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904B1 -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 Google Patents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904B1
KR102374904B1 KR1020200000652A KR20200000652A KR102374904B1 KR 102374904 B1 KR102374904 B1 KR 102374904B1 KR 1020200000652 A KR1020200000652 A KR 1020200000652A KR 20200000652 A KR20200000652 A KR 20200000652A KR 102374904 B1 KR102374904 B1 KR 10237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rigid
guide structure
rigi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5663A (en
Inventor
청 시앙 훙
Original Assignee
청 시앙 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 시앙 훙 filed Critical 청 시앙 훙
Publication of KR2020008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 교정 브래킷을 위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셋업된 치아 모델의 대응하는 치아의 측면에 대한 치과 교정 브래킷의 위치를 결정 및 고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은 치과 교정 치료 이후 환자의 치열궁의 치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 단계;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의 외측면을 덮는 제1 부분 및 대응하는 치아의 교합면을 덮는 제2 부분을 갖는 강성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연결하여 해당 치과 교정 브래킷을 위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획득하기 위한 가요성 연결 구조(linking structure)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가요성이 아니며,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탄성이 있고 그 형태를 유지한다.A method of producing a positioning guide for an orthodontic bracket is provided.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and fixing a position of an orthodontic bracket with respect to a side of a corresponding tooth of a set-up dental model, wherein the set-up dental model represents the dentition stat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after orthodontic treatment; ; forming a rigid guide structure having a first portion covering an outer surface of each orthodontic bracket and a second portion covering an occlusal surface of a corresponding tooth;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to form a flexible linking structure for obtaining a positioning guide for the corresponding orthodontic bracket,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ing: It is not flexible, and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is resilient and retains its shape.

Figure R1020200000652
Figure R1020200000652

Description

치과 교정 브래킷의 간접 접합 방법{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s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Cross-referencing of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되고 있는, 2019년 1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2/788,232 호의 이익을 청구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62/788,232, filed January 4, 2019,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출원은 치과 교정 브래킷의 간접 접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의 각각의 치아에 치과 교정 브래킷을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direct bonding of orthodontic bracke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sitioning guide used for bonding orthodontic brackets to respective teeth of a patient.

치과 교정 치료에서, 치과 교정 브래킷은 보통, 각각의 치아에 개별적으로 접합되며, 하부 치열궁 또는 상부 치열궁에 인접하여 배치된 치과 교정 호선(archwire)이 치과 교정 브래킷을 치열궁에 연결하여 치과 교정 브래킷을 통해 치아에 힘을 유도함으로써, 치아가 사전 성형 형태의 치과 교정 호선과 정렬된다. 이상적인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치과 교정 브래킷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orthodontic treatment, orthodontic brackets are usually individually bonded to each tooth, and an orthodontic archwir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or upper arch connects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orthodontic arch to provide orthodontic treatment. By inducing force on the teeth through the bracket, the teeth are aligned with the pre-formed dental orthodontic line. It is very important to install the orthodontic bracket in an appropriate position to obtain an ideal treatment effect.

치과 교정 브래킷의 설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간접 접합 방법이라 불리우는 방법이 채용되어 왔다. 간접 접합 방법에서는, 치과 의사가 환자의 치열의 형상을 갖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제작한다. 이러한 위치설정용 가이드에 한 세트의 치과 교정 브래킷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환자가 준비되면, 치과 교정 브래킷의 접합면 및/또는 치아 표면에 접착제를 피복한다. 그리고,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하고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환자의 치아 위로 눌러준다. 이후, 치과 교정 브래킷이 치아 표면에 단단히 접합된 상태로 남아 있는 상태에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구강으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따라, 치과 교정 브래킷이 위치설정 가이드로부터 이전되어 치아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접합된다. 종래의 위치설정용 가이드는 통상, 가요성 폴리머 재료(예를 들어, EVA 수지)로만 형성되고 있다.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 method called an indirect bonding method has been employed. In the indirect bonding method, a dentist manufactures a positioning guide having the shape of a patient's teeth. A set of orthodontic brackets are releasably attached to this positioning guide. When the patient is ready, apply adhesive to the mating surfac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or the tooth surface. Then, the positioning guide is placed in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pressed onto the patient's teeth until the adhesive is hardened. Thereafter, the guide for positioning i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while the orthodontic bracket remains firmly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Accordingly, the orthodontic bracket is moved from the positioning guide and bonded to the desired position on the tooth surface. A conventional guide for positioning is usually formed only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eg, EVA resin).

