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674B1 -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674B1
KR102376674B1 KR1020210119346A KR20210119346A KR102376674B1 KR 102376674 B1 KR102376674 B1 KR 102376674B1 KR 1020210119346 A KR1020210119346 A KR 1020210119346A KR 20210119346 A KR20210119346 A KR 20210119346A KR 102376674 B1 KR102376674 B1 KR 10237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layer
true hair
hair layer
t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정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영 filed Critical 정은영
Priority to KR102021011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2Artificial eyelashes; Artificial eyebro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 테이프가 눈 아래 피부에 부착되어, 언더 속눈썹이 피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언더 테이핑 단계; 및 왼쪽 눈과 오른쪽 눈 각각을 눈꼬리에서부터 눈앞머리까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의 탑 속눈썹을 복수의 층으로 구분하여, 탑 속눈썹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연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 단계에서, 왼쪽 눈과 오른쪽 눈 각각의 구역 및 층을 따라 단뜨기 방식으로 차례대로 탑 속눈썹에 인조 눈썹을 연장하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번갈아가며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METHOD FOR STITCH HEM EXTENSION OF EYELASH USING STAIR SKILL}
본 발명은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외모를 더욱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다양한 미용도구를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을 가꾸고 있으며, 이 중 인조 속눈썹을 사용해 속눈썹의 길이를 연장하여 밋밋하기 쉬운 눈을 보다 뚜렷하게 보이도록 하면서 깊이 있도록 연출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조 속눈썹을 이용한 미용술은 밋밋한 속눈썹에 인조 속눈썹을 붙여 연장함으로써 속눈썹이 길어 보일 뿐만 아니라 숱이 많아 보이는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뚜렷하면서도 깊이 있는 눈매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널리 애용되고 있다.
통상 인조 속눈썹을 이용하여 속눈썹을 연장할 때에는 하나의 속눈썹에 글루(glue)를 묻힌 인조 속눈썹을 붙이게 되며 시술자가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전체 속눈썹 연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속눈썹 연장 방법은, 속눈썹 1개당 하나씩의 인조 속눈썹을 붙여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수는 있으나, 속눈썹의 숱이 적은 사람의 경우 속눈썹 1개당 하나씩의 인조 속눈썹을 부착하는 것만으로 풍성해 보이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숱이 없는 듬성한 부분에는 속눈썹을 붙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속눈썹 연장 시술방법과 같이 속눈썹 사이를 벌려 공간을 확보한 후, 확보된 공간의 사용자 눈꺼풀에 직접 부착할 경우, 피시술자의 눈꺼풀에 통증, 눈 시림, 알레르기성 두드러기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7503호(2007.08.02.)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인조 눈썹을 한번에 눈꺼풀에 정렬하는 것이 아니고, 부착해야 하는 총 인조 눈썹의 개수를 복수개로 나누어 다수회에 걸쳐 겹겹이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보다 풍성한 속눈썹 연장이 가능한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 테이프가 눈 아래 피부에 부착되어, 언더 속눈썹이 피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언더 테이핑 단계; 및 왼쪽 눈과 오른쪽 눈 각각을 눈꼬리에서부터 눈앞머리까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의 탑 속눈썹을 복수의 층으로 구분하여, 탑 속눈썹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연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 단계에서, 왼쪽 눈과 오른쪽 눈 각각의 구역 및 층을 따라 단뜨기 방식으로 차례대로 탑 속눈썹에 인조 눈썹을 연장하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번갈아가며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장 단계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 중 어느 한 쪽 눈의 탑 속눈썹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서 복수의 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제1 구역의 복수의 층 중 제1 진모층을 제외한 나머지 탑 속눈썹은 고정 테이프를 통해 눈 아래의 언더 테이프 위에 고정시키는 A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 상기 A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분리된 제1 진모층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A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 왼쪽 눈과 오른쪽 눈 중 나머지 다른 한 쪽 눈의 탑 속눈썹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서 복수의 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제1 구역의 복수의 층 중 제1 진모층을 제외한 나머지 탑 속눈썹은 고정 테이프를 통해 눈 아래의 언더 테이프 위에 고정시키는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 및 상기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분리된 제1 진모층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B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단계는, 상기 A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에서 인조 눈썹이 부착된 제1 진모층이 눈 위쪽으로 벤딩되도록, 고정 테이프를 통해 제1 진모층 및 제1 진모층에 부착된 인조 눈썹의 단부를 눈 위쪽의 피부에 고정하는 A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는, 상기 A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 이후에 상기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 및 상기 B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된 후에 진행되어, 상기 제1 진모층 연장 단계 후 상기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 및 상기 B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 진모층 연장 단계에서 부착된 인조 눈썹의 접착제가 굳어지며 인조 눈썹의 부착력이 강해지고, 상기 A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인조눈썹이 벤딩되며 접착력이 약한 인조 눈썹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인조 눈썹이 부착된 제1 진모층이 고정 테이프에 의해 눈 위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A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고정 테이프에 의해 눈 아래에 고정된 나머지 복수의 층 중 제2 진모층을 분리하는 A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 상기 A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분리된 제2 