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004B1 -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004B1
KR102369004B1 KR1020210059469A KR20210059469A KR102369004B1 KR 102369004 B1 KR102369004 B1 KR 102369004B1 KR 1020210059469 A KR1020210059469 A KR 1020210059469A KR 20210059469 A KR20210059469 A KR 20210059469A KR 102369004 B1 KR102369004 B1 KR 10236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ontitis
mmp
saliva
risk
screening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덕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04B1/ko
Priority to US17/735,532 priority patent/US2022035732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3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 C12Q1/37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involving peptidase or protein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4Metalloendopeptidases (3.4.24)
    • C12Y304/24035Gelatinase B (3.4.24.35), i.e. matrix metalloprotease 9 or MMP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G01N2333/9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 G01N2333/964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 G01N2333/96402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non-mammals
    • G01N2333/9640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non-mammals in general
    • G01N2333/96408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non-mammals in general with EC number
    • G01N2333/96419Metalloendopeptidases (3.4.2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G01N2333/9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 G01N2333/964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 G01N2333/9642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 G01N2333/96427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 G01N2333/9643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with EC number
    • G01N2333/96486Metalloendopeptidases (3.4.24)
    • G01N2333/96491Metalloendopeptidases (3.4.24) with definite EC number
    • G01N2333/96494Matrix metalloproteases, e. g. 3.4.24.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8Dental and oral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타액 중의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로 치주염 위험을 선별하는 최적 농도 기준 범위를 포함하는 치주염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상체로부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채취한 타액을 이용하므로 간편하게 치주염 위험의 선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타액 중의 극소량의 MMP-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여 치주염 위험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병원 및 가정에서 보다 손쉽게 치주염 위험 및 치주염 판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Salivary MMP-9 amount optimal range for periodontitis risk screening test, periodontitis risk screening test method using this,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for periodontitis screening test}
본 발명은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요 구강 질환 중 하나인 치주염은 치주 질환 염증과 면역 반응 사이의 균형이 무너져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치주염이 악화되면 치아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치주염은 단백질, 면역 글로불린 및 염증 매개체의 변화를 통한 전신 염증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치주 질환의 진단은 치주 깊이(PD, probing depth) 및 임상적 부착 수준(CAL, clinical attachment level)과 같은 여러 임상 지표를 바탕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단방법으로는 발병 전에 치주염 위험을 감지할 수 없다. 특히, 치주염의 조기발견은 치주조직의 비가역적 파괴를 방지하고, 치아를 지지하는 치조골 수준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세포외기질 금속함유 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생리학적 발달과 조직 재형성뿐만 아니라 병리학적 조직파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치주염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각 MMP에는 콜라게나제(collagenase), 젤라티나제(gelatinase), 스트로멜리신(stromelysin), 막 유형 등과 같이 종류를 정의하는 특정 표적 기질이 있다. MMP-9은 주요한 젤라티나제-분해효소 중 하나이며, 특히 치은염과 성인 치주염 발생 및 진행에서 치은 및 치조골 조직의 파괴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Kim et al. 2014).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7025378호에서는 구강 내 MMP-8 활성화 생성물을 이용하는 치주질환 진단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타액 MMP-9를 이용하는 방법은 전혀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특히 치주염의 경우, 판별력이 60% 미만이면 판별오류가 심하여 거짓으로 위험의 양성과 음성을 판정하므로 기술적 측면에서 실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민감도가 75% 미만이면 위험의 양성에 대한 판별력이 낮아서 기술적으로 위험평가의 오류가 커서 실용성이 크게 낮아진다.
이에, 판별력 및 민감도의 모든 측면에서, 치주염 위험을 유효한 성능으로 판정할 수 있는 측정 수단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70253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타액 내 MMP-9 단백질을 이용하여 치주염 발병 위험 및 진행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하고 선별할 수 있도록,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의 범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의 범위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타액 중의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로 치주염 위험을 선별하는 최적 농도 범위에 관한, 상기 범위는 16.75 내지 44.00 ng/ml인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액 중의 MMP-9 단백질을 이용한 치주염 위험 및 치주염 선별검사 정보제공방법은, 대상체로부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채취한 타액을 이용하므로 간편하게 치주염 선별검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타액 중 극소량의 MMP-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여 치주염 위험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병원 및 가정에서도 보다 손쉽게 치주염을 판정할 수 있다.
