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707B1 -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707B1
KR102376707B1 KR1020200006149A KR20200006149A KR102376707B1 KR 102376707 B1 KR102376707 B1 KR 102376707B1 KR 1020200006149 A KR1020200006149 A KR 1020200006149A KR 20200006149 A KR20200006149 A KR 20200006149A KR 102376707 B1 KR102376707 B1 KR 10237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dam
shape
maxillary
point
pala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582A (ko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7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무치악 총의치의 상악 3D 모델 상에, Postdam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은, 3차원 스캔 데이터에 따른 양형의 상악 3차원 모델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식별된 Postdam 전방 한계, Postdam 전방 한계 및 Postdam 후방 한계로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서,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분석에 따라 결정되는 구개부 형태에 따라 결정된 형상 및 위치의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FORM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본 발명은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총의치 생성을 위해 획득된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의치의 Postdam을 자동으로 형성함으로써, 환자에 최적화된 총의치 의치상이 디지털 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총의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자연 치아가 모두 상실되었을 때, 상실된 치아와 그 주위조직을 대체하는 가철성 보철물의 일종이다. 국소의치와 달리 오직 치조제의 도움으로만 입 안에서 기능하기 때문에 유지력(입 안에서 빠지지 않으려는 힘), 지지력(입 안 조직이 총의치를 받쳐주는 힘), 안정성(씹거나 말할 때 총의치가 흔들리지 않는 정도) 모두 부족하다.
환자의 치조제 및 구강 환경에 최적화된 총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바, 총의치의 제작은 상당한 비용 및 기간이 투입되어야 하는 보철 치료 작업이다. 이러한 총의치의 제작에 있어서 IT 기술의 도입 확대를 통해 총의치 제작의 정확도를 높이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에 따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미국공개특허 제2010-033225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상악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의 형상 및 위치를 가진 Postdam을 환자의 상악 3D 모델 상에 자동으로 형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구개부 형상에 최적화된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은, 상악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얻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스캔 데이터에 따른 양형의 상악 3차원 모델을 전두면(Frontal plane)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에서, 정중구개봉합선 상에 형성된 정중구개융기의 영역을 식별하고, 잔존 치조제의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정중구개융기로부터 제1 지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전방 한계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잔존 치조제로부터 제2 지정 거리만큼 구개측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측방 한계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높이를 기준으로 좌측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 및 우측 익돌상악절흔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을 전두면(Frontal plane)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을 식별하고,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해 가면서 전두면 분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폭 및 깊이 이하로 움푹 파인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2개의 구개소와로부터 제3 지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후방 한계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Postdam 전방 한계, 상기 Postdam 전방 한계 및 상기 Postdam 후방 한계로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서,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분석에 따라 결정되는 구개부 형태에 따라 결정된 형상 및 위치의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정 거리는 1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에서 지정된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정 거리는 1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에서 지정된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정 거리는 1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에서 지정된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상기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시상면 형태의 선택 결과 및 상기 전두면 형태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Postdam의 형상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각도가 145도 미만인 경우, 상기 급경사 형을 선택하고, 상기 제1 각도가 145도 이상 170도 미만인 경우, 상기 경사진 형을 선택하며, 상기 제1 각도가 170도 이상인 경우, 상기 편평한 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2/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60도 이상이고 상기 3/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50도 이상인 경우 상기 U-Shape를 선택하고, 상기 2/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30도 초과 160도 미만이고 상기 3/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40도 초과 150도 미만인 경우 상기 O-Shape를 선택하며, 상기 2/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30도 이하고 상기 3/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40도 이하인 경우 상기 V-Shape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상면 형태의 선택 결과 및 상기 전두면 형태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Postdam의 형상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급경사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V-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구개소와 보다 2mm 전방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2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경사진(Mildly Inclined)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O-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구개소와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4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편평한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U-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구개소와 보다 2mm 후방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6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는, 상악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무치악 총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이 로드 되는 메모리와 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치악 총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은, 기 3차원 스캔 데이터에 따른 양형의 상악 3차원 모델을 전두면(Frontal plane)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에서, 정중구개봉합선 상에 형성된 정중구개융기의 영역을 식별하고, 잔존 치조제의 영역을 식별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과, 상기 정중구개융기로부터 제1 지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전방 한계로 설정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잔존 