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707B1 - 상하 스트로크 제한용 락커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상하 스트로크 제한용 락커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707B1
KR102374707B1 KR1020210089161A KR20210089161A KR102374707B1 KR 102374707 B1 KR102374707 B1 KR 102374707B1 KR 1020210089161 A KR1020210089161 A KR 1020210089161A KR 20210089161 A KR20210089161 A KR 20210089161A KR 102374707 B1 KR102374707 B1 KR 102374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liding door
fixing member
guide assembly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귀환
Original Assignee
(주)씨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넷 filed Critical (주)씨넷
Priority to KR102021008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문 등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가이드부가 구비된 샤프트의 인출입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를 쉽게 하면서, 설치 후 실린더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통해 락커가 샤프트에 조여져 샤프트의 상하 스트로크를 제한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 개폐 시 샤프트의 인입으로 가이드부가 레일에서 이탈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전복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도어나 가이드부의 틀어짐 등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는,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고, 일측부가 개구된 승강부를 구비한 실린더; 상기 승강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인출되게 탄성 지지되어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레일부에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샤프트; 상기 승강부의 입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인입 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으로 조여져 물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인출 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벌어져 풀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의 상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락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 스트로크 제한용 락커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GUIDE ASSEMBLY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문 등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가이드부가 구비된 샤프트의 인출입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를 쉽게 하면서, 설치 후 실린더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통해 락커가 샤프트에 조여져 샤프트의 상하 스트로크를 제한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 개폐 시 샤프트의 인입으로 가이드부가 레일에서 이탈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전복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도어나 가이드부의 틀어짐 등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어는 옆으로 밀어서 개폐하는 미닫이 방식과, 전후로 밀어서 개폐하는 여닫이 방식이 있으며, 가정의 중문 등에는 미닫이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다.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 설치 공간의 상,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부를 상, 하부 레일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게 한다.
이때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부는 수직형 롤러 또는 수평형 롤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는 상, 하부의 가이드부가 각 레일에 완전하게 걸려서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 하부 가이드부들의 돌출 높이가 각 레일의 지지부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구조 상 슬라이딩 도어를 상, 하부 레일 사이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맞춰서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 장치가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상부 가이드 또는 하부 가이드 중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인출입(승강) 가능하게 하여, 상하 스트로크 가능한 가이드를 레일에 먼저 끼운 후 슬라이딩 도어를 눌러서 해당 가이드를 인입시킨 상태로 반대편의 가이드를 레일에 맞춰서 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1086호에 개시된 가이드를 예로 들면,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는, 중심이 되는 샤프트, 너트 및 와셔 그리고 핀을 차례로 결합하여 샤프트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단, 샤프트를 탄성력을 탄지하여 완충시키기 위해 샤프트에 끼워지는 스프링, 스프링의 탄성력을 얻기 위해 샤프트이 외경에 돌설된 걸림턱, 샤프트와 스프링을 실장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하우징은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단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단은 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으로 부드럽게 움직인다.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은, 상기 샤프트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도어를 상부로 밀어서 샤프트를 하우징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반대편의 롤러를 레일에 안착시켜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롤러 구조에 있어, 샤프트는 외력에 의해 상시적으로 하우징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할 때 또는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들리도록 외력이 가해지면, 슬라이딩 롤러의 상부 롤러의 샤프트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서 하부 롤러가 레일에서 이탈할 수 있으며,