진모층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A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 상기 B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에서 인조 눈썹이 부착된 제1 진모층이 눈 위쪽으로 벤딩되도록, 고정 테이프를 통해 제1 진모층 및 제1 진모층에 부착된 인조 눈썹의 단부를 눈 위쪽의 피부에 고정하는 B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 상기 B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인조 눈썹이 부착된 제1 진모층은 고정 테이프에 의해 눈 위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고정 테이프에 의해 눈 아래에 고정된 나머지 복수의 층 중 제2 진모층을 분리하는 B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 및 상기 B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분리된 제2 진모층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B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눈의 제1 구역의 모든 탑 속눈썹의 연장이 종료될 때까지, 층분리 단계, 진모층 연장 단계, 벤딩 테이핑 단계를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번갈아가며 진행하되, 어느 한 쪽 눈의 층분리 단계와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되고, 다른 한 쪽 눈의 층분리 단계와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된 후에, 어느 한 쪽 눈의 벤딩 테이핑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눈의 제1 구역의 모든 탑 속눈썹의 연장이 종료되면, 각 눈의 제2 구역의 탑 속눈썹 연장을 진행하되, 각 눈의 제1 구역은 눈꼬리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단계 전에, 텐션 테이프가 각 눈의 눈앞머리와 눈꼬리 부분이 일자에 가깝도록 위쪽 눈이 위로 당겨지는 텐션을 가지도록 눈 위쪽 피부에 부착되어, 눈썹 라인을 일자 형태로 형성하는 텐션 테이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많은 양의 인조 눈썹을 한번에 눈꺼풀에 정렬하는 것이 아니고, 부착해야 하는 총 인조 눈썹의 개수를 복수개로 나누어 다수회에 걸쳐 겹겹이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보다 풍성한 속눈썹 연장이 가능한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이 시작되기 전의 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이 시작되기 전의 눈을 옆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언더 테이핑 단계와 텐션 테이핑 단계가 진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층분리를 위한 고정 테이핑 단계가 진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층분리가 된 상태를 눈 옆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5의 상태에서 제1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 눈썹이 탑 속눈썹에 부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분리 단계와 진모층 연장 단계가 왼쪽눈과 오른쪽 눈에 순차로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상태에서 어느 한 쪽 눈에 벤딩 테이핑 단계가 진행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따른 상태에서 제2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패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패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에 따른 서브패드부에 의해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진모층 연장 단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5에 따른 서브패드부를 통해 진모층 연장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5에 따른 서브패드부를 통해 진모층 연장 단계를 하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1)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1)이 시작되기 전의 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1)이 시작되기 전의 눈을 옆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언더 테이핑 단계(S10)와 텐션 테이핑 단계(S20)가 진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층분리를 위한 고정 테이핑 단계가 진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층분리가 된 상태를 눈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상태에서 제1 진모층(11) 연장 단계(S30)가 진행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 눈썹(50)이 탑 속눈썹(10)에 부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분리 단계와 진모층 연장 단계(S30)가 왼쪽눈과 오른쪽 눈에 순차로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상태에서 어느 한 쪽 눈에 벤딩 테이핑 단계가 진행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상태에서 제2 진모층(12) 연장 단계(S30)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방법은 언더 테이핑 단계(S10), 텐션 테이핑 단계(S20), 연장 단계(S30) 및 테이프 분리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속눈썹은, 아래 눈꺼풀의 모근에서 연장되는 언더 속눈썹과, 위 눈꺼풀의 모근에서 연장되는 탑 속눈썹(10)이 있다. 이처럼, 언더 속눈썹과 탑 속눈썹(10) 모두 노출된 상태에서, 언더 속눈썹과 탑 속눈썹(10) 한가닥 마다 인조 눈썹(50)을 붙이게 되면, 인조 눈썹(50)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많은 가닥의 탑 속눈썹(10)과 언더 속눈썹이 서로 간섭되어, 다른 속눈썹에 접착제가 묻는 등의 시술 중 불편함이 있다. 이에, 언더 속눈썹과 탑 속눈썹(10), 즉 진모에 인조 눈썹(50)을 부착하는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도 4와 같이 언더 테이프(20)와 텐션 테이프(30)와를 통해 눈 주변을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 테이핑 단계(S10)에서는 언더 테이프(20)가 눈 아래 피부에 부착되어, 아래 눈꺼풀의 언더 속눈썹이 피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언더 테이프(20)는 아래 눈매를 따라 언더 속눈썹의 단부가 피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언더 속눈썹이 바람에 의해 날리거나 시술 중간에 인조 눈썹(50)의 접착제와 붙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텐션 테이핑 단계(S20)에서는 텐션 테이프(30)가 각 눈의 눈앞머리와 눈꼬리 부분이 일자에 가깝도록 위쪽 눈이 위로 당겨지는 텐션을 가지도록 눈 위쪽 피부에 부착되어, 눈썹 라인을 일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텐션 테이핑 단계(S20)에서 텐션 테이프(30)는 눈앞머리와 눈꼬리 부분의 위쪽 피부에서 위쪽 눈꺼풀(3)이 위로 당겨지는 텐션을 가지도록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눈앞머리와 눈꼬리 부분은 위 아래의 살이 서로 인접하기 때문에 위 눈꺼풀의 접착제가 아래 눈꺼풀에도 묻게되면서 접착제가 번지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텐션 테이프(30)가 눈앞머리와 눈꼬리 부분의 위쪽 피부를 위로 당겨지도록 하여, 눈앞머리와 눈꼬리 부분의 위 아래 살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여 접착제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눈은 눈앞머리와 눈꼬리가 아래로 쳐진 반달 형태이다. 이때, 텐션 테이프(30)가 눈앞머리와 눈꼬리에 위측 방향으로 텐션을 가함으로써, 눈앞머리와 눈꼬리가 위로 당겨지면서 눈썹 라인을 일자 형태로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보다 편리하게 인조 눈썹(50)을 붙일 수 있다.
