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480B1 -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480B1
KR102370480B1 KR1020200086420A KR20200086420A KR102370480B1 KR 102370480 B1 KR102370480 B1 KR 102370480B1 KR 1020200086420 A KR1020200086420 A KR 1020200086420A KR 20200086420 A KR20200086420 A KR 20200086420A KR 102370480 B1 KR102370480 B1 KR 102370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ull
surface treatment
information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440A (ko
Inventor
오재용
김상유
주재영
노수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8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4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3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 B23K26/032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using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7Welded or soldered joints; Solderabil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0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water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96W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bo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블록을 가공한 상태에서 도장 전 선체 표면의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을 포함한 용접선 영역의 검사, 표면 처리, 표면 검사 및 도장 후 도막 검사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품질 향상과, 생산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오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생산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SURFACE TREATMENT OF SHIPS}
본 발명은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블록을 가공한 상태에서 도장 전 선체 표면의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을 포함한 용접선 영역의 검사, 표면 처리, 표면 검사 및 도장 후 도막 검사를 관리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의 건조에 사용하는 대형 철구조물의 제작시 각종 철판, 형강 자재들을 주로 용접 작업을 통해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용접 작업부위 및 철구조물의 표면에 발생되는 스케일, 페인트, 부식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그라인딩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제거된 부식물로 인해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는 등 작업장 부근으로 확산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에 도장을 하기 위해서 그라인딩이나 블라스팅 등의 표면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오염 및 녹 발생을 미리 제거하고, 표면에 적정한 표면 거칠기를 생성시켜 도장시 도막 결합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그러나 대형 선박과 같은 금속 구조물의 경우, 작업자가 불안정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하는 일이 많아 적정한 표면 조도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도장 품질과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02478호(발명의 명칭: 선박 표면 측정 장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블록을 가공한 상태에서 도장 전 선체 표면의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을 포함한 용접선 영역의 검사, 표면 처리, 표면 검사 및 도장 후 도막 검사를 관리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선체의 용접선 및 용접선의 주변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표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레이저 모듈부; 선체의 용접선을 추적하되, 상기 용접선의 GPS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용접선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와 케이블로 연결되되, 상기 주행부로 상기 용접선의 3차원 설계 데이터 상의 위치 좌표와, 상기 주행부의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부 및 주행부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유틸리티부; 및 상기 레이저 모듈부의 레이저를 이용한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주행부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정보, 상기 유틸리부의 동작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선체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 검사와, 선체의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하는 품질 검사 모듈부; 상기 선체의 용접선을 추적하되, 상기 용접선의 GPS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용접선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와 케이블로 연결되되, 상기 주행부로 상기 용접선의 3차원 설계 데이터 상의 위치 좌표와, 상기 주행부의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 및 주행부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유틸리티부; 및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의 검사 정보, 주행부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정보, 상기 유틸리부의 동작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표면 처리 작업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상기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의 표면 조도를 형성하는 레이저 텍스처링 및 레이저 텍스처링 후 표면을 세척하는 레이저 클리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표면 조도 상태 검사는 레이저를 이용한 표면 처리 전/후,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품질 검사 모듈부는 레이저 블라스팅 전 선체의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의 상태와, 레이저 블라스팅 후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를 검사하는 표면 검사부; 및 도장 후 선체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하는 도장 품질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행부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행부는 상기 용접선의 GPS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용접선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행부는 상기 용접선의 3차원 설계 데이터 상의 위치 좌표 정보와, GPS 좌표 정보를 매핑시켜 자율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행부는 유틸리티부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주행부의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부; 상기 용접선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되, 상기 주행부가 용접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주행부가 선체의 표면과 흡착되도록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흡착부;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구동부와 흡착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선체의 특정 위치 좌표 또는 용접선의 3차원 설계 데이터 상의 위치 좌표와 GPS 좌표 정보를 매핑시켜 상기 구동부가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 및 상기 주행부의 동작 상태와, 주변의 