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459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459B1
KR102374459B1 KR1020140172376A KR20140172376A KR102374459B1 KR 102374459 B1 KR102374459 B1 KR 102374459B1 KR 1020140172376 A KR1020140172376 A KR 1020140172376A KR 20140172376 A KR20140172376 A KR 20140172376A KR 102374459 B1 KR102374459 B1 KR 10237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attery cover
present
lay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3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6936A (en
Inventor
유수만
김하용
배택윤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459B1/en
Publication of KR2016006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9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1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using streams of abrasive p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패턴이 형성된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커버는 몰드와, 상기 몰드 상에 위치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상에 증착(deposition)된 후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제거된 적어도 일부에 대응된 상기 인쇄층이 노출되어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증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터리 케이스 상의 증착층의 두께가 일정하여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색상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다.Disclosed are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nd a battery cover having a patter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wherein the battery cover includes a mold, a printed layer positioned on the mold, and a deposition ( After being deposited), at least a portion is removed to expose the printed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moved at least a port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position layer forming th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on the battery case is constant, a desired color can be freely realized in a desired par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커버 상의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색상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freely implementing a desired color on a desired portion on a battery cov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 mobile/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Aga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it.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there are functions for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 of images or videos to the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dd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perform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such a terminal is diversified in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receiving broadcasts, etc. is being implemented.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종래에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상에 원하는 색을 도포한 후 색이 표시될 때까지 레이져 에칭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도포한 색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원하는 색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fter applying a desired color on the battery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a laser etching method is used until the color is displayed.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color is not constant, so that the desired color cannot be realiz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베터리 케이스 상의 증착층의 두께가 일정하여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색상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desired color can be freely implemented on a desired par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nce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on the battery case is constan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패턴이 형성된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커버는 몰드와, 상기 몰드 상에 위치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상에 증착(deposition)된 후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제거된 적어도 일부에 대응된 상기 인쇄층이 노출되어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증착층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it includes a case, and a battery cover having a patter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wherein the battery cover includes a mold and a printed layer positioned on the mold and, after being deposited on the printed layer, at least a portion is removed to expose the printed layer corresponding to the removed at least por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eposition layer forming the pattern.

상기 인쇄층은 상기 패턴을 포함하는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 layer may be formed on an area including the pattern.

상기 패턴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쇄층은 상기 패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나누어져 있을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pattern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rinted laye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pattern.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증착층 상에 위치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보호하는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A protective layer for protecting the battery cover positioned on the deposi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battery cover.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몰드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 상에 일정한 두께의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착층을 의 적어도 일부를 에칭하는 단계, 및 보호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forming a mold, forming a printed layer on the mold, forming a deposition layer of a certain thickness on the printed layer, the deposition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etc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yer, and coating a protective layer.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터리 케이스 상의 증착층의 두께가 일정하여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색상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on the battery case is consta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esired color can be freely implemented on a desired part.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라인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기존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nd a slate PC. ,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for example, watch-type terminals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s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may be included. there is.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a digital signag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will b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후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2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200 shown in FIG. 1 .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200 ha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 리어 케이스(202) 및 배터리 커버(203)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소자가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20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ncludes a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201 , a rear case 202 , and a battery cover 203 . Various elements are incorpor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201 and the rear case 202 . At least one frame 204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201 and the rear case 202 .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titanium (Ti), or aluminum (Al).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모듈(252), 근접센서(241), 카메라 모듈(2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에는 마이크(222), 측면 입력부(232),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A display unit 251 , a sound output module 252 , a proximity sensor 241 , a camera module 221 ,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mainly the front case 201 . A microphone 222 , a side input unit 232 , an interface 270 ,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sides of the front case 201 and the rear case 202 .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모듈(252), 근접센서(241), 카메라 모듈(221)이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전면 입력부(231)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201 . That is, the display unit 251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is form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The sound output module 252, the proximity sensor 241, and the camera module 2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251, and the front input unit 231 is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can

전면 입력부(231)는 사용자 입력부의 일 예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입력부(231)는 터치키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입력부(231)에 푸시키가 추가될 수 있다.The front input unit 231 is an example of a user input uni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nipulation units. The manipulation units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any method may be employed as long as it is a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hile going through a tactile feeling.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input unit 231 is configured as a touch ke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ush key may be added to the front input unit 231 .

또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 전면에 전면 입력부(231)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200)는 단말기 본체에 대한 입력조작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술할 후면 입력모듈(233)를 통하여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display unit 2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a touch sensor, and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be a user input unit. Through this, a configuration without the front input unit 231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input operation to the terminal body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and the rear input module 233 to be described later.