이처럼, 인조 눈썹(50)을 탑 속눈썹(10)(즉, 탑 진모)에 부착하기 전에 언더 테이프(20)와 텐션 테이프(30)를 통해 눈 주변을 정리할 수 있다. 눈 주변 정리가 끝나면, 고정 테이프(40)를 이용하여 연장 단계(S30)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언더 테이프(20)와, 고정 테이프(40)는 동일한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부에 부착후 탈착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인조 눈썹(50)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인체의 피부에 무해한 천연 식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단계(S30)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 각각을 눈꼬리에서부터 눈앞머리까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의 탑 속눈썹(10)을 복수의 층으로 구분하여, 탑 속눈썹(10)에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왼쪽 눈과 오른쪽 눈 각각의 구역 및 층을 따라 단뜨기 방식으로 차례대로 탑 속눈썹(10)에 인조 눈썹(50)을 연장하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번갈아가며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단계(S30)는, A눈 제N 구역 제X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1), A눈 제N 구역 제X 진모층 연장 단계(S302), B눈 제N 구역 제X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3), B눈 제N 구역 제X 진모층 연장 단계(S304), A눈 제N 구역 제X 벤딩 테이핑 단계(S305), A눈 제N 구역 X+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6), A눈 제N 구역 제 X+1 진모층 연장 단계(S307), B눈 제N 구역 제X 벤딩 테이핑 단계(S308), B눈 제N 구역 제X+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9), B눈 제N구역 제X+1 진모층 연장 단계(S310), N구역 진모 연장 판단 단계(320), 모든 구역 진모 연장 판단 단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눈과 B눈은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지칭하는 것이며, N과 X는 1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제N 구역 및 제X 층분리는 제1 구역 및 제1 구역부터 시작되어,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과 같이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역에서는 제1 층분리, 제2 층분리, 제3 층분리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A눈은 왼쪽 눈, B눈은 오른쪽 눈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N과 X의 시작 숫자가 1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1)가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왼쪽 눈을 시작할 때, 왼쪽 눈을 눈꼬리에서부터 눈앞머리까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예로, 눈꼬리에서부터 눈 중심부까지 하나의 구역, 중심부에서 눈앞머리까지 또 하나의 구역으로 해서 2개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눈꼬리에서부터 눈앞머리까지 3등분하여 3개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눈 길이, 진모 양 등에 따라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구역인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눈꼬리에서부터 눈앞머리까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경우, 눈꼬리 부분이 제1 구역인 것으로 한다. 눈꼬리 구역부터 눈앞머리 구역으로 점차 점진하며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임의로 눈꼬리에서부터 눈앞머리까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한 상태에서, 제1 구역에서 복수의 층으로 한번 더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역의 탑 속눈썹(10)(진모)은 사용자의 눈 주변 피부(눈꺼풀)에서 상하 좌우로 불규칙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의 피부에 인접한 후방측부터 사용자가 전방을 바라보는 방향의 전방측 방향을 따라, 제1 구역의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탑 속눈썹(10)을 복수의 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층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3개의 층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4개의 층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탑 속눈썹(10)(진모) 양에 따라 구분되는 층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눈 위쪽 피부에 가까운 후방에 배열된 탑 속눈썹(10) 층을 제1 진모층(11)이라 하고, 제1 진모층(11)보다 전방에 배열되도록 구분된 층을 제2 진모층(12), 최전방에 배열되도록 구분된 층을 제3 진모층(13)이라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1)는, 제1 구역에서 제1 진모층(11)을 제외한 나머지 탑 속눈썹(10)을 고정 테이프(40)를 통해 눈 아래의 피부 또는 언더 테이프(20) 위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고정 테이프(40)를 통해 탑 속눈썹(10)을 고정하여, 시술 도중에 탑 속눈썹(10)이 바람에 의해 날리거나 시술 중간에 인조 눈썹(50)의 접착제와 붙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구역에서 제1 진모층(11) 이외의 나머지 속 눈썹을 고정 테이프(40)로 눈 아래쪽에 고정하여 제1 진모층(11)만 남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를 진행할 수 있다.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는, 제1 진모층(11)의 복수의 탑 속눈썹(10)(진모)에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역의 진모는 30가일 수 있고, 제1 진모층(11)은 10가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진모층(11)의 10가닥 각각에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수 있다.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때, 집게핀(60) 및 도움핀(70)으로 인조 눈썹(50)을 탑 속눈썹(10)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조 눈썹(50)을 집고 있는 집게핀(60)을 이용하여, 탑 속눈썹(10)에 인조 눈썹(50)을 붙일 수 있다. 