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389B1 - 화분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389B1
KR102375389B1 KR1020210066803A KR20210066803A KR102375389B1 KR 102375389 B1 KR102375389 B1 KR 102375389B1 KR 1020210066803 A KR1020210066803 A KR 1020210066803A KR 20210066803 A KR20210066803 A KR 20210066803A KR 102375389 B1 KR102375389 B1 KR 10237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upport
water
collection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근
Original Assignee
김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근 filed Critical 김석근
Priority to KR102021006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부; 받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받침부들을 연결하면서 지면 상에 위치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부; 및 지면 상에 위치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연결되는 수집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화분이 받침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물이 화분에 공급된 이후에, 물은 화분의 바닥면을 통해 받침부의 내부로 유도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통해 수집부에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용 받침대{Stand for pots}
본 발명은 화분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화분들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화분들에 대하여 공급되고 배출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도시에 거주하여 녹지 공간의 부족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삭막함을 달래거나 취미 생활을 즐기기 위하여, 화초, 나무 등과 같은 식물을 화분에 심어 재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실내 공간 또는 실외 공간에서 식물을 볼 수 있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식물은 물을 공급받아 재배되는 데, 물은 화분의 바닥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물이 화분의 바닥면을 통해 배출될 때, 흙이 물과 함께 화분의 바닥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화분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은 물과 흙으로 인해 지저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화분은 별도의 받침대 상에 위치되고, 받침대는 물과 흙을 수집하는 데에 이용된다.
하지만, 복수 개의 화분들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각각의 화분은 개별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이동되어야 하고, 각각의 화분에 대한 받침대는 개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즉, 복수 개의 화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데에 있어 상당한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 개의 화분들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 개의 화분들에 따른 식물을 동시에 물을 이용하여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집된 물을 용이하게 관리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부; 받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받침부들을 연결하면서 지면 상에 위치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부; 및 지면 상에 위치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연결되는 수집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화분이 받침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물이 화분에 공급된 이후에, 물은 화분의 바닥면을 통해 받침부의 내부로 유도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통해 수집부에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받침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지지부가 위치되는 받침 몸체;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받침 개구들이 형성되며, 받침 몸체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받침 몸체에 위치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화분이 받침판에 위치되고, 물이 화분에 공급된 이후에, 물은 화분의 바닥면을 통해 받침 개구들을 통해 받침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받침 공간의 바닥면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근접할수록 지면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유도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받침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받침 공간과 유도 공간을 연결하는 유도 개구가 형성되며, 물은 받침 공간에서 유도 개구를 통해 유도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수집부는, 지면 상에 위치되고, 일측면에 수용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수집 케이스; 및 수용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수집 케이스의 일측면을 통해 수용 공간에 삽입되거나 수용 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수집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집 몸체를 포함하되, 수집 몸체가 수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수집 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물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통과한 이후에 수집 공간으로 유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수집 공간의 내측면에서 수집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어 물을 감지하는 수위 센서가 위치되고, 수집 케이스의 일측면의 반대편의 타측면에 대응하는 수용 공간의 내측면에는 감지 표시가 위치되고, 수집 몸체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는 위치되어 감지 표시를 감지하는 표시 센서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물이 수집 공간에서 수위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질 때, 수위 센서는 수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며, 수집 몸체의 일부가 수용 공간에 삽입될 때, 표시 센서는 감지 표시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면서 감지 표시를 감지하고, 수집 몸체가 수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어, 표시 센서가 감지 표시에 접촉될 때, 표시 센서는 완료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며, 수집 몸체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때, 표시 센서는 감지 표시를 감지하지 못하고 완료 알람 신호와 상이한 알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집부 근처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는 제어 밸브가 설치되며, 수집 몸체가 수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어, 표시 센서가 감지 표시에 접촉될 때, 제어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개방하도록 작동되고, 물이 수집 공간에서 수위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질 때, 제어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폐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화분용 받침대는, 받침 공간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유도 개구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면서 받침 공간의 바닥면에 힌지 연결되는 유도 베이스;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고, 유도 베이스의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에 인접하도록 받침 공간의 바닥면 상에 위치되어, 유도 베이스의 제 2 종단 부분을 받침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어 몸체;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받침 공간의 양측을 따라 받침판의 상측에서 지지부들을 연결하도록 위치되고, 유도 공간에 대응되는 제 1 종단이 제어 몸체에 대응되는 제 2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유입 공간이 형성되고, 받침판과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유입 개구들이 형성된 한 쌍의 유입관; 받침 공간의 외부에 위치되되, 제 1 종단이 유입관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이 제어 몸체에 연결되는 유연한 관 형태의 공급관; 및 받침 공간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제어 몸체와 유도 공간을 연결하며, 공급관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되, 제어 몸체는 공급된 물의 양에 따라 소정의 부피를 가지며, 물이 화분에 공급될 때, 물은 받침 공간에서 유입되어 유입관 및 공급관을 통해 제어 몸체에 공급되어 제어 몸체를 팽창시켜 유도 베이스의 제 2 종단 부분을 받침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점점 이격시키고, 물이 화분에 공급되지 않을 때, 물은 배출관을 통해 제어 몸체로부터 유도 공간으로 배출되어 제어 몸체를 수축시켜 유도 베이스의 제 2 종단 부분을 받침 공간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화분용 받침대는, 받침 공간에서 받침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받침판과 유도 베이스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 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물이 화분에 공급되고 제어 몸체가 팽창되어, 유도 베이스의 제 2 종단 부분이 받침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점점 이격될 때, 보조 유도부는 물에 의해 회전되어, 유도 베이스에 충격을 가하면서 접촉되고, 유도 베이스를 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복수 개의 화분들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다.
