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274B1 -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 Google Patents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274B1
KR102373274B1 KR1020210092845A KR20210092845A KR102373274B1 KR 102373274 B1 KR102373274 B1 KR 102373274B1 KR 1020210092845 A KR1020210092845 A KR 1020210092845A KR 20210092845 A KR20210092845 A KR 20210092845A KR 102373274 B1 KR102373274 B1 KR 10237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bar
fire
bottom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순
이현성
김세현
이세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9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는 실외 문화재의 인근에 배치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들을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사람의 접근을 막는 경계구조물; 및 상기 경계구조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면에 설치되고,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상기 실외 문화재를 보호하는 보호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Safety Fence for forest fire Response}
본 발명은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산불은 푸른 숲이 형성되는 6월부터 9월까지 하절기와 눈이 많이 쌓인 동절기를 제외하곤 연중에 노출되어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탑, 사찰, 각, 종과 같은 많은 문화재가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는데, 특히 산세가 험한 산중에 사찰이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사찰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보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화재들은 건물 내에 배치되는 실내 문화재와 건물 밖에 배치되는 실외 문화재로 분류할 수 있다.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 실내 문화재의 경우, 건물 내에 소방시스템을 통해 보호가 가능하다.
하지만, 실외 문화재의 경우, 현실적으로 화재 발생시 빠른 대응을 할 수 없어 문화재가 소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문화재는 한번 소실되면 그 문화재적 가치를 잃어버리게 되므로, 신속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산불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21255호 '산불 방화 물팬스'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실외 문화재 보호팬스의 경우, 낮은 높이로 인해 불과 강풍으로부터 실외 문화재의 상부를 보호할 수 없어, 실외 문화재의 상부에 불이 붙어 파손되거나, 실외 문화재의 상부가 강풍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실외 문화재 보호구조물의 경우, 실외 문화재의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높게 설치하게 되면, 실외 문화재를 가려 사람들이 실외 문화재를 관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재 발생시 실린더를 통해 상승되어, 불 또는 강풍으로부터 실외 문화재를 보호할 수 있는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는 실외 문화재의 인근에 배치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들을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사람의 접근을 막는 경계구조물; 및 상기 경계구조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면에 설치되고,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상기 실외 문화재를 보호하는 보호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구조물은, 상기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의 전방 좌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레일; 상기 상판의 하부 좌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레일; 상기 바닥판의 상부의 후방에서 우단부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샤프트가 좌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샤프트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실린더; 상기 샤프트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레일에 전단부가 끼워지며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1 힌지지지대가 마련된 가이드부; 상기 상판의 하부 우측에 설치되는 제1 힌지결합대; 상기 제1 힌지지지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힌지결합대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지지바; 상기 바닥판의 상부 우측에 설치되는 제2 힌지지지대; 상기 제2 레일에 끼워져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2 힌지결합대; 상기 제2 힌지지지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 힌지결합대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2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의 중심부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를 연결시키는 중심축; 및 상기 상판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고 펼쳐져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며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상기 실외 문화재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상부 전방에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 전방의 양측부에는 각각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마련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돌출턱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감기며 타단부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방화막; 및 상기 방화막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걸림봉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방화막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걸림봉은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고, 상기 걸림고리는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구조물에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와이어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상판에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고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와이어고리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고리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는 보호구조물을 통해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실외 문화재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평소에는 보호구조물이 경계구조물과 같은 높이로 접혀 있어 사람들이 실외 문화재를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산불과 같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보호구조물은 상승함으로써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실외 문화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10)는 경계구조물(100) 및 보호구조물(200)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구조물(100)은 실외 문화재(20)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경계구조물(100)은 실외 문화재(20)로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경계구조물(100)은 복수개의 수직지지대(110)와 복수개의 수평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지지대(110)는 서로 이격되어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수평지지대(120)는 수직지지대(110)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보호구조물(200)은 경계구조물(100)로부터 이격되어 지면에 설치되고,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실외 문화재(20)를 보호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보호구조물(200)은 바닥판(210), 상판(220), 제1 레일(RA1), 제2 레일(RA2), 실린더(230), 가이드부(240), 제1 힌지결합대(HG1), 제1 지지바(250), 제2 힌지지지대(HJ2), 제2 힌지결합대(HG2), 제2 지지바(260), 중심축(270), 보호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210)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210)의 상부 전방에는 복수개의 걸림고리(211)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판(220)은 바닥판(210)으로부터 이격되어 바닥판(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220)은 바닥판(210)보다 폭이 좁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판(220)의 하부 전방의 양측부에는 각각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턱(2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레일(RA1)은 바닥판(210)의 상부의 전방 좌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레일(RA2)은 상판(220)의 하부 좌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레일(RA1)과 제2 레일(RA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230)는 바닥판(210)의 상부의 후방에서 우단부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230)는 샤프트(231)가 좌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샤프트(231)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230)는 샤프트(231)에 연결되는 가이드부(24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230)는 유압실린더(230)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샤프트(231)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제1 레일(RA1)에 전단부가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40)는 실린더(23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레일(RA1)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40)의 상부에는 제1 힌지지지대(HJ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힌지지지대(HJ1)는 가이드부(24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결합대(HG1)는 상판(220)의 하부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바(250)는 제1 힌지지지대(HJ1)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제1 힌지결합대(HG1)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230)에 의해 제1 힌지지지대(HJ1)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지지바(250)는 타단부가 지면에 가까워지며 지면측으로 누워질 수 있고, 제1 힌지지지대(HJ1)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지지바(250)는 타단부가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며 세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린더(230)에 의해 제1 힌지지지대(HJ1)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상판(220)은 하강될 수 있고, 실린더(230)에 의해 제1 힌지지지대(HJ1)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상판(220)은 상승될 수 있다.
