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530B1 - 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530B1
KR102374530B1 KR1020200075983A KR20200075983A KR102374530B1 KR 102374530 B1 KR102374530 B1 KR 102374530B1 KR 1020200075983 A KR1020200075983 A KR 1020200075983A KR 20200075983 A KR20200075983 A KR 20200075983A KR 102374530 B1 KR102374530 B1 KR 10237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content
query message
relay server
conten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7770A (en
Inventor
송형석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에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에이아이 filed Critical (주)와이즈에이아이
Priority to KR102020007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530B1/en
Publication of KR2021015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7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의 응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계학습 기반 대화형 메신저 프로그램 등에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질의에 대하여 최적의 응답을 도출하여 회신하는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질의 메시지에 대한 서로 다른 기준에 따라 인텐츠를 도출하는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론율에 따른 우선순위별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question and answer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mal question-answering system and method for deriving and replying optimal responses to various types of queries from users in a machine learning-based interactive messenger program or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swer content is extracted through a plurality of reasoners that derive i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criteria for a query message, sorted by priorit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and provided to the user,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inten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swer that is consistent with

Figure R1020200075983
Figure R1020200075983

Description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 및 방법{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질의 응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계학습 기반 대화형 메신저 프로그램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질의에 대하여 최적의 응답을 도출하여 회신하는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estion-and-answer system, and to an optimal question-answering system and method applied to a machine learning-based interactive messenger program and the like to derive and reply optimal responses to various types of queries from users.

챗봇(chatter robot)과 같은 대화형 메신저 프로그램은 상담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수단을 이용하여 일상 언어로 마치 사람과 메시지를 이용하여 대화하듯이 질문을 입력하면, 인공지능(AI)이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일반적인 언어를 통해 사람과 채팅을 하듯 답변을 제공하는 대화형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interactive messenger program such as a chatter robot, when a user who wants a consultation uses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to input a question in everyday language as if talking with a person using a message, artificial intelligence (AI) generates big data Based on the analys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active messenger service that provides answers as if chatting with a person through a general language.

이러한 대화형 메신저 프로그램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상품 판매, 문의 등 단순상담뿐만 아니라,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는 원격진료 상담 분야까지도 점차 그 적용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이다.In accordanc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se interactive messenger programs are gradually expanding their application areas not only to simple consultations such as product sales and inquiries in online shopping malls, but also to remote medical consultations that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일반적으로, 대화형 메신저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자동적으로 답변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준비되지 않은 기계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질문을 입력 받은 경우, 질문에 대해 부적절한 답변을 제공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다.In general, an interactive messenger program interprets a message input from a user, automatically generates a reply message, and then provides it to the user. However, such a program has a limitation that, when an unprepared, mechanically unresponsive question is input, an inappropriate answer to the question is often provided.

이에 따라, 현재 기술수준에서는 대화형 메신저 프로그램은 단기간 내에 생성할 수 있는 적은 양의 데이터 업무나, 단순 상담 업무, 또는 지점 위치 안내나 전화 번호 안내 등 상품에 대한 지식이 없는 비숙련자도 처리할 수 있는 단순한 문의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을 뿐이며, 전문적인 상담지식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상담원 수준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추세이다.Accordingly, 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the interactive messenger program can handle a small amount of data work that can be cre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simple consultation work, or even unskilled people without product knowledge such as branch location information or phone number information. It can only be applied to simple inquiries, and it is a trend that requires skills to build professional counseling knowledge and learn programs at the level of an agent based on this.

등록특허공보 제10-2103273호(공고일자: 2020.05.21.)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03273 (Announcement Date: 2020.05.21.)

본 발명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의료 상담 분야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 수단을 통해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대화형 메신저 시스템에 적용되며,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복수의 추론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더 최적화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nteractive messenger system in which a user can perform a consultation through a message transmission means, including the medical consultation field, and can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re optimized response to a user through a plurality of reasoning units.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질의내용을 포함하는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서로 다른 특정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각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연결되어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여 추론율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optimal question answ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ponse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receiving a query message including query contents from a user, and one query message in different specific patterns. Through a content database server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at extract a plurality of different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 a query message, and respond to a plurality of the query messages from the content database server It may include a relay server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sor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and provides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은, 탑재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중계 서버가 게시한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access a web page posted by the relay server through a mounted web browser, receive the query message, and transmit it.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 및 상기 웹 페이지상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질의 메시지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달하는 질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 server provides a web page providing unit that publishes the web page online and an input interface on the web page to receive the query message, and transmits the query message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may include wealth.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가 저장되는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인텐츠를 추론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포함하고, 특정패턴에 따라 인텐츠를 추론하며 추론된 인텐츠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상기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론부, 다양한 인텐츠와 답변간의 관계가 정의된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는 학습 데이터 베이스 및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다수의 학습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상기 학습엔진에 입력하여 특정패턴을 도출하고, 상기 추론기에 제공하는 학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database server includes an answer content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is stored,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for inferring intents with respect to the query message, and inferring intents according to a specific pattern An inference unit for extracting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from the answer content database, a learning database in which learning data in which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intents and answers are defined are stored, and a plurality of learning engines performing machine learning, It may include a learning unit that inputs the learning data to the learning engine to derive a specific pattern and provides it to the reasoning unit.