작업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바퀴는 선체 표면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접착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유틸리티부는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바퀴를 구비한 이동 대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유틸리부는 케이블의 길이가 늘어나거 또는 줄어듬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 붐대를 구비한 케이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유틸리티부는 상기 주행부와 용접선의 3차원 설계 데이터 상의 위치 좌표 정보, 임의의 선체 위치 정보,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를 냉각하는 레이저 냉각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UPS; 선체의 3차원 설계 데이터로부터 상기 용접선에 대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상기 주행부의 동작 제어신호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부의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주행부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및 동작 결과를 포함한 모니터링 정보, 유틸리부의 동작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 상기 주행부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 상기 유틸리티부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틸리티 구동부; 및 상기 주행부의 트래킹 상태, 주변의 작업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부의 동작, 주행부(200)의 이동, 흡착 동작을 제어하는 유틸리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유틸리티부는 상기 주행부와 용접선의 3차원 설계 데이터 상의 위치 좌표 정보, 임의의 선체 위치 정보,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선체의 3차원 설계 데이터로부터 상기 용접선에 대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상기 주행부의 동작 제어신호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의 검사 정보, 주행부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및 동작 결과를 포함한 모니터링 정보, 유틸리부의 동작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 상기 주행부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 상기 유틸리티부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틸리티 구동부; 및 상기 주행부의 트래킹 상태, 주변의 작업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의 검사, 주행부의 이동, 흡착 동작을 제어하는 유틸리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틸리티부와 통합 관리부 사이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행부가 선체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승강시키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선체의 용접선 및 용접선의 주변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표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레이저 모듈부; 상기 선체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 검사와, 선체의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하는 품질 검사 모듈부; 상기 선체의 용접선을 추적하되, 상기 용접선의 GPS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용접선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와 케이블로 연결되되, 상기 주행부로 상기 용접선의 3차원 설계 데이터 상의 위치 좌표와, 상기 주행부의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부와, 품질 검사 모듈부 및 주행부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유틸리티부; 및 상기 레이저 모듈부의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의 표면 조도 상태 검사와, 선체의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 정보, 주행부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정보, 상기 유틸리부의 동작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블록을 가공한 상태에서 도장 전 선체 표면의 용접선 및 용접선 주변을 포함한 용접선 영역의 검사, 표면 처리, 표면 검사 및 도장 후 도막 검사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품질 향상과, 생산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오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생산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주행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주행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유틸리티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유틸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용접선 검출을 위한 3차원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용접선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주행부 설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주행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주행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유틸리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유틸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용접선 검출을 위한 3차원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용접선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의 주행부 설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은 레이저 모듈부(100)와, 주행부(200)와, 유틸리부(300)와, 통합 관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는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표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과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를 형성하는 레이저 텍스처링과, 레이저 텍스처링 후 표면을 세척하는 레이저 클리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는 작업 대상면인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옵틱 헤드(미도시)를 구비하고, 레이저 빔이 포커싱되는 초점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텍스처링은 고밀도 레이저 에너지를 주입하여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모재 표면을 미세하게 제거(ablation)시켜 표면에 거칠기가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클리닝은 모재가 손상되지 않는 밀도로 레이저 에너지를 주입하여 모재의 손상없이 표면 오염물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작업 대상면인 용접선(800, 800a, 800b)과,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출력 세기는 선체의 표면과 용접선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은 용접선(800, 800a, 800b)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용접선(800, 800a, 800b)으로부터 주변 양쪽 50cm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레이저의 조사 범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용접선 주변(800, 800a, 800b)의 범위는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에 미리 지정된 크기의 홈을 형성할 수 있는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에 조도(profile)가 형성될 수 있도록 레이저 빔의 출력 세기는 미리 지정된 출력 세기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200)는 레이저 모듈부(100)가 설치되되, 용접선(800, 800a, 800b)의 GPS 위치 좌표에 기반하여 레이저 