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573B1 - 채널 감지 향상 - Google Patents

채널 감지 향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573B1
KR102372573B1 KR1020177020352A KR20177020352A KR102372573B1 KR 102372573 B1 KR102372573 B1 KR 102372573B1 KR 1020177020352 A KR1020177020352 A KR 1020177020352A KR 20177020352 A KR20177020352 A KR 20177020352A KR 102372573 B1 KR102372573 B1 KR 10237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signaling
channel
subframe
occu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290A (ko
Inventor
하이펭 레이
코도 슈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9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은 무선 통신에서의 측정 향상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채널로 전송하기를 결정하면, 이 채널이 자신의 전송에 의해 점유될 기간에 관한 것을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알린다.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정의되고, 디바이스는 정의된 점유 기간들 중 하나를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표시할 수 있다. 점유 기간의 표시의 검출시, 다른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표시된 지속시간 내에는 채널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게되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이 지속시간 내에는 불필요한 채널 감지 또는 측정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널 감지 향상
본 개시의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들, 특히 무선 통신들에서의 채널 감지 향상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에서, 높은 데이터 레이트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3 GPP(thi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에 의해 개발된 LTE(Long Term Evolution)가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매우 성공적인 플랫폼으로 승인되었다. LTE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들과의 간섭을 피하고 만족스러운 통신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전용(dedicated) 및 면허(licensed)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높은 데이터 레이트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용가능한 면허 주파수 리소스들이 계속 감소하여, 점점 더 많은 셀룰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이 그들의 서비스 제공을 증원하는 무료 툴로서 비면허(unlicensed) 스펙트럼의 이용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인 방법은 “LAA(Licensed-Assisted Access)”로 칭해지며, 이는 비면허 대역의 이용이, 면허 대역으로부터의 제어 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TE LAA는 3GPP LTE-Advanced Rel-13 이상에서 연구될 주제이다. LTE LAA의 목적은, 증가된 트래픽 양(traffic volume)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스루풋을 더 개선시키고 오프로딩 능력(offloading capability)을 제공하도록, 비면허 스펙트럼으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또는 다운링크만의 전송을 고려하여, 비면허 스펙트럼으로의 LTE의 오퍼레이터 제어(operator-controlled) 비독립형(non-standalone) 배치(deployment)에 대한 기본 양태들을 연구하는 것이다.
특히, LTE LAA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반송파들을 집성하기 위해 CA(carrier aggregation)를 사용, 즉 비면허 반송파를 보완적 다운링크(Supplemental Downlink) 또는 컴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LTE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또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 대한 1차 셀(primary cell)(또한, PCell, 1차 반송파, 또는 1차 컴포넌트 반송파로 칭해짐)은 항상 제어 시그널링을 전달하기 위해 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반면, 비면허 대역에서의 하나 이상의 2차 셀(또한 본원에서 SCell, 2차 반송파, 또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로 칭해짐)은 기회적(opportunistic) 용량(capacity) 개선을 위해 DL(downlink) 및/또는 UL(uplink)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특정 용도로 전용되기보다는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들에 의해 공유된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에서 동작하는 시스템에 대해, 다른 무선 시스템들로부터의 동채널(co-channel) 간섭들이 처리되어야 한다. 간섭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비면허 대역에서 동작하는 시스템들에 LBT(listen-before-talk) 피처가 도입되었으며, 몇몇 국가들/지역들에서는 의무적으로 되었다. 그러한 피처는 또한 3GPP RANl#78bis 회의에서 LTE LAA에 대해 합의되었으며, LTE LAA의 물리적 계층 설계는 LBT 피처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LTE eNB(Evolved Node B) 또는 UE(user equipment)는 전송을 위해 사용을 시작하기 전에 비면허 스펙트럼을 측정해야 한다. LBT에 대한 지역 특유의(region-specific) 요건들이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비면허 대역에 대한 최소 채널 점유 시간은 1 ms이고 최대 채널 점유 시간은 10 ms이며, 일본에서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은 4 ms이다. 따라서 LBT의 설계는 상이한 지역들에서의 상이한 요건들을 고려하고 통합 솔루션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최소 점유 시간이 1 ms이므로, 현재 점유되고 있는 채널이 1 ms 내에 해제될 수 있고, 이는 현재 채널 점유 시간에 대한 어떠한 지식도 없는 상태에서, eNB가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현재 채널이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점유되었으면 eNB는 비면허 스펙트럼을 1 ms마다 측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면허 스펙트럼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UE에 대해서도, 채널을 1 ms마다 측정해야 한다. 그러한 채널 감지 솔루션은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을 제시간에 검출할 수 있지만, UE측에서의 과도한 배터리 소모 또는 eNB측에서의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일 채널을 통해 전송할 것을 결정하면 이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전송에 의해 이 채널이 점유될 기간(time period)을 알리도록 함으로써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정의되고, 디바이스는 정의된 점유 기간들 중 하나를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표시할 수 있다. 점유 기간의 표시의 검출시, 다른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표시된 지속시간(time duration) 내에는 채널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고,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이 지속시간 내에는 채널 감지 또는 측정을 턴오프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의 이용가능성을 획득하기 위해 비면허 대역을 1 ms마다 측정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안되는 솔루션은 보다 전력 효율적이다.
이 요약은 개념들의 선택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개념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발명내용들의 중요한 특징들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식별시키려는 의도는 없으며, 또한 청구된 발명내용의 범위를 한정시키려는 의도도 없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은 일례를 통해 예시되며, 첨부된 도면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가리킨다:
도 1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블록도를 예기간다;
도 2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일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의 블록도를 예기간다;
도 3a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향상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예기간다;
도 3b는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의 전송의 개략도를 예기간다;
도 4a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점유 기간의 표시자(indicator)를 전송하는 것에 대한 개략도를 예기간다;
도 4b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유 기간의 표시자를 전송하는 것에 대한 개략도를 예기간다;
도 5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향상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예기간다;
도 6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향상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예기간다; 그리고
도 7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향상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예기간다.
