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761B1 -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761B1
KR102375761B1 KR1020200109546A KR20200109546A KR102375761B1 KR 102375761 B1 KR102375761 B1 KR 102375761B1 KR 1020200109546 A KR1020200109546 A KR 1020200109546A KR 20200109546 A KR20200109546 A KR 20200109546A KR 102375761 B1 KR102375761 B1 KR 10237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cid
water
manufacturing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485A (ko
Inventor
문무석
안창룩
김수아
정맹준
김복조
이길준
Original Assignee
문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무석 filed Critical 문무석
Priority to KR102020010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7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1/00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 D06L1/12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using aqueous solvents
    • D06L1/16Multi-step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xides or carbo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도사, 이수축혼섬사, DTY, ATY 등의 가공사를 포함하는 편평 또는 이형단면사로 이루어진 직물을 물리적 방법으로 개질시켜 보다 큰 미세공극과 모세관 현상 및 활성화된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흡착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상수원 저류지에 존재하는 수질의 주 오염 원인이 되고 있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수성 미세오일, 미세플라스틱, 미세유기용매 등의 수불용성 부유 미세물질을 신속 정확하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물리적 흡착 기능으로 2차 오염 발생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임에 따라, 상수원 수돗물을 깨끗하고 맑은 물로 정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경제성이 뛰어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adsorption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원의 저류조에 존재하는 소수성 미세오일 및 미세플라스틱, 미세유기용매 등의 수불용성 미세물질을 신속하고, 선택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는 위생 가공 처리된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석유 등 유류의 광범위한 사용을 통해 생활은 매우 편리해졌다.
또한, 유류의 운송이 활발해지면서 사고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변의 도심지나 공장, 농가 또는 송수관 등으로부터 내륙의 호소, 하천 등지로 오일이 유출되어 우리 주변의 수질 오염이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하천, 강물에 유출되는 오일을 제거하는 종래에는 ①오일유화제를 살포, ②분말 형태의 재(cinder) 또는 점토(clay)를 분산시킨 후 유출된 오일을 흡착시켜 침전시키는 흡착침전물을 이용, ③계면활성제를 오일이 유출된 지역에 뿌린 후 물과 기름을 에멀젼(emulsion) 상태로 만든 다음 자연 분해, ④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파라핀(paraffin) 등의 친유성화합물을 코팅시켜 만든 부직포를 이용하여 유출된 오일을 흡착시켜 분리, ⑤오일이 수면을 타고 번지지 않도록 오일 방지막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흡착 침전물을 사용할 경우 재나 점토에 흡착된 오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출되고, 흡착성 고분자 분말은 가격이 비싸며 용도 또한 극히 제한적으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경우 오일을 다시 회수하기가 어렵고, 오일 에멀젼에 의해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2차 오염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기존의 오일 제거용 흡착포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작 및 조류의 깃털이 채워진 화학 섬유질의 흡착포로 구성되는데, 상기 깃털이 채워진 화학 섬유질의 흡착포는 흡착력이 매우 낮고 부피가 커서 보관이나 운반의 문제와 함께 깃털의 사용으로 제작이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멜트브라운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등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오일 제거용 흡착포는 흡착공간이 균일하지 않고 얕아 보유력이 약하고, 오일이 흡착포 표면에만 묻을 뿐 내부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여 흡착력이 떨어져 부직포를 건져낼 때 부직포의 표면에서 수면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부직 흡착포에는 섬유용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섬유용 오일은 광물유나 스테아린산 유도체가 주성분인데, 이러한 성분으로 인해 2차 오염이 발생되어 상수원 저류지에서 오일 제거 용도로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용수에는 소수성 미세오일, 미세플라스틱, 미세유기용매 등 수불용성 미세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표면장력이 약해 물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수불용성 미세물질은 음용수의 색, 맛, 냄새 등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수처리 공정만으로는 제거되기 어려운 미량의 수불용성 유해 미세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도 정수처리 공정이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이와 같은 문제로 물과는 반응하지 않고 오일 및 소수성 유기 오염물을 제거하며 손쉽게 수거 가능한 오염물 제거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수원의 저류지의 수면에 수불용성 물질이 부유되어 있어, 수질의 주 오염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상수원에서 공급받은 물을 정화 및 살균 그리고 화학적으로 약품 처리하여 수돗물로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음용수의 강화되는 규제로 인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제거 방법이 요구되어, 수질개선 및 환경보호를 위해 소수성 오일 및 수불용성 유기용매를 물로부터 선택적으로 흡착, 분리,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흡유성이 높은 물질의 개발과 함께 2차 오염의 방지를 위한 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대부분 상수원을 하천, 호수 등의 지표수를 의존하고 있어 상수 원수에 대한 수질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물은 일상생활에서 사람이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물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가급적 깨끗하고 인체에 무해한 물을 선호함에 따라, 필요사항에 걸맞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수불용성 유기용매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하다.
