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443B1 -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443B1
KR102375443B1 KR1020210093806A KR20210093806A KR102375443B1 KR 102375443 B1 KR102375443 B1 KR 102375443B1 KR 1020210093806 A KR1020210093806 A KR 1020210093806A KR 20210093806 A KR20210093806 A KR 20210093806A KR 102375443 B1 KR102375443 B1 KR 10237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housing
caster
slider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신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9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배전을 위한 각종 부속품(E)이 내장되는 배전반몸체(10)와; 배전반몸체(10)의 바닥에 고정되는 상부스테이지(20)와; 지면(G)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스테이지(30)와;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가 입체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슬라이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A earthquake resistant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이 발생될 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란 특고압 전력을 학교, 빌딩, 공장등과 같은 전력수요처로 분배하는 계통의 핵심 설비로서, 함체 내부에 계기용 변성기(MOF),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 단로기(DS), VCB, MCCB, 피뢰기(LA), 파워퓨즈(PF)등의 배전에 필요한 각종 부속품이 내장되어 구현된다.
한편, 발전소나 교량과 같은 중요 구조물이나 고층빌딩 같은 대형 건축물은 파괴시 엄청난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이들에 대한 내진설계 기준은 강화되고 있다.
그런데 건물에 내진 설계가 적용됨으로써 지진에 의한 진동에도 건물은 비교적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더라도, 건물이 진동에 의하여 흔들릴 경우 바닥에 고정된 배전반은 함께 흔들림에 따라 배전반이 쓰러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특히 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속품은 진동에 취약하기 때문에,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부속품이 파손되거나 정상 작동이 멈추어지고, 이에 따라 전력공급이 차단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2차 피해로 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지진 발생시 건물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은, 내부에 배전을 위한 각종 부속품(E)이 내장되는 배전반몸체(10); 상기 배전반몸체(10)의 바닥에 고정되는 상부스테이지(20); 지면(G)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스테이지(30); 및 상기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가 입체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슬라이더(4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하부스테이지(3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슬라이더하우징(41)과;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바운더리홀(42b)이 형성된 링캡(42)과;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과 링캡(42) 사이에서 입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무버(43)와; 상기 무버(43) 바닥을 지지하면서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의 바닥에서 구름 운동하는 볼캐스터(44)와; 상기 무버(43)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운더리홀(42b)을 통하여 노출되는 무버결합돌부(45)와; 상기 링캡(42)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서 가장자리측이 상기 상부스테이지(20) 바닥에 고정되고, 중앙측이 상기 무버결합돌부(45)에 고정되는 무빙매개브라켓(46)과;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 바닥에 형성된 것으로서 중앙으로 갈수록 몰입되게 균일한 경사각도가 형성된 센터가이드경사면(47)을 포함하고; 상기 볼캐스터(44)는 상기 무버(43)의 바닥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캐스터결합홈(43b)에 결합되는 캐스터하우징(44b)과, 상기 캐스터하우징(44b) 내측에서 다수의 볼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름볼(44a)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을 구성하는 원통베이스(41a)는 제1내직경(D1)을 가지며, 상기 링캡(42)의 바운더리홀(42b)은 제2내직경(D2)을 가지며, 상기 무버(43)는 제1외직경(D3)을 가지며, 상기 무버결합돌부(45)는 제2외직경(D4)을 가지되, 상기 원통베이스의 제1내직경(D1) > 상기 무버(43)의 제1외직경(D3) > 상기 바운더리홀(42b)의 제2내직경(D2) > 무버결합돌부(45)의 제2외직경(D4)의 관계를 가지고; 상기 무버결합돌부(45)에는 상기 무버(43)가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의 내측벽 측으로 움직일 때 금속재질로 된 상기 무버(43)가 금속재질로 된 상기 링캡(42)의 바닥면과 충돌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수지재질의 쿠션링(48)이 상기 무버의 모서리 상단면에서 돌출되게 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은, 폐쇄된 하우징바닥(41a')을 가지며 상부측으로 개구되는 원통베이스(41a)와, 상기 원통베이스(41a)의 외주면 하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스테이지(30)에 고정되는 하우징고정날개(41b)와, 상기 원통베이스(41a)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 단차지게 형성된 하우징단턱링(41d)을 