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549B1 -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549B1
KR102422549B1 KR1020180018087A KR20180018087A KR102422549B1 KR 102422549 B1 KR102422549 B1 KR 102422549B1 KR 1020180018087 A KR1020180018087 A KR 1020180018087A KR 20180018087 A KR20180018087 A KR 20180018087A KR 102422549 B1 KR102422549 B1 KR 10242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ousing
frame
output po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2422A (en
Inventor
조정현
이민복
차성룡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953,95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40622B2/en
Publication of KR2019004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입출력 포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입출력 포트는,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와 이격된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2 개구부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며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되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제2 바디를 구비하는 바디(body); 상기 바디에 수용되는 핀;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는 패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핀은, 상기 제1 바디에 수용되고 노출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바디에 수용되고 노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An input/output port is initiated. An input/output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a second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pening, and a hol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 frame having the shape of a plate and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a body coupled to the frame and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the body having a first body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body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a pin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a pack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coupled to the frame. The pin may include a first portion accommodated in and exposed to the first body; and a second portion accommodated in and exposed to the second body.

Description

입출력 포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I/O port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출력 포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출력 포트를 방수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output port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waterproofing an input/output port.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h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 mobile/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Aga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carry it directly.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there are functions for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y and video record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to the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dd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perform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broadcast and visual content such as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such a terminal is diversified in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Multimedia player)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is being implemented.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최근 방수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에 대한 방수 기능을 위한 구성이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Recently, a mobile terminal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has been released. In particular, a configuration for waterproofing an input/output port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be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본 발명의 과제는 입출력 포트를 방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aterproofing an input/output port.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USB 포트를 방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aterproofing a USB por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입출력 포트는,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와 이격된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2 개구부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며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되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제2 바디를 구비하는 바디(body); 상기 바디에 수용되는 핀;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는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1 바디에 수용되고 노출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바디에 수용되고 노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An input/output por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a second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pening, and a hol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 frame having the shape of a plate and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a body coupled to the frame and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the body having a first body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body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a pin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a packing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coupled to the frame, wherein the pin includes a first portion accommodated and exposed 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portion accommodated in and exposed to.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core); 및 상기 코어에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The packing part may include a co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cor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있다. have.

상기 패킹부는, 상기 코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ck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depression formed by being depressed inwardly from the core and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body.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패킹부에 접하는 제1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패킹부에 접하는 제2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밀착부와 상기 제2 밀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packing portion,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contact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tacting the packing portion, the packing portion, I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dhesion part and the second adhesion part.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2 밀착부를 기준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cessed part may have a shape recessed based on the second contact part, and may form a step.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한 제1 프레임;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및 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임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 first fram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a second fram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body; and a frame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 바디;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 바디는, 상기 프레임 홀을 통해 상기 제1 하부 바디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body may include: a first upper body positioned above the frame; and a first lower body positioned under the frame, wherein the first upper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body through the frame hole.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 바디로 이어져 상기 제2 바디와 결합하는 제1 발; 및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 바디로 이어져 상기 제2 바디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발과 이격된 제2 발;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 first foot extending from the second frame and extending to the second body a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foot extending from the second frame and extending to the second body a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ot.

상기 핀은, 상기 제1 발과 상기 제2 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pi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oot and the second foot.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발에 인접하며 상기 제2 개구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발에 인접하며 상기 제2 개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토퍼와 이격된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may include: a first stopper adjacent to the first foot and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opening; and a second stopper adjacent to the second foot,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open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opper.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를 연결하는 제1 빔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may include a first beam connecting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바디와 결합하는 하우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housing body forming the hollow part; and a housing connector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and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to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상기 하우징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연장되는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굽어져 상기 제2 밀착부를 감싸는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housing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clasp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and the clasp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in a first direction; and a bending part bent from the extension part to surround the second contact part, where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상기 걸쇠는,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연장된 제1 걸쇠;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 걸쇠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p includes: a first clasp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and a second clasp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and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clasp.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제2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1,2 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제1 바디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housing body includes first and second groove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a second direction from the second opening, and the clasp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nd the second direction is ,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body toward the first body.

상기 하우징 연결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 바디(710)의 경계에 형성된 하우징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밀착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홀에 끼워지는 연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housing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guide extending from the second open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housing hol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guide and the housing body 710, wherein the second body includes a connec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is fitted into the housing hol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제1 바디를 비스듬히 마주하며, 상기 제2 밀착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면; 및 상기 가이드를 마주하며, 상기 제2 밀착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rotrusion may include a guide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at an angle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a rear surface facing the guide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tact part.

상기 제2 밀착부는,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돌기에 인접한 제2 밀착부 홈(groove)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therein an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상기 제2 밀착부 홈은, 상기 패킹부와 상기 연결 돌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part groov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cking part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프런트 케이스;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 상기 프런트 케이스에 결합되어 전방을 향하여 이미지를 전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리어 케이스에 결합된 제 1 항의 상기 입출력 포트를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ase; a rear cas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ase;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front case to display an image toward the front; and the input/output port of claim 1 coupled to the rear cas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의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proof effect of the input/output port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USB 단자의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proof effect of the USB terminal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포트(119)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입출력 포트(119)를 A1-A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핀, 그리고 바디가 결합된 입출력 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입출력 포트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핀, 바디, 그리고 패킹부가 결합된 입출력 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입출력 포트를 B1-B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C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입출력 포트를 테스트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내지 21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연결부와 바디의 연결 관계에 관련된 도면이다.
1 and 2 are conceptual view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output port 11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input/output port 119 of FIG. 4 taken along A1-A2.
6 is a view showing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output port to which a frame, a pin, and a body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input/output port of Fig. 9;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output port to which a frame, a pin, a body, and a packing unit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input/output port of FIG. 11 taken along line B1-B2.
FIG. 13 is a view showing region C of FIG. 12 .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put/output port of FIG. 11 is tested.
15 is a view showing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21 are views related to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connection part and a bod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watch-type terminal (smartwatch), a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etc. may be included. .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a digital signage, except for the case where it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will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coordinate system)은 직교좌표계로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는 XYZ 좌표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XYZ 좌표계는 왼손방향(left handed direction)이다. 즉 왼손으로 X축에서 Y축으로 감았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Z축이 된다.The coordinate system used herein is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s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For example, the coordinate system used herein is the XYZ coordinate syst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XYZ coordinate system is a left-handed direction. That is, when the left hand winds from the X-axis to the Y-axis, the direction the thumb points becomes the Z-axis.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1 and 2, FIGS. 1 and 2 are conceptual views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 and 2,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watch type, a clip type, a glass type, or a folder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etc. . Although it will relate to a particular type of mobile terminal, descriptions regarding a particular type of mobile terminal are generally applicable to other types of mobile terminals.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body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referring to the mobile terminal 10 as at least one aggregate.

이동 단말기(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case (eg,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exterior. As shown, 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런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런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 output information. As illustrated,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101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01 .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In some cases, an electronic component may also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 Electronic components mountable to the rear case 102 include a removable battery, an identification module, a memory card,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rear cover 103 for covering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 Accordingly, when the rear cov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102 ,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re exposed to the outsid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rear case 102 may be exposed. In some cases, when combined, the rear case 102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103 . On the other hand, the rear cover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121b or the sound output unit 152b to the outside.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101, 102, and 103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이동 단말기(1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가 구현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ases provid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provides the internal space.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 of a uni-body in which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from the side to the back can be implemented.

한편, 이동 단말기(1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런트 케이스(101) 사이,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a waterproof part (not shown) that prevents water from permeating into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waterproof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or between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and a combination thereof It may include a waterproof member for sealing the inner space of the city.

