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662B1 -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 Google Patents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662B1
KR102370662B1 KR1020210045256A KR20210045256A KR102370662B1 KR 102370662 B1 KR102370662 B1 KR 102370662B1 KR 1020210045256 A KR1020210045256 A KR 1020210045256A KR 20210045256 A KR20210045256 A KR 20210045256A KR 102370662 B1 KR102370662 B1 KR 10237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iliac crest
prosthesis
hip
pelv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돈
원유건
이태진
Original Assignee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원유건
이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원유건, 이태진 filed Critical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662B1/ko
Priority to PCT/KR2021/013606 priority patent/WO2022075694A1/ko
Priority to US18/030,337 priority patent/US20230372076A1/en
Priority to CN202180081680.2A priority patent/CN11654694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3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ditional screws, bolts, dowels, rivets or washers e.g. connect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002/30985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3D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수술자의 골반 및 엉덩이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한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로서, 내부공간을 가지며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골반 엉덩이 신체조직 내 위치될 수 있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고분자 겔; 및 상기 외피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피수술자의 장골능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진 제1보형체를 포함하는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Implant for hip and pelvis correction or deformities}
본 발명은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형용 보형물은 주로 여성들의 코, 유방 또는 엉덩이 등의 형태를 보정하거나, 확대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엉덩이의 형상 또는 처진 부위에 적용되는 성형 방식으로는 지방조직의 체내 이식과 실리콘 겔 임플란트의 삽입 및 실리콘 몰드 임플란트의 삽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지방조직의 체내 이식술은 체지방을 분리하여 이식하는 방법으로, 가장 이상적인 시술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방조직의 체내 이식술은 마른 환자의 경우 시술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체내에 충분한 채취량의 지방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시술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라 한계가 존재한다. 더욱이 환자의 생착율이 떨어지는 경우 지방조직의 체내 이식술은 이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체내 이식술은 환자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 시술의 한계로 인해 널리 이용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실리콘 겔 임플란트 등을 이용하는 시술은 실리콘 주머니에 액상의 실리콘 오일 및/또는 생리 식염수 등을 혼합한 액을 주입하여 만들어진 보형물을 시술부위에 삽입하는 시술로 제품의 특성상 부드러운 성질로 인하여 이물감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실리콘 겔 보형물(1)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엉덩이(10)의 시술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형물(1)은 뼈(11)와 지방(13) 사이에 위치되는 근육(1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시술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보형물(100)은 근육(12)과 피부(14) 사이에 위치되는 지방(1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시술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형물(100)이 삽입되는 위치는 환자의 신체조직 상태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보형물(1)이 장기간 환자의 신체조직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처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엉덩이가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신체조직 내에 삽입되어 있어도 처지지지 않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은,
피수술자의 골반 및 엉덩이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한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로서,
내부공간을 가지며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골반 엉덩이 신체조직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고분자 겔과,
상기 외피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피수술자의 장골능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진 제1보형체; 및
상기 테두리부를 관통하여 장골능에 삽입되어 테두리부를 장골능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피수술자의 장골능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나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테두리부는 장골능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굴곡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외피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테두리부는, 적어도 하나가 외피의 가장자리 일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테두리부는, 외피와 동일소재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테두리부는 장골능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장골능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고분자 겔은 실리콘 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외피는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은, 피수술자의 골반의 가로길이를 넓히기 위하여 장골능에 고정설치되며, 장골능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밀착면이 마련된 제2보형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보형체의 밀착면과, 장골능 표면 사이에는 제1보형체의 테두리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제2보형체는,
골반의 장골능 위에 고정되고 장골능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형체의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나사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을 관통하여 장골능에 고정설치되서 상기 제1보형체와 제2보형체를 장골능에 고정설치시킬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제2보형체의 연장부에는 고정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제3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에서,
상기 제2보형체는,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폴리에틸렌 및 바이오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피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제1보형체를 가진 성형용 보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는 장골능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일 실시예의 성형용 보형물은 외피에서 돌출성형된 테두리부가 장골능에 고정설치되어 있어서 시술후 시간이 지나도 보형물이 중력에 의하여 처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골능의 부피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엉덩이의 부피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성형용 보형물이 엉덩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의 제1보형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1보형체를 골반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제1보형체가 골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보형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보형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의 제2보형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제1보형체와 제2보형체를 골반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1보형체와 제2보형체가 골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대응되는 형상"이라는 장골능과 테두리부에서 서로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장골능과 테두리부가 결합되었을 때 보형물이 견고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의 제1보형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제1보형체를 골반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제1보형체가 골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100)은 피수술자의 골반의 장골능에 고정되고 엉덩이 근육 내부 또는 엉덩이 근육과 피부 사이에 배치되어 골반 및 엉덩이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1보형체(110)가 개시된다.
