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756B1 -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756B1
KR102376756B1 KR1020200060667A KR20200060667A KR102376756B1 KR 102376756 B1 KR102376756 B1 KR 102376756B1 KR 1020200060667 A KR1020200060667 A KR 1020200060667A KR 20200060667 A KR20200060667 A KR 20200060667A KR 102376756 B1 KR102376756 B1 KR 10237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yptophan
alanine
acyl
oleoyl
ace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208A (ko
Inventor
한명관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템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템디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템디알
Priority to AU202028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0283844B2/en
Priority to PCT/KR2020/006651 priority patent/WO2020242133A1/ko
Priority to JP2021569906A priority patent/JP7264540B2/ja
Priority to BR112021023536A priority patent/BR112021023536A2/pt
Priority to US17/613,583 priority patent/US20220233502A1/en
Priority to CA3139470A priority patent/CA3139470A1/en
Publication of KR2020013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y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부작용이 거의 없는 N-아실-아미노산을 이용한 천식, 비염 및/또는 결막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식의 주요 임상 증상인 기도내 염증반응 및 기도 섬유화에 대해 모두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천식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천식 개선용 의약품 또는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염 및 결막염에 대한 임상증상도 현저히 개선되어 비염 및 결막염 개선용 의약품 또는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rhinitis or conjunctivitis comprising N-acyl-amino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식은 발병원인이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호흡기의 염증질환으로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 즉 때때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최근 환경오염 및 화학물질 노출이 증가됨에 따라 그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천식은 전 연령층에서 발생하지만 30% 정도가 아동이며, 만성 호흡기 염증질환으로 발전하여 빈번한 입원과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질환 중 하나이다 (Eur Respir J 2001;17(5):881-6).
비염은 비강 점막의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크게 알러지성 비염과 비(非)알러지성 비염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알러지성 비염은 세부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나, 주로 특정 면역글로불린 (IgE, IgM 등) 이상 반응으로 인한 재채기, 콧물, 코막힘, 점막세포 확장과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비(非)알러지성 비염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코감기 외에 세균 및 곰팡이 감염에 의한 감염성 비염, 코 점막에 분포하는 자율신경계통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혈관운동성 비염, 부적합한 약제사용, 한 냉기온 등 물리적 원인, 음식물에 의한 비염, 비강 구조이상에 의한 비염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알러지성 비염의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세기에 이미 알러지성 비염에 대한 직접 의료비용 (외래비용, 처방전 및 응급실 방문비용)이 19억달러를 넘어섰으며, 합병증으로 인한 추가 손실은 40억 달러에 달하였다. 2011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한국인의 외래 다발생 질병순위에서 알러지성 비염이 2000년 연간 200만명에서 2011년 560만명으로 (14위 -> 5위) 급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500여가지의 질병 중 건강보험공단 급여지출이 4위를 기록하였다. 앞으로도 알러지성 비염에 소모되는 사회적 비용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러지성 비염의 치료 또는 개선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결막염은 결막에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질병으로서 알레르기로 인한 질병인 고초열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경우에 자주 동반되는 질병이다. 대표적인 계절병으로 봄에 증상이 심했다가 가을이나 겨울에 좋아진다. 주로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에게 많이 나타나고, 사춘기 전에 시작되어 5 내지 10년간 재발하다가 그 이후에는 발병횟수가 줄어들고 증상이 가벼워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이상고온이 계속되면서 계절이나 체질과 상관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원인은 짐승의 털, 먼지,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등으로, 요즘에는 차량의 배기가스나 화학분진과 같은 공해물질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증상은 눈이 매우 가렵고, 심한 충혈 및 안검 부종이 있으면서 눈물이 많이 나오고, 눈을 비비는 경우 더 심해질 수 있다. 또한 할퀴거나 타는 듯한 통증이 있고, 이물감, 눈곱, 결막하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천식 치료는 주로 약물요법에 의존하며, 일반적으로 항염증치료 (스테로이드 경구투여 및 흡입)와 더불어 기관지 확장제 (theophylline) 및 항염증제 일종으로 leukotriens 억제제등을 사용하고 있다 (Clin Exp Allergy. 2012 42:650-8).
