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680B1 - 표면 마감재 - Google Patents

표면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680B1
KR102369680B1 KR1020210073424A KR20210073424A KR102369680B1 KR 102369680 B1 KR102369680 B1 KR 102369680B1 KR 1020210073424 A KR1020210073424 A KR 1020210073424A KR 20210073424 A KR20210073424 A KR 20210073424A KR 102369680 B1 KR102369680 B1 KR 102369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ynthetic resin
surface finishing
finishing material
low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1900A (ko
Inventor
김기정
김우홍
박병좌
안정식
권재영
김성국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07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6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합성수지의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표면 마감재를 제공한다. 상기 표면 마감재는 상층, 하층 및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 마감재는 △E1 은 0.5 초과이다. 상기 △E1 은 상기 상층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와 상기 하층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 간의 색차이다.
상기 표면 마감재는 △E2 는 0.2 미만이다. 상기 △E2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 중 어느 하나의 측에서 측정된 독립적인 영역들의 CIE LAB 색좌표들 간의 색차이다.

Description

표면 마감재{SURFACE FINISHING MATERIAL}
본 발명은 표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표면 마감재는 가구, 건축물의 내외장재, 자동차용 내외장재, 전자제품의 내외장재 등의 표면을 마무리하는 필름이다. 표면 마감재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가구, 자동차용 내외장재, 전자제품의 내외장재 등에, 그림, 문자, 숫자, 무늬, 입체감 등의 다양한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표면 마감재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합성수지는 자동차, 전기, 전자제품, 포장재, 건축 등 산업계 거의 전 분야에 사용되는 유용한 소재이지만, 자연 분해에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또한, 합성수지를 소각하는 경우,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된다.
자원을 재활용하고 합성수지의 매립 및 소각으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재생 합성수지의 활용률을 높인 표면 마감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재생 합성수지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신규 구조의 표면 마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합성수지로 인한 색상 불균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규 표면 마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합성수지로 인한 층간 박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신규 표면 마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에 따른 표면 마감재는 상층, 하층 및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에 따른 표면 마감재는 △E1 이 0.5 초과이다. 상기 △E1 은 상기 상층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와 상기 하층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 간의 색차이다.
상기 발명에 따른 표면 마감재는 △E2 가 0.2 미만이다. 상기 △E2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 중 어느 하나의 측에서 측정된 독립적인 영역들의 CIE LAB 색좌표들 간의 색차이다.
상기 발명에 따른 표면 마감재는 제1 기능층 및/또는 제2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층 및/또는 하층은 극성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재생 합성수지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신규 구조의 표면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합성수지로 인한 색상 불균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규 표면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 합성수지로 인한 층간 박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신규 표면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면 마감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제1 표면 마감재의 두께 프로파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표면 마감재의 모식도이다.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형태들과 실험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게시되는 내용은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including)", "가진(having)" 이라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재생 합성수지는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것으로, 펠렛(pellet)의 형태로 제조된다. 재생 합성수지는 그 속에 함유된 불순물로 인해, 버진 합성수지(virgin synthetic resin)에 비해 낮은 명도(lightness)와 높은 황색도(yellowness)를 가지며, 펠렛 간의 색상이 불균일하다.
또한, 재생 합성수지는 공정 중에 쉽게 열화된다. 이 때문에, 재생 합성수지에서는 황변 현상이 나타난다.
재생 합성수지의 물성과 공정 중 열화에 의해, 재생 합성수지가 함유된 표면 마감재는 기존의 표면 마감재에 비해 황색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황색도가 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합성수지가 함유된 표면 마감재는 기존의 표면 마감재와 동등한 수준의 색도 또는 색차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표면 마감재는 그 속에 함유된 합성수지가 버진 합성수지로 만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면 마감재(100)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표면 마감재(100)는 재생 합성수지를 포함하며, 고 함량의 재생 합성수지가 사용된 경우에도 기존의 표면 마감재와 동등한 수준의 색도 또는 색차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재생 합성수지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표면 마감재(100)는 상층(10), 하층(20) 및 중간층(30)을 포함한다. 중간층(30)은 상층(10)과 하층(20)의 사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면 마감재(100)는 압출 공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표면 마감재(100)는 상층(10), 하층(20) 및 중간층(30)을 포함하는 3층의 공압출 필름일 수 있다.