이동 단말기(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이어폰잭(13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 a proximity sensor 141 , an illuminance sensor 142 , a light output unit 154 , and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Cameras 121a and 121b, first to third operation units 123a, 123b, and 123c, a microphone 122, an interface unit 160, an earphone jack 13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이어폰잭(130) 및 인터페이스부(160) 가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제3 조작유닛(123c)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display unit 151 ,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 the proximity sensor 141 , the illuminance sensor 142 , and the light output unit 154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first camera 121a and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are disposed,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the microphone 122, the earphone jack 130 and the interface unit 160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The mobile terminal 10 in which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the third operation unit 123c, and the second camera 121b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mponents may be excluded, replaced, or disposed on different sides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rather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의 바디(BD)는, 프런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그리고 후면커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리어 케이스(102)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바디(BD)는,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BD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 a rear case 102 , and a rear cover 103 . The rear cover 10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case 102 and included in the rear case 102 . The body BD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an electronic ink display (e-ink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one.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 . In this case, in the mobile terminal 10 ,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disposed integrally on one surface, or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input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on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8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thereon.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struc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o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a metal wire patterned direct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may be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provided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s such, the display unit 1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sensor, and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In some cases,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that transmits a call sound to the user's ear,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is a loudspeaker that outputs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reproduction sounds. )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런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A sound hole for emi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formed i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between structures (eg, a gap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In this case,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simpler because the holes formed independently for sound output are not visible or hidden.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154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vent. Examples of the event may include a message reception, a call signal reception, a missed call, an alarm, a schedule notification, an email re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When the user's event confirmation is detect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154 to end the light output.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shooting mode or a video call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stored in the memory 170 .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제3 조작유닛(123c)은,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지문 정보는 제어부(18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123a, 123b, and 123c are an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tha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can be The first to third operation units 123a, 123b, and 123c may be adopt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y are operated in a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push, scroll, etc., while the user receives a tactile feeling.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operated in a manner in which the user is operated without a tactile feeling through a proximity touch, a hovering touch, or the like. The third operation unit 123c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o acquire the user's fingerprint. The obtained fingerpri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80 .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push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drawing,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illustrated as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be a push key or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push key.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commands such as menu, home key, cancel, search,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is output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ommand such as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and switching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제3 조작유닛(123c)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조작유닛(123c)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지문 정보 획득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 a third operation unit 123c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third operation unit 123c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 and the inputted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a command such as power on/off, start, end, scroll, etc., control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a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It is possible to receive commands such as switching of , obtaining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 by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display unit 151 on the fron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terminal body using the index finger when holding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changed.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rear input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when the aforementioned touch screen or rear input unit replaces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as a larger screen.

한편, 이동 단말기(1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fingerpri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n authentication mean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built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ereo sound.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60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eg, earphone,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g, infrared port (IrDA Port),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etc.], or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 .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60)는 심트레이(SIM Tray, 210)와 입출력 포트(119)를 포함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는 심카드(SIM card)를 적재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는 심카드(SIM card)의 교체 및/또는 교환을 위해 이동 단말기(10)의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는, 이동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전력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는, 이동 단말기(10)와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정보 및 전기신호 등의 입출력 통로가 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는 외부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포트(119)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USB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 포트(119)는 USB 포트(119)라 칭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for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a User Identity Module (UIM), or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interface unit 160 may include a SIM tray 210 and an input/output port 119 . The SIM tray 210 may load a SIM card. The SIM tray 210 may move in and out of the mobile terminal 10 for replacing and/or exchanging a SIM card.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be a passage for power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 .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 and an external terminal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be an input/output path for information and electrical signals.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For example,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ly provided USB terminal. In this case,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be referred to as a USB port 119 .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A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 'array camera'. When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may be captured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images of better quality may be obtained.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4 illuminat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may be built into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For exampl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withdrawn from the terminal body.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03 , or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enna.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built into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 In addition,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be wirelessly charged through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figure,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so as to cover the battery 191 to limit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191 and to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shocks and foreign substances. is foreshadowing When the battery 191 is detachably configured to the terminal body, the rear cover 10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

이동 단말기(1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An accessory for protect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 or supporting or extending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added. As an example of such an accessory, there may be a cover or a pouch that covers or accommodat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 . The cover or pouch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by interworking with the display unit 151 . As another example of the accessory, there may be a touch pen for assisting or extending a touch input to a touch screen.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의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가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적어도 일부는 메탈(metal)로 구성되기 용이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가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강성 확보에 유리할 수 있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 The rear case 102 of the mobile terminal 10 shown in FIG. 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cover 103 ( FIG. 1 ). When the rear case 10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cover 103 ( FIG. 1 ),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case 102 may be easily formed of metal. When the rear case 10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cover 103 ( FIG. 1 ), it may be advantageous to secure rigidity of the rear case 102 .

프런트 케이스(101)는, 리어 케이스(102)에 체결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가 리어 케이스(102)에 체결되면, 이동 단말기(10) 내부에 위치하는 전자부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 배면에, 배터리(191), 메인 회로기판(181), 음향 출력부(152b), 및 이어폰잭(130)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81)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제3 조작유닛(123c)이 연결될 수 있다. The front case 101 may be fastened to the rear case 102 . An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When the front case 101 is fastened to the rear case 102 , electronic components locat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 battery 191 , a main circuit board 181 , a sound output unit 152b , and an earphone jack 13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 A third operation unit 123c capable of acquiring fingerprint inform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181 .

리어 케이스(102)는, 전자부품이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이동 단말기(1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이동 단말기(1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ar case 102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ated. The rear case 102 may form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 . The rear case 102 may form at least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 .

디스플레이부(151)는, 윈도우(151a)와 디스플레이 패널(151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1b)에 터치 회로기판(135)과 디스플레이 회로기판(131)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런트 케이스(101)에 수용될 수 있다. 터치 회로기판(135)과 디스플레이 회로기판(131)은, 메인 회로기판(181)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92)는, 프런트 케이스(101)의 배면에 형성되어 배터리(191)를 수용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window 151a and a display panel 151b. The touch circuit board 135 and the display circuit board 131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51b.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ccommodated in the front case 101 . The touch circuit board 135 and the display circuit board 13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181 .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19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to accommodate the battery 191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포트(119)의 사시도이다. 입출력 포트(119)는 입출력 포트 바디(500)와 하우징(700)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 바디(500)는 USB 바디(500) 또는 바디(500)라 칭할 수 있다. 하우징(700)은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700)은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700)에 형성된 개구부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00)의 중공부는, 하우징(700)의 제1, 2 개구부에 연결될 수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output port 11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include an input/output port body 500 and a housing 700 . The input/output port body 500 may be referred to as a USB body 500 or a body 500 . The housing 700 may form a hollow part. The housing 700 may form an open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housing 70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7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of the housing 700 .

바디(500)는 하우징(700)과 결합할 수 있다. 바디(500)는 하우징(700)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5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7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ody 50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700 . The body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7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500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700 .

바디(500)는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501)는 제2 바디(5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의 연결 부분은 하우징(700)의 중공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501)는, 프레임(300, 도 6 참조)에 의해, 제2 바디(50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ody 500 may include a first body 501 and a second body 502 . The first body 50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502 .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may be located in a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700 . The first body 50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502 by a frame 300 (refer to FIG. 6 ).

제1 바디(501)는 하우징(700)의 중공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502)의 일부는 하우징(7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502)는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540)는 제2 스토퍼(550)와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501 may be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700 .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502 may b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700 . The second body 502 may include a first stopper 540 and a second stopper 550 . The first stopper 5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topper 550 .

