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930B1 -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한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 Google Patents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한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930B1
KR102374930B1 KR1020200005244A KR20200005244A KR102374930B1 KR 102374930 B1 KR102374930 B1 KR 102374930B1 KR 1020200005244 A KR1020200005244 A KR 1020200005244A KR 20200005244 A KR20200005244 A KR 20200005244A KR 102374930 B1 KR102374930 B1 KR 102374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manhole
optical
vibrati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936A (ko
Inventor
박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00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9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광코어의 경로를 확정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맨홀의 진동을 수신하여 광코어가 맨홀을 통과하는 지 판단하고 맨홀들의 연결관계를 파악하여 광코어의 경로를 확정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해주고 서비스 가입자들은 보다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한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METHOD FOR FINDING OPTICAL CORE PATH USING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광케이블 통신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케이블 통신망의 관리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은 손실이 적어서 멀리까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원거리 통신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신사들은 통신장비가 위치한 국사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이 있는 곳까지 광케이블로 통신경로를 마련하여 통신망을 제공한다.
집이나 건물이 새로 생길 때마다 이러한 광케이블을 매번 새로 포설할 수는 없으므로, 통신사들은 통신국사를 중심으로 주요 가입자에 도달 가능하도록 광케이블의 묶음들을 미리 포설해둔다. 광케이블의 묶음들은 다수의 광케이블을 포함한 간선/배선 케이블들이다.
포설해 둔 케이블을 각 가정 또는 회사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근처의 접속함체에서 미리 포설해 둔 간선/배선 광케이블과 광 접속함체를 이용한다. 광 접속함체와 가입자 사이를 광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통신국사와 연결이 완료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서비스를 개통하거나 해지하는 경우 광케이블을 광 접속함체에 연결하거나 연결해제 작업을 하고도 관리시스템에서 광코어 연결도를 업데이트하지 않는 경우 광코어 연결상태가 광코어 시스템에 기록된 것과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 서비스를 개통할 때 이미 포설되어 있는 광코어를 이용하려고 하면 광코어 시스템과 일치하지 않아 새로 설치하느라 이중의 지출이 되어버린다. 그렇다고 작업자들이 일일이 광 접속함체마다 체크하며 돌아다닐 수도 없는 노릇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광코어 경로 데이터베이스가 현행과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해 왔다. 작업자가 광 접속함체마다 돌아다니지 않고서도 광코어의 실제 경로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완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운용되지 않는 광코어의 경로를 원격으로 찾아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코어 경로를 확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과 자원의 낭비를 막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은,
경로를 찾으려는 광케이블 코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음파탐지장치가 측정한 상기 경로를 찾으려는 광케이블 코어의 종단길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케이블 코어의 종단길이 반경 내에 위치한 맨홀들을 후보맨홀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후보맨홀로부터 수신한 진동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 코어가 통과하는 맨홀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광케이블 코어가 통과하는 맨홀에 의해 확정된 경로를 광코어 경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보맨홀로부터 진동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후보맨홀 위를 지나는 자동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후보맨홀로부터 진동을 수신하는 것은 각 맨홀에 설치된 진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파탐지장치가 측정한 상기 경로를 찾으려는 광케이블 코어의 종단길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경로를 찾으려는 광케이블 코어와 진동패턴이 유사한 인접한 다른 광케이블 코어를 검색하여 진동패턴이 유사한 맨홀까지의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진동패턴이 유사한 맨홀까지의 경로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진동패턴이 유사한 경로상에서 가입자쪽으로 가장 가까운 맨홀을 후보로 설정하여 진동을 수신한 다음 진동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진동패턴이 유사한 맨홀까지의 경로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패턴이 유사한 맨홀까지의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확정된 경로 이후 남은 광케이블 코어의 길이 반경 내에 위치한 맨홀들을 후보맨홀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코어의 경로가 데이터베이스와 일치되어 있으므로 서비스 개통이 필요할 때 미운용의 광코어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코어 경로 확인을 위해 작업자가 광 접속함체를 일일이 돌아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광코어 경로 데이터베이스 확정을 위한 시간 및 비용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광케이블 연결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광코어 경로 확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광코어 경로 확정 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광코어 경로 확정 서버의 좀 더 자세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광코어 경로 확정을 위해 후보맨홀을 탐색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광케이블 통신망 연결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통신국사(1)내의 통신장비(10)는 광케이블을 통해 각 지역의 가입자들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광케이블 연결을 위한 광분배함(20, FDF)이 사용된다.