알레르기성 비염의 경우 증상의 완화를 위하여 항히스타민제의 복용으로 권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다량으로 복용하는 경우, 졸음이나 어지러움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 복용시 히스타민의 과다분비를 초래하여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경우도 있다.
결막염의 대표적인 치료제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계통의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항염증 약물로 통상 사용되며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방사성, 기계적, 화학적, 감염성 및 면역자극을 포함한 여러 가지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예방한다.
스테로이드는 현재 천식, 비염 및 결막염을 포함한 알러지성 염증 질환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제이다. 천식의 경우 급성 천식은 스테로이드에 비교적 잘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식이 만성으로 진행되거나, 증상이 아주 심한 천식 (severe asthma)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아, 이러한 증상을 갖는 많은 환자들은 치료방법이 없어 오랫동안 고통스러우며 삶의 질이 현저히 떨어지며 심하면 사망에도 이르게 된다 (Clin Exp Allergy. 2012 42:650-8).
스테로이드 사용에서 문제점은 스테로이드가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시킨다는 점이다. 스테로이드는 면역반응을 저하시켜 미생물 감염이나 암 발생을 증가시키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포함하여 피부, 근육, 뼈, 눈, 신경계, 내분비계, 심혈관계, 면역계, 소화기관 등의 기능이상 및 다른 질병을 초래하여 그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N Engl J Med. 2005, 353:1711-23).
따라서 스테로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알러지성염증억제 약물 개발은 현대의학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일중 하나이다. 이 방면의 연구자들은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를 개발하여 왔다. 대표적인 예가 아스피린인데 아스피린은 cytosolic phospholipase A2 (cPLA2)의 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 아라키돈 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 (COX) 억제제로써, 아스피린 이외에 많은 NSAID (Indomethacin, Ibuprofen, Celecoxib, Rofecoxib등)가 COX 억제제이다. 하지만 이들 NSAID는 스테로이드에 비하여 염증억제 작용이 약하여 알러지성 염증질환 치료에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염증반응 유발 효소인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및 cPLA₂억제제를 개발하여 왔으나 부작용 때문에 현재 임상에서 쓰이는 약제는 없는 상태이다 (Bioorg Med Chem 2008; 16:1345-58).
이렇듯 "스테로이드 보조약물" 및 "스테로이드 대체약물" 개발은 천식을 포함한 다양한 알러지성 염증질환 치료에 획기적으로 공헌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물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천식, 비염 및 결막염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N-아실-아미노산을 투여 하였을 때 탁월한 천식, 비염 및 결막염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막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알러지성 비염 및 결막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천식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 즉 때때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때문에 발생하는 알러지성 질환이다.
본 발명의 상기 비염은, 비강 점막의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크게 알러지성 비염과 비알러지성 비염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알러지성 비염은 코 점막이 특정 물질에 대하여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항원)이 코 점막에 노출된 후 자극 부위로 비만세포, 호산구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IgE 항체를 매개로 하는 염증세포가 몰려들어 이들이 분비하는 다양한 매개물질에 의하여 염증반응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비알러지성 비염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코감기 외에 세균 및 곰팡이 감염에 의한 감염성 비염, 코 점막에 분포하는 자율신경계통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혈관운동성 비염, 부적합한 약제사용, 한 냉기온 등 물리적 원인, 음식물에 의한 비염, 비강 구조이상에 의한 비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결막염은, 국소 감각에 의해 생기는 결막염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막의 가벼운 충혈만 있는 것에서부터 안검종창, 결막부종을 수반하는 것까지 있으며, 특히 유전성 소인에 관련이 있고 즉시형 알러지를 나타내는 것을 알러지성 결막염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N-아실-아미노산은 바람직하게는 N-아실-알라닌 또는 N-아실-트립토판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N-아실-L-알라닌 또는 N-아실-L-트립토판이다.
