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836B1 -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836B1
KR102374836B1 KR1020200037878A KR20200037878A KR102374836B1 KR 102374836 B1 KR102374836 B1 KR 102374836B1 KR 1020200037878 A KR1020200037878 A KR 1020200037878A KR 20200037878 A KR20200037878 A KR 20200037878A KR 102374836 B1 KR102374836 B1 KR 10237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building
shee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915A (ko
Inventor
김두진
Original Assignee
김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3357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2505B1/ko
Application filed by 김두진 filed Critical 김두진
Priority to KR102020003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8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에 형성된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부(특히 천장부)에 설치된 내부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상기 거푸집의 낙하로 인해 다량의 소음과 분진 등이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갖는 방음시트와 건축물 외벽 간의 밀착성을 개선하여 방음과 방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SOUNDPROOF SHEET FOR SHIELDING ARCHITECTURAL OPENINGS}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에 형성된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부(특히 천장부)에 설치된 내부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상기 거푸집의 낙하로 인해 다량의 소음과 분진 등이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갖는 방음시트와 건축물 외벽 간의 밀착성을 개선하여 방음과 방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또는 상가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들은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외벽 거푸집, 즉 갱폼과, 내벽(천장부 포함)에 설치되는 내부 거푸집(유로폼, 알루미늄폼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거푸집들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과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외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건축물에는 다양한 크기의 창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개방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방부를 통해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내부에 설치된 내부 거푸집(유로폼, 알루미늄폼 등)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 등이 외부로 그대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건축물의 천장부에 설치된 중량의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낙하하는 거푸집의 바닥면 충돌에 기인한 소음과 분진은 주변 거주민들에게 상당한 양의 소음과 분진 피해를 주어 각종 민원의 주원인이 됨에 따라 건축 공사 현장에서의 소음 진동 및 비산 먼지방지 등과 같은 관련된 법적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이에 건축물을 시공할 때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과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기술들 중 운반과 시공이 용이한 방음시트나 커튼 형태로 이루어진 기술들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235761호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7308호에서 제안되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10-2009-235761호에서는 각종 건설 및 해체 공사, 토목 공사 등의 현장 또는 소음 발생원이 있는 장치류가 설치된 각종 공장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방음시트와, 메시시트와, 상기 방음시트와 상기 메시시트 사이에 누빔재봉선을 통해 체결된 입상 다공질 흡음재가 충진된 흡음팩을 포함하여 방음과 흡음 특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블 방음·흡음시트를 제안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7308호에서는 건축 공사현장에서 거푸집과 연계적으로 설치되어 공사현장의 먼지와 소음을 방지하고, 현장의 상황에 맞도록 크기 조절이 용이하여 활용성 증대에 의한 시공비 절감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암막지천과, 차음재와, 상기 암막지천과 상기 차음재 사이에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에어포켓이 형성된 제1 및 제2 흡음재를 포함하는 거푸집 차폐용 커튼기구를 제안하였다.