한편, 등록번호 10-1413890호, 공개특허 10-2017-0095103호 등 다수의 본 발명의 유사한 기술분야의 특허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물리적 방법으로 개질시켜 보다 큰 미세공극과 모세관 현상 및 활성화된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하고, 상수원 저류지에 존재하는 수질의 주 오염 원인이 되고 있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수성 미세오일, 미세플라스틱, 미세유기용매 등의 수불용성 부유 미세물질을 신속 정확하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물리적 흡착 기능으로 2차 오염 발생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임에 따라, 상수원 수돗물을 깨끗하고 맑은 물로 정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경제성이 뛰어난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해도사, 이수축혼섬사, DTY, ATY, 평평단면폴리에스테르사, 이형단면폴리에스테르사, 폴리아마이드사를 단독 또는 선택적으로 선정 혼합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제직단계(S100); 제직된 직물의 양면을 버핑하는 버핑단계(S200); 버핑된 직물을 비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성이온계면활성제를 선택적으로 선정 혼합한 혼합물로 정련하는 정련단계(S300); 정련된 직물을 식품용 유기산으로 중화시켜 상기 정련된 직물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 및 알칼리 성분을 제거하는 위생처리단계(S400); 위생 처리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정련단계(S300)는, 상기 버핑된 직물을 혼합물에 넣고 90~100°에서 정련하되, 상기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탄산나트륨(Na₂CO₃)의 무기화합물을 첨가하여 정련하는 1차정련과정(S310)과, 상기 1차정련과정(S310)을 거친 직물을 혼합물에 넣고 48~52°에서 온도를 유지하면서 5분간 가열하고, 10~15분간 78~82°까지 승온시킨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5분간 가열하며, 10분간 98~102°까지 승온시킨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가열한 후, 70°까지 하온시키는 2차정련과정(S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정련과정(S310)의 혼합물에는,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탄산나트륨(Na₂CO₃)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1,2차정련과정(S310, S320)에서 사용되는 혼합물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혼합비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N-아실-N-메틸타우린산알킬에테르황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N-알킬-N,N-디메틸옥사이드, 나프탈렌술폰산염, 포르말린축합물, 폴리카르본산염, 리그닌술폰산염, 트리폴리인산염, 데실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황산에스테르염, 아실-N-메틸타우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트리폴리인산염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이온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민아세트산염 또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양성이온계면활성제는 디메틸알킬베타인 또는 알킬아미드베타인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생처리단계의 식품용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젖산(Lat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DL-말산(DL-Malic acid)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오일을 흡착하는 직물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물리적 흡착 기능으로 2차 오염 발생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임에 따라, 상수원 수돗물을 깨끗하고 맑은 물로 정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경제성이 뛰어남은 물론, 오일 성분이 흡착 공간에 채워져 있어 흡착직물을 건져낼 때 흡착 직물에 붙은 채로 건져낼 수 있기 때문에 오일 제거가 효과적이고, 특히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상수원 저류지에 사용할 경우 수돗물을 맑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은 상수원의 저류조에 존재하는 소수성 미세오일 및 미세플라스틱, 미세유기용매 등의 수불용성 미세물질을 신속하고, 선택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는 위생 가공 처리된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제직단계, 버핑단계, 정련단계, 위생처리단계, 건조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직단계에서 사용된 직물의 소재가 해도사일 경우 상기 버핑단계와 정령단계 사이에 탈해단계를 거친다.
①제직단계(S100)
상기 제직단계(S100)는 해도사, 이수축혼섬사, DTY, ATY, 평평단면폴리에스테르사, 이형단면폴리에스테르사, 폴리아마이드사를 단독 또는 선택적으로 선정 혼합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직물을 제조할 시, 하나 또는 다양한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이형단면폴리에스테르사는 삼각, 4각, Y형, I형, T형, +형, *형 등의 형상으로 하여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직물을 지직하는 과정에 있어서, 평직, 능직, 주자직, 이중직 등 통상의 제작방법 및 방식으로 제직할 수가 있다.
