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027B1 -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027B1
KR102369027B1 KR1020210110253A KR20210110253A KR102369027B1 KR 102369027 B1 KR102369027 B1 KR 102369027B1 KR 1020210110253 A KR1020210110253 A KR 1020210110253A KR 20210110253 A KR20210110253 A KR 20210110253A KR 102369027 B1 KR102369027 B1 KR 102369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wire
electric wire
termin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철
Original Assignee
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철 filed Critical 곽철
Priority to KR102021011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0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3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mach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09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for efficiently producing a wire harnes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ocessing step (S10) of pressing a wire and a terminal using a processing apparatus; an assembling step (S20) including a step (S21) of installing a housing on an end part of the wire and a step (S22) of binding a plurality of wires; an inspecting step (S30) of applying a current to a wire harness manufactured from the assembling step (S20) through an inspecting apparatus and grasping current flow; and a packing step (S40) of packing the wire harness.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제조장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enabling efficient production of a wire harness.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다수개의 전선을 하나로 결속시키고, 결속된 전선 각각의 양단에 접촉단자(Connector, 터미널)를 형성한 장치로서, 전기적인 장치들이 밀집되어 있는 기기 특히 자동차의 전기적인 배선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In general, a wire harness is 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bundled into one and contact terminal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bound wires. It is mainly used for conventional wiring.

더욱이 현재의 장치(예컨대, 자동차 등)들은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부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와이어 하네스의 사용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Moreover, in current devices (eg, automobiles, etc.), the frequency of use of the wire harness is gradually increasing while the attachment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is increasing in order to improve usability.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12-0130010호(이하 종래기술)는 와이어 하네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10)과, 부직포(20)를 가열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부재이며, 상기 전선(10)의 길이 방향의 일부를 덮고,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인 턴(turn)의 만곡부가 형성된 보호 부재(21, 22)를 포함함으로써, 다른 부재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를 덮도록 보호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ior art,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30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relates to a wire harn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 member obtained by heat-molding an electric wire 10 and a nonwoven fabric 20, Covering a part of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10 and including the protection members 21 and 22 in which a curved portion of continuous tur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so as to cover a portion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members Since the member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electric wire.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와이어 하네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problems such as that the wire harness cannot be produced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that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wire harness.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features.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전선과 단자를 압착하는 가공단계(S10); 상기 전선 단부에 하우징을 설치하는 단계(S21) 및 다수의 전선을 묶는 단계(S22)를 포함하는 조립단계(S20); 검사장치를 통해 상기 조립단계(S20)에서 제조된 와이어 하네스에 전류를 가하고 통전을 파악하는 검사단계(S30); 및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40);를 포함한다.A processing step of crimping the wire and the terminal using a processing device (S10); an assembly step (S20)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housing at the end of the wire (S21) and bundling a plurality of wires (S22); an inspection step (S30) of applying a current to the wire harness manufactured in the assembling step (S20) through an inspection device and grasping energization; and a packaging step (S40) of packaging the wire harness.

또한 상기 가공단계(S10)는, 상기 가공장치의 이송로울러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가공장치의 절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1); 상기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의 피복체를 벗기는 단계(S12); 상기 가공장치의 선회부를 통해 상기 이송로울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로울러를 구동시켜 상기 전선을 단자를 공급하는 상기 가공장치의 제1단자공급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3); 상기 가공장치의 제1압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의 단부와 단자를 압착하는 단계(S14); 상기 선회부를 통해 상기 이송로울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로울러를 구동시켜 상기 전선을 상기 절단부보다 후단 측에 배치된 가공장치의 파지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15); 상기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을 절단하는 단계(S16); 상기 파지부를 이용하여 절단된 전선을 단자를 공급하는 상기 가공장치의 제2단자공급부로 이동시키는 단계(S17); 상기 가공장치의 제2압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의 단부와 단자를 압착하는 단계(S18); 및 상기 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단자가 압착된 전선을 상기 가공장치의 배출부로 배출하는 단계(S19);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step (S10), by using the transfer roller of the processing device to transfer the electric wi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oward the cutting part of the processing device (S11); Peeling off the cover of the electric wire using the cut (S12); moving the transfer roller through the turning par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driving the transfer roller to move the electric wire toward the first terminal supplying uni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supplying terminals (S13); crimp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crimping portion of the processing device (S14); moving the conveying roller through the turning unit, and driving the conveying roller to convey the electric wire to the gripper side of the processing devic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utting unit (S15); cutting the electric wire using the cutting part (S16); moving the cut wire using the gripper to a second terminal supply unit of the processing device for supplying terminals (S17); crimp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terminal using the second crimping unit of the processing device (S18); and discharging the wire to which the terminal is pressed by using the gripper (S19) to the discharge uni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또한 상기 가공장치는, 상기 이송로울러보다 선단 측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이 권취된 권취로울러의 축공에 삽입되는 축부재, 및 상기 바닥부 둘레에서 상향 연장된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피동로울러;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부와 상기 피동로울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로울러에서 풀어진 전선이 관통되는 가이드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bottom portion disposed on the tip side of the transfer roller, a shaft member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portion and inserted into a shaft hole of the take-up roller on which the electric wire is wound, and extending upwardly around the bottom portion a loading unit including a guide wall; a passive roller connected to a vertical fram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part and disposed above the loading part; and a guide ring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disposed between the loading part and the driven roller, and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released from the winding roller passes.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가공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가공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wire harness by including the processing step perform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가공장치의 이송로울러, 절단부, 선회부, 제1압착부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이송로울러가 선회부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는 전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가공장치의 제2압착부, 파지부, 배출부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제2압착부 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가공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가공장치의 적재부, 피동로울러, 가이드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포장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fer roller, a cutting part, a turning part, a first crimping part, etc.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roller of FIG. 3 is rotated by the turning uni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wire cut by a cutting uni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crimping unit, a holding unit, a discharge unit, etc. of the processing apparatus.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er for gripping the electric wire has moved toward the second crimping por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ading unit, a driven roller, and a guide ring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pection device.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 harness accommodated in a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ed.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1~, ~2~,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to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that they are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ir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are may not match.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전기적 연결도 포함)"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전기적 연결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2는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가공장치의 이송로울러, 절단부, 선회부, 제1압착부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이송로울러가 선회부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는 전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and FIG. 3 is processin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fer roller of the device, the cutting part, the turning part, the first crimping part, etc.,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transfer roller of FIG. 3 is rotated by the turning part, and FIG. 5 is the cutting part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wire cut by the

와이어 하네스(5)(Wire Harness)는 다수개의 전선(51)을 하나로 결속시키고, 결속된 전선(51) 각각의 양단에 접촉단자(Connector, 터미널)를 형성한 장치로서, 전기적인 장치들이 밀집되어 있는 기기 특히 자동차의 전기적인 배선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The wire harness 5 is 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51 are bundled into one, and contact terminal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bound wires 51, in which electrical devices are concentrated. It is mainly used for electrical wiring of devices, especially automobi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은 상기한 와이어 하네스(5)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ore efficiently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wire harness 5, an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referred to as 'this metho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가공단계(S10), 조립단계(S20), 검사단계(S30) 및 포장단계(S40)를 포함한다.1 to 5 , the method includes a processing step (S10), an assembly step (S20), an inspection step (S30) and a packaging step (S40).