도 1은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 농도에서의 수신기 조작 특성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타액 중의 MMP-9 단백질을 이용한 치주염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타액 중 MMP-9 단백질을 이용한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용도, 키트, 치주염 진단 또는 선별용 조성물 및 이의 일체의 실시 태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타액 중의 MMP-9 단백질을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타액 중 MMP-9 단백질을 이용한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용도, 키트, 치주염 진단 또는 선별용 조성물은, 하기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 농도 범위>의 항목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적 내용이 모두 적용되며, 그 이외의 내용은 공지의 내용이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 단백질은 생리적 전개 및 조직 재구성뿐 아니라, 병리적 조직 붕괴에도 역할을 하는 분해효소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MMP-9로 널리 지칭되는바 이와 같이 기재한다.
MMP-9 단백질의 서열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화학적으로 합성(Merrifleld, J. Amer. chem. Soc. 85:2149-2156, 1963)하거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하는 경우,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폴리펩타이드 합성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10-2017-0098338호에 정의된 단백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민감도'는 치주염을 보유한 환자 중 양성으로 판단된 백분율(%)을 의미하고, '특이도'는 치주염을 보유하지 않은 치주 건강자 중 음성으로 판단된 백분율(%)을 의미하며, '판별력'은 상기 민감도와 특이도를 합한 평균 값의 평균 백분율(%)을 의미한다.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본 발명은 치주염 발병 및 진행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하고 선별 및 평가할 수 있는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 농도 범위를 대규모 사람 대상 실험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치주 질환 염증과 면역 반응 사이의 균형이 깨져서 치주염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대상체의 타액 내 MMP-9 단백질에 대한 항원-항체 결합반응을 통해 평가하여 치주염 발병 및 진행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하고 선별 및 평가할 수 있는 타액 내 적정 농도의 범위를, 본원의 표 1 및 도 1과 같이, 대규모 사람 대상 실험을 통하여 상기 적정 기준치의 MMP-9 단백질 농도 범위를 16.75 내지 44.00 ng/ml으로 제공하여, 치주염의 위험 예측, 선별 및 예후 평가 등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치주염 위험을 판정하기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특정 기준농도에서의 민감도(치주염을 보유한 환자 중 양성으로 판단된 백분율) 및 특이도(치주염을 보유하지 않은 치주 건강자 중 음성으로 판단된 백분율)로 평가한 판별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치주염에 대한 민감도가 낮을 경우 치주염을 보유한 환자임에도 정상으로 판정되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치주염의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치주염에 대한 민감도는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일 필요가 있다. 민감도가 75% 미만인 경우, 치주염 위험이 높은 대상을 양성으로 판정하는 정확도가 매우 떨어져 실용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Blicher B et al. (Validation of self-reported periodonta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J Dent Res 84(10): 881-890, 2005)에 의하면, 치주질환 진단의 타당도 판정기준으로 민감도와 특이도의 합이 120% 이상일 경우, 즉 종합적 판별력이 60% 이상일 경우 높은 타당도로 평가하고 있다. 판별력이 60% 미만인 경우, 치주염 위험에 대한 잘못된 양성 또는 음성을 판정하는 판정오류가 심하여 기술적 측면에서 실용화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치주염 위험과 발병 및 진행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하고 선별 및 평가할 수 있는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를 확정하기 위하여, 한국인 남녀 710명으로부터 채취한 타액 중의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에 따른 치주염 진단력을 ROC곡선을 활용하여 민감도가 75% 이상이고, 판별력이 60% 이상으로 되는 MMP-9 단백질 농도의 범위를 확인하였고,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를 16.75 내지 44.00 ng/ml로 확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16.75 내지 44.0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75% 이상, 판별력 6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민감도 75 내지 93%, 판별력 60 내지 64% 일 수 있다.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본 발명의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타액 중의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가 기준치(cut-off value) 이상이면 치주염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16.75 내지 44.0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75% 이상, 판별력 6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민감도 75 내지 93%, 판별력 60 내지 64%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18.0 내지 44.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75% 이상, 판별력 6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28.0 내지 41.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77% 이상, 판별력 6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28.0 내지 37.