이제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이 논의될 것이다. 당업자들이 발명내용의 범위에 대한 임의의 제한들을 제안하기 보다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을 보다 잘 이해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위해서만 본 실시예들이 논의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기지국(base station)”(BS)은 노드 B(NodeB 또는 B), 진화형(evolved) 노드 B(eNodeB 또는 eNB), RRU(Remote Radio Unit), RH(radio header), RRH(remote radio head), 릴레이(relay), 및 펨토(femto), 피코(pico)와 같은 저전력 노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는 BS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들을 지칭한다. 예시로서, UE는 단말기(terminal), MT(Mobile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PSS(Portable Subscriber Station), MS(Mobile Station), 또는 AT(Access Terminal)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UE들의 몇몇 예시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동작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한다” 및 그 변형들은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를 의미하는 개방적 용어들로서 읽혀져야 한다. 용어 “에 기반하여”는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로서 읽혀져야 한다. 용어 “일 실시예”와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읽혀져야 한다. 용어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로서 읽혀져야 한다. 다른 명시적 및 암시적 정의들이 아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100)의 블록도를 예기간다;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모바일 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페이저(pager), 모바일 컴퓨터, 모바일 TV, 게임 장치, 랩탑, 테이블 컴퓨터,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GPS 디바이스, 및 다른 유형들의 음성 및 텍스트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고정형(fixed-type) 디바이스는 마찬가지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0)는 전송기(114) 및 수신기(116)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112)를 포함한다. 이들 디바이스들로, UE(100)는 하나 이상의 BS와의 셀룰러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UE(100)는 면허 대역 또는 비면허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쟁 기반 액세스(contention based access)에 대해 비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때 LBT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120)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12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되는 회로들 또는 로직을 포함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A/D 컨버터, D/A 컨버터,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100)의 제어 및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은 이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능력들에 따라 할당된다.
선택적으로, UE(100)는 예를 들어 신호기(ringer, 122), 스피커(124), 마이크로폰(126), 디스플레이(128), 입력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위의 디바이스들 모두는 컨트롤러(120)에 커플링된다. UE(100)는 정적 및/또는 동적 이미지들을 캡처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E(1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되는 다양한 회로들에 전력을 공급하고 검출가능한 출력으로서의 기계적 진동을 대안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진동 배터리 세트와 같은 배터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 1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IM(138)은 보통 프로세서가 빌트인(built in)된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UIM(138)은 예를 들어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SIM(universal us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R-UIM(removable user identification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IM(138)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연결 검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UE(1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UE(100)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캐시 영역 내에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여 휘발성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UE(100)는 임베딩되고/임베딩되거나 이동가능할 수 있는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42)는, 예를 들어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UE(100)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UE(100)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정보 세그먼트들 및 데이터 내에 임의의 항목(item)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실행될 때 컨트롤러(120)로 하여금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기계 실행가능(machine-executable)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의 구조적 블록도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범위에 대한 임의의 제한들을 제안하지 않고 예시 목적을 위해서만 도시되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필요에 따라 몇몇 디바이스들이 추가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환경을 도기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UE가 BS(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예시에서는, 3개의 UE들(210, 220 및 230)이 있다. 이는, UE들의 개수에 대한 제한들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며 예시의 목적만을 위한 것이다. BS(200)와의 통신에서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UE들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들(210, 220 및 230)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UE(100)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UE, 예를 들어 UE(211)를 서빙(serving)하는 다른 BS(201)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UE[이 예시에서 UE(210)]가 다른 UE[이 예시에서 UE(220)]와 예를 들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 있다.
UE들(210, 220 및 230)과 BS(200) 사이의 그리고 UE(211)와 BS(201) 사이의 통신들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1G(first generation), 2G(second generation), 2.5G, 2.7G, 3G(third generation), 4G(fourth generation) 통신 프로토콜들, 및/또는 현재 공지된 또는 미래에 개발될 임의의 다른 프로토콜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시 목적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UE(210, 220 및 230) 및 BS(200)가 3GPP LTE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그러한 네트워크 시나리오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S(200) 및 BS(201)의 커버리지가 중첩될 수 있으므로, BS(201)로부터의 전송이 BS(200)에 의해 서빙되는 다른 UE들에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UE(210)와 UE(220) 사이의 D2D 통신은 또한 이웃하는 UE들 및/또는 BS들을 간섭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면허 대역에서 동작하는 셀룰러 시스템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간섭 문제는 인접해 있는 셀들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주파수 재사용율(frequency reuse factor)을 채택함으로써 처리된다. 그러나, 비면허 대역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 대해, 다양한 다른 무선 시스템들(예를 들어 Wi-Fi 시스템)과 경쟁 기반 방식으로 대역을 공유해야 하며, LBT의 피처가 의무적이다.
위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LBT에 대한 지역 특유의 요건들이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비면허 대역에 대한 최소 채널 점유 기간은 1 ms이고 최대 채널 점유 기간은 10 ms이며, 일본에서는 최대 채널 점유 기간은 4 ms이다. 예시로서 1 ms의 최소 점유 기간을 고려하면, 현재 점유되고 있는 채널은 1 ms 내에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BS가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현재 채널이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다른 BS)에 의해 점유되고 있으면, 이 BS는 이용가능한 채널의 미검출(miss-detection)을 회피하기 위해 1 ms마다 비면허 스펙트럼을 측정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채널 감지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D2D 통신에 대해 비면허 스펙트럼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 UE들에 의해 채택되어야 한다. 그러한 채널 감지 솔루션은 UE측에서의 과도한 배터리 소모 또는 BS측에서의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불필요한 측정을 회피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채널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들 및 장치들이 제공된다.