상기 추론부는, 각 추론기로부터 추출된 답변 콘텐츠와 상기 질의 메시지간의 일치 정도를 수치값으로 나타내는 추론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상기 중계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asoning unit may calculate an inference rate representing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the answer content extracted from each reasoner and the query message as a numerical value, and transmit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ference rate to the relay server.

상기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는, 상기 복수의 추론기로부터 출력되는 추론율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추론율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로 정렬할 수 있다.The result arrangement unit of the relay server determines a priorit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for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reasoning units, and arranges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priority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can be sorted by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촤적 질의 응답 방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중계 서버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의한 최적 질의 응답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서버가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내용을 포함하는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가 추론율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 optimal query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mal query response method by a relay server and a content database ser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y server is receiving a query message including query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p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and the relay server arrang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다수의 학습엔진에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여 특정패턴을 도출하고, 추론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Before the content database server extracts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and transmits it to the relay server, the content database server inputs learning data to a plurality of learning engines that perform machine learning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riving a specific pattern and providing it to the reasoning machine.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상기 추론기를 통해 특정패턴에 따라 인텐츠를 추론하는 단계 및 상기 추론기가 추론된 인텐츠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답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xtracting, by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relay server includes the steps of: inferring, by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n i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pattern through the reasoning machine; The method may include extracting, by the reasoner,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intent from an answer database.

상기 추론기가 추론된 인텐츠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상기 답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론기가 추출된 답변 콘텐츠와 상기 질의 메시지간의 일치 정도를 수치값으로 나타내는 추론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상기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ing of the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intent by the reasoner from the answer database includes the steps of: calculating, by the reasoning machine, a reasoning rate representing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extracted answer content and the query message as a numerical value;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ference rate to the result organizer of the relay server.

상기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상기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 정리부가 상기 추론기로부터 출력되는 추론율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에 대하여 추론율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ference rate to the result organizing unit of the relay server, the result organizing unit determines a priorit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output from the reasoning unit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질의 메시지에 대한 서로 다른 기준에 따라 인텐츠를 도출하는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론율에 따른 우선순위별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swer content is extracted through a plurality of reasoners that derive i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criteria for a query message, and the content is sorted by priorit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and provided to the user,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inten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nswer that is consistent wi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의 전체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의 중계 서버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질의 입력을 위한 웹 페이지의 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verall connection structure of an optimal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s of a relay server and a content database server of an optimal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timal question answ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screen of a web page for entering a query provided by the optimal question answ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terminal" and "...system"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Meaning, it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embodiment" is meant to serve as an illustration, example, or illustration, but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examples. Also, although "comprising", "comprising", "having" and other similar terms are used, when used in the claims, "comprising" is an open transition word that does not exclude any additional or other elements. It can be used generically in a manner similar to the term "Comprising".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where appropriat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Terminal" and "...System" likewise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i.e., hardware ,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software in execution may be treated as equivalent. In addition, each function executed in th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module units, and may be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or may be recorded while being dispersed between two or more memories and recording media.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질의 응답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기재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optimal question and ans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bbreviated as "question answer system" or "syst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의 전체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verall connection structure of an optimal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질의내용을 포함하는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각 사용자 단말(100)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와 연결되어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고,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로부터 복수의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여 추론율에 따라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중계 서버(200) 및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서로 다른 특정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optimal question answ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user terminals 100 receiving a query message including query contents from a user, each user terminal 100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is connected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to transmit a query message, and receives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query messages from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and sor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relay server 200 and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answer content according to different specific patterns with respect to one query message may be included.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상담 등을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 장치로서, 공지의 스마트폰, 거치형 PC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통신수단이 탑재됨에 따라, 제1 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200)에 연결되어 중계 서버(200)가 온라인에 게시한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for conducting medical consultation us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nown smart phone, a stationary PC, etc. can be used, and as a communication means is mounted,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onnected to the relay server 200 through , and can access a web page posted online by the relay server 200 to use a messenger service.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공지의 Internet Explorer, Chrome 등의 웹 브라우저가 탑재될 수 있고 웹 페이지에 포함된 검색창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창을 통해 원하는 질의 메시지를 입력하여 인공지능 기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연어 질의를 통해 의료기관을 검색하거나, 의료 관련 상담 내용을 문의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equipped with a known web browser such as Internet Explorer or Chrome, and may display a search box included in a web page. The user can use the AI-based search service by entering a desired query message through the search box. In particular,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ssenger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user can search for a medical institution through a natural language query or inquire about medical related consultation contents.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As such a user terminal 100,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pad, tablet PC (Tablet) All kinds of handheld-based mobile terminal devices such as PC) and computing devices such as stationary PCs and notebook computers may be used.