(2) 복수 개의 화분들의 식물이 동시에 물을 이용하여 재배될 수 있다.
(3) 수집된 물이 용이하게 관리되고 처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의 수집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를 변형된 형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1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100)의 수집부(103)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100)는 받침부(101), 지지부(102) 및 수집부(103)를 포함하되, 지면(1) 상에 설치되어, 식물을 심은 상태의 복수 개의 화분(10)들을 동시에 배치할 수 있고 화분(10)에 공급되어 배출된 물을 수집할 수 있다.
받침부(10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지면(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101)는 지면(1)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후술될 지지부(102)에 의해 지면(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받침부(101)는 각각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받침부(101)는 받침 몸체(111) 및 받침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몸체(1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받침부(101)의 전체적인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받침 몸체(111)의 상면에는 받침 공간(101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받침 공간(101a)은 받침 몸체(1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몸체(111)가 직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받침 공간(101a)도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받침 몸체(111)보다 작은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받침판(113)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받침 몸체(111)보다 현저하게 얇을 수 있다. 받침판(113)에는 복수 개의 받침 개구(101b)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113)은 받침 공간(101a)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받침 몸체(11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판(113)은 복수 개의 받침 개구(101b)들을 갖고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받침 개구(101b)들은 받침 공간(101a)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화분(10)은 받침판(113) 상에 위치되어 받침 몸체(11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물이 화분(10)에 공급될 때, 물은 화분(10)의 바닥면을 통해 받침판(113)으로 배출되고, 받침 개구(101b)들을 통과하여 받침 공간(101a)으로 유도될 수 있다.
지지부(10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받침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받침부(101)들을 연결하고 지면(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받침부(101)는 지지부(102)에 의해 지면(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102)는 각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101)가 각각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지지부(102)는 받침부(101)의 모서리들에 대응하도록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2)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고, 받침부(101)의 위치는 지지부(102)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지지부(102)는 각각 막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2)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부(10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02)는 각각 받침 몸체(111)의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지지부(102)의 일부는 받침 공간(101a)의 측면 근처에 위치되거나, 받침 공간(101a)의 측면에 접촉되거나, 받침 공간(101a)의 측면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유도 공간(102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2)의 외측면에는 받침 공간(101a)에 대응하도록 유도 개구(102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개구(102b)는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유도 공간(102a)과 받침 공간(101a)을 연결할 수 있다.