사용자 입력부(130)의 또 다른 일 예로서 구성되는 측면 입력부(232)는 음향출력모듈(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side input unit 232 configured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30 inputs a command such as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odule 252 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251 to a touch recognition mode. can receive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 모듈(221')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카메라(2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camera module 221 ′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202 . The camera module 221 ′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camera 221 (refer to FIG. 1 ),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camera module 221 .

예를 들어, 전면의 카메라 모듈(2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후면의 카메라 모듈(221')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들(221, 2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ront camera module 221 has a low pixel so that there is no difficulty in capturing the user's face and transmitting it to the other party in the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rear camera module 221' takes a general subject and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immediately. The camera modules 221 and 22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to be rotated or pop-up.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시(223)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223)는 카메라 모듈(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2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223 and a mirro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module 221 ′. The flash 223 illuminat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221 ′. The mirror allows the user to reflect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photograph himself (self-photography) using the camera module 221'.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음향출력모듈(2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출력모듈(252')은 전면의 음향출력모듈(252, 도 2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 sound output module 2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rear sound output module 252'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ront sound output module 252 (refer to FIG. 2),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91)가 장착된다. 배터리(291)는 전원공급부(190)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배터리(291)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 battery 291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200 is mounted in the terminal body. The battery 291 is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power supply unit 190 . The battery 291 may be built into the terminal body or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rminal body.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입력모듈(233)가 배치된다. 후면 입력모듈(233)는 사용자 입력부의 또 다른 일 예로서 구성된다. 후면 입력모듈(233)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a rear input module 233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rear input module 233 is configured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The rear input module 233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camera module 221' ex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후면 입력모듈(233)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출력모듈(252, 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rear input module 233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and input contents may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off, start, end, scroll, etc., adjustmen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odules 252 and 252', or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module 251, etc. You can get the same command as input.

본 발명의 후면 입력모듈(233)는 푸시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이하, 상기 후면 입력모듈(233)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rear input module 23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push input.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input module 23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분해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bile terminal 200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에는 회로기판(PCB, 281)이 내장된다. 회로기판(281)은 프론트 케이스(201) 또는 리어 케이스(202)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구조물은 프레임(204)이 될 수 있다. 이하,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가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들(201, 20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 a circuit board (PCB, 281) is built in the terminal body. The circuit board 28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201 or the rear case 202 , or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structure. The separate structure may be the frame 204 .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case 201 and the rear case 202 are separately provid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ases 201 and 202 may be integrally formed.

회로기판(281)은 이동 단말기(2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제어부로서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회로기판(281)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된다. 회로기판(281)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28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서브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이들의 적어도 일부가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공간적으로 확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ircuit board 281 is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200 .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81 to perform a function as a control unit.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281 may be provid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circuit board 281 may include a main circuit board and a sub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some of them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to have a spatially expanded structure. there is.

리어 케이스(202)에는 배터리(291)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292)가 형성되며, 배터리 커버(203)는 배터리 수용부(292)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2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291)가 착탈 가능한 상기 구조와 달리, 배터리(291)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착탈이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A battery accommodating part 292 accommodating the battery 291 is formed in the rear case 202 , and the battery cover 20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202 to cover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292 . Unlike the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291 is detachable, the battery 291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and thus may be configured to be non-removable.

카메라 모듈(221')은 회로기판(2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어 후면 상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amera module 221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81 ,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body to capture an external image on the rear side.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면 입력모듈(233)이 구비된다. 배터리 커버(203)에는 후면 입력모듈(233)에 대응되는 관통홀(203a)이 형성된다. 후면 입력모듈(233)은 관통홀(203a)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다.A rear input module 233 operably forme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 through hole 203a corresponding to the rear input module 233 is formed in the battery cover 203 . The rear input module 233 is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203a to be operable.

후면 입력모듈(233)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2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한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모듈(233)은 단말기 본체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모듈(23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ear input module 233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ront display unit 2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rear input module 23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terminal body using his index finger when holding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module 233 may be changed.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후면 입력모듈(233)이 구비됨으로써,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면 입력모듈(233)이 전면 입력부(231)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전면에 전면 입력부(231)가 미배치되는 경우 전면의 디스플레이부(2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Since the rear input module 233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rear input module 233 replaces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ront input unit 231 , so that when the front input unit 231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side, the front display unit 251 becomes a larger screen. can be configured.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relat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라인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상부면에 여러가지 패턴(261)이 위치할 수 있다. 패턴(261)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패턴(261)의 폭(W1)은 일정하지 않으며, 패턴(261)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패턴(261)의 폭(W1)과 형상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생략하고 동일한 경우만을 도시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 various patterns 261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261 may bring a visual effect to the user. The width W1 of the pattern 261 is not constant, and the shape of the pattern 261 may not be the sam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width W1 and the shape of the pattern 261 are not the same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same case will be illustrated.