중계 서버(200)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이를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회신함으로써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The relay server 200 may receive a query message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 it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 and also respond to the query message from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 By receiving the corresponding answer content and replying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rvice.

이를 위해, 중계 서버(200)는, 웹 페이지 제공수단뿐만 아니라, 입력된 질의 메시지를 제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전달하고, 그로부터 제공되는 질의 메시지에 대한 추론된 다수의 답변 콘텐츠를 우선순위에 따라 정리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하는 결과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 서버(200)의 구조 및 그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o this end, the relay server 200 transmits the input query message as well as the web page providing means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inferred a plurality of query messages provided therefrom. It may include a result delivery means for arranging the answer content of the according to the priority and delivering it to the user terminal 1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relay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중계 서버(200)는 준비된 HTML, Java script 등으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게시할 수 있는 공지의 Apache, ISS, nginx 등의 웹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The relay server 200 may be implemented as a well-known web server such as Apache, ISS, nginx, etc. that can publish a web page composed of prepared HTML, Java script, etc. online.

전술한 제1 및 제2 통신망으로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A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networks described above, long-term evolution (LTE), LTE Advance (LTE-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iBro Any one of (Wireless Broadband)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may be used.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을 통해 도출된 추론기를 포함하고, 학습엔진에 의해 도출된 특정패턴을 이용하여 다수의 추론기를 통해 질의 메시지에 대한 복수의 인텐츠(intents)를 추론하고, 인텐츠와의 연관성에 따라 미리 준비된 다수의 답변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서로 다른 특정패턴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includes a reasoner deriv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rning, and infers a plurality of intents for the query message through a plurality of reasoners using a specific pattern derived by the learning engine. and extracting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prepa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with the intents to extract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specific patterns.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는 공지의 관계형 또는 객체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IBM DB2, Oracle, MySQL, MS-SQL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well-known relational or object type database system, such as IBM DB2, Oracle, MySQL, or MS-SQL server.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은 의료기관 등에 대한 상담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을 통해 자연어로 구성되는 질의 메시지를 통해 문의사항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독립적으로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한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에 회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가장 부합하는 최적의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optimal question answ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when a user inputs an inquiry through a query message composed of natural language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online during consultation with a medical institution, etc. can provide an optimal response that best meets the user's intentions by independently extract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to a single query message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sorting them according to priority, and replying to the user termina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의 중계 서버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lay server and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of the optimal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의 중계 서버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서버의 구성부들은 공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서버장치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s of a relay server and a content database server of an optimal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stituent units of each server can be implemented by a known microprocessor, recorded on a readable and writable recording medium, and mounted on the server devic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은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100)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를 서로 연결하는 중계 서버(200)와, 기계학습을 통해 질의 메시지에 자연어에 존재하는 특정패턴을 찾아내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동일 내지 유사범주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여 중계 서버(200)에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optimal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 page and performs machine learning and a relay server 200 that connects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 content database server 300 that finds a specific pattern existing in natural language in a query message through the .

상세하게는, 중계 서버(200)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210), 웹 페이지상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질의 메시지를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전달하는 질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relay server 200 provides a web page providing unit 210 that publishes a web page online, an input interface on the web page to receive a query message, and transmits the input query message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It may include a query unit 220 that transmits to 300 .

웹 페이지 제공부(210)는 HTML, CSS 등 공지의 언어로 작성된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게시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The web page providing unit 210 may publish a web page written in a known language such as HTML or CSS online. The web page may provide a search interface, 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access the web page through a web browser and input a query message through the search interface.