가공단계(S10)는 가공장치(1)를 이용하여 전선(51)과 단자(52)(터미널)를 압착하는 단계이다.The processing step S10 is a step of pressing the wire 51 and the terminal 52 (terminal) using the processing device 1 .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가공장치(1)는 이송로울러(10), 절단부(11), 선회부(12), 제1단자공급부(13a), 제1압착부(13b), 파지부(14), 제2단자공급부(15a), 제2압착부(15b), 배출부(16), 적재부(17), 피동로울러(18) 및 가이드링(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이송로울러(10), 절단부(11), 선회부(12), 제1단자공급부(13a), 제1압착부(13b), 파지부(14), 제2단자공급부(15a), 제2압착부(15b), 배출부(16), 적재부(17), 피동로울러(18) 및 가이드링(19) 등은 가공장치(1)의 프레임(수직프레임(F1), 수평프레임(F2) 등을 포함)에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ocessing device 1 includes a transfer roller 10, a cutting part 11, a turning part 12, a first terminal supplying part 13a, a first crimping part 13b, and a gripping part. (14), the second terminal supply unit 15a, the second crimping unit 15b, the discharge unit 16, the loading unit 17, the driven roller 18 and the guide ring 19,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The transfer roller 10, the cutting part 11, the turning part 12, the first terminal supply part 13a, the first crimping part 13b, the grip part 14, the second terminal supply part 15a, the first 2The crimping part 15b, the discharging part 16, the loading part 17, the driven roller 18 and the guide ring 19 etc. are the frame (vertical frame F1), the horizontal frame (F2)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 ), etc.) can be installed.

가공단계(S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공단계(S10)는 가공장치(1)의 이송로울러(10)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51)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가공장치(1)의 절단부(11)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1)를 포함한다.If the processing step (S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ocessing step (S10) is performed by transferring the electric wire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transfer roller 10 of the processing device 1 to It includes a step (S11) of moving to the cut portion (11) side.

상기 이송로울러(10)는 전선(51)을 중심으로 하여 양 측에 배치되어 모터(미되)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전선(51)을 중심으로 하여 양 측에 배치되는 이송로울러(1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선(51)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transfer roller 10 i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electric wire 51 as the center, is connected to the motor (middle),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central axis,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electric wire 51 as the center The transfer roller 10 may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transfer the electric wire 51 in a horizontal direction.

여기에서 수평 방향은 바닥(지면)에 평행한 방향이고, 수직 방향은 연직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ground),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ame will be applied hereinafter.

또한 가공단계(S10)는 상기 절단부(11)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51)의 피복체를 벗기는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step (S10) may include a step (S12) of peeling the cover of the electric wire 51 using the cutting part 11 .

상기 절단부(11)는 예시적으로 구동장치(예시적으로 유압실린더 등)에 연결되어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하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칼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tting part 11 may include a pair of knives, for example, connected to a driving device (eg, a hydraulic cylinder, etc.) and whose vertical distance is adjusted by driving the driving device.

예시적으로 한 쌍의 칼이 전선(51)의 피복체를 절개한 상태에서 이송로울러(10)에 의해 전선(51)이 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 상기 (S12) 단계에서 전선(51)의 피복체가 벗겨질 수 있다.Illustratively,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knives cut the covering of the electric wire 51, the electric wire 51 is reciprocat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ransfer roller 10, and in the step (S12), the electric wire 51 is The covering may peel off.

상기 가공단계(S10)는 상기 가공장치(1)의 선회부(12)를 통해 상기 이송로울러(10)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로울러(10)를 구동시켜 상기 전선(51)을 단자(52)를 공급하는 가공장치(1)의 제1단자공급부(13a)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ocessing step (S10), the transfer roller 10 is moved through the turning part 12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 and the transfer roller 10 is driven to connect the electric wire 51 to the terminal 52. It may include a step (S13) of moving to the first terminal supply unit (13a) sid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 for supplying the.

예시적으로 가공장치(1)는 상기 이송로울러(10)가 안착 구비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선회부(12)는 예시적으로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는 수직축부재(미도시) 및 상기 수직축부재(미도시)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seating part on which the transfer roller 10 is mounted, and the turning part 12 exemplarily includes a vertical shaft me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ating part and the vertical shaft.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rotating the member (not shown).

이송로울러(10)에 맞물려 이송되는 전선(51)은 상기 (S12) 단계에서 피복체가 벗겨지고, 상기(S13) 단계에서 제1단자공급부(13a) 측으로 이동된다.In the step (S12), the electric wire 51 engaged with the transfer roller 10 is transferred, and the cover is peeled off, and in the step (S13), it is moved toward the first terminal supply unit 13a.

후술하는 (S14) 단계 이전에 이송로울러(10)는 상기 전선(51)을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선(51)이 제1단자공급부(13a)에서 공급되는 단자(52)와 접촉 배치될 수 있다.Before the step (S14) to be described later, the transfer roller 10 moves the electric wire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electric wire 51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52 supplied from the first terminal supply unit 13a. there is.

또한 가공단계(S10)는 가공장치(1)의 제1압착부(13b)를 이용하여 전선(51)의 단부와 단자(52)를 압착하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step (S10) may include a step (S14) of press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51 and the terminal 52 using the first crimping portion 13b of the processing device 1 (S14).

상기 (S13) 단계 및 (S14) 단계에서 다수의 단자(52)들은 연결부재(a)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e steps (S13) and (S14), the plurality of terminals 5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

상기 연결부재(a)(예시적으로 철사 등)가 권취롤러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제1단자공급부(13a)가 상기 권취롤러를 회동시켜 연결부재(a)에 연결된 다수의 단자(52)들을 상기 제1압착부(13b)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a) (eg, wire, etc.) is stored in a state wound on a winding roller, and a first terminal supply unit 13a rotates the winding roller to rotate a plurality of terminals 5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a). )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crimping unit 13b.