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80% 이상, 판별력 6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주염 선별검사방법은, 타액 중 MMP-9 단백질 농도만을 측정하여 치주염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외에 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MMP-8, MMP-13, IL-6 및 IL-8 등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만을 측정하여 치주염 여부를 진단하는 경우,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치주염을 선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액은 대상체로부터 비침습적인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으로, 대상체의 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당 분야에 공지된 면역학적 방법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예컨대 효소 면역흡착 분석법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사선 면역측정법 (radioimmunoassay; RIA), 샌드위치 면역 측정법(sandwich ELISA),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상의 웨스턴 블럿, 면역 점 블럿 분석법 (Immuno dot blotting assay), 면역형광측정법 (Immuno-fluorence Assay, IFA), 면역발광측정법(Immunochemiluminescence Assay),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 또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측정법(Immunochromatography, Rapid)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치주염 진단을 위해 침습적 방법으로 치은열구액(gingival crevicular fluid)을 채취하여 치주염을 진단하였기 때문에 치주염 진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치주염의 조기 발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비침습적 방법으로 채취한 타액을 이용하는 치주염 선별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액은 숙련된 치과 전문가 없이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쉽게 채취할 수 있으므로, 병원 및 가정에서 보다 손쉽게 치주염을 선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본 발명의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타액으로부터 MMP-9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가 기준치(cut-off value) 이상이면 치주염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16.75 내지 44.0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75% 이상, 판별력 6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민감도 75 내지 93%, 판별력 60 내지 64%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18.0 내지 44.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75% 이상, 판별력 6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28.0 내지 41.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77% 이상, 판별력 6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치는 28.0 내지 37.0 ng/ml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민감도 80% 이상, 판별력 6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주염 위험 자가 선별검사용 정보제공방법은, 타액 중 MMP-9 단백질 적정농도 범위를 사용하여 치주염 위험 자가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타액 중의 MMP-9 단백질의 지나친 고농도나 저농도를 사용하지 않으며, 기타 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MMP-8, MMP-13, IL-6 및 IL-8 등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적정농도 범위만을 사용하여 치주염 위험을 선별하는 경우,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치주염 선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액은 대상체로부터 비침습적인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으로, 대상체의 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당 분야에 공지된 면역학적 방법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예컨대 효소 면역흡착 분석법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사선 면역측정법 (radioimmunoassay; RIA), 샌드위치 면역 측정법(sandwich ELISA),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상의 웨스턴 블럿, 면역 점 블럿 분석법 (Immuno dot blotting assay), 면역형광측정법 (Immuno-fluorence Assay, IFA), 면역발광측정법(Immunochemiluminescence Assay),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 또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측정법(Immunochromatography, Rapid)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실험 설계 및 윤리적 고려
00 대학교 치과 병원은 본 연구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검토하고 승인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 서면 동의서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대중을 대상으로 광고를 통해 모집된 자발적인 참가자들로 구성된 횡단적 단면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다. 본 연구는 진단 정확도 연구보고 표준(Standards for Reporting of Diagnostic Accuracy Studies, STARD) 지침을 따랐다.
2. 참가자 모집
본 연구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 함, 2) 지난 3개월 동안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음, 3) 임신하지 않음, 4)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충분한 타액을 제공함.
이를 통해 22-84 세의 710 명(치주염 음성 188명, 치주염 양성 522명; 남성 307명, 여성 403명)이 최종 분석을 위해 모집되었다.
3. 치주염 평가
치주염은 수정된 새로운 국제 치주분류(NICP)에 따라 분류되었다 (Tonetti et al., 2018). NICP의 II-IV기를 치주염으로 분류하였다: 3mm 이상의 ABL, 최대 치주 깊이(probing depth, PD) 4mm 이상, 방사선학적 골손실 15% 이상.