이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측정 향상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300)의 흐름도를 예시하는 도 3a를 참조한다. 방법(300)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BS(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300)은 BS(200)가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로부터 하나의 점유 기간을 선택하는 단계(301)로 진입한다.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 각각은 채널 점유의 지속기간(duration)을 나타낸다. 이어서 단계(302)에서, BS(200)는 선택된 점유 기간과 연관된 표시자를 생성한다. 방법(300)은, BS(200)가 표시자와 연관된 선택된 점유 기간에 의해 표시된 지속기간 내에 채널에서 다음 전송이 수행될 것임을 나타내도록 디바이스에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303)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301)에서 BS(200)는 BS가 동작하는 현재의 지리적 지역에 기반하여 한 세트의 가능한 점유 기간들을 정의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비면허 대역에 대해 허용된 점유 기간은 지역 특유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10 ms를 넘지 않는 점유 기간이 허용가능한 반면, 일본에서, 디바이스는 각 연속적인 전송에 대해 4 ms까지만 비면허 대역을 점유할 수 있다. 따라서, BS 동작에 대해 일본에서는, 4 ms를 넘지 않는 최대 점유 기간으로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정의하고 이어서 이 세트 내에서 점유 기간을 선택해야 하는 반면, BS 동작에 대해 유럽에서는, 10 ms를 넘지 않는 최대 점유 기간으로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정의하고 이어서 이 세트 내에서 점유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단계(301)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는 다음 전송에서 전달될 데이터의 양에 기반하여 점유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는 다음 전송에서 전달될 데이터의 양 및 지역 규제 둘 다에 기반하여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로부터 점유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로부터 디바이스[예를 들어, BS(200)]가 하나의 점유 기간을 선택하는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미리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standard) 또는 사양(specification)이 지정될 수 있다. 실제로, 상이한 지역들에 대해 상이한 세트들의 점유 기간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럽에 대해 정의된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본에 대해 정의된 다른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있을 수 있다.
Figure 112017069696794-pct00001
한 세트의 점유 기간의 예시
Figure 112017069696794-pct00002
한 세트의 점유 기간의 다른 예시
각 표 내의 목록화된 기간들이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범위로서 임의의 제한들을 제안하지 않고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최대 점유 기간이 특정 지역의 규제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한, 점유 시간의 상이한 레졸루션(resolution)들/그래뉼리티(granularity)들 및/또는 상이한 값들 및/또는 상이한 개수의 값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에 대해, 8개의 점유 기간들을 갖는 표가 정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후보 점유 기간은 {1 ms, 2 ms, 4 ms, 6 ms, 7 ms, 8 ms, 9 ms, 10 ms} 중 하나일 수 있다. 표는, 점유 기간의 표시를 위해 필요되는 데이터 전송 특성 및/또는 시그널링 오버헤드(overhead)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선택된 점유 기간을 표시하기 위해, 다수의 비트들로 구성된 표시자가 사용될 수 있다. 표 1에 도시된 예시를 계속 참조하면, 표 1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점유 기간을 표시하기 위해 2 비트 표시자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8개의 값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점유 기간을 표시하기 위해 3 비트 표시자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레졸루션의 점유 기간들이 있는 상이한 지역들에 대해 상이한 세트들의 점유 기간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은 3 ms의 그래뉼리티로 유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표 2는 1 ms의 그래뉼리티로 일본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디바이스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은 선택적 단계(304)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한 세트의 점유 기간 값들은 단계(304)에서 시스템 정보에 의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BS는 시그널링을 자신의 범위 내에 위치된 UE들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미리정의될 수 있고, BS는 단지 단계(304)에서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 자체보다는 한 세트의 인덱스, 서브세트 인덱스, 또는 지역 인덱스를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로 구성하여 UE들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유사하게,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가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해 목록화되었으며, 다른 실시예들에서,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은 단계(304)에서 임의의 적절한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한 세트의 점유 기간 값들은 선택적 단계(304)에서 기지국들 사이에서, 예를 들어 BS(200)와 BS(201) 사이에서 백홀(backhaul) 시그널링(예를 들어, X2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는, BS(201)로 하여금 BS(200)에 의해 단계(303)에서 전송되는 표시자를 적절히 해석하도록 하고, 표시된 기간 내에는 채널에 대한 자신의 측정을 중단시키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BS(201)는, RRC 시그널링 또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시그널링을 통해, BS(200)로부터 수신되는 한 세트의 점유 기간을 자신의 서빙 UE, 예를 들어 UE(211)에 표시할 수 있고, UE(211)가 BS(200)에 의해 단계(303)에서 전송되는 표시자를 적절히 해석할 수 있으며, 표시된 기간 내에는 채널에 대한 자신의 측정을 중단시킨다. 대안적으로, 몇몇 실시예들에서, 단계(304)에서 BS[예를 들어, BS(200)]는 RRC 시그널링을 자신의 범위 내의 UE들에 전송하고 X2 시그널링을 이웃하는 BS들[예를 들어, BS(201)]에 전송할 수 있고, UE들 및 이웃하는 BS들/UE들 둘 다는 단계(303)에서 전송되는 표시자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자신의 채널 감지 동작들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BS들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자신의 서빙 UE들에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포워딩할 수 있다. 도 3b에,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의 전송을 예시하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302)에서, 선택된 점유 기간의 인덱스로서 BS(200)에 의해 표시자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예시에서, BS(200)는 4 ms의 점유 기간을 표시하는 값 “2”의 표시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범위로서 임의의 제한들을 제안하지 않고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표시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표시자는 선택된 점유 기간의 길이를 직접 표시할 수 있다. 예시로서, 표시자는 선택된 7 ms의 점유 기간을 표시하는 값 “7”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303)에서 BS(200)는 표시자를 계층 1(L1) 시그널링, 즉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표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자는 표시된 지속기간 내에 제 1 서브프레임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벌로 전송될 수 있고, 다음 전송은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시작된다. 환언하면, 단계(302)에서 생성된 표시자의 전송 및 표시자에 의해 표시된 점유 기간 동안 채널을 점유할 다음 전송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한다.