이러한 제1보형체(110)는, 외피(111), 고분자 겔(112) 및 테두리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111)는, 내부공간(1111)을 가지며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엉덩이 근육이나 근육과 피부조직과 같은 신체조직 내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외피(111)는 평면구조가 보형물(100)이 삽입되는 엉덩이 부위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란형상과 같는 타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되는 엉덩이 부위에 대한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피(111)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의 가장자리로 갈수로 두께가 완만하게 얇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외피(1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피(111)의 상부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면은 납작한 형상을 가지고 있이 가능하고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외피(111)는 내부공간(1111)에 위치한 내용물이 밖으로 침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생체에 적합한 실리콘 탄성중합체 또는 풀리우레탄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임플란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외피(111)는 침투성이 낮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피(111)는 단일층 또는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중측으로 이루어질 때 각 층들은 동일한 재료일 수 있으나, 다른 재료인 것도 가능하다.
외피(111)에는 다양한 탄성의 영역들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부 영역에서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겔(112)은, 상기 외피(111)의 내부공간(1111)을 채우는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 겔(112)로서는, 실리콘 오일을 가진 실리콘 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외피(111)의 내부공간(1111)을 채우는 충전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리우레탄이나 기타 다양한 고분자 겔(112)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테두리부(113)는, 외피(111)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며 피수술자의 장공능(I)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테두리부(113)는 그 내부에 고분자 겔(112)이 존재하지 않아서 손상이 되더라도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113)는 외피(111)의 가장자리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113)는, 상기 외피(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피(111)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외피(111)와 일체적으로 제작되어서 외피(111)에 일체로 고정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테두리부(113)는, 장공능(I)의 형상에 맞게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탄성력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테두리부(113)를 장공능(I) 위에 올려두면 테두리부(113)가 자연스럽게 장공능(I)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113)는 장공능(I)의 위에 고정설치될 수 있는데, 장공능(I)의 형상에 맞게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테두리부(113)에는 제1체결공(11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공은 고정나사(114)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한 구멍으로서,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게 되므로 고정나사(114)는 손쉽게 테두리부(113)를 통과하여 장공능(I)에 고정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필요하면 시술자가 현장에서 테두리부(113)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나, 공장에서 미리 필요한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체결공(1131)은 테두리부(113)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외피(111)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시술과정이나 차후 장공능(I)에 설치되었을 때 외피(111) 주변을 파손시켜 외피(111) 내부의 고분자 겔(112)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테두리부(113)의 가장자리와 근접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체결공(1131)이 쉽게 찢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체결공(1131)은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가감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먼저 피수술자의 엉덩이 주변의 피부를 최소 절개한 다음 미세 현미경을 통해 해당부위를 살펴보면서 성형용 보형물(100)을 고정시킬 장공능(I)에 고정나사(114)가 삽입되어 고정될 고정용 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후 제1보형체(110)를 절개 부위를 통하여 투입하여 테두리부(113)가 장공능(I)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내부공간(1111)에 고분자 겔(112)이 수용된 외피(111)는 엉덩이 근육 사이 또는 엉덩이 근육과 피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후, 테두리부(113)의 제1체결공(1131)을 미리 형성된 고정용 홈에 정렬시킨 후에, 고정나사(114)를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장공능(I)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보형체(110)를 인체 내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장공능(I)에 고정용 홈을 형성시키는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공능(I)에 제1보형체(110)의 테두리부(113)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114)를 드릴링하여 장공능(I)에 박아 낳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제1보형체(110)를 장공능(I)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완료되면, 절개 부위를 다시 봉합함으로서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은, 외피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부를 별도로 마련하고 그 테두리부에 고정나사를 박아넣을 수 있게 함으로서 성형용 보형물이 엉덩이 신체조직 내에 장기간 원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테두리부가 장골능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후 시간이 오래 흘러도 고분자 겔이 내부에 담겨진 외피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최초 