각각의 패턴(261)은 서로 같은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각각의 패턴(261)은 서로 다른 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패턴(261)의 색상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Each of the patterns 261 may have the same color as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of the patterns 261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colors. The color of the pattern 261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203) 상에 패턴(261)이 위치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프론트 케이스(201), 리어 케이스(202) 상에 패턴(261)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가 아닌 다른 물품의 외면 상에도 패턴(261)이 위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attern 261 is positioned on the battery cover 203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attern 261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case 201 and the rear case 202 . Also, the pattern 261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an article other than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203)는 몰드(263), 인쇄층(265), 증착층(267), 보호층(269)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battery cover 203 may include a mold 263 , a printed layer 265 , a deposition layer 267 , and a protective layer 269 .

몰드(263)는 배터리 커버(203)의 몸체일 수 있다. 몰드(263)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mold 263 may be the body of the battery cover 203 . The mold 263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titanium (Ti), aluminum (Al), or the like.

몰드(263) 상에 인쇄층(265)이 위치할 수 있다. 인쇄층(265)은 직접 디지털 프린팅(DDP, direct digital printing)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인쇄층(265)은 단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쇄층(265)은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 printed layer 265 may be positioned on the mold 263 . The print layer 265 may be formed using direct digital printing (DDP). The printed layer 265 may be formed of a single col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inted layer 265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colors.

인쇄층(265)은 각각의 패턴이 새겨질 위치마다 각각 다른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인쇄층(265a 내지 265f)은 각각의 패턴에 알맞은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층(265)은 도장이 아닌 디지털 프린팅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층(265)은 여러 번 인쇄층을 프린팅 하지 않아도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265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color for each position where each pattern is to be engraved. Each of the print layers 265a to 265f may be configured with a color suitable for each pattern. Since the printing layer 265 uses a digital printing technique rather than a painting, a desired color may be included in a desired position. Accordingly, the print layer 265 may implement a desired color at a desired location without printing the print layer several times.

각각의 패턴(261)은 사용자에게 각각의 인쇄층(265a 내지 265f)의 색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패턴(261)마다 다른 색상을 띌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커버(203)의 미관이 더 향상될 수 있다.Each pattern 261 may be recognized by a user as a color of each of the print layers 265a to 265f. Accordingly, since each pattern 261 may have a different color, the aesthetics of the battery cover 203 may be further improved.

인쇄층(265)이 몰드(263) 전체 부분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인쇄층(265)은 패턴(261)을 포함하는 일부 부분 상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printed layer 265 is illustrated as being positioned on the entire portion of the mold 263 ,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inted layer 265 may be positioned only on a portion including the pattern 261 .

인쇄층(265) 상에 증착층(267)이 위치할 수 있다. 증착층(267)은 인쇄층(265)보다 훨씬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증착층(267)은 수 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A deposition layer 267 may be positioned on the printed layer 265 .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have a thickness much thinner than that of the printed layer 265 . For example,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have a thickness of several Å.

증착층(267)은 인쇄층(265)의 패턴(261)에 해당하는 부분 상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증착층(267)은 단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증착층(267)은 전체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267 may not be positioned 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261 of the printed layer 265 .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have a single color.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deposited with the same thickness over the entire area.

증착층(267) 상에 보호층(269)이 위치할 수 있다. 보호층(269)은 배터리 커버(203)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보호층(269)은 투명 또는 유색투명한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269)은 표면 광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보호층(269)은 UV 경화제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A passivation layer 269 may be positioned on the deposition layer 267 . The protective layer 269 may be used to protect the battery cover 203 . The protective layer 269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colored transparent color. Accordingly, the protective layer 269 may have a surface gloss effect. The protective layer 269 may be provided using a UV curing agent or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의 제조 방법은 몰드(263)를 준비하는 단계(S10), 몰드(263) 상에 디지털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인쇄층(265) 상에 일정한 두께의 도막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증착층(267)의 적어도일부를 레이져 에칭하는 단계(S40), 보호층(269)을 증착층(267)에 코팅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6 to 8,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mold 263 (S10), digitally printing on the mold 263 to form a printed layer ( S20), depositing a coating film of a certain thickness on the printed layer 265 to form a deposition layer (S30), laser etc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eposition layer 267 (S40), and a protective layer 269. It may include coating the deposition layer 267 (S50).