제1 표면 마감재(100)가 가구, 건축물의 내외장재, 자동차용 내외장재, 전자제품의 내외장재 등(이하, '가구 등'이라 한다)의 표면에 부착된 때, 가구 등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층(10)은 하층(20)에 비해 가구 등의 표면으로부터 먼 곳에 배치되며, 하층(20)은 상층(10)에 비해 가구 등의 표면에 가깝게 배치된다. 한편, 제1 표면 마감재(100)가 가구 등의 표면에 부착된 때, 제1 표면 마감재(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준으로 상층(10)은 하층(20)에 비해 사용자에 가깝게 배치되며, 하층(20)은 상층(10)에 비해 사용자로부터 먼 곳에 배치된다.
상층(10) 및 하층(20)은 버진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중간층(30)은 재생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중간층(30)은 상층(10) 및 하층(20)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중간층(30)에 함유된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은 상층(10), 하층(20) 및 중간층(30)에 사용된 총 합성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이상이다. 재생 합성수지의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중간층(30)에 함유된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층(10), 하층(20) 및 중간층(30)에 사용된 총 합성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버진 합성수지와 동등한 수준의 명도, 황색도(yellowness) 및 펠렛 간 색상 균일도를 가진 재생 합성수지 펠렛을 원료로 사용하여, 원료 자체의 물성에 의한 표면 마감재의 황색도 증가를 최소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명도가 약 80 이고 최대 황색도가 약 1 미만이고, 평균 황색도가 약 1 미만인 버진 합성수지를 기준으로, 명도가 약 75 이고 최대 황색도가 약 2 미만이고, 평균 황색도가 약 2 미만인 재생 합성수지 펠렛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공정 중 황변에 의한 중간층(30)의 황색도를 감소시켜 기존의 표면 마감재와 동등한 수준의 색도 또는 색차를 나타내는 제1 표면 마감재(100)를 얻기 위해, 상층(10)의 두께를 하층(20)에 비해 두껍게 설계하였다. 부언하면,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제1 표면 마감재(100)가 가구 등의 표면에 부착된 때, 상층(10)은 하층(20)에 비해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황색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층(10)을 하층(20)에 비해 두껍게 설계하였다.
상층(10)은 하층(20)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이 때문에, 제1 표면 마감재(100)는 상층(10)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와 하층(20)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 간의 색차가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제1 표면 마감재(100)는 △E1 이 0.5 이상인 것을 만족한다. △E1 은 상층(10)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와 하층(20)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 간의 색차이다. 예를 들어, △E1 은 0.5 내지 2.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IE LAB 색좌표의 L 값이 80 초과인 백색 또는 미색의 색상은 △E1 이 0.5 이상 0.8 미만일 수 있고, CIE LAB 색좌표의 L 값이 50 초과 80 미만인 유색의 색상은 △E1 이 0.8 이상 내지 2.0 이하일 수 있다. 상층(10)과 하층(20)의 두께 비는, 예를 들어, 2:1 내지 3:1 일 수 있다.
반면에, 상층(10)과 하층(20)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E1 은 대략 0.5 이다. 예를 들어, CIE LAB 색좌표의 L 값이 80 초과인 백색 또는 미색의 색상은 △E1 이 대략 0.2 이상 대략 0.3 이하일 수 있고, CIE LAB 색좌표의 L 값이 50 초과 80 미만인 유색의 색상은 △E1 이 대략 0.4 이상 내지 대략 0.6 이하일 수 있다.
재생 합성수지는 공정 중 점도 저하(intrinsic viscosity drop: I.V. Drop)를 보이며, 점도 저하는 공정 결과물의 부위 별 색상 불균일을 초래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압출 스크류의 회전속도(rpm)과 원료의 투입량을 제어하여 재생 합성수지의 열화를 최소화 내지 억제함으로써, 3층의 공압출 필름의 부위 별 색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표면 마감재의 공정 조건에서, 압출 스크류의 회전속도(rpm)는 낮추고 원료의 투입량은 증가시킴으로써, 재생 합성수지의 열화를 최소화 내지 억제할 수 있었다.