물이 받침 공간(101a)에 유도된 상태에서, 물은 받침 공간(101a)에서 수집 유도 개구(102b)를 통해 유도 공간(102a)에 유도되어 유도 공간(102a)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지지부(102)가 받침부(101)의 모서리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경우, 2개의 지지부(102)들(도 1과 도 2에서 우측에 위치된 지지부(102) 참조)의 각각에 유도 공간(102a) 및 유도 개구(10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은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은 유도 개구(102b)에 근접할수록 점점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은 유도 개구(102b)에 근접할수록 지면(1)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물이 받침 공간(101a)에 유도된 상태에서, 물은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을 따라 원활하게 유도 개구(102b)를 향하여 유동되고 유도 개구(102b)를 통과하여 수집 유도 공간(102a)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은 물과 함께 받침 공간(101a)에 유도된 상태에서 유도 개구(102b)를 향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수집부(103)는 지면(1) 상에 위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에는 앞서 언급된 유도 공간(102a) 및 유도 개구(102b)가 형성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물은 유도 공간(102a)으로 유도된 상태에서 유도 공간(102a)을 따라 유동하여 수집부(103)로 유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복수 개의 화분(10)들에 공급된 이후에 화분(10)들의 바닥면으로부터 배출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수집부(103)에 수집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03)는 수집 케이스(131) 및 수집 몸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케이스(131)는 지면(1) 상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는 수집 케이스(13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고, 수집 케이스(131)의 일측면에는 수용 공간(103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의 유도 공간(102a)은 수용 공간(103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집 케이스(131)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대응하는 수용 공간(103a)의 내측면에는 감지 표시(131a)가 위치될 수 있다. 감지 표시(131a)는 수용 공간(103a)의 내측면에 소정의 색상으로 인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집 몸체(133)는 수용 공간(103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용 공간(103a)에 삽입될 수 있고 수용 공간(103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수집 몸체(133)의 상면에는 수집 공간(103b)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집 몸체(133)가 수용 공간(103a)에 완전히 삽입될 때, 수집 공간(103b)은 유도 공간(102a)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물은 유도 공간(102a)을 따라 유도된 이후에 수집 공간(103b)에 유입되어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물이 수집 공간(103b)에 설정량만큼 채워진 상태에서, 수집 몸체(133)는 수용 공간(103a)으로부터 분리되고, 수집 공간(103b)에 저장된 물은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수집 몸체(133)는 핸들(133a), 표시 센서(133b) 및 수위 센서(133c)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133a)은 수집 몸체(13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수집 몸체(133)가 수용 공간(103a)에 삽입될 때, 핸들(133a)은 수집 공간(103a)의 외부에 위치되고, 작업자는 핸들(133a)을 파지하여 수집 몸체(133)를 수용 공간(103a)에 삽입할 수 있거나 수용 공간(103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표시 센서(133b)는 수집 몸체(133)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 위치되어 감지 표시(131a)를 감지할 수 있다.
수집 몸체(133)의 일부가 수용 공간(103a)에 삽입될 때, 표시 센서(133b)는 감지 표시(13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면서 감지 표시(131a)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 공간(103b)과 유도 공간(102a)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수집 몸체(133)가 수용 공간(103a)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때, 표시 센서(133b)는 감지 표시(133a)를 감지하지 못하고 알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집 몸체(133)가 수용 공간(103a)에 삽입되지 않아 수집 공간(103b)과 유도 공간(102a)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알람 신호는 수집 공간(103b)과 유도 공간(102a)이 연결되지 않고, 물이 수집부(103)의 수집 공간(103b)으로 유도되지 않아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집 몸체(133)가 수용 공간(103a)에 완전히 삽입되어, 표시 센서(133b)가 감지 표시(133a)에 접촉될 때, 표시 센서(133b)는 알림 신호와 상이한 완료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완료 알림 신호는 수집 몸체(133)가 수용 공간(103a)에 완전히 삽입되었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알림 신호 및 완료 알림 신호는 표시 센서(133b)로부터 소리의 형태로 발생될 수 있고,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어 휴대 단말기에서 소리, 진동, 불빛 등의 형태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 센서(133b)가 알림 신호 및 완료 알림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수집 케이스(131)의 수용 공간(103a)에 대한 수집 몸체(133)의 삽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누설없이 물을 수집 공간(103b)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수위 센서(133c)는 물을 감지할 수 있고, 수집 공간(103b)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수집 공간(103b)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위 센서(133c)는 수초 동안 지속적으로 물을 감지할 때 수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물이 수집 공간(103b)에서 수위 센서(133c)의 위치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질 때, 즉, 물이 설정량만큼 수집 공간(103b)에 채워질 때, 수위 센서(133c)는 수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위 알림 신호는 앞서 언급된 알림 신호 및 완료 알림 신호와는 상이할 수 있고, 수위 센서(133c)로부터 소리의 형태로 직접 발생될 수 있고,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어 휴대 단말기에서 소리, 진동, 불빛 등의 형태로 발생될 수 있다. 작업자는 수위 알림 신호를 통해 수집 공간(103b)의 수위를 인지하고 수집 공간(103b)의 물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수집부(103) 근처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에는 제어 밸브(121)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밸브(121)는 유도 공간(102a)을 개폐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센서(133b)가 완료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때, 제어 밸브(121)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의 유도 공간(102a)을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고, 물은 수집부(103)로 유도되어 수집부(103)에 수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수집 몸체(133)가 수용 공간(103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수집 몸체(133)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