기존의 간접 접합 방법들이 그 의도한 용도에 적합하였긴 하지만, 이들 방법이 모든 면에서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웠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치설정 가이드를 이전할 때 치과 교정 브래킷이 그 설치 위치를 쉽게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치과 교정 브래킷의 정밀하고 용이한 위치설정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된 간접 접합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Although the existing indirect bonding methods have been suitable for their intended use, these methods have not been entirely satisfactory in all respects.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ing guide is moved, a problem may arise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easily deviates from its installation posi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for facilitating precise and easy positioning of dental orthodontic brackets.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21235호(1999.08.17.)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21235 (Aug. 17, 1999)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셋업된 치아 모델의 대응하는 치아의 측면에 대한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의 위치를 결정 및 고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은 치과 교정 치료 이후 환자의 치열궁의 치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의 외측면의 일부를 덮는 제1 부분 및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의 상기 대응하는 치아의 교합면을 덮는 제2 부분을 갖는 강성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분리되어 있는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을 위한 상기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획득하기 위한 가요성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가요성이 아니며,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탄성이 있고 그 형태를 유지한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for producing a positioning guide used for bonding an orthodontic bracket to a patient's teeth. The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relative to the side of a corresponding tooth of a set-up dental model, wherein the set-up dental model represents the dentition stat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ncludes The method also includes forming a rigid guide structure having a first portion covering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 a second portion covering an occlusal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tooth of the set-up tooth model, the and wherei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are separate. The method also includes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to form a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for obtaining the positioning guide for the orthodontic bracket. The rigid guide structure is not flexible, and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is elastic and retains its shape.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2 부분은 제 2 부분의 다른 부위보다 두꺼운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개개의 위치설정용 가이드와 일체화된 복수 개의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을 치과 교정 치료 이전의 환자의 치열궁의 치열 상태를 복제한 원래의 치아 모델로 이전함으로써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분을 사용하여 다수의 인접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상기 손잡이부에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includes a handle portion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positioning guide unit by transferring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integrated with respective positioning guides to an original tooth model that replicates the dental stat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prior to orthodontic treatment. additionally include The method also includes engaging a plurality of adjacent positioning guides at the handle portion using at least one retaining portion.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분 및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at least one retaining portion and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 the same material.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광중합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 에너지로 상기 광중합성 재료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중합성 재료는 듀라레이(Duralay) 수지, 덴탈 트레이(dental tray) 수지 등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s a photopolymerizable material, and forming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s curing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with light energy.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includes a Duralay resin, a dental tray resin, and the like.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광중합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 에너지로 상기 광중합성 재료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중합성 재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등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comprises a photopolymerizable material, and forming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comprises curing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with light energy.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includes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and the like.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의 상기 대응하는 치아의 상기 측면에 형성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tooth of the set-up tooth model.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의 상기 대응하는 치아의, 상기 측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 2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추가로 연장된다.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상기 제 2 측면 상의 상기 제 2 부분에 형성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한다.In some embodiments, said second portion of said rigidity guide structure further extends to cover a portion of a second side opposite said side of said corresponding tooth of said set-up tooth model.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on the second side.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강성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강성 연결 구조는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보다 경질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forming a rigid connection structure disposed adjacent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to connec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is harder than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성 연결 구조와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 the sam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용 기기가 또한 제공된다. 상기 치과용 기기는, 치과 교정 브래킷 그리고 환자의 치아 상에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을 위치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은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면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설정용 가이드는 강성 가이드 구조와 가요성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서로 분리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접합면 반대측에 있는,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의 외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부분은 치아의 교합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가요성이 아니며,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가요성이고 탄성을 유지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ntal appliance is also provided. The dental appliance includes an orthodontic bracket and a positioning guide configured to position the orthodontic bracket on a patient's teeth. The orthodontic bracket has an abutment surface for attachment to teeth. The positioning guide includes a rigid guide structure and a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The rigid guide structure includ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portion is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rthodontic bracket opposite the abutment surface. The second portion has a shape coincident with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eeth.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The rigid guide structure is not flexible, and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is flexible and remains elastic.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2 부분은 제 2 부분의 다른 부위보다 두꺼운 손잡이부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includes a handle portion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기기는 복수 개의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과, 복수 개의 상기 위치설정용 가이드, 그리고 다수의 인접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상기 손잡이부에서 일체화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dental applian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retaining portion configured to integrate a plurality of the orthodontic brackets, a plurality of the positioning guides, and a plurality of adjacent positioning guides in the handle portion. include as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 및 예를 읽음으로써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간접 접합 방법의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치열궁의 원래의 치아 모델과 셋업된 치아 모델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브래킷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셋업된 치아 모델의 치아의 혀측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치과 교정 브래킷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강성 가이드 구조의 형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강성 가이드 구조의 두 개의 부분을 일체화하기 위한 가요성 연결 구조의 형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아의 혀측 표면 및 뺨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강성 가이드 구조의 두 개의 부분을 일체화하기 위한 강성 연결 구조의 형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수 개의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의 형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치과 교정 브래킷이 환자의 실제 치아에 접합된 이후 위치설정용 가이드가 제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fully understood by read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implified flowchart of an indirect bonding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2 is a schematic top view of an original dental model and a set up dental model of a patient's dental arch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orthodontic bracket bonded to the lingual surface of a tooth of the set-up tooth model of FIG. 2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formation of a rigid guide structure composed of two separate parts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6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a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for integrating two portions of a rigid guid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6A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formed on a lingual surface and a buccal surface of a tooth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7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a rigid connection structure for integrating two portions of a rigid guid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8 is a schematic top view showing the formation of several positioning guide unit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9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the positioning guide removed after the orthodontic bracket is bonded to the patient's actual teeth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이하의 개시는 본 발명의 상이한 특징부를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를 제공한다. 본 개시를 간소화하하기 위해 구성 요소 및 배열의 특정 예가 아래에 설명된다. 이러한 예는 물론, 단지 예시일 뿐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제 2 특징부의 위에 또는 제 2 특징부 상에 제 1 특징부를 형성하는 것은, 제 1 특징부와 제 2 특징부가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1 특징부와 제 2 특징부 사이에 추가의 특징부가 형성될 수도 있어 제 1 특징부와 제 2 특징부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는 실시예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The following disclosure provides a number of different embodiments or examples for implementing different features of the invention. Specific examples of components and arrangements are described below to streamline the present disclosure. These examples are, of course, illustrative only and not intended to be limiting. For example, in the description below, forming a first feature over or on a second feature may include embodiments in which the first feature and the second feature are formed in direct contact, Additional features may also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s, including embodiment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eatures may not be in direct contact.

또한, 본 개시는 다양한 예에서 도면 부호 및/또는 문자를 반복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반복은 간소화 및 명료성을 위한 것이며, 그 자체가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구성 사이의 관계를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간소화 및 명료성을 위해 다양한 특징부가 임의로 상이한 스케일로 도시될 수도 있다.Also, in the present disclosure, reference numerals and/or letters may be repeatedly used in various examples. This repetition is for the purpose of simplicity and clarity, and in itself does not indicate a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embodiments and/or configurations discussed. Various features may be arbitrarily drawn to different scales for simplicity and clarity.

또한, "밑에(beneath)", "아래에(below)", 하부(lower)", "위에(above)", "상부(upper)"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요소 또는 특징부의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도록 본 명세서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에 추가하여, 사용 시 또는 작동 시의 장치의 상이한 배향을 포함하기 위한 의도로 사용된 것이다. 장치가 그 외 다른 방식으로 배향(90° 회전되거나 다른 상태로 배향)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기술어들은 그에 따라 해석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upper",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may also b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one element or feature to another element(s) or feature(s) as shown in a figure.These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figure. As such, it is intended to encompass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in use or operation. The device may be otherwise oriented (rotated 90° or otherwise oriented), and as used herein Spatially relative descriptor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ly.

아래에 설명된 방법의 실시 이전에, 실시 동안에 그리고 실시 이후에 추가의 단계가 제공될 수 있으며, 설명된 단계 중 일부가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대체되거나 제외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dditional steps may be provid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actice of the methods described below, and that some of the described steps may be substituted or exclude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methods.

개선된 치과 교정 브래킷의 간접 접합 방법의 실시예가 제공된다. 이하의 실시예는 특히, 환자의 각각의 치아 상에서의 치과 교정 브래킷의 위치설정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간접 접합 방법은 치과 교정 브래킷의 정밀하고 용이한 위치설정을 촉진한다. 그 외 다른 장점이 후술될 것이다. 실시예의 일부 변형예가 설명된다. 다양한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예 전체에 걸쳐 공통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An improved embodiment of a method for indirect bonding of an orthodontic bracket is provided. The following embodiment relates in particular to an improved method of producing a positioning guide used to aid in positioning of an orthodontic bracket on each tooth of a patient. The improved method of indirect bonding facilitates precise and easy positioning of the orthodontic bracket. Other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Some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describe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mon elements throughout the various figures and exemplary embodiments.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간접 접합 방법(10)의 간단한 흐름도이다. 예시를 위해, 흐름도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상이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단계 중 일부가 대체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실시예에서, 일부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1 is a simplified flowchart of an indirect bonding method 10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 flowchart will be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shown in FIGS. 2 to 9 . In different embodiments, some of the described steps may be substituted or excluded. Optionally, in different embodiments, some steps may be added.

간접 접합 방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열궁(예를 들어, 하부 치열궁 또는 상부 치열궁)의 원래의 치아 모델(M1)과 셋업 치아 모델(또는 원하는 치아 모델)(M2)이 제공되는 단계(S1)로 시작된다. 원래의 치아 모델(M1)은 치과 교정 치료 이전의 환자의 치열궁의 치열 상태를 복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치과의사는 환자의 치열궁의 인상(impression)을 채득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인상을 스캔할 수도 있으며, 또는 환자 구강의 구강내부를 직접 스캔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기술(예를 들어, 석고 성형)을 사용하여 상기 인상 또는 구강내 스캔 영상으로부터 원래의 치아 모델(M1)이 제조된다. 셋업된 치아 모델(M2)은 치과 교정 치료 이후의 환자의 치열궁의 원하는 치열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셋업된 치아 모델(M2)은, 원래의 치아 모델(M1)의 각각의 치아를 원하는 배향 또는 위치(즉, 치과 교정 치료 이후의 배향 또는 위치)로 수작업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원래의 치아 모델(M1)로부터 파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지털 방식의 셋업된 치아 모델이 컴퓨터 시뮬레이션 접근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셋업된 치아 모델(M2)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기술(예를 들어, 석고 성형)을 사용하여 디지털 모델로부터 제조된다.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as shown in FIG. 2 , includes an original tooth model M1 and a set-up tooth model (or a desired tooth model) of a patient's dental arch (eg, lower or upper dental arch). ) begins with step S1 in which M2 is provided. The original tooth model M1 is a replica of the dental stat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For example, the dentist may take an impression of the patient's dental arch and digitally scan the impression, or may directly scan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Then, an original tooth model M1 is manufactured from the impression or intraoral scan image using a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art (eg, plaster molding). The set-up tooth model M2 represents the desired dental stat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after orthodontic treatment. For example, the set-up tooth model M2 may be originally It can be derived from the tooth model M1 of Optionally, a digitally set-up tooth model can be generated by a computer simulation approach, and the set-up tooth model (M2) is manufactured from the digital model using techniques well known in the art (e.g., gypsum molding). do.