제1 표면 마감재(100)는 △E2 가 0.2 이하인 것을 만족한다. △E2 상층(10)과 하층(20) 중 어느 하나의 층의 측에서 측정된 독립적인 영역들의 CIE LAB 색좌표들 간의 색차이다. 다시 말하면, 제1 표면 마감재(100)는 제1 영역의 CIE LAB 색좌표와 제2 영역의 CIE LAB 색좌표 간의 색차(△E2)가 0.2 이하인 것을 만족한다. 이 때, 제1 영역의 CIE LAB 색좌표와 제2 영역의 CIE LAB 색좌표는 상층(10)과 하층(20) 중 어느 하나의 층의 측에서 측정된 것이며, 제1 영역은 제2 영역과 공간적으로 분리된 독립적인 공간이다.
한편,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원료의 흐름의 안정화, 폴리싱 롤(polishing roll) 사이의 뱅크(bank) 안정화를 통해, 제1 표면 마감재(100)의 두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제1 표면 마감재(100) 내의 독립적인 영역들 간의 두께 편차가 ±5 ㎛ 이내일 수 있다. 도 2에는 제1 표면 마감재(100)의 두께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제2 표면 마감재(200)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 표면 마감재(200)는 도 1의 제1 표면 마감재(100)를 포함한다. 제2 표면 마감재(200)는 제1 기능층(40) 및/또는 제2 기능층(5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제1 표면 마감재(100)와 차이가 있다.
제2 표면 마감재(200)가 제1 기능층(40)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층(10)은 제1 기능층(40)과 중간층(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층(40)은 상층(1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면 마감재(200)가 제2 기능층(50)을 더 포함하는 경우, 하층(20)은 제2 기능층(50)과 중간층(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능층(50)은 하층(2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능층(40)은 상층(10) 상에 적층, 합지(laminate) 또는 코팅될 수 있으며, 내스크래치 강화층, 눈부심 방지층(AR), 및 반사방지층(AR) 중 적어도 하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기능층(50)은 하층(20) 상에 적층, 합지 또는 코팅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 접착층 및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재생 합성수지 만으로 구성된 단층 필름의 표면에 제1 기능층(40) 및/또는 제2 기능층(50)이 적층 또는 코팅된 경우, 제1 기능층(40)과 단층 필름 간의 박리 및/또는 제2 기능층(50)과 단층 필름 간의 박리가 나타난다.
또한, 재생 합성수지와 버진 합성수지의 혼합물로 구성된 단층 복합필름의 표면에 제1 기능층(40) 및/또는 제2 기능층(50)이 적층 또는 코팅된 경우, 제1 기능층(40)과 단층 복합필름 간 및/또는 제2 기능층(50)과 단층 복합필름 간의 박리를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지만, 단층 복합필름은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제2 표면 마감재(200)는 상층(10)과 제1 기능층(40) 간의 박리 및/또는 하층(20)과 제2 기능층(50) 간의 박리를 최소화 내지 방지하면서도, 중간층(30)이 고 함량의 재생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층(10)에 사용된 합성수지를 제1 합성수지로 명명하고, 하층(20)에 사용된 합성수지를 제2 합성수지로 명명하며, 중간층(30)에 사용된 합성수지를 제3 합성수지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층(10)과 제1 기능층(40) 간의 박리 및/또는 하층(20)과 제2 기능층(50) 간의 박리를 최소화 내지 억제하기 위해, 제1 합성수지 및/또는 제2 합성수지는 극성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합성수지 및 제2 합성수지는 극성 작용기를 가진 버진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합성수지 및 제2 합성수지는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제1 합성수지는 재생 합성수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지만,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상층(10)과 제1 기능층(40) 간의 박리가 발생할 수 있고, 황색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은 상층(10)과 제1 기능층(40) 간의 박리 여부와 황색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함성수지의 함량은 제1 합성수지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중량% 일 수 있다.
제2 합성수지는 재생 합성수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지만,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하층(20)과 제2 기능층(50) 간의 박리가 발생할 수 있고, 황색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은 하층(20)과 제2 기능층(50) 간의 박리 여부와 황색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함성수지의 함량은 제2 합성수지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중량% 일 수 있다.
한편, 제3 합성수지는 재생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 합성수지는 재생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제3 합성수지 내의 재생 합성수지의 함량은 제1 합성수지, 제2 합성수지 및 제3 합성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층(10)과 제1 기능층(40) 간의 표면 부착력 및/또는 하층(20)과 제2 기능층(50) 간의 표면 부착력을 확보하고, 황색도를 최소화하여 기존 표면 마감재와 동등한 수준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제3 합성수지는 제1 합성수지, 제2 합성수지 및 제3 합성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제3 합성수지는 버진 합성수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지만, 자원 재활용의 측면에서, 제3 합성수지에 함유된 버진 합성수지의 함량은 10 중량%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중량%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합성수지와 제2 합성수지가 버진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G-PET)로 이루어지고, 제3 합성수지는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R-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G-PET의 함량은 16 중량% 일 수 있으며, R-PET의 함량은 84 중량% 일 수 있다.