질의부(220)는 웹 페이지 제공부(210)의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질의 메시지를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질의 메시지는 한글 또는 영문 등의 다수의 문자로 구성되어 하나의 문장을 이루는 텍스트일 수 있고, 질의 메시지는 하나의 문장을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구비된 복수의 추론기에 각각 모두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추론결과를 회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The query unit 220 may transmit a query message input through the web page of the web page providing unit 210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 In this case, the query message may be text tha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such as Korean or English to form one sentence, and the query message is input to a plurality of reasoning units provided in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 respectively. This allows multiple inference results to be returned.

결과 정리부(230)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질의 메시지에 대한 추출된 탐색 콘텐츠를 수신하여 그 질의 메시지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100)에 회신할 수 있다.The result organizing unit 230 may receive the extracted search content for the query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and reply to the user terminal 100 having input the query message.

특히, 결과 정리부(230)는 추론부(320)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모두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하되, 복수의 추론기(325)로부터 출력되는 추론율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에 대하여 추론율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로 정렬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질의 결과 검색된 하나 이상의 답변 콘텐츠를 그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의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sult organizing unit 230 transmits all of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extracted by the reasoning unit 320 to the user terminal 100 , but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reasoning units 325 . , a prior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inference rate, and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may be sorted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Accordingly, the user may sequentially check one or more answer contents searched for as a result of a query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ir ranking, and may obtain intended information.

전술한 구조에 따라,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질의 메시지를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제공하며 답변 콘텐츠를 회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relay server 200 may provide the query message of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and return the answer content.

또한, 상기의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가 저장되는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310),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인텐츠를 추론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325)를 포함하고, 특정패턴에 따라 인텐츠를 추론하며 추론된 인텐츠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답변 데이터 베이스(310)로부터 추출하는 추론부(320),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다수의 학습엔진을 포함하고, 학습 데이터를 학습엔진(335)에 입력하여 특정패턴을 도출하고, 추론기에 제공하는 학습부(330) 및 다양한 인텐츠와 답변간의 관계가 정의된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는 학습 데이터 베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database server 300 includes an answer content database 310 in which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is stored, and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325 for inferring an intent with respect to a query message, It includes an inference unit 320 that infers an intent according to a pattern and extracts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intent from the answer database 310, a plurality of learning engines that perform machine learning, and learns the learning data. It may include a learning unit 330 input to the engine 335 to derive a specific pattern and provided to the reasoning unit, and a learning database 340 in which learning data in which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intents and answers are defined are stored.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310)는 다수의 인텐츠에 대한 다수의 답변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추론기(325)의 특정패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310)는 이후 서로 다른 학습엔진에 의해 학습된 서로 다른 특정패턴이 추론기(325)에 제공됨에 따라 갱신되는 답변 데이터 또한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answer content database 310 may store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for a plurality of intents, and may provide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 specific pattern of the reasoner 325 . Here, each answer content database 310 may store answer data that is updated as different specific patterns learned by different learning engines are provided to the reasoning unit 325 and also different data.

추론부(320)는 질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인텐츠를 추론하고 그 인텐츠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론부(320)는 서로 다른 복수의 학습엔진에 의해 도출된 복수의 추론기(325)를 포함할 수 있고, 질의 메시지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인텐츠를 추론한다.The inference unit 320 may infer an intent based on the query message and extract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tent. The reasoning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asoners 325 derived by a plurality of different learning engines, and analyzes a query message to infer an intent thereof.

일례로서, 질의 메시지가 "라식 수술 종류 알려줘"라는 하나의 문장이라고 할 때, 이 문장은 "라식" + " "+ "수술" + " " + "종류" + " " + "알려줘"의 복수의 단어 또는 토큰으로 파싱할 수 있고, 추론기(325)는 파싱된 단어 또는 토큰의 각각의 의미 및 어순에 따라 문장의 패턴을 도출하고, 학습엔진(335)에 의해 도출된 특정패턴에 입력하여 문장이 의미하는 바, 즉 '인텐츠(intents)' 추론하게 된다. As an example, if the query message is a single sentence, "Tell me the type of LASIK surgery," this sentence is a plural of "LASIK" + " "+ "Surgery" + " " + "Type" + " " + "Tell me". It can be parsed into words or tokens, and the reasoning unit 325 derives a pattern of a sentence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word order of each of the parsed words or tokens, and inputs the sentence to a specific pattern derived by the learning engine 335 . What this means, 'intents', is inferred.

