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022B1 - 해충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022B1
KR102370022B1 KR1020190162669A KR20190162669A KR102370022B1 KR 102370022 B1 KR102370022 B1 KR 102370022B1 KR 1020190162669 A KR1020190162669 A KR 1020190162669A KR 20190162669 A KR20190162669 A KR 20190162669A KR 102370022 B1 KR102370022 B1 KR 102370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derivative
outer box
insect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852A (ko
Inventor
이기주
최문보
Original Assignee
(주)에프제이테크
최문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제이테크, 최문보 filed Critical (주)에프제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162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0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인제가 용해된 일정량의 유인액이 저장된 내부박스를 교체가능하도록 내부수용하는 외부박스 ;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되는 회전날개를 갖추어 상기 외부박스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유인제를 상향 배출유도시키는 송풍팬 ; 상기 외부박스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지지체를 매개로 상기 외부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향 배출되는 유인제를 측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구를 관통형성하는 외부면에 상기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되는 곤충을 내부로 진입유도시키는 진입유도로를 구비하는 유도체 ; 상기 진입유도로를 통하여 상기 유도체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곤충이 탈출하는 탈출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유도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덮개체 ; 상기 탈출공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연결관체의 타단과 연통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체를 따라 유도되는 곤충을 포획하여 수거하는 포집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충 포획장치{Insect capture device}
본 발명은 곤충을 포함하는 해충을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생태실험 및 유전자 분석을 위해서 말벌과 같은 해충을 외관상 손상없이 완벽한 상태로 포획할 수 있고, 유인제의 확산성을 높여 곤충 유인 및 포획율을 높일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 생태계에 수만종의 곤충 중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는 예를 들어, 농업 및 하우스시설, 과수 등 원예농가의 나비목의 나방류과, 축산업의 벌목에 장수말벌과, 파리과, 산림업에 딱정벌레목 하늘소과, 지네과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유해 곤충들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나 농약 등을 살포하여 방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제 약품들은 곤충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하며 특히 환경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끈끈이와 같은 부착식, 전자살충식, 유인등에 의한 포획통, 또는 성적미끼(sex lure)나 꽃미끼(floral lure)와 같은 곤충트랩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포획통은 곤충류의 유인물질에 따라 포획이 가능한 구조물로서, 연구나 학습자료의 목적으로 곤충류를 생포하고자 할 때 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말벌과 같은 해충의 생태를 연구하고자 하는 경우, 포획대상물인 말벌을 부착하는 부착식은 끈끈이판의 모양 및 크기가 불규칙하여 사용의 어려움과 설치 및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한편 부착되어 포획된 포획물의 형태가 온전하지 않고 훼손되어 정확한 실험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팬 및 유인제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방식은 전기설비의 작동시 전기 소비가 필요하여 설비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노천에 설치되는 구조상 전기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557265 Y1
특허문헌 1에는 꿀벌의 크기보다는 크고 말벌의 크기보다는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그물이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꿀벌의 크기보다는 크고 말벌의 크기보다는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그물이 장착되어 있는 말벌 수집통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그물에는 말벌이 통과할 수 있는 유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말벌 수집통은 하우징과 분리되고, 상기 말벌 수집통의 하면은 상기 말벌 수집통의 내부 공간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상기 말벌 수집통의 하면에는 말벌이 통과할 수 있는 말벌홀이 형성되어 있는 말벌 수집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말벌과 같은 곤충포획장치는 양봉업자들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끼치는 말벌과 같은 해충의 생태연구 및 DNA 유전자 분석을 위해서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온전한 성체로 포획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생태실험 및 유전자 분석을 위해서 말벌과 같은 해충을 외관상 손상없이 완벽한 상태로 포획할 수 있고, 유인제의 확산성을 높여 포획대상물의 유인 및 포획율을 높일 수 있는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유인제가 용해된 일정량의 유인액이 저장된 내부박스를 교체가능하도록 내부수용하는 외부박스 ;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되는 회전날개를 갖추어 상기 외부박스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유인제를 상향 배출유도시키는 송풍팬 ; 상기 외부박스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지지체를 매개로 상기 외부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향 배출되는 유인제를 측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구를 관통형성하는 외부면에 상기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되는 곤충을 내부로 진입유도시키는 진입유도로를 구비하는 유도체 ; 상기 진입유도로를 통하여 상기 유도체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곤충이 탈출하는 탈출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유도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덮개체 ; 상기 탈출공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연결관체의 타단과 연통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체를 따라 유도되는 곤충을 포획하여 수거하는 포집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진입유도로는 상기 유도체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는 입구단으로부터 유도체의 내부 중심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돌출형 연장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진입유도로는 입구단으로부터 개방된 출구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는 상기 송풍팬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박스에 배치되는 중앙 지지체와, 상기 중앙 지지체에 선단이 접해지면서 상기 유도체에 후단이 접해지며, 상기 외부박스에 하단이 접해지면서 상기 덮개체에 상단이 접하는 복수개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진입유도로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판들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덮개체와 대응하는 일단 바닥면에 상기 탈출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포집체 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진 제1연결관 및 상기 제1연결관의 타단에 관통형성된 다른 연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연통연결되고 상기 포집체의 상부포집체와 타단이 연통연결되는 가요성 제2연결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관의 개방된 상부에는 곤충을 햇빛에 의한 자연채광에 의해서 상기 포집체 측으로 자연스럽게 안내유도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투명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집체는 상기 연결관체의 출구단과 연통연결되는 상부포집체와, 상기 상부포집체를 갖는 캡부재가 상부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밀폐된 바닥면을 갖추어 상기 상부포집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곤충을 포집하여 수거하는 하부포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집체는 상기 덮개체의 일측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에 설치되는 고정부의 삽입공에 하부단이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유인제에 의해서 유도체의 진입유도로의 내부로 진입유도되는 말벌과 같은 곤충을 유도체의 내부로 1차 유인하고, 채광이 이루어지는 연결관체의 내부로 2차 유인한 다음, 상향 경사진 연결관체와 연통된 포집체의 내부로 낙하시켜 포획함으로써 포획된 곤충의 손상이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포획된 곤충의 생태실험 및 유전자 분석에 대한 실험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태양광 발전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송풍팬에 의해서 유인제를 유도체의 확산구를 통하여 외부로 최대한 발산하는 확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곤충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획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인 말벌을 포함하는 곤충을 포획할 수 있도록 내부박스(10), 외부박스(20), 송풍팬(30), 지지체(40), 유도체(50), 덮개체(60), 연결관체(70) 및 포집체(8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박스(10)는 유인제가 용해된 일정량의 유인액이 채워져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 및 외부측면이 밀폐된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박스(10)의 내부에는 유인액이 저장되는 공간을 적어도 2개이상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열십자형 격벽(13)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박스(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외부박스(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및 인출시 사용될 수 있도록 손잡이(15)를 구비한다.
이러한 내부박스(10)에 저장되어 곤충을 유인하도록 외부로 발산되는 유인제는 말벌과 같은 특정 곤충이 선호하는 페로몬 성분이 용해된 유인액이거나 참나무 분비 수용액이거나 과즙일 수 있다.
상기 외부박스(20)는 상기 내부박스가 일측으로 진입되어 교체가능하게 내부수용할수 있도록 외측면에 완전개방된 개구부(21)를 구비하는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박스(20)는 상기 내부박스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하는 밀폐된 상부면에 상기 내부박스에 저장된 유인제를 상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대략 일자형으로 절개된 배출구(23)를 관통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박스(10)와 외부박스(20)는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0)은 전원인가시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박스(20)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배출구(23)를 통하여 상기 내부박스에 저장된 유인액의 유인제를 상향 배출유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송풍팬(30)은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외부박스의 상부면 정중앙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30)의 회전구동시 회전날개에 의해서 발생되는 송풍방향은 상기 내부박스의 내부로 향하도록 하부로 송풍하거나 상기 덮개체 측으로 향하도록 상부로 송풍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30)의 강제 송풍에 의해서 상기 내부박스에 저장된 유인액의 유인제는 상기 외부박스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하여 상향 배출된다.
이때, 상기 외부박스(20)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배출구(23)는 일자형 슬릿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0)의 구동모터는 상기 외부박스의 상부면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되는 설치공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브구조물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전원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발전부(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발전부(90)는 태양광에 의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92)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92)을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추어 상기 덮개체(6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전지고정판(94)을 포함한다.