치조제로부터 제2 지정 거리만큼 구개측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측방 한계로 설정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높이를 기준으로 좌측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 및 우측 익돌상악절흔을 식별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을 전두면(Frontal plane)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을 식별하고,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해 가면서 전두면 분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폭 및 깊이 이하로 움푹 파인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를 식별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2개의 구개소와로부터 제3 지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후방 한계로 설정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Postdam 전방 한계, 상기 Postdam 전방 한계 및 상기 Postdam 후방 한계로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서,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분석에 따라 결정되는 구개부 형태에 따라 결정된 형상 및 위치의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수행 과정에서 얻는 3D 스캔 데이터의 스캔 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치 변연(border) 자동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수행 과정에서 참조되는 3D 모델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상악의 무치악 총의치 변연이 자동 형성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구개부의 시상면 형상의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구개부의 전두면 형상의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총의치 변연을 자동 형성함에 있어서, 구개부의 시상면 형상 및 전두면 형상이 반영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하악의 후방 변연이 자동 형성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소대(Frenum)의 형상이 반영되어 무치악 총의치 변연이 자동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의치의 변연의 두께에 대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자동 형성된 의치 변연을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통해 변연이 수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최종 완성된 의치 변연이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Postdam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Postdam의 전방 한계 위치가 식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Postdam의 측방 한계 위치가 식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중 구개부의 형상에 따른 위치와 형상으로 Postdam이 자동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수동 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수행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예시적인 6개의 기준점 이동 UI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의 기준점 이동 UI를 이용하여 Postdam의 형상이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7의 수행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예시적인 4개의 인디케이터 UI를 더 도시한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인디케이터 UI를 이용하여 Postdam의 형상이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인디케이터 UI를 이용하여 깊이가 조정될 때에도 3D 모델상에 반영되는 Postdam 형상은 라운드(round) 처리를 통해 곡면으로 처리되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를 포함하며, 몇몇 실시예에서 3D 스캐너(10) 및 총의치 제작 장치(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3D 스캐너(10)로부터 무치악 환자의 인상체의 스캔 데이터를 직접 제공받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인상체의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형의 모델을 가리키는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3D 모델은 무치악 환자의 상악 3차원 모델(인상체가 상악을 채득한 것인 경우) 또는 하악 모델(인상체가 하악을 채득한 것인 경우)일 것이다. 또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3D 스캐너(10)로부터 무치악 환자의 상악 모형 또는 하악 모형의 스캔 데이터를 직접 제공받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또는 상기 하악 모델을 3D 스캐너(1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을 제공받아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에 정확하게 적합 되는 상악 총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작 데이터를 총의치 제작 장치(20)에 직접 송신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총의치 제작 장치(20)는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기반의 제작 장치로서, 예를 들어 3D 프린터일 수 있다. 물론,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가 하악 모델을 제공받는 경우,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총의치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총의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열과 이에 관련된 구조물들을 대체하는 가철성 치과 보철물이다. 총의치를 장착하게 됨으로써 음식의 저작, 심미 기능 회복, 발음의 회복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잔존 치아가 모두 결손된 무치악에서 안정과 유지를 얻어야 하므로, 다른 보철물에 비하여 매우 불리한 여건의 보철물이다.
도 2에서 A는 인공치, B는 의치상, C는 점막면, D는 연마면, E는 변연을 가리킨다. 의치상에는 인공치가 부착되고, 의치상의 순측면으로서 치조제와 입술 사이의 공간에 적합되는 것이 E로 표시된 변연이다. 변연이 정확하지 않으면, 변연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이는 의치가 쉽게 탈락하는 한 요인이 된다. 즉, 무치악 환자의 입안 내부 형상을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변연이 형성되는 것이 총의치의 빈번한 탈락 방지를 위하여 중요한 것이다. 특히, 상악의 총의치는 중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탈락되기 더 쉬우므로, 변연이 정확하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변연의 정확한 형성과 함께 상악 총의치의 탈락 방지에 중요한 것은, Postdam이다. Postdam은 상악 총의치의 점막면 상에 형성되며 후구개 경계폐쇄라 불린다. 상기 Postdam은, 연구개와 경구개 사이에 있는 연조직에 생리학적 한계내의 압박을 주어서 상악 총의치와 구개면 사이의 완전한 폐쇄를 유지함으로 의치 유지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Postdam은, 부수적으로 의치 하방으로 음식물 잔사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구토를 줄여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중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상악 총의치의 탈락 가능성이 하악 총의치 대비 더 높은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악 총의치의 변연을 정확하게 형성해 주어야 하고, 상악 총의치의 점막면 후방에 형성되는 Postdam을 정확한 위치에 적절한 형태로 형성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악 총의치를 제작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악 총의치와 관련된 설명의 적어도 일부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이상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소프트웨어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상악 총의치의 변연 및 Postdam의 정확한 위치 및 형상을 산출한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을 분석하여,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에 적합한 상악 총의치의 변연(border)을 자동으로 형성한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자동으로 형성된 변연에 대하여 그 위치를 수동 조정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자동으로 형성된 변연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Postdam을 상기 상악 총의치의 3D 모델 상에 자동으로 반영한다. 