제2 힌지지지대(HJ2)는 바닥판(210)의 상부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힌지결합대(HG2)는 제2 레일(RA2)에 끼워져 제2 레일(RA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지지바(260)는 제2 힌지지지대(HJ2)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제2 힌지결합대(HG2)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중심축(270)은 제1 지지바(250)의 중심부와 제2 지지바(26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제1 지지바(250)와 제2 지지바(26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제2 지지바(260)는 제1 지지바(250)에 연동되어 세워질 수 있고, 도 4의 (b)를 참고하면, 제2 지지바(260)는 제1 지지바(250)에 연동되어 지면측으로 누워질 수 있다.
보호부(280)는 상판(220)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고 펼쳐져 하단부가 바닥판(210)에 고정되며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실외 문화재(20)를 보호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보호부(280)는 회전축(281), 방화막(282), 걸림봉(28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81)은 돌출턱(221)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돌출턱(221)에는 베어링이 마련되고, 회전축(281)은 양단부가 각각 돌출턱(221)에 마련된 베어링에 삽입되어 돌출턱(22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방화막(282)은 회전축(281)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회전축(281)의 외주면에 감기며 타단부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화막(282)은 유리 섬유 재질로 마련되는 방화용 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봉(283)은 방화막(282)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81)이 회전되어 방화막(282)이 펼쳐지는 경우, 걸림봉(283)은 걸림고리(211)에 걸릴 수 있다. 이 때, 걸림고리(211)는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화막(282)은 바닥판(2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10)는 제1 와이어고리(WG1), 제2 와이어고리(WG2), 와이어(WI)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고리(WG1)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경계구조물(100)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와이어고리(WG2)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판(220)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WI)는 제1 와이어고리(WG1)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제2 와이어고리(WG2)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판(2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화막(282)에 강풍이 불어 제1 지지바(250) 및 제2 지지바(26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판(220)이 와이어(WI)를 통해 경계구조물(100)에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와이어(WI)는 보호구조물(200)이 실외 문화재(20) 측으로 넘어가 실외 문화재(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10)는 지지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90)는 가이드부(240)를 지지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가이드부(24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지지바(250)가 세워졌을 때, 지지부(290)는 가이드부(240)에 접촉되어 가이드부(24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90)는 지지대(291) 및 고정바(29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91)는 바닥판(210)의 상부의 전방에서 좌단부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291)는 우측부에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292)는 가이드부(240)에 일단부가 접촉되고 끼움홈에 타단부에 마련된 끼움턱이 끼워져 가이드부(24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바(292)는 가이드바의 좌측면에 접촉되어 가이드바를 지지함으로써, 가이드바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10)는 보호구조물(200)을 통해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실외 문화재(20)를 보호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평소에는 보호구조물(200)이 경계구조물(100)과 같은 높이로 접혀 있어 사람들이 실외 문화재(20)를 관람할 수 있고, 산불과 같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보호구조물(200)은 상승함으로써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실외 문화재(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100 : 경계구조물 110 : 수직지지대
120 : 수평지지대 200 : 보호구조물
210 : 바닥판 211 : 걸림고리
220 : 상판 221 : 돌출턱
RA1 : 제1 레일 RA2 : 제2 레일
230 : 실린더 231 : 샤프트
240 : 가이드부 HJ1 : 제1 힌지지지대
HG1 : 제1 힌지결합대 250 : 제1 지지바
HJ2 : 제2 힌지지지대 HG2 : 제2 힌지결합대
260 : 제2 지지바 270 : 중심축
280 : 보호부 281 : 회전축
282 : 방화막 283 : 걸림봉
290 : 지지부 291 : 지지대
292 : 고정바 WG1 : 제1 와이어고리
WG2 : 제2 와이어고리 WI : 와이어
20 : 실외 문화재

Claims (5)

  1. 실외 문화재의 인근에 배치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들을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사람의 접근을 막는 경계구조물; 및
    상기 경계구조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면에 설치되고,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상기 실외 문화재를 보호하는 보호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구조물은,
    상기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의 전방 좌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레일;
    상기 상판의 하부 좌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레일;
    상기 바닥판의 상부의 후방에서 우단부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샤프트가 좌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샤프트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실린더;
    상기 샤프트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레일에 전단부가 끼워지며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1 힌지지지대가 마련된 가이드부;
    상기 상판의 하부 우측에 설치되는 제1 힌지결합대;