광케이블들은 지하로 매설되어 맨홀들(31, 32, 33)을 통해 연결된다. 통신국사(1)에서 가까운 곳은 72코어의 간선 케이블(21)로 연결되고, 케이블들이 분기하면서 보다 적은 36코어의 배선 케이블들(22, 23)로 연결되며 최종 인입케이블들(24, 25, 26, 27)은 4코어 혹은 12코어 등 배선 케이블보다 적은 코어의 광케이블이 사용된다.
각 맨홀들 내에는 접속함체(34, 35, 36)가 있어서 광 케이블들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각 광코어 경로들은 맨홀을 중심으로 연결관계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광코어 경로가 확정 되어있지 않으면 새로운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실제로는 광코어가 포설되어 있음에도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것으로 관리되어 새로운 광 케이블을 포설해야 하고, 가입자까지의 경로상 맨홀의 접속함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 없이도 광코어 경로를 확인하고 확정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광코어 경로 확정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광코어 경로 확정 시스템(200)은 광코어 경로 확정 서버(210), 음파탐지장치(220) 및 광분배함(230)을 포함한다.
광코어 경로 확정 서버(210)는 현재 광코어의 현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시스템을 통해 업데이트한 광코어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음파탐지장치(220)와 광분배함(230)을 사용한다. 음파탐지장치(220)는 DAS(Distributed Acoustic Sensing)라는 장치가 사용된다.
맨홀(250)의 뚜껑(252)에 진동이 전달되면 이는 접속함체(254)와 광케이블(240)을 통해 광분배함(230)을 거쳐 음파탐지장치(220)까지 전달되므로 음파탐지장치(220)에서는 이 진동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버(210)는 광코어가 어떤 맨홀을 통과하는 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맨홀 뚜껑(252)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망치 등으로 타격하거나 지나가는 자동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이 후보 맨홀로 이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물체를 떨어뜨려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드론이 맨홀 뚜껑(252)위에 착륙하여 드론에 부착된 진동발생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맨홀마다 진동발생장치를 미리 설치해 둘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확정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다.
경로 확정 서버(210)는 제어부(212), 통신부(214) 및 데이터베이스(216)를 포함한다.
통신부(214)는 다수의 음파탐지장치(2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맨홀의 진동을 수신할 수 있다.
음파탐지장치(220)는 레이저 빛을 특정 광코어에 입사시키고 해당 레이저 빛이 진행하면서 뒤로 산란/반사 되는 미세한 빛을 다시 수신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산란/반사 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한 맨홀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맨홀의 진동에 의해 광코어 경로를 확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광코어 경로 데이터베이스(216)를 현행화한다.
데이터베이스(216)는 경로 확정 서버(21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통신망 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경로 확정 서버의 제어부의 좀 더 자세한 구성도이다.
제어부(212)는 종단길이 판단모듈(2121), 진동분석 모듈(2122), 진동패턴 비교모듈(2123), 패턴비교 코어 추출모듈(2124), 경로예상 모듈(2125), 경로확정 판단 모듈(2126) 및 경로 현행화 모듈(2127)을 포함한다.