도 4a에 일 예시가 도시된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예시에서, 비면허 대역 내에 위치될 수 있는 2차 반송파(또한 SCell, 2차 컴포넌트 반송파, 또는 2차 셀로 지칭됨)로의 데이터 전송은, 1차 반송파(또한 PCell, 1차 컴포넌트 반송파, 또는 1차 셀로 칭해짐)로부터 또는 면허 대역 내에 위치될 수 있는 2차 반송파로부터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스케줄링된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에서의 SCell 내의 PDSCH 전송의 시작 위치는,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표시자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OFDM 심벌로 전송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점유 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PDSCH 전송은 서브프레임 내의 제 2 OFDM 심벌에서, 즉 계층 1 표시자 직후에 시작할 수 있다.
또한 PDSCH가 시작되기 전에 다른 OFDM 심벌로 표시자가 전송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OFDM 심벌은 표시자의 전송을 위해 충분할 수 있다. 물론, 예를 들어 시그널링 신뢰도(reliability)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하나보다 많은 OFDM 심벌로 표시자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OFDM만으로 표시자를 전달하는 L1 시그널링으로 고정하는 것은, 다음 PDSCH 전송을 위해 보다 많은 리소스를 남길 수 있다. 표시자를 전달하는 L1 시그널링의 전송 기간(예를 들어, 1 OFDM 심벌)은, 채널 감지를 위해 그리고 L1 시그널링의 디코딩을 위해 LBT를 통해 채널에 액세스하기를 희망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BS 또는 UE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LBT에 대한 필요되는 채널 측정 시간이 20 μs이기 때문에, 약 66 μs 동안 지속되는 하나의 OFDM 심벌은 측정 및 디코딩을 위해 충분하다. 표시자를 검출하자마자, 이들 디바이스들은 표시된 지속시간 동안 채널이 점유될 것이라는 것을 감지한다. 따라서, 이들 디바이스들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자신의 측정들 또는 채널 감지를 중단할 수 있다.
LBT를 통해 채널에 대해 경쟁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BS 또는 UE들)이 표시자를 전달하는 L1 시그널링을 검출하도록 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이 L1 시그널링은 셀 또는 UE 특유의 스크램블링 또는 셀 특유의 시프팅이 없는 공통(common) 시그널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단계(303)에서 BS는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ion channel; PCFICH) 구조를 갖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표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공통 스크램블링 시퀀스 생성을 위해 고정된 셀 ID 및 슬롯 번호가 설정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항상 셀 ID를 510으로 슬롯 번호를 0으로 설정 - .
LTE 사양에 지정된 바와 같이, PCFICH는 제어 영역의 사이즈를 OFDM 심벌들의 수로 표기간다. 즉, PCFICH는 현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영역이 어디서 시작되는지를 표기간다. 따라서, PCFICH 정보의 정확한 디코딩이 필수적이다. PCFICH가 부정확하게 디코딩되면, 단말기는 제어 채널들을 어떻게 프로세싱하는지를 모르고, 데이터 영역이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해 어디서 시작하는지도 모를 것이다. PCFICH는, 1개의, 2개의, 또는 3개의 OFDM 심벌들의 3개의 제어 영역 사이즈들에 대응하는 (또는, 협대역 시나리오에 대해 2개의, 3개의 또는 4개의 OFDM 심벌들에 대응하는) 2 비트의 정보로 구성된다. 2 비트는 32 비트 코드워드(codeword)로 코딩될 수 있다. 코딩된 비트들은, 셀 특유의 시퀀스로 스크램블링되어 셀간 간섭을 랜덤화하고, QPSK 변조되고, 16 리소스 엘리먼트들에 맵핑된다.
일 실시예에서, PCFICH와 일치하는 구조의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점유 기간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그러한 시그널링의 구조는 PCFICH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4개의 값들은 예를 들어 1 ms 내지 10 ms 범위를 커버하도록 RRC 시그널링에 의해 정의되고 구성될 수 있다. 예시로서, 4개의 값들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시그널링에 의해 전달되는 값은 4개의 구성된 점유 기간 값들 중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표시자는 SCell 내의 PCFICH를 재사용함으로써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CFI(control format indicator) 값은 4개의 구성된 점유 기간 값들 중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특히 LTE LAA에 대해 이로울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LTE LAA에서, 면허 PCell로부터의 크로스 반송파(cross-carrier) 스케줄링은 비면허 대역 상에서 SCell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고, SCell 상의 PDSCH의 시작 심벌은 "CrossCarrierSchedulingConfig”의 필드 내의 RRC 시그널링 IE "pdsch-Start-r10”에 의해 표시된다. 이 시점에서, SCell 내의 PCFICH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스케줄링된 PDSCH 전송의 검출을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선택된 점유 기간의 표시자를 전달하기 위해 PCFICH를 재사용하는 것은 SCell 상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300)은 디바이스[예를 들어, BS(200)]가 단계(303)에서 전송된 표시자에 의해 표시된 지속기간 내에 제 2 서브프레임 내의 추가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305)로 진행할 수 있다. 추가 표시자는 다음 전송의 잔여 기간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2 서브프레임이 제 1 서브프레임에 후속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 ms 동안 지속되는 PDSCH 전송을 위해, BS는 단계(303)에서 PDSCH 전송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N) 내의 “10 ms”의 표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BS는 단계(305)에서 PDSCH 전송이 7 ms 내에 완료될 것임을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알리기 위해 서브프레임(N+3) 내의 “7 ms”의 다른 표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서브프레임(N)으로 전송된 제 1 표시자를 놓친 경우에, 서브프레임(N+3) 내의 추가 표시자를 검출할 기회를 여전히 가질 수 있으므로 다음 전송의 잔여 지속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지속기간[이 예시에서 7 ms] 내의 불필요한 측정 또는 채널 감지가 회피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서브프레임(N+1)으로 LBT 동작을 시작하면, 먼저 1 ms마다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서브프레임(N+3) 내의 “7 ms”의 표시자를 검출하자마자, 디바이스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7 ms 동안 자신의 측정 또는 채널 감지를 중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표시자의 전송 및 다음 전송이 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서 발생하지만,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법(300)은 또한 면허 대역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의 그룹들이 D2D 통신을 위해 면허 대역 내의 몇몇 공유되는 리소스로 구성되고, LBT를 통해 리소스에 대해 경쟁하도록 각 D2D 쌍이 필요되는 시나리오에서 방법(300)이 또한 적용되는데, 즉 D2D 내에 포함되는 UE가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 채널의 잠재적 점유 기간을 다른 UE들에게 알리기 위해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측정 향상의 예시적인 방법(500)에 대한 흐름도를 예기간다. 방법(500)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UE(210)와 같은 UE로, 또는 BS(201)와 같은 BS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법(50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entity)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단지 단순화를 위해, 방법이 도 2에 도시된 UE(210)에 의해 수행된다고 가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UE(210)가 디바이스[예를 들어, BS(200)]로부터 점유 기간과 연관된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501)로 진입하고, 점유 기간은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로부터 선택되며 채널 점유의 지속기간을 표기간다. 다음으로, 단계(502)에서 UE(210)는 표시자와 연관된 점유 기간을 결정하고, 디바이스[예를 들어, BS(200)]로부터의 다음 전송이, 표시된 지속기간 내에 채널에서 수행될 것이라고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503)에서 UE(210)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지속기간 내에 채널에 대한 채널 감지를 중단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501)에서 수신되는 표시자는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301)에서 BS(200)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자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표시자의 설계가 또한 여기서 적용될 수 있으며 다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표시자는 계층 1 시그널링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계(501)에서 UE(210)는 다음 전송이 시작되는 지속기간 내에 제 1 서브프레임의 OFDM 심벌 내의 표시자를 포함하는 계층 1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에서, UE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PDSCH 전송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 내의 제 1 OFDM 심벌 내의 표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501)에서 UE(210)는 도 3a를 참조하여 소개된 PCFICH 구조를 갖는 시그널링으로부터 표시자를 수신한다. 표시자를 전달하는 시그널링은 PCFICH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새로운 시그널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SCell 내의 기존의 PCFICH가 재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501)에서 수신된 표시자는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 중 하나의 점유 기간의 인덱스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계(502)에서 UE(210)는 표시자에 기반하여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로부터 점유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미리정의될 수 있다.