    상기 제1 힌지지지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힌지결합대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지지바;
    상기 바닥판의 상부 우측에 설치되는 제2 힌지지지대;
    상기 제2 레일에 끼워져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2 힌지결합대;
    상기 제2 힌지지지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 힌지결합대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2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의 중심부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를 연결시키는 중심축; 및
    상기 상판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고 펼쳐져 하단부가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며 불 또는 바람으로부터 상기 실외 문화재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부 전방에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 전방의 양측부에는 각각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마련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돌출턱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감기며 타단부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방화막; 및
    상기 방화막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걸림봉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방화막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걸림봉은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고, 상기 걸림고리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구조물에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와이어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상판에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고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와이어고리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고리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KR1020210092845A 2021-07-15 2021-07-15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KR10237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45A KR102373274B1 (ko) 2021-07-15 2021-07-15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45A KR102373274B1 (ko) 2021-07-15 2021-07-15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274B1 true KR102373274B1 (ko) 2022-03-11

Family

ID=8081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845A KR102373274B1 (ko) 2021-07-15 2021-07-15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3026B1 (ja) 2023-08-28 2023-12-21 隆晃 児玉 延焼防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64B1 (ko) * 2008-02-21 2010-07-08 대한민국 화재로 인한 재해 방지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KR20100083380A (ko) * 2009-01-13 2010-07-22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화재 번짐 억제용 이중 철망
KR102011281B1 (ko) * 2019-05-17 2019-10-22 하상만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KR20200065936A (ko) * 2018-11-30 2020-06-09 (주)한국아이티에스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실시간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64B1 (ko) * 2008-02-21 2010-07-08 대한민국 화재로 인한 재해 방지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KR20100083380A (ko) * 2009-01-13 2010-07-22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화재 번짐 억제용 이중 철망
KR20200065936A (ko) * 2018-11-30 2020-06-09 (주)한국아이티에스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실시간 감시시스템
KR102011281B1 (ko) * 2019-05-17 2019-10-22 하상만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3026B1 (ja) 2023-08-28 2023-12-21 隆晃 児玉 延焼防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274B1 (ko) 산불대응형 안전울타리
US10780302B2 (en) Fire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3576212A (en) Fire-shielding device
US20040074152A1 (en) Fire protection cover apparatus for structures
US8714306B2 (en)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buildings undergoing construction
US7686094B2 (en) Fire protection device for a zone
US11697937B2 (en) Heat sensitive protective barrier and a method for its use
US20050194030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US20190175964A1 (en) Rapid deploy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a building against damage by an approaching wildfire
US20100300707A1 (en) Fire barrier
KR20210059452A (ko)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Leonard et al. Wye River/Separation Creek post-bushfire building survey findings
US20070102241A1 (en) Net system
US7464502B2 (en) Modular folding shelter
US4464868A (en) Building construction
US20210108436A1 (en) Burn protection for wood poles
CN211286927U (zh) 一种具有消防功能的综合性城市安装围墙
KR101097288B1 (ko) 스윙 업ㆍ다운 메시 펜스
KR102211321B1 (ko) 육각 오토텐트의 구조적 특수성을 이용한 회전 결합형 타프천막
Bartlett Fire management strategies for Pinus radiata plantations near urban areas
KR101054876B1 (ko) 천공장비 부토비산 방지망
WO2006039736A1 (en) Flexible fire barrier for property protection
KR20170001162A (ko) 건물 옥상의 피난장치
CN211948443U (zh) 一种建筑工地用深坑防护安全装置
US20200101333A1 (en) Heat sensitive protective barrier and a method for it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