이때, 고정 테이프(40)가 탑 속눈썹(10)을 피부에 밀착시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조 눈썹(50)을 편리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후, 제1 진모층(11)의 다음 가닥의 탑 속눈썹(10)에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경우, 집게핀(60)이 인조 눈썹(50)을 집은 상태에서, 이미 부착된 인조 눈썹(50)이 집게핀(60)에 의해 집혀있는 상태의 인조 눈썹(50)과 부착되지 않도록, 도움핀(70)으로 이미 부착된 인조 눈썹(50)을 누르며 새로운 인조 눈썹(50)을 다음 가닥의 탑 속눈썹(10)에 부착할 수 있다. 도움핀(70)은 얇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눈과 가깝게 위치되는 단부는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눈 주변에 상처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인조 눈썹(50)은 탑 속눈썹(10)에 부착될 때, 탑 속눈썹(10)의 모근(100)에서 소정 거리(d) 이격된 지점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조 눈썹(50)의 접착제에 의해 모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인조 눈썹(50)의 뿌리(500)에서부터 소정 길이(l)가 탑 속눈썹(10)과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조 눈썹(50)의 1/4 길이가 탑 속눈썹(1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술 상황에 따라 시술자가 인조 눈썹(50)을 탑 속눈썹(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왼쪽 눈을 시술한,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층분리 단계(S301,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와 동일하게, 오른쪽 눈에도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오른쪽 눈도,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층분리 단계(S301),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의 탑 속눈썹(10)을 또 한번 복수의 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오른쪽 눈의 경우에도, 눈꼬리 부분이 제1 구역으로, 눈꼬리 부분부터 시술이 진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눈 제1 구역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3), 오른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4)가 진행될 수 있다.
왼쪽 눈의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 후, 오른쪽 눈 제1 구역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3)와 오른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4)까지 진행된 후에, 다시 왼쪽 눈이 시술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눈 제1 구역 제1 벤딩 테이프 단계(S305)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왼쪽 눈 제1 구역 제1 벤딩 테이프 단계(S305)는,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에서 인조 눈썹(50)이 부착된 제1 진모층(11)이 눈 위쪽으로 벤딩되도록, 고정 테이프(40)를 통해 제1 진모층(11) 및 제1 진모층(11)에 부착된 인조 눈썹(50)의 단부를 눈 위쪽의 피부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왼쪽 눈 제1 구역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5)는, 왼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 이후에 오른쪽 눈 제1 구역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3) 및 오른쪽 눈 제1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4)가 진행된 후에 진행된다. 따라서, 왼쪽 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 후 오른쪽 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3) 및 오른쪽 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4)가 진행되는 동안, 왼쪽 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에서 부착된 인조 눈썹(50)의 접착제가 굳어지며 인조 눈썹(50)의 부착력이 강해지게 된다.
이렇게, 일정 시간이 지나 왼쪽 눈의 인조 눈썹(50)의 부착력이 강해진 후에, 왼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5)에서, 인조 눈썹(50)이 벤딩되며 뿌리 부분에 자극이 가해짐으로써, 접착력이 약한 인조 눈썹(50) 확인이 가능하여, 바로 재시술이 가능하다.
왼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 후(S305)에, 왼쪽 눈의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6)가 진행될 수 있다. 왼쪽 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6)는, 왼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5)에서 인조 눈썹(50)이 부착된 제1 진모층(11)이 고정 테이프(40)에 의해 눈 위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왼쪽 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1)에서 고정 테이프(40)에 의해 눈 아래에 고정된 나머지 복수의 층 중 제2 진모층(12)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즉, 왼쪽 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6)일 경우, 제1 진모층(11)은 눈 위쪽에 벤딩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제3 진모층(13)은 고정 테이프(40)에 의해 눈 아래쪽에 고정된 상태이고, 제2 진모층(12)만 자유롭게 배열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왼쪽 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07)가 진행될 수 있다. 왼쪽 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07)에서는 분리된 제2 진모층(12)에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수 있다. 인조 눈썹(50)을 부착하는 방법은 왼쪽 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처럼, 왼쪽 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07)가 종료되면, 오른쪽 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4)까지 진행했던, 오른쪽 눈을 시술할 수 있다.