상기 N-아실-L-알라닌 또는 N-아실-L-트리토판은 알라닌이나 트립토판의 알파 아미노기가 아실화된 형태로서 유기 합성적인 방법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실”또는 “아실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카르복시산의 카르복시기인 OH를 뺀 남은 원자단으로 일반적으로 RCO로 나타낸다. R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기로서 상기 CO에 결합할 수 있는 치환기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R이 방향족 원자단일 경우는 특히 “아로일”이라고칭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도 아실기의 일종이다. 상기 아실의 예로는 포르밀(HCO-), 아세틸(CH3CO-), 프로피오닐(C2H5CO-), 부티릴(C3H7CO-), 발레릴(C4H9CO-), 펜타노일(CH3(CH2)3CO-), 팔미토일(C15H31CO-), 스테아로일(C17H33CO-), 올레오일(C17H31CO-), 옥살릴(-CO-CO-), 말로닐(-COCH2CO-), 숙시닐(-CO(CH2)2CO-), 벤조일(C6H5CO-), 톨루오일(CH3-C6H4-CO-), 살리실로일(HO-C6H4-CO-), 신나모일(C6H5CH=CHCO-), 나프토일(C10H7CO-), 프탈로일(CO-C6H4-CO-), 푸로일(C5H3O2-), 운데카노일(CH3(CH2)9CO-), 도코스에노익산(docosenoic acid)으로부터 OH기가 제거된 도코스에노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N-아실-알라닌(N-acyl-alanine)은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N-아세틸-알라닌 (N-acetyl-alanine) 또는 N-올레오일-알라닌(N-oleoyl-alanine)인 것이다.
상기 N-아실-트립토판(N-acyl-tryptophan)은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N-아세틸-트립토판(N-acetyl-tryptophan) 또는 N-올레오일-트립토판(N-oleoyl-tryptophan)인 것이다.
상기 N-아실-L-알라닌(N-acyl-L-alanine)은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N-아세틸-L-알라닌 (N-acetyl-L-alanine) 또는 N-올레오일-L-알라닌(N-oleoyl-L-alanine)인 것이다.
상기 N-아실-L-트립토판(N-acyl-L-tryptophan)은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N-아세틸-L-트립토판(N-acetyl-L-tryptophan) 또는 N-올레오일-L-트립토판(N-oleoyl-L-tryptophan)인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N-아실-아미노산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N-아실-아미노산은 예를 들어, 10 μ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g/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g/k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mg/kg 이상 포함된다. N-아실-아미노산은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N-아실-아미노산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상기 N-아실-아미노산은 그 화합물 자체뿐만 아니라, 그의 약제학적, 식품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프로드러그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화합물의 제형을 의미한다. 상기 약제학적, 식품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술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카프릭산, 이소부탄산, 말론산, 숙신산, 프탈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과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암모니움 염, 나트륨 또는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등의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 메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들의 염, 및 아르기닌, 리신 등의 아미노산 염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화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화물”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화물”은 소망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갖는 상기 N-아실-아미노산의 수화물을 나타낸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은 소망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갖는 상기 N-아실-아미노산의 화합물의 용매화물을 나타낸다. 상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도 상기한 산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에서 상기 약제학적, 식품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포함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프로드러그”,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프로드러그”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프로드러그”는 상기 N-아실-아미노산의 약리학적 효과를 발휘하기 이전에 생물전환을 하여야 하는 상기 N-아실-아미노산의 유도체를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드러그는 화학적 안정성, 환자 수용성, 생물학적 이용성, 기관 선택성 또는 조제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작용 기간의 장기화 및 부작용의 감소를 위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프로드러그의 제조는 상기 N-아실-아미노산을 이용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예: Burger's Medicinal Chemistry and Drug Chemistry, 5th ed., 1:172-178 and 949-982(1995))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비강 투여, 점안 투여,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직장 주입, 자궁 내 경막 투여, 뇌혈관 내 주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10 μg - 1,0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점안제, 경구제 및 주사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알러지성 염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용 또는 동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빵류,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N-아실-아미노산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N-아실-아미노산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N-아실-아미노산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로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의 예방 및 개선, 생체방어, 면역, 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 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 하여야 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N-아실-아미노산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N-아실-아미노산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인간용 식품 또는 동물용 사료나 사료첨가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N-아실 아미노산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N-아실-아미노산 이외에, 그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개선제 또는 진정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 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 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대두 수첨가 레시틴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헥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라놀린, POE, 글리세릴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N-아세틸글루타민 및 이소스테아릴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살균제는 히녹티올, 트리크로산, 크롤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즐렌(azulene), 살리실산 및 징크피리타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및 에리소르빈산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멜라닌,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시녹사이트,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우로카닌산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소염제로는 글리틸리틴산디칼륨 또는 알란토인을 사용할 수 있고, 청량제로는 고추틴크 또는 1-멘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제형으로서 토닉,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분말, 젤, 크림, 에센스, 로션,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스프레이, 미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N-아실-아미노산을 이용한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알러지성 질환 및 천식을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N-ac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경구투여시 폐 조직의 H & E 염색상 염증 억제를 나타낸 사진이다 (OVA=ovalbumin, NAA=N-acetyl-L-alanine, NOA=N-oleoyl-L-alanine, NAT=N-acetyl-L-tryptophan, NOT=N-oleoyl-L-tryptophan).