포함하고; 상기 링캡(42)은, 중앙에 상기 바운더리홀(42b)이 형성된 캡몸체(42a)와, 상기 캡몸체(42a)의 바닥 가장자리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단턱링(41d)에 치합되는 단턱테두리(42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버(43)는, 납작한 원통형태의 무버몸체(43a)와, 상기 무버몸체(43a)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볼캐스터(44)가 끼어져 결합되는 상기 캐스터결합홈(43b)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건물이 진동되어 하부스테이지(30)가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다수의 슬라이더(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스테이지는 배전반몸체(10)의 관성에 의하여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전반몸체(10)가 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상부스테이지와 하부스테이지 사이의 슬라이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상부스테이지, 슬라이더, 하부스테이지의 분해단면도,
도 4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제1,2,3,4내직경의 크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상부스테이지를 기준으로 하부스테이지가 360 ㅀ방향으로 전후좌우 움직일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하부스테이지가 일측으로 진동되었을 때 배전반몸체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하부스테이지와 상부스테이지 사이의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부스테이지와 하부스테이지 사이의 슬라이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부스테이지, 슬라이더, 하부스테이지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제1,2,3,4내직경의 크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상부스테이지를 기준으로 하부스테이지가 360 ㅀ방향으로 전후좌우 움직일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은, 내부에 배전을 위한 각종 부속품(E)이 내장되는 배전반몸체(10)와; 배전반몸체(10)의 바닥에 고정되는 상부스테이지(20)와; 지면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스테이지(30)와;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가 입체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슬라이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전반몸체(10)는 분체도장된 철판이 육면체 형태로 절곡 및 용접되어 구현되고, 출입을 위한 도어나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배전반몸체(10) 내부에는, 다양한 부속품(E), 예를 들면,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시키는 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는 계기용 변압기(PT),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환하는 계기용 변류기(CT), 적산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로 구성되는 계기용 변성기(MOF), 전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이상 고전압을 안전하게 방전하여 기기의 파손을 예방하는 피뢰기(LA), 과전압이 인가될 때 차단되는 파워퓨즈(PF)등이 설치되며, 다양한 장소로 전력을 분산 공급하는 배전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스테이지(20)는 배전반몸체(10) 바닥에 볼트나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며, 전체적으로 편편한 테이블 형태를 가진다.
하부스테이지(30)는 건물을 이루는 지면 바닥(G)에 위치되거나 앙카 볼트(미도시)등으로 고정된다.
슬라이더(40)는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 사이에 대칭되게 다수개 설치되며, 상부스테이지(20)를 하부스테이지(3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슬라이더(40)는 지지하는 배전반몸체(1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설치 개수가 달라진다.
슬라이더(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스테이지(3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슬라이더하우징(41)과; 슬라이더하우징(4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바운더리홀(42b)이 형성된 링캡(42)과; 슬라이더하우징(41)과 링캡(42) 사이에서 입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무버(43)와; 무버(43)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하우징(41) 바닥에서 구름 운동하는 구름볼(44a)을 가지는 볼캐스터(44)와; 무버(43)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운더리홀(42b)을 통하여 노출되는 무버결합돌부(45)와; 링캡(42)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서 가장자리측이 상부스테이지(20) 바닥에 고정되고, 중앙측이 무버결합돌부(45)에 고정되는 무빙매개브라켓(46)과; 슬라이더하우징(41) 바닥에 형성된 것으로서 중앙으로 갈수록 몰입되게 경사지는 센터가이드경사면(47)과; 무버(43) 상단면에서 돌출되는 것으로서 수지재질로 된 쿠션링(48);을 포함한다.
슬라이더하우징(41)은 폐쇄된 하우징바닥(41a')을 가지며 상부측으로 개구되는 원통베이스(41a)와, 원통베이스(41a)의 외주면 하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스테이지(30)에 고정되는 하우징고정날개(41b)와, 원통베이스(41a)의 상단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다수의 하우징나사홈(41c)과, 원통베이스(41a)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 단차지게 형성된 하우징단턱링(41d)을 포함한다.
하우징고정날개(41b)에는 다수의 날개관통공(41b)이 형성되며, 날개관통공(41b)을 볼트(B)가 관통하여 하부스테이지(30)에 체결됨으로써 슬라이더하우징(41)은 하부스테이지(30)에 고정된다.