종래의 상악 총의치 제작 과정에서 의치상에 Postdam을 형성해 주기 위하여는 상악 모형에 Postdam 형상을 치과용 조각도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형성시켜 줘야 했는데, 모형을 제작하지 않는 모델리스(modeless) 방식의 총의치 제작을 수행하더라도, 3D 모델 상에서 Postdam 형상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Postdam이 형성된 상악 총의치의 의치상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자동으로 형성된 Postdam을 대상으로 수동으로 위치 및 형상을 조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3D 스캐너(10)로부터 제공된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악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방식으로 생성된 변연 및 Postdam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 절약이 가능하도록 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경험에 따른 세밀한 조정을 위한 수동 조정 GUI를 변연의 조정 및 Postdam의 조정의 용도로 각각 제공함으로써, 제작되는 총의치 의치상이 무치악 환자에 정확하게 적합 되도록 한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자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동작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00에서, 스캔 데이터를 얻는다. 상기 스캔 데이터는 무치악 환자의 상악 인상체를 3차원 스캔한 결과 데이터이거나, 무치악 환자의 상악 모형을 3차원 스캔한 결과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0에서, 의치의 변연이 될 경계선을 상기 스캔 데이터로 생성된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으로 생성한다. 도 4는 무치악 환자의 상악 모형(30) 상에 변연(30a)이 자동으로 형성된 결과와, 무치악 환자의 상악 인상체(31) 상에 변연(31a)이 자동으로 형성된 결과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변연(30a, 31a)은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이다.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은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변곡점을 연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변곡점은 3D 모델에서의 높이를 비교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후방 변연은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 및 구개소와를 연결한 선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변연의 자동 형성 방법 관련하여는 도 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300에서, 의치의 후방 변연과 구개부의 형상 등을 이용하여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Postdam을 자동으로 형성한다. Postdam의 자동 형성 방법 관련하여도 도 20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400에서, 자동으로 형성된 Postdam에 대한 수동 조정이 수행된다. 상기 수동 조정을 위하여 Postdam의 기능 및 형상에 특화된 GUI가 제공될 수 있다. Postdam의 수동 조정 방법 관련하여도 도 27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500에서, 자동으로 형성된 변연 및 상기 자동으로 형성된 후 수동 조정이 수행된 Postdam을 가지는 총의치를 CAM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가 생성되고 제작 장치에 상기 생성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연 자동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연 자동 형성 방법 역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연 자동 형성 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동작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포함된 단계 S20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210에서,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은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변곡점을 연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변곡점은 3D 모델에서의 높이를 비교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상악 모형의 모델(30)에서는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가장 깊은 곳을 연결한 선(30a)을 얻음으로써,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이 얻어질 수 있고, 도 4의 상악의 인상체의 모델(31)에서는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가장 높게 튀어나온 변곡점을 연결한 선(31a)을 얻음으로써,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이 얻어질 수 있다.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이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변곡점을 연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은, 상악의 변연을 자동형성할 때 뿐만 아니라, 하악의 변연을 자동형성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점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스캔 데이터가 상악 인상체를 스캔한 것이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제 순측 변곡점의 연결선(31a)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4mm의 여유를, 수직 방향으로 2mm의 여유를 각각 두어 양형의 3D 상악 3차원 모델(30a)이 얻어지고, 양형의 3D 상악 3차원 모델(30a)을 이용하여 무치악 총의치의 변연이 자동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양형의 3D 상악 3차원 모델(30a)은 수평 방향으로 4mm 이상의 여유를, 수직 방향으로 2mm 이상의 여유를 각각 두어 얻어질 수도 있다.
단계 S230에서, 후방 변연의 기준이 되는 좌우의 익돌상악절흔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 변연이 자동으로 형성된다. 상악 총의치의 후방 변연은 연구개에 닿는 부위이므로 너무 후방에 형성되면 이물감이 나타나 구역질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후방 변연이 너무 전방에 형성되면 상악 총의치의 유지 안정에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악 총의치의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물감이 나타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후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 로직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후방 변연은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일 수 있다.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은 후방 변연을 제외한 변연이 후방에서 끝나는 2곳의 위치인 바, 후방 변연을 제외한 변연의 자동 형성 결과를 이용하여 그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절치유두(38)가 위치한 시상면(Sigittal Plane)(32)을 따라, 전두면(33)을 후방(34)으로 이동해가면서 전두면 분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폭 및 깊이 이하로 움푹 파인 2개의 구개소와 (36a, 36b)가 식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치유두(38)가 위치한 시상면(32)에서 정중구개융기(미도시)가 식별되면,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전두면(33)을 후방(34)으로 이동해가면서 전두면 분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폭 및 깊이 이하로 움푹 파인 2개의 구개소와 (36a, 36b)가 식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절치유두(38)의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 대비 구개소와의 위치를 보다 빠르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악 3차원 모델의 형상을 분석하여 구개부 형태가 판정되고, 상기 판정된 구개부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 변연이 조정될 수 있다. 상악 총의치의 점막면과 상악의 구개부가 서로 닿는 부위이므로, 구개부의 형태와 무관하게 항상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을 후방 변연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악 총의치의 유지력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시상면에서의 구개부 형태를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치유두(38)로부터 구개소와(36a, 36b)까지의 상악 3차원 모델(30)을 4등분 하여, 1/4 지점(39a), 2/4 지점(39b) 및 3/4 지점(39c)이 이루는 제1 각도가 145도 미만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급경사(Steep) 형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각도가 145도 이상 170도 미만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경사진(Mildly Inclined) 형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각도가 170도 이상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편평한(Flat) 형으로 구분된다.