도 2는 N-ac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경구투여시 폐 조직의 masson's trichrome염색상 기관지 섬유화 억제를 나타낸 사진이다(OVA=ovalbumin, NAA=N-acetyl-L-alanine, NOA=N-oleoyl-L-alanine, NAT=N-acetyl-L-tryptophan, NOT=N-oleoyl-L-tryptophan).
도 3은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기도내 세포 유래 Th2 사이토카인 (IL4)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p<0.05 vs ovalbumin 그룹; OVA=ovalbumin, NAA=N-acetyl-L-alanine, NOA=N-oleoyl-L-alanine, NAT=N-acetyl-L-tryptophan, NOT=N-oleoyl-L-tryptophan).
도 4는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기도내 세포 유래 Th2 사이토카인 (IL5)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p<0.05 vs ovalbumin 그룹; OVA=ovalbumin, NAA=N-acetyl-L-alanine, NOA=N-oleoyl-L-alanine, NAT=N-acetyl-L-tryptophan, NOT=N-oleoyl-L-tryptophan).
도 5는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기도내 세포 유래 Th2 사이토카인 (IL13)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p<0.05 vs ovalbumin 그룹; OVA=ovalbumin, NAA=N-acetyl-L-alanine, NOA=N-oleoyl-L-alanine, NAT=N-acetyl-L-tryptophan, NOT=N-oleoyl-L-tryptophan).
도 6은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비염 반응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6a: 코비빔동작, 도 6b: 재채기)(*p<0.05 vs ovalbumin 그룹; OVA=ovalbumin, NAA=N-acetyl-L-alanine, NOA=N-oleoyl-L-alanine, NAT=N-acetyl-L-tryptophan, NOT=N-oleoyl-L-tryptophan).
도 7은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알러지성 결막염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7a: 안구 사진, 도 7b: Clinical grade)(*p<0.05 vs ovalbumin 그룹; OVA=ovalbumin, NAA=N-acetyl-L-alanine, NOA=N-oleoyl-L-alanine, NAT=N-acetyl-L-tryptophan, NOT=N-oleoyl-L-tryptophan).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준비예 1. 실험동물의 준비
마우스는 특정 병원체가 없는 BALB/c 마우스 (6 주, 수컷)을 두얼바이오텍 (오산,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실험 시작시 7-10주령의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laminar flow cabinet에서 사육하면서 물과 사료를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준비예 2. 사용약물의 준비
본 특허에 사용한 약물 N-acetyl-L-alanine, N-acetyl-L-tryptophan등은 Sigma 사 (미국, 미주리)에서 구입하였고, N-oleoyl-L-alanine은 Cayman 사 (미국, 미시칸주)에서 구입하였다. N-oleoyl-tryptophan은 다음의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먼저 methyl oleoyl-L-tryptophanate를 제조하기 위하여, oleoic acid (2.36 mmol), L-tryptophan methyl ester hydrochloride (2.60 mmol),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CI) (2.60 mmol), Hydroxybenzotriazole (HOBt) (2.60 mmol), triethylamine (11.8 mmol)을 dichloromethan에 녹인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하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희석한 후 ethyl acetate로 3번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용매층을 모아 brine으로 