링캡(42)은, 중앙을 관통하는 상기 바운더리홀(42b)이 형성된 캡몸체(42a)와, 캡몸체(42a)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캡체결공(42c)과, 캡몸체(42a)의 바닥 가장자리측에 형성되어 하우징단턱링(41d)에 치합되는 단턱테두리(42d)를 포함한다.
상기 단턱테두리(42d)는 하우징단턱링(41c)에 치합되게 끼어지고, 이에 따라 링캡(42)은 원통베이스(41a)의 상단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캡체결공(42c)은 하우징나사홈(41c)에 정확히 일치하게 되므로, 볼트(B)를 캡체결공(42c)을 통하여 하우징나사홈(41c)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링캡(42)은 전체적으로 도넛 형태를 이루면서, 슬라이더하우징(41)의 상단에 결합되어 후술할 무버(43)가 빠져나오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을 제한한다.
무버(43)는 납작한 원통형태의 무버몸체(43a)와. 무버몸체(43a) 바닥에 형성되어 후술할 볼캐스터(44)가 끼어져 결합되는 캐스터결합홈(43b)과, 무버몸체(43a) 상단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쿠션링(48)을 지지하는 무버단턱링(43c)을 포함한다.
캐스터결합홈(43b)을 형성함으로써 볼캐스터(44)를 무버(43)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캐스터(44)를 무버(43)에 결합시키기 위한 특정 구조나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 링캡(42) 및 무버(43)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되어 부식되지 않고, 또한 고중량의 배전반몸체(10)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가진다.
볼캐스터(44)는 캐스터결합홈(43b)에 끼어져 결합되어 무버(43)를 슬라이더하우징(41) 내측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볼캐스터(44)는, 캐스터결합홈(43b)에 끼어지는 캐스터하우징(44b)과, 캐스터하우징(44b) 내측에서 다수의 볼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름볼(44a)로 이루어진다.
볼캐스터(44)는 크기에 따라 지지하는 하중이 다르며, 작게는 수 Kg에서 200 Kg 까지 다양하다.
볼캐스터(44)에 있어서 구름볼(44a)은 360ㅀ도 방향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무버(43)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무버결합돌부(45)는 무버(43)의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결합단나사홈(45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무빙매개브라켓(46)은 상부스테이지(20)와 무버(43)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링캡(42)보다 큰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의 상대적으로 움직이더라도 무빙매개브라켓(46)은 링캡(42)의 상부면을 커버한다. 이러한 무빙매개브라켓(46)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무버결합돌부(45)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하는 브라켓체결공(46a)과, 가장자리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스테이지(20)를 관통하는 볼트(B)가 체결되는 브라켓체결홈(46b)을 포함한다.
센터가이드경사면(47)은 하우징바닥(41a')에 형성된 것으로서 중앙으로 갈수록 몰입되게 경사진다. 이때 센터가이드경사면(47)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더하우징 바닥 모서리에서 내측에 위치된 지점에서 센터가이드경사면(47)이 형성될 수 있다.
볼캐스터(44)의 구름볼(44a)은 센터가이드경사면(47)을 타고 이동할 때,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이동할수록 무버(43)의 위치는 점차로 높아지므로 위치에너지가 점차로 커지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외력이 인가되지 않게 되면 구름볼(44a)은 위치에너지가 제일 작은 센터가이드경사면(47)의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즉, 외력이 더 이상 인가되지 않게 되면 볼캐스터(44)에 지지되는 무버(43)는 센터가이드경사면(47)의 중앙측으로 복귀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구성을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쿠션링(48)은 수지 재질로 되며, 무버(43)가 슬라이더하우징(41)의 내측벽 측으로 움직일 때 금속재질로 된 무버(43)가 금속재질로 된 링캡(42)의 바닥면과 충돌될 때 발생된 충격을 흡수하여 무버(43)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지진 발생시 슬라이더하우징(41)과 무버(43) 사이에서 급격한 상대 위치 변동이 있더라도 무버(43)나 링캡(4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하우징(41)을 구성하는 원통베이스(41a)는 제1내직경(D1)을 가지며, 링캡(42)의 바운더리홀(42b)은 제2내직경(D2)을 가지며, 무버(43)는 제1외직경(D3)을 가지며, 무버결합돌부(45)는 제2외직경(D4)을 가진다.