도 9는 전두면에서의 구개부 형태를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중구개봉합선(42)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41a, 41b)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43a, 43b)과 정중구개봉합선(42)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시상면의 2/4 지점(39b)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60도 이상이고, 시상면의 3/4 지점(39c)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50도 이상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U-shape(44a)으로 구분되고, 시상면의 2/4 지점(39b)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30도 초과 160도 미만이고, 시상면의 3/4 지점(39c)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40도 초과 150도 미만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O-shape(44b)으로 구분되며, 시상면의 2/4 지점(39b)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30도 이하고, 시상면의 3/4 지점(39c)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40도 이하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V-shape(44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구개부 형태가 급경사 형과 V-shape인 경우라면, 구개 경사가 심함을 뜻한다. 이 경우, 진동선(vibrating line)의 떨림이 심하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후방 변연이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 보다 2mm 전방(37a-1)의 선(37a)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구개부 형태가 경사진 형과 O-shape인 경우라면, 구개 경사가 평균 수준임을 뜻한다. 이 경우, 후방 변연이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에서 조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개부 형태가 편평한 형과 U-shape인 경우라면, 구개 경사가 완만함을 뜻한다. 이 경우, 후방 변연이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보다 2mm 후방(37a-2)의 선(37b)로 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설명한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을 참조하여 상악의 총의치 변연을 자동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하악의 총의치 변연 중 단계 S210에서 생성되지 않은 후방 변연이 단계 S240에서 생성된다. 하악의 후방 변연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악 모델의 후방에는 좌우측 익돌상악절흔이 식별되어 상악 후방 변연의 생성 기준이 식별되는 반면, 하악의 인상체 후방에는 변곡점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하악의 인상체를 그대로 3D 모델로 생성하게 되면, 하악의 후방 변연을 자동 형성하기 위한 기준점이 식별되기 어렵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3D 하악 모형을 생성할 때, 인상체의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변곡점 보다 2mm 또는 그 이상 만큼 수직 방향으로 높게, 4mm 또는 그 이상 만큼 수평 방향으로 더 넓게 3D 모형을 생성함으로써, 하악의 후방 변연을 자동 형성하기 위한 기준점으로서의 변곡점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은 예시적인 3D 하악 모델이다. 도 11의 우측 방향이 하악의 후방 방향이고, 도 11에는 인상체의 후방 말단 위치에, 2mm 만큼 높은 장벽이 형성된 3D 하악 모델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벽은 후술할 변곡점의 형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3D 모델상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장벽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장벽과 상기 인상체의 후방 말단 사이의 변곡점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면서 상기 3D 하악 모델의 높이가 낮아지다가 어느 지점에서 높아지게 되면, 그 지점이 상기 변곡점인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상기 변곡점의 식별 결과를 이용하여, 하악의 좌우측 말단에 위치한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의 위치가 식별 될 수 있다. 그리고, 하악의 후방 변연은 상기 식별된 좌우측 후구치 삼각의 위치를 연결한 선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상악의 총의치 변연을 자동 형성함에 있어서 소대(Frenum)가 자동으로 반영될 수 있다. 소대는 환자가 말을 하거나 입술을 움직이는 등의 행위를 할 때 움직이는 조직이기 때문에, 소대 부분을 덮도록 변연이 형성되면 의치의 탈락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소대 부분을 덮지 않도록 변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12에는 순 소대가 위치함에 따라 여유를 두어 변연이 형성된 것(48a)과, 협 소대가 위치함에 따라 여유를 두어 변연이 형성된 것(48b)이 도시되었다. 이를 위해, 치조제에 인접한 순 소대(Frenum) 및 협 소대가 식별되고, 상기 순 소대에 대하여 1mm의 여유를 두어 변연이 자동 형성되고(도 13 참조), 상기 협 소대에 대하여 2mm의 여유를 두어 변연이 자동 형성될 수 있다(도 14 참조). 협 소대에 대하여 설 소대 보다 여유를 잡은 것은, 협 소대가 설 소대 보다 더 넓은 운동 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단계 S260에서, 변연 부분의 두께 정보가 생성된다. 이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악 3차원 모델의 치조제 정상에서 순측 방향 외면 상에 형성된 제1 변곡점(49a), 제2 변곡점(49b) 및 제3 변곡점(49c)이 참조되어 설명된다. 제1 변곡점(49a)은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가장 깊은 곳을 가리킨다. 또한, 순측 치조제에서 입술 사이로 상악 3차원 모델의 외면을 이동하게 되면, 깊어지던 것이 제1 변곡점(49a)을 기준으로 얕아지게 된다. 제2 변곡점(49b)은 상악 3차원 모델의 최외곽점이다. 제3 변곡점(49c)은 순측 치조제 상의 상악 3차원 모델 외면이 휘어진 방향이 바뀌는 변곡점이다.