종단길이 판단모듈(2121)은 음파탐지장치(220)로부터 수신한 광전변환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탐색대상 광코어의 종단까지 거리를 계산한다. 레이저 빛의 입사 시점과 반사된 빛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광코어의 종단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다음 진동분석 모듈(2122)은 특정 시간 동안 음파탐지장치(22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맨홀에 진동이 전달 되었는지와, 진동이 전달되었으면 해당 진동이 발생한 맨홀까지의 거리를 분석하는 모듈이다.
진동패턴 비교모듈(2123)은 음파탐지장치(220)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진동패턴을 비교 분석하는 모듈이다.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광코어의 진동패턴과 이미 경로를 알고 있는 광코어의 진동패턴을 비교하여 유사한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진동패턴이 일치/유사하는 구간까지는 경로를 알고있는 광코어의 경로를 탐색하려는 광코어의 경로로 확정할 수 있는 것이다.
패턴비교 코어 추출모듈(2124)은 경로를 이미 알고 있는 광코어 중에서 탐색 대상 광코어와 경로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는 광코어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광코어 번호가 인접하면서 종단길이가 더 긴 광코어를 패턴비교 광코어로 추출할 수 있다.
경로예상 모듈(2125)은 탐색대상 광코어의 종단길이, 특정 맨홀에서의 진동 감지여부 및 거리, 경로 데이터베이스, 비교대상 코어와의 진동패턴 일치거리 등을 종합하여 탐색대상 광코어의 예상경로를 추출하고, 다음 진동을 판단할 맨홀을 결정하는 모듈이다.
도 5는 경로예상 모듈(2125)에서 다음 경로를 예상하기 위한 맨홀들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통신국사(100)에서 시작하여 맨홀의 진동을 판단하거나 인접 광코어와의 진동패턴 비교를 통해 광코어가 통과하는 맨홀들(131, 132, 133)을 판단한다.
탐색대상 광코어의 남은 광코어 길이(dkm)를 반경으로 하여 최종 확정한 맨홀(133)에서 연결될 수 있는 후보 맨홀들(141, 142, 143)을 추출하고, 진동 발생 명령을 전달한다.
이후 각 맨홀에서 진동을 수신하여 광코어가 어떤 맨홀을 통과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 후보맨홀(141)과 제3 후보맨홀(143)에서는 진동이 감지되지 않고 제2 후보맨홀(142)에서만 진동이 감지되었다면 광코어는 제2 후보맨홀(142)을 통과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후 제2 후보맨홀(142)에서 연결될 수 있는 다음 맨홀들을 후보로 추출하고 탐색대상 광코어 경로의 길이가 끝날때까지 이를 반복한다.
경로확정 판단 모듈(2126)은 광코어의 종단은 맨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광코어 종단까지 거리가 일정거리 미만으로 남았거나, 일정거리 이상이어도 종단까지의 거리에 따른 예상 경로가 하나밖에 없는 경우에 경로를 확정하고 탐색을 끝내는 모듈이다.
경로 현행화 모듈(2127)은 찾아낸 광코어의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광코어 경로 데이터베이스를 실제 광코어의 연결 상태와 일치시키는 모듈이다.
이러한 모듈들의 연결관계 및 탐색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한 운영자 UI 모듈(미도시)이 경로 확정 서버(21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광코어 경로 확정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탐색 대상 광코어의 번호를 UI를 통해 입력하면 이를 수신한다(S10). 음파탐지장치가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채널수에 따라 탐색 대상 광코어를 여러 개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 패턴 비교를 위한 광코어를 추출한다(S20).
경로 데이터베이스가 정확한 광코어를 추출하여 탐색 대상 광코어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광코어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될 수 있을 것이나 일 예로는 경로를 알고있는 광코어 중 탐색 대상 광코어보다 종단길이가 길면서 광코어 번호가 인접한 광코어를 패턴 비교를 위한 광코어로 추출할 수 있다.
패턴 비교를 위한 광코어 추출에 성공했는지 판단하여(S30), 패턴 비교를 위한 코어 추출에 실패하면 종단길이를 측정한다(S42).