이는 슬라이딩 롤러가 레일에서 빠지면서 전복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롤러의 잦은 이탈로 고장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3중 구조의 중문과 같이, 슬라이딩 도어가 좌우 폭이 짧을 경우, 키가 작은 어린이가 슬라이딩 도어의 하단부를 잡고 밀거나 당길 때 상하 불균형 등을 원인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좌우로 틀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샤프트가 인입되면서 슬라이딩 도어의 전복 사고나 고장 발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를 쉽게 하면서도, 설치 후 슬라이딩 도어가 레일에 안전하게 안착한 상태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된 샤프트의 인출입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를 쉽게 하면서, 설치 후 실린더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통해 락커가 샤프트에 조여져 샤프트의 상하 스트로크를 제한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 개폐 시 샤프트의 인입으로 가이드부가 레일에서 이탈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전복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도어나 가이드부의 틀어짐 등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는,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고, 일측부가 개구된 승강부를 구비한 실린더;
상기 승강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인출되게 탄성 지지되어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레일부에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샤프트;
상기 승강부의 입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인입 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으로 조여져 물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인출 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벌어져 풀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의 상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락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승강부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어 끼워지는 가압관을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상기 승강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압관에 내삽되어 상기 맞물림부를 형성하되 일측단으로 갈수로 두께가 점감되면서 상기 가압관에 접촉하는 외측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에서,
상기 가압관은 상기 외측 경사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에서,
상기 샤프트와 맞물림부의 접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는,
도어에 장착된 실린더 상에서 인출입하는 샤프트를 이용해 기존과 같이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를 밀어서 레일에 먼저 안착한 후 반대편의 가이드를 레일에 안착시켜 슬라이딩 도어를 쉽게 설치 가능하게 하면서, 실린더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이용해 락커로 샤프트의 상하 스트로크 작동이 불가능하게 고정시켜, 사용 중 슬라이딩 도어가 레일에서 이탈하어 전복하는 안전사고의 발생 방지 및 슬라이딩 도어의 잦은 이탈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외측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편으로 맞물림부를 형성하여, 고정부재를 통한 락커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쉬우면서,
고정부재의 가압관이 고정편의 외측 경사면에 나사 결합되게 하여, 락커에 대한 가입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락커의 잠금이 안전하게 유지되게 하고,
샤프트와 맞물림부가 톱니부를 통해 서로 치합되게 하여, 락커로 인한 샤프트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3,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격 탄성링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고, 일측부가 개구된 승강부(11)를 구비한 실린더(10);
상기 승강부(11)에서 일측 방향으로 인출되게 탄성 지지되어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레일부에 안내되는 가이드부(21)를 구비한 샤프트(20);
상기 승강부(11)의 입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
상기 고정부재(30)의 인입 시 상기 샤프트(20)의 외주면으로 조여져 물리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인출 시 상기 샤프트(20)의 외주면에서 벌어져 풀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20)의 상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락커(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3중 구조의 중문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도어(이해의 편의 상 2개의 슬라이딩 도어(D)만이 도시되어 있음)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어셈블리는 슬라이딩 도어(D)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D)의 상단에 장착되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대표해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실린더(10)는 원통형 부재로써, 상기 승강부(11)의 상측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승강부(11)가 하측의 소경부(12)와 상측의 대경부(13)로 구성되어, 상기 대경부(13)가 상기 승강부(11)의 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승강부(11)의 소경부(12)에는 샤프트(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로써, 압축 스프링(14)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소경부(12)의 하측단에는 실린더(10)의 벽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걸림홈(15)이 구비되고, 소경부(12)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15)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삽입홈(15a)이 구비되어, 상기 락커(40)의 후크돌기(44)가 상기 걸림홈(15)으로 끼워져 걸린다.