변연의 두께(53)는 제1 변곡점(49a)과 제2 변곡점(49b)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또한, 변연의 말단 외곽선은 제1 변곡점(49a)과 제2 변곡점(49b) 사이의 상악 3차원 모델 외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연의 연마면 측 외곽선은 제1 변곡점(49a)과 제3 변곡점(49c) 사이의 상악 3차원 모델 외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6과 같이 변연 부분이 아닌 의치상 부분의 두께(53-1)는 2mm 내지 2.5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변연의 연마면 측 외곽선 상의 제3 변곡점(49c)에 대응되는 점(49c-1)부터 2mm 내지 2.5mm의 두께를 가진 의치상이 형성되도록 변연의 연마면 측 외곽선(50b-1)이 형성될 수 있다.
변연 부분이 아닌 의치상 부분의 두께(53-1)가 특정 값이 아니라 일정 범위 내의 값이되는 이유는, CAM 소프트웨어에 따른 요구 두께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단계 S270에서, 자동 완성된 변연 및 그 두께가 변연 수동 조정 UI를 통해 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연 수동 조정 UI는 전두면인 기준선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기준선에서의 치조제의 외곽 변곡점인 제1 변곡점(49a)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기준선에서의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최외곽점인 제2 변곡점(49b)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에 따른 전두면 상 높이 선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고, 제1 변곡점(49a) 및 제2 변곡점(49b)은, 상기 높이 선 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변곡점(49a)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자동으로 형성된 변연과 상기 변연의 두께가 조정될 것이고,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변곡점(49b)을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변연 자체는 변경되지 않고 상기 변연의 두께만 조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7의 아래 그림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된 제1 변곡점(49a-1)을 도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좌측 후방의 변연은 구개측으로 이동하고, 좌측 후방의 변연은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조정될 것이다.
도 18은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을 거쳐 최종 완성된 상악 총의치 영역이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는 화면이 사용자에 제공되는 점을 도시한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역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동작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포함된 단계 S30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악 총의치의 후방 점막면 상에 형성되는 Postdam은 구개면과 상기 상악 총의치의 점막면 사이의 완전한 폐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악 총의치의 유지력을 증가시킨다. 도 19에는 상악의 후구개 측에 Postdam(55)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Postdam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자동 형성되는 방법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310 내지 단계 S330에서 Postdam의 전방, 측방, 후방 한계 위치가 각각 식별된다. Postdam의 전방 한계 위치는 정중구개융기의 후방 2mm 이격 지점일 수 있다.
도 21에는 정중구개융기(56)가 끝나는 지점의 전두면(Frontal Plane)(57-2)으로부터 2mm 후방(57-3)의 상기 전방 한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정중구개융기(56)가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끝나는 지점을 찾기 위해, 전두면 분할 이미지에 대한 분석이 최후방면(57-1)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진행될 수 있다.
정중구개융기(56)가 제2 소구치(미도시)의 위치까지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 정중구개융기(56)가 끝나는 지점의 전두면(57-2)으로부터 3mm 후방(미도시)에 상기 전방 한계 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환자의 경우, 정중구개융기(56)가 후방으로 끝나는 지점이, 정상 대비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2mm 후방(57-3)이 Postdam의 상기 전방 한계 위치로 설정되면, Postdam 형성에 충분한 영역이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중구개융기(56)가 끝나는 지점의 전두면(57-2)으로부터 1mm 후방(미도시)에 상기 전방 한계 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요컨대, 정중구개융기(56)가 끝나는 지점의 전두면(57-2)으로부터 1mm 내지 3mm 후방이, Postdam의 전방 한계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ostdam의 전방 한계 위치의 정중구개융기(56) 대비 이격 거리는, 정중구개융기(56)가 후방으로 끝나는 지점의 상악 내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소프트웨어 로직이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방 한계 위치의 정중구개융기(56) 대비 이격 거리가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됨으로써, Postdam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불편함이나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2에는 잔존 치조제 기준선(58)로부터 2mm 구개측 방향의 Postdam 측방 한계 위치(59)가 도시된다. 잔존 치조제 기준선(58)은, 예를 들어 구개측 치조제의 각도가 구개측에서 순측으로 향하면서 점점 증가하다가 기준각도에 달하는 위치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잔존 치조제의 흡수가 적거나, 상악결절 부위가 구개측으로 과도하게 튀어나온 환자에 대하여는, 잔존 치조제 기준선(58)로부터 1mm 구개측 방향에 Postdam 측방 한계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치조제 흡수가 심각한 환자에 대하여는, 잔존 치조제 기준선(58)로부터 3mm 구개측 방향에 Postdam 측방 한계 위치가 설정될 수도 있다.