시술 당시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재시술의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성형용 보형물은 상부가 골반 주변에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고 보형물의 하부는 엉덩이 근육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골반의 부피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엉덩이 엉덩이 부피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은, 테두리부에는 그 내부에 고분자 겔이 담겨져 있지 않기 때문에 시술과정에서 테두리부에 다소 손상이 가해지더라도 고분자 겔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은 테두리부에 미리 고정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자가 손쉽게 고정나사를 관통시켜 장골능에 고정결합할 수 있어서 시술의 편의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은, 테두리부가 장골능의 형상에 맞게 자유롭게 탄성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장골능의 형상에 맞게 시술현장에서 적절하게 구부려서 테두리부가 장골능 위에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서 시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보형체(210)를 개시한다. 제1실시예의 제1보형체(110)는 외피(111)의 가장자리 일부로부터 하나의 테두리부(113)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테두리부(213)가 외피(211)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외피(211)의 가장자리에는 2개의 테두리부(213)가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테두리부(213)는 외피(2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2개의 테두리부(213)가 외피(211)에 형성되어 있게 되면 복수의 위치에서 외피(211)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고정지지역할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두리부의 위치 및 개수는 상황에 맞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고정설치가 필요에 골반 형상 및 위치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제1보형체(310)를 개시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1보형체(310)는 테두리부(313)가 외피(311)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테두리부(313)에는 복수의 제1체결공(31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황에 맞게 고정될 골반의 위치에 맞게 고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게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2보형체(4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보형체(420)는 제1보형체(1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피수술자의 골반의 가로길이를 넓히기 위하여 장골능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보형체(420)는 베이스부(421)와 연장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421)는 장골능에 고정설치되어 장골능선부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부(421)는 그 저면에 장골능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형태를 가지는 밀착면(421a)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베이스부(421)의 밀착면(421a)을 장골능의 형상에 맞게 하기 위하여, 피수술자의 골반에 대한 3D 모델링 작업 및 3D 프린팅 작업을 통해 또는 한국 여성의 장골능의 평균 데이터를 산축하여 이를 기초로 제2보형체(420)를 선행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베이스부(421)에는 제1보형체(110)의 제1체결공(1131)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제2체결공(421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제1보형체(110)의 테두리부(113)가 장골능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113)를 밀착가압하도록 베이스부(421)가 테두리부(113)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제2보형체(420)의 제2관통공을 통과한 고정나사(114)가 제1보형체(110)의 테두리부(113)에 형성된 제1체결공(1131)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2체결공(4211)을 제1체결공(1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422)는 베이스부(42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421)로부터 연장부(422)의 단부까지 갈수로 서서히 두께가 완만하게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연장부(422)는 베이스부(421)가 확실하게 장골능에 고정설치되고 설치에는 요동하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연장부(422)에는 고정나사(114)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제3체결공(422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3체결공(4221)에 고정나사(114)가 관통하여 설치되면 제2보형체(420)는 장골능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베이스부(421)와 연장부(422)는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폴리에틸렌 및 바이오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부(421)와 연장부(422)는 폴레에텔에텔케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폴리에틸렌 및 바이오 세라믹은 독성이 없고, 인체의 뼈와 탄성, 강도 등이 유사함에 따라, 생체 안정성 및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이러한 재질로 형성된 제2보형체(420)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경우, 이물 반응이나 염증 등의 부작용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3체결공(4221)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고정나사(114)도 복수개 제공되는데, 복수 개의 고정나사(114)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나사(114)의 길이는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보형체(110)와 제2보형체(420)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수술자의 엉덩이 주변의 피부를 최소 절개한 다음 미세 현미경을 통해 해당부위를 살펴보면서 성형용 보형물을 고정시킬 장골능에 고정나사(114)가 삽입되어 고정될 고정용 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후 제1보형체(110)를 절개 부위를 통하여 투입하여 테두리부(113)가 장골능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내부공간에 고분자 겔이 수용된 외피(111)는 엉덩이 근육 사이 또는 엉덩이 근육과 피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후, 테두리부(113)의 제1체결공(1131)을 미리 형성된 고정용 홈에 정렬시킨다.
