(11)에 저장된 물과 비슷한 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여름철에 언제 가축이 물을 먹어도 항상 시원한 물을 마실 수 있다. 또한 급수대(12)의 측면(12c)에 물유입관(12a)이 연결되어서 사료가 급수대(12)에 유입되더라도 물유입관(12a)을 통해서 물공급부 케이스(11)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급수대(12) 혹은 상면(11a)을 분리하여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Even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rises, a part of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s immersed in the temperature-controlled water W, so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supply station 12 may have a temperature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case 11, and therefore in summer You can always drink cool water no matter when the livestock drinks water. In addition, since the water inlet pipe 12a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12c of the water supply station 12, even if the feed flows into the water supply station 12, it does not flow into the water supply case 11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2a.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 and clean the water supply tank 12 or the upper surface 11a.

축사용 급수기(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공급부 케이스(11)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밸브(80)를 개방하여 물공급부 케이스(11)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When the livestock water feeder 1 is not use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ase 11 may be discharged by opening the drain valve 8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ase 11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일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one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1: 축사용 급수대 10: 물공급부
11: 물공급부 케이스 11a: 상면
12: 급수대 12a: 물유입관
13: 제 1 연결관 14: 제 2 연결관
15: 순환 펌프 19: 온도 센서
20: 물 조절부 30: 냉각부
31: 냉각부 케이스 32: 냉각 사이클
32a: 냉매 유로 32b: 응축기
32c: 펌프 32d: 증발기
32e: 팽창 밸브 50: 표시 및 조작부
60: 제어부 70: 공급밸브
80: 배수밸브
1: Water supply for livestock 10: Water supply
11: water supply case 11a: top
12: water supply station 12a: water inlet pipe
13: first connector 14: second connector
15: circulation pump 19: temperature sensor
20: water control unit 30: cooling unit
31: cooling case 32: cooling cycle
32a: refrigerant flow path 32b: condenser
32c: pump 32d: evaporator
32e: expansion valve 50: indication and control panel
60: control unit 70: supply valve
80: drain valve

Claims (9)

냉매를 통한 냉각 사이클 및 물공급부로부터 전달된 물을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부; 및
상면이 개방된 급수대 및 물공급원에 연결되 공급관을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공급부 케이스,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부로 물이 이동되는 제 1 연결관과 상기 냉각부에서 냉각된 물이 이동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물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대는 측면에서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 내부로 연장하는 물유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이 상기 급수대로 공급되며, 적어도 급수대의 일부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상기 급수대의 저면은 상기 물 조절부의 공급관 개방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물유입관은 상기 급수대와 연결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높게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일단부는 상기 급수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서 상기 급수대에 연결되며,
상기 타단부는 상기 물 조절부의 공급관 개방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축사용 급수기.
a cooling unit including a heat exchanger for heat-exchanging water transferred from the cooling cycle through the refrigerant and the water supply unit with the refrigerant; and
A water supply unit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and including a supply pipe;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supply cas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case through which water moves to the cooling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cooled by the cooling unit moves, and the It includes the water supply st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se,
Further comprising a water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case,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inlet pipe extending into the water supply case from the sid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case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and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is immersed i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case.
The water inlet pipe is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t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tand higher than the other end,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at a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source by a certain height,
The other end portion is located lower than the opening height of the supply pipe of the water control unit for livestock wat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평면 상에서 상기 물공급부와 다른 위치에서 분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급수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ol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at a different position on a plan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관은 내부에 일방향 밸브가 배치되며,
상기 냉각부 및 상기 물공급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는 물공급부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물의 온도를 측정하게 배치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제 1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냉각부의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순환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급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inlet pipe has a one-way valve disposed therei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rrang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case and a circulation pump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to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ase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cooling unit,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는 버켓형상이며,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에는 복수의 급수대가 일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급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upply unit has a bucket shape, an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units are disposed in a row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cas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은 다른 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급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ater supply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s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ther surf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는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급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ater supply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unit.
냉매를 통한 냉각 사이클 및 물공급부로부터 전달된 물을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부; 및
상면이 개방된 급수대 및 물공급원에 연결되 공급관을 포함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공급부 케이스,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부로 물이 이동되는 제 1 연결관과 상기 냉각부에서 냉각된 물이 이동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물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대는 측면에서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 내부로 연장하는 물유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이 상기 급수대로 공급되며, 적어도 급수대의 일부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상기 급수대의 저면은 상기 물 조절부의 공급관 개방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냉각부는 평면 상에서 상기 물공급부와 다른 위치에서 분리되어 배치되며,
상기 냉각 사이클은 증발기, 응축기, 펌프 및 팽창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 사이클이 내부에 배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냉각부 케이스 및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 케이스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는 연결되며,
상기 팬 및 응축기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급수기.
a cooling unit including a heat exchanger for heat-exchanging water transferred from the cooling cycle through the refrigerant and the water supply unit with the refrigerant; and
A water supply unit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and including a supply pipe;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supply cas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case through which water moves to the cooling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cooled by the cooling unit moves, and the It includes the water supply st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se,
Further comprising a water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case,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inlet pipe extending into the water supply case from the sid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case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and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is immersed i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case.
The cooling unit is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on a plane surface,
The cooling cycle comprises an evaporator, a condenser, a pump and an expansion valve,
The cooling unit includes a cooling unit case in which the cooling cycle is disposed and an opening is formed and a fan for cooling the condenser,
The cooling unit case and the water supply unit case are connected,
and the fan and the condenser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 제 2 연결관은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연결관은 상기 냉각부와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서 상기 물공급부 케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급수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onnecting pip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are connected to different positions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unit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cooling unit.
KR1020210078881A 2021-06-17 2021-06-17 Water Supply Device For Stall KR1023768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81A KR102376871B1 (en) 2021-06-17 2021-06-17 Water Supply Device For St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81A KR102376871B1 (en) 2021-06-17 2021-06-17 Water Supply Device For St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871B1 true KR102376871B1 (en) 2022-03-21