원하는 치열 상태를 갖춘 셋업된 치아 모델(M2) 상에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 이후, 실제의 치과 교정 치료 이전에 치과 교정 브래킷이 환자의 실제 치아로 이전되어 설치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치과 교정 브래킷의 설치 위치가 이상적이 된다. 이러한 원하는 치열 상태를 갖춘 셋업된 치아 모델(M2)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의 간접 접합 방법(10)에 의해,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사용하여, 환자의 실제 치아에 대해 셋업된 치아 모델(M2) 상에 결정된 치과 교정 브래킷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Each orthodontic treatment is placed on the set-up tooth model M2 with the desired dental condition. After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racket, the orthodontic bracket is installed before the actual orthodontic treat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mplant is transferred to the patient's actual teeth. Ther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becomes ideal. A set-up tooth model M2 with such a desired dentition state can be used, since, by 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using a guide for positioning, it is attached to the patient's actual teeth.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uplic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determined on the tooth model M2 set up for this purpose.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 모델(들)에 치과 교정 브래킷을 위치설정하기 이전에 셋업된 치아 모델(M2) 및/또는 원래의 치아 모델(M1)에 분리재(separating material)가 도포된다. 분리재는 치아 모델(들)로부터의 치과 교정 브래킷 및 (후술할) 다른 일체화된 구성 요소의 제거를 돕는다. 분리재의 도포는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논의하지 않기로 한다.In some embodiments, a separat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set-up tooth model M2 and/or the original tooth model M1 prior to positioning the orthodontic bracket on the tooth model(s). The separator aids in the removal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 other integral components (discussed below) from the tooth model(s). Application of the separator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is therefore not discussed here.

간접 접합 방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간소화를 위해 도 2에는 치과 교정 브래킷이 도시되어 있지 않음), 한 세트의 치과 교정 브래킷과 정합된 치과 교정 호선(W)이 셋업된 치아 모델(M2) 상에 설치되는 단계(S2)로 진행된다. 치과 교정 호선(W)은 지지부를 통해 셋업된 치아 모델(M2) 상의 적소에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후속하는 실제의 치과 교정 치료를 위해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이 환자의 각각의 치아의 혀측 표면에 접합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교정 호선(W)은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혀측(M21)에 배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 후속하는 실제의 치과 교정 치료를 위해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이 환자의 각각의 치아의 뺨측 표면에 접합될 경우, 치과 교정 호선(W)은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뺨측(M22)에 배치된다. 치과 교정 호선(W)은 탄성적이며(예를 들어, 형상 기억 합금(SMA) 또는 다른 이용 가능한 금속 재료로 제조되며), 셋업된 치아 모델(M2)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치과 교정 브래킷을 고정된 치과 교정 호선(W)과 정합시킴으로써 치과 교정 브래킷의 위치가 결정된다.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is, as shown in FIG. 2 (orthodontic bracket not shown in FIG. 2 for simplicity), an orthodontic arc line W matched with a set of orthodontic brackets is set up. It proceeds to the step (S2) installed on the tooth model (M2). Dental   orthodontic line (W) can be fixed in place on the   tooth model (M2) set up through the support. In some cases, when each orthodontic bracket is joined to the lingual surface of each tooth of the patient for subsequent actual orthodontic treatment, as shown in FIG. It is placed on the lingual side M21 of the model M2. Although not shown, in some cases, when each orthodontic bracket is joined to the cheek-side surface of each tooth of the patient for subsequent actual orthodontic treatment, the orthodontic line W is connected to the set-up tooth model M2. It is placed on the cheek side (M22) of The orthodontic wire W is resilient (eg, made of shape memory alloy (SMA) or other available metallic material) and is shaped to conform to the set-up tooth model M2. The posi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is determined by mat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with the fixed orthodontic wire (W).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브래킷(B)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교정 브래킷(B)은 치과 교정 호선(W)(간소화를 위해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중앙의 종 방향 홈(12)을 구비한 본체(11)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선 묶음 홈(16)을 획정하는 상부 타이 윙(tie wing) 및 하부 타이 윙(14)을 추가로 구비한다. 브래킷 기부(18)가 본체(11)와 일체화되어 있으며 환자의 치아의 치아 표면(예를 들어, 혀측 표면 또는 뺨측 표면)에 치과 교정 브래킷(B)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면(20)을 구비한다. 단계(S2)에서 치과 교정 호선(W)이 셋업된 치아 모델(M2)에 설치되는 동안,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접합면(20)은 접합될,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대응하는 치아의 치아 표면(예를 들어, 혀측 표면 또는 뺨측 표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도 4 참조). 위에 언급한 치과 교정 브래킷(B)은 단지 예시적인 일예로서, 다른 유형 또는 다른 형상의 치과 교정 브래킷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치과 교정 브래킷(B)은 세라믹, 금속 또는 다른 이용 가능한 재료(예를 들어, 폴리 카보네이트)로 제조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B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B) used includes a body 11 having a central longitudinal groove 12 for receiving an orthodontic arc W (not shown in FIG. 3 for simplicity). include The body 11 further has an upper tie wing and a lower tie wing 14 defining a wire bundle groove 16 . The bracket base 18 is integral with the body 11 and has an abutment surface 20 for bonding the orthodontic bracket B to a tooth surface (eg, a lingual surface or a buccal surface) of a patient's teeth. . While the orthodontic line W is installed on the set-up tooth model M2 in step S2, the abutment surface 20 of each orthodontic bracket B is to be joined, of the set-up tooth model M2. It is placed opposite the tooth surface (eg, the lingual surface or the buccal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tooth (see FIG. 4 ). The above-mentioned dental orthodontic bracket (B) is merely an exemplary example, and other types or other-shaped dental orthodontic brackets may also be used. The orthodontic bracket B may be made of or include ceramic, metal or other available material (eg polycarbonate).

간접 접합 방법(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접합면(20)과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대응하는 치아(T)의 치아 표면(예를 들어, 혀측 표면(T1)) 사이의 공간이 패드 재료(30)로 충전되는 단계(S3)로 진행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접합면(20)에 대한 패드 재료(30)의 접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패드 재료(30)를 형성하기 이전에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접합면(20)이 프라이머 층(primer layer)(32)으로 피복된다. 프라이머 층(32)은 다음 단계 이전에 화학 경화 과정, 광 경화 과정 또는 이중 경화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is, as shown in FIG. 4, the abutment surface 20 of each orthodontic bracket B and the tooth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tooth T of the set-up tooth model M2 (eg For exampl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 in which the space between the lingual surfaces T1) is filled with the pad material 30 . In some embodiments, in order to promote adhesion of the pad material 30 to the abutment surface 20 , the bonding surface 20 of the orthodontic bracket B is coated with a primer layer prior to forming the pad material 30 . (primer layer) 32 . The primer layer 32 may be subjected to a chemical curing process, a light curing process or a dual curing process before the next step.