특히, 추론기(325)는 각각 서로 다른 학습 데이터에 의해 기계학습을 수행한 학습엔진(335)에 의한 특정패턴을 이용하여 질의 메시지를 분석함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갖는 인텐츠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론기(325)는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된 다수의 답변 콘텐츠 중 가장 적합한 하나 이상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asoner 325 may derive intents having different results by analyzing the query message using a specific pattern by the learning engine 335 that has performed machine learning with different learning data. . In addition, the reasoner 325 may extract at least one most suitable answer cont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stored in the answer content database 310 .

또한, 추론부(320)는 추출된 답변 콘텐츠와 질의 메시지간의 일치 정도를 수치값으로 나타내는 추론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중계 서버(200)의 결과 정리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과 정리부(230)는 복수의 추론기(325)가 추출한 추론율을 갖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그 추론율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정렬하여 웹 페이지상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reasoning unit 320 calculates an inference rate representing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the extracted answer content and the query message as a numerical value, and transmits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asoning rate to the result organizing unit 230 of the relay server 200 . can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result organizing unit 230 may receive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having an inference rate extracted by the plurality of reasoning units 325, and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and prioritize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so that they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web page.

학습부(330)는 서로 다른 지도 학습 기법 또는 서로 다른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특정패턴을 도출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추론기(325)에 제공할 수 있다. The learning unit 330 may derive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attern using different supervised learning techniques or different learning data, and may independently provide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atterns to the reasoning unit 325 .

학습부(330)는 복수의 학습엔진(335)을 포함할 수 있고, 학습엔진(335)은 학습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된 다양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을 통해 단어, 어순 및 문장에 따른 특정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추론기(325)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라식"에서 "눈", "근시" 및 "안과" 등을 도출할 수 있고, "수술"에서 "치료", "시술" 등을 도출할 수 있다. The learning unit 3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arning engines 335 , and the learning engine 335 uses a variety of learning data stored in the learning database 340 through machine learning to specify specific words, word order, and sentences. A pattern may be derived and provided to the reasoner 325 . As an example, "eye", "myopia", and "ophthalmology" may be derived from "LASIK", and "treatment", "operation" and the like may be derived from "surgery".

학습 데이터 베이스(340)는 다수의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학습엔진(335)에 의해 기계학습시 저장된 다수의 학습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엔진(335)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earning database 340 may store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The learning data may improve the accuracy of the learning engine 335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stored during machine learning by the learning engine 335 .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의료기관에 특화된 시스템임에 따라, 병원, 보건소 등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전문 용어 또는 빈도수 높은 용어들을 학습 데이터로 구축하여 병원 업무에 특화된 콘텐츠를 보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specialized for a medical institution, it can be implemented to hold contents specialized for hospital work by building specialized terms or terms with high frequency used in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as learning data.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한 최적 질의 응답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timal method for answering a question by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3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timal question answ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in the description below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방법은 중계 서버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의한 최적 질의 응답 방법으로서, 중계 서버가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내용을 포함하는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00) 및 중계 서버가 추론율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 the optimal query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mal query response method using a relay server and a content database server. receiving a mess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S100), extract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by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relay server (S200), and the relay server It may include a step (S300) of arrang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먼저, 중계 서버가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내용을 포함하는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00)로서,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질의하고자 하는 질의 메시지를 검색창이 입력하면, 중계 서버가 질의 메시지를 수신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송한다.First, the relay server receives a query message including the query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eb pag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S100). A user who wants to use the messenger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user terminal Thus, when the web p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essed and a query message is input in the search box, the relay server receives and transmits the query message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다음으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00)로서, 추론부가 입력된 질의 메시지를 파싱하여 문장을 분석하고, 각 추론기별 서로 다른 학습 데이터에 의한 학습엔진의 기계학습 결과로 도출된 특정패턴에 따라 인텐츠를 추론함과 아울러 인텐츠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Next, the content database server extracts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and transmits them to the relay server (S200). The reasoning unit parses the input query message to analyze the sentence, and for each reasoner The intent is inferred according to a specific pattern derived as a result of machine learning of the learning engine based on different learning data, and the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tent is extracted from the answer content database.