일본 공개특허 제10-2009-235761호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7308호에서 제안된 방음시트나 커튼기구는 내부에 내장된 흡음재 및 차음재로 인해 건축물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경우, 소음이나 분진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시트나 커튼기구는 유연성을 갖는 시트나 커튼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건축물 외벽 간의 밀착성이 낮아 방음시트와 건축물 외벽 간의 간격이 벌어져 틈새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건축물 내부의 소음과 분진이 벌어진 틈새로 그대로 방출됨으로써 방음 및 방진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JP 10-2009-235761 A(공개일:2009.10.15.), 플렉시블 방음·흡음시트 KR 10-1247308 B2(등록일:2013.03.19.), 거푸집 차폐용 커튼기구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물 외벽에 긴밀하게 밀착 가능하여 건축물 외벽과의 밀착성을 개선함으로써 방음과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형성된 개방부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갱폼에 고정되어 상기 갱폼과 함께 인양되는 것으로,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내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의 후측면에 설치된 외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와 상기 외측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커버를 통해 내부로 입사되는 소음의 점성 마찰을 통해 소음을 열 에너지로 변화시켜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 및 상기 내측커버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고정되어 상기 건축물 외벽에 밀착되는 밀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형성된 개방부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갱폼에 고정되어 상기 갱폼과 함께 인양되는 것으로,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내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의 후측면에 설치된 외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와 상기 외측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커버를 통해 내부로 입사되는 소음의 점성 마찰을 통해 소음을 열 에너지로 변화시켜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 및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흡음부의 사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충진되고,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흡음부 사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중량을 제공하여 상기 건축물 외벽에 설치시 상기 내측커버의 하부 무게 중심이 상기 건축물 외벽에 쏠리도록 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음부는 단일 흡음시트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2장의 흡음시트가 적층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이들 사이에는 이격블록을 통해 이격되어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부에 형성된 공기층은 상기 내측커버에 대향하는 흡음시트가 경사 배치되어 상부가 하부에 비해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부는 2장의 흡음시트와, 상기 2장의 흡음시트 사이에 밀착 또는 이격 설치된 분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블록은 복수 개의 다공성 흡음재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발포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재는 흡음재나 차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커버가 외측으로 블록하게 튀어나오도록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는 건축물 외벽에 긴밀하게 밀착 가능하도록 내측 둘레를 따라 밀착블록을 설치하거나, 충진재를 추가 구비하는 한편, 흡음부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건축물 외벽과의 밀착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흡음률을 향상시켜 방음과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 절취선을 따라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가 건축물의 개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흡음재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커버에 소음이 입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가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가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 절취선을 따라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10)는 내측커버(11)와 외측커버(12) 사이에 개재되어 입사하는 소음을 열 에너지로 변화시켜 소음을 방지하는 흡음부(13)가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가 건축물의 개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10)는 건축물 외벽(1)에 형성된 개방부(1a)를 덮도록 건축물 외벽(1)에 밀착 설치되고, 상단부는 나사(피스), 철사 또는 끈 등으로 갱폼(2)의 세로대 또는 가로대에 고정되거나, 혹은 갱폼(2)의 세로대와 건축물 외벽(1) 간의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한 후 상기 브라켓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하여 갱폼(2) 인양시 함께 인양된다.
내측커버(11)는 도 5와 같이, 건축물 외벽(1)과 대향하도록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내측커버(11)는 도 1과 같이,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이 내측커버(11)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대부분 내측커버(11)와 외측커버(12) 내부에 내장된 흡음부(13)로 입사되도록 메시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커버(11)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이 내측커버(11)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대부분 흡음부(13)로 입사되도록 통공이 구비된 메시망을 사용한다.
흡음부(13)는 내측커버(11)와 외측커버(12) 사이에 재봉선(16)을 통해 고정된다.
흡음부(13)는 도 3과 같이, 단일 흡음재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흡음율을 고려하여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흡음부(13)는 흡음재로서 내측커버(11)를 통해 표면에 입사되는 소음, 즉 음파를 마찰저항과 진동 등을 통해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음파가 가급적 많이 통과되도록 하여 음파의 반사를 낮춰 흡음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음부(13)로는 다공성 흡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흡음재는 표면과 내부에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재료로서, 음파가 입사되면 재료 내부의 공기 진동에 의해 점성 마찰이 생기고, 음파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음을 흡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부(13)는 거푸집 낙하시 발생되는 소음에 해당하는 500hz 이상의 고주파대역에서 흡음률이 우수한 다공성 흡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흡음부(13)는 500hz 이상의 고주파대역에서 흡음률이 0.5~0.7을 충족시키는 다공성 흡음재를 사용한다. 이때, 다공성 흡음재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가 혼합된 혼합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polyester) 또는 글라스울(glass-wool)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흡음재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23)는 제1 흡음시트(231)와, 제2 흡음시트(232)와, 제1 및 제2 흡음시트(232, 233) 사이에 공기층(234)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 사이에 부분적으로 개재된 이격블록(23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는 서로 동일한 두께 및/또는 밀도를 갖는 흡음재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서로 다른 두께 및/또는 밀도를 갖는 흡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가 서로 다른 두께 및/또는 밀도를 갖는 흡음재로 이루어진 경우, 후방측에 배치된 제2 흡음시트(232)를 제1 흡음시트(231)에 비해 두껍게 형성하거나, 혹은 고밀도 흡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로는 각각 흡음률을 고려하여 5mm~20mm의 두께의 흡음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의 흡음률은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234)을 통해 보상한다.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는 유동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건축물 외벽에 설치 후 서로 면접촉하여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234)이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 사이에는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공기층(234)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격블록(233)이 부분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이격블록(233)의 폭은 대략 3mm~7mm로 형성하여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 간의 간격을 3mm 내지 7mm로 유지한다.