이때 원통베이스(41a)의 제1내직경(D1)은 무버(43)의 제1외직경(D3) 보다 크고, 바운더리홀(42b)의 제2내직경(D2)은 무버(43)의 제1외직경(D3) 보다 작고, 무버결합돌부(45)의 제2외직경(D4)은 바운더리홀(42b)의 제2내직경(D2) 보다 작다.
즉, 원통베이스의 제1내직경(D1) > 무버(43)의 제1외직경(D3) > 바운더리홀(42b)의 제2내직경(D2) > 무버결합돌부(45)의 제2외직경(D4)의 관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서, 무버(43)가 어떤 위치에 있더라도 바운더리홀(42)을 통하여 빠져나오지 않고, 원통베이스(41a) 내측에서 전후좌우 어떤 방향으로 무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내직경(D1)은 26cm, 무버(43)의 제2외직경(D3)은 16cm, 링캡(42)의 바운더리홀(42b)은 15cm, 무버결합돌부(45)의 제2외직경(D4)은 5cm 이다. 따라서 무버결합돌부(45)에 결합되는 무빙매개브라켓(46)은 전후좌우 10cm 사이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무버(43)의 제1외직경(D3)은 링캡(32)의 바운더리홀(42b)의 제2내직경(D2) 보다 크기 때문에, 무버(43)는 원통베이스(41)와 링캡(42) 내측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건물로 상하 방향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원통베이스(41)가 결합되는 하부스테이지(30)와 무버결합돌부(45)가 결합되는 상부스테이지(20)는 상호 분리되지 않고 상대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전반몸체(10)가 넘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하부스테이지가 일측으로 진동되었을 때 배전반몸체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하부스테이지와 상부스테이지 사이의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소에는 배전반몸체(10)로 인가되는 하중에 의하여, 무버(43)를 지지하는 볼캐스터(44)는 센터가이드경사면(47)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무버(43)와 링캡(42)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지진이 발생되면,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스테이지(3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때 배전반몸체(10)는 관성을 가지므로 하부스테이지(30)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배전반몸체(1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진에 의하여 바닥이 상하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무버(43)와 링캡(42)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서외므로,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스테이지(3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배전반몸체(10)는 관성에 의하여 정지 상태를 유지하거나, 최소한만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건물이 진동되어 하부스테이지(30)가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다수의 슬라이더(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스테이지(20)는 배전반몸체(10)의 관성에 의하여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전반몸체(10)가 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배전반몸체 20 ... 상부스테이지
30 ... 하부스테이지 40 ... 슬라이더
41 ... 슬라이더하우징 41a ... 원통베이스
41a' ... 하우징바닥 41b ... 하우징고정날개
41c ... 하우징나사홈 41d ... 하우징단턱링
42 ... 링캡 42a ... 캡몸체
42b ... 바운더리홀 42c ... 캡체결공
42d ... 단턱테두리 43 ... 무버
43a ... 무버몸체 43b ... 캐스터결합홈
43c ... 무버단턱링 44 ... 볼캐스터
44a ... 구름볼 44b ... 캐스터하우징
45 ... 무버결합돌부 45a ... 결합단나사홈
46 ... 무빙매개브라켓 46a ... 브라켓체결공
46b ... 브라켓체결홈 47 ... 센터가이드경사면
48 ... 쿠션링

Claims (7)

  1. 내부에 배전을 위한 각종 부속품(E)이 내장되는 배전반몸체(10);
    상기 배전반몸체(10)의 바닥에 고정되는 상부스테이지(20);
    지면(G)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스테이지(30); 및
    상기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스테이지(20)와 하부스테이지(30)가 입체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슬라이더(4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하부스테이지(3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구된 슬라이더하우징(41)과;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바운더리홀(42b)이 형성된 링캡(42)과;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과 링캡(42) 사이에서 입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무버(43)와; 상기 무버(43) 바닥을 지지하면서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의 바닥에서 구름 운동하는 볼캐스터(44)와; 상기 무버(43)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운더리홀(42b)을 통하여 노출되는 무버결합돌부(45)와; 상기 링캡(42)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서 가장자리측이 상기 상부스테이지(20) 바닥에 고정되고, 중앙측이 상기 무버결합돌부(45)에 고정되는 무빙매개브라켓(46)과;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 바닥에 형성된 것으로서 중앙으로 갈수록 몰입되게 균일한 경사각도가 형성된 센터가이드경사면(47)을 포함하고;