제1압착부(13b)는 예시적으로 프레스와 상기 프레스를 구동시키는 가압부(예시적으로 유압실린더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S14) 단계에서 전선(51)의 금속 부분과 단자(52)는 강하게 압착되어 금속 표면이 이어 붙어져 전선(51)과 단자(52)가 물리적,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rimping unit 13b may include, for example, a press and a pressing unit (eg, a hydraulic cylinder, etc.) for driving the press, and in the step (S14), the metal part of the electric wire 51 and the terminal ( 52 is strongly compressed so that the metal surface is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ic wire 51 and the terminal 52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interconnected.

이와 같이, 본 방법은 (S11) 단계 내지 (S14)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단계(S10)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5)를 자동화 하여 생산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와이어 하네스(5)를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present method includes a processing step (S10) including steps (S11) to (S14), so that the wire harness 5 can be produced automatically, so that the wire harness 5 can be manufactured more efficient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도 6은 가공장치의 제2압착부, 파지부, 배출부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제2압착부 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crimping unit, a gripping unit, a discharge unit, etc.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unit for gripping the electric wire is moved to the second crimping unit sid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공단계(S10)는 상기 선회부(12)를 통해 상기 이송로울러(10)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로울러(10)를 구동시켜 상기 전선(51)(전선(51)의 후단부)을 상기 절단부(11)보다 후단 측에 배치된 가공장치(1)의 파지부(14) 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in the processing step (S10), the transfer roller 10 is moved through the turning part 12, and the transfer roller 10 is driven to drive the electric wire 51 (electric wire ( 51) may include a step (S15) of transferring to the gripper 14 side of the processing device 1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than the cut portion 11 (S15).

여기에서 선단 및 후단은 가공장치(1)에서 전선(51)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가공장치(1)에서 전선(51)은 가공장치(1)의 선단 측인 후술하는 적재부(17) 측에서 후단 측인 배출부(16) 측으로 이동한다(도 2 참조).Her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51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 and the electric wire 51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 is a loading part 17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 ) to the rear end side, the discharge unit 16 side (see FIG. 2).

즉, 상기(S15) 단계에서 이송로울러(10)는 상기 선회부(12)에 의해 다시 이동하게 되고, 이송로울러(10)가 구동됨에 따라 이송로울러(10)에 의해 이동하는 전선(51)이 절단부(11)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절단부(11)의 상기 한 쌍의 칼이 이격되어 전선(51)이 상기 절단부(11)를 통과하여 절단부(11)보다 후단 측에 배치된 파지부(14)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step (S15), the transfer roller 10 is moved again by the turning part 12, and as the transfer roller 10 is driven, the electric wire 51 moving by the transfer roller 10 is It moves to the cutting part 11, and the pair of knives of the cutting part 11 are spaced apart so that the electric wire 51 passes through the cutting part 11 and the holding part 14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than the cutting part 11. will move to the side.

상기한 파지부(14)는 집게, 상기 집게를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구동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집게와 구동수단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gripping unit 14 may include forceps,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clamps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and the like. The tongs and the driving means described above are common in the relevant field,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가공단계(S10)는 상기 절단부(11)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51)을 절단하는 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step (S10) may include a step (S16) of cutting the electric wire 51 using the cutting part 11 .

가공단계(S10)는 상기 파지부(14)를 이용하여 절단된 전선(51)(절단부(11)를 기준으로 후단 측에 배치된 절단된 전선(51))을 단자(52)를 공급하는 가공장치(1)의 제2단자공급부(15a)로 이동시키는 단계(S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step (S10) is a process of supplying the terminal 52 to the cut wire 51 (the cut wire 51 disposed on the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cut portion 11) using the gripping part 14. It may include a step (S17) of moving to the second terminal supply unit (15a) of the device (1).

상기한 (S16) 단계에서 전선(51)은 절단된다고 하였는데, 이송로울러(10)에 맞물려 이송하는 부분(절단부(11)를 기준으로 선단 측에 배치된 부분)은 상기한 (S11) 단계부터 다시 수행되고, 절단되어 절단부(11)를 기준으로 후단 측에 배치된 부분(이하 절단된 전선(51))이 후술하는 (S17) 단계 이후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It was said that the electric wire 51 was cut in the step (S16), but the portion (the portion disposed on the tip side with respect to the cut portion 11) engaged with the transfer roller 10 and transferred again from the step (S11). The part (hereinafter, the cut wire 51) that is cut and disposed on the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cut part 11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ep (S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가공단계(S10)는 상기 가공장치(1)의 제2압착부(15b)를 이용하여 전선(51)의 단부와 단자(52)를 압착하는 단계(S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step (S10) may include a step (S18) of press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51 and the terminal 52 using the second crimping portion 15b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 .

(S18) 단계를 수행하는 제2단자공급부(15a) 및 제2압착부(15b) 각각은 상술한 제1단자공급부(13a) 및 제1압착부(13b) 각각과 배치되는 위치만 상이할 뿐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2단자공급부(15a) 및 제2압착부(15b)의 설명은 상술한 제1단자공급부(13a) 및 제1압착부(13b)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S18) Each of the second terminal supply unit 15a and the second crimping unit 15b for performing the step is different only in the position where it is disposed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terminal supply unit 13a and the first crimping unit 13b, respectively.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terminal supply unit 15a and the second crimping unit 15b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terminal supplying unit 13a and the first crimping unit 13b described above because they includ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S16) 단계에서 절단된 전선(51)에서 양단부 중 후단 측에 배치된 후단부가 상기한 (S14) 단계에서 단자(52)와 압착된 상태이고, (S16)에서 절단되어 형성된 선단부 측은 단자(52)가 압착되지 않은 상태이다.In the wire 51 cut in step (S16), the rear end disposed on the rear end of both ends is in a state of being compressed with the terminal 52 in step (S14), and the front end formed by cutting in (S16) is the terminal 52 ) is not compressed.

상기 (S16) 단계에서 절단부(11)보다 후단 측에 배치되는 절단된 전선(51)은 절단부(11)에 의해 마찬가지로 피복체가 벗겨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한 (S18) 단계에서 단자(52)가 압착되어 상기한 절단된 전선(51)의 양단부에 단자(52)가 압착될 수 있다.In the step (S16), the cut wire 51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than the cut part 11 can be peeled off by the cut part 11 as well as the terminal 52 in the step (S18). ) is compressed, so that the terminals 52 can be compressed on both ends of the cut wire 51 described above.