피복된 프라이머 층(32)이 경화된 이후, 패드 재료(30)가 프라이머 층(32) 위에 피복되어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B)과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대응하는 치아(T) 사이의 공간을 충전한다. 이어서, 피복된 패드 재료(30)가 경화되어, 사전에 분리재가 피복된, 대응하는 치아(T)의 치아 표면에 치과 교정 브래킷(B)이 임시로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셋업된 치아 모델(M2) 상에서의(뿐만 아니라 환자의 실제 치아 상에서의)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설치 위치가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 교정 브래킷(B)이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치아에 접합된 이후, 치과 교정 호선(W)이 제거된다.After the coated primer layer 32 is cured, the pad material 30 is coated over the primer layer 32 between each orthodontic bracket B and the corresponding tooth T of the set-up tooth model M2. fill the space of Then, the coated pad material 30 is hardened, and the orthodontic bracket B is temporarily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tooth T, previously coated with a separating material. In this wa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orthodontic bracket B on the set-up tooth model M2 (as well as on the patient's actual teeth) is determined. In some embodiments, after the orthodontic bracket (B) is joined to the teeth of the set-up tooth model (M2), the orthodontic arc line (W) is removed.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라이머 층(32)과 패드 재료(30)는 하나 이상의 치과용 복원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치과용 복원 재료는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예를 들어, 에톡시화 비스페놀 에이 디메타크릴레이트(EBPAD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DMA))와 같은 광중합성 수지;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캠포퀴논(CQ)]; 중합 촉진제(예를 들어, 에틸 4-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EDMAB)); 충전제 입자(예를 들어, 실리카 및 유리); 그리고 첨가제(예를 들어, 청색광 흡수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등)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글래스-아이오노머(glass-ionomer) 재료(일반적으로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인 실리케이트 유리 분말과 폴리알켄산의 반응에 기초함)가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광중합성 수지와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접합면과 치아 표면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기 위하여, 패드 재료(30)는 프라이머 층(32)보다 높은 점성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머 층(32)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rimer layer 32 and the pad material 30 are formed of one or more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Such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are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acrylate resins or methacrylate resins (eg, ethoxylated bisphenol A dimethacrylate (EBPADMA); urethane dimethacrylate (UDMA) and triethylene glycol). photopolymerizable resins such as dimethacrylate (TEGDMA); polymerization initiators [eg, camphorquinone (CQ)]; polymerization accelerators (eg, ethyl 4-dimethylamino benzoate (EDMAB)); filler particles (eg, silica and glass); and additives (eg, blue light absorbers or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plasticizers, etc.). Optionally, a glass-ionomer material (based on the reaction of polyalkenic acid with silicate glass powder, which is usually a fluoroaluminosilicat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hotopolymerizable resins. there is. In some embodiments, in order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mating surface and the tooth surface, the pad material 30 has a higher viscosity than the primer layer 32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imer layer 32 may also be omitted.

간접 접합 방법(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분리된 부분(즉,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부분)으로 구성된 강성 가이드 구조(40)가 형성되는 단계(S4)로 진행된다. 강성 가이드 구조(40)는 치과 교정 브래킷(B)을 환자의 실제 치아로 이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개시에 제공된 위치설정용 가이드(PG)(도 6 참조)의 일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강성 가이드 구조((rigid guiding structure)"는, 구조가 가요성이 아니며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이전 중에 변형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proceeds to a step S4 in which a rigid guide structure 40 composed of two separate parts (ie, a part having a gap between each other) is formed, as shown in FIG. 5 . do.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is a portion of the positioning guide PG (see FIG. 6 ) provi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used to transfer the orthodontic bracket B to the patient's actual teeth. As used herein, the term “rigid guiding structure” denotes that the structure is not flexible and does not deform during the transfer of the orthodontic bracket (B).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강성 가이드 구조(40)는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일부 또는 전체 외측면(21)(도 3을 또한 참조)에 끼워져 덮고 있는 제 1 부분(41)을 포함하며, 외측면(21)은 접합면(20)과 반대측이다. 형성된 강성 가이드 구조(40)는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대응하는 치아(T)의 교합면(T2)에 끼워져 교합면을 덮고 있는 제 2 부분(42)을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분(42)은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치아(T)의 반대측 치아 표면(예를 들어, 뺨측 표면(T3))의 일부를 덮도록 추가로 연장된다. 위의 구성에 의해, 추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교합면을 덮도록 환자의 각각의 치아에 제 2 부분(42)을 단지 끼우는 방식으로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B)이 환자의 각각의 실제 치아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5 , the formed rigid guide structure 40 is fitted to and covering a portion or the entire outer surface 21 of the orthodontic bracket B (see also FIG. 3 ). It comprises a portion 41 , the outer surface 21 being opposite to the abutment surface 20 . The formed rigidity guide structure 40 further includes a second portion 42 fitted to the occlusal surface T2 of the corresponding tooth T of the set-up tooth model M2 and covering the occlusal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part 42 is a part of the tooth surface opposite to the tooth T of the set-up tooth model M2 (eg, the cheek surface T3). It is further extended to cover.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each orthodontic bracket B is secured to each actual tooth of the patient in such a way that only the second portion 42 is fitted to each tooth of the patient so as to cover the occlusal surface, as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It can be installed precisely on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제 2 부분(42)은 제 2 부분(42)의 다른 부위보다 두꺼운 손잡이부(421)를 추가로 구비한다. 손잡이부(421)는, 추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인접한 강성 가이드 구조(40)를 연결하기에 편리한 영역을 제공하도록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421)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 한, 다른 단면 형상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portion 42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further includes a handle portion 421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42 . The handle portion 421 is formed as an extens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to facilitate manipulation and provide a convenient area for connecting adjacent rigid guide structures 40, as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In some embodiments, the handle portion 421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However, other cross-sectional shapes may also be used as long as 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 be achieved.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강성 가이드 구조(40)는 듀라레이(Duralay) 수지, 덴탈 트레이(dental tray) 수지 또는 다른 이용 가능한 광중합성 수지와 같은 광중합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한다. 강성 가이드 구조(40)를 형성하기 위해, 액체 상태의 광중합성 재료가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외측면(21)과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대응하는 치아(T)의 교합면(T2)에 (예를 들어, 주사 주입 방법에 의해) 도포된다. 이어서, 광중합성 재료는 적절한 광 에너지에 의해 경화된다. 이에 따라,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기계적 접합 및 화학적 접합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강성 가이드 구조(4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유색일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is formed of or comprises a photopolymerizable material such as Duralay resin, dental tray resin, or other available photopolymerizable resins. In order to form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a photopolymerizable material in a liquid state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21 of the orthodontic bracket B and the occlusal surface T2 of the corresponding tooth T of the set-up tooth model M2. ) (eg, by injection injection method). Then,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is cured by a suitable light energy. Accordingly, both mechanical bonding and chemical bonding of the rigidity guide structure 40 can be achieved. In some examples,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may be transparent, translucent, or colored.