모듈부(100)가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200)는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와, GPS 위치 좌표를 매핑시켜 자율 주행을 수행하고, 통신부(210)와, 위치 수신부(220)와, 카메라부(230)와, 구동부(240)와, 흡착부(250)와, 주행 제어부(260)와, 센서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210)는 유틸리티부(300)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유틸리티부(300)와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 정보와, 상기 주행부(200)의 주행 제어를 위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위치 수신부(220)는 주행부(200)의 GPS 위치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수신부(220)는 주행부(200)와 분리되어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 수신부(2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행부(200)가 암영 지역에 위치한 경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수신부(220)로 전송 또는 중계하는 보조 위치 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30)는 용접선(800, 800a, 800b)의 영상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주행부(200)가 촬영된 용접선(800, 800a, 800b)을 기반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용접선(800, 800a, 800b)의 촬영 이미지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240)는 주행부(200)가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선체 표면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접착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퀴는 고온 환경에서도 자력을 유지할 수 있는 알리코 자석 또는 페라이트 자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250)는 주행부(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부(200)가 일정 위치에서 선체의 표면과 흡착되도록 진공 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주행 제어부(260)는 구동부(240) 및 흡착부(250)가 동작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유틸리티부(300)로부터 수신한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500) 상의 위치 좌표와 위치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GPS 위치 좌표를 매핑시켜 주행부(200)가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구동부(24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주행 제어부(260)는 주행부(200)가 이동한 경로 정보, 즉 매칭된 용접선(800, 800a, 800b)의 위치 좌표 정보와, 카메라부(230)를 통해 촬영한 영상 정보 등이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행 제어부(260)는 레이저 모듈부(100)에 의한 표면 처리 작업이 종료되면, 수행된 작업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된 용접선(800, 800a, 800b)의 위치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제어부(260)는 주행부(200)가 선체의 표면에 고정되도록 진공 압력이 흡착부(250)에 공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주행 제어부(260)는 레이저 모듈부(100)에 의한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예를 들면, 레이저 블라스팅 작업을 통한 모니터링 정보가 유틸리티부(300)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70)는 주행부(200)의 동작 상태, 예를 들면 주행부(200)가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자율 주행시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에 의한 경로 이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270)는 주변의 작업 환경 정보, 예를 들면, 주행부(200)에 가해지는 충격, 구동부(240)의 바퀴에서 감지되는 자력, 흡착부(250)에 공급되는 진공 압력, 날씨 정보, 풍량, 풍향 등을 감지한다.
상기 유틸리티부(300)는 주행부(200)와 케이블(305)을 통해 연결되고, 레이저 모듈부(100)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주행부(200)로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를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통신부(310)와, 레이저 발진부(320)와, 레이저 냉각부(330)와, UPS(340)와, 데이터 서버(350)와, 진공 펌프(360)와, 유틸리티 구동부(370)와, 유틸리티 제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틸리티부(300)는 주행부(200)의 위치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바퀴(302)를 구비한 이동 대차부(301)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통신부(310)와, 레이저 발진부(320)와, 레이저 냉각부(330)와, UPS(340)와, 데이터 서버(350)와, 진공 펌프(360)와, 유틸리티 구동부(370)와, 유틸리티 제어부(380)가 수납되는 유틸리티 하우징(303)과, 주행부(200)와 연결된 케이블(305)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3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지지부(304)는 주행부(200)와 케이블(305)이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케이블(305)과 함께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 붐대(304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305)은 레이저 발진부(32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가 전송되는 광 파이버와, UPS(340), 데이터 서버(350), 진공 펌프(360) 또는 Ar, N2, 에어 등이 공급되는 전원/통신 및 유틸리티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주행부(200)와 용접선(800, 800a, 800b)의 절대 위치 좌표 정보, 임의의 선체 위치 정보,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레이저 발진부(320)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발생된 레이저(빔)는 광 파이버를 통해 레이저 모듈부(100)로 전송된다.
상기 레이저 냉각부(330)는 레이저 발진부(320)를 냉각하는 구성으로서, 레이저 발진부(320)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열로 인한 과열을 방지한다.
상기 UPS(340)는 레이저 발진부(32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무정전 전원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서버(350)는 선체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로부터 용접선(800, 800a, 800b)에 대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상기 주행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은 선체의 수직방향과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 용접선(700)과, 선체의 종방향(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용접선(800)과, 선체의 수직방향과 종방향으로 형성된 제3 용접선(9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주행부(200)에서 3차원 설계 데이터(700)에서 추출한 용접선(800, 800a, 800b)에 대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와, 위치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주행부(200)의 GPS 위치 좌표를 매핑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데이터 서버(350)에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와 주행부(200)의 GPS 위치 좌표를 매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서버(350)는 레이저 모듈부(100)로 동작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의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주행부(200)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작업 정보, 유틸리부(300)의 동작 정보와 모니터링 신호를 관리한다.