상기 전지고정판(94)에는 상기 태양전지판(92)을 일측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조립하면서 걸림고정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복수개의 절곡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송풍팬이 구동되어 회전날개가 회전되면, 상기 송풍팬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내부박스에 저장된 유인액의 유인제는 말벌과 같은 곤충을 유인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박스의 배출구(23)를 통하여 상향 배출되어 외부로 확산방출된다.
상기 유도체(50)는 상기 외부박스(20)의 상부면에 올려져 장착되는 지지체(4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외부박스(20)와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대략 사각틀형상의 프레임구조물이다.
이러한 유도체(50)의 각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박스(20)의 배출구를 통하여 상향 배출되는 유인제가 대략 측방향으로 방출되어 외부로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확산구(52)를 관통형성한다.
상기 확산구가 관통형성되는 유도체의 각 외부면에는 상기 확산구를 통하여 외부로 확산방출되는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되는 말벌과 같은 곤충을 안착시킨 다음 유도체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진입시켜 유도할 수 있도록 입구단이 개방된 진입유도로(54)를 구비한다.
상기 확산구(52)는 상기 유도체(50)에 형성되는 4개의 수직한 각 외부면에 말벌과 같은 곤충이 진입되지 못하도록 대략 일자형 슬롯상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진입유도로(54)는 상기 확산구(52)를 형성하는 유도체의 각 외부면에 관통형성되어 곤충이 진입되는 입구단으로부터 유도체의 내부 중심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돌출형 연장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진입유도로(54)는 입구단으로부터 개방된 출구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되는 곤충이 안착되어 진입되는 진입유도로(54)의 외부면에도 상기 배출구(23)로부터 상향배출되는 유인제를 외부로 확산방출시킬 수 있도록 보조 확산구(55)를 관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확산구(52)와 진입유도로(54)는 상기 유도체(50)의 각 외부면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서로 다른 외부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체(50)의 개방된 상단테두리에는 상기 덮개체(60)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용 플랜지부(61)와 접하여 복수개의 체결부재(63)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른 결합용 플랜지부(5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40)는 상기 송풍팬(30)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박스(20)에 배치되는 중앙 지지체(42)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42)의 외부면에 선단(44a)이 접해지면서 상기 유도체(50)의 내부면에 후단(44b)이 접해지며, 상기 외부박스(20)에 하단(44c)이 접해지면서 상기 덮개체(60)의 천정면에 상단(44d)이 접하는 복수개의 지지판(44)을 포함하여 서로 인접하는 지지판(44)들사이에 진입유도로(54)가 위치한다.
상기 중앙 지지체(42)는 상기 송풍팬과 대응하는 하부가 개방되고, 유인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사각뿔 형상의 철망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판(44)은 사각뿔 형상의 철망체로 이루어지는 중앙 지지체의 네모서리부와 사각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도체의 네모서리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체(50)의 진입유도로(54)를 통하여 상기 유도체의 내부로 진입되는 곤충은 상기 중앙 지지체(42), 지지판(44), 외부박스(20) 및 덮개체(60)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획공간인 유인공간으로 유도되어 체류하게 된다.
상기 덮개체(60)는 상기 진입유도로(54)를 통하여 상기 유도체(5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곤충이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일정크기의 탈출공(62)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유도체(5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덮개부재이다.
이러한 덮개체(60)의 탈출공(62)에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판이 서로 만나는 지지체의 최상단 꼭지점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체(50)의 진입유도로(54)를 통하여 내부로 유인된 다음, 상기 중앙 지지체(42), 지지판(44), 외부박스(20) 및 덮개체(60)에 의해서 형성되는 유인공간에서 체류하게 되는 곤충은 일정각도 경사진 중앙 지지체(42)의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덮개체의 천정면에 관통형성된 유일통로인 탈출공(62)을 통하여 상기 포집체 측으로 탈출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포집체(80)는 상기 덮개체의 천정면에 관통형성되는 탈출공(62)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연결관체(70)의 타단과 연통연결됨으로써 상기 탈출공(62)을 통해 탈출되어 상기 연결관체를 따라 유도되는 곤충을 포획하여 수거한다.