경로를 찾기 위한 광코어의 광분배단자와 음파탐지장치의 광점퍼코드가 연결되어 있으면 종단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광코어의 종단길이는 광케이블에 레이저 빛을 입사시키고 반사되는 레이저 빛의 시간차를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패턴 비교를 위한 코어 추출에 성공하면 우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종단길이를 측정하고(S44), 진동패턴 비교를 통해 경로를 확정한다. 비교대상 광코어와 탐색 대상 광코어에서 수신한 진동패턴이 일치하는 지점까지는 경로가 같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진동패턴비교는 경로 확정 서버에서 음파탐지장치의 IP주소와 통신포트로 시작명령을 내리고 음파탐지장치에서 일정 시간동안 탐지한 진동 광신호를 광전변환하여 데이터화 하면 해당 데이터를 서버에서 다시 수신한 다음 데이터 파형 분석을 통해 광코어간 진동패턴 일치 거리를 분석한다.
이후 나머지 경로를 확정하기 위한 후보맨홀을 추출한다(S50).
패턴 비교를 위한 코어를 추출한 경우 확정된 경로 이후의 나머지 길이에 대한 경로를 확정해야 하고, 패턴비교 코어 추출에 실패한 경우 처음부터 후보맨홀들을 결정하여 경로를 확정해 나가야 한다.
후보 맨홀은 탐색 대상 광코어의 종단길이를 반경으로 인접한 맨홀들로 결정된다. 맨홀의 위치는 이미 운용중인 광코어 경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알아낼 수 있다.
후보 맨홀이 결정되면 후보 맨홀의 진동을 차례대로 수신한다(S60).
맨홀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망치로 맨홀을 타격하거나 자동차가 지나가면서 발생시키는 진동을 이용하거나 드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물체를 떨어뜨려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거나 드론을 맨홀 위에 착륙시켜 드론에 설치된 진동발생장치를 가동할 수 있을 것이다. 맨홀마다 진동발생장치를 설치해 둔다면 서버에서 후보 맨홀들에 진동발생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진동이 발생되면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하여 후보 맨홀에서 진동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0).
진동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후보맨홀을 추출하여(S50), 진동을 수신하는 단계(S60)를 경로가 확정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진동이 감지된 맨홀이 있으면 해당 맨홀까지 경로를 확정하고(S80), 확정된 맨홀을 중심으로 또 다시 후보 맨홀을 선정하여 진동 수신을 반복함으로써 광코어 끝까지 경로를 확정할 수 있다.
탐색대상 광코어의 종단에는 맨홀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마지막으로 확정된 맨홀에서 남은 광코어의 거리 이내에 맨홀이 없다면 다른 노드들을 탐색해야 한다. 노드는 맨홀, 전봇대, 광접속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서버는 가능한 모든 광케이블들의 경로를 구한 다음 탐색 대상 광코어의 남은 거리와 일치하는 경로로 광코어의 경로를 확정할 수 있다. 또는 최종 확정된 맨홀로부터 남은 종단거리까지의 길이가 일정거리(예컨대 300m)이하인 경우 최종 경로로 확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경로가 확정되면 이를 광코어 경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광코어 경로 확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음파탐지장치와 맨홀의 진동을 이용하여 미운용중인 광코어의 경로 데이터베이스를 올바르게 현행화 함으로써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은 서비스 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가입자들은 더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광코어 경로 확정 서버에 의해 수행되며, DAS(Distributed Acoustic Sensing)인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하는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에 있어서:
    경로를 찾으려는 광케이블 코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상기 음파탐지장치가 상기 광케이블 코어에서 입사되어 반사되는 레이저 빛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광케이블 코어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의 길이인 종단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종단길이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종단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반경으로 하는 범위 내에 위치한 맨홀들을 후보맨홀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후보맨홀의 뚜껑에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상기 광케이블 코어에서 입사되어 산란되는 레이저 빛을 상기 음파탐지장치가 측정함으로써 상기 광케이블 코어가 통과하는 맨홀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광케이블 코어가 통과하는 맨홀에 의해 확정된 경로를 광코어 경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맨홀의 뚜껑에 가해지는 진동은 상기 후보맨홀 위를 지나는 자동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맨홀의 뚜껑에 가해지는 진동은 상기 후보맨홀에 착륙한 드론에 설치된 진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경로를 찾으려는 광케이블 코어와 진동패턴이 유사한 인접한 다른 광케이블 코어를 검색하여 진동패턴이 유사한 맨홀까지의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패턴이 유사한 맨홀까지의 경로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진동패턴이 