세척하고 1N HCl로 세척한 후 다시 brine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한 후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 상에서 n-hexane and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수득율은 73%였고 methyl oleoyl-L-tryptophanate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8.18 (s, 1H), 7.56 (dd, J = 7.9, 1.0 Hz, 1H), 7.39 (dt, J = 8.1, 0.9 Hz, 1H), 7.29 (s, 1H), 7.22 (ddd, J = 8.2, 7.1, 1.2 Hz, 1H), 7.14 (ddd, J = 8.0, 7.0, 1.0 Hz, 1H), 7.00 (d, J = 2.4 Hz, 1H), 5.99 (d, J = 7.9 Hz, 1H), 5.37 (qd, J = 4.1, 2.1 Hz, 2H), 5.00 (dt, J = 8.0, 5.3 Hz, 1H), 3.72 (s, 3H), 3.39 - 3.28 (m, 2H), 2.20 - 2.13 (m, 2H), 2.08 - 1.99 (m, 5H), 1.60 (t, J = 7.4 Hz, 2H), 1.34 - 1.28 (m, 24H), 0.92 - 0.89 (m, 3H). LC-MS (ESI), calcd for C30H46N2O3 482.4, found m/z 483.4 (M + H+). methyl oleoyl-L-tryptophanate으로부터 N-oleoyl tryptophan을 제조하기 위하여 methyl oleoyl-L-tryptophanate (0.37 mmol)을 tetrahydrofuran에 녹인용액에 NaOH (1.48 mmol)용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물을 가하고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하였다. 물층에 1N HCl을 가하여 pH 1로 조절한 다음 ethyl acetate로 3번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용매층을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수득율은 86%였고, N-oleoyl tryptophan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8.22 (s, 1H), 7.61 (d, J = 7.9 Hz, 1H), 7.40 (dt, J = 8.1, 0.9 Hz, 1H), 7.23 (ddd, J = 8.1, 6.9, 1.2 Hz, 1H), 7.15 (ddd, J = 8.0, 7.1, 1.0 Hz, 1H), 7.08 (d, J = 2.4 Hz, 1H), 5.37 (qd, J = 5.3, 4.6, 2.3 Hz, 2H), 4.95 (dt, J = 7.3, 5.6 Hz, 1H), 3.45 - 3.33 (m, 2H), 2.17 - 2.10 (m, 2H), 1.59 - 1.51 (m, 2H), 1.38 - 1.26 (m, 26H), 0.91 (d, J = 6.8 Hz, 3H). C29H44N2O2 468.3, found m/z 469.3 (M + H+).
준비예 3. 마우스 천식 유발
마우스를 0.02 mg의 난황알부민 (ovalbumin, OVA)와 면역보조제로서 alum (1 mg) (Sigma-Aldrich) 을 복강에 0일과 14일째 2회 주사하여 감작하였다. 28일째에부터 4일간 마우스를 일정크기의 플라스틱 nebulizer통에 넣고 각각 5% OVA를 산소가스 분무 방식으로 30분 동안 분사하여 마우스로 하여금 에어로졸 형태의 OVA를 흡입케 하였다. 이를 airway challenge라 명명하였다.
준비예 4. 마우스 비염 유발
마우스를 0.02 mg의 난황알부민 (ovalbumin, OVA)와 면역보조제로서 alum (1 mg) (Sigma-Aldrich)을 복강에 0일과 14일째 2회 복강내에 주사하여 감작하였다. 21일째에부터 7일간 매일 1회씩 OVA 100 μg을 20 μl의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 양측 비강에 각각 10 μl씩 주입하여 국소자극을 시켰다. 마지막 비강 내 OVA 점적 후 (실험 27일), 생쥐가 일으키는 코 비빔 동작(nasal rubbing)과 재채기(sneezing) 횟수의 합을 증상점수 (symptom score) 로 정의한다. 증상점수를 15분 동안 기록하여 각 실험 군의 결과를 비교 하였으며,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준비예 5. 마우스의 결막염 유발
마우스를 0.5 mg의 난황알부민 (ovalbumin, OVA)와 면역보조제로서 alum (1.5 mg) (Sigma-Aldrich)을 복강에 0일, 7일째 2회 복강내에 주사하여 감작하였다. 14일째에부터 12일간 매일 1회씩 OVA 100 μg을 10 μl의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 한쪽 눈에 10 μl씩 주입하여 국소자극을 하여 결막염을 유도시켰다.