②버핑단계(S200)
상기 버핑단계(S200)는 제직된 직물의 양면을 버핑하는 단계로, PEACH, PIN, CBB 중 어느 하나의 버핑방식으로 버핑단계(S200)을 수행하여, 상기 직물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직물의 실 또는 털이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보다 많은 공간을 확보하여, 오일 흡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④정련단계(S300)
상기 정련단계(S300)는 버핑된 직물을 비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성이온계면활성제를 선택적으로 선정 혼합한 혼합물로 정련하는 단계로써, 직물을 깨끗하게 하고, 직물에 부착되어 있는 방사유제, 호제 및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버핑된 직물을 혼합물에 넣되, 상기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탄산나트륨(Na₂CO₃)의 무기화합물을 포함시켜 90~100°에서 정련하는 1차정련과정(S310)과, 상기 1차정련과정(S310)을 거친 직물을 혼합물에 넣고 48~52°에서 온도를 유지하면서 5분간 가열하고, 10~15분간 78~82°까지 승온시킨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5분간 가열하며, 10분간 98~102°까지 승온시킨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가열한 후, 70°까지 하온시키는 2차정련과정(S3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1,2차정련과정(S310, S320)에서 사용되는 정련기는 통상의 정련기로, 상기 정련기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또는 통에 혼합물을 넣어 정련과정을 수행한다.
즉, 1차정련과정(S310)에서는 혼합물에 무기화합물을 포함시키고, 2차정련과정(S320)에서는 무기화합물을 포함시키거나 포함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2차정련과정(S310, S320)에서 사용되는 혼합물은 동일 또는 혼합비로 구성하여 정련단계(S300)를 수행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N-아실-N-메틸타우린산알킬에테르황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N-알킬-N,N-디메틸옥사이드, 나프탈렌술폰산염, 포르말린축합물, 폴리카르본산염, 리그닌술폰산염, 트리폴리인산염, 데실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황산에스테르염, 아실-N-메틸타우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트리폴리인산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양이온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민아세트산염 또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양성이온계면활성제는 디메틸알킬베타인 또는 알킬아미드베타인인으로 구성된다.
한편, 실시 예로써, 상기 혼합물은 비이온계면활성제 20~60%, 음이온계면활성제 15~30%, 양이온계면활성제 5~15%, 양성이온계면활성제 5~20%를 선택적으로 선정 혼합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버핑된 직물을 정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정련 혼합물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알킬체인의 길이, 산화에틸렌 부가물(EO)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기존에 보다 우수한 정련성을 가지며 친환경 섬유용 정련제 혼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정련단계(S300)에서 사용되는 혼합물은 천연원료를 베이스로 한 것으로 기존보다 우수한 정련성을 가지며 친환경 섬유용 정련제이다.
즉, 종래의 정련제와 비교할 시, 정련효과가 우수하고, 낮은 온도 조건에서도 정련공정이 가능하며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어, 상수원 저류지에 사용에 매우 적합하다.
⑤위생처리단계(S400)
상기 위생처리단계(S400)는 정련된 직물을 식품용 유기산으로 중화시켜 상기 정련된 직물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 및 알칼리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초산의 알카리 금속염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한 종류의 물질, 식품용유기산, 또는 식품용 유기산염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구성하고, 그 유효성분을 이용하여 정련된 직물을 중화시키 정련단계(S300)에서 직물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 및 알카리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품용 유기산은, 정련된 직물 내부 또는 표면에 포함된 계면활성제 및 알칼리 성분을 철저히 제거하고 pH가 중성이 될 때 까지 위생처리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생처리단계의 식품용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젖산(Lat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DL-말산(DL-Malic aci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가 있다.
⑥건조단계(S500)
위생 처리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실질적으로 텐터식 건조로 상기 위생처리된 직물을 120°에서 건조하고, 이렇게 건조된 직물은 균일한 미용출물이 전혀 감지되지 않게 된다.