유사한 경로상에서 가입자쪽으로 가장 가까운 맨홀을 후보로 설정하여 진동을 수신한 다음 진동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진동패턴이 유사한 맨홀까지의 경로를 확정하는 것인,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패턴이 유사한 맨홀까지의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확정된 경로 이후 남은 광케이블 코어의 길이 부분을 반경으로 하는 범위 내에 위치한 맨홀들을 후보맨홀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KR1020200005244A 2020-01-15 2020-01-15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한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KR102374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44A KR102374930B1 (ko) 2020-01-15 2020-01-15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한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44A KR102374930B1 (ko) 2020-01-15 2020-01-15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한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36A KR20210091936A (ko) 2021-07-23
KR102374930B1 true KR102374930B1 (ko) 2022-03-15

Family

ID=7715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244A KR102374930B1 (ko) 2020-01-15 2020-01-15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한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2025B (zh) * 2022-01-24 2024-02-27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声波传输的光缆路由寻找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1349A (ja) * 2018-06-05 2019-12-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ァイバ経路探索方法、光ファイバ経路探索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045A (ja) * 1995-08-15 1997-02-25 Kyowa Exeo Corp 埋設管識別方法および装置
KR101744189B1 (ko) * 2015-11-14 2017-07-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Usn을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5413A (ko) * 2016-08-30 2018-03-09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드론을 이용한 대형 구조물 초음파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1349A (ja) * 2018-06-05 2019-12-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ァイバ経路探索方法、光ファイバ経路探索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36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2042B (zh) 光线路监视装置和光线路监视方法
Al-Quzwin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iber to the Home FTTH Access Network based on GPON
US9820017B2 (en) Subsea connector with data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768127B2 (en) Fiber optic virtual sensing system and method
CN113381804B (zh) 一种同缆概率检测的方法以及装置
US103204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covery of optical cable route
KR102374930B1 (ko) 음파탐지장치를 이용한 광코어 경로 확정 방법
CN109819352A (zh) 一种光纤数据处理系统架构及处理方法
CN102386971A (zh) 一种检测光纤故障的方法及装置
CN114465661A (zh) 故障定位方法、装置及系统
CN110347539A (zh) 应用于服务器的测试方法、装置、系统、计算设备、介质
JP5467080B2 (ja) 光線路心線判定装置およびその判定方法
CN113489616B (zh) 一种固网的评估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061254A (ko) 수동형 광가입자 망에서의 광선로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
JP5315269B2 (ja) 光設備判定システム及び判定方法
WO2023082774A1 (zh) 同路由检测方法和装置
US9735866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he supervision of optical fibres
JP2013003876A (ja) 敷設可能経路を考慮したケーブル敷設設計用のプログラム、装置及びシステム
Davim et al. CAPEX model for PON technology using single and cascaded splitter schemes
US6792079B1 (en) Remote access for cable locator system
CN111679313A (zh) 机械周期性震动激励确认电力光缆路由方法
KR101876538B1 (ko) 광선로의 감시 및 운용을 위한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합관리방법
Zhao et al. Field trail of shared risk optical fiber links detection based on OTDR and AI algorithm
KR20150000334A (ko)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CN102324971B (zh) 一种光模块和光程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