간접 접합 방법(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 구조(50)가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제 1 부분(41)과 제 2 부분(42)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단계(S5)로 진행된다.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또한, 환자의 실제 치아에 치과 교정 브래킷(B)을 이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개시에 제공된 위치설정용 가이드(PG)의 일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가요성 연결 구조(flexible linking structure)"는, 구조가 가요성이며 탄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예를 들어,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압력을 받아 굴곡되거나 변형될 수도 있으며, 압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이것은, 추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형성된 위치설정용 가이드(PG)가 치과 교정 브래킷(B)으로부터 추후 제거되는 것을 돕는다.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includes a step in which, as shown in FIG. 6 , a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is formed to connect the first portion 41 and the second portion 42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 It proceeds to (S5).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is also part of the positioning guide PG provi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used to transfer the orthodontic bracket B to the actual teeth of the patient. As used herein, the term "flexible linking structure"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is flexible and remains elastic (eg, flexible linking structure 50 may be bent or deformed under pressure). It may als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is helps the formed positioning guide PG to be later removed from the orthodontic bracket B, as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치과 교정 브래킷(B)과 접합된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치아(T)의 치아 표면[예를 들어, 혀측 표면(T1)] 상에 형성되어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제 1 부분(41) 및 제 2 부분(42)과 일체화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속하여 형성되는 가요성 연결 구조(50)가 패드 재료(30)와 일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요성 연결 구조(50)를 형성하기 이전에 배리어 층(barrier layer)(52)(도 6 참조)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 층(52)은 분리를 보장하기 위해 치과용 왁스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6 ,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for example, , formed on the lingual surface T1] and integrated with the first portion 41 and the second portion 42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 In some embodiments, to prevent the subsequently formed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from being integrated with the pad material 30 , a barrier layer ( 52) (see Fig. 6) is formed in advance. Barrier layer 52 may be formed of or include dental wax or silicone to ensure separation.

일부 대안 실시예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셋업 치아 모델(M2)의 치아(T)의 반대측 치아 표면[예를 들어, 뺨측 표면(T3)] 상의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제 2 부분(42)의 일 영역에 형성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한다. 즉,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치과 교정 브래킷(B)에 접합된 치아 표면 외에, 치과 교정 브래킷(B)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반대측 치아 표면과도 접촉하여 이에 맞춰지도록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환자의 실제 치아에 대한 장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위치설정용 가이드가 적절한 위치에서 굴곡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6A ,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is set-up teeth of model M2 on the tooth surface opposite the tooth T (eg, the cheek surface T3). A portion formed in one region of the second portion 42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is further provided. That is,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is formed to contact and fit the tooth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orthodontic bracket B is not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oth surface join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B.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enables the positioning guide to be bent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facilitate the mounting and removal of the patient's actual teeth.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다른 이용 가능한 광중합성 수지와 같은 광중합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한다. 가요성 연결 구조(50)를 형성하기 위하여, 액체 상태의 광중합성 재료가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제 1 부분(41)과 제 2 부분(42) 사이의 간극 및/또는 제 2 부분(42)의 사전에 형성된 오목부(도 6a 참조)에 (예를 들어, 주사 주입 방식에 의해) 도포된다. 이어서, 광중합성 재료가 적절한 광 에너지에 의해 경화된다. 이에 따라, 가요성 연결 구조(50)의 기계적 접합 및 화학적 접합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유색일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is formed of or comprises a photopolymerizable material such as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or other available photopolymerizable resins. To form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50 , a photopolymerizable material in a liquid state is applied to the gap between the first part 41 and the second part 42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and/or the second part 42 ) is applied (eg, by injection injection method) to the pre-formed recess (see Fig. 6a).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is then cured by suitable light energy. Accordingly, both mechanical bonding and chemical bonding of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may be performed. In some examples,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may be transparent, translucent, or colored.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 구조(50)가 형성된 이후, 형성된 위치설정용 가이드(PG)의 구조적 완전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강성 연결 구조(54)가 가요성 연결 구조(50)에 인접하여 추가로 형성되어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제 1 부분(41)과 제 2 부분(42)을 연결한다. 강성 연결 구조(54)가 가요성 연결 구조(50)보다 경질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성 연결 구조(54)와 강성 가이드 구조(40)는 동일한 재료(예를 들어, 듀라레이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강성 연결 구조(54) 및 강성 가이드 구조(40)는 유사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이 중 하나는 듀라레이 수지를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덴탈 트레이 수지를 포함한다). 강성 연결 구조(54)가 가요성 연결 구조(50)와 제 1 부분(41) 및 제 2 부분(42)의 일부 위에 도포된 이후, 강성 연결 구조가 적절한 광 에너지에 의해 경화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7 , after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is formed,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54 is flexible to improve the structural integrity and strength of the formed positioning guide PG. It is further formed adjacent to the sexual connection structure 50 to connect the first portion 41 and the second portion 42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54 may be harder than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 For example,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54 and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eg, Duraray resin). Optionally,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54 and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may comprise similar materials (eg, one comprising Duraray resin and the other comprising dental tray resin). After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54 is applied over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and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41 and the second portion 42,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is cured by suitable light energy.

이상의 작업들을 통해, 두 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구성된 강성 가이드 구조(40) 및 가요성 연결 구조(50)를 적어도 포함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PG)(도 6 내지 도 8 참조)가, 셋업된 치아 모델(M2)에 임시로 접합된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B)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다.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각각의 치아(T)의 치아 표면이 사전에 분리재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치과 교정 브래킷(B) 및 일체화된 위치설정용 가이드(PG)[뿐만 아니라 일체화된 패드 재료(30)]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operations, the positioning guide PG including at least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and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50 composed of two separate parts ( FIGS. 6 to 8 ) reference) is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each orthodontic bracket B temporarily joined to the set-up tooth model M2. Since the tooth surface of each tooth T of the set-up tooth model M2 has been previously coated with a separating material, the individual orthodontic bracket B and the integrated positioning guide PG [as well as the integrated pad material 30] can be easily removed.

간접 접합 방법(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한된 시야각으로 인해 치과 교정 브래킷은 도시하지 않음), 개별 치과 교정 브래킷 및 일체화된 위치설정용 가이드(PG)가 단계(S1)에서 취득한 원래의 치아 모델(M1)로 이전되는 단계(S6)로 진행된다.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 및 일체화된 위치설정용 가이드(PG)는 셋업된 치아 모델(M2)의 치아 상에서의 배치와 유사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치아 모델(M1)의 치아 상에 배치되거나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이어서, 수 개의 인접하는 개별 위치설정용 가이드(PG)가 유지 부분(60)을 사용하여 제 2 부분(42)의 손잡이부(421)에서 결합되어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PG')을 형성한다. 유지 부분(60)은 전술한 강성 가이드 구조(40)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뒤틀림이나 온도 변화 없이 취급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고밀도의 정확하며 비수축성인 재료가 또한, 유지 부분(60)뿐만 아니라 강성 가이드 구조(40) 및 강성 연결 구조(54)에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연결 구조(50)의 경우, 성형 후 휘어짐 및 제거 후 뒤틀림 없이 치아 모델의 형상에 맞춰지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고강도 및 고탄성의 내구성이 높은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In 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as shown in FIG. 8 (orthodontic bracket not shown due to the limited viewing angle), the individual orthodontic bracket and the integrated positioning guide PG are obtained in step S1. It proceeds to step S6 of transferring to the original tooth model M1. Each of the orthodontic brackets and the integrated positioning guides PG are placed on the original tooth mode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in a manner similar to the placement of the set-up tooth model M2 on the teeth. It may be placed or positioned on the teeth of M1). Then, several adjacent individual positioning guides PG are joined at the handle portion 421 of the second part 42 using the holding part 60 to form the positioning guide unit PG'. . The retaining portion 60 may comprise the same material as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described above, but any other suitable, dense, accurate, non-shrinkable material that can be handled without warping or temperature changes may also include the retaining portion. 60 as well as rigid guide structures 40 and rigid connection structures 54 . For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any other suitable high strength and high elasticity durable material that fits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without bending after molding and distortion after removal may also be used.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PG')이 형성되며, 이중 한 개는 원래의 치아 모델(M1)의 수 개의 앞니를 덮으며, 다른 한 개는 수 개의 좌측 치아를 덮으며, 다른 한 개는 수 개의 우측 치아를 덮는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임의의 개수의 위치설정용 가이드(PG)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PG')이 또한 원하는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원래의 치아 모델((M1)의 각각의 치아의 치아 표면은 또한,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PG') 및 일체화된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사전에 분리재로 피복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8 , three positioning guide units PG′ are formed, one of which covers several incisors of the original tooth model M1, and the other Dogs cover several left teeth, and the other covers several right teet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one or more positioning guide units PG' each composed of any number of positioning guides PG may also be formed as desired. The tooth surface of each tooth of the original tooth model M1 is also coated with a separator in advance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positioning guide unit PG' and the integrated orthodontic bracket B.