실험에 사용되는 흡착직물
제1흡착직물
상기 제1흡착직물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흡착직물로써, 제직단계(S100)에서 75/72 이형단면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plain)으로 제직하되, 이때, 경사밀도 및 위사밀도는 각각 40-50/cm 수준으로 하였고, 제작된 흡착직물을 버핑, 정련, 위생처리, 건조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제2흡착직물
상기 제2흡착직물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흡착직물로써, 제직단계(S100)에서 일반적인 의류용 해도사 폴리에스테르 경사 75/72, 위사 150/288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능직으로 제직한 후 그 제직된 직물을 버핑, 탈해, 정련, 위생처리, 건조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제3흡착직물
상기 제3흡착직물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흡착직물로써, 제직단계(S100)에서 가공사 폴리에스테르 경사 DTY 75/72, 위사 DTY 75/72 이형단면 가공사를 사용하여 평직(plain)으로 제직한 후, 그 제직된 직물을 버핑, 정련, 위생처리, 건조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직물(일반직물)
상기 직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75/36 단면 편평사로 제조된 일반적인 직물이다.
정련단계에서 적용된 혼합물의 혼합비
상기 정련단계(S300)에서 사용되는 혼합물로는 버핑된 직물을 비이온계면활성제 20~60%, 음이온계면활성제 15~30%, 양이온계면활성제 5~15%, 양성이온계면활성제 5~20%를 선택적으로 선정 혼합하여 제1흡착직물 제조시 혼합물로 사용하였다.
위생처리
정련된 직물을 위생처리 시 사용하는 식품용 유기산은 Citric acid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흡착직물의 실험
오일 흡착능 실험
측정방법
① 시험편 크기 : 10 * 10 cm
② 온도 : 20℃
③ 오일의 종류 : 식용유, 엔진유, 합성유, 벙커 씨유.
④ 유면위에 5분간 정치
⑤ 철망이 위에 24시간 그대로 둔 후 그 중량을 측정한다.
⑥ 중량을 측정하여 시편의 무게 1g당 흡유량을 산출한다.
⑦ 각 시험은 3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적용한다.
[흡착직물의 흡착전과 후의 무게]
식용유 엔진유 합성유 B-C유
제1흡착직물 0.24 0.39 0.54 1.08
제2흡착직물 1.18 1.14 1.11 1.20
제3흡착직물 0.63 0.75 0.66 0.75
제4흡착직물 0.09 0.27 0.30 0.27
상기 표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흡착직물의 오일 흡착 전, 후 무게와 일반직물의 오일 흡착전, 후 무게를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흡착직물들이 일반적인 직물에 비하여 월등한 흡착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 흡착 실험
Figure 112020091159494-pat00001
상기 표2은 4개의 용기에 각각의 용기에 물을 200ml를 채워 넣은 후, B-C유 1ml를 각각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20091159494-pat00002
상기 표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3종류의 흡착직물과 일반적 직물을 용기에 넣은 후, 상기 흡착직물들과 일반적인 직물의 오일을 흡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20091159494-pat00003
상기 표4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3개의 흡착직물과 일반적인 직물을 용기의 오일을 흡착한 후, 꺼내어 건조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20091159494-pat00004
표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흡착직물과 일반적인 직물에 의해 용기의 오일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습도 65%에서의 공정 수분 흡수율(Relative absorption at 65% relative humidity)비교]
섬유의 종류 공정 수분 흡수율
본 발명 흡착직물 0.4%
종래 폴리아미드 4.5%
종래 아크릴 1.6%
종래 아세테이트 6.5%
종래 비스?C스 13.0%
종래 8.0%
종래 양모 16.0%
상기 표6은 본 발명의 흡착직물과 종래의 직물을 습도 65%에서의 수분 흡수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의 흡착직물이 수분흡수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S100 : 제직단계 S200 : 버핑단계
S250 : 탈해단계 S300 : 정련단계
S400 : 위생처리단계 S500 : 건조단계

Claims (10)

  1. 해도사, 이수축혼섬사, DTY, ATY, 평평단면폴리에스테르사, 이형단면폴리에스테르사, 폴리아마이드사를 단독 또는 선택적으로 선정 혼합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제직단계(S100);
    제직된 직물의 양면을 버핑하는 버핑단계(S200);
    버핑된 직물을 비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성이온계면활성제를 선택적으로 선정 혼합한 혼합물로 정련하는 정련단계(S300);
    정련된 직물을 식품용 유기산으로 중화시켜 상기 정련된 직물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 및 알칼리 성분을 제거하는 위생처리단계(S400);
    위생 처리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련단계(S300)는,
    상기 버핑된 직물을 혼합물에 넣고 90~100°에서 정련하되, 상기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탄산나트륨(Na₂CO₃)의 무기화합물을 첨가하여 정련하는 1차정련과정(S310)과,
    상기 1차정련과정(S310)을 거친 직물을 혼합물에 넣고 48~52°에서 온도를 유지하면서 5분간 가열하고, 10~15분간 78~82°까지 승온시킨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5분간 가열하며, 10분간 98~102°까지 승온시킨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가열한 후, 70°까지 하온시키는 2차정련과정(S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흡착직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정련과정(S310)의 혼합물에는,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탄산나트륨(Na₂CO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흡착직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2차정련과정(S310, S320)에서 사용되는 