준비예 6. 기관지내 염증 세포 측정
마우스를 마취하여 기관지내에 tube를 삽입하고 완충액으로 기관지를 세척하여 세포를 얻는다. 이를 원심분리하여 1 x 104 cells/100 μl로 부유하여, cytospin을 이용하여 slide에 원심시켜 고정하고 Diff-Quik 염색으로 호산구, 단핵구, 호중구 및 대식세포 수를 측정한다.
준비예 7. 폐조직 염색
조직학적 분석 방법으로 폐를 적출하여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파라핀으로 포매한다. 포매된 조직을 4 ㎛ 두께로 절편하여, 1) 염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Hematoxylin and Eosin (H/E) 염색하고, 2) 폐섬유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masson's trichrome염색한다.
준비예 8. 결막의 부종 및 발적의 임상적 등급화 측정
마지막 OVA 점안 후 (실험 25일) 24시간 후에, 결막의 부종 및 발적(redness)의 임상적 등급화(clinical grading)를 포터블 슬릿 램프(portable slit lamp, Cail Zeiss, Oberkochen, Germany)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평가는 OVA 주입 후 2시간에 맹검 방식으로(blinded fashion)에서 수행되었다. 각각의 임상적 파라미터는 Merayo-Lloves, J., Calonge, M, and Foster, C.S. 1995. Experimental model of allergic conjunctivitis to ragweed in guinea pig. Curr. Eye Res. 14:487-494에서 설명한 것처럼 0 내지 4+(0 부재(absent), 1+ 최소, 2+ 경미함, 3+ 보통, 4+ 심함)의 범위에서 기록하였다.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는 음성 대조군으로,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시예1.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천식 억제 효과
실시예 1-1.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투여에 의한 천식 유도 마우스에서 기도내 염증세포 유입 억제 효과
기도내 염증세포로는 중성구 (neutrophils), 대식세포 (macrophages), 단핵구 (monocytes) 및 호산구 (eosinophils)를 관찰하였다. N-acet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를 각각 kg당 3.5 μmole에 해당하는 양을 10 ml의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서 25일 째부터 7일간 하루 한번씩 경구투여 하였다.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N-acet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비강 투여는 호산구의 기도내 유입을 모두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표 1]
Figure 112020051103321-pat00001
OVA=ovalbumin, NAA=N-acetyl-L-alanine, NOA=N-oleoyl-L-alanine, NAT=N-acetyl-L-tryptophan, NOT=N-oleoyl-L-tryptophan, MAC=macrophages, NEU=neutrophils, MONO=monocytes, EOS=eosinophils, N=the number of mice, S.D.=standard deviation, Min= minimum value, Max=maximum value
실시예 1-2. 폐조직의 H&E 염색상 염증 정도
폐조직의 H&E 염색은 일주일간 약물의 경구투여 후에 실시하였다. 정상그룹 (normal)에서는 기도 주위에 염증세포가 거의 없고 OVA로 challenge 한 그룹 (OVA)에서는 기도 주위에 많은 염증세포가 광범위하게 모여있고 기관지도 좁아져 있으며 기관지 주위에 혈관 형성을 관찰할 수 있는 반면 (도 1), N-acet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 경구투여를 받은 그룹 (OVA+NAA, OVA+NOA, OVA+NAT, OVA+NOT)에서는 이와 같은 염증 정도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는 데 특히 N-oleoyl-L-alanine이 작용이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도 1).
실시예 1-3. 기관지 세척액내 cytokine 측정
기관지 세척액 내 여러 cytokine (TNF-α, IL-4, IL-5, IL-13) 농도는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in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기관지 폐쇄 억제효과
폐조직의 masson's trochrome염색은 일주일간 약물의 경구투여 후에 실시하였다. 정상그룹 (normal)에서는 기도 주위에 섬유화가 거의 없고 OVA로 challenge 한 그룹 (OVA)에서는 기도 주위에 많은 섬유화 정도를 관찰할 수 있는 반면 (도 2), N-acet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 경구투여를 받은 그룹 (OVA+NAA, OVA+NOA, OVA+NAT, OVA+NOT)에서는 이와 같은 섬유화 정도가 억제되었는 데 특히 N-oleoyl-L-alanine이 작용이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도 2).