특정 동작 지역에서의 요건에 따르도록, BS(200)는 자신의 범위 내의 UE들에게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UE는 단계(501) 전인 단계(504)에서 BS(200)로부터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은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RRC 시그널링 및 시스템 정보가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해 목록화되었으며, 다른 실시예들에서,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임의의 적절한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500)은 또한 BS[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BS(2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예에서 단계(504)에서 BS는 RRC 시그널링보다는 백홀 시그널링(예를 들어, X2 시그널링)을 통해 BS(200)로부터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자신의 서빙 UE들로 BS(200)로부터 수신되는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포워딩할 수 있다.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304)의 동작과 유사할 수 있고, 여기서는 상세사항들이 생략된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305)에서 BS는 다음 전송의 잔여 기간을 표시하는 다른 표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UE(210)가 지속기간 내에 제 2 서브프레임 내의 추가 표시자를 수신하는 선택적 단계(505)로 진행할 수 있다. 이 추가 표시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BS(200)]로부터의 다음 전송의 잔여 기간을 표시하고, 제 2 서브프레임이 제 1 서브프레임에 후속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개략도가 도 4b에 도시되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예를 들어, BS(200)]로부터의 표시자의 수신 및 다음 전송이 비면허 대역 내의 채널에서 발생하지만,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법(500)은 또한 면허 대역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의 그룹들이 D2D 통신을 위해 면허 대역 내의 몇몇 공유되는 리소스로 구성되고, LBT를 통해 리소스에 대해 경쟁하도록 각 D2D 쌍이 필요되는 시나리오에서 방법(500)이 또한 적용되는데, 즉 D2D 내에 포함되는 각 UE가 보다 효율적인 측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에서의 측정 향상를 위한 장치(600)의 블록도를 예기간다. 장치(600)는 도 2에 도시된 BS(200),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6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600)는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300) 및 가능한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들 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300)이 반드시 장치(6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방법(300)의 적어도 몇몇 단계들이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300)을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모든 피처들이 장치(600)에 적용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장치(600)는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 -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 각각은 채널 점유의 지속기간을 표시함 - 로부터 하나의 점유 기간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기(601); 선택된 점유 기간과 연관된 표시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기(602); 및 표시자와 연관된 선택된 점유 기간에 의해 표시된 지속기간 내에 채널에서 다음 전송이 수행될 것임을 표시하는 표시자를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전송기(60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기(601), 생성기(602), 및 제 1 전송기(603)는 각각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300)의 단계들(301, 302 및 303)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단계들(301, 302 및 303)을 참조하여 설명된 액션들이 또한 각각 선택기(601), 생성기(602), 제 1 전송기에 적용된다. 따라서, 상세사항들이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선택기(601)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하나의 점유 기간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현재 지리적 지역, 다음 전송에서 전달될 데이터의 양. 생성기(602)는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점유 시간과 연관된 인덱스를 생성하거나, 또는 선택된 점유 기간의 길이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송기(603)는 일 실시예에서, 다음 전송이 시작되는 지속기간 내에 제 1 서브프레임의 OFDM 심벌로 계층 1 시그널링을 통해 표시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송기(603)는 다른 실시예에서,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ion channel) 구조를 갖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표시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새로운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또는 다음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는 SCell 내의 기존의 PCFICH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600)는 디바이스에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전송기(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전송기(604)는 예를 들어 자신의 범위 내에 위치된 UE들에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전송기(604)는 이웃하는 기지국들에 예를 들어 X2 시그널링을 위한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전송기(604)는 각각 RRC 시그널링 및 X2 시그널링을 통해 UE들 및 이웃하는 BS들 둘 다에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또한 한 세트의 점유 기간이 미리정의될 수 있고/있거나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이 지역 특유적일 수 있다. 한 세트의 점유 기간의 예시들은 표 1, 및 표 2에서 찾을 수 있다. 제 2 전송기(604)는 한 세트의 값들을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또는 한 세트, 서브세트, 또는 지역에 대한 인덱스를 전송하여 한 세트의 점유 시간을 함축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600)는 다음 전송의 잔여 기한을 표시하도록 지속기간 내에 제 2 서브프레임 - 제 2 서브프레임은 제 1 서브프레임에 후속함 - 내의 추가 표시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 3 전송기(6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추가 표시자는 제 1 서브프레임 내의 전송된 표시자를 놓친 디바이스가 전력을 절약하도록 다음 전송의 잔여 기한 내에 자신의 채널 감지 또는 측정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600)는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 둘 다에서 측정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에서의 측정 향상를 위한 장치(700)의 블록도를 예시하는 도 7을 참조한다. 장치(700)는 도 2에 도시된 BS(200) 또는 UE(210),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7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7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500) 및 가능한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들 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500)이 반드시 장치(7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방법(500)의 적어도 몇몇 단계들이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500)을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모든 피처들이 장치(700)에 적용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장치(700)는 점유 기간 - 점유 기간은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로부터 선택되고 채널 점유의 지속기간을 표시함 - 과 연관된 표시자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수신기(701); 표시자와 연관된 점유 기간을 결정하고 BS로부터의 다음 전송이 지속기간 내에 채널에서 수행될 것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702); 및 지속기간 내에 채널에 대한 채널 감지를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703)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수신기(701)는 다음 전송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시작되는 지속기간 내에 제 1 서브프레임의 OFDM 심벌 내의 표시자를 포함하는 계층 1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수신기(701)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ion channel) 구조를 갖는 시그널링으로부터 표시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장치(700)는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수신기(7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수신기(704)는 