이후에, 미리 준비된 제2보형체(420)를 절개부위를 통하여 투입한 후에, 제2체결공(4211)이 제1체결공(1131)에 정렬되도록 한다. 또한, 미리 형성된 고정용 홈에 제3체결나사가 정렬될 있게 한다. 이후에 고정나사(114)를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장골능에 제2보형체(420)를 고정시킨다. 이후에 절개부위를 봉합하여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보형체와 제2보형체를 함께 장골능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제1보형체는 엉덩이 근육 내부나 엉덩이 근육과 피부 내에 위치하게 되고, 제2보형체는 장골능에 고정설치되어 골반의 가로길이를 넓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다.
즉, 제2보형체는 골반의 가로길이를 넓히게 되어 허리에 비하여 골반이 넓어지게 함으로서 잘록한 허리를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엉덩이 부위는 제1보형체에 의하여 볼륨감을 가지도록 힙업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제2보형체는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테두리부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2보형체가 보다 확실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제2보형체의 밀착면이 테두리부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테두리부를 장골능을 면접촉 및 가압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1보형체의 테두리부가 보다 긴밀하고 확실하게 장골능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시술후 시간이 많이 흘러도 제1보형체가 중력에 의하여 처지거나 흘러내리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110...제1보형체
111...외피 1111...내부공간
112...고분자 겔 113...테두리부
1131...제1체결공 114...고정나사
410...제2보형체 421...베이스부
421a...밀착면 4211...제2체결공
422...연장부 4221...제3체결공

Claims (14)

  1. 피수술자의 골반 및 엉덩이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한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로서,
    내부공간을 가지며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피수술자의 장골능 아래의 엉덩이 신체조직 내 위치될 수 있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고분자 겔과,
    상기 외피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피수술자의 장골능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테두리부로 이루어진 제1보형체; 및
    상기 테두리부를 관통하여 장골능에 삽입되어 테두리부를 장골능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는 테두리부를 기준으로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는 장골능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고정나사에 의하여 장골능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상변형되면서 장골능에 밀착접촉되며,
    상기 테두리부는, 고정나사가 체결되었을 때 외피 내부공간의 고분자 겔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외피가 엉덩이 신체조직 내에 장기간 초기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찢어지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피수술자의 장골능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나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외피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적어도 하나가 외피의 가장자리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외피와 동일소재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겔은 실리콘 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실리콘 탄성중합체, 풀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10. 제1항에 있어서,
    피수술자의 골반의 가로길이를 넓히기 위하여 장골능에 고정설치되며, 장골능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밀착면이 마련된 제2보형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보형체의 밀착면과, 장골능 표면 사이에는 제1보형체의 테두리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형체는,
    골반의 장골능 위에 고정되고 장골능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형체의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나사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을 관통하여 장골능에 고정설치되서 상기 제1보형체와 제2보형체를 장골능에 고정설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형체의 연장부에는 고정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제3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형체는,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폴리에틸렌 및 바이오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KR1020210045256A 2020-10-05 2021-04-07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KR10237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256A KR102370662B1 (ko) 2020-10-05 2021-04-07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PCT/KR2021/013606 WO2022075694A1 (ko) 2020-10-05 2021-10-05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US18/030,337 US20230372076A1 (en) 2020-10-05 2021-10-05 Implant for pelvic and hip plasty