우선, 몰드(263)를 준비할 수 있다(S10). 몰드(263)는 상기 설명한 배터리 커버(203)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몰드(263)는 관통홀(203a)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mold 263 may be prepared (S10). The mold 263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battery cover 203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mold 263 may include a through hole 203a.

다음으로, 몰드(263) 상에 디지털 인쇄하여 인쇄층(265)을 형성할 수 있다(S20). 인쇄층(265)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몰드(263)의 전 부분 상에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인쇄층(265)은 패턴(261)이 새겨질 영역을 포함하는 주위 영역에만 인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층(265) 각각의 폭(W2)은 패턴의 각각의 폭(도 4의 W1)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Next, the printed layer 265 may be formed by digital printing on the mold 263 ( S20 ). The printed layer 265 may not be printed on the entire portion of the mold 263 as shown in FIG. 7 . The printed layer 265 may be printed only on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the area where the pattern 261 is to be engraved. Accordingly, the width W2 of each of the printed layers 265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each of the patterns (W1 of FIG. 4 ).

인쇄층(265)은 패턴(261)이 새겨질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층(265)은 복수개로 나누어져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인쇄층(265)은 다양한 색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인쇄층(265)은 서로 다른 색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각의 인쇄층(265)은 서로 같은 색일 수 있다.The printed layer 265 may be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n which the pattern 261 is to be engraved. Accordingly, the printed layer 265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Each of the printed layers 265 may include a variety of colors. Each of the printed layers 265 may be of a different col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of the printed layers 265 may have the same color.

다음으로, 인쇄된 인쇄층(265) 상에 일정한 두께의 도막을 증착하여 증착층(267)을 형성할 수 있다(S30). 증착층(267)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몰드(263)의 전 부분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층(265)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도 증착층(267)이 증착될 수 있다.Next, a deposition layer 267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coating film of a certain thickness on the printed printed layer 265 ( S30 ).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deposited on the entire portion of the mold 263 as shown in FIG. 8 . Accordingly,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deposited even on a portion where the printed layer 265 is not located.

증착층(267)은 진공 증착법(PVD, Phys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203)를 진공증착 장비의 증착 챔버 내에 위치시킨 후, 몰드(263)와 인쇄층(267) 상에 증착층(267)을 진공증착할 수 있다. 증착층(267)은 매우 얇게 증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착층(267)은 거의 일정한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deposited using a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method. After the battery cover 203 is placed in the deposition chamber of the vacuum deposition equipment,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vacuum deposited on the mold 263 and the printed layer 267 .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deposited very thinly. Accordingly,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deposited to have a substantially constant thickness.

증착층(267)은 단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턴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은 증착층(267)의 색상이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착층(267)의 색상은 배터리 커버(203)의 바탕색이 될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267 may have a single color. The color of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recognized in the portion where the pattern is not located. Accordingly, the color of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ttery cover 203 .

다음으로, 증착층(267)의 적어도 일부를 레이져 에칭할 수 있다(S40). 증착층(267)을 레이져 에칭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패턴(261)이 형성될 수 있다.Next, at least a portion of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laser-etched ( S40 ). A pattern 261 having a desired design may be formed by laser etching the deposition layer 267 .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레이져 장비(L)를 이용하여 증착층(267)의 적어도 일부를 레이져 에칭할 수 있다(S40). 레이져 장비(L)를 사용하면 미세한 패턴도 배터리 커버(203) 상에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져 에칭을 사용하는 방법은 디지털 인쇄만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미세한 패턴의 인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at least a portion of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laser-etched using the laser equipment L ( S40 ). If the laser equipment L is used, even a fine pattern can be expressed on the battery cover 203 . Accordingly, the method using laser etching may improve the print quality of fine patterns compared to the method using only digital printing.

증착층(267) 상에 레이져 에칭을 하여 패턴(261)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261)은 인쇄층(263)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즉, 패턴(261)은 인쇄층(263)의 증착층(267)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A pattern 261 may be formed by laser etching on the deposition layer 267 . The pattern 261 may be an area of the printed layer 263 . That is, the pattern 261 may be an area that is not shielded by the deposition layer 267 of the printed layer 263 .