제1 고정부(541)는 제1 스토퍼(54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551)는 제2 스토퍼(55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41, 551)는, 제1 고정부(541)와 제2 고정부(551)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고정부(541, 551)는 홈(groove) 또는 개구부(opening)일 수 있다. 고정부(541, 551)는, 리어 케이스(102, 도 1 내지 3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art 541 may be formed on the first stopper 540 . The second fixing part 551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topper 550 . The fixing parts 541 and 551 may ref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541 and the second fixing part 551 . The fixing parts 541 and 551 may be grooves or openings. The fixing parts 541 and 551 may be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see FIGS. 1 to 3 ).

입출력 포트(119)는 입출력 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핀(400)은, USB 핀(400) 또는 핀(400)이라 칭할 수 있다. 핀(400)은 바디(500)를 관통할 수 있다. 핀(400)은 하우징(700)의 외부에서 제2 개구부를 통과하여 중공부를 지나 제1 개구부를 향할 수 있다. 핀(4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핀(400)은 전도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4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include an input/output pin 400 . The input/output pin 400 may be referred to as a USB pin 400 or a pin 400 . The pin 400 may penetrate the body 500 . The pin 40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opening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700 and may face the first opening through the hollow portion. A plurality of pins 400 may be provided. Pin 400 may be conductive. For example, the pin 400 may include a metal.

도 5는 도 4의 입출력 포트(119)를 A1-A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input/output port 119 of FIG. 4 taken along A1-A2.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700)의 제1 개구부(OPN1)는 제1 바디(501)에 인접한 개구부(OPN1)를 의미할 수 있다. 하우징(700)의 제2 개구부(OPN2)는 제2 바디(502)에 인접한 개구부(OPN2)를 의미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의 앞부분(또는 전방부)은 제1 개구부(OPN1)에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의 뒷부분(또는 후방부)는 제2 개구부(OPN2)에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N1)에서 제2 개구부(OPN2)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 또는 제1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PN2)에서 제1 개구부(OPN1)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제2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opening OPN1 of the housing 700 may mean the opening OPN1 adjacent to the first body 501 . The second opening OPN2 of the housing 700 may mean an opening OPN2 adjacent to the second body 502 . A front portion (or a front portion) of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refer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OPN1 . The rear portion (or rear portion) of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refer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OPN2 . A direction from the first opening OPN1 toward the second opening OPN2 may be referred to as a rearward or a first directio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opening OPN2 toward the first opening OPN1 may be referred to as a forward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may be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입출력 포트(119)는 패킹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600)는 하우징(700)의 중공부(HP)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부(600)는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부(600)는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include a packing unit 600 . The packing part 600 may be located in the hollow part HP of the housing 700 . The packing unit 6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 The packing part 600 may connect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

핀(400)은 패킹부(600)를 관통할 수 있다. 핀(400)은 제1 바디(50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핀(400)은 제1 바디(50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핀(400)은 제1 바디(501)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in 400 may pass through the packing part 600 . The pin 4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501 . The pin 400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501 . Alternatively, the pins 4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501 .

패킹부(600)는 하우징(700)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다. 패킹부(600)는 하우징(700)의 중공부(HP)를 양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700)의 중공부(HP)는, 패킹부(600)에 의해, 제1 중공부(HP1)와 제2 중공부(HP2)로 양분될 수 있다. 제1 중공부(HP1)는 제1 개구부(OPN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중공부(HP2)는 제2 개구부(OPN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acking unit 6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700 . The packing part 600 may bisect the hollow part HP of the housing 700 . For example, the hollow part HP of the housing 7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hollow part HP1 and a second hollow part HP2 by the packing part 600 . The first hollow part H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OPN1 . The second hollow part HP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OPN2 .

제1 중공부(HP1)는, 패킹부(600)에 의해 하우징(700)의 내부에서, 제2 중공부(HP2)와 격리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N1)에서 제1 중공부(HP1)를 지나 제2 중공부(HP2)로 향하는 물질은 패킹부(6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부(600)는, 제1 개구부(OPN1)에서 제1 중공부(HP1)를 지나 제2 중공부(HP2)로 향하는 수분(water) 또는 미세먼지(fine dirt) 등을 차폐할 수 있다. The first hollow part HP1 may be isolated from the second hollow part HP2 inside the housing 700 by the packing part 600 . A material from the first opening OPN1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low portion HP1 to the second hollow portion HP2 may be shielded by the packing portion 600 . For example, the packing unit 600 may shield water or fine dirt from the first opening OPN1 through the first hollow portion HP1 to the second hollow portion HP2. ca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300)은 제1 프레임(310)과 제2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과 제2 프레임(320)은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310)은 제2 프레임(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바디(500, 도 5 참조)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frame 300 may include a first frame 310 and a second frame 320 .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may have a plate shape. The first frame 310 may be positioned substantially o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frame 320 . The frame 300 may include metal. The frame 300 may provide rigidity to the body 500 (refer to FIG. 5 ).

프레임(300)은 브리지(330, b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330)는 제1 프레임(310)과 제2 프레임(330)을 연결할 수 있다. 브리지(330)는 제1 브리지(331)와 제2 브리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리지(331)는, 제2 브리지(332)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 제1 브리지(331), 제2 프레임(320), 그리고 제2 브리지(332)는,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rame 300 may include a bridge 330 (bridge). The bridge 330 may connect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30 . The bridge 330 may include a first bridge 331 and a second bridge 331 . The first bridge 33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ridge 332 . The first frame 310 , the first bridge 331 , the second frame 320 , and the second bridge 332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프레임홀(340)은, 프레임(300)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홀(340)은 홀(hol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홀(340)은, 제1 프레임(310), 제1 브리지(331), 제2 프레임(320), 그리고 제2 브리지(332)에 차례로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홀(340)은, 제1 브리지(331)와 제2 브리지(3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홀(340)은, 제1 프레임(310)과 제2 프레임(3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rame hole 340 may be formed in the frame 300 . The frame hole 340 may have the shape of a hole. The frame hole 340 may be formed surrounded by the first frame 310 , the first bridge 331 , the second frame 320 , and the second bridge 332 in order. The frame hole 3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ridge 331 and the second bridge 332 . The frame hole 3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

바디(500, 도 5 참조)는, 프레임(300)과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바디(500, 도 5 참조)는, 프레임(300)의 양면(both surface)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500, 도 5 참조)는, 프레임(300)의 상면(uppersurface)과 하면(lower surface)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상면에 위치한 제1 바디(501, 도 5 참조)의 부분을 제1 상부 바디라 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하면에 위치한 바디(500, 도 5 참조)의 부분을 제1 하부 바디라 할 수 있다. The body 500 (refer to FIG. 5 ) may be insert-injected together with the frame 300 . The body 500 (refer to FIG. 5 ) may be positioned on both surfaces of the frame 300 . For example, the body 500 (refer to FIG. 5 ) may b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300 . A portion of the first body 501 (refer to FIG. 5 )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upper body. A portion of the body 500 (refer to FIG. 5 )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30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lower body.