CN202180081680.2A CN116546941A (zh) 2020-10-05 2021-10-05 用于骨盆和髋部成形术的植入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279A KR102240412B1 (ko) 2020-10-05 2020-10-05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KR1020210045256A KR102370662B1 (ko) 2020-10-05 2021-04-07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279A Division KR102240412B1 (ko) 2020-10-05 2020-10-05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662B1 true KR102370662B1 (ko) 2022-03-07

Family

ID=754408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279A KR102240412B1 (ko) 2020-10-05 2020-10-05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KR1020210045256A KR102370662B1 (ko) 2020-10-05 2021-04-07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279A KR102240412B1 (ko) 2020-10-05 2020-10-05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72076A1 (ko)
KR (2) KR102240412B1 (ko)
CN (1) CN116546941A (ko)
WO (1) WO2022075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12B1 (ko) * 2020-10-05 2021-04-15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951U (ko) * 2009-03-03 2010-09-13 송기찬 턱 성형용 보형물
KR20150119859A (ko) * 2013-02-08 2015-10-26 발데마르 링크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인간 골반 뼈의 부분 치환을 위한 관내인공삽입물
US20170014226A1 (en) * 2015-07-15 2017-01-19 Solidago Ag Self-supporting prosthesis for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KR101698489B1 (ko) * 2016-07-26 2017-01-20 원유건 골반골 성형용 보형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675A (ko) * 2007-11-08 2009-05-13 황귀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40412B1 (ko) * 2020-10-05 2021-04-15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951U (ko) * 2009-03-03 2010-09-13 송기찬 턱 성형용 보형물
KR20150119859A (ko) * 2013-02-08 2015-10-26 발데마르 링크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인간 골반 뼈의 부분 치환을 위한 관내인공삽입물
US20170014226A1 (en) * 2015-07-15 2017-01-19 Solidago Ag Self-supporting prosthesis for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KR101698489B1 (ko) * 2016-07-26 2017-01-20 원유건 골반골 성형용 보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5694A1 (ko) 2022-04-14
CN116546941A (zh) 2023-08-04
US20230372076A1 (en) 2023-11-23
KR102240412B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9557B1 (en) Interfaced medical implant assembly
US8070808B2 (en) Variable cohesive gel form-stable breast implant
EP1592365B1 (en) Solid implant
CN101027016B (zh) 软组织隔离件
JP4782824B2 (ja) 軟組織支持体
US5356429A (en) Body pocket maintenance prosthesis
US8876899B2 (en) Breast implant assembly
EP2387971A1 (en) Silicon implant with expandable and/or interactive compartments, optionally coated with a ricinus communis and/or hydroxylapatite polyurethane foam, with attachment flaps or strings
WO2018065023A1 (en) A neophallus implant and a method of implanting a penile prosthetic in a neopenis
US5556427A (en) Orbital implant and method
WO2008066883A2 (en) Implantable prosthesis for positioning and supporting a breast implant
CN103841923B (zh) 用于人体的关节的临时模块式占位器装置
JPH10506556A (ja) 安定した生体ポケットの確立方法および装置
US5713955A (en) Orbital implant
KR102370662B1 (ko) 골반 엉덩이 성형용 보형물
US20070213818A1 (en) Eye implant and methods of positioning an artificial eye implant within the eye of a human or an animal
US10433948B2 (en) Breast implant
CN109561966B (zh) 整形手术用植入物及方法
CN114176662A (zh) 基于Triple-zero极速胸部植入物及其使用方法
AU2013211521B2 (en) Interfaced medical implant assembly
Khoo Cosmetic breast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