이격블록(233)은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한편, 제1 흡음시트(231)를 통과한 음파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음파를 차음하는 차음재로서, 강풍시 시트가 찢어지지 않도록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판, 금속판 또는 목판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경량화와 유연성을 위해 스폰지 재질의 쿠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 재단시 버려지는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흡음재(23)는 2장의 제1 및 제2 흡음시트(231, 232)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흡음률을 고려하여 3장 이상의 흡음시트를 일정 간격으로 적층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이격블록을 더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커버에 소음이 입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시 주변 거주민들에게 고통을 유발하는 소음은 대부분 고주파 소음으로서, 이러한 고주파 소음은 대부분이 건축물의 천장부에 설치된 내측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이 낙하하여 바닥에 충격함으로써 발생한다.
도 7과 같이, 거푸집이 낙하하여 건축물의 내측 바닥면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음(n)은 건축물의 내측 바닥면에서 사방으로 방출되고, 이중 일부는 직접 내측커버(11)로 입사되고, 일부는 건축물의 주변 벽체에 의해 반사된 후 내측커버(11)로 입사된다.
이와 같이, 거푸집의 낙하로 인해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소음(n)은내측커버(11)에 직교하도록 입사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도 7과 같이, 내측커버(11)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입사된다. 이에 따라, 소음의 흡음률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내측커버 및/또는 흡음부를 이에 대해 경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33)는 제1 및 제2 흡음시트(331, 332)와, 이격블록(333)과, 공기층(334)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흠음시트(331)는 도 7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 내측 하부에서 발생하는 충격 소음을 더욱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차단하기 위해 제2 흡음시트(332)를 기준으로 경사 배치된다. 즉, 제1 흡음시트(231)는 상부가 건축물 외벽(1)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제1 흡음시트(331)는 제2 흡음시트(332)에 대해 대략 15°~30°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하고, 이를 통해 제1 흡음시트(331)와 제2 흡음시트(332)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층(334)의 체적을 증가시켜 건축물 내측 하부에서 발생하는 충격 소음에 기인한 음파가 일정 각도(사선)로 입사되는 경우 초기 충격파를 빠르게 흡수하여 차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43)는 제1 및 제2 흠음시트(431, 432) 사이에 개재된 제3 흡음시트(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흡음시트(43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제1 흡음시트(431)를 제2 흡음시트(432)에 대해 일정 각도, 예를 들면 5°~30°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제3 흡음시트(433) 대신에 복수 개의 공기 구멍이 형성된 발포성 스티로폼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흡음시트(431)를 통해 표면에 입사되는 음파의 반사가 최소화되도록 제3 흡음시트(433)에 형성된 공기 구멍은 각각 3mm~10mm의 직경으로 형성하고, 전체 면적에서 60%~90% 정도의 밀도로 형성한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흡음부(33, 43)는 방음시트가 건축물 외벽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제1 흡음시트(331, 431)가 내측커버에 대해 경사 배치되도록 내측커버의 외측면과 제1 흡음시트(331, 431)에는 별도의 이격블록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53)는 제1 흡음시트(53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으로 인해 제2 흡음시트(532)에 형성된 미세 공기층이 막혀 흡음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흡음시트(531)의 후면부에 밀착된 분진망(533)을 포함한다. 그리고, 분진망(533)과 제2 흡음시트(532) 사이에는 흡음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격블록(534)이 설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흡음부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흡음부(63)는 이격블록이 없는 구조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적층된 제1 흡음시트(631), 분진망(또는 메시망)(633) 및 제2 흡음시트(63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외측커버(12)는 재봉선(16)을 통해 흡음부(13)의 후면측에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외측커버(12)는 흡음부(13)를 통과하는 소음, 즉 음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음하는 차음재로 기능한다. 차음재는 소리를 가능한 많이 반사시켜 소리를 차단하는 것으로, 투과되는 소리가 적을수록 차음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외측커버(12)는 일례로, 햇빛을 차단하는 암막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2mm~3mm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10)는 방음시트(10)를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해 건축물 외벽(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내측커버(11)의 내측면에 재봉선(16)을 통해 고정된 밀착블록(14)을 포함한다.