프레임홀(340)은, 제1 상부 바디와 제2 상부 바디이 서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0)의 상면에 위치한 바디(500, 도 5 참조)의 부분은, 프레임홀(340)에서, 프레임(300)의 상면에 위치한 바디(500, 도 5 참조)의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rame hole 340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body 500 (see FIG. 5 )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0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body 500 (see FIG. 5 )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0 in the frame hole 340 . can

프레임(300)은 제1 발(350)과 제2 발(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350)은 제1 브리지(331)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발(350)은 제2 프레임(320)에서 연장되되 제1 프레임(310)과 멀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발(350)은 제1 파트(351)와 제2 파트(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51)는 제2 프레임(3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351)는 제2 프레임(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파트(353)는 제1 파트(351)에서 연장되되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트(353)는 제1 파트(351)에서 하부로 굽어질 수 있다. The frame 300 may include a first foot 350 and a second foot 360 . The first foot 350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bridge 331 . The first foot 35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frame 320 away from the first frame 310 . The first foot 350 may include a first part 351 and a second part 353 . The first part 35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320 . The first part 351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frame 320 . The second part 353 may be bent while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351 . For example, the second part 353 may be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part 351 .

제2 발(360)은 제2 브리지(332)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발(360)은 제2 프레임(320)에서 연장되되 제1 프레임(310)과 멀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발(360)은 제1 발(35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발(360)은 제1 파트(361)와 제2 파트(3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61)는 제2 프레임(3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361)는 제2 프레임(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파트(363)는 제1 파트(361)에서 연장되되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트(363)는 제1 파트(361)에서 하부로 굽어질 수 있다.The second foot 360 may be adjacent to the second bridge 332 . The second foot 360 may be formed while extending from the second frame 320 and moving away from the first frame 310 . The second foot 3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ot 350 . The second foot 360 may include a first part 361 and a second part 363 . The first part 36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320 . The first part 361 may be positioned substantially o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frame 320 . The second part 363 may be bent while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361 . For example, the second part 363 may be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part 361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핀(400)은 전체적으로 로드(rod)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400)은 외측부(410)와 내측부(420), 그리고 중간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410)는 제1 바디(501, 도 5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외측부(410)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pin 400 may have the shape of a rod as a whole. The pin 40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410 , an inner portion 420 , and an intermediate portion 430 . The outer part 41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body 501 (refer to FIG. 5 ). The outer portion 410 may have an elongated shape.

내측부(420)는 제2 바디(502, 도 5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내측부(420)는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부(420)는 중간부(430)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굽어져 연장되고 다시 후방으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The inner portion 420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body 502 (refer to FIG. 5 ). The inner portion 420 may be bent. For example, the inner portion 420 may extend from the middle portion 430 to extend by bending downward and then to extend by bending backward again.

중간부(430)는 제1 바디(501, 도 5 참조)와 제2 바디(502, 도 5 참조)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부(430)는 외측부(410)와 내측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중간부(430)는 패킹부(600, 도 5 참조)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핀(400)은 전기 전도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400)은 전도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400)은 구리(c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iddle portion 4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501 (refer to FIG. 5 ) and the second body 502 (refer to FIG. 5 ). The middle part 430 may connect the outer part 410 and the inner part 420 . The middle part 430 may be surrounded by the packing part 600 (refer to FIG. 5 ). Pin 400 may be electrically conductive. For example, the pin 400 may include a conductive metal. For example, the fin 400 may include copp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바디(500)는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501)는 제2 바디(502)와 이격될 수 있다. 바디(500)는 프레임(300, 도 6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body 500 may include a first body 501 and a second body 502 . The first body 50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ody 502 . The body 50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300 (refer to FIG. 6 ).

제1 바디(501)는 프레임(300, 도 6 참조)의 제1,2 프레임(310, 320, 도 6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502)는 프레임(300, 도 6 참조)의 제1,2 발(350, 36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50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10 and 320 (refer to FIG. 6 ) of the frame 300 (refer to FIG. 6 ). The second body 50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eet 350 and 360 of the frame 300 (refer to FIG. 6 ).

바디(500)는 프레임(300, 도 6 참조) 및 핀(400, 도 7 참조)과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501)는 프레임(300, 도 6 참조)의 상면 또는 양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0, 도 6 참조)의 상면에 위치한 부분은, 프레임홀(340, 도 6 참조)에서, 프레임(300, 도 6 참조)의 하면에 위치한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The body 500 may be formed by insert injection together with the frame 300 (refer to FIG. 6 ) and the pin 400 (refer to FIG. 7 ). The first body 50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frame 300 (refer to FIG. 6 ). For example, a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0 (see FIG. 6 )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300 (see FIG. 6 ) in the frame hole 340 (see FIG. 6 ).

제1 바디(501)는 안착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510)는 핀(400, 도 7 참조)의 외측부(410, 도 7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안착부(510)는 핀(400, 도 7 참조)의 외측부(410, 도 7 참조)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510)는 가늘고 긴 홈(groov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착부(51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510)는 핀(400, 도 7 참조)의 개수에 대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안착부(510)는 제1 바디(501)의 상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501 may include a seating part 510 . The seating part 510 may accommodate the outer part 410 (refer to FIG. 7 ) of the pin 400 (refer to FIG. 7 ). The seating portion 5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ortion 410 (refer to FIG. 7 ) of the pin 400 (refer to FIG. 7 ). For example, the seating part 510 may have a shape of a long and thin groove. The mounting part 5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For example, the seating portion 510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ins 400 (refer to FIG. 7 ). The seating part 510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first body 501 .

핀(400, 도 7 참조)의 외측부(410, 도 7 참조)는, 핀(400, 도 7 참조)의 제1 부분(410, 도 7 참조)이라 할 수 있다. 핀(400, 도 7 참조)의 제1 부분(410, 도 7 참조)은 제1 바디(501)에서 노출될 수 있다. The outer portion 410 (refer to FIG. 7 ) of the pin 400 (refer to FIG. 7 )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portion 410 (refer to FIG. 7 ) of the pin 400 (refer to FIG. 7 ). The first portion 410 (refer to FIG. 7 ) of the fin 400 (refer to FIG. 7 ) may be exposed from the first body 501 .

제1 바디(501)는 제1 밀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착부(520)는 제2 프레임(320, 도 6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밀착부(520)는 하우징(700, 도 5 참조)에 형성된 중공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밀착부(520)는 하우징(700, 도 5 참조)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내부면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밀착부(520)는 하우징(700, 도 5 참조)의 내부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501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art 520 . The first contact part 5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320 (refer to FIG. 6 ). The first contact part 520 may be located in a hollow part formed in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The first contact portion 520 may face an inner surface forming a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The first contact part 5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제2 바디(502)는 제2 밀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착부(530)는 제1 밀착부(52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밀착부(530)는 제1 밀착부(520)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밀착부(530)는 하우징(700, 도 5 참조)의 내부면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밀착부(530)는 하우징(700, 도 5 참조)의 내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밀착부(530)는 프레임(300, 도 6 참조)의 제1,2 발(350, 36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502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530 .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520 .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may face the first contact portion 520 . The second contact part 530 may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The second contact part 5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eet 350 and 360 of the frame 300 (refer to FIG. 6 ).

핀(400, 도 7 참조)의 내측부(420, 도 7 참조)는, 핀(400, 도 7 참조)의 제2 부분(420, 도 7 참조)이라 할 수 있다. 핀(400, 도 7 참조)의 제2 부분(420, 도 7 참조)은 제2 바디(502)에서 노출될 수 있다.The inner portion 420 (refer to FIG. 7 ) of the pin 400 (see FIG. 7 )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portion 420 (refer to FIG. 7 ) of the pin 400 (see FIG. 7 ). The second portion 420 (refer to FIG. 7 ) of the pin 400 (refer to FIG. 7 ) may be exposed in the second body 502 .