이러한 실린더(10)는 슬라이딩 도어(D)의 상단에 매설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D)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샤프트(20)는 하측부가 상기 실린더(10)의 승강부(11)로 끼워져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샤프트(20)의 상측부가 승강부(11)의 길이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서는 수평롤러 형태의 가이드부(21)가 샤프트(20)를 축으로 결합된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이드부(21)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20)의 상측단에 별도의 롤러가 장착된 브래킷이 결합되어 가이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샤프트(20)는 하측단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걸림단(22)과, 하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끼움돌기(23)를 구비하여, 상기 끼움돌기(23)가 압축 스프링(14)에 내삽되면서 상기 걸림단(22)이 압축 스프링(14)의 상측단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부(11)의 상부로 인출되게 탄성 지지되며, 이때 상기 걸림단(22)은 상기 락커(40)의 몸체부(41)에 걸려서 샤프트(20)가 승강부(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샤프트(20)와 맞물림부의 접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T)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톱니부(T)는 다수개의 치가 서로 맞물려 상기 샤프트(20)를 상기 락커(40)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샤프트(20)의 인출입 작동인 상하 스트로크를 불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승강부(11)의 입구에 끼워져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부재(30)가 인출입된다는 것은 고정부재(30)가 승강부(11)의 입구에 끼워져 승강부(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의미로, 구체적인 체결 방식에 제한이 없다(즉, 후술하는 나사 결합 방식은 물론 억지 끼움이나 후크 결합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실린더(10) 상에서 결합 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하고, 상기 락커(40)에 대한 가압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11)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어 끼워지는 가압관(31)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재(30)는 상기 샤프트(20)가 끼워지는 관통공(32)을 구비하며, 나사 회전이 용이하도록 고정부재(30)의 외측면이 다각(너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락커(40)는 상기 고정부재(30)의 인출입 정도에 따라 상기 맞물림부가 상기 샤프트(20)를 물거나 풀어서, 상기 샤프트(20)의 인출입 작동, 즉 상기 샤프트(20)의 상하 스트로크 작동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커(40)는 상기 승강부(11)의 내부에 결합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일측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압관(31)에 내삽되어 상기 맞물림부를 형성하되 일측단으로 갈수로 두께가 점감되면서 상기 가압관(31)에 접촉하는 외측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편(42)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41)는 링 형상으로, 상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편(42)이 돌설되어 상기 샤프트(20)가 끼워지는 삽입공(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41)는 외측으로 탄지되는 후크돌기(44)를 구비하여, 상기 후크돌기(44)가 상기 삽입홈(15a)으로 끼워져 상기 걸림홈(15)에 걸려서 상기 락커(40)를 상기 실린더(10)의 입구, 즉 소경부(12) 상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홈(15)은 상하 높이가 상기 후크돌기(44)의 상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로 인한 고정편(42)들의 조임 시 락커(40) 자체가 상하로 미세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42)은 하측단에서 상측단을 향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외측 경사면을 구비하여, 고정편(42)들의 끝단부가 내측으로 모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관(31)은 내주면이 상기 고정편(42)의 외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내측 경사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가 풀려서 인출되면서 상기 가압관(31)이 상기 고정편(42)들과 이격되었을 때 고정편(42)들이 벌어지고, 상기 고정부재(30)가 조여져 인입되면서 상기 가압관(31)이 상기 고정편(42)들에 접하여 가압할 때 고정편(42)들이 모아진다.
나아가 상기 가압관(31)은 상기 외측 경사면에 나사 결합된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관(31)은 내, 외측면의 나사산(S1)(S2)(참고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서 샤프트(20)의 일부 구간에만 톱니부(T)를 도시하면서 나사산(S1)(S2)과 톱니부(T)를 과장되게 크게 도시하였으며, 실제로는 톱니부(T)가 샤프트(20)의 전 구간에 구비되면서 나사산(S1)(S2)과 톱니부(T)가 매우 촘촘하게 형성됨.)으로 상기 실린더(10) 및 고정편(42)에 동시에 2중으로 나사 결합되어 결합력을 높인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를 풀어서 상기 가압관(31)이 상기 고정편(42)들에서 이격됨에 따라, 고정편(42)들이 내측으로 가압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편(42)들이 벌어지면서 샤프트(20)와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샤프트(20)의 상하 스트로크가 자유롭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20)가 실린더(10) 내부로 눌러지는 것이 가능하여, 슬라이딩 도어(D)를 레일(R)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인입된 샤프트(20)는 상기 압축 스프링(14)에 의해 인출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D)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30)를 조이면, 상기 가압관(31)이 상기 고정편(42)들을 누르면서 톱니부(T)가 치합되어, 상기 락커(40)에 의해 상기 샤프트(20)의 상하 스트로크가 제한되고,