즉, 본 방법은 가공단계(S10) 상기한 (S11) 단계 내지 (S14) 단계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S15) 단계 내지 (S18)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전선(51) 양단부에 단자(52)를 압착하여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at is, the method includes the processing step (S10), steps (S11) to (S14) described above, as well as steps (S15) to (S18), so that the terminals 52 at both ends of the wire 51 a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nected by pressing it.

가공단계(S10)는 상기 파지부(14)를 이용하여 단자(52)가 압착된 전선(51)을 가공장치(1)의 배출부(16)(예시적으로 수용통)로 배출하는 단계(S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step (S10)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wire 51 on which the terminal 52 is pressed using the gripping part 14 to the discharge part 16 (eg, a container)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 ( S19) may be included.

도 8은 가공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공장치(1)는 상기한 모터, 구동장치, 구동부, 가압부, 구동수단 등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한 모터, 구동장치, 구동부, 가압부, 구동수단 등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processing apparatus 1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motor, the driving device, the driving unit, the pressing unit, the driving means, etc.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he driving means and the like.

제어부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어 구성(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는 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신호나 명령을 모터, 구동장치, 구동부, 가압부, 구동수단 등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모터, 구동장치, 구동부, 가압부, 구동수단 등에 포함되거나, 모터, 구동장치, 구동부, 가압부, 구동수단 등과 이웃하는 위치에 모터, 구동장치, 구동부, 가압부, 구동수단 등과는 별도로 구비되어 모터, 구동장치, 구동부, 가압부, 구동수단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Various control component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eg, various electronic devices or electronic modules such as a computer and a processor) may be applied to the control unit. Illustratively,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or command generated according to a program or algorithm included therein to a motor, a driving device, a driving unit, a pressing unit, a driving mean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be included in a motor, a driving device, a driving unit, a pressing unit, a driving means, or the like, or a motor, a driving device, a driving part, a pressing part, a driving part, etc. 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eans and the like and may be connected to a motor, a driving device, a driving part, a pressing part, a driving means, etc. by wire or wirelessly.

도 9는 가공장치의 적재부, 피동로울러, 가이드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ading unit, a driven roller, and a guide ring of the processing apparatus.

도 1,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한 가공장치(1)는 이송로울러(10)보다 선단 측에 배치되는 바닥부(171), 상기 바닥부(171)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51)이 권취된 권취로울러(b)의 축공에 삽입되는 축부재(172), 상기 바닥부(171)의 둘레에서 상향 연장된 가이드벽(173)을 포함하는 적재부(17)를 포함할 수 있다.1, 2, and 9, the processing apparatus 1 is a bottom portion 171 disposed on the tip side than the transfer roller 10, and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ottom portion 171. A shaft member 172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winding roller b on which the electric wire 51 is wound, and a loading part 17 including a guide wall 173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art 171 can do.

또한 가공장치는 적재부(17)의 일 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F1)에 연결되는 수평프레임(F2)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부(17)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피동로울러(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상향, 상부 등)은 연직 방향 상에서 상측(상향, 상부 등)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frame (F2) connected to a vertical frame (F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part (17), and includes a driven roller (18) disposed above the loading part (17) can do. The upper side (upward, upper side, etc.) means upper side (upward, upper side, etc.)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권취로울러(b)에 권취된 전선(51)은 풀어져 피동로울러(18)를 지나 상기 이송로울러(10)로 이동될 수 있다.The electric wire 51 wound on the take-up roller (b) may be unwound and move to the transfer roller 10 past the driven roller 18 .

가공장치(1)는 수직프레임(F1)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부(17)와 피동로울러(18)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로울러(b)에서 풀어진 전선(51)이 관통되는 가이드링(19)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F1, is disposed between the loading part 17 and the driven roller 18, and a guide ring through which the wire 51 loose from the winding roller (b) passes through ( 19) may be included.

일반적으로 본 방법 분야에서는 전선(51)이 권취로울러(b)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권출 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본 방법의 가공단계(S10)를 수행하는 가공장치(1)가 상기 가이드벽(173), 피동로울러(18) 및 가이드링(19)을 포함함으로써, 권취로울러(b)에서 풀어져 사용되는 전선(51)이 가공장치(1)가 배치되는 작업 장소에 보다 넓은 면적에 배치되어 꼬임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이송로울러(10) 측으로 전선(51)을 가이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general, in the field of this method, the electric wire 51 is stored in a state wound on the winding roller (b), and it is generally used after being unwound. At this time, since the processing device 1 performing the processing step S10 of the present method includes the guide wall 173, the driven roller 18 and the guide ring 19, the wire used after being unwound from the winding roller (b) (51) is arranged in a larger area in the work place where the processing apparatus 1 is arr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kinking.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 wire 51 can be guided toward the transfer roller 10 .

도 10은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pection device.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조립단계(S20)는 전선(51) 단부에 하우징(53)을 설치하는 단계(S21) 및 다수의 전선(51)을 묶는 단계(S22)를 포함한다.1 and 10 , the assembling step S20 includes installing the housing 53 at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51 ( S21 ) and bundling the plurality of wires 51 ( S22 ).

상기 하우징(53)은 이웃하는 단자(52)를 물리적, 적기적으로 상호 결합시키거나 상기 전선(51) 단부에 연결되는 단자(52)를 별도의 전기장치에 물리적,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종래의 등록특허 10-0299632 참조).The housing 53 is for physically and timely coupling the adjacent terminals 52 to each other or f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upling the terminal 52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51 to a separate electric device, It is commonly used in the relevant field (refer to prior registration patent 10-0299632).

예시적으로 하우징(53)은 측부에 단자(52)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설치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S21) 단계는 상기 관통공에 단자(52)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housing 53 may include an installation hole formed in a side portion to allow the terminal 52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step (S21) may be a step for installing the terminal 52 by inserting the terminal 52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S22) 단계는 케이블 타이와 같은 패스너(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S22) may be performed by a fastener 2 such as a cable tie.

단부에 단자(52)가 연결된 전선(51)을 묶음으로써, 다수의 전선(51)들은 와이어 하네스(5)로 제조될 수 있다.By bundling the wires 51 to which the terminals 52 are connected at the ends, a plurality of wires 51 can be manufactured as a wire harness 5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검사단계(S30)는 검사장치(3)를 이용하여 조립단계(S20)에서 제조된 와이어 하네스(5)에 전류를 가하고 통전을 파악하는 단계이다.1 and 3, the inspection step (S30) is a step of applying a current to the wire harness 5 manufactured in the assembling step (S20) using the inspection device (3) and grasping the energization.