혼합물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혼합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흡착직물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흡착직물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N-아실-N-메틸타우린산알킬에테르황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N-알킬-N,N-디메틸옥사이드, 나프탈렌술폰산염, 포르말린축합물, 폴리카르본산염, 리그닌술폰산염, 트리폴리인산염, 데실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황산에스테르염, 아실-N-메틸타우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트리폴리인산염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흡착직물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민아세트산염 또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양성이온계면활성제는 디메틸알킬베타인 또는 알킬아미드베타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흡착직물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처리단계의 식품용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젖산(Lat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DL-말산(DL-Malic acid)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흡착직물 제조방법.
  10.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흡착직물.
KR1020200109546A 2020-08-28 2020-08-28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7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46A KR102375761B1 (ko) 2020-08-28 2020-08-28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46A KR102375761B1 (ko) 2020-08-28 2020-08-28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85A KR20220028485A (ko) 2022-03-08
KR102375761B1 true KR102375761B1 (ko) 2022-03-16

Family

ID=8081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546A KR102375761B1 (ko) 2020-08-28 2020-08-28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7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12B1 (ko) 2013-03-06 2014-03-03 (주)에스티원창 강도가 우수한 초고밀도 나노필라멘트직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103A (ko) * 2016-02-12 2017-08-22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일 제거용 흡착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12B1 (ko) 2013-03-06 2014-03-03 (주)에스티원창 강도가 우수한 초고밀도 나노필라멘트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85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mbrano et al. Microfibers generated from the laundering of cotton, rayon and polyester based fabrics and their aquatic biodegradation
CA2546477C (en) Anion-adsorbing carbon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Kumar et al. Sustainable wastewater treatments in textile sector
Abdelwahab Assessment of raw luffa as a natural hollow oleophilic fibrous sorbent for oil spill cleanup
US201500279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oil from fluid streams
Ramasamy et 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and microfiber pollution: focus on industry-specific wastewater
KR102375761B1 (ko) 기능성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MX2008007061A (es) Un producto secuestrante de hidrocarburos, metodo para obtener el producto, metodo para el secuestro de hidrocarburos y disposicion paral el secuestro de hidrocarburos.
Tesfaye et al. Valorisation of waste chicken feathers: Green oil sorbent
KR101799964B1 (ko) 항균 능력이 개선된 정수기 필터 카트리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L199801B1 (pl) Zastosowanie materiałów opartych na włóknach organicznych i/lub nieorganicznych i chitozanie do zatrzymywania jonów metali
CN106087426B (zh) 一种用于油水分离的亲水性高分子交联膜改性纺织品的制备方法
JP2001123381A (ja) キレート形成性繊維およ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利用法
KR101885359B1 (ko) 플라타너스 열매의 털을 이용한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Palacios-Marín et al. Fragmented fibre (including microplastic) pollution from textiles
CN205653249U (zh) 活性炭过滤垫
KR102540967B1 (ko) 흡착성이 향상된 오일 제거 흡착직물 및 그 제조방법
DE19834916A1 (de) Filterpapier für die Wasserreinigung
Kriklavova et al. A review study of nanofiber technology for wastewater treatment
KR20170095103A (ko) 오일 제거용 흡착포 및 이의 제조방법
WO1998042910A1 (fr) Fibre formant un chelate, procede de preparation associe et utilisation de cette fibre
JP2000288569A (ja) 排水処理用の微生物担持体
JP2001123379A (ja) キレート形成性繊維およ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利用法
Sae-Tia et al. Reduction of Microplastics in Washing Machine Effluent by Filtration Technique
JP2003210931A (ja) 脱臭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