이에 슬라이딩 도어(D)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샤프트(20)가 눌려지지 않아, 슬라이딩 도어(D) 사용 중 샤프트(20)가 실린더(10)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부(21)가 레일(R)에서 이탈하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의 2중 나사 결합에 의해 락커(40)의 물림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예기치 못하게 외력이 가해지면서 가이드부(21)가 이탈하여 슬라이딩 도어(D)가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 또는 가이드부(21)의 틀어짐 등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슬라이딩 도어(D)용 가이드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실린더 11 : 승강부
12 : 소경부 13 : 대경부
14 : 압축 스프링 15 : 걸림홈
20 : 샤프트 21 : 가이드부
22 : 걸림단 23 : 끼움돌기
30 : 고정부재 31 : 가압관
32 : 관통공
40 : 락커 41 : 몸체부
42 : 고정편 43 : 삽입공

Claims (4)

  1.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고, 일측부가 개구된 승강부를 구비한 실린더;
    상기 승강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인출되게 탄성 지지되어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레일부에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샤프트;
    상기 승강부의 입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인입 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으로 조여져 물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인출 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벌어져 풀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의 상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락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승강부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어 끼워지는 가압관을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상기 승강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압관에 내삽되어 상기 맞물림부를 형성하되 일측단으로 갈수로 두께가 점감되면서 상기 가압관에 접촉하는 외측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관은 상기 외측 경사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벽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는 외측으로 탄지되는 후크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삽입홈으로 끼워져 상기 걸림홈에 걸려서 상기 락커를 상기 실린더의 입구에 고정시키되,
    상기 걸림홈은 상하 높이가 상기 후크돌기의 상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맞물림부의 접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톱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KR1020210089161A 2021-07-07 2021-07-07 상하 스트로크 제한용 락커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KR10237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161A KR102374707B1 (ko) 2021-07-07 2021-07-07 상하 스트로크 제한용 락커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161A KR102374707B1 (ko) 2021-07-07 2021-07-07 상하 스트로크 제한용 락커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707B1 true KR102374707B1 (ko) 2022-03-16

Family

ID=8093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161A KR102374707B1 (ko) 2021-07-07 2021-07-07 상하 스트로크 제한용 락커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704B1 (ko) * 2022-10-20 2023-02-17 문대원 슬라이딩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302U (ko) * 1998-07-22 2000-02-15 안중식 절첩식 가구용 도어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302U (ko) * 1998-07-22 2000-02-15 안중식 절첩식 가구용 도어의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704B1 (ko) * 2022-10-20 2023-02-17 문대원 슬라이딩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707B1 (ko) 상하 스트로크 제한용 락커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어셈블리
CN107178257B (zh) 一种插销式安全磁性柜锁及其使用方法
WO2017124579A1 (zh) 螺旋驱动控制系统
KR101755219B1 (ko) 무인 택배 보관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수동 개방장치
CN110331905B (zh) 防盗链装置
CN106869625A (zh) 自动复位锁
CN110219521B (zh) 一种上悬窗自动锁闭装置
CN218074140U (zh) 一种具有调节互锁松紧度功能的双锁式导轨
CN106474739A (zh) 一种游乐设备座舱门锁机构
CN208268189U (zh) 伸缩杆与主机连接的快装快拆锁扣装置
CN107035281B (zh) 一种安全疏散门
KR101444618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39718Y1 (ko)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스프링 탄력 회전축에 의한 여닫이문
CN211144064U (zh) 一种密码锁门窗插销
CN212224957U (zh) 扣合结构和一种柜
CN209523575U (zh) 儿童安全锁
CN203160812U (zh) 一种用在滑动机构的控扣装置
CN109057573B (zh) 一种垂直升降门门锁装置
CN212614220U (zh) 一种插销锁自动头
CN110318616B (zh) 一种防盗链装置
CN214740632U (zh) 一种插销机构
CN212583468U (zh) 一种插销锁开叉舌自动头
CN103437603B (zh) 一种抗爆门用插销锁装置
CN218390326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双锁抽屉导轨
CN216517364U (zh) 一种可自动复位的锁闭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