밀착블록(14)은 내측커버(11)의 둘레를 따라 고정 설치되고, 마감부재(15)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밀착블록(14)은 내측커버(11)에서 내측방향, 즉 건축물 외벽(1)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내측커버(11)와 건축물 외벽(1) 간의 밀착력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서, 밀착블록(14)은 흡음부(13)와 같은 흡음재를 다층으로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혹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발포성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밀착블록(14)은 건축물 외벽(1)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정한 중량을 갖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밀착블록(14) 중 내측커버(11)의 하부 둘레에 고정되는 부위에는 일정한 중량을 갖는 중량체가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밀착블록(14)에 내장되는 중량체는 방음시트(10)의 유연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30cm~50cm 크기로 분할된 금속 파이프 또는 나무 막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발포성 스티로폼 내부에 안정적으로 내장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발포성 스티로폼의 일면에 상기 중량체를 삽입시킨 후 다른 제2 발포성 스티로폼을 상기 제1 발포성 스티로폼의 일면을 덮도록 부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마감부재(15)는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는 합성수지, 합성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비닐시트나 암막천(타포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10)는 외측커버(12)와 흡음부(13) 사이에 설치되어 흡음부(13)를 통과한 음파가 방출되지 않도록 차음하는 차음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음재는 뽁뽁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가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100)는 내측커버(101), 외측커버(102), 흡음부(103), 마감부재(105)가 재봉선(106)을 통해 상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축물 외벽(1)과의 밀착력을 위해 외측커버(102)와 흡음부(103) 사이의 상부에 충진재(104)가 더 설치된다.
충진재(104)는 방음시트(100)의 상부에 중량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도 13과 같이, 방음시트(100)의 무게 중심이 건축물 외벽(1) 측으로 쏠리도록 하여 건축물 외벽(1)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방음시트(1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충진재(104)는 흡음재나, 혹은 차음 기능을 갖는 차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2와 같이, 외측커버(102) 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04)의 내부에는 별도의 중량체가 추가로 내장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가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200)는 내측커버(201), 외측커버(202), 흡음부(203), 마감부재(205)가 재봉선(206)을 통해 상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축물 외벽(1)과의 밀착력을 위해 외측커버(202)와 흡음부(203) 사이의 하부에 충진재(204)가 더 설치된다.