요컨대, 잔존 치조제 기준선(58)으로부터 1mm 내지 3mm 구개측 방향이, Postdam의 측방 한계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ostdam의 측방 한계 위치의 잔존 치조제 기준선(58) 대비 이격 거리는, 잔존 치조제 기준선(58)의 상악 내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소프트웨어 로직이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측방 한계 위치의 잔존 치조제 기준선(58) 대비 이격 거리가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됨으로써, Postdam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불편함이나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Postdam의 후방 한계 위치는, 구개소와의 위치보다 1mm 내지 3mm의 범위에서 결정된 이격 거리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선(vibration line)이 구개소와의 위치 대비 3mm 정도까지 후방에 위치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Postdam의 후방 한계 위치가, 구개소와의 위치보다 3mm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동선(vibration line)이 구개소와의 위치 대비 1mm 후방까지 접근하여 위치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Postdam의 후방 한계 위치가, 구개소와의 위치보다 1mm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팅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Postdam의 후방 한계 위치의 구개소와 위치 대비 이격 거리는, 구개소와의 상악 내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소프트웨어 로직이 자동으로 결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진동선 위치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로직이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후방 한계 위치의 구개소와 대비 후방 이격 거리가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됨으로써, Postdam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발성에 따른 진동에 따른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 S340에서, Postdam이 상기 전방 한계 위치, 상기 측방 한계 위치 및 상기 후방 한계 위치를 고려한 위치에서 생성되되, 구개부의 형태를 반영한 위치 및 형상으로 자동 형성된다. 상기 구개부의 형태는 전두면 형태 및 시상면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전두면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 및 상기 시상면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23은 단계 S34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상면 형태가 급경사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V-Shape인 경우, 상기 구개소와 보다 2mm 전방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2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이 자동 형성된다(S341). 도 24에는 V자 형상의 Postdam(60)이 구개소와 2mm 전방에 자동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급경사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V-Shape인 경우 구개 경사가 심하여 진동선의 떨림이 심하므로, Postdam 또한 진동선의 떨림을 피해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폭도 좁은 것이 바람직한 점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시상면 형태가 경사진(Mildly Inclined)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O-Shape인 경우, 상기 구개소와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4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이 자동 형성된다(S342). 도 25에는 나비 형상의 Postdam(60)이 구개소와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경사진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O-Shape인 경우 구개 경사가 보통이고 진동선의 떨림도 보통 정도이므로, Postdam 또한 진동선의 보통 정도의 떨림을 감당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편평한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U-Shape인 경우, 상기 구개소와 보다 2mm 후방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6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이 자동 형성된다(S343). 도 26에는 나비 형상의 Postdam(60)이 구개소와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편평한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U-Shape인 경우 구개 경사가 완만하고 진동선의 떨림이 약하므로, Postdam 또한 이에 맞추어 그 기능이 최대한 강화될 수 있도록 넓은 영역에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수동 조정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역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수동 조정 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동작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포함된 단계 S40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410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자동 형성된 Postdam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은 상악 3차원 모델의 대응되는 위치에 오버레이 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단계 S420에서, Postdam 수동 조정 GUI가 디스플레이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작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Postdam 수동 조정 GUI는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 및 상기 상악 3차원 모델과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ostdam 수동 조정 GUI는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6개의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Postdam 수동 조정 GUI는 상기 후방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좌측 측방 기준점과 상기 우측 측방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Postdam 수동 조정 GUI는 상기 6개의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지 상기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상기 6개의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Postdam의 형상이 조정된다.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도시된 전방 중앙 기준점(61),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62-2),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62-1), 좌측 측방 기준점(63-2), 우측 측방 기준점(63-1) 및 후방 기준점(64) 모두 드래그 등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그 위치가 이동되고 그에 따라 Postdam(60)의 형상도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6개의 Postdam 형상 기준점(61, 62-1, 62-2, 63-1, 63-2, 64)의 조합에 의하여 대부분의 적용 가능한 범위 내의 Postdam 형상이 표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기준점들(61, 62-2, 62-1, 63-2, 63-1, 64)에 인접한 영역을 드래그할 때에도, 기준점들(61, 62-2, 62-1, 63-2, 63-1, 64)에 대한 드래그 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정교하지 않은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도 사용자의 의도에 충실한 UI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기준점들(61, 62-2, 62-1, 63-2, 63-1, 64)에 인접한 소정 범위 내의 특정 위치를 클릭하는 경우, 최근점 기준점이 클릭 위치로 이동하는 UI 피드백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9는 비대한 정중구개융기(56)를 고려하여,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62-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62-1)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중구개융기(56)와 Postdam의 전방 사이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한 결과를 도시한다.