상기 검사장치(3)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류를 가하는 전원부와, 저항을 측정하여 통전을 파악하도록 하는 장치, 상기 와이어 하네스(5)에 단자(52)와 접속되는 또 다른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inspection device 3 is commonly used in the field, and includes a power supply that applies a current, a device that measures resistance to determine energization,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a terminal 52 in the wire harness 5 . will include

상기 검사단계(S30)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5)의 길이를 측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pection step (S30)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measuring the length of the wire harness (5).

도 11은 포장용기에 수용되어 포장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 harness accommodated in a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ed.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포장단계(S40)는 포장용기(4)(예를 들어 박스)에 와이어 하네스(5)를 수용시켜 포장하는 단계이다.1 and 11, the packaging step (S40) is a step of packaging by accommodating the wire harness 5 in the packaging container 4 (for example, a box).

한편, 적재부(17)는 바닥부(171)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제(GS) 및 결로억제제(G)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ading unit 17 may include a waterproofing agent (GS) and a condensation inhibitor (G)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71).

방수제(GS)는 상기 바닥부(171)의 상부에 구비되고 우레탄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제(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부(171)에 방수성을 부가한다.The waterproofing agent GS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171 and may include 10 parts by weight of urethane. The waterproofing agent GS includes urethane to add waterproofness to the bottom portion 171 .

상기 결로억제제(G)는, 아세트산나트륨을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충격발열제(G1),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와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의 계면중축합을 통해 형성된 폴리 우레아(polyurea)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피제(G2), 황 경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외피제(G3),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의 혼합물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이온제(G4), 종횡비가 20 이상이고 탄소섬유 0.4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전도이격제(G5), 철(fe)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가압제(G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ensation inhibitor (G) is an impact exothermic agent (G1) containing 0.2 parts by weight of sodium acetate, tolylene diisocyanate and ethylenediamine 0.1 parts by weight of polyurea formed through interfacial polycondensation An endothelial agent (G2) containing A cationic agent (G4) containing 0.2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polyoxyethylene), a thermal conductive spacer (G5) containing 0.4 parts by weight of carbon fiber with an aspect ratio of 20 or more, and a pressurizing agent (G6) containing 0.3 parts by weight of iron (fe) can do.

도 12를 참조하여, 결로억제제(G)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격발열제(G1)는 아세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용매는 예시적으로 물일 수 있으며, 상기 아세트산나트륨은 상기 용매에 과포화된 상태로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when the dew condensation inhibitor (G)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impact exothermic agent (G1) is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sodium acetate, and the solvent may be exemplarily water, and the sodium acetate is supersaturated in the solvent. may be dissolved in

상기 충격발열제(G1)의 아세트산나트륨은 용매에 과포화 상태로서, 매우 불안정한 상태여서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굳어버리며, 액체 상태일 때 품고 있던 열을 방출 시킬 수 있다. 충격발열제(G1)는 후술하는 가압제(G6)에 의해 충격을 받아 발열할 수 있다.Sodium acetate of the impact exothermic agent (G1) is supersaturated in a solvent and is in a very unstable state, so it hardens easily even with a slight impact, and can release heat contained in a liquid state. The impact heat generating agent (G1) may generate heat by being impacted by a pressurizing agent (G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아세트산나트륨은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충격발열제(G1)에서 아세트산나트륨이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발열 효과가 크지 않으며,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결로억제제(G)의 무게가 증가하여 방수제(GS)에서 아래로 가라 앉아 결로를 억제하는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0.2 parts by weight of sodium acetate is included. When sodium acetate is less than 0.2 parts by weight in the impact exothermic agent (G1), the exothermic effect is not great, and when it exceeds 0.2 parts by weight, the weight of the dew condensation inhibitor (G) increases and the waterproofing agent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of suppressing condensation is reduced by sinking downward in GS).

내피제(G2)는 상기 충격발열제(G1)를 둘러싸는 것으로, 상술하였듯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와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의 계면중축합을 통해 형성된 폴리 우레아(polyurea)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dothelial agent G2 surrounds the impact heating agent G1, and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polyurea formed through interfacial polycondensation of tolylene diisocyanate and ethylenediamine.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와 에틸렌디아민은 교반될 경우 계면중축합되어 쉘(내피)을 형성하되, 미반응 아민(amine)의 존재와 산소와 질소 원자의 혼합 과정 또는 방수제(GS)에서 다른 분자에 존재하는 양으로 하전 된 수소 등을 쌍극자 상호 작용을 통해 끌어당김으로써 양전하를 형성할 수 있다.Tolylene diisocyanay and ethylenediamine are interfacially polycondensed when stirred to form a shell (endodermis), but the presence of unreacted amine and the mixing process of oxygen and nitrogen atoms or in other molecules in the waterproofing agent (GS) A positive charge can be formed by attracting positively charged hydrogen or the like through dipole interactions.

예시적으로 상기 충격발열제(G1)는 고체 상태에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 및 에틸렌디아민과 교반된 후 가열되어 액체 상태로 상기 내피제(G2) 내에 수용될 수 있는데, 충격발열제(G1)가 상기 내피제(G2) 내부에 존재하는 공정은 상기한 방식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impact heating agent (G1) may be accommodated in the endothelial agent (G2) in a liquid state by being heated after being stirred with tolylene diisocyanay and ethylenediamine in a solid state, and the impact heating agent (G1) is the endothelium The process existing inside the second (G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ethod and may vary.

상기 내피제(G2)의 폴리 우레아(polyurea)는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 우레아(polyurea)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충격발열제(G1)를 충분한 두께로 충분히 감싸지 못해 액체 상태의 충격발열제(G1)가 소실될 우려가 있으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발열제(G1)가 발생시키는 열이 결로억제제(G) 외부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endothelial agent (G2) preferably contains 0.1 parts by weight of polyurea, but when the amount of polyurea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the impact heating agent (G1) containing 0.2 parts by weight cannot be sufficiently wrapped with a sufficient thickness. There is a risk that the impact heating agent (G1) in a liquid state may be lost, and when it exceeds 0.1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impact heating agent (G1) is not easily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condensation inhibitor (G).