    상기 볼캐스터(44)는 상기 무버(43)의 바닥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캐스터결합홈(43b)에 결합되는 캐스터하우징(44b)과, 상기 캐스터하우징(44b) 내측에서 다수의 볼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름볼(44a)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을 구성하는 원통베이스(41a)는 제1내직경(D1)을 가지며, 상기 링캡(42)의 바운더리홀(42b)은 제2내직경(D2)을 가지며, 상기 무버(43)는 제1외직경(D3)을 가지며, 상기 무버결합돌부(45)는 제2외직경(D4)을 가지되, 상기 원통베이스의 제1내직경(D1) > 상기 무버(43)의 제1외직경(D3) > 상기 바운더리홀(42b)의 제2내직경(D2) > 무버결합돌부(45)의 제2외직경(D4)의 관계를 가지고;
    상기 무버결합돌부(45)에는 상기 무버(43)가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의 내측벽 측으로 움직일 때 금속재질로 된 상기 무버(43)가 금속재질로 된 상기 링캡(42)의 바닥면과 충돌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수지재질의 쿠션링(48)이 상기 무버의 모서리 상단면에서 돌출되게 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은, 폐쇄된 하우징바닥(41a')을 가지며 상부측으로 개구되는 원통베이스(41a)와, 상기 원통베이스(41a)의 외주면 하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스테이지(30)에 고정되는 하우징고정날개(41b)와, 상기 원통베이스(41a)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 단차지게 형성된 하우징단턱링(41d)을 포함하고;
    상기 링캡(42)은, 중앙에 상기 바운더리홀(42b)이 형성된 캡몸체(42a)와, 상기 캡몸체(42a)의 바닥 가장자리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단턱링(41d)에 치합되는 단턱테두리(4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버(43)는,
    납작한 원통형태의 무버몸체(43a)와, 상기 무버몸체(43a)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볼캐스터(44)가 끼어져 결합되는 상기 캐스터결합홈(4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93806A 2021-07-16 2021-07-16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KR10237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806A KR102375443B1 (ko) 2021-07-16 2021-07-16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806A KR102375443B1 (ko) 2021-07-16 2021-07-16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443B1 true KR102375443B1 (ko) 2022-03-17

Family

ID=8093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806A KR102375443B1 (ko) 2021-07-16 2021-07-16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4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554B1 (ko) * 2017-08-17 2017-12-29 김종운 내진조절 기능이 구비된 내진장치
KR101884171B1 (ko) * 2018-04-02 2018-08-30 이경철 면진기능을 가지는 피봇형 배전반 내진장치와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101959200B1 (ko) * 2018-06-07 2019-03-19 (주)세풍전기 배전반용 내진모듈
KR102106523B1 (ko) * 2018-09-07 2020-05-08 주식회사 에스지이노베이션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554B1 (ko) * 2017-08-17 2017-12-29 김종운 내진조절 기능이 구비된 내진장치
KR101884171B1 (ko) * 2018-04-02 2018-08-30 이경철 면진기능을 가지는 피봇형 배전반 내진장치와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101959200B1 (ko) * 2018-06-07 2019-03-19 (주)세풍전기 배전반용 내진모듈
KR102106523B1 (ko) * 2018-09-07 2020-05-08 주식회사 에스지이노베이션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608B1 (ko)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800871B1 (ko) 내진 서포트
KR102067244B1 (ko) 내진 구조물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515796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495094B1 (ko) 배전설비용 내진 장치
KR101832889B1 (ko) 내진 서포트
KR101648136B1 (ko) 임의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내진형 배전반
KR102030958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전기 제어 함체
KR101515789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80053826A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227947B1 (ko) 내진 수배전 장치
KR102032420B1 (ko) 함체용 내진장치
KR101601803B1 (ko)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KR20190009394A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US10631431B2 (en) Low down seismic shock rack design
KR101754352B1 (ko) 면진 및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2309867B1 (ko) 내진 완충 장치와 코일 스프링을 겸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2000278B1 (ko) 내진 배전반
KR101752842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077294B1 (ko) 전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용 면진 장치
KR102375443B1 (ko) 내진 구조를 가지는 배전반
KR102441121B1 (ko)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030959B1 (ko) 전기 제어 함체용 내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