예를 들어 장치가 UE 또는 그 일부로 구현될 때,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가 BS 또는 그 일부로 구현될 때, 백홀 시그널링(예를 들어, X2 시그널링)을 통해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수신된 한 세트의 점유 기간들을 자신의 범위 내의 UE들에 포워딩/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7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은 방법(300)의 단계(304) 및 장치(600)의 제 2 전송기(604)를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과 유사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사항들이 생략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700)는 다음 전송의 잔여 기한을 표시하도록 지속기간 내에 제 2 서브프레임 - 제 2 서브프레임은 제 1 서브프레임에 후속함 - 내의 추가 표시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3 수신기(7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수신기(701), 검출기(702), 제어기(703), 제 2 수신기(704), 및 제 3 수신기(705)는 각각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500)의 단계들(501 내지 505)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단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액션들이 또한 각각 이들 컴포넌트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세사항들이 생략될 것이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시스템, 특히 LTE LAA 시스템의 맥락으로 방법들 및 장치들이 설명되었지만,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장치들(600 및/또는 700) 내에 포함되는 모듈들/유닛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예를 들어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는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유닛이 구현될 수 있다.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들에 추가하여 또는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대신하여, 장치들(600 및/또는 700) 내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유형들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Program-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SP(Program-specific Standard Product), SOC(System-on-a-chip system),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들(600 및 700) 내의 몇몇 유닛들 또는 모듈들은 몇몇 구현예들에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시스템(600) 내의 전송기들로서 기능하도록 단일 전송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단일 수신기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시스템(700) 내의 수신기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들,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양태들이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양태들은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이 블록도들로서, 흐름도들로서, 또는 몇몇 다른 그림(pictorial) 표현을 사용하여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원에서 설명되는 블록들, 장치, 시스템들, 기술들 또는 방법들이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들 또는 로직, 범용 하드웨어 또는 컨트롤러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로서,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모듈들 내에 포함되고 타겟 실제 또는 가상 프로세서 상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것들과 같은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한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한 추상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라이브러리들, 객체들, 클래스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모듈들의 기능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하는대로 프로그램 모듈들간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에 대한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로컬 또는 분산형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로컬 및 원격 저장 매체들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내용의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기록(write)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코드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제공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들은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될 때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 내에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이 구현되도록 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기계 상에서 전체적으로, 독립형(stand-alone)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기계 상에서 부분적으로, 기계 상에서 부분적으로 원격 기계 상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원격 기계 또는 서버 상에서 전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문맥에서,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을 위한 또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tangible) 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기계 판독가능 신호 매체 또는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보다 특정한 예시들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포터블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optical fiber), 포터블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갖는 전기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들이 특정 순서로 표현되지만, 이는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얻기 위해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몇몇 환경들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몇몇 특정 구현 세부사항들이 위의 논의들에 포함되지만, 이는 본원에서 설명된 발명내용의 범위 상의 제한들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의 설명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들의 맥락으로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으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분리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서브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내용이 구조적인 특징들 및/또는 방법론적인 액트들에 특유한 언어로 기술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발명내용이 위에서 설명된 특정한 특징들 또는 액트들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보다는, 위에서 설명된 특정한 특징들 및 액트들은 청구항들을 구현하는 예시 형태들로서 개시된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한 세트의 점유 시한(occupation time period)들을 정의하는 단계 - 상기 한 세트의 점유 시한 내의 최대 점유 시한은 지역 규정 요건(region regulation requirement)들에 따른 최대 점유 시한보다 크지 않음 - ;
    상기 한 세트의 점유 시한들로부터 점유 시한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한 세트의 점유 시한들 각각은 채널 점유의 기간(duration)을 표시함 - ;
    상기 선택된 점유 시한과 연관된 표시자(indicato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자와 연관된 상기 선택된 점유 시한에 의해 표시된 상기 기간에 채널에서 다음 전송이 수행될 것임을 표시하도록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점유 시한들로부터 점유 시한을 선택하는 단계는,
    현재 지리적 지역, 및 상기 다음 전송에서 전달(carry)될 데이터의 양(volum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점유 시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간에 제 1 서브프레임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벌로 계층 1 시그널링(layer 1 signaling)을 통해 상기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다음 전송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함 -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전송의 잔여 시한을 표시하도록 상기 기간에 제 2 서브프레임 내의 추가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에 후속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는,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ion channel; PCFICH) 구조를 갖고, 고정된 셀 식별(fixed cell identity) 및 고정된 슬롯 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공통 스크램블링 시퀀스(common scrambling sequence)로 스크램블링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또는 백홀 시그널링(system information or backhaul signaling)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한 세트의 점유 시한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비인가 대역(unlicensed band) 내에 있는 것인, 방법.