반면에, 수위 센서(133c)가 수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때, 제어 밸브(121)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의 유도 공간(102a)을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고, 물은 수집부(103)로 유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수집 몸체(133)가 설정양만큼 물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수집 몸체(133)는 물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분용 받침대(100)는 복수 개의 화분(10)들을 지지부(102)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받침부(101)에 의해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물은 복수 개의 화분(10)들의 각각에 공급되고 각각의 화분(10)의 바닥면을 통해 배출되어 받침부(101)의 받침판(113)의 받침 개구(101b)를 통해 받침 몸체(111)의 받침 공간(101a)에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은 받침 공간(101a)에서 지지부(102)의 일부의 유도 개구(102b)를 향하도록 유도되고 유도 개구(102b)를 통과한 이후에 유도 공간(102a)을 따라 유동하여 수집부(103)에 수집될 수 있고, 수집부(103)는 수집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분용 받침대(100)는 복수 개의 화분(10)들에 공급된 이후에 배출되는 물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고, 신호를 바탕으로 물의 수집 상태를 인지하여 수집된 물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분용 받침대(100)는 복수 개의 화분(10)들을 복수 개의 받침부(101)와 복수 개의 지지부(102)에 의해 위치시킬 수 있기에, 복수 개의 화분(10)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물들을 물을 이용하여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분용 받침대(100)에서 받침부(101)의 받침 몸체(111)의 일측면은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 몸체(111)의 일측면은 도 1에서 받침 몸체(111)의 정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화분용 받침대(100)의 받침 공간(101a)에는 물과 함께 화분(10)으로부터 배출되는 흙 등을 비롯한 이물질이 남을 수 있다. 여기서, 받침판(113)이 받침 몸체(11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받침 몸체(111)의 일측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받침 몸체(111)의 받침 공간(101a)의 이물질은 분리되어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분용 받침대(100)에서 이물질은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100)를 변형된 형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받침대(100)는 유도 제어부(104) 및 보조 유도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제어부(104)는 화분(10)에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고, 받침 공간(101a)에 유도된 이물질을 원활하게 유도 공간(102a)으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도 제어부(104)는 유도 베이스(141), 제어 몸체(142), 유입관(143), 공급관(144) 및 배출관(145)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베이스(141)는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베이스(141)의 제 1 종단은 유도 개구(102b)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면서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유도 베이스(141)가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에서 회동될 때, 유도 베이스(141)의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유도 베이스(141)의 양측면의 각각과 받침공간(101a)의 양측면의 각각은 상호 간에 접촉될 수 있다.
제어 몸체(142)는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고, 유도 베이스(141)의 제 2 종단에 인접하도록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 상에 위치되고, 유도 베이스(141)의 제 2 종단 부분을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제어 몸체(142)는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과 유도 베이스(141) 사이에 위치되고, 유도 베이스(141)를 유도 개구(102b)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몸체(142)는 공급받은 물의 양에 따라 소정의 부피를 가질 수 있고,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과 유도 베이스(141) 사이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몸체(142)가 팽창될 때,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과 유도 베이스(141) 사이의 각도는 증가될 수 있는 반면에, 제어 몸체(142)가 수축될 때,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과 유도 베이스(141) 사이의 각도는 감소될 수 있다.
유입관(143)은 한 쌍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받침 공간(101a)의 양측을 따라 받침판(113)의 상측에서 지지부(102)들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관(143)의 제 1 종단은 유입관(143)의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유입관(143)의 제 1 종단은 유도 공간(102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유입관(143)의 제 2 종단은 제어 몸체(14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유입관(143)의 내부에는 유입관(1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입 공간(143a)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143)의 외측면에는 받침판(113)과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유입관(1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유입 개구(143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 개구(143b)들은 지면(1)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이 화분(10)에 공급될 때, 물은 유입 개구(143b)들을 통해 유입 공간(143a)으로 유도될 수 있고, 유입관(143)의 제 2 종단을 향하도록 유도되어 유입관(143)의 제 2 종단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유입관(143)은 지지부(102)들과 조합하여 화분(10)에 대한 난간으로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관(144)은 유연한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어 몸체(142)와 유입관(143)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관(144)은 받침 공간(101a)의 외부에 위치되되, 공급관(144)의 제 1 종단은 유입관(143)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공급관(144)의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제어 몸체(1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입관(143)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공급관(144)을 통해 제어 몸체(142)에 공급되어 제어 몸체(142)를 팽창시킬 수 있다.