외피제(G3)는 도 12와 같이 상기 내피제(G2)를 둘러싸며 내피제(G2)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황 경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0.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외피제(G3)는 내피제(G2)와 후술하는 열전도이격제(G5)를 둘러싸며 상기한 방수제(GS)에서 분산 배치될 수 있다.The envelope (G3) surrounds the endothelium (G2) as shown in FIG. 12 and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endothelium (G2), as described above, sulfur-cured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0.3 It may contain parts by weight. The envelope (G3) surrounds the endothelium (G2) and the heat conduction spacer (G5)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dispersed in the waterproofing agent (GS).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혼성 중합시에 비공액의 디엔을 더한 것으로, 방수성과 함께 내오존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EPDM) is obtained by adding a non-conjugated diene during the hybrid polymerization of ethylene and propylene, and has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ozone resistance.

예시적으로 EPDM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처리된 소성 카올린 비닐 실란, 스테아르산, 산화아연, 트리메틸퀴놀린, 파라핀계 가소제, 처리 보조제, 및 전도성 카본 블랙을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EPDM may include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treated calcined kaolin vinyl silane, stearic acid, zinc oxide, trimethylquinoline, a paraffinic plasticizer, a processing aid, and a conductive carbon black.

EPDM은 과산화물이나 황 가황이 가능한 혼성 중합체인데, 황이 첨가된 EPDM이 과산화물이 첨가된 EPDM보다 이 5℃ 이하의 저온에서 수축 속도가 빨라 채용되었다.EPDM is a hybrid polymer capable of peroxide or sulfur vulcanization, and EPDM with added sulfur has a faster shrinkage rate at a low temperature of 5° C. or less than EPDM with added peroxide.

즉, 황 경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는 상기 EPDM에 황이 첨가된 것으로, 황 이외에 디티오모르폴린, 테트라메틸티우람 이황화물, 디부틸디티오탄산아연, 및 에틸렌 티오우레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sulfur-cured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is sulfur-added to the EPDM, and may further include dithiomorpholine, tetramethylthiuram disulfide, dibutyldithiocarbonate zinc, and ethylene thiourea in addition to sulfur.

외피제(G3)에서 황 경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는 0.3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3 중량부 미만이 사용되는 경우 후술하는 내피제(G2)와 후술하는 열전도이격제를 충분한 두께로 충분히 감싸지 못하며, 0.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결로억제제(G)의 무게가 증가하여 방수제(GS)에서 가라앉기 때문에 결로억제제(G)의 기능상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0.3 parts by weight of the sulfur-cured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in the shelling agent (G3) is included, but when less than 0.3 parts by weight is used, the coating agent (G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eat conduction spacer to be described later are not sufficiently wrapped with a sufficient thickness. If it exceeds 0.3 parts by weight, the weight of the anti-condensation agent (G) increases and sinks in the waterproofing agent (GS),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e function of the anti-condensation agent (G).

양이온제(G4)는 외피제(G3)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을 포함하여 외피제(G3)의 양극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The cationic agent (G4) is provided on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shelling agent (G3), respectively, and as described above, magnetite, polyacrylic acid and polyoxyethylene are included. Thus, it was used to add the polarity of the envelope (G3).

마그네타이트는 외부 자기장을 받았을 때 자성을 띠다가 외부 자기장을 제거하면 잔류된 자기가 사라지면서 잔류자기로 인한 부작용이 없어 사용되었다. 마그네타이트는 상기한 외피제(G3)의 외면 및 내면에 각각 박혀 구비될 수 있다.Magnetite is magnetic when it receives an external magnetic field, but when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s removed, the residual magnetism disappears and there is no side effect due to residual magnetism. The magnetite may be embedded in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envelope G3, respectively.

폴리메타크릴산은 상기 마그네타이트의 표면에 코팅되는 것으로, 다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여 마그네타이트와 다중 결합점에서 배위결합을 형성하므로 코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Polymethacrylic acid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agnetite, and contains a plurality of carboxyl groups to form a coordination bond with the magnetite at multiple bonding poi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ating stability.

폴리옥시에틸렌은 폴리메타크릴산의 표면에서 마그네타이트와 배위결합을 형성하지 않은 카복실기와 반응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통해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어 상기 마그네타이트에 양전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양이온제(G4)의 표면 양전하는 +30 mV 이상의 표면 제타전위를 가질 수 있다.Polyoxyethylene may react with a carboxyl group that does not form a coordination bond with magnetite on the surface of polymethacrylic acid to form a stable bond through an amide bond to impart positive charge properties to the magnetite. The positive surface charge of the cationic agent (G4) may have a surface zeta potential of +30 mV or more.

양이온제(G4)에서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의 혼합물은 0.2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양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2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결로억제제(G)에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결로억제제(G)가 방수제(GS)에서 가라앉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tionic agent (G4), 0.2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magnetite, polyacrylic acid, and polyoxyethylene is preferably used. If less than 0.2 parts by weight, the positive charge is not sufficient, and 0.2 When the weight part is excee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of the anti-condensation agent (G)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anti-condensation agent (G) sinks in the waterproofing agent (GS).

열전도이격제(G5)는 내피제(G2)와 외피제(G3)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피제(G2)와 외피제(G3)를 분리시키는 것으로, 시너지 열전달 효과를 갖기 위해 종회비가 20인 이상인 탄소섬유가 사용되었다. 상기한 탄소섬유는 열전도도가 약 200 W/mK일 수 있으며, 상기한 충격발열제(G1)에서 발생시키는 열을 외피제(G3)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heat conduction spacer (G5) is provided between the endothelial material (G2) and the sheathing material (G3) to separate the endothelial material (G2) and the sheathing material (G3). Carbon fiber was used. The carbon fiber may have a thermal conductivity of about 200 W/mK, and may serve to transfer the heat generated by the impact heat generating agent (G1) to the shell material (G3) side.

열전도이격제(G5)는 상기 탄소섬유가 0.4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4 중량부 미만인 경우 열전도가 충분하지 않으며, 0.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외피제(G3)를 더 많이 사용해야 하므로 결로억제제(G)의 무게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The heat conduction spacer (G5) preferably contains 0.4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 fiber. If it is less than 0.4 parts by weight, heat conduction is not sufficient. There is a problem in increasing the weight of G).

가압제(G6)는 철을 포함하는데, 외피제(G3)의 내면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외피제(G3)의 내면에서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될 수 있다. The pressurizing agent (G6) includes iron,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G3) to protrude inward,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t interval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G3).