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62-2),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62-1), 좌측 측방 기준점(63-2) 및 우측 측방 기준점(63-1) 모두 자유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나, 전방 중앙 기준점(61) 및 후방 기준점(64)은 전후방 방향의 이동만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전방 중앙 기준점(61)은 정중구개융기(56)와 2mm 이상의 간격이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 Postdam(60)이 정중구개융기(56)와 2mm 이하로 가까워지면 환자가 통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후방 기준점(64)은 의치의 후방 변연을 넘어서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변연은 구개부의 형태를 반영하여 그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결과적으로 후방 기준점(64)의 후방 이동 한계 역시 구개부의 형태를 반영하여 그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시상면 형태가 급경사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V-Shape이면, 후방 기준점(64)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2mm 전방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시상면 형태가 경사진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O-Shape이면, 후방 기준점(64)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위치로 세팅 될 것이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편평한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U-Shape이면, 후방 기준점(64)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2mm 후방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방 중앙 기준점(61)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66) 및 깊이(67)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거나(S440), 전방 좌우측 돌출부 기준점(62-1, 62-2)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66) 및 깊이(67)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거나(S450), 좌우측 측방 기준점(63-1, 63-2)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66) 및 깊이(67)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거나(S460), 후방 기준점(64)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66) 및 깊이(67)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는 동작(S470)이 수행된다.
도 30에는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조정되는 거리(66)의 기준이 되는 기준선(68)은 좌우측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을 연결한 직선일 수 있다. 즉,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기준점의 거리(66)가 0.5라는 것은, 후방 기준점(64)이 기준선(68)으로부터 0.5mm 만큼 전방으로 이동해 있다는 뜻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형상 조절 바(65)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통해 쉽게 거리(66)값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조작이 있는 경우, 거리(66)값만 조정되거나, 거리(66)값과 깊이(67)값이 함께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ostdam의 부피가 상기 드래그 조작에 따른 거리(66)값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거리(66)값이 변경된 만큼 깊이(67)값도 함께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거리(66)값과 깊이(67)값에 대한 직접 입력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Postdam(60)의 형상이 즉각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 31에서는 사용자가 전방 중앙 기준점(61) 및 전방 좌우측 돌출부 기준점(62-1, 62-2)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거리 값(66)을 감소시켰고, 이로 인해 Postdam의 전후방 간격이 좁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Postdam의 수동 조정 방법에 따르더라도, Postdam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방, 측방, 후방 한계 위치를 벗어날 수 없으므로, 상기 6개의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지 상기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Postdam이 상기 전방, 측방, 후방 한계 위치를 벗어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는 경고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Postdam의 자동 형성 방법에 따른 Postdam 및 수동 조정 방법에 따라 형성되는 Postdam 모두, Postdam의 위치에 따라 깊이가 달라지더라도,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면이 형성되어야 함을 유의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3은 컴퓨팅 장치(5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버스(550), 통신 인터페이스(570),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530)와,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3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500)는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방식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팜(server farm)에 소속된 물리 서버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직(또는 모듈)이 메모리(53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30)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550)는 컴퓨팅 장치(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컴퓨팅 장치(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비정상 URL 수집 장치, 보안 관제 서버 및 대상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됨으로써, 빠른 통신 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악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얻는 단계;
    상기 3차원 스캔 데이터에 따른 양형의 상악 3차원 모델을 전두면(Frontal plane)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에서, 정중구개봉합선 상에 형성된 정중구개융기의 영역을 식별하고, 잔존 치조제의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정중구개융기로부터 제1 지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전방 한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잔존 치조제로부터 제2 지정 거리만큼 구개측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측방 한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높이를 기준으로 좌측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 및 우측 익돌상악절흔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을 전두면(Frontal plane)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을 식별하고,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해 가면서 전두면 분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폭 및 깊이 이하로 움푹 파인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2개의 구개소와로부터 제3 지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후방 한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Postdam 전방 한계, 상기 Postdam 전방 한계 및 상기 Postdam 후방 한계로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서,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분석에 따라 결정되는 구개부 형태에 따라 결정된 형상 및 위치의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상면 형태의 선택 결과 및 상기 전두면 형태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Postdam의 형상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 거리는 1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에서 지정된 거리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정 거리는 1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에서 지정된 거리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정 거리는 1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에서 지정된 거리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각도가 145도 미만인 경우, 상기 급경사 형을 선택하고, 상기 제1 각도가 145도 이상 170도 미만인 경우, 상기 경사진 형을 선택하며, 상기 제1 각도가 170도 이상인 경우, 상기 편평한 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2/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60도 이상이고 상기 3/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50도 이상인 경우 상기 U-Shape를 선택하고, 상기 2/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30도 초과 160도 미만이고 상기 3/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40도 초과 150도 미만인 경우 상기 O-Shape를 선택하며, 상기 2/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30도 이하고 상기 3/4 