<제조예 1>
트윈 스크류와 원료에서 발생하는 흄(hume)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가 구비된 3 대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층(10)/중간층(30)/하층(20)의 두께의 비가 12/84/4 인 3층의 공압출 필름으로 구성된 표면 마감재(100)를 제작하였다. 원료의 충전비율은 0.7% , 스크류의 회전속도는 300 rpm 이었다.
상층(10)과 하층(20)의 원료로는 버진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virgin G-PET)가 사용되었고, 중간층(30)의 원료로는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R-PET)이 사용되었다. virgin G-PET 은 명도가 약 80 이고 최대 황색도가 약 1 이며, 평균 황색도가 약 1 미만인 것이 사용되었고, R-PET은 명도가 약 75 이고 최대 황색도가 약 2 이고, 평균 황색도가 약 2 미만인 것이 사용되었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얻은 3층의 공압출 필름의 상층(10)에 하드코팅층(40)을 코팅하여 표면 마감재(200)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상층(10)/중간층(30)/하층(20)의 두께의 비를 8/84/8 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3층의 공압출 필름으로 구성된 표면 마감재(비교예 1의 표면 마감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트윈 스크류와 원료에서 발생하는 흄(hume)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가 구비된 1 대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단층 필름으로 구성된 표면 마감재를 제작하였다. 그 뒤, 단층 복합필름으로 구성된 표면 마감재 상에 하드코팅층을 코팅하여 비교예 2의 표면 마감재를 얻었다. 원료의 충전비율은 0.7% , 스크류의 회전속도는 300 rpm 이었다.
단층 필름의 원료로는 R-PET 이 사용되었다. R-PET은 명도가 약 75 이고 최대 황색도가 약 2 이고, 평균 황색도가 약 2 미만인 것이 사용되었다.
<비교예 3>
트윈 스크류와 원료에서 발생하는 흄(hume)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가 구비된 1 대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단층 복합필름으로 구성된 표면 마감재를 제작하였다. 그 뒤, 단층 복합필름으로 구성된 표면 마감재 상에 하드코팅층을 코팅하여 비교예 3의 표면 마감재를 얻었다. 원료의 충전비율은 0.7% , 스크류의 회전속도는 300 rpm 이었다.
단층 복합필름의 원료로는 조성비가 1:1인 virgin G-PET과 R-PET의 혼합물이 사용되었다. virgin G-PET 은 명도가 약 80 이고 최대 황색도가 약 1 이며, 평균 황색도가 약 1 미만인 것이 사용되었고, R-PET은 명도가 약 75 이고 최대 황색도가 약 2 이고, 평균 황색도가 약 2 미만인 것이 사용되었다.
<실험예>
색차 측정
표면 마감재(100), 표면 마감재(200), 비교예 1 내지 3의 표면 마감재 각각의 색차를 다음과 같은 사양을 갖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에는 색차 측정값이 정리되어 있다.
(색차계 사양)
- Lighting/inspecting system: 8/d(8°Falloff/diffuse reflection), SCI (include Flat Mirror Light)
- Inspection condition: D65、F11, A
△E1 △E2
표면 마감재(100) 0.6 0.2
표면 마감재(200) 0.7 0.2
비교예 1의 표면 마감재 0.2 0.2
층 간 박리여부 확인
표면 마감재(200), 비교예 2 및 3의 표면 마감재들을 이용하여 층 간 박리여부를 확인하였다. 표 2에는 층 간 박리여부 확인 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층간 박리여부
표면 마감재(200) 없음
비교예 2의 표면 마감재 발생
비교예 3의 표면 마감재 부분 발생
R-PET 자체는 글리콜 성분의 부존재로 인해 기능층과의 부착력이 없기 때문에, R-PET 단독 제품(비교예 2의 표면 마감재)에서는 층 간 박리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3의 표면 마감재는 virgin G-PET 을 포함하고 있지만, 단층 복합필름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선택적으로 virgin G-PET 이 배향되지 않으므로, R-PET에 virgin G-PET 이 혼합된 경우에도, 층 간 박리가 부분적으로 발생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에 게시된 내용들을 조합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 표면 마감재
10: 상층
20: 하층
30: 중간층
40: 제1 기능층
50: 제2 기능층

Claims (5)

  1.  상층;
     하층; 및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 사이에 배치되고, 재생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합성수지는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R-PET)이고,
    △E1 은 0.5 초과이며, 상기 △E1 은 상기 상층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와 상기 하층 측에서 측정된 CIE LAB 색좌표 간의 색차이고,
    △E2 는 0.2 미만이며, 상기 △E2 는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 중 어느 하나의 측에서 측정된 공간적으로 분리된 독립적인 영역들의 CIE LAB 색좌표들 간의 색차인 표면 마감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 중 적어도 하나는 극성 작용기를 더 포함하는
    표면 마감재.