즉, 왼쪽 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07) 이후에는, 오른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8)가 진행될 수 있다. 오른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8)는 왼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5)와 동일하다.
즉, 오른쪽 눈 제1 진모층(11) 연장 단계(S30) 이후에, 왼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5)와 왼쪽 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6)와 왼쪽 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07)가 진행되는 동안, 오른쪽 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4)에서 부착된 인조 눈썹(50)의 접착제가 굳어지게 된다.
따라서, 오른쪽 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4) 이후에 왼쪽 눈을 시술한 후에 다시 오른쪽 눈 시술 차례 때 오른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8)를 통해 인조 눈썹(50)의 접착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을 참조하면, 오른쪽 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8) 이후에는, 오른쪽 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9)와 오른쪽 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10)가 진행될 수 있다. 오른쪽 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9)와 오른쪽 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10)는, 왼쪽 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6)와 왼쪽 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07)와 동일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왼쪽 눈의 층분리 단계(S301)와 진모층 연장 단계(S302) 이후에 오른쪽 눈의 층분리 단계(S303)와 진모층 연장 단계(S304)를 진행하고, 그 후에 왼쪽 눈의 벤딩 테이핑 단계(S305)를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눈의 층분리 단계(S303)와 진모층 연장 단계(S304) 이후에, 왼쪽 눈의 벤딩 테이핑 단계(S305)와 층분리 단계(S306)와 진모층 연장 단계(S307)를 진행하고, 그 후에 오른쪽 눈의 벤딩 테이핑 단계(S308)를 진행함으로써, 접착제가 굳을 수 있는 여유 시간이 있으며,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접착력이 약한 인조 눈썹(50)은 떼어내고 재시술을 바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번갈아가며, 복수의 층으로 구분된 진모층을 단뜨기 방식으로 연장할 수 있다. 즉, 왼쪽 눈의 제1 구역과 오른쪽 눈의 제1 구역을 번갈아가며, 제1 진모층(11)과 제2 진모층(12)을 포함하는 복수의 진모층에 모두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수 있다.
N구역 진모 연장 판단 단계(S320)는, 제1 구역의 모든 진모층에 인조 눈썹(50)을 부착하였는지 확인하고, 인조 눈썹(50)이 부착되지 않은 진모층이 있으면 제1 구역의 인조 눈썹(50) 부착 시술을 계속해서 상기와 같은 순서대로 진행하는 것이고, 제1 구역의 모든 진모층에 인조 눈썹(50)이 부착된 경우에는 제2 구역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처럼, 상술한 단계를 각 구역의 모든 탑 속눈썹(10)(진모)가 연장되도록 각 구역마다 반복한다.
즉, 제1 구역의 모든 진모층에 인조 눈썹(50)을 부착한 경우, 왼쪽 눈 제2 구역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1), 왼쪽 눈 제2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2), 오른쪽 눈 제2 구역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3), 오른쪽 눈 제2 구역 제1 진모층 연장 단계(S304), 왼쪽 눈 제2 구역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5), 왼쪽 눈 제2 구역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6), 왼쪽 눈 제2 구역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07), 오른쪽 눈 제2 구역 제1 벤딩 테이핑 단계(S308), 오른쪽 눈 제2 구역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S309), 오른쪽 눈 제2 구역 제2 진모층 연장 단계(S309)를 진행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구역의 제1 진모층(11), 제2 진모층(12) 및 제3 진모층(13) 등 모든 진모층에 인조 눈썹(50)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각 눈의 제1 구역의 모든 탑 속눈썹(10)의 연장이 종료될 때까지, 층분리 단계, 진모층 연장 단계, 벤딩 테이핑 단계를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번갈아가며 진행하되, 어느 한 쪽 눈의 층분리 단계와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되고, 다른 한 쪽 눈의 층분리 단계와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된 후에, 어느 한 쪽 눈의 벤딩 테이핑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구역마다 탑 속눈썹(10)을 복수의 진모층으로 구분하여 각 진모층마다 인조 눈썹(50)을 부착함으로써 단뜨기 방식으로 속눈썹 연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80가닥의 인조 눈썹(50)을 왼쪽과 오른쪽 각각에 90가닥의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경우, 왼쪽 눈의 경우 제1 구역의 제1 진모층(11)에 10가닥, 제2 진모층(12)에 10가닥, 제3 진모층(13)에 10가닥을 부착하고, 제2 구역의 제1 진모층(11)에 10가닥, 제2 진모층(12)에 10가닥, 제3 진모층(13)에 10가닥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각 진모층의 탑 속눈썹(10)의 양에 따라 부착하는 인조 눈썹(50)의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한 가닥의 탑 속눈썹(10)에 한 개의 인조 눈썹(50)이 부착될 수 있다.