패턴(261)은 복수개일 수 있다. 각각의 패턴(261)은 다양한 색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패턴(261)은 서로 다른 색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각의 패턴(261)은 서로 같은 색일 수 있다. 패턴(261)의 각각의 폭(W1)은 인쇄층(265)의 각각의 폭(W2)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The pattern 261 may be plural. Each pattern 261 may include various colors. Each pattern 261 may have a different col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of the patterns 261 may have the same color. Each width W1 of the pattern 261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each width W2 of the printed layer 265 .

마지막으로, 패턴(261)이 새겨진 증착층(267) 상에 보호층(269)을 코팅할 수 있다(S50). 보호층(269)은 배터리 커버(203)의 전 부분에 코팅되어, 배터리 커버(203)를 보호할 수 있다.Finally, the protective layer 269 may be coated on the deposition layer 267 on which the pattern 261 is engraved ( S50 ). The protective layer 269 may be coated on the entire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203 to protect the battery cover 203 .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적어도 하나의 홈(2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배터리 커버(203)의 몰드(263) 상에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홈(281)이 위치하는 곳에만 세밀하게 레이져 에칭할 수 있다. 홈(281)이 위치하는 곳에도 증착층(267)은 같은 두께로 증착되어 있기 때문에, 홈(281)이 위치하는 부분만 패터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groove 281 . In detail,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mold 263 of the battery cover 203 can be laser-etched in detail only where the groove 281 is located. Since the deposition layer 267 is deposited with the same thickness even where the groove 281 is located, only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281 is located can be patterned.

또한, 홈(281)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패터닝할 수 있다. 즉, 홈(281)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패터닝 할 수 있다. 직접 홈(281)에 인쇄하는 경우, 홈(281)의 기울기의 차이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증착하지 못하고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홈(281) 내부의 기울기가 변화하여도 증착층(267)의 두께가 일치하므로 원하는 곳에 원하는 패턴을 패터닝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groove 281 may be patterned. That is, patterning may be performed at a desired position inside the groove 281 . In the case of printing directly on the groove 281 , deposition may not be performed at a desired location due to a difference in inclination of the groove 281 , and an error may occur. On the contrary, in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ired pattern can be patterned at a desired location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267 is the same even when the slope inside the groove 281 is chang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패턴(261)이 문자로 표현될 수 있다. 각각의 패턴(261)은 동일한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각각의 패턴(261)은 서로 다른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in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ttern 261 may be expressed in characters. Each pattern 261 may be configured with the same col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pattern 261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color.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문자가 서로 다른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미관적으로 더 나아질 수 있다.In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each character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color. Accordingly, it may be better aesthetically for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글자를 따로 제조하여 배터리 커버(203) 상에 붙이지 않고 레이져 에칭으로 패터닝 하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tterned by laser etching without manufacturing characters separately and attaching them on the battery cover 203, cost can be reduced.

도 11은 기존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기존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a)는 원하는 색을 도포한 후 원하는 색이 표시될 때까지 레이져 에칭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세하게, 각각의 색이 다른 하도(271), 중도(273)를 순서대로 스프레이 도포 후 UV 경화하고, 마지막으로 레이져 에칭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Referring to FIG. 11 , the battery cover 203a according to the existing invention is coated with a desired color and then laser-etched until the desired color is displayed. In detail, a method of spray coating the lower coat 271 and the middle coat 273 with different colors in order, UV curing, and finally laser etching was used.

다만, 이 경우 하도(271)와 중도(273)는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에칭을 할 때, 같은 두께로 에칭이 되어도 일 부분(P1)에서는 하도(271)의 색이 나타나고 다른 부분(P2)에서는 중도(273)의 색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미세한 패턴의 구현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ase, the thicknesses of the lower passage 271 and the middle passage 273 may not be uniform. Accordingly, when laser etching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lor of the undercoat 271 appears in one portion P1 and the color of the middle layer 273 appears in the other portion P2 even when the etching is performed with the same thicknes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fine pattern.