상기 진공 펌프(360)는 진공 압력을 발생시켜 주행부(200)의 흡착부(250)에 제공함으로써, 주행부(200)가 상기 진공 압력에 의해 선체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 유틸리티 구동부(370)는 유틸리티부(300)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모터 등의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제어부(380)는 주행부(200)의 카메라부(230)를 통해 촬영한 용접선(800, 800a, 800b)의 이미지와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와 GPS 위치 좌표에 기반하여 분석한 주행부(200)의 트래킹 정보와, 상기 주행부(200) 주변의 작업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의 표면 처리 작업과, 주행부(200)의 이동, 흡착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통합 관리부(400)는 유틸리부(300)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레이저 모듈부(100)의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주행부(200)의 트랙킹 정보, 유틸리부(300)의 동작 정보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를 관리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부(400)는 조선소 ERP, 조선소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 관리자 단말기 등과 접속되어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의 레이저 블라스팅 작업 정보, 주행부(200)의 트랙킹 작업 정보, 유틸리부(300)의 동작 정보의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한 표면 처리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틸리티부(300)와 통합 관리부(400) 사이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기(50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부(200)가 선체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승강시키는 리프트부(60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트부(6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배치된 선박의 저면에 주행부(200)가 밀착되도록, 리프트부(600)의 상부에 상기 주행부(200)의 바퀴가 선박의 저면을 향하도록 안착시킨 후 선박의 저면 방향으로 승강시켜 선박의 저면과 바퀴를 밀착되도록 동작함으로써, 주행부(200)가 선박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주행부(20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와, 선체의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하는 품질 검사 모듈부(100a)를 주행부(200)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품질 검사 모듈부(100a)와, 주행부(200)와, 유틸리부(300)와, 통합 관리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는 표면 검사부(110)와, 도장 품질 검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면 검사부(110)는 레이저 블라스팅과 같은 표면 처리 전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상태와, 레이저 블라스팅 후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를 검사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상용 측정기(또는 프로브)를 이용한 표면 접촉을 통해 표면 조도 상태를 측정한다.
상기 도장 품질 검사부(120)는 도장 후 선체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한다.
상기 주행부(200)는 유틸리티부(300)로부터 수신된 선체의 특정 위치 좌표 정보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가 선체의 특정 위치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되도록 주행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200)는 상기 선체의 특정 위치 좌표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와 GPS 위치 좌표를 매핑시켜 자율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틸리부(300)는, 주행부(200)로 선체의 특정 위치 좌표 정보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의 검사 정보와, 주행부(200)로부터 전송되는 주행 정보를 포함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통합 관리부(400)는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의 레이저 블라스팅 전/후의 검사 정보,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 검사 정보, 주행부(200)의 트랙킹 작업 정보, 유틸리부(300)의 동작 정보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 검사 결과, 도장 검사 결과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레이저 모듈부(100)와, 품질 검사 모듈부(100a)를 주행부(200)에 모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주행부(200)는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표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레이저 모듈부(100)와,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와, 선체의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하는 품질 검사 모듈부(100a)와, 유틸리티부(300)로부터 수신된 선체의 특정 위치 좌표 정보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의 GPS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선체의 특정 위치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되도록 자율 주행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200)는 선체의 특정 위치 좌표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와 GPS 위치 좌표를 매핑시켜 자율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행부(200)로 선체의 특정 위치 좌표 정보 또는 선체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로부터 상기 선체의 특정 위치에 대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에 대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전송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와, 품질 검사 모듈부(100a)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유틸리티부(300)와,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의 레이저를 이용한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주행부(200)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작업 정보,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의 레이저 블라스팅 전/후의 검사 정보,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 검사 정보, 주행부(200)의 트랙킹 작업 정보, 유틸리부(300)의 동작 정보의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부(4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박의 블록을 가공한 상태에서 도장 전 선체 표면의 용접선 검사, 표면 처리, 표면 검사 및 도장 후 도막 검사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품질 향상과, 생산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오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생산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레이저 모듈부 100a : 품질 검사 모듈부