다음으로서, 중계 서버가 추론율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00)에서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S200 단계에서 추출한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중계 서버에 전송함과 아울러, 추론부가 제공하는 답변 콘텐츠별 추론율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Next, in the step (S300) of the relay server arranging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database server transmits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extracted in the step S200 to the relay server, as well as reasoning The priori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erence rate for each answer content provided by the supplement, and the order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S200 단계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추론기를 통해 특정패턴에 따라 인텐츠를 추론하는 단계(S210) 및 추론부가 추론된 인텐츠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답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S220)로 세분화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 in step S200 described above, the content database server infers the i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pattern through the reasoner ( S210 ) and the reasoning unit returns the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intent to the answer data It can be subdivided into the step of extracting from the base (S220).

상세하게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추론기를 통해 특정패턴에 따라 인텐츠를 추론하는 단계(S210)로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추론부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특정패턴에 따라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인텐츠를 추론하는 추론기가 포함되어 있고, 각 추론기별로 서로 다른 기준에 의해 인텐츠를 추론하게 된다. In detail, as a step (S210) of the content database server inferring the intent according to a specific pattern through the reasoning unit, the inference unit of the content database server receives the intent for the query messag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fic patterns. The reasoning machine for inference is included, and the intent is inferred according to different criteria for each reasoner.

다음으로, 추론기가 추론된 인텐츠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답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S220)에서는 각 추론기별로 추론된 인텐츠에 대응하는 답변 콘텐츠를 답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로서, 추론기마다 하나 이상의 답변 콘텐츠가 추출됨에 따라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복수의 답변 콘텐츠가 추출될 수 있다.Next,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intent by the reasoner from the answer database (S220), extracting the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intent for each reasoner from the answer database, As one or more answer contents are extracted for each group,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may be extracted with respect to one query message.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S220 단계는, 추론부가 질의 메시지와 답변 콘텐츠간의 일치 정도를 수치값으로 나타내는 추론율을 산출하는 단계(S221) 및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로 송신하는 단계(S2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 in step S220 described above, the reasoning unit calculates an inference rate representing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query message and the answer content as a numerical value ( S221 ) and relaying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ference rate to the relay server It may include a step (S222) of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organizing unit.

추론기가 추론된 인텐츠와 추출된 답변 콘텐츠와의 일치 정도를 수치값으로 나타내는 추론율을 산출하는 단계(S221)에서는 각 추론기들의 인텐츠를 이용하여 답변 콘텐츠를 추출함에 있어서, 추출한 답변 콘텐츠와 원 데이터인 질의 메시지의 일치 정도를 백분율 수치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In the step (S221) of the reasoning machine calculating the inference rate representing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inferred intent and the extracted answer content as a numerical value, in extracting the answer content using the intents of each reasoner, the extracted answer content and The degree of matching of the query message, which is the raw data, can be calculated as a percentage numerical value.

다음으로,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로 송신하는 단계(S222)는 추론기가 추출된 복수의 답변 콘텐츠 및 그 추론율을 결과 정리부에 전송함으로써 정리 후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ference rate to the result organizing unit of the relay server (S222) is to transmit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 extracted by the reasoning machine and the inference rate to the result organizing unit, so that the user through the web page after organizing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S222 단계는 결과 정리부가 추론기로부터 출력되는 추론율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에 대하여 추론율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S2221) 및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로 정렬하는 단계(S2222)를 포함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6, the above-described step S222 is a step (S2221) of determining a priorit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output from the reasoning unit by the result organizing unit (S2221) and a plurality of pieces according to the priority It may include arranging the answer content of the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S2222).

상세하게는, 결과 정리부가 추론기로부터 출력되는 추론율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에 대하여 추론율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S2221)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답변 콘텐츠의 추론율에 따라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가 그 수치 또는 백분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의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In detail, the step (S2221) of determining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output from the reasoning unit by the result organizing unit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of the answer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database server The result organizer of the relay server determines the ranking of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numerical value or percentage.

다음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로 정렬하는 단계(S2222)에서는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이를 웹 페이지에 반영함으로써,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가 정확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답변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Next,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S2222), by sequentially arranging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and reflecting it on the web page, the user accessing the web page to check the answer content in the order of highest accurac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화면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n example of a screen of a web page provided by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이 제공하는 질의 입력을 위한 웹 페이지의 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screen of a web page for entering a query provided by the optimal question answ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은 의료기관 등에 대하여 고객들의 방문예약, 진료문의 등을 요청할 수 있는 홈페이지 내지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웹 페이지(W100)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가 질의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W1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optimal question-and-ans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homepage or web page for requesting a visit reservation, medical inquiry, etc. of customers to a medical institution, etc., and such a web page W100 is It may include a search window W110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hrough their user terminal can input a query message.