배출관(145)은 유연한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어 몸체(142)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02)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어 몸체(142)는 배출관(145)을 통해 유도 공간(102a)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관(145)은 받침 공간(101a)의 바닥면을 관통할 수 있다. 물은 제어 몸체(142)로부터 배출관(145)을 통해 유도 공간(102a)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145)은 공급관(144)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되, 바람직하게는, 공급관(144)의 1/2 내지 1/5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몸체(142)가 공급관(144)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때, 제어 몸체(142)는 배출관(145)을 통해 배출되는 물보다 많은 양을 공급받아 수축되지 않을 수 있어, 팽창된 상태로 증가된 유도 베이스(141)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 몸체(142)가 공급관(144)을 통해 물을 공급받지 않을 때, 제어 몸체(142)는 배출관(145)을 통해 배출되어 수축될 수 있어, 유도 베이스(141)의 기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조 유도부(10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받침 공간(10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각각 받침판(113)과 유도 베이스(141)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유도부(105)의 회전축은 유도 베이스(141)와 유입관(143) 사이의 받침 공간(101a)의 양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물이 받침 공간(101a)으로 유입될 때, 보조 유도부(105)는 물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받침 공간(101a)으로 유입된 물은 유입관(143) 및 공급관(144)을 통해 제어 몸체(142)에 공급되어 제어 몸체(142)를 팽창시켜 유도 베이스(141)의 기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유도부(105)는 회전되면서 유도 베이스(141)에 충격을 가하면서 접촉되고, 유도 베이스(141)를 긁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조 유도부(105)는 유도 제어부(104)와 조합하여 물과 함께 받침 공간(101a)에 유입될 수 있는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을 받침 공간(101a)에 축적되지 않고 유도 개구(102b)를 통해 유도 공간(102a)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공간(101a)은 이물질의 축적으로 인해 별도로 세척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화분용 받침대
101: 받침부
102: 지지부
103: 수집부
104: 유도 제어부
105: 보조 유도부

Claims (10)

  1. 화분용 받침대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부;
    받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받침부들을 연결하면서 지면 상에 위치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부; 및
    지면 상에 위치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연결되는 수집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화분이 받침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물이 화분에 공급된 이후에, 물은 화분의 바닥면을 통해 받침부의 내부로 유도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통해 수집부에 수집되며,
    받침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받침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지지부가 위치되는 받침 몸체;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받침 개구들이 형성되며, 받침 몸체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받침 몸체에 위치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화분이 받침판에 위치되고, 물이 화분에 공급된 이후에, 물은 화분의 바닥면을 통해 받침 개구들을 통해 받침 공간으로 유도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유도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받침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받침 공간과 유도 공간을 연결하는 유도 개구가 형성되며,
    물은 받침 공간에서 유도 개구를 통해 유도 공간으로 유도되고,
    화분용 받침대는,
    받침 공간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유도 개구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면서 받침 공간의 바닥면에 힌지 연결되는 유도 베이스;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고, 유도 베이스의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에 인접하도록 받침 공간의 바닥면 상에 위치되어, 유도 베이스의 제 2 종단 부분을 받침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어 몸체;
    각각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받침 공간의 양측을 따라 받침판의 상측에서 지지부들을 연결하도록 위치되고, 유도 공간에 대응되는 제 1 종단이 제어 몸체에 대응되는 제 2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유입 공간이 형성되고, 받침판과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유입 개구들이 형성된 한 쌍의 유입관;
    받침 공간의 외부에 위치되되, 제 1 종단이 유입관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이 제어 몸체에 연결되는 유연한 관 형태의 공급관; 및
    받침 공간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제어 몸체와 유도 공간을 연결하며, 공급관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제어 몸체는 공급된 물의 양에 따라 소정의 부피를 가지며,
    물이 화분에 공급될 때, 물은 받침 공간에서 유입되어 유입관 및 공급관을 통해 제어 몸체에 공급되어 제어 몸체를 팽창시켜 유도 베이스의 제 2 종단 부분을 받침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점점 이격시키고,
    물이 화분에 공급되지 않을 때, 물은 배출관을 통해 제어 몸체로부터 유도 공간으로 배출되어 제어 몸체를 수축시켜 유도 베이스의 제 2 종단 부분을 받침 공간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수집부는,
    지면 상에 위치되고, 일측면에 수용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수집 케이스; 및
    수용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수집 케이스의 일측면을 통해 수용 공간에 삽입되거나 수용 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수집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집 몸체를 포함하되,
    수집 몸체가 수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수집 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물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통과한 이후에 수집 공간으로 유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수집 공간의 내측면에서 수집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어 물을 감지하는 수위 센서가 위치되고,
    수집 케이스의 일측면의 반대편의 타측면에 대응하는 수용 공간의 내측면에는 감지 표시가 위치되고, 수집 몸체의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에는 위치되어 감지 표시를 감지하는 표시 센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받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물이 수집 공간에서 수위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질 때, 수위 센서는 수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며,
    수집 몸체의 일부가 수용 공간에 삽입될 때, 표시 센서는 감지 표시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면서 감지 표시를 감지하고,
    수집 몸체가 수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어, 표시 센서가 감지 표시에 접촉될 때, 표시 센서는 완료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며,
    수집 몸체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때, 표시 센서는 감지 표시를 감지하지 못하고 완료 알람 신호와 상이한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받침대.