실시예 3.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기도내 세포 유래 Th2 사이토카인 (IL4, IL5 및 IL13) 분비 억제 효과
Th2 cytokines인 IL-4, IL-5 및 IL-13는 호산구를 통한 기도 염증, 기관지 과민반응 및 IgE 항체 생산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N-acet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를 각각 kg당 3.5 μmole에 해당하는 양을 10 ml의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서 천식유도 후 25일 째부터 7일간 하루 한번씩 경구투여 하고cytoline 측정하였다. N-acet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 경구투여는 IL-4, IL-5 및 IL-13를 모두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도 3, 도4 및 도5),
실시예 4.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비염 반응 억제 효과
알러지성 비염을 유발하기 위한 항원으로는 준비예 3의 난황알부민 (ovalbumin, OVA)을 이용하였으며 약물은 시험 21일째 부터 26일째까지 OVA challenge한 12시간 후에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 각 10 μM이 되도록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 10 μl씩 비강에 투여하였다. 마지막 비강 내 OVA 점적 후 (실험 27일), 생쥐가 일으키는 코 비빔 동작(nasal rubbing)과 재채기(sneezing) 횟수의 합을 증상점수 (symptom score) 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증상점수를 15분 동안 기록하여 각 실험 군의 결과를 비교 하였으며,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정상그룹에서는 코비빔동작이나 재채기가 거의 없고 OVA로 challenge 한 그룹에서는 코비빔동작이나 재채기가 현저히 증가하는 반면 (도 6a 및 도 6b), N-acet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 비강투여를 받은 그룹에서 모두 코비빔동작 및 재채기 횟수가 현저히 저하되었다 (도 6a 및 도 6b).
실시예 5.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의 결막염 억제 효과
결막염을 유발하기 위한 항원으로는 준비예 4의 ovalbumin을 이용하였으며 약물은 시험 15일째 부터 26일째까지 ovalbumin 100 μg으로 눈에 challenge 한 30분 후 및 12시간 후에 N-acetyl-L-alanine, N-oleoyl -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 각 100 μM이 되도록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녹여 10μl씩 눈에 투여하였다. 26일째, 결막의 부종 및 발적(redness)의 임상적 등급화(clinical grading)를 포터블 슬릿 램프(portable slit lamp, Cail Zeiss, Oberkochen, Germany)를 사용하여, ovalbumin의 주입 후 24시간에 수행하였다. 임상 등급을 각 실험 군의 결과를 비교 하였으며,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정상그룹에서는 결막염 증상이 거의 없고 Ovalbumin으로만 challenge 한 그룹에서는 결막염 임상등급이 증가하는 반면 (도 7a와 7b) N-acetyl-L-alanine, N-oleoyl-L-alanine, N-acetyl-L-tryptophan, N-oleoyl-L-tryptophan 점안투여를 받은 그룹에서 모두 임상등급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도 7a와 7b).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N-아실-아미노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N-아실-아미노산은 N-아실-알라닌(N-acyl-alanine) 또는 N-아실-트립토판(N-acyl-tryptophan)인 것이며, 상기 N-아실-알라닌은 N-아세틸-알라닌, N-올레오일-알라닌 또는 N-팔미토일-알라닌인 것이며, 상기 N-아실-트립토판은 N-아세틸-트립토판(N-acetyl-tryptophan) 또는 N-올레오일-트립토판(N-oleoyl-tryptoph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N-아실-아미노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N-아실-아미노산은 N-아실-알라닌(N-acyl-alanine) 또는 N-아실-트립토판(N-acyl-tryptophan)인 것이며, 상기 N-아실-알라닌은 N-아세틸-알라닌, N-올레오일-알라닌 또는 N-팔미토일-알라닌인 것이며, 상기 N-아실-트립토판은 N-아세틸-트립토판(N-acetyl-tryptophan) 또는 N-올레오일-트립토판(N-oleoyl-tryptoph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N-아실-아미노산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N-아실-아미노산은 N-아실-알라닌(N-acyl-alanine) 또는 N-아실-트립토판(N-acyl-tryptophan)인 것이며, 상기 N-아실-알라닌은 N-아세틸-알라닌, N-올레오일-알라닌 또는 N-팔미토일-알라닌인 것이며, 상기 N-아실-트립토판은 N-아세틸-트립토판(N-acetyl-tryptophan) 또는 N-올레오일-트립토판(N-oleoyl-tryptophan)인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프레이 또는 미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60667A 2019-05-24 2020-05-21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0283844A AU2020283844B2 (en) 2019-05-24 2020-05-2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rhinitis or conjunctivitis, comprising N-acyl amino acid as active ingredient
PCT/KR2020/006651 WO2020242133A1 (ko) 2019-05-24 2020-05-21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1569906A JP7264540B2 (ja) 2019-05-24 2020-05-21 N-アシル-アミノ酸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喘息、鼻炎又は結膜炎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BR112021023536A BR112021023536A2 (pt) 2019-05-24 2020-05-21 Composição para prevenir ou tratar asma, rinite ou conjuntivite, compreendendo n-acilaminoácido como ingrediente ativo