일례로서, 사용자는 "라식 수술 종류 알려줘"라는 질의 메시지를 검색창(W110)에 입력할 수 있고, 중계 서버는 입력된 질의 메시지를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송하여 인텐츠를 추론하고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여 웹 페이지(W1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query message “Tell me the type of LASIK surgery” into the search window W110, and the relay server transmits the entered query message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to infer the intent and receive the answer content. Thus, i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web page W100.

또한, 중계 서버는 현재 시스템에 등록된 의료기관 및 그 기관에 속한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웹 페이지(W1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이를 위한 알림창(W120)은 수신한 답변 콘텐츠에 따라 질의된 내용에 대하여 연결 가능한 의료기관 또는 의료진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y server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medical institution currently registered in the system and the medical staff belonging to the institution through the web page W100. In particular, the notification window W120 for this purpose is the content of the inquiry according to the received answer content. Can indicate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or medical staff that can be connected to

또한, 웹 페이지(W100)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표시하는 결과창(W130)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창(W130)은 복수의 답변 콘텐츠에 대한 추론율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우선순위가 적용되어 있고, 그 우선순위에 따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답변 콘텐츠로서 시스템에 등록된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the web page W100 may include a result window W130 display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database server. In the result window W130, a priority set based on an inference rate for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is applied, and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7 shows an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medical institution registered in the system as response content to a query message.

사용자는 전술한 결과창(W130)상에 포함된 의료기관의 정보를 확인하고, 의도에 따른 어느 하나의 의료기관을 선택하여 이후 대화형 메신저와의 대화를 계속하여 이어하거나, 해당 의료진과의 직접 채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user confirms the inform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result window W130, selects any one medic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and then continues the conversation with the interactive messenger, or directly chats with the medical institution can also be done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Although many matters a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se should be construed as examples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100 : 사용자 단말 200 : 중계 서버
210 : 웹 페이지 제공부 220 : 질의부
230 : 결과 정리부 300 :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
310 :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320 : 추론부
325 : 추론기 330 : 학습부
335 : 학습엔진 340 : 학습 데이터 베이스
100: user terminal 200: relay server
210: web page providing unit 220: query unit
230: result organizer 300: content database server
310: answer content database 320: reasoning unit
325: reasoning machine 330: learning unit
335: learning engine 340: learning database

Claims (11)

사용자로부터 질의내용을 포함하는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서로 다른 특정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각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연결되어 질의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여 추론율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가 저장되는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인텐츠를 추론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추론기가 각각 특정패턴에 따라 인텐츠를 추론하여 추론된 복수의 인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상기 답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론부;
다양한 인텐츠와 답변간의 관계가 정의된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는 학습 데이터 베이스; 및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서로 다른 기법이 적용된 다수의 학습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상기 학습엔진에 입력하여 특정패턴을 도출하고, 복수의 추론기에 제공하는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론부는,
각 추론기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답변 콘텐츠와 상기 질의 메시지간의 일치 정도를 수치값으로 나타내는 추론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상기 중계 서버로 송신하는 것인,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
one or more user terminals for receiving a query message including query contents from a user;
a content database server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specific patterns with respect to one query message; and
Each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database server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 query message, and receives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query message from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nd sor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 relay server provided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n answer content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is stored;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for inferring intents with respect to one query message; an inference unit extracting from the content database;
a learning database in which learning data in which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intents and answers are defined;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learning engines to which different techniques for performing machine learning are applied, and a learning unit that inputs the learning data to the learning engine to derive a specific pattern, and provides it to a plurality of reasoning machines,
The reasoning unit is
An optimal question answering system that calculates an inference rate representing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extracted from each reasoner and the query message as a numerical value, and transmits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ference rate to the relay serv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탑재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중계 서버가 게시한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n optimal question-and-answer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query message by accessing a web page posted by the relay server through a built-in web brow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 및
상기 웹 페이지상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질의 메시지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달하는 질의부
를 포함하는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lay server is
a web page providing unit for posting the web page online; and
A query uni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on the web page, receives the query message, and delivers the input query message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n optimal question-and-answer system that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는,
상기 복수의 추론기로부터 출력되는 추론율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추론율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로 정렬하는 최적 질의 응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ult organizing unit of the relay server,
An optimal question-and-answer system for determining a priorit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reasoners, and arranging the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청구항 1에 기재된 중계 서버 및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의한 최적 질의 응답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 서버가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질의내용을 포함하는 질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서로 다른 기법이 적용된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다수의 학습엔진에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여 특정패턴을 도출하고, 복수의 추론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가 추론율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서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추론기를 통해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추론기가 각각 특정패턴에 따라 인텐츠를 추론하여, 추론된 복수의 인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답변 콘텐츠와 상기 질의 메시지간의 일치 정도를 수치값으로 나타내는 추론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상기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적 질의 응답 방법.
An optimal method for answering questions by the relay server and content database server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by the relay server, a query message including query contents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web pag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query message to the content database server;
inputting, by the content database server, learning data to a plurality of learning engines that perform machine learning to which different techniques are applied, deriving a specific pattern, and providing it to a plurality of reasoning units;
extracting, by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query message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relay server; and
Comprising the step of the relay server arrang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The step of extracting, by the content database server,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query message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reasoners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relay server,
calculating, by a plurality of reasoning units, intents according to a specific pattern, respectively, and calculating an inference rate indicating a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ferred intents and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query message as a numerical value; and
and transmitt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ference rate to a result organizing unit of the relay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추론율에 따른 답변 콘텐츠를 상기 중계 서버의 결과 정리부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과 정리부가 상기 추론기로부터 출력되는 추론율에 따른 복수의 답변 콘텐츠에 대하여 추론율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답변 콘텐츠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로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최적 질의 응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ransmitting the answer conte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ference rate to the result organizing unit of the relay server comprises:
determining, by the result arrangement unit, a priority according to an inference rat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according to the inference rate output from the reasoning unit; and
Sorting a plurality of answer contents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An optimal question-and-answer method including
KR1020200075983A 2020-06-22 2020-06-22 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74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83A KR102374530B1 (en) 2020-06-22 2020-06-22 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83A KR102374530B1 (en) 2020-06-22 2020-06-22 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70A KR20210157770A (en) 2021-12-29
KR102374530B1 true KR102374530B1 (en) 2022-03-16

