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689B1 -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689B1
KR102369689B1 KR1020200065969A KR20200065969A KR102369689B1 KR 102369689 B1 KR102369689 B1 KR 102369689B1 KR 1020200065969 A KR1020200065969 A KR 1020200065969A KR 20200065969 A KR20200065969 A KR 20200065969A KR 102369689 B1 KR102369689 B1 KR 10236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ower transmission
terminal
transmission module
wireles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901A (ko
Inventor
최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릿지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릿지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릿지벤처스
Publication of KR2021002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방의 어깨끈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송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가방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상기 가방본체의 일면 양측에 형성된 어깨끈의 내면 상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채, 상기 어깨끈에 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전력송신모듈; 및 상기 어깨끈의 외면 상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단말기 포켓부를 포함하되,상기 단말기 포켓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크기와 무관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A BAG CAPABLE OF WIRELESS RECHARGE}
아래의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의 어깨끈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송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손에 가방을 캐리하거나, 백팩으로 메고 다니는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가방에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넣고, 가방 내부의 보조배터리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소정의 길이를 갖는 USB 케이블로 연결하여 충전하였다.
다만, 가방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종래의 USB 케이블은 약 1미터 내외의 길이를 가지므로, 모바일 단말기를 가방에 연결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가방 내부의 보조배터리와 USB 케이블을 찾아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에, 손에 가방을 캐리하거나, 백팩으로 메고 다니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한국실용신안특허 제20-2018-0001905호(2018.06.26. 공개)
일 실시예들은 가방의 무선전력송신모듈을 통해 단말기 포켓부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 전력을 제공하여 무선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가 단말기 포켓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말기 포켓부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 상기 가방본체의 일면 양측에 형성된 어깨끈의 내면 상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채, 상기 어깨끈에 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전력송신모듈; 및 상기 어깨끈의 외면 상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단말기 포켓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포켓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크기와 무관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포켓부의 하우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포켓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하부가 뚫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포켓부는, 상기 단말기 포켓부의 하우징에 거치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높낮이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포켓부는, 상기 단말기 포켓부의 하우징에 거치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좌우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포켓부는, 상기 단말기 포켓부의 하우징에 거치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상하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은, 상기 가방본체의 내측에 수납된 배터리의 위치 또는 상기 배터리를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에 연결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상기 어깨끈이 내면 상 형성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은 가방의 무선전력송신모듈을 통해 단말기 포켓부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 전력을 제공하여 무선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가방 내부의 보조배터리와 USB 케이블을 찾아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방을 메고 다니면서도 자유롭게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가 단말기 포켓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말기 포켓부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끈의 외면에 형성된 단말기 포켓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100)은, 물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110)와 가방본체(110)의 외부 일면 양측에 형성된 어깨끈(121, 122)으로 이루어지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들(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폰, 모바일 단말, PDA,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가방본체(110)가 멜빵 형태인 양측의 어깨끈(121, 122)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가방(100)을 백팩 형태로 어깨에 멜 수 있으며, 가방본체(110)가 손잡이(150)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가방(100)을 핸드백 또는 메신저백 형태로 손으로 들거나 어깨에 멜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라서, 가방본체(110)는 백팩 이외의 핸드백, 메신저백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가방(100)은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들(130)로서, 