간접 접합 방법(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PG') 및 일체화된 치과 교정 브래킷(B)이 접합을 위해 환자의 대응하는 치열궁의 실제 치아(AT)로 이전되는 단계(S7)로 진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면을 덥도록 환자의 각각의 실제 치아(AT)에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제 2 부분(42)을 단지 끼우는 방식으로 환자의 실제 치아(AT)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환자의 실제 치아로 이전될 때 위치설정용 가이드(PG) 및 일체화된 치과 교정 브래킷(B)의 형상 및 배향이 [강성 가이드 구조(40)의 강성으로 인해] 유지됨으로써, 정밀한 위치설정이 제공된다. 더욱이, 각각의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PG')은, 환자의 치열 상태를 복제한 원래의 치아 모델(M1)의 다수의 인접한 치아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한 세트의 치과 교정 브래킷(B)을 환자의 대응하는 실제 치아(AT)로 이전할 때 더 높은 위치설정 정확도를 유지한다. 각각의 치과 교정 브래킷(B)의 접합면(20) 및/또는 대응하는 실제 치아(AT)의 치아 표면[예를 들어, 혀측 표면(T1)] 상의 패드 재료(30)는 사전에 접합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로 피복되어 있다.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is, as shown in FIG. 9 , an individual positioning guide unit PG' and an integrated orthodontic bracket B for bonding the actual teeth AT of the patient's corresponding dental arch. It proceeds to the step (S7) transferred to. As described above. Each orthodontic bracket B only fits the second portion 42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to each actual tooth AT of the patient to cover the occlusal surface, as shown in FIG. 9 . It can be accurately installed on the patient's actual teeth (AT). The shape and orientation of the positioning guide PG and the integrated orthodontic bracket B are maintained (due to the rigidity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when transferred to the patient's actual teeth, thereby providing precise positioning. . Furthermore, since each positioning guide unit PG' is formed to fit into a plurality of adjacent teeth of the original tooth model M1 replicating the state of the patient's teeth, a set of orthodontic brackets B Higher positioning accuracy is maintained when transferring the   to the corresponding real tooth (AT) of the patient. The pad material 30 on the abutment surface 20 of each orthodontic bracket B and/or the tooth surface (eg lingual surface T1) of the corresponding actual tooth AT is previously applied with a bonding adhesive ( not shown) is covered.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사용하여 치아 모델로부터 치열 상으로 소정의 브래킷 위치를 이전하는 방법에서는 위치 정확도를 유지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위치 정확도 측면에서 보면, 교합측으로부터 치은측 방향에서의 위치가 근심측으로부터 원심측 방향에서의 위치보다 용이하게 유지된다. 설측 브래킷의 경우, 빡빡한 치열의 인접 치아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치열 상으로 적절하게 안착시키기 위해 해결되어야만 할 새로운 언더컷(undercut)을 야기한다. 위치설정용 가이드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단일 구조인 경우, 위치설정용 가이드는 빡빡한 인접 치아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근심측으로부터 원심측 방향으로 신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장된 위치설정용 가이드가 그 형태를 완전히 회복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정확도를 상실할 수도 있다. 근심측으로부터 원심측 방향으로의 위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성 가이드 구조와, 강성 연결 구조 그리고 인접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유지하는 유지 부분을 한 개의 유닛으로 연결하는 강성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신장을 최소화한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을 사용하도록 치열 섹션이 신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위치설정용 가이드(PG)가 실제 치아(AT) 상에 위치설정되면, 인접한 위치설정용 가이드(PG)에 연결된 강성 가이드 구조(40), 강성 연결 구조(54) 및 유지 부분(60)이 함께, 근심측으로부터 원심측 방향에서의 실제 치아(AT) 상의 일체화된 치과 교정 브래킷(B)의 배치에 대한 위치 정확도를 유지함으로써, EVA 또는 다른 가요성 재료를 전체 구조에 전적으로 또는 주로 사용하는 종래의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능가하는 개선을 제공한다.In a method of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bracket position from a tooth model onto an dentition using a positioning guide, a problem of maintaining positional accuracy must be solved. In terms of positioning accuracy, the position in the gingival direction from the occlusal side is more easily maintained than the position in the distal direction from the mesial side. In the case of lingual brackets, adjacent teeth in a tight dentition result in new undercuts that must be addressed in order to properly seat the positioning guide onto the dentition. When the positioning guide has a single structur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positioning guide should mainly extend from the mesial to the distal direction in order to resolve the tight adjacent teeth. However, the elongated guide for positioning may not fully recover its shape, and accordingly, the positioning accuracy may be lost. In order to maintain positional accuracy from the mesial side to the distal si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a rigid guide structure, a rigid connection structure, and a rigid structure connecting the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adjacent positioning guide as a single unit. provides Also, the dentition section can be carefully selected to use a guide unit for positioning with minimal elongation. More specifically, when one positioning guide PG is positioned on the real tooth AT,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connected to the adjacent positioning guide PG,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54, and holding The parts 60 together maintain positional accuracy with respect to the placement of the integrated orthodontic bracket B on the actual teeth AT in the mesial to distal direction, so that EVA or other flexible material is entirely incorporated into the overall structure. Alternatively, it provides an improvement over the conventional positioning guides used primarily.