Family

ID=7917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83A KR102374530B1 (en) 2020-06-22 2020-06-22 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5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450B1 (en) * 2023-11-29 2024-02-14 아티움그룹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rehensive counseling services in various field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virtual environ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20B1 (en) * 2017-06-08 2018-02-09 윤준호 Server for call cent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420B1 (en) * 2017-11-20 2020-02-11 미스터마인드 주식회사 Chatbot trainer platfor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103273B1 (en) 2018-02-27 2020-04-22 주식회사 와이즈넛 Method and apprartus for chatbots in customer service analyzing hierarchical user expression and generating responses
KR102725646B1 (en) * 2018-09-19 2024-11-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arsing system for chat bot service based on book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20B1 (en) * 2017-06-08 2018-02-09 윤준호 Server for call cent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70A (en)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0073B2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operating and training a text-based chatbot
US11334635B2 (en) Domain specific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of customer intent in self-help
KR100880467B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building an online community of intelligence
US20180152396A1 (en) Designating Automated Agents as Friends in Social Network Service
US83016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human searchers
Floridi Understanding epistemic relevance
US79257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qualifying user engagement with a website
Webb et al. What’s important in AAC decision making for children? Evidence from a best–worst scaling survey
US9171255B2 (en) Method, software, and system for making a decision
EP3834162A1 (en) Dynamic and continous onboarding of service providers in an online expert marketplace
Cohn et al. Changes in scholarly influence in major American criminology and criminal justice journals between 1986 and 2015
KR102374530B1 (en) Optimized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00159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ication, Personalization and Customizable Filtering of Search Results and Search Result Ranking in an Internet-Based Search Engine
JP6703801B2 (en) server
JP5498309B2 (en) Q & A site membership recruitment system
Arsovski et al. An approach to email categorization and response generation
Tucker et al. Search evolution for ease and speed: A call to action for what’s been lost
JP7490905B1 (en) Job search support system, job search support method and program
Sturmberg Implementing best practice guidelines: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Vengal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nstrual Health: A Chatbot Approach to Personalized and Stigma-Free Conversations
KR102737639B1 (en) 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frequently asked questions generating service
Arbelaitz et al. Web mining for navigation problem detection and diagnosis in D iscapnet: A website aimed at disabled people
Topac Improving text accessibility and understanding of domain-specific information
Zając et al. Analysis of the digital accessibility of selected Polish government porta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O2022157367A1 (en)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validating, and communicating job ma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3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