무선전력송신모듈(미도시) 및 단말기 포켓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력송신모듈은 어깨끈(121, 122) 중 어느 하나의 어깨끈(122)의 내면 상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 포켓부(130)는 어깨끈(121, 122) 중 무선전력송신모듈이 내면에 형성된 어깨끈(122)의 외면 상 무선전력송신모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100)은 가방본체(110)의 일면 양측에 형성된 어깨끈(121, 122)을 포함하며, 이하, 어깨끈(121, 122)을 제1 어깨끈(121) 및 제2 어깨끈(122)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무선전력송신모듈(140)은 어깨끈(121, 122) 중 제2 어깨끈(122)의 내면 상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채, 충전케이블(141)을 통해 연결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모바일 단말기(160)로 출력 전력을 공급하여 무선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16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방식으로는 자기 공명 방식 및 자기 유도 방식은 물론, RF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무선전력송신모듈(140)은 무선 방식에 따라 전력 송신 코일 또는 전력 송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송신모듈(140)은 모바일 단말기(160)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단말기(160)의 배터리 온도 정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60)의 위치 정보(모바일 단말기(160)가 무선전력송신모듈(1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 및 과열 정보(모바일 단말기(160)에서 발생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출력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무선전력송신모듈(140)이 제2 어깨끈(122)의 내면 상 형성되는 위치는, 가방본체(110)의 내측에 수납된 배터리의 위치 또는 배터리를 무선전력송신모듈(140)에 연결하는 충전케이블(141)의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모듈(140)이 충전케이블(141)을 통해 연결되는 배터리(미도시)는 가방본체(110) 내측의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충전케이블(141)은 가방본체(110) 내측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배터리로부터 제2 어깨끈(122)의 내면을 통과하여 무선전력송신모듈(140)과 연결됨에 따라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141)은 무선전력송신모듈(140) 및 배터리와 결합 및 분리가 자유로울 수 있다.
단말기 포켓부(130)는 제2 어깨끈(122)의 외면 상 무선전력송신모듈(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채 모바일 단말기(160)를 거치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송신모듈(140)과 충전케이블(141)은 제2 어깨끈(122)의 내면에 형성되고, 단말기 포켓부(130)는 제2 어깨끈(122)의 외면에 형성됨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모듈(140) 및 이를 연결하는 충전케이블(141)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며, 단말기 포켓부(130)만이 모바일 단말기(16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외부에 위치하여 외관으로 식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서, 충전케이블(141)이 제2 어깨끈(122)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충전케이블(141) 역시 외관으로 식별 가능할 수도 있다.
특히, 단말기 포켓부(130)는 모바일 단말기(160)가 크기와 무관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하우징(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60)가 기종에 따라 크기가 상이하더라도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하우징(131) 내로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포켓부(130)의 하우징(131)은 모바일 단말기(160)가 단말기 포켓부(130)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모듈(1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하부가 뚫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60)는 단말기 포켓부(130)에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모듈(1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 포켓부(130) 내에서 상하로 적절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160)는 상하부가 뚫린 형상의 하우징(131) 내에서 상하로 적절하게 이동되어 무선전력송신모듈(140)과 일직선(142) 상에 위치하게 되고, 무선전력송신모듈(14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은 모바일 단말기(160)의 배터리로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되어 배터리 충전이 용이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 포켓부(130) 내에서 적절하게 이동된 모바일 단말기(160)는 신축성 소재의 하우징(1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포켓부(130)는 하우징(131)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160)가 무선전력송신모듈(1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무선전력송신모듈(140)과의 일직선(142) 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모듈(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모듈(132)은 도면과 같이 하우징(131)의 하부에 형성되어 모바일 단말기(160)가 하우징(131)에 수납될 때 무선전력송신모듈(1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무선전력송신모듈(140)과의 일직선(142) 상의 위치)에 자연스럽게 배치되도록 모바일 단말기(1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말기 포켓부(130)의 형태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어깨끈(122)에 고정된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16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포켓부(130)는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160)를 고정하는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이상, 무선전력송신모듈(140) 및 단말기 포켓부(130)가 어깨끈(121, 122) 중 제2 어깨끈(122)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제1 어깨끈(1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끈의 외면에 형성된 단말기 포켓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포켓부(130)는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160)를 고정하는 구성요소들로서, 좌우 고정모듈(133) 및 상하 고정모듈(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우 고정모듈(133)은 단말기 포켓부(130)의 하우징(131)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160)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좌우 고정모듈(133)은 버클 형태, 벨크로 형태, 매듭 형태 또는 지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하 고정모듈(134)은 단말기 포켓부(130)의 하우징(131)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160)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하 고정모듈(134)은 버클 형태, 벨크로 형태, 매듭 형태 또는 지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110: 가방본체