  8.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로부터, 점유 시한과 연관된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점유 시한은 한 세트의 점유 시한들로부터 선택되고, 채널 점유의 기간을 표시함 - ;
    상기 수신된 표시자와 연관된 상기 점유 시한에 의해 표시된 상기 기간에 채널에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의 다음 전송이 수행될 것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 채널(PCFICH) 구조를 갖고, 고정된 셀 식별 및 고정된 슬롯 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공통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스크램블링되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표시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간에 상기 채널에 대한 채널 감지를 중단(suspend)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간에 제 1 서브프레임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심벌로 상기 표시자를 포함하는 계층 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다음 전송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함 -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를 포함하는 계층 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 채널(PCFICH) 구조를 갖는 시그널링으로부터 상기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전송의 잔여 시한을 표시하도록 상기 기간에 제 2 서브프레임 내의 추가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에 후속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또는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한 세트의 점유 시한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비인가 대역 내에 있는 것인, 방법.
  14.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현재 지리적 지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한 세트의 점유 시한들로부터 점유 시한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 - 상기 한 세트의 점유 시한들 각각은 채널 점유의 기간을 표시함 - ;
    상기 선택된 점유 시한과 연관된 표시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기; 및
    상기 표시자와 연관된 상기 선택된 점유 시한에 의해 표시된 상기 기간에 채널에서 다음 전송이 수행될 것임을 표시하도록,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 채널(PCFICH) 구조를 갖는 계층 1 시그널링을 통해,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송기 - 상기 제 1 전송기는, 상기 계층 1 시그널링을 재사용하고, 고정된 셀 식별 및 고정된 슬롯 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공통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계층 1 시그널링을 스크램블링함으로써 상기 표시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상기 다음 전송에서 전달될 데이터의 양에 또한 기반하여 상기 점유 시한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송기는,
    상기 기간에 제 1 서브프레임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심벌로 상기 계층 1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표시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음 전송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하는 것인,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전송의 잔여 시한을 표시하도록 상기 기간에 제 2 서브프레임 내의 추가 표시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3 전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에 후속하는 것인,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또는 백홀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한 세트의 점유 시한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2 전송기를 더 포함하는,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비인가 대역 내에 있는 것인, 장치.
  20. 삭제
KR1020177020352A 2014-12-22 2015-12-22 채널 감지 향상 KR102372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4/094505 2014-12-22
CN2014094505 2014-12-22
US14/594,914 2015-01-12
US14/594,914 US9819459B2 (en) 2014-12-22 2015-01-12 Channel sensing enhancement
PCT/US2015/067358 WO2016106308A1 (en) 2014-12-22 2015-12-22 Channel sensing enhan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290A KR20170098290A (ko) 2017-08-29
KR102372573B1 true KR102372573B1 (ko) 2022-03-08

Family

ID=5613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352A KR102372573B1 (ko) 2014-12-22 2015-12-22 채널 감지 향상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819459B2 (ko)
EP (1) EP3238499B1 (ko)
JP (1) JP2018503299A (ko)
KR (1) KR102372573B1 (ko)
CN (1) CN107113732B (ko)
AU (1) AU2015369689A1 (ko)
BR (1) BR112017010392A2 (ko)
CA (1) CA2968019A1 (ko)
MX (1) MX2017008245A (ko)
RU (1) RU2017121800A (ko)
WO (1) WO2016106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54909T2 (hu) * 2016-02-04 2021-10-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járás és készülék feltöltés irányú kapcsolati információ átvitelére nem engedélyezett vivõn
CN105682244B (zh) * 2016-03-25 2018-01-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调度信令的配置方法、接收方法和相关设备
CN106922032B (zh) * 2017-02-27 2019-12-24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数据时域传输方法及控制方法、终端、基站和基带芯片
CN110945931B (zh) 2017-07-21 2023-09-19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非授权频段上的上行链路数据传输和调度的方法和设备
CN109963341B (zh) * 2017-12-26 2020-10-02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0012545B (zh) * 2018-01-04 2022-12-06 苹果公司 Laa和dsd部署的吞吐量性能
GB2576198B (en) * 2018-08-09 2020-07-29 Tcl Communication Ltd Transmission resource sharing
CN110932829B (zh) * 2018-09-20 2022-04-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授权频段的传输时间指示方法、网络设备和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298A1 (en) 2004-07-21 200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dynamically shifting beacons in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and method thereof
WO2013006988A1 (en) 2011-07-14 2013-01-17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sion of a flexible time sharing scheme on an unlicensed band of 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9838B2 (en) * 2001-04-20 2005-04-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tributed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7400903B2 (en) * 2002-04-16 2008-07-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both licensed and unlicensed frequency bands
DE10217300C1 (de) * 2002-04-18 2003-11-20 Fraunhofer Ges Forschung Ortsabhängige Informationswiedergabe unter Anpassung eines geographischen Auswahlparameters
US7085570B2 (en) * 2002-12-23 2006-08-01 Nokia Corporation Handover method, system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CN101855933B (zh) * 2007-09-18 2013-09-11 夏普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基站装置、移动台装置以及随机接入方法