제2 바디(502)는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540)는 프레임(300 도 6 참조)의 제1 발(3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토퍼(550)는 프레임(300, 도 6 참조)의 제2 발(3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540)는 제2 스토퍼(550)와 이격될 수 있다. 스토퍼(540, 550)는, 하우징(700, 도 5 참조)의 제2 개구부(OPN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502 may include a first stopper 540 and a second stopper 550 . The first stopper 54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oot 350 of the frame 300 (see FIG. 6 ). The second stopper 55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oot 360 of the frame 300 (refer to FIG. 6 ). The first stopper 5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topper 550 . The stoppers 540 and 550 may be located outside the second opening OPN2 of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제2 바디(502)는 제1 빔(5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빔(561)은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빔(561)은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빔(561)은 제2 밀착부(5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빔(561)은 제2 밀착부(53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502 may include a first beam 561 . The first beam 56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 The first beam 561 may connect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 The first beam 561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cond adhesion part 530 . The first beam 561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on part 530 .

제2 바디(502)는 제2 빔(5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빔(563)은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빔(563)은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빔(563)은 제1 빔(56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빔(563)은 제1 빔(561)과 이격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502 may include a second beam 563 . The second beam 56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 The second beam 563 may connect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 The second beam 563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first beam 561 . The second beam 56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eam 561 .

제2 바디(502)는 제3 빔(5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빔(565)은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빔(565)은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빔(565)은 제1 빔(561)과 제2 빔(56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내지 3 빔(561, 563, 565)은, 스토퍼(540, 550)와 제2 밀착부(530) 사이에 강성(또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502 may include a third beam 565 . The third beam 56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 The third beam 565 may connect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 The third beam 565 may connect the first beam 561 and the second beam 563 . The first to third beams 561 , 563 , and 565 may provide rigidity (or support force) between the stoppers 540 and 550 and the second adhesion part 53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핀, 그리고 바디가 결합된 입출력 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 핀, 그리고 바디가 결합된 입출력 포트(119)는 제1 입출력 포트(119)라 할 수 있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output port to which a frame, a pin, and a body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output port 119 to which the frame, pin, and body are combine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input/output port 119 .

도 9를 참조하면 바디(500)는, 핀(400) 및 프레임(300)과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바디(500)는 플라스틱(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500)는 프레임(300)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0)의 제1 발(350)과 제2 발(360)은,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를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바디(500)에 강성 또는/및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body 500 may be insert-injected together with the pin 400 and the frame 300 . The body 500 may include plastic. The body 50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me 300 . The frame 300 may connect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 For example, the first foot 350 and the second foot 360 of the frame 300 may connect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 The frame 300 may provide rigidity and/or support to the body 500 .

핀(400)은 바디(500)를 관통할 수 있다. 핀(400)의 외측부(410)는 제1 바디(501)에 안착될 수 있다. 핀(4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핀(40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핀(400)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핀(400)은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핀(400)은 제1 발(350)과 제2 발(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핀(400)은 바디(50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The pin 400 may penetrate the body 500 . The outer portion 410 of the pin 400 may be seated on the first body 501 . A plurality of pins 40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pins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pins 400 may be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The pin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 The pin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oot 350 and the second foot 360 . The pin 400 may be supported from the body 500 .

제1 밀착부(520)의 면 중에서 제2 밀착부(530)를 마주하는 면을 제1 대향면이라 할 수 있다. 제2 밀착부(530)의 면 중에서 제1 밀착부(520)를 마주하는 면을 제2 대향면이라 할 수 있다. 제1 대향면과 제2 대향면은, 에칭(etching)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향면과 제2 대향면은 레이저 에칭될 수 있다. 제1 대향면과 제2 대향면이 에칭 처리되면, 제1 대향면과 제2 대향면은 거칠어질 수 있다. Among the surfaces of the first contact part 520 , a surface facing the second contact part 53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opposing surface. Among the surface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 a surface fac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52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opposing surface. The first opposing surface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may be etched. For example, the first opposing surface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may be laser etched. When the first opposing surface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are etched, the first opposing surface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may be roughened.

핀(400)의 중간부(430)는 제1 밀착부(520)와 제2 밀착부(5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1,2 발(350, 360)의 일부는 제1 밀착부(520)와 제2 밀착부(5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밀착부(520)와 제2 밀착부(530)의 사이에 배치된 제1,2 발(350, 360)의 일부를 발 노출부(350, 360)라 할 수 있다. 핀(400)의 중간부(430)와 발 노출부(350, 360)는, 프라이머 도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즉 프라이머(primer)는, 핀(400)의 중간부(430)와 발 노출부(350, 360)에, 도포될 수 있다. 프라이머는, 합성 레진(synthetic resin), 솔벤트(solvent), 그리고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iddle portion 430 of the pin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52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eet 350 and 360 of the frame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arts 520 and 520 .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eet 350 and 36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52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530 may be referred to as the foot exposure parts 350 and 360 . The middle portion 430 of the pin 400 and the exposed foot portions 350 and 360 may be subjected to a primer application process. That is, the primer may be applied to the middle portion 430 and the exposed foot portions 350 and 360 of the pin 400 . The primer may include a synthetic resin, a solvent, and an additive.

도 10은, 도 9의 입출력 포트의 측면도이다.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input/output port of Fig. 9;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바디(501)는 프레임(300)의 상면과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501)는 제1, 2 프레임(310, 320)의 상하면을 덮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first body 501 may cov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me 300 . For example, the first body 501 may cove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10 and 320 .

제1 밀착부(520)는 제1 바디(501)의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밀착부(530)는 제2 바디(502)의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밀착부(520)는 제2 밀착부(530)를 마주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520 may form an end of the first body 501 .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may form an end of the second body 502 . The first contact portion 520 may fa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

제1 밀착부(520)의 외주면은 제2 밀착부(530)의 외주면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착부(520)의 외주면은 제2 밀착부(530)의 외주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궤적을 가질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art 520 may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art 530 . For examp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dhesion part 52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rajectory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dhesion part 530 .

핀(430)은, 제1 바디(501)와 제2바디(502)를 가로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430)의 중간부(430)는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부(600, 도 5 참조)는 핀(430)의 중간부(430)를 감쌀 수 있다. 핀(430)은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핀(430)은 프레임(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in 430 may cross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 For example, the middle portion 430 of the pin 4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 The packing part 600 (refer to FIG. 5 ) may surround the middle part 430 of the pin 430 . The pin 430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300 . The pin 430 may be disposed under the frame 300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핀, 바디, 그리고 패킹부가 결합된 입출력 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입출력 포트를 B1-B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 핀, 바디, 그리고 패킹부가 결합된 입출력 포트(119)를 제2 입출력 포트(119)라 할 수 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output port to which a frame, a pin, a body, and a packing unit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input/output port of FIG. 11 taken along line B1-B2. The input/output port 119 to which the frame, pin, body, and packing unit are combined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input/output port 119 .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패킹부(600)는 제1 입출력 포트(119)와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패킹부(600)는 플라스틱(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부(600)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부(600)는 실리콘(silicone)을 포함할 수 있다. 11 and 12 , the packing unit 600 may be insert-injected together with the first input/output port 119 . The packing unit 600 may include plastic. For example, the packing unit 600 may include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For example, the packing part 600 may include silicon (silicone).

패킹부(600)의 용융점은 바디(500)의 용융점보다 낮을 수 있다. 패킹부(600)는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부(600)는 섭씨 200도 이상의 온도에서 형상을 보존할 수 있다. The melting point of the packing part 600 may b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body 500 . The packing part 600 may have heat resistance. For example, the packing unit 600 may preserve its shape at a temperature of 200 degrees Celsius or more.