  3. 제1 항에 있어서,
    제1 기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층은 내스크래치 강화층, 눈부심 방지층(AR), 및 반사방지층(AR)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상층은 상기 제1 기능층과 상기 중간층의 사이에 배치된
    표면 마감재.
  4. 제1 항에 있어서,
    제2 기능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능층은 프라이머층, 접착층 및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하층은 상기 제2 기능층과 상기 중간층의 사이에 배치된
    표면 마감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적인 영역들 간의 두께 편차가 ±5 ㎛ 이내인 표면 마감재.
KR1020210073424A 2018-08-24 2021-06-07 표면 마감재 KR10236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424A KR102369680B1 (ko) 2018-08-24 2021-06-07 표면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951A KR102264508B1 (ko) 2018-08-24 2018-08-24 표면 마감재
KR1020210073424A KR102369680B1 (ko) 2018-08-24 2021-06-07 표면 마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951A Division KR102264508B1 (ko) 2018-08-24 2018-08-24 표면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900A KR20210071900A (ko) 2021-06-16
KR102369680B1 true KR102369680B1 (ko) 2022-03-02

Family

ID=697833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951A KR102264508B1 (ko) 2018-08-24 2018-08-24 표면 마감재
KR1020210073424A KR102369680B1 (ko) 2018-08-24 2021-06-07 표면 마감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951A KR102264508B1 (ko) 2018-08-24 2018-08-24 표면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4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342B1 (ko) * 2022-04-07 2022-11-23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화학적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한 친환경 데코레이션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220B1 (ko) 2022-04-07 2023-03-17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캘린더가 가능한 리사이클 폴리프로필렌 표면 마감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친환경 표면 마감재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64925B1 (ko) * 2023-08-21 2024-05-10 민광표 친환경 기능성 엣지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3208A (ja) * 2013-09-30 2015-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鏡面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鏡面化粧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812B1 (ko) * 2008-05-19 2010-11-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데코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3208A (ja) * 2013-09-30 2015-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鏡面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鏡面化粧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342B1 (ko) * 2022-04-07 2022-11-23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화학적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한 친환경 데코레이션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508B1 (ko) 2021-06-14
KR20210071900A (ko) 2021-06-16
KR20200022832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680B1 (ko) 표면 마감재
KR101308827B1 (ko) 성형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친환경 데코 시트
JPH0664120A (ja) 艶消し効果を有する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16442A1 (en) Infrared filter
KR20150021150A (ko) 데코 시트
US20230286198A1 (en) Eco-friendly thermoplastic polyurethane floor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262940B1 (ko) 표면 마감재
JP2023033350A (ja) 化粧シート
US20030134106A1 (en) Polyolefin film for use as a non-staining masking film
KR102356529B1 (ko) 표면 마감재
KR102262947B1 (ko) 표면 마감재
KR102262936B1 (ko) 표면 마감재
KR20130002110A (ko)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용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포장용 백
CN103587197A (zh) 一种pe保护膜及其制作工艺
JP7250903B2 (ja) 表面仕上げ材
KR101805083B1 (ko) 유색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40406A1 (ko) 표면 마감재
EP3102410A1 (en) Sandwich sheet or panel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
KR101786152B1 (ko) 데코 시트
KR101906980B1 (ko) 유리 질감의 폴리에스테르계 데코시트
KR10156269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친환경 데코 시트
KR102403086B1 (ko) 색상변화시트
KR20190043425A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EP3566867B1 (en) Polyester-based glass texture decorative sheet
JPH0688903A (ja) 防眩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