접합 접착제를 통해 대응하는 실제 치아(AT)에 치과 교정 브래킷(B)을 접합 한 이후, (도 9에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용 가이드(PG)/위치 설정 가이드 유닛(PG')이 치과 교정 브래킷(B)과 실제 치아(AT)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용이하게 깨끗이 제거될 수 있다. 가요성 연결 구조(50)는 그 가요성 및 탄성에 의해 위치설정용 가이드(PG)/위치설정 가이드 유닛(PG')의 제거를 돕는다. 반면에, 강성을 나타내는 강성 가이드 구조(40)는 치과 교정 브래킷(B)과 실제 치아(AT) 상에 남아있을 가능성이 적다. 특히 연장된 손잡이부(421)를 구비한 위치설정용 가이드(PG)의 형상은 취급 및 조작이 더 용이해진다.After bonding the orthodontic bracket (B) to the corresponding real tooth (AT) via bonding adhesive, positioning guide (PG)/positioning guide unit (PG')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9) This can be easily and cleanly remov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orthodontic bracket (B) and the actual teeth (AT).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50 assists in the removal of the positioning guide PG/positioning guide guide unit PG' by virtue of its flexibility and elasticity. On the other hand, the rigid guide structure 40 exhibiting rigidity is less likely to remain on the orthodontic bracket B and the actual teeth AT.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positioning guide PG with the extended handle portion 421 makes handling and operation easier.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설정 가이드(PG)들이 연결되어 있는 전체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PG')이 전체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지 부분(60)을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위치설정용 가이드(PG)가 분리되며(도 8 참조), 이어서 각각의 위치설정용 가이드(PG)가 제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ntire positioning guide unit PG' to which the  position   setting guides PG are connected may be entirely removed. Optionally, individual positioning guides PG are separated by cutting the holding portion 60 (see FIG. 8 ), and then each positioning guide PG can be removed.

추가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간접 접합 방법(10)을 통해 환자의 실제 치아에 단단히 접합된 치과 교정 브래킷(B)을 연결하기 위해 치과 교정 호선(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치과 교정 호선은 탄성적이며, 셋업된 치아 모델(M2)과 일치하도록 사전 성형된다. 이렇게 해서, 치과 교정 호선은 치과 교정 브래킷(B)을 통해 치아에 힘을 가하여 치아가 치과 교정 치료용 치과 교정 호선의 사전 성형 형태에 맞춰 정렬되도록 한다.In some further embodiments, an orthodontic wire (not shown) is provided for connecting an orthodontic bracket (B) that is rigidly bonded to the patient's actual teeth via the indirect bonding method (10)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arch is elastic and preformed to match the set-up tooth model M2. In this way, the   orthodontic line applies a force to the teeth through the orthodontic bracket (B) so that the teeth are aligned with the pre-formed shape of the orthodontic line for orthodontic treatmen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제공되는 개선된 간접 접합 방법은 치과 교정 브래킷의 정밀하고 용이한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치열 상으로의 위치설정용 가이드의 이전 중에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치과 교정 브래킷이 환자의 치아 상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치과 교정 치료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proved method of indirect bonding provi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facilitates precise and easy positioning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 ideal orthodontic treatment effect can be achieved because the orthodontic bracket can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patient's teeth while no misalignment occurs during the transfer of the positioning guide onto the teeth.

본 개시의 실시예 및 그 장점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형이 본 명세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당 업계의 숙련자라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 기능, 공정 및 재료 중 다수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유지된 채로 변경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본 출원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공정,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및 단계의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가 본 개시의 개시 내용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응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현존하거나 또는 이후 개발될 공정,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가 본 개시에 따라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 범위는 이러한 공정, 기계, 제조, 물질의 조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를 그 범위 내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각각의 청구항은 별개의 실시예를 구성하며, 다양한 청구항 및 실시예의 조합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ir advantage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do.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of the features, functions, processes, and materials described herein may be modified while remain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Moreover,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processes, machines, manufacture, compositions of matter, means, methods, and steps described herei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from the disclosure of this disclosure, existing or later developed processes, machines, which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or achieve substantially the same results as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nufacture, composition of matter, means, method or step may be uti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include within their scope such process, machine, manufacture, composition of matter, means, method or step. Further, each claim constitutes a separate embodiment, and combinations of various claims an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14)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셋업된 치아 모델(setup dental model)의 대응하는 치아의 측면에 대한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의 위치를 결정 및 고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은 치과 교정 치료 이후 환자의 치열궁의 치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 단계;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의 외측면의 일부를 덮는 제 1 부분 및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의 상기 대응하는 치아의 교합면을 덮는 제 2 부분을 갖는 강성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분리되어 있는 것인 단계;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을 위한 상기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획득하기 위한 가요성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가요성이 아니고,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탄성이 있으며 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A method of producing a positioning guide used for bonding an orthodontic bracket to a patient's teeth,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corresponding tooth of a set-up dental model, wherein the set-up dental model represents the dental stat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after orthodontic treatment phosphorus step;
forming a rigid guide structure having a first portion covering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 a second portion covering an occlusal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tooth of the set-up tooth model, wherein the rigid guide structure wherei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separate;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to form a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for obtaining the positioning guide for the orthodontic bracket;
includes,
wherein the rigid guide structure is not flexible and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is resilient and maintains its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2 부분은, 제 2 부분의 다른 부위보다 두꺼운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개개의 위치설정용 가이드가 각기 일체화된 복수 개의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열궁의 치열 상태를 복제한 원래의 치아 모델로 이전하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분을 사용하여 복수의 인접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상기 손잡이부에서 결합함으로써, 위치설정용 가이드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includes a handle portion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The method is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each having individual positioning guides integrated therein is transferred to an original dental model replicating the dental state of the patient's dental arch, and a plurality of adjacent positioning guides are used using at least one retaining portion. By combining in the handle portion, forming a guide unit for positioning
A method of producing a positioning guide used for bonding an orthodontic bracket to a patient's teeth,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분 및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aid at least one retaining portion and said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 the sam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광중합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 에너지로 상기 광중합성 재료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s a photopolymerizable material, and wherein forming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s curing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with light energy. How to produce guides for positioning us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재료는 듀라레이(Duralay) 수지 또는 덴탈 트레이(dental tray)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comprises Duralay resin or dental tray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광중합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 에너지로 상기 광중합성 재료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comprises a photopolymerizable material and forming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comprises curing the photopolymerizable material with light energy. How to produce a guide for positioning used to
제 6 항에 있어서, 
가요성인 상기 광중합성 재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aid photopolymerizable material that is flexible comprises ethylene vinyl acetate (EVA)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의 상기 대응하는 치아의 상기 측면 상에 형성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rresponding tooth of the set-up tooth mode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2 부분은 또한 상기 셋업된 치아 모델의 상기 대응하는 치아의 상기 측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 2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며,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상기 제 2 측면 상의 상기 제 2 부분에 형성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said second portion of said rigid guide structure also extends to cover a portion of a second side opposite said side of said corresponding tooth of said set-up tooth model;
and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on the second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강성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강성 연결 구조는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보다 경질인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orming a rigid connection structure disposed adjacent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to connec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is harder than the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연결 구조와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 교정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 the same material.
치과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면을 구비한 치과 교정 브래킷;
환자의 치아 상에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을 위치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설정용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용 가이드는,
서로 분리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강성 가이드 구조로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접합면 반대측에 있는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의 외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치아의 교합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것인 강성 가이드 구조;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연결 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는 가요성이 아니고, 상기 가요성 연결 구조는 탄성이 있으며 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인 치과 기기.
A dental appliance comprising:
an orthodontic bracket having an abutment surface for attachment to a patient's teeth;
a positioning guide configured to position the orthodontic bracket on a patient's teeth
including,
The guide for positioning,
A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orthodontic bracket opposite the abutment surface, the second portion comprising the A rigid guide structure that has a shape consistent with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eeth;
a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includes,
wherein the rigid guide structure is not flexible and the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is resilient and maintains its shap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가이드 구조의 상기 제 2 부분은, 제 2 부분의 다른 부위보다 두꺼운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 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portion of the rigid guide structure comprises a handle portion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치과 교정 브래킷;
복수 개의 상기 위치설정용 가이드;
다수의 인접한 위치설정용 가이드를 상기 손잡이부에서 일체화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분
을 추가로 포함하는 치과 기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plurality of said orthodontic brackets;
a plurality of guides for positioning;
at least one retaining portion configured to integrate a plurality of adjacent positioning guides in the handle portion
A dental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
KR1020200000652A 2019-01-04 2020-01-03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KR1023749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88232P 2019-01-04 2019-01-04
US62/788,232 2019-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663A KR20200085663A (en) 2020-07-15
KR102374904B1 true KR102374904B1 (en) 2022-03-16