테이프 분리 단계(S40)는, 모든 탑 속눈썹에 인조 눈썹 부착을 완료하면, 고정 테이프(40), 텐션 테이프(30) 및 언더 테이프(20) 순서로 모든 테이프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부(80)의 후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부(80)의 전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고정패드부(80)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방법(1)에서 고정테이프를 대체하여 고정패드부(80)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패드부(80)는 피부 미용 분야에 사용되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패드부(8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열탕 소독 등이 가능하여, 눈과 인접한 위치에 사용되는 고정패드부(80)의 균 번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고정패드부(8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3과 같이 고정패드부(80)는 눈 모양에 맞춰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패드부(80)는 접촉패드(81), 제1 패드(82), 제2 패드(83), 제3 패드(84), 코팅부(85) 및 이격홈(86)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패드(81), 제1 패드(82), 제2 패드(83) 및 제3 패드(84)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층을 이루며 겹쳐질 수 있다. 접촉패드(81) 상면과 제1 패드(82) 하면 사이에 제1 진모층(11) 연장 단계(S30)에서 부착된 인조 눈썹(50)이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고정될 수 있고, 제1 패드(82)와 제2 패드(83) 사이에 제2 진모층(12) 연장 단계(S30)에서 부착된 인조 눈썹(50)이 위치될 수 있고, 제2 패드(83)와 제3 패드(84) 사이에 제3 진모층(13) 연장 단계(S30)가 한번 더 진행되어 부착된 인조 눈썹(50)이 위치될 수 있다.
접촉패드(81)는 눈 위쪽 피부에 부착되어, 연장된 진모층과 인조 눈썹(50)이 벤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접촉패드(81)는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접촉패드(81)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피부와 밀착되었을 때, 별도의 접착제 성분 없이 피부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접촉패드(81)와 피부 사이에 소정의 수분이 있을 때 접촉패드(81)와 피부의 밀착력이 강해질 수 있다.
코팅부(85)는 제1 패드(82), 제2 패드(83), 제3 패드(84) 각각의 일면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실리콘으로 구성된 각 패드간에 밀착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코팅부(85)는 제1 패드(82), 제2 패드(83), 제3 패드(84)의 접촉패드(81) 측 방향의 하면에서 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코팅부(85)는 필름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접촉패드(81) 상면과 제1 패드(82) 하면 사이에 위치되는 인조 눈썹(50)과 제1 패드(82)와 제2 패드(83) 사이에 위치되는 인조 눈썹(50), 제2 패드(83)와 제3 패드(84) 사이에 위치되는 인조 눈썹(50)은 아래층에 위치한 패드와 위층에 위치한 패드의 코팅부(8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인조 눈썹(50)이 위치한 영역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패드와 패드의 접착력에 의해, 패드와 패드가 서로 부착되었다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인조 눈썹(50)도 함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격홈(86)은 제1 패드(82), 제2 패드(83) 및 제3 패드(84)의 일측에서 도움핀(70) 단부의 일정 길이가 삽입되어, 접촉패드(81)와 제1 패드(82), 제1 패드(82)와 제2 패드(83), 제2 패드(83)와 제3 패드(84)를 서로 이격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격홈(86)에 도움핀(70)이 삽입됨으로써, 패드와 패드 사이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패드와 패드의 접착력을 낮출 수 있다.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고정패드부(80)를 이용함으로써, 삶기 등의 소독과정을 통해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패드부(8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언더패드부(800)는 언더 테이프(20)가 눈 아래 피부에 부착되어, 아래 눈꺼풀의 언더 속눈썹이 피부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언더패드부(800)는 피부 미용에 사용되는 얇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언더패드부(800)는 눈 모양에 대응되는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언더패드부(800)는 메쉬부(801)및 눈썹위치부(8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부(801)는 메쉬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아이크림과 같은 피부미용에 사용되는 크림이 수용될 수 있다. 눈썹위치부(802)는 메쉬부(801)와 소정 높이의 단차를 가지며 함몰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아래 속눈썹과 밀착되는 부분이다. 눈썹위치부(802)에는 피부미용에 사용되는 크림이 수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속눈썹을 타고 크림이 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언더패드부(800)를 눈 아래에 부착한 시술 시간 동안 아이 크림과 같은 기능성 크림이 눈 아래 부분의 피부에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패드부(9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서브패드부(90)에 의해 인조 눈썹(50)을 부착하는 진모층 연장 단계(S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에 따른 서브패드부(90)를 통해 진모층 연장 단계(S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5에 따른 서브패드부(90)를 통해 진모층 연장 단계(S30)를 하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방법에서 고정테이프를 대체하여 서브패드부(90)가 사용될 수 있다. 서브패드부(90)는 피부 미용 분야에 사용되는 얇은 실리콘 재질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패드부(9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삶기 등의 소독이 가능하여, 눈과 인접한 위치에 사용되는 서브패드부(90)의 균 번식을 예방할 수 있다. 서브패드부(9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눈 모양에 맞춰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패드부(90)는 밀착패드(91), 추가밀착패드(92), 설치패드(93) 및 보호패드(94)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패드(91), 추가밀착패드(92), 설치패드(93) 및 보호패드(94)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층을 이루며 겹쳐질 수 있다.