  8. 제6항에 있어서,
    수집부 근처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는 제어 밸브가 설치되며,
    수집 몸체가 수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어, 표시 센서가 감지 표시에 접촉될 때, 제어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개방하도록 작동되고,
    물이 수집 공간에서 수위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질 때, 제어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받침대.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화분용 받침대는,
    받침 공간에서 받침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받침판과 유도 베이스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 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물이 화분에 공급되고 제어 몸체가 팽창되어, 유도 베이스의 제 2 종단 부분이 받침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점점 이격될 때, 보조 유도부는 물에 의해 회전되어, 유도 베이스에 충격을 가하면서 접촉되고, 유도 베이스를 긁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받침대.
KR1020210066803A 2021-05-25 2021-05-25 화분용 받침대 KR102375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03A KR102375389B1 (ko) 2021-05-25 2021-05-25 화분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03A KR102375389B1 (ko) 2021-05-25 2021-05-25 화분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389B1 true KR102375389B1 (ko) 2022-03-16

Family

ID=8093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803A KR102375389B1 (ko) 2021-05-25 2021-05-25 화분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3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235Y1 (ko) * 2003-06-12 2003-09-19 김용우 화분 거치대
KR200431633Y1 (ko) * 2006-08-16 2006-11-23 권홍순 조립식 화분 진열대
KR100869173B1 (ko) * 2007-08-03 2008-11-19 고영춘 파티션
KR20210057625A (ko) * 2019-11-12 2021-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장치 및 그의 에러 발생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235Y1 (ko) * 2003-06-12 2003-09-19 김용우 화분 거치대
KR200431633Y1 (ko) * 2006-08-16 2006-11-23 권홍순 조립식 화분 진열대
KR100869173B1 (ko) * 2007-08-03 2008-11-19 고영춘 파티션
KR20210057625A (ko) * 2019-11-12 2021-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장치 및 그의 에러 발생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452B1 (en) Plant pot arrangement
KR102375389B1 (ko) 화분용 받침대
KR101882196B1 (ko) 분무 수경 재배 시스템
US7617632B1 (en) Plant pot arrangement
KR20180001000A (ko)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설장치
KR100518900B1 (ko)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
KR101370601B1 (ko) 수분 공급이 가능한 적층형 식물 재배장치
KR20180056198A (ko) 수목 관리 장치
US6983921B1 (en) Rolling christmas tree stand
KR200386097Y1 (ko) 급수장치가 설치된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200214155Y1 (ko) 화분
KR200385115Y1 (ko) 지주식 화분 받침대
TWM572635U (zh) Siphon type vertical stereo planting device
KR20110055865A (ko) 수목용 자동 물공급 장치
US6269588B1 (en) Flower pot for group planting
US20210161080A1 (en) Flower pot saucer with a drainage system
CN202190573U (zh) 一种多功能花盆
KR20190106189A (ko) 식물을 이용한 실내 공기정화장치
KR20180003666U (ko) 화분받침대
WO2020071859A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CN207519246U (zh) 一种智能自动加水型花盆
KR101872339B1 (ko) 다단 화분
KR101914112B1 (ko) 화분
KR200186536Y1 (ko) 화분받침대의 물 배수장치
CN215346050U (zh) 一种立体花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