패킹부(600)는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패킹부(600)는 제1 바디(501)와 제2 바디(502)를 결합할 수 있다. 제1 밀착부(520)의 제1 대향면은 에칭 처리에 의해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밀착부(520)의 제1 대향면은 에칭 처리된 상태에서 패킹부(6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밀착부(520)는, 제1 대향면의 에칭 처리에 의해, 패킹부(600)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packing unit 6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 The packing unit 600 may couple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2 to each other. The first facing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art 520 may have a rough surface by etching. The first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adhesion part 520 may be coupled to the packing part 600 in an etched state. The first adhesion part 52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packing part 600 by etching the first facing surface.

제2 밀착부(530)의 제2 대향면은 에칭 처리에 의해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밀착부(530)의 제2 대향면은 에칭 처리된 상태에서 패킹부(6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밀착부(530)는, 제2 대향면의 에칭 처리에 의해, 패킹부(600)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opposing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may have a rough surface by etching. The second opposing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art 530 may be coupled to the packing part 600 in an etched state.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packing portion 600 by etching the second opposing surface.

패킹부(600)는 핀(400)의 중간부(430)와 결합할 수 있다. 핀(400)의 중간부(430)는 프라이머 도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핀(400)의 중간부(430)는, 프라이머 도포 과정에 의해, 패킹부(600)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packing part 600 may be coupled to the middle part 430 of the pin 400 . The middle portion 430 of the pin 400 may be subjected to a primer application process. The middle part 430 of the pin 40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packing part 600 by a primer application process.

도 13은 도 12의 C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3 is a view showing region C of FIG. 12 .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600)는, 코어(610, core), 돌출부(620), 그리고 함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packing par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re 610 , a protrusion 620 , and a depression 630 .

코어(610)는 제1 밀착부(520)와 제2 밀착부(5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610)는 프레임(300, 도 11 참조) 및 핀(400, 도 11 참조)을 감싸며 지지할 수 있다. The core 6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dhesion part 520 and the second adhesion part 530 . The core 610 may surround and support the frame 300 (refer to FIG. 11 ) and the pin 400 (refer to FIG. 11 ).

돌출부(620)는 코어(610)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620)는 코어(610)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620)는 코어(610)에서 제1 거리(d1)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620)는 제1 밀착부(520)에 더 인접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620 may extend from the core 610 . The protrusion 62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core 610 . For example, the protrusion 620 may protrude from the core 610 by a first distance d1 . The protrusion 620 may be more adjacent to the first contact part 520 .

돌출부(620)는, 전면(621), 상면(623), 그리고 후면(625)을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620)의 전면(621)은 전방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상면(623)은 전면(6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면(625)은 상면(623)에서 이어질 수 있다. 후면(625)은 후방을 마주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620 may form a front surface 621 , an upper surface 623 , and a rear surface 625 . The front surface 621 of the protrusion 62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The upper surface 623 may be formed to extend backward from the front surface 621 . The back surface 625 may continue from the top surface 623 . The back side 625 may face the back side.

함몰부(630)는 돌출부(620)의 후면(625)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630)는, 돌출부(620)와 제2 밀착부(5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630)는 코어(610)에서 내부로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630)는 코어(610)에서 제2 거리(d2)만큼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630)는 제2 밀착부(530)에 더 인접할 수 있다. 함몰부(630)는 제2 밀착부(530)에 이어질 수 있다. 함몰부(630)는 제2 밀착부(530)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630)는 제2 밀착부(530)와 제2 거리(d2)만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The depression 63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rear surface 625 of the protrusion 620 . The depression 6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sion 62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 The depression 630 may be depressed in the core 610 . For example, the depression 630 may be depressed by the second distance d2 from the core 610 . The recessed part 630 may be more adjacent to the second contact part 530 . The recessed portion 6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 The recessed part 630 may form a step difference with the second contact part 530 . For example, the recessed portion 630 may form a step difference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by the second distance d2 .

함몰부(6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함몰 공간(DS)이라 할 수 있다. 함몰 공간(DS)은, 제2 입출력 포트(119)가 하우징(700, 도 5 참조)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돌출부(620)가 후방으로 밀려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돌출부(620)가 후방으로 밀려 위치하면, 돌출부(620)의 더 넓은 면적이 하우징(700, 도 5 참조)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630)는, 입출력 포트(119)의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space formed by the depression 630 may be referred to as a depression space DS. The recessed space DS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protrusion 620 is pushed back while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When the protrusion 620 is pushed rearward, a larger area of the protrusion 620 may contact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Accordingly, the depression 630 may improve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input/output port 119 .

도 14는 도 11의 입출력 포트를 테스트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put/output port of FIG. 11 is tested.

도 14를 참조하면, 입출력 포트(119)는 방수 테스트 장치(900)에 끼워질 수 있다. 방수 테스트 장치(900)의 일부는, 하우징(700, 도 5 참조)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입출력 포트(119)는 도 11에 도시된 제2 입출력 포트(119)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the input/output port 119 may be inserted into the waterproof test apparatus 900 . A part of the waterproof test apparatus 90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ousing 700 (refer to FIG. 5 ). The input/output port 119 illustrated in FIG. 14 may be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illustrated in FIG. 11 .

방수 테스트 장치(900)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P1)에서 제2 지점(P2)으로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유체는 공기 또는 물일 수 있다. A fluid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proof test apparatus 900 . For example, the fluid may flow from the first point P1 to the second point P2 . The fluid may be air or water.

제1 지점(P1)에서 제2 지점(P2)으로 유체가 유동되면, 제3 지점(P3)에서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제3 지점(P3)에서의 압력을 축정함으로써, 제2 입출력 포트(119)의 방수 기능이 테스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출력 포트(119)가 방수 기능을 발현하면, 제3 지점(P3)에서 압력은 유체의 유동되기 전후에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fluid flows from the first point P1 to the second point P2 , the pressure may be measured at the third point P3 . By accumulating the pressure at the third point P3 ,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may be tested. For example, when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exhibits a waterproof function, the pressure at the third point P3 may not change before and after the fluid flows.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15 is a view showing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700)은 하우징 바디(7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710)는 중공부(HP, 도 5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710)는 제2 입출력 포트(119, 도 11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710)의 일 단은 제2 개구부(OPN2, 도 5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the housing 700 may include a housing body 710 . The housing body 710 may form a hollow portion (HP, see FIG. 5 ). The housing body 710 may accommodate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refer to FIG. 11 ). One end of the housing body 710 may form a second opening OPN2 (refer to FIG. 5 ).

하우징(700)은 포트 입구(720)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입구(720)는 하우징(700)의 타 단에 형성될 수 있다. 포트 입구(720)는 제1 개구부(OPN1, 도 5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포트 입구(720)는 단말기(10, 도 1 참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housing 700 may include a port inlet 720 . The port inlet 720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700 . The port inlet 720 may form a first opening OPN1 (refer to FIG. 5 ). The port entrance 7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10 (refer to FIG. 1 ).

도 16 내지 21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연결부와 바디의 연결 관계에 관련된 도면이다. 16 to 21 are views related to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connection part and a bod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하우징(700)은, 하우징 바디(710), 포트 입구(720), 그리고 하우징 연결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730)는 포트 입구(720)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730)는 걸쇠(7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the housing 700 may include a housing body 710 , a port inlet 720 , and a housing connection part 730 . The housing connector 730 may be located opposite the port inlet 720 . The housing connection part 730 may include a clasp 740 .