밀착패드(91)는 눈 위쪽 피부에 부착되어, 연장된 인조 눈썹(50)과 탑 속눈썹(10)이 벤딩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밀착패드(91)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피부와 밀착되었을 때, 별도의 접착제 성분 없이 피부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밀착패드(91)와 피부 사이에 소정의 수분이 있을 때 밀착패드(91)와 피부의 밀착력이 강해질 수 있다.
추가밀착패드(92)는 밀착패드(91)와 겹쳐지거나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 속눈썹(10)에 부착될 복수의 인조 눈썹(50)은 밀착패드(91)와 추가밀착패드(9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설치패드(93)는 추가밀착패드(92)와 겹쳐지거나 이격될 수 있다. 설치패드(93)는 안착홈(931) 및 자바라부(9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931)은 설치패드(9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슬릿일 수 있다. 복수의 안착홈(931) 각각에는 인조 눈썹(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조 눈썹(50)의 접착제 부분은 설치패드(9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보호패드(94)는 설치패드(93)와 겹쳐지거나 이격될 수 있다. 보호패드(94)는 설치패드(93)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설치패드(93) 안착홈(931)에 안착된 인조 눈썹(50)의 접착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호패드(94)는 인조 눈썹(50)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패드(93)의 안착홈(931)에 위치된 인조 눈썹(50)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패드(94)에는 자바라부(941)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패드(93)와 보호패드(94)는 자바라부(932, 941)에 의해 필요에 따라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패드(94)에 위치된 인조 눈썹(50)을 부착할 때, 인조 눈썹(50)이 안착홈(931)에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인조 눈썹(50)을 눈꺼풀에 부착하기 위한 위치에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자바라부(932, 941)를 통해 설치패드(93)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서브패드부(90)를 이용함으로써, 삶기 등의 소독과정을 통해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10: 탑 속눈썹 11: 제1 진모층
12: 제2 진모층 13: 제3 진모층
20: 언더 테이프 30: 텐션 테이프
40: 고정 테이프 50: 인조 눈썹
60: 집게핀 70: 도움핀
80: 고정패드부 81: 접촉패드
82: 제1 패드 83: 제2 패드
84: 제3 패드 85: 코팅부
86: 이격홈 800: 언더패드부
801: 메쉬부 802: 눈썹위치부
90: 서브패드부 91: 밀착패드
92: 추가밀착패드 93: 설치패드
931: 안착홈 932: 자바라부
94: 보호패드 941: 자바라부
S1: 제1 구역 S2: 제2 구역
S3: 제3 구역

Claims (7)

  1. 언더 테이프가 눈 아래 피부에 부착되어, 언더 속눈썹이 피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언더 테이핑 단계; 및
    왼쪽 눈과 오른쪽 눈 각각을 눈꼬리에서부터 눈앞머리까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의 탑 속눈썹을 복수의 층으로 구분하여, 탑 속눈썹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연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 단계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 중 어느 한 쪽 눈의 탑 속눈썹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서 복수의 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제1 구역의 복수의 층 중 제1 진모층을 제외한 나머지 탑 속눈썹은 고정 테이프를 통해 눈 아래의 언더 테이프 위에 고정시키는 A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
    상기 A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분리된 제1 진모층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A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
    왼쪽 눈과 오른쪽 눈 중 나머지 다른 한 쪽 눈의 탑 속눈썹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서 복수의 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제1 구역의 복수의 층 중 제1 진모층을 제외한 나머지 탑 속눈썹은 고정 테이프를 통해 눈 아래의 언더 테이프 위에 고정시키는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
    상기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분리된 제1 진모층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B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 및
    상기 A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에서 인조 눈썹이 부착된 제1 진모층이 눈 위쪽으로 벤딩되도록, 고정 테이프를 통해 제1 진모층 및 제1 진모층에 부착된 인조눈썹의 단부를 눈 위쪽의 피부에 고정하는 A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연장 단계에서, 왼쪽 눈과 오른쪽 눈 각각의 구역 및 층을 따라 단뜨기 방식으로 차례대로 탑 속눈썹에 인조 눈썹을 연장하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번갈아가며 인조 눈썹을 부착하며,
    상기 A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는, 상기 A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 이후에 상기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 및 상기 B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된 후에 진행되어,
    상기 A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 후 상기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 및 상기 B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A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에서 부착된 인조 눈썹의 접착제가 굳어지며 인조 눈썹의 부착력이 강해지고,