US17/613,583 US20220233502A1 (en) 2019-05-24 2020-05-2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rhinitis or conjunctivitis, comprising n-acyl amino acid as active ingredient
CA3139470A CA3139470A1 (en) 2019-05-24 2020-05-2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rhinitis or conjunctivitis, comprising n-acyl amino acid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0932 2019-05-24
KR1020190060932 2019-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08A KR20200135208A (ko) 2020-12-02
KR102376756B1 true KR102376756B1 (ko) 2022-03-21

Family

ID=7379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667A KR102376756B1 (ko) 2019-05-24 2020-05-21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77990A4 (ko)
KR (1) KR102376756B1 (ko)
CN (1) CN114340612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301757A1 (en) * 2002-11-01 2004-05-25 Kyowa Hakko Kogyo Co., Ltd. Peroral preparation for prevention of or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RU2335495C2 (ru) * 2005-06-15 2008-10-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арминтерпрайсез" N-ациль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аминокислот,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вые сол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гиполипидем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RU2007118237A (ru) * 2007-05-17 2008-11-27 ОО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 фирма Верта"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аллер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WO2010075891A1 (en) * 2008-12-30 2010-07-08 Syddansk Universitet Fibcd1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KR101576231B1 (ko) * 2014-01-03 2015-12-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학식 1의 구조를 포함하는 펩티도미메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40612A (zh) 2022-04-12
EP3977990A1 (en) 2022-04-06
KR20200135208A (ko) 2020-12-02
EP3977990A4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8847T3 (es) Ester de acido n-alquil-carbonil-amino y compuestos de lactona de n-alquil-carbonil-amino y su uso.
JP4828922B2 (ja) 抗アレルギー剤
JP2014516052A (ja) ヒスタミン受容体活性阻害用の薬剤学的組成物、及び、睡眠障害、不安またはうつ病の予防または改善用食品組成物
US20070244079A1 (en) Preventive/remedy for allergic diseases
US2023002627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
US20230248682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y or pruritus comprising n-acetyl or n-acyl amino acid
KR102376756B1 (ko) N-아실-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비염 또는 결막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64540B2 (ja) N-アシル-アミノ酸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喘息、鼻炎又は結膜炎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US20210030716A1 (e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acylhydrazone derivative
KR102090209B1 (ko) 벤조산 메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G192014A1 (en) (r)-1,2-propanediol for use as a solvent in therapeutic cooling agent compositions
RU2417218C2 (ru) Эфиры n-алкилкарбониламинокислот и n-алкилкарбониламинолактон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101457442B1 (ko) 감마오리자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KR20130124349A (ko) 〔((1r,2s,5r)―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와 관련 화합물 및 요법에서 그의 용도
KR20230025253A (ko) 롤리올라이드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509299A (ja) N−アルキルカルボニル−d−アミノ酸ヒドロキシアルキルエステル化合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102027176B1 (ko) 〔((1r,2s,5r)―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와 관련 화합물 및 요법에서 그의 용도
US8476317B2 (en) N-alkylcarbonyl-amino acid ester compounds and their use for cough and pharyngitis
KR20140118971A (ko) 감마오리자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h1-항히스타민 활성을 갖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