가압제(G6)는 상기한 외피제(G3)가 수축함에 따라 충격발열제(G1)를 가압하여 충격발열제(G1)에 충격을 가하는 것으로, 상기 철은 0.3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3 중량부 미만이 포함되는 경우 충격발열제(G1)를 충분한 충격을 가할 수 없고, 0.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결로억제제(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The pressurizing agent (G6) applies an impact to the impact heat agent (G1) by pressurizing the impact heat agent (G1) as the shell material (G3) contracts, and the iron preferably contains 0.3 parts by weight, 0.3 parts by weight When less than part is included, a sufficient impact cannot be applied to the impact heating agent (G1), and when it exceeds 0.3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of the dew condensation inhibitor (G) is excessively increased.

도 12의 [A]는 5℃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외피제(G3)가 수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외피제(G3)와 내피제(G2)는 열전도이격제(G5)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상기한 가압제의 5℃를 초과하는 온도와 같이 외피제(G3)가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길이가 외피제(G3)와 내피제(G2)의 이격 거리보다 짧아, 외피제(G3)가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압제(G6)가 충격발열제(G1)를 가압하지 못한다.[A] of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envelope (G3) is not contracted at a temperature exceeding 5°C. The sheathing agent (G3) and the endothelial material (G2) are spaced apart by a heat conductive spacer (G5), and their length in a state in which the sheathing material (G3) is not contracted, such as at a temperature exceeding 5°C of the above-described pressurizing agen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tentative sheathing agent G3 and the endothelial material G2 is shorter, the pressurizing agent G6 cannot pressurize the impact heating agent G1 in a state in which the sheathing agent G3 is not contracted.

상술한 바와 같이, 외피제(G3)와 내피제(G2)는 양전하를 띄므로, 내피제(G2)와 외피제(G3)는 척력이 발생하여 외피제(G3)가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피제(G3)의 내면에 구비되는 가압제가 내피제(G2)를 가압하는 것을 억제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nvelope (G3) and the endothelial material (G2) have a positive charge, the endothelium (G2) and the envelope material (G3) generate a repulsive force, so that the envelope (G3) is not contracted. The pressurizing agent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gent (G3) suppresses the pressure of the endothelial agent (G2).

뿐만 아니라 결로억제제(G)의 단위체(GU)가 다수일 경우,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양전하를 띄는 외피제(G3)간 척력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하기 때문에 방수제(GS)에서 결로억제제(G)의 분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units (GU) of the anti-condensation agent (G), the anti-condensation agent (G) ) can be improved.

도 12의 [B]는 5℃ 이하의 온도에서 외피제(G3)가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결로억제제(G)와 방수제(GS)가 도포된 상태에서, 방수제(GS)의 온도가 5℃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외피제(G3)는 수축하게 되어, 외피제(G3)와 내피제(G2)의 이격거리는 감소하게 되고, 외피제(G3)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압제(G6)는 탄소섬유 간 거리 또는 탄소섬유의 공극 사이를 침투하여 상기 내피제(G2)를 가압함으로써, 내피제(G2) 내측에 구비되는 충격발열제(G1)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B] of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velope (G3) is contracted at a temperature of 5°C or less.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proofing agent (GS) drops to 5 ° C. or les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densation inhibitor (G) and the waterproofing agent (GS) are applied, the shelling agent (G3) contracts as described above, and the shelling agent (G3) )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othelial material (G2) is reduced, and the pressurizing agent (G6)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eathing material (G3) penetr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arbon fibers or between the pores of the carbon fibers to form the endothelial material (G2) By pressurizing, it is possible to apply an impact to the impact heating agent (G1) provided inside the endothelial agent (G2).

충격발열제(G1)는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한 열은 열전도이격제(G5)를 통해 외피제(G3)로 전달되고, 외피제(G3)를 통해 방수제(GS)의 온도가 증대되어 방수제(GS)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impact heat agent (G1) generates heat as an impact is applied, and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shell agent (G3) through the heat conduction spacer (G5), and the waterproofing agent (GS) through the shell agent (G3)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formation of dew on the surface of the waterproofing agent (GS)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이를 통해 대기 중의 수증기가 액화 되는 것 자체를 억제하여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겨울과 같이 추운 날씨에 바닥부(171)의 표면에 맺힌 이슬이 어는 것을 억제(결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iquefaction of water vapor in the air itself to improve the waterproofness, and to suppress the freezing of dew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part 171 in cold weather such as winter (condensation suppression).

추후에 외피제(G3)는 충격발열제(G1) 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 등에 의해 다시 충격발열제(G1)가 액화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에서 외피제(G3)에 열을 가하는 것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nvelope material G3 may be restored to a reusable state by liquefying the impact heating agent G1 again by the impact heating agent G1 or heat applied from the outside. Various known techniques may be used for externally applying heat to the envelope (G3).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가공장치: 1 이송로울러: 10
절단부: 11 선회부: 12
제1단자공급부: 13a 제1압착부: 13b
파지부: 14 제2단자공급부: 15a
제2압착부: 15b 배출부: 16
적재부: 17 바닥부: 171
축부재: 172 가이드벽: 173
피동로울러: 18 가이드링: 19
패스너: 2 검사장치: 3
포장용기: 4 수직프레임: F1
수평프레임: F2
와이어 하네스: 5 전선: 51
단자: 52 하우징: 53
연결부재: a 권취로울러: b
Processing equipment: 1 Feed rollers: 10
Cut: 11 Turn: 12
First terminal supply unit: 13a First crimping unit: 13b
Gripping part: 14 Second terminal supply part: 15a
Second crimping unit: 15b Discharging unit: 16
Load: 17 Bottom: 171
Shaft member: 172 Guide wall: 173
Passive roller: 18 Guide ring: 19
Fasteners: 2 Inspection devices: 3
Packaging container: 4 Vertical frame: F1
Horizontal frame: F2
Wire harness: 5 Wires: 51
Terminal: 52 Housing: 53
Connection member: a Winding roller: b