    상기 A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인조눈썹이 벤딩되며 접착력이 약한 인조 눈썹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인조 눈썹이 부착된 제1 진모층이 고정 테이프에 의해 눈 위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A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고정 테이프에 의해 눈 아래에 고정된 나머지 복수의 층 중 제2 진모층을 분리하는 A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
    상기 A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분리된 제2 진모층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A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
    상기 B눈 제1 진모층 연장 단계에서 인조 눈썹이 부착된 제1 진모층이 눈 위쪽으로 벤딩되도록, 고정 테이프를 통해 제1 진모층 및 제1 진모층에 부착된 인조 눈썹의 단부를 눈 위쪽의 피부에 고정하는 B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
    상기 B눈 제1 벤딩 테이핑 단계에서 인조 눈썹이 부착된 제1 진모층은 고정 테이프에 의해 눈 위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B눈 제1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고정 테이프에 의해 눈 아래에 고정된 나머지 복수의 층 중 제2 진모층을 분리하는 B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 및
    상기 B눈 제2 층분리 테이핑 단계에서, 분리된 제2 진모층에 인조 눈썹을 부착하는 B눈 제2 진모층 연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각 눈의 제1 구역의 모든 탑 속눈썹의 연장이 종료될 때까지, 층분리 단계, 진모층 연장 단계, 벤딩 테이핑 단계를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번갈아가며 진행하되,
    어느 한 쪽 눈의 층분리 단계와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되고, 다른 한 쪽 눈의 층분리 단계와 진모층 연장 단계가 진행된 후에, 어느 한 쪽 눈의 벤딩 테이핑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각 눈의 제1 구역의 모든 탑 속눈썹의 연장이 종료되면, 각 눈의 제2 구역의 탑 속눈썹 연장을 진행하되,
    각 눈의 제1 구역은 눈꼬리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 단계 전에, 텐션 테이프가 각 눈의 눈앞머리와 눈꼬리 부분이 일자에 가깝도록 위쪽 눈이 위로 당겨지는 텐션을 가지도록 눈 위쪽 피부에 부착되어, 눈썹 라인을 일자 형태로 형성하는 텐션 테이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KR1020210119346A 2021-09-07 2021-09-07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KR10237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46A KR102376674B1 (ko) 2021-09-07 2021-09-07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46A KR102376674B1 (ko) 2021-09-07 2021-09-07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674B1 true KR102376674B1 (ko) 2022-03-21

Family

ID=8093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346A KR102376674B1 (ko) 2021-09-07 2021-09-07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795B1 (ko) * 2022-12-02 2023-02-16 정은영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03B1 (ko) 2006-08-18 2007-08-08 송철규 연장형 속눈썹 세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연장형 속눈썹 세트
KR101381054B1 (ko) * 2013-09-03 2014-04-04 강석용 속눈썹 교정방법
KR102033577B1 (ko) * 2019-04-04 2019-10-17 황채민 속눈썹 연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03B1 (ko) 2006-08-18 2007-08-08 송철규 연장형 속눈썹 세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연장형 속눈썹 세트
KR101381054B1 (ko) * 2013-09-03 2014-04-04 강석용 속눈썹 교정방법
KR102033577B1 (ko) * 2019-04-04 2019-10-17 황채민 속눈썹 연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795B1 (ko) * 2022-12-02 2023-02-16 정은영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054B1 (ko) 속눈썹 교정방법
US20050098190A1 (en) Ornamental hairpie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464733B2 (en) Original eyelash butterfly guard
JP6045120B2 (ja) フリーデザインブリッジ型つけまつ毛の製造方法
US6561197B2 (en) Hair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attachment
JP6501960B2 (ja) つけ髪並びにつけ髪製作方法及び施術方法
KR102376674B1 (ko)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US20200275718A1 (en) Multi-segment false eyelash system and method
KR101579401B1 (ko) 속눈썹 부착 방법
JP5477876B2 (ja) 人工まつげの取り付け方法
US9179723B1 (en) Method of reforming eyelashes
US20130014775A1 (en) Hair voluminzer and method of use
KR102066027B1 (ko) 속눈썹 연장 시술방법
KR102500795B1 (ko) 스테어기법 단뜨기 속눈썹 연장 방법
KR20200139387A (ko) 속눈썹 연장 시술방법
KR101732694B1 (ko) 헤어라인 교정과 속눈썹 파마 등을 이용한 기능적, 미적 복합 메이크업 방법
KR20160143596A (ko) 헤어라인 교정과 속눈썹 파마 등을 이용한 기능적, 미적 복합 메이크업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속눈썹 파마용 연성로드
KR102464652B1 (ko) 속눈썹 연장 방법
KR102538343B1 (ko) 속눈썹 연장 시술방법
KR200456417Y1 (ko) 인조 속눈썹 보관기구
KR20240068480A (ko) 인조 속눈썹 및 그 제조방법
Otberg et al. Non-Medical Approach to Hair Loss
KR20210150915A (ko)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KR20240078765A (ko) 속눈썹 시술 방법
JP2022035623A (ja) 人工毛髪、人工毛髪束セット、人工毛髪の製造方法及び増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2106000070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