지점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40도 이하인 경우 상기 V-Shape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상면 형태의 선택 결과 및 상기 전두면 형태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Postdam의 형상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급경사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V-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구개소와 보다 2mm 전방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2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상면 형태의 선택 결과 및 상기 전두면 형태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Postdam의 형상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경사진(Mildly Inclined)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O-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구개소와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4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상면 형태의 선택 결과 및 상기 전두면 형태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Postdam의 형상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편평한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U-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구개소와 보다 2mm 후방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6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11. 상악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치악 총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이 로드 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무치악 총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은,
    상기 3차원 스캔 데이터에 따른 양형의 상악 3차원 모델을 전두면(Frontal plane)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에서, 정중구개봉합선 상에 형성된 정중구개융기의 영역을 식별하고, 잔존 치조제의 영역을 식별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정중구개융기로부터 제1 지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전방 한계로 설정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잔존 치조제로부터 제2 지정 거리만큼 구개측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측방 한계로 설정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높이를 기준으로 좌측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 및 우측 익돌상악절흔을 식별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을 전두면(Frontal plane)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을 식별하고,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해 가면서 전두면 분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폭 및 깊이 이하로 움푹 파인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를 식별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2개의 구개소와로부터 제3 지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선을 Postdam 후방 한계로 설정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Postdam 전방 한계, 상기 Postdam 전방 한계 및 상기 Postdam 후방 한계로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서,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분석에 따라 결정되는 구개부 형태에 따라 결정된 형상 및 위치의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시상면 형태의 선택 결과 및 상기 전두면 형태의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Postdam의 형상 및 위치를 결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의치 디자인 장치.
KR1020200006149A 2020-01-16 2020-01-16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49A KR102376707B1 (ko) 2020-01-16 2020-01-16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49A KR102376707B1 (ko) 2020-01-16 2020-01-16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82A KR20210092582A (ko) 2021-07-26
KR102376707B1 true KR102376707B1 (ko) 2022-03-21

Family

ID=7712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149A KR102376707B1 (ko) 2020-01-16 2020-01-16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7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2342A (ja) 2006-07-06 2009-12-03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総義歯および部分義歯を製造する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US20130216978A1 (en) * 2010-11-03 2013-08-22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s and proces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CN106687068A (zh) 2016-12-20 2017-05-17 北京大学口腔医院 基于数据挖掘的全口义齿制作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16327A1 (en) 2008-02-22 2009-08-27 Glaxosmithklin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ized den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2342A (ja) 2006-07-06 2009-12-03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総義歯および部分義歯を製造する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US20130216978A1 (en) * 2010-11-03 2013-08-22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s and proces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CN106687068A (zh) 2016-12-20 2017-05-17 北京大学口腔医院 基于数据挖掘的全口义齿制作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82A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7092B2 (ja) 再位置決め顎エレメントを有する歯科器具
US10893920B2 (en) Modeling a digital design of a denture
US10743968B2 (en) Creating a digital restoration design
US10327873B2 (en) Metho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digital design for use in manufacturing a molding-shell for a dental restoration
CN106137414B (zh) 确定目标牙列布局的方法和系统
JP5859986B2 (ja) 動的仮想咬合器
JP6757671B2 (ja) 歯肉モデルの仮想二次加工方法
US1095981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maxillary tray appliance with anatomically aligned contacting portion
KR102376710B1 (ko) 총의치의 변연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JP2016523619A (ja) 歯科補綴物を製造するためのスキャン可能なトレー
KR100419380B1 (ko) 컴퓨터를 이용한 치열 교정기의 제조 방법
KR20200070706A (ko) 인접치 및 대합치와의 관계를 반영하여 크라운 위치를 결정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6707B1 (ko)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6579B1 (ko)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US118337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 orthodontic appliance
KR102389653B1 (ko)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2472029B1 (ko) 가상 교합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11980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tic device
KR102474299B1 (ko)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EP3741323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anatomical prototype
KR20220129349A (ko) 대상 치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30115355A (ko) 지대치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WO202324033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dental prostheses planning
WO2023152311A1 (en) Restoring a 3d digital defective tooth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