Claims (4)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전선과 단자를 압착하는 가공단계(S10);
상기 전선 단부에 하우징을 설치하는 단계(S21) 및 다수의 전선을 묶는 단계(S22)를 포함하는 조립단계(S20);
검사장치를 통해 상기 조립단계(S20)에서 제조된 와이어 하네스에 전류를 가하고 통전을 파악하는 검사단계(S30); 및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40);
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단계(S10)는,
상기 가공장치의 이송로울러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가공장치의 절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1),
상기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의 피복체를 벗기는 단계(S12),
상기 가공장치의 선회부를 통해 상기 이송로울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로울러를 구동시켜 상기 전선을 단자를 공급하는 상기 가공장치의 제1단자공급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3),
상기 가공장치의 제1압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의 단부와 단자를 압착하는 단계(S14),
상기 선회부를 통해 상기 이송로울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로울러를 구동시켜 상기 전선을 상기 절단부보다 후단 측에 배치된 가공장치의 파지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15),
상기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을 절단하는 단계(S16),
상기 파지부를 이용하여 절단된 전선을 단자를 공급하는 상기 가공장치의 제2단자공급부로 이동시키는 단계(S17),
상기 가공장치의 제2압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의 단부와 단자를 압착하는 단계(S18), 및
상기 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단자가 압착된 전선을 상기 가공장치의 배출부로 배출하는 단계(S19)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장치는,
상기 이송로울러보다 선단 측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이 권취된 권취로울러의 축공에 삽입되는 축부재, 및 상기 바닥부 둘레에서 상향 연장된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피동로울러,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부와 상기 피동로울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로울러에서 풀어진 전선이 관통되는 가이드링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바닥부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제(GS) 및 결로억제제(G)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제(GS)는 우레탄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로억제제(G)는,
아세트산 나트륨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충격발열제(G1);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와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의 계면중축합을 통해 형성된 폴리 우레아(polyure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발열제를 감싸는 내피제(G2);
황 경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0.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제(G2)를 둘러싸고, 5℃ 이하의 온도에서 수축하고, 상기 방수제(GS)에 분산 배치되는 외피제(G3);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의 혼합물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제(G3)의 외면 및 내면 각각에 구비되는 양이온제(G4);
종횡비가 20 이상인 탄소섬유 0.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제(G2)와 상기 외피제(G3)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도이격제(G5);
철(fe) 0.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제(G3)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고, 그 길이가 상기 내피제(G2)와 외피제(G3)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가압제(G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제조방법.
A processing step of crimping the wire and the terminal using a processing device (S10);
an assembly step (S20)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housing at the end of the wire (S21) and bundling a plurality of wires (S22);
an inspection step (S30) of applying a current to the wire harness manufactured in the assembling step (S20) through an inspection device and grasping energization; and
a packaging step of packaging the wire harness (S40);
including,
The processing step (S10) is,
Moving the electric wi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the transfer roller of the processing device and moving it toward the cutting part of the processing device (S11);
Peeling off the cover of the electric wire by using the cutting portion (S12),
Moving the transfer roller through the turning par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driving the transfer roller to move the electric wire to the first terminal supply sid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supplying a terminal (S13);
Compress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crimping portion of the processing device (S14);
Moving the transfer roller through the turning part, and driving the transfer roller to transfer the electric wire to the gripper side of the processing device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than the cutting part (S15),
cutting the electric wire using the cutting part (S16);
Moving the cut wire using the gripper to the second terminal supply unit of the processing device for supplying the terminal (S17);
Compress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terminal using the second crimping part of the processing device (S18), and
and discharging the wire on which the terminal is pressed by using the gripping part to the discharge par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S19),
The processing device is
A bottom portion disposed on the tip side of the transfer roller, a shaft member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take-up roller on which the electric wire is wound, and a guide wall extending upwardly around the bottom portion. loader,
A passive roller connected to a vertical fram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and disposed above the loading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loading part and the driven roller, and includes a guide ring through which the wire released from the winding roller passes,
The loading part includes a waterproofing agent (GS) and a condensation inhibitor (G)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The waterproofing agent (GS) includes 10 parts by weight of urethane,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art,
The anti-condensation agent (G),
an impact exothermic agent (G1) comprising 0.2 parts by weight of sodium acetate;
an endothelial agent (G2) containing 0.1 parts by weight of polyurea formed through interfacial polycondensation of tolylene diisocyanate and ethylenediamine, and enclosing the impact heat generating agent;
Envelope (G3) containing 0.3 parts by weight of sulfur-cured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surrounding the endothelial agent (G2), shrinking at a temperature of 5°C or less, and dispersed in the waterproofing agent (GS) );
a cationic agent (G4) comprising 0.2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magnetite, polyacrylic acid, and polyoxyethylene, and provided on each of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envelope (G3);
a thermal conductive spacer (G5) comprising 0.4 parts by weight of carbon fibers having an aspect ratio of 20 or more, and provided between the endothelial material (G2) and the outer covering material (G3);
A pressing agent (G6) containing 0.3 parts by weight of iron (fe), provided in a plurality at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eathing agent (G3), and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heathing agent (G2) and the sheathing agent (G3) );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10253A 2021-08-20 2021-08-20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KR1023690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253A KR102369027B1 (en) 2021-08-20 2021-08-20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253A KR102369027B1 (en) 2021-08-20 2021-08-20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027B1 true KR102369027B1 (en) 2022-03-03

Family

ID=8081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253A KR102369027B1 (en) 2021-08-20 2021-08-20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0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65B1 (en) * 2010-05-28 2011-09-05 (주)티에이치엔 Wire supplying apparatus
KR20140108714A (en) * 2012-02-09 2014-09-1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ower line shif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65B1 (en) * 2010-05-28 2011-09-05 (주)티에이치엔 Wire supplying apparatus
KR20140108714A (en) * 2012-02-09 2014-09-1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ower line shif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0844B2 (en) Electric wire temporary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wire temporary connection method
CN201458639U (en) Capstan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battery
US7604507B1 (en) Battery interface assembly
CN209271749U (en) A kind of cable spray robot that cable is visual
KR102369027B1 (en)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US5456791A (en) Automatic waterproofing apparatus for joint of electric wires
US20190252656A1 (en) Motor vehicle battery module, motor vehicle having an electric drive motor and a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tor vehicle battery module and a motor vehicle
US6302980B1 (en) Method for forming a water-tight secti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multi-conductor wiring system
US10257888B2 (en) Electric heating pad for water heater
US9865375B2 (en) Shielded electric wire and wire harness
US8973235B2 (en) Pulling head work station
KR101815683B1 (en) Bindless Locking Apparatus of Insulator for Service Line
CN115593253A (en) Cable processing device
CN211743230U (en) Bottom protection seat for lead-acid storage battery
CN208174176U (en) Rubber automobile harness pipe
JP4001791B2 (en) Water-stopping agent application jig and wire harness waterproofing method
JP5252303B2 (en) Cabtire cable repair method and repair device
CN113113829B (en) Method for mounting photovoltaic panel bus wires
CN212887687U (en) Cable installation device for industrial robot
CN214241369U (en) Wire harness sheath winding device
CN213425273U (en) Stable form industry pencil with anticreep function
CN218215996U (en) Wire harness
CN218866741U (en) Adjustable rubber cable
CN218415045U (en) Power cable intermediate head conductor and friction welding device
CN220401072U (en) Multifunctional sheath penetra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