충진재(104)는 방음시트(200)의 하부에 중량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도 15와 같이, 방음시트(200) 하부의 무게 중심이 건축물 외벽(1) 측으로 쏠리도록 하여 건축물 외벽(1)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방음시트(2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충진재(204)는 전술한 흡음재나, 혹은 차음 기능을 갖는 차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건축물 외벽
1a : 개방부(건축물)
2 : 갱폼
10, 100, 200 : 방음시트
11, 101, 201 : 내측커버
12, 102, 202 : 외측커버
13, 23, 33, 43, 53, 63, 103, 203 : 흡음부
14 : 밀착블록
15, 105, 205 : 마감부재
16, 106, 206 : 재봉선
231, 331, 431, 531, 631 : 제1 흡음시트
232, 332, 432, 532, 632 : 제2 흡음시트
233, 333, 534 : 이격블록
234, 334, 535 : 공기층
433 : 제3 흡음시트
533, 633 : 분진망
104, 204 : 충진재

Claims (5)

  1. 건축물의 외벽에 형성된 개방부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갱폼에 고정되어 상기 갱폼과 함께 인양되는 것으로,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내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의 후측면에 설치된 외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와 상기 외측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 및
    상기 내측커버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고정되어 상기 건축물 외벽에 밀착되는 밀착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부는 적어도 2장의 흡음시트가 적층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이들 사이에는 이격블록을 통해 이격되어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부에 형성된 공기층은 상기 내측커버에 대향하는 흡음시트가 경사 배치되어 상부가 하부에 비해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2장의 흡음시트 사이에 밀착 또는 이격 설치된 분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블록은 복수 개의 다공성 흡음재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발포성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KR1020200037878A 2018-11-02 2020-03-28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KR102374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78A KR102374836B1 (ko) 2018-11-02 2020-03-28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571A KR102152505B1 (ko) 2018-11-02 2018-11-02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KR1020200037878A KR102374836B1 (ko) 2018-11-02 2020-03-28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571A Division KR102152505B1 (ko) 2018-11-02 2018-11-02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915A KR20200050915A (ko) 2020-05-12
KR102374836B1 true KR102374836B1 (ko) 2022-03-15

Family

ID=8081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878A KR102374836B1 (ko) 2018-11-02 2020-03-28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8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326B1 (ko) * 2006-03-02 2007-03-16 (주)한국티비엠 누비형 흡음 매트
KR200477936Y1 (ko) * 2014-08-28 2015-08-07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공기층을 포함하는 고흡음 방음 패널
KR200479596Y1 (ko) * 2015-11-19 2016-02-16 김두진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520A (ko) * 2007-10-12 2009-04-16 김성업 갱폼용 방음벽
KR20090067239A (ko) * 2007-12-21 2009-06-25 권택철 건설공사용 방음막 구조
JP2009235761A (ja) 2008-03-27 2009-10-15 Jfe Engineering Corp フレキシブル防音・吸音シート
KR101247308B1 (ko) 2010-11-09 2013-03-25 이건우 거푸집 차폐용 커튼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326B1 (ko) * 2006-03-02 2007-03-16 (주)한국티비엠 누비형 흡음 매트
KR200477936Y1 (ko) * 2014-08-28 2015-08-07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공기층을 포함하는 고흡음 방음 패널
KR200479596Y1 (ko) * 2015-11-19 2016-02-16 김두진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915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0561C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цеха
RU2501918C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е элементы помещений
JP2006316467A (ja) 遮音二重壁構造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20048966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JP2007133246A (ja) 吸音構造
KR102374836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RU2530437C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цеха кочетова
KR100763410B1 (ko)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KR102152505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JP2005098067A (ja) 吸音板および吸音方法
KR102124117B1 (ko) 채광 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RU2440467C1 (ru) Акустически комфортное помещение
KR200386447Y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RU2543827C2 (ru) Акуст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цеха
JP2009264102A (ja) 吸音板
KR101542244B1 (ko) 층간소음차단을 위한 시공방법 및 방지구조
RU2578220C1 (ru) Сейсмостой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KR102580462B1 (ko) 항아리형, 원통형 및 요철형 흡음부를 구비한 음파 완충 단열재와 진동 차단 기능을 갖는 댐퍼가 적층된 다층 층간 차음재, 그 제조방법, 건물의 바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70160A (ko) 채광 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KR101549984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저감 시트
KR20200050690A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분할 채광 방음시트
KR102669619B1 (ko) 층간소음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