또한, 일 부분(P1) 또는 다른 부분(P2)의 면적이 매우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일 패턴 내의 일 부분(P1)또는 다른 부분(P2)에서 다른 색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색 번짐 현상이 일어났다고 생각할 수 있다.Also, the area of one portion P1 or the other portion P2 may be very small. In this case, since different colors appear in one portion P1 or another portion P2 in one pattern, the user may think that color bleeding has occurr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증착층(267)을 진공 증착 방법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증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커버(203)는 증착층(267)의 두께가 일정하므로 같은 두께로 에칭을 하면 원하는 부분에 인쇄층(265)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12 , for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epositing the deposition layer 267 to a constant thickness by a vacuum deposition method may be used. Accordingly, since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267 is constant in the battery cover 203 , the printed layer 265 can be displayed on a desired portion by etching to the same thickness.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증착층(267)의 두께가 일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커버(203)는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컬러가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다.In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267 may be constant. Accordingly, a desired color may be freely implemented on a desired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203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레이져 에칭을 이용하여 미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프린팅을 이용하는 경우와 달리, 사출할 때 생기는 패턴 위치의 오차, 장비를 사용하면서 생기는 패턴 위치의 오차, 및 배터리 커버(203)가 움직이지 못하게 잡아주는 지그를 사용하면서 생기는 패턴 위치의 오차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And,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fine pattern using laser etching. Accordingly, unlike the case of using digital printing, an error in the pattern position that occurs during injection, an error in the pattern position that occurs while using equipment, and an error in the pattern position that occurs while using a jig that holds the battery cover 203 from moving may not occur.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레이져 에칭을 사용하여 미세하며 복잡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디지털 프린팅을 이용하여 패턴을 바로 인쇄할 경우 인쇄되는 잉크의 직경 이하의 패턴은 잉크의 번짐현상 때문에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레이져 에칭에 의해 매우 미세한 패턴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fine and complex pattern using laser etching. When a pattern is directly printed using digital printing, a pattern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inted ink may not be realized due to the bleeding phenomenon of the ink.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implement a very fine pattern by laser etch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203)는 패턴을 구성하는 인쇄층(265)이 바탕색이 되는 증착층(267)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탕색 상에 패턴을 인쇄할 경우에 나타나는 패턴의 변색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over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267 whose background color is the printed layer 265 constituting the pattern. Accordingly, the pattern discoloration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pattern is printed on the background color may not occur.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패턴이 형성된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커버는,
몰드와,
상기 몰드 상에 형성된 홈과
상기 몰드의 표면 및 상기 홈을 따라 형성되는 인쇄층과,
상기 인쇄층 상에 증착(deposition) 형성된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증착층은 레이저 패터닝되어 상기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층은 상기 패턴을 따라 노출되어 상기 패턴을 따라 색을 표시하며,
상기 패턴은 상기 홈의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도 형성된 이동 단말기.
case; and
Including a battery cover having a pattern coupled to the back of the case,
The battery cover,
mold and
a groove formed on the mold;
a printed layer formed along the surface and the groove of the mold;
A deposition layer formed by deposition on the printed layer,
The deposition layer is laser patterned to form the pattern,
The printed layer is exposed along the pattern to display a color along the pattern,
The pattern is also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inside of the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패턴을 포함하는 영역 상에 형성된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nted layer is
A mobile terminal formed on an area including the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쇄층은, 상기 패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나누어져 있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tter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int lay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to correspond to the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증착층 상에 위치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보호하는 보호층이 형성된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battery cover,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protective layer protecting the battery cover positioned on the deposition layer is formed.
삭제delete
KR1020140172376A 2014-12-03 2014-12-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374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76A KR102374459B1 (en) 2014-12-03 2014-12-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76A KR102374459B1 (en) 2014-12-03 2014-12-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36A KR20160066936A (en) 2016-06-13
KR102374459B1 true KR102374459B1 (en) 2022-03-15

Family

ID=5619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376A KR102374459B1 (en) 2014-12-03 2014-12-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459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991B1 (en) * 2010-12-08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method for manufacturing mobile terminal
KR20140112325A (en) * 2013-03-13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36A (en)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3635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489129B2 (en) Mobile terminal setting first and second control commands to user divided first and second areas of a backside touch screen
CN103828334B (en) There is the electronic equipment of side wall display
KR101736862B1 (en) Mobile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bile terminal case
KR10148539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4557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094528B1 (en) Protection panel having touch input function
US10613589B2 (en) Electronic device
JP6073987B2 (en) Touch display device
KR102070279B1 (en)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se included therein
US9870079B2 (en) Touch screen displa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90109847A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key module
US2014005596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CN103227850B (en)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2013024238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image module provided thereon
KR10237445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8225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00667A (en)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 module included therein
CN208257874U (en) A kind of comprehensive screen mobile phone
KR101991459B1 (en) Cover for mobile terminal
KR20080112848A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9061965B (en) Color changing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053198B1 (en) Mobile terminal
KR10191898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 cas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422549B1 (en)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