110 : 표면 검사부 120 : 도장 품질 검사부
200 : 주행부 201 : 주행 몸체부
202 : 지지부 210 : 통신부
220 : 위치 수신부 230 : 카메라부
240 : 구동부 250 : 흡착부
260 : 주행 제어부 270 : 센서부
300 : 유틸리티부 301 : 이동 대차부
302 : 바퀴 303 : 유틸리티 하우징
304 : 붐대 지지부 304a : 가변 붐대
305 : 케이블 310 : 통신부
320 : 레이저 발진부 330 : 레이저 냉각부
340 : UPS 350 : 데이터 서버
360 : 진공 펌프 370 : 유틸리티 구동부
380 : 유틸리티 제어부 400 : 통합 관리부
500 : 중계기 600 : 리프트부
700 : 3차원 설계 데이터 800 : 제1 용접선
800a : 제2 용접선 800b : 제3 용접선

Claims (17)

  1.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의 주변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표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레이저 모듈부(100);
    상기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을 추적하되,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GPS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200);
    상기 주행부(200)와 케이블(305)로 연결되되, 상기 주행부(200)로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와, 상기 주행부(200)의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 및 주행부(20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유틸리티부(300); 및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의 레이저를 이용한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주행부(200)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정보, 상기 유틸리부(300)의 동작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부(400);를 포함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2. 선체 용접선(800, 800a, 800b)과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 검사와, 선체의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하는 품질 검사 모듈부(100a);
    상기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을 추적하되,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GPS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200);
    상기 주행부(200)와 케이블(305)로 연결되되, 상기 주행부(200)로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와, 상기 주행부(200)의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 및 주행부(20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유틸리티부(300); 및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의 검사 정보, 주행부(200)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정보, 상기 유틸리부(300)의 동작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부(400);를 포함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작업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를 형성하는 레이저 텍스처링 및 레이저 텍스처링 후 표면을 세척하는 레이저 클리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상태 검사는 레이저를 이용한 표면 처리 전/후,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는 레이저 블라스팅 전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상태와, 레이저 블라스팅 후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를 검사하는 표면 검사부(110); 및
    도장 후 선체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하는 도장 품질 검사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200)는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GPS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200)는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 정보와, GPS 좌표 정보를 매핑시켜 자율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200)는 유틸리티부(300)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0);
    상기 주행부(200)의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부(220);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30);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되, 상기 주행부(200)가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40);
    상기 주행부(200)가 선체의 표면과 흡착되도록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흡착부(250);
    센서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구동부(240)와 흡착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되, 선체의 특정 위치 좌표 또는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와 GPS 좌표 정보를 매핑시켜 상기 구동부(240)가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260); 및
    상기 주행부(200)의 동작 상태와, 주변의 작업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40)의 바퀴는 선체 표면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접착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부(300)는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바퀴(302)를 구비한 이동 대차부(30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부(300)는 케이블(305)의 길이가 늘어나거 또는 줄어듬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 붐대(304a)를 구비한 케이블 지지부(3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부(300)는 상기 주행부(200)와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 정보, 임의의 선체 위치 정보,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10);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진부(320);
    상기 레이저 발진부(320)를 냉각하는 레이저 냉각부(330);
    상기 레이저 발진부(32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UPS(340);
    선체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로부터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에 대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상기 주행부(200)의 동작 제어신호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의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주행부(200)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및 동작 결과를 포함한 모니터링 정보, 유틸리부(300)의 동작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350);