이러한 포집체(80)는 상기 연결관체(70)를 통하여 유도되는 말벌과 같은 곤충을 손상없이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관(72)의 출구단과 연통연결되는 상부포집체(8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포집체를 갖는 캡부재가 상부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밀폐된 바닥면을 갖추어 상기 상부포집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곤충을 포집하는 하부포집체(8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포집체(84)는 낙하되어 포집되는 곤충만을 포집할 수 있도록 외부면이 그물망형태로 이루어지는 중공원통형 망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포집체(82)를 통하여 낙하되어 포집되는 곤충의 부패를 방지하여 실험목적으로 포집되는 곤충의 신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알코올수와 같은 포집수가 일정량 저장된 중공원통형 용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체(70)는 상기 덮개체와 대응하는 일단 바닥면에 상기 탈출공(62)과 연통되는 연통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포집체 측으로 일정각도 상향경사진 제1연결관(71)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관체의 타단에 관통형성된 다른 연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연통연결되고 상기 포집체의 상부포집체와 타단이 연통연결되는 가요성 제2연결관(7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관(71)은 대략 ㄷ 단면상으로 절곡된 절곡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연결관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 탈출공(62)을 통하여 연결관체의 내부로 안내유도된 말벌과 같은 곤충을 햇빛에 의한 자연채광에 의해서 상기 포집체 측으로 자연스럽게 안내유도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투명판(7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관(71)의 양측면과 바닥면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소재의 판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관(71)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개구슬릿(74)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연결관(71)의 바닥면에는 상기 탈출공을 통하여 연결관체의 내부로 진입되는 곤충이 미끄러짐없이 포집체 측으로 기어올라 이동할 수 있도록 판상의 메쉬부재(7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관(72)은 상기 덮개체(60)의 탈출공(62)에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관(71)과 상기 하부포집체(84)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포집체(82)와의 사이에서 가변되는 거리와 높이에 맞추어 연결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하고 휨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호스관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체(60)와 포집체(80)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체(70)의 내부공간으로 안내유도된 말벌과 같은 곤충은 상기 제1연결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투명판을 통하여 조사되는 채광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유인되어 이동되고, 상기 포집체의 상부포집체를 통하여 하부로 자연스럽게 낙하이동되어 상기 하부포집체에 손상없이 포획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관체(70)는 상기 덮개체(60)와 포집체(80)간의 상하높이차이에 의해서 상기 포집체 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일정각도 설치됨으로써, 상기 덮개체의 탈출공(62)을 통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연결관체(70)의 내부로 유인된 말벌과 같은 곤충은 채광이 이루어지면서 상향 경사진 연결관체의 내부에서 위로 높은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말벌과 같은 곤충의 생태습성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포집체의 상부포집체 측으로 자연스럽게 안내유도되는 것이다.
그리고, 중공원통형 망체로 이루어지거나 포집수가 채워진 하부포집체(84)의 내부로 곤충이 낙하되어 충분히 포집되면, 상기 하부포집체의 상부입구에 결합된 캡부재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부포집체로 부터 하부포집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한 다음, 개방된 하부포집체의 상부입구에 다른 밀폐용 캡부재를 결합하여 밀봉하여 포집된 곤충을 수거한다.
작업자는 준비된 새로운 하부포집체(84)를 상부입구에 상기 상부포집체를 갖는 캡부재를 간편하게 나사체결방식으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집체(80)는 상기 덮개체(60)의 일측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연장판(64)을 포함하고,상기 연장판에 설치되는 고정부(65)의 삽입공에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충 포확장치(100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덮개체의 각 일측테두리 마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고정부(65)의 각 삽입공마다 포집체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포집체의 설치갯수를 증대시켜 곤충의 포획율과 포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포집체와 연통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관체(70)는 상기 덮개체의 탈출공과 연통연결되는 연통공을 하부면 중앙에 관통형성한 대략 열십자형태의 일체형 연결관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내부박스
13 : 격벽
20 : 외부박스
23 : 배출구
30 : 송풍팬
40 : 지지체
42 : 중앙 지지체
44 : 지지판
50 : 유도체
52 : 확산구
54 : 진입유도로
60 : 덮개체
62 : 탈출공
65 : 연장판
70 : 연결관체
71 : 제1연결관
72 : 제2연결관
73 : 투명판
80 : 포집체
82,84 : 상,하부포집체
90 : 발전부

Claims (7)

  1. 유인제가 용해된 일정량의 유인액이 저장된 내부박스를 교체가능하도록 내부수용하는 외부박스 ;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되는 회전날개를 갖추어 상기 외부박스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유인제를 상향 배출유도시키는 송풍팬 ;
    상기 외부박스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지지체를 매개로 상기 외부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향 배출되는 유인제를 측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구를 관통형성하는 외부면에 상기 유인제에 의해서 유인되는 곤충을 내부로 진입유도시키는 진입유도로를 구비하는 유도체 ;