Family

ID=8093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81A KR102376871B1 (en) 2021-06-17 2021-06-17 Water Supply Device For St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8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563B1 (en) 2022-05-17 2022-12-07 최규철 Water suppling equipment for livestock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11A (en) * 2001-11-30 2003-06-09 금재호 Water tank for animal husbandry
KR100686396B1 (en) * 2006-04-18 2007-02-2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Chilled water supplying system for improving productivity of livestock in summer
KR20090033946A (en) * 2007-10-02 2009-04-07 허우영 Automatic potable hot or cold water supply and draining apparatus for livestock in a stable
KR20160126511A (en) * 2015-04-24 2016-11-02 최규철 Water suppling equipment for Livestock
KR20160149764A (en) * 2015-06-19 2016-12-28 황근우 Water Supply System for Stall
KR20200002234U (en) * 2019-04-03 2020-10-14 서복식 Water supply apparatus for cattle shed
KR102187478B1 (en) * 2019-11-04 2020-12-08 주식회사 선진 Water supply system for stall
KR102252193B1 (en) * 2020-10-07 2021-05-13 주식회사 시스웍스 Air condition system for cooling and heating for cattle she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411A (en) * 2001-11-30 2003-06-09 금재호 Water tank for animal husbandry
KR100686396B1 (en) * 2006-04-18 2007-02-2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Chilled water supplying system for improving productivity of livestock in summer
KR20090033946A (en) * 2007-10-02 2009-04-07 허우영 Automatic potable hot or cold water supply and draining apparatus for livestock in a stable
KR20160126511A (en) * 2015-04-24 2016-11-02 최규철 Water suppling equipment for Livestock
KR20160149764A (en) * 2015-06-19 2016-12-28 황근우 Water Supply System for Stall
KR20200002234U (en) * 2019-04-03 2020-10-14 서복식 Water supply apparatus for cattle shed
KR102187478B1 (en) * 2019-11-04 2020-12-08 주식회사 선진 Water supply system for stall
KR102252193B1 (en) * 2020-10-07 2021-05-13 주식회사 시스웍스 Air condition system for cooling and heating for cattle sh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563B1 (en) 2022-05-17 2022-12-07 최규철 Water suppling equipment for livest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871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Stall
WO2017185053A1 (en) Pet water cooling and feeding systems
KR101795424B1 (en) Ice and cold water maker
EP3070413A1 (en) Heat exchange device for air cooling for conditioning and climate control systems for server rooms and the like
KR20160149764A (en) Water Supply System for Stall
JP5072039B2 (en) Beverage server
JP4756711B2 (en) Water supply equipment for poultry farming facilities
JP3712402B2 (en) Cooling tower water supply / drainage control device
US11460232B2 (en) Drainless ice machine with cleaning system
KR101378926B1 (en) Device for supplying draft beer
US11582947B2 (en) Cattle water fountain
KR20170071464A (en) Ice and cold water maker
US20030230243A1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milking animals
KR100657766B1 (en) Water purifier
KR100883803B1 (en) The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Small-Sized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418933Y1 (en) A hot-water supply system for pigsty
JPH11243780A (en) Cut flower preserving apparatus
RU41577U1 (en) MILK COOLER
KR100809128B1 (en) A hot-water supply system for pigsty
KR20160027329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automatic drainage thereof
KR102036926B1 (en) A Cooling Device Using ThermoelectricElement
US11920847B2 (en) Icemaking appliance having a replaceable filter
KR102190368B1 (en) System for converting cooling and heating using seawater heat pump
JP2005237241A (en) Poultry housing water supply apparatus
US11867444B2 (en) Drainless clear ice maker for recycling water used to make clear 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