    상기 주행부(200)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360);
    상기 유틸리티부(300)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틸리티 구동부(370); 및
    상기 주행부(200)의 트래킹 상태, 주변의 작업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의 동작, 주행부(200)의 이동, 흡착 동작을 제어하는 유틸리티 제어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부(300)는 상기 주행부(200)와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 정보, 임의의 선체 위치 정보,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10);
    선체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로부터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에 대한 3차원 상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여 상기 주행부(200)의 동작 제어신호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의 검사 정보, 주행부(200)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및 동작 결과를 포함한 모니터링 정보, 유틸리부(300)의 동작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350);
    상기 주행부(200)에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360);
    상기 유틸리티부(300)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틸리티 구동부(370); 및
    상기 주행부(200)의 트래킹 상태, 주변의 작업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의 검사, 주행부(200)의 이동, 흡착 동작을 제어하는 유틸리티 제어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부(300)와 통합 관리부(400) 사이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200)가 선체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승강시키는 리프트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17.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표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레이저 모듈부(100);
    상기 선체 용접선(800, 800a, 800b) 및 용접선(800, 800a, 800b) 주변의 표면 조도 상태 검사와, 선체의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하는 품질 검사 모듈부(100a);
    상기 선체의 용접선(800, 800a, 800b)을 추적하되,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GPS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200);
    상기 주행부(200)와 케이블(305)로 연결되되, 상기 주행부(200)로 상기 용접선(800, 800a, 800b)의 3차원 설계 데이터(700) 상의 위치 좌표와, 상기 주행부(200)의 동작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와, 품질 검사 모듈부(100a) 및 주행부(20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유틸리티부(300); 및
    상기 레이저 모듈부(100)의 표면 처리 작업 정보, 상기 품질 검사 모듈부(100a)의 표면 조도 상태 검사와, 선체의 도장 후 표면의 도장 상태를 검사 정보, 주행부(200)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정보, 상기 유틸리부(300)의 동작 설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 처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부(400);를 포함하는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00086420A 2020-07-13 2020-07-13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7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420A KR102370480B1 (ko) 2020-07-13 2020-07-13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420A KR102370480B1 (ko) 2020-07-13 2020-07-13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440A KR20220008440A (ko) 2022-01-21
KR102370480B1 true KR102370480B1 (ko) 2022-03-07

Family

ID=8005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420A KR102370480B1 (ko) 2020-07-13 2020-07-13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34069B (zh) * 2023-12-20 2024-03-08 宁德市建港海洋装备有限公司 一种游船船底健康检测设备及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4540B2 (ja) * 1991-08-27 1999-08-16 中部電力株式会社 床面ブラスト装置
KR20170052195A (ko) * 2015-11-04 2017-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레이저를 사용한 블라스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1902478B1 (ko) 2017-11-29 2018-09-2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선박 표면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440A (ko)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900B1 (ko) 정확한 구조물 마킹 및 마킹-보조로 구조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002044A (zh) 一种非熔透激光焊接设备及方法
KR20080094905A (ko) 용접, 브레이징, 절단 및 표면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캐리지
KR102370480B1 (ko) 선체 표면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Oomen et al. A real-time optical profile sensor for robot arc welding
CN108284388A (zh) 一种视觉引导的智能力控磨抛装置
JP2008152380A (ja) レーザーポインタを用いた天井クレーンによる搬送方法及び天井クレーンシステム
KR102441897B1 (ko) 선체의 표면 처리 시스템
CN109356614B (zh) 隧道喷射机控制设备、方法及隧道喷射机
KR102272649B1 (ko) 작업 품질 검사 기능을 구비한 레이저 클리닝 장치 및 그 방법
CN210310341U (zh) 轨道交通机车车辆巡检机器人
KR102284632B1 (ko) 대규모 금속 성형
US4761534A (en) Laser apparatus
JP2020049525A (ja) 車輌型レーザ照射装置、及びアーム型レーザ照射装置
WO2023118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removing parts
CN210162104U (zh) 轨道交通机车车辆巡检装置及系统
CN209888849U (zh) 轨道交通机车车辆巡检的辅助装置
US11435305B2 (en) Thermographic inspection system mounted on motorized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209774652U (zh) 一种协作机器人及加工系统
KR20210109165A (ko) 수작업 레이저 세정 장치
WO2014203489A1 (ja) 外装缶封口方法及び外装缶封口装置
CN113714645A (zh) 激光抛光装置和激光抛光方法
KR20170052195A (ko) 레이저를 사용한 블라스팅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28178A (ko) 비접촉 환경 계측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KR101984647B1 (ko) 작업 품질 검사 기능을 구비한 레이저 클리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