    상기 진입유도로를 통하여 상기 유도체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곤충이 탈출하는 탈출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유도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덮개체 ;
    상기 탈출공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연결관체의 타단과 연통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체를 따라 유도되는 곤충을 포획하여 수거하는 포집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송풍팬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박스에 배치되는 중앙 지지체와, 상기 중앙 지지체에 선단이 접해지면서 상기 유도체에 후단이 접해지며, 상기 외부박스에 하단이 접해지면서 상기 덮개체에 상단이 접하는 복수개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진입유도로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판들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유도체의 진입유도로를 통하여 상기 유도체의 내부로 진입되는 곤충은 상기 중앙 지지체, 지지판, 외부박스 및 덮개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획공간인 유인공간으로 유도되어 체류한 다음, 일정각도 경사진 중앙 지지체의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덮개체의 탈출공을 통하여 상기 포집체 측으로 유도되는, 해충 포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유도로는 상기 유도체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는 입구단으로부터 유도체의 내부 중심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돌출형 연장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진입유도로는 입구단으로부터 개방된 출구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되는, 해충 포획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덮개체와 대응하는 일단 바닥면에 상기 탈출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포집체 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진 제1연결관 및 상기 제1연결관의 타단에 관통형성된 다른 연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연통연결되고 상기 포집체의 상부포집체와 타단이 연통연결되는 가요성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의 개방된 상부에는 곤충을 햇빛에 의한 자연채광에 의해서 상기 포집체 측으로 자연스럽게 안내유도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투명판을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는 상기 연결관체의 출구단과 연통연결되는 상부포집체와, 상기 상부포집체를 갖는 캡부재가 상부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밀폐된 바닥면을 갖추어 상기 상부포집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곤충을 포집하여 수거하는 하부포집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는 상기 덮개체의 일측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에 설치되는 고정부의 삽입공에 하부단이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해충 포획장치.
KR1020190162669A 2019-12-09 2019-12-09 해충 포획장치 KR10237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69A KR102370022B1 (ko) 2019-12-09 2019-12-09 해충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69A KR102370022B1 (ko) 2019-12-09 2019-12-09 해충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852A KR20210072852A (ko) 2021-06-18
KR102370022B1 true KR102370022B1 (ko) 2022-03-04

Family

ID=7662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669A KR102370022B1 (ko) 2019-12-09 2019-12-09 해충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0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19B1 (ko) * 2007-11-29 2010-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해충퇴치장치
KR101723346B1 (ko) * 2016-11-17 2017-04-05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239B1 (ko) * 2016-05-30 2018-04-04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101799771B1 (ko) * 2015-11-06 2017-11-21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19B1 (ko) * 2007-11-29 2010-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해충퇴치장치
KR101723346B1 (ko) * 2016-11-17 2017-04-05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852A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2658C (en) Trap for catching mosquitoes or all night flying insects and method therefor
US8845118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20100229459A1 (en) Devices for trapping insects
US3108391A (en) Insect trap
WO2009089828A1 (de) Bekämpfungsvorrichtung für fluginsekten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CN110881448A (zh) 一种农业大棚内用双吸引灭虫装置
JP2019162051A (ja) 虫捕集装置及び虫捕集方法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CN215302515U (zh) 一种办公室病虫害防治用害虫捕捉装置
KR102370022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0431848Y1 (ko) 친환경 해충 포획기
CN210519888U (zh) 一种捕虫装置
CN112616796A (zh) 一种风吸杀虫灯
KR102049286B1 (ko) 해충 포집기
KR102610579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40036604A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WO2000059300A1 (en) Insect trap
CN210226627U (zh) 风吸太阳能诱捕器
CN210382338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
EP3772277B1 (en) Device and process for massive capture of olive flies - electrocutor trap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CN206686974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夹层装置
KR200442596Y1 (ko) 유인제 수용부가 구비된 해충포획장치
CN213127713U (zh) 一种具有杀虫效果的测报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