걸쇠(74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쇠(740)는 제1 걸쇠(741)와 제2 걸쇠(743)를 포함할 수 있다. 걸쇠(740)는 하우징 바디(7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lasps 74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clasp 740 may include a first clasp 741 and a second clasp 743 . The clasp 740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housing body 710 .

걸쇠(740)의 양 측에 홈(713, 715, groove)이 형성될 수 있다. 홈(713, 715)은, 하우징 바디(710)에 형성될 수 있다. 홈(713, 715)은, 포트 입구(720)를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713, 715)은 제1 홈(713)과 제2 홈(715)을 포함할 수 있다. Grooves 713 and 715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atch 740 . The grooves 713 and 715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body 710 . The grooves 713 and 715 may have a shape recessed toward the port inlet 720 . The grooves 713 and 715 may include a first groove 713 and a second groove 715 .

걸쇠(741)는 제1 홈(713)과 제2 홈(71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홈(713)과 제2 홈(715)에 의해, 걸쇠(741)의 전후 방향 길이는, 걸쇠(741)가 하우징 바디(710)에서 돌출된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걸쇠(740)의 돌출로 인한 부피는 제한되면서도, 걸쇠(740)의 공정(예를 들어 벤딩)에 필요한 걸쇠(740)의 길이는 확보될 수 있다. The latch 74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oove 713 and the second groove 715 . Due to the first groove 713 and the second groove 715 ,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lasp 741 may be greater than a length at which the clasp 741 protrudes from the housing body 710 . While the volume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clasp 740 is limited, the length of the clasp 740 required for the process (eg, bending) of the clasp 740 can be secured.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의 하우징(700)에 도 11의 제2 입출력 포트(119)가 삽입될 수 있다. 걸쇠(741)는 제2 바디(502)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쇠(741)는 제2 밀착부(530)를 가로지를 수 있다. 걸쇠(741)는 제2 밀착부(530)와 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of FIG. 11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700 of FIG. 16 . The clasp 741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body 502 . For example, the clasp 741 may cross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 The clasp 741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530 .

제1 스토퍼(540), 빔(561, 563), 그리고 제2 스토퍼(550)의 연결된 길이는, 하우징 바디(710)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는, 제2 입출력 포트(119)의 전방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입출력 포트(119)의 전방 이동은, 하우징 바디(710)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A length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540 , the beams 561 and 563 , and the second stopper 550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housing body 710 .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may suppress forward movement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may be based on the housing body 710 .

도 18을 참조하면, 걸쇠(740)는 굽어질 수 있다. 걸쇠(740)는 연장부(7411, 7431)와 벤딩부(7413, 74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7411, 7431)는 제1 연장부(7411)와 제2 연장부(7431)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7413, 7433)는 제1 벤딩부(7413)와 제2 벤딩부(74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쇠(741)는 제1 연장부(7411)와 제1 벤딩부(7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쇠(743)는 제2 연장부(7431)와 제2 벤딩부(743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 the clasp 740 may be bent. The clasp 740 may include extension parts 7411 and 7431 and bending parts 7413 and 7433 . The extension parts 7411 and 7431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7411 and a second extension part 7431 . The bending parts 7413 and 7433 may include a first bending part 7413 and a second bending part 7433 . The first clasp 741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7411 and a first bending part 7413 . The second clasp 743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art 7431 and a second bending part 7433 .

연장부(7411, 7431)는, 하우징 바디(7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7413, 7433)는, 연장부(7411, 7413)에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벤딩부(7413)는 제2 벤딩부(7433)를 향하여 굽어질 수 있다. 제2 벤딩부(7433)는 제1 벤딩부(7413)를 향하여 굽어질 수 있다. 벤딩부(7413, 7433)는 제2 입출력 포트(119)의 후방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입출력 포트(119)의 후방 이동은, 하우징 바디(710)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s 7411 and 743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housing body 710 . The bending parts 7413 and 7433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extension parts 7411 and 7413 . The first bending part 7413 may be bent toward the second bending part 7433 . The second bending part 7433 may be bent toward the first bending part 7413 . The bending parts 7413 and 7433 may suppress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 The rear movement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may be based on the housing body 710 .

도 19를 참조하면, 하우징(700)은, 하우징 바디(710), 포트 입구(720), 그리고 하우징 연결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730)는 포트 입구(720)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730)는 제2 연결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 the housing 700 may include a housing body 710 , a port inlet 720 , and a housing connection part 730 . The housing connector 730 may be located opposite the port inlet 720 . The housing connection part 73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rt 750 .

제2 연결부(750)는 하우징 바디(7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50)는 가이드(751)와 하우징 홀(75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751)는 하우징 바디(7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홀(753)은 가이드(751)와 포트 입구(7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홀(753)은 가이드(751)에 인접할 수 있다. 하우징 홀(753)은, 가이드(751)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홀(753)은, 하우징 바디(710)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홀(753)은 하우징 바디(710)와 가이드(751)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홀(753)은, 하우징 바디(710)와 가이드(751)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710)와 가이드(751)의 경계는, 하우징 홀(753)과 중첩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rt 750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housing body 710 . The second connection part 750 may include a guide 751 and a housing hole 753 . The guide 751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housing body 710 . The housing hole 753 may be formed between the guide 751 and the port inlet 720 . The housing hole 753 may be adjacent to the guide 751 . The housing hole 753 may be formed in the guide 751 . The housing hole 753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body 710 . The housing hole 753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body 710 and the guide 751 . The housing hole 753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housing body 710 and the guide 751 . A boundary between the housing body 710 and the guide 751 may overlap the housing hole 753 .

도 20을 참조하면, 제2 바디(502)는 연결 돌기(5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돌기(570)는 제2 밀착부(53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돌기(570)는 제2 밀착부(530)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1의 제2 입출력 포트(119)에 연결 돌기(570)가 형성된 입출력 포트(119)를 제3 입출력 포트(119)라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 the second body 502 may include a connection protrusion 570 . The connection protrusion 57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ntact part 530 . The connection protrusion 570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contact part 530 to the outside. The input/output port 119 in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570 is formed in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of FIG. 11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input/output port 119 .

연결 돌기(570)는, 가이드 면(571), 상면(573), 그리고 후면(575)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면(571)은 전방을 비스듬히 마주할 수 있다. 가이드면(571)은 제2 밀착부(530)의 일 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상면(573)은 가이드 면(571)에서 연장되어 후면(575)에 이어질 수 있다. 후면(575)은 후방을 마주할 수 있다. 연결 돌기(570)가 하우징 홀(753, 도 19 참조)에 끼워지면, 후면(575)은 가이드(751, 도 19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rotrusion 570 may form a guide surface 571 , an upper surface 573 , and a rear surface 575 . The guide surface 571 may face the front obliquely. The guide surface 571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art 530 . The upper surface 573 may extend from the guide surface 571 and continue to the rear surface 575 . The back side 575 may face the back side. When the connection protrusion 57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hole 753 (refer to FIG. 19), the rear surface 575 may face the guide 751 (refer to FIG. 19).

제2 밀착부(530)는 제2 밀착부 홈(5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착부 홈(533)은 제2 밀착부(53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돌기(570)는 제2 밀착부 홈(533)에 인접할 수 있다. 가이드 면(571)은 밀착부 홈(533)에 이어질 수 있다. 제2 밀착부 홈(533)은 가이드 면(57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밀착부 홈(533)은, 연결 돌기(570)와 패킹부(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art 530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art groove 533 . The second contact part groove 53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art 530 . The connection protrusion 570 may be adjacent to the second contact part groove 533 . The guide surface 571 may be connected to the contact part groove 533 . The second contact part groove 533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guide surface 571 . The second contact part groove 53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protrusion 570 and the packing part 600 .