WO2010022156A2 (en) 2008-08-19 2010-02-25 Shared Spectrum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pectrum access using specialty detectors and improved networking
CN101686534A (zh) * 2008-09-23 2010-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下行主载波进行数据传输的方法、终端及系统
CN102006124B (zh) 2009-08-28 201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频谱预测方法、装置和系统
US8774209B2 (en) * 2009-12-02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pectrum sharing using listen-before-talk with quiet periods
US8804536B2 (en) 2010-08-16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nsing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s
US8792900B2 (en) 2010-09-23 2014-07-29 Nokia Corporation Autonomous unlicensed band reuse in mixed cellular and device-to-device network
WO2012106843A1 (en) 2011-02-11 2012-08-16 Renesas Mobile Corporation Signaling method to enable controlled tx deferring in mixed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 carrier aggregation in future lte-a networks
CN103430467B (zh) * 2011-03-11 2016-05-11 Lg电子株式会社 终端在应用了载波聚合技术的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GB2489956B (en) 2011-04-12 2013-03-20 Renesas Mobile Corp Sensing configur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cenarios
WO2012144801A2 (ko) 2011-04-18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2157994A2 (ko) 2011-05-18 201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9237521B2 (en) * 2011-05-31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supporting power save mode oper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GB2486926B (en) 2011-06-02 2013-10-23 Renesas Mobile Corp Frequency hopping in license-exempt/shared bands
JP5944004B2 (ja) 2011-10-03 2016-07-05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d2d通信)メカニズム
WO2013059999A1 (en) 2011-10-26 2013-05-02 Renesas Mobile Corporation Flexible measurements in unlicensed band
AU2012337487B2 (en) * 2011-11-17 2015-09-03 Lg Electronic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by station operating i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GB2498749A (en) 2012-01-26 2013-07-31 Renesas Mobile Corp Managing mobile device use within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GB2498932B (en) 2012-01-30 2013-12-18 Renesas Mobile Corp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tributed carrier aggregation
CN103249116B (zh) * 2012-02-13 2016-10-05 华为终端有限公司 确定邻居站点的方法、站点、接入点和通信系统
WO2013131257A1 (en) 2012-03-07 2013-09-12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multiple operator coordination for transmissions in an unlicensed band
CN104335661B (zh) 2012-03-26 2018-04-2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认知lte系统中的带外感应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3155672A1 (en) 2012-04-17 2013-10-24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clusters of communication devices offloaded to unlicensed spectrum
WO2013166721A1 (zh) * 2012-05-11 2013-11-14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选择方法及装置
US9100941B2 (en) 2012-05-24 2015-08-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sing unique preambles for D2D communications in LTE
US20150126207A1 (en) 2012-05-31 2015-05-07 Nokia Corporation Coexistence of lte operated in unlicesnsed band
US8874124B2 (en) 2012-06-14 2014-10-28 Netgear, Inc. Dual band LTE small cell
CN103517419B (zh) * 2012-06-20 2017-08-25 华为终端有限公司 通知上行数据发送的信道使用时间的方法、上行数据发送方法和设备
CN104871620B (zh) * 2012-07-19 2019-04-16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US9184886B2 (en) 2012-08-10 2015-11-10 Blackberry Limited TD LTE secondary component carrier in unlicensed bands
WO2014070321A1 (en) 2012-11-01 2014-05-08 Maruti Gupta Signaling qos requirements and ue power preference in lte-a networks
KR102057949B1 (ko) * 2013-03-19 2020-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US10314077B2 (en) * 2013-05-20 2019-06-04 Qualcomm Incorporated Gating sche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unlicensed spectrum
US9432873B2 (en) 2013-05-20 2016-08-30 Nokia Technologies Oy Differentiation of traffic flows for uplink transmission
KR102208672B1 (ko) * 2014-01-21 2021-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히든 노드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298A1 (en) 2004-07-21 200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dynamically shifting beacons in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and method thereof
WO2013006988A1 (en) 2011-07-14 2013-01-17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sion of a flexible time sharing scheme on an unlicensed band of 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290A (ko) 2017-08-29
AU2015369689A1 (en) 2017-05-25
EP3238499A1 (en) 2017-11-01
CN107113732A (zh) 2017-08-29
EP3238499B1 (en) 2019-03-27
RU2017121800A (ru) 2018-12-26
US20160183249A1 (en) 2016-06-23
US9819459B2 (en) 2017-11-14
CA2968019A1 (en) 2016-06-30
MX2017008245A (es) 2017-10-06
JP2018503299A (ja) 2018-02-01
WO2016106308A1 (en) 2016-06-30
CN107113732B (zh) 2020-07-07
BR112017010392A2 (pt)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573B1 (ko) 채널 감지 향상
US1159517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EP3238495B1 (en) Scheduling enhanc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06797569B (zh) 用于执行传输的方法和设备
US10638389B2 (en)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100633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ractional subframe transmission
JP6555396B2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によって行われる方法
WO2016118390A1 (en) Mapping between uplink and downlink resources
US20220408486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ommunication on unlicensed band
AU20172588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ractional subframe transmission
JP2020162168A (ja) 上りリンク送信及び受信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
JP2019208230A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によって行われ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