Family

ID=6913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52A KR102374904B1 (en) 2019-01-04 2020-01-03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819379B2 (en)
EP (1) EP3677216B1 (en)
JP (1) JP6942783B2 (en)
KR (1) KR102374904B1 (en)
CN (1) CN111407442B (en)
CA (1) CA3066412C (en)
TW (1) TWI70396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4200B1 (en) 2012-10-30 2019-05-2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WO2018144634A1 (en) 2017-01-31 2018-08-09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FR3120783A1 (en) * 2021-03-16 2022-09-23 3C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ting assembly of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ociated seating assembly
CN114681079A (en) * 2022-03-18 2022-07-01 上海爱乐慕健康科技有限公司 Chain-shaped shell appliance and design method and use method thereof
CN114795530B (en) * 2022-06-07 2024-01-16 奥世美医疗科技(江苏)有限公司 Orthodontic auxiliary bonding guide plate
KR102537013B1 (en) *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ff-the-shelf bracket attachment guide based on the clinically measured dental arch wire, and a guide manufactured thereby
KR102537012B1 (en) *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To determine the numerical measurement of the clinical dental arch wire form for orthodontic orthodontics
KR102537014B1 (en) *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Method of manufacturing a guide integral bracket based on the clinically measured dental arch wire and the guide integral bracket manufactured thereb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121A (en) 2004-08-04 2006-02-16 Isao Matsuno Bracket attaching tool and attaching tool with bracket for orthodontic appliance
JP2006525077A (en) 2003-05-02 2006-11-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Indirect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s
DE102009008384A1 (en) * 2009-02-11 2010-08-19 Guntenhöner, Markus, Dr. Dr.med. Device and method for indirect bonding for orthodontic treatment devices
US20100279243A1 (en) * 2007-11-29 2010-11-04 Cinader Jr David K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dental sealant to an orthodontic patient's teeth
US20140287376A1 (en) 2013-03-13 2014-09-25 Bruce Willard Hultgren Orthodontic bracket placement using bracket guide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4368A1 (en) * 1975-08-01 1977-02-17 Scheu Dental BRACKET FOR ORTHODONTIC TEETH AND PROCEDURE FOR LABORATORY PREPARATION FOR FITTING THEM
US4892478A (en) * 1988-03-21 1990-01-09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Method of preparing dental appliances
JP3118213B2 (en) 1997-09-26 2000-12-18 俊明 広 Bracket mounting method for orthodontic appliances
JPH11221235A (en) 1998-02-10 1999-08-17 Toshiaki Ko Bracket positioning cap and bracket attaching method of dental corrective tool
KR100355842B1 (en) * 1999-10-23 2002-10-09 박제영 Female pattern for orthodontic bracket and transfer tray using it
KR100379987B1 (en) * 2000-08-25 2003-04-16 조재형 Convertable resin core system for positioning a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ooth surface
US10052177B2 (en) * 2002-05-28 2018-08-21 Ormco Corporation Custom orthodontic bracket placement jig and jig making method and apparatus
US8308478B2 (en) * 2005-03-01 2012-11-13 Dentsply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indirect bonding of orthodontic appliances
US8439671B2 (en) * 2007-03-22 2013-05-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bonding orthodontic appliances using photocurable adhesive material
US7726968B2 (en) * 2007-03-22 2010-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assemblies for making an orthodontic bonding tray using rapid prototyping
JP5911303B2 (en) * 2008-06-26 2016-04-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Rapid prototype transfer tray for orthodontic appliances
JP5362383B2 (en) * 2009-02-18 2013-12-11 有限会社オーソスターシオン Bracket mounting jig
JP5323586B2 (en) 2009-06-01 2013-10-23 株式会社ジーシー Manufactur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with positioning guide
FR2959929B1 (en) * 2010-05-17 2012-07-20 H 32 INDIVIDUALIZED TEMPLATE FOR ORTHODONTIC APPARATUS, ASSEMBLY FORMED BY THIS TEMPLATE, BASE AND ATTACHMENT, AND DESIGN METHODS THEREOF.
JP5051561B1 (en) * 2012-02-20 2012-10-17 和之 岡▲崎▼ Orthodontic appliance installation tool
EP2931166B1 (en) * 2012-12-11 2019-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mockup including analogs approximating orthodontic brackets
US20150064641A1 (en) * 2013-08-29 2015-03-05 Steven N. Gardner Indirect bonding tray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60074139A1 (en) * 2014-03-06 2016-03-17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Indirect Bonding Tra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160095670A1 (en) * 2014-10-07 2016-04-07 Orametrix, Inc. Tooth attachment placement device
CN106491221A (en) * 2016-11-07 2017-03-15 四川大学 One kind is used for the pinpoint split type guide plate of orthodontic bracket
CN207871004U (en) * 2017-03-31 2018-09-18 叶年嵩 A kind of dental arch model
CN109009504A (en) * 2018-08-23 2018-12-18 广州欧欧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orthodontic tr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077A (en) 2003-05-02 2006-11-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Indirect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s
JP2006043121A (en) 2004-08-04 2006-02-16 Isao Matsuno Bracket attaching tool and attaching tool with bracket for orthodontic appliance
US20100279243A1 (en) * 2007-11-29 2010-11-04 Cinader Jr David K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dental sealant to an orthodontic patient's teeth
DE102009008384A1 (en) * 2009-02-11 2010-08-19 Guntenhöner, Markus, Dr. Dr.med. Device and method for indirect bonding for orthodontic treatment devices
US20140287376A1 (en) 2013-03-13 2014-09-25 Bruce Willard Hultgren Orthodontic bracket placement using bracket guide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66412A1 (en) 2020-07-04
EP3677216A1 (en) 2020-07-08
JP6942783B2 (en) 2021-09-29
CA3066412C (en) 2022-06-07
EP3677216B1 (en) 2021-12-22
CN111407442B (en) 2022-04-05
CN111407442A (en) 2020-07-14
KR20200085663A (en) 2020-07-15
TWI703966B (en) 2020-09-11
US20240041567A1 (en) 2024-02-08
TW202025981A (en) 2020-07-16
US11819379B2 (en) 2023-11-21
JP2020108782A (en) 2020-07-16
US20200214806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904B1 (en) Improved indirect bonding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US10278793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CN106029002B (en) The method for preparing transfer tray
EP3649981B1 (en) Rapid prototyped transfer tray for orthodontic appliances
JP4406006B2 (en) Indirect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s
EP2845560B1 (en) Method of making indirect bonding transfer apparatus for orthodontic therapy
AU2006232959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apparatus with occlusal positioning stop members
US9713512B2 (en) Orthodontic device-setting tool
JP2011041827A (en) Apparatus for indirect bonding of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390907B2 (en) Method for producing trays for brackets
US20230112706A1 (en) Prosthetic tooth or denture base
CN115252181A (en) Tongue side orthodontic indirect pasting transfer tray and prepar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TAKEMOTO et al. Precise Direct Lingual Bonding with the Kommon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