도 21을 참조하면, 도 19의 하우징(700)에 도 20의 제3 입출력 포트(119)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돌기(570)는 가이드(751)를 지나 하우징 홀(753)에 끼워질 수 있다. 연결 돌기(570)가 가이드(751)를 지나는 과정에서, 가이드 면(571)은 가이드(751)에 대하여 테이퍼(taper)된 상태일 수 있다. 가이드(751)는 탄성을 가지며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 the third input/output port 119 of FIG. 2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700 of FIG. 19 . The connecting protrusion 570 may pass through the guide 751 and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hole 753 . While the connecting protrusion 570 passes through the guide 751 , the guide surface 571 may be in a tapered state with respect to the guide 751 . The guide 751 has elasticity and may have restoring force.

하우징 홀(753)에 끼워진 연결 돌기(570)는, 제2 입출력 포트(119)의 후방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입출력 포트(119)의 후방 이동은, 하우징 바디(710)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rotrusion 570 fitted in the housing hole 753 may suppress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 The rear movement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may be based on the housing body 710 .

제1 스토퍼(540), 빔(561, 563), 그리고 제2 스토퍼(550)의 연결된 길이는, 하우징 바디(710)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제1 스토퍼(540)와 제2 스토퍼(550)는, 제2 입출력 포트(119)의 전방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입출력 포트(119)의 전방 이동은, 하우징 바디(710)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A length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540 , the beams 561 and 563 , and the second stopper 550 may be greater than a width of the housing body 710 . The first stopper 540 and the second stopper 550 may suppress forward movement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econd input/output port 119 may be based on the housing body 710 .

하우징 홀(753)은 제2 밀착부 홈(533)과 연통될 수 있다. 하우징 홀(753)과 제2 밀착부 홈(533, 도 20 참조)은, 입출력 포트(119)가 리어 케이스(102, 도 1 참조)에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housing hole 753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ntact part groove 533 . The housing hole 753 and the second contact part groove 533 (see FIG. 20 )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input/output port 119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see FIG. 1 ).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Certain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their respective configurations or functions.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이동 단말기 101: 프런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3: 후면커버
119: 입출력 포트 151: 디스플레이부
300: 프레임 400: 입출력 핀
500: 입출력 포트 바디 600: 패킹부
700: 하우징
10: mobile terminal 101: front case
102: rear case 103: rear cover
119: input/output port 151: display unit
300: Frame 400: I/O pins
500: input/output port body 600: packing part
700: housing

Claims (20)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와 이격된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2 개구부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며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되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된 제2 바디를 구비하는 바디(body);
상기 바디에 수용되는 핀;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는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1 바디에 수용되고 노출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바디에 수용되고 노출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core); 및
상기 코어에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코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a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a second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pening, and a hol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 frame having the shape of a plate and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a body coupled to the frame and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the body having a first body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body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a pin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includes a packing portion coupled to the frame;
The pin is
a first portion received and exposed to the first body; and
a second portion accommodated in and exposed to the second body;
including,
The packing part,
a co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r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including,
The packing part,
The input/output port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inwardly from the core, and further comprising a depression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패킹부에 접하는 제1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패킹부에 접하는 제2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는, 상기 제1 밀착부와 상기 제2 밀착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packing portion,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contact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packing portion,
The packing part is an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dhesion part and the second adhesion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2 밀착부를 기준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pression is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essed shape based 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forms a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한 제1 프레임;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임 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a first fram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a second fram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body; and
a frame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put and output port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 바디;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하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 바디는, 상기 프레임 홀을 통해 상기 제1 하부 바디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body,
a first upper body positioned above the frame; and
It includes a first lower body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The first upper body is an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body through the frame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 바디로 이어져 상기 제2 바디와 결합하는 제1 발; 및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 바디로 이어져 상기 제2 바디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발과 이격된 제2 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rame is
a first foot extending from the second frame and extending to the second body a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foot extending from the second frame and extending to the second body a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ot;
Input and output port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제1 발과 상기 제2 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in is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first foot and the second foo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발에 인접하며 상기 제2 개구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발에 인접하며 상기 제2 개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토퍼와 이격된 제2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body,
a first stopper adjacent to the first foot and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opening; and
a second stopper adjacent to the second foot, positioned outside the second open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opper;
Input and output port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를 연결하는 제1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body, the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beam connecting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바디와 결합하는 하우징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using is
a housing body forming the hollow part; and
a housing connector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and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to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Input and output port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연장되는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굽어져 상기 제2 밀착부를 감싸는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using connection part includes a latch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The clasp i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housing body; and
It includes; a bending part that is bent from the extension part and surrounds the second contact part;
The first direction is an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연장된 제1 걸쇠;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 걸쇠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걸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lasp is
a first latch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and
a second latch extending from the housing body and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latch;
Input and output port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제2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1,2 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제1 바디를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using body includes first and second grooves formed by being depressed in a second direction from the second opening,
The clasp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The second direction is an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irection from the second body toward the first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 바디(710)의 경계에 형성된 하우징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밀착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홀에 끼워지는 연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using connection part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guid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econd opening; and
and a housing hol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guide and the housing body 710 ,
The second body includes a connec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is fitted into the housing hole,
The first direction is an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제1 바디를 비스듬히 마주하며, 상기 제2 밀착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면; 및
상기 가이드를 마주하며, 상기 제2 밀착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후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necting protrusion,
a guide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at an angle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a rear surface facing the guide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Input and output port comprising a.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착부는,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돌기에 인접한 제2 밀착부 홈(groov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to the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ntact portion groove (groove) adjacent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착부 홈은, 상기 패킹부와 상기 연결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포트.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contact part groove is an input/output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packing part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프런트 케이스;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
상기 프런트 케이스에 결합되어 전방을 향하여 이미지를 전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 결합된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입출력 포트;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front case;
a rear cas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ase;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front case to display an image toward the front; and
The input/output port according to claim 1 coupled to the rear case;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KR1020180018087A 2017-10-15 2018-02-13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422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53,959 US10340622B2 (en) 2017-10-15 2018-04-16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2555P 2017-10-15 2017-10-15
US62/572,555 2017-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22A KR20190042422A (en) 2019-04-24
KR102422549B1 true KR102422549B1 (en) 2022-07-20

Family

ID=6628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87A KR102422549B1 (en) 2017-10-15 2018-02-13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54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8360A1 (en) * 2016-04-01 2017-10-0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1825B1 (en) * 2002-12-10 2004-09-14 Pro-Design Solutions Llc Tablet computer hous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8360A1 (en) * 2016-04-01 2017-10-0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22A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101759950B1 (en) Mobile terminal
US10613589B2 (en) Electronic device
US10126532B2 (en) Mobile terminal
US9609099B2 (en) Mobile terminal
KR101727512B1 (en) Mobile terminal
US10468816B2 (en) Connector waterproof housing and mobile terminal
EP3188458B1 (en) Mobile terminal
US20180288201A1 (en) Mobile terminal
KR102406843B1 (en) Mobile terminal
US10340622B2 (en)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70078461A1 (en) Mobile terminal
EP3089429B1 (en) Rear case for mobile terminal
KR102422549B1 (en)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70011355A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204A (en)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101575503B1 (en) Mobile terminal
KR102192820B1 (en) Mobile terminal
KR102179824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79475A (en) Mobile terminal
KR101562592B1 (en) Mobile terminal
KR101607974B1 (en) Mobile terminal
KR20150121584A (en) Mobile terminal
KR20180085262A (en) Mobile terminal
KR20170108553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