121: 제1 어깨끈
122: 제2 어깨끈
130: 단말기 포켓부
131: 하우징
132: 높낮이 조절모듈
133: 좌우 고정모듈
134: 상하 고정모듈
140: 무선전력송신모듈
141: 충전케이블
150: 손잡이
160: 모바일 단말기

Claims (6)

  1.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
    상기 가방본체의 일면 양측에 형성된 어깨끈의 내면 상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채, 상기 어깨끈에 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전력송신모듈; 및
    상기 어깨끈의 외면 상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단말기 포켓부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포켓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크기와 무관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출력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말기 포켓부의 하우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포켓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하부가 뚫린 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단말기 포켓부의 하우징에 거치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지지하는 높낮이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포켓부는,
    상기 단말기 포켓부의 하우징에 거치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좌우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포켓부는,
    상기 단말기 포켓부의 하우징에 거치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상하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은,
    상기 가방본체의 내측에 수납된 배터리의 위치 또는 상기 배터리를 상기 무선전력송신모듈에 연결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상기 어깨끈이 내면 상 형성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KR1020200065969A 2019-08-19 2020-06-01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KR102369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247 2019-08-19
KR20190101247 2019-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901A KR20210021901A (ko) 2021-03-02
KR102369689B1 true KR102369689B1 (ko) 2022-03-03

Family

ID=7460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969A KR102369689B1 (ko) 2019-08-19 2020-06-01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9689B1 (ko)
CN (1) CN1123859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0817A1 (en) * 2014-09-30 2016-06-30 Jeremy Hartelt Wireless power transfer bag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530A (ko) * 2012-05-29 2013-12-09 이순주 스피커 기능을 갖는 멜빵
KR101701054B1 (ko) * 2015-06-12 2017-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795543B1 (ko) * 2015-09-01 2017-11-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무선충전이 가능한 가방
CN205795220U (zh) * 2016-03-31 2016-12-1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背包
CN205671743U (zh) * 2016-06-02 2016-11-09 汤晓峰 一种双肩包
KR200487609Y1 (ko) 2016-12-16 2018-10-12 주식회사 카바스마케팅 Usb충전단자를 내장한 가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0817A1 (en) * 2014-09-30 2016-06-30 Jeremy Hartelt Wireless power transfer bag for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901A (ko) 2021-03-02
CN112385969A (zh)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1137B2 (en) Sheath for USB charger
US10892625B1 (en) Cases and folios for carrying and charging accessories
US6978163B2 (en) Multi-purpose dongle for wireless headset
US8884583B2 (en) Accessory or fashion item that charg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US9696756B1 (en) Device case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160308381A1 (en) Accessory or fashion item that charg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US20130214931A1 (en) Induction charging system
US11611238B2 (en) Wireless charging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US20230040986A1 (en) Sheath for Convenient Charging
US20220218083A1 (en) Headphone storage and carrying devices
JP3204680U (ja) 携帯端末保護具
EP2833755B1 (en) Personal mobile charging device
US20200214414A1 (en) Holster with adaptable pocket
KR102369689B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가방
US10931138B2 (en) Sheath for USB charger
JP2014036510A (ja) 充電機能及び装着機能付き携行用電気機器ケース
CN208881876U (zh) 推车用多功能水杯架
US11101683B2 (en) Sheath for convenient charging
KR101914293B1 (ko) 무선충전 기능이 부가된 가방
KR20200130098A (ko) 카드형 무선충전기
US20230396084A1 (en)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10120966U (zh) 随携式置物装备
CN209898522U (zh) 一种手提电脑包
US20220338579A1 (en) Construction suspender system
KR20220070729A (ko) 휴대폰용 카드지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