치주염의 결정적인 척도인 임상적 부착 수준(clinical attachment level, CAL)을 이용하여 치아의 CEJ(Cemento Enamel Junction)부터 치아의 가장 깊은 지점까지 남은 치아의 근심 및 원심 치주낭(mesial and distal pocket)을 측정하여 평가하고 기록했다. 제3 어금니를 제외한 모든 자연치의 근심부와 원심부를 측정하였다. 참가자들은 II-IV기 치주염을 가진 참가자(치주염 양성)와, 치주염이 없는 참가자 또는 I기 치주염인 참가자(치주염 음성)로 분류되었다.
4. 타액 채취
샘플링 프로토콜에 대해 참가자에게 통지한 후 각 참가자로부터 자극되지 않은 전체 타액, 즉, 침을 채취하였다. 오전 8~12시에 타액을 채취하였고, 타액 채취 1 시간 전에 참가자에게 음식을 먹거나 마시거나 양치하지 말라고 지시하였으며, 채취한 타액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50ml 원추형 튜브에서 10 분 동안 수동적으로 침을 흘리거나(passive drool) 또는 침을 뱉는(spitting) 방법을 사용하여 타액을 채취하였으며, 타액 분비율을 기록하였다.
타액이 담긴 바이알을 4 ℃에서 15 분 동안 2600g에서 원심 분리한 다음, 고압멸균된 1.5ml 에펜도르프 튜브에 상청액 1ml을 분취(aliquot)하였다. 이후 분취된 바이알을 추가 분석을 위해 -80 ℃에 보관하였고, 필요한 침 샘플을 분석에 사용하기 위해 해동시켰다.
5. 타액 중 MMP-9 단백질 농도 측정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는 ELISA(sens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 측정을 위해 Quantikine® human MMP-9 immunoassay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kit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6. 타액 MMP-9 적정농도 범위의 결정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적절한 타액 MMP-9 적정농도 범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측정한 참가자들의 타액 중 MMP-9 단백질 농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MMP-9 단백질 농도를 기준값으로 설정한 후, 각각의 경우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및 판별력을 산정하고,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Figure 112021053280151-pat00001
MMP-9 농도
(ng/ml)
민감도(%) 특이도(%) 판별력(%) 평가 결과
1.03 99.8 5.3 52.6 ×
3.92 98.3 12.2 55.2 ×
16.75 92.9 27.1 60.0
17.55 92.1 30.9 61.5
18.48 91.4 33.0 62.2
19.50 90.6 34.0 62.3
20.15 90.0 34.6 62.3
20.98 89.5 34.6 62.1
22.45 88.7 36.2 62.5
23.08 88.1 36.2 62.1
25.01 86.8 37.2 62.0
25.84 86.4 37.8 62.1
27.89 85.1 39.4 62.3
28.63 85.1 41.0 63.0
29.74 84.7 42.6 63.6
30.85 84.1 42.6 63.3
31.55 83.3 43.6 63.5
32.15 82.8 44.1 63.5
33.41 82.2 44.7 63.4
34.16 81.6 44.7 63.1
35.23 80.5 46.8 63.6
36.04 80.1 46.8 63.4
37.32 79.7 47.3 63.5
38.11 79.1 47.3 63.2
40.40 78.0 48.4 63.2
40.99 77.6 48.4 63.0
41.96 76.6 48.4 62.5
42.81 75.5 48.9 62.2
43.98 75.1 50.0 62.5
60.26 64.2 58.0 61.1 ×
69.52 62.1 61.7 61.9 ×
80.00 59.6 64.4 62.0 ×
100.05 55.0 70.2 62.6 ×
200.14 33.9 90.4 62.2 ×
302.49 27.0 95.2 61.1 ×
400.08 21.1 96.3 58.7 ×
606.24 14.2 98.9 56.6 ×
806.38 11.3 98.9 55.1 ×
1002.40 10.2 98.9 54.5 ×
1205.96 7.7 98.9 53.3 ×
1525.62 5.7 100.0 52.9 ×
1989.40 3.8 100.0 51.9 ×
2642.44 0.0 100.0 50.0 ×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MMP-9 단백질 농도 16.75 내지 44.00 ng/ml의 기준값에서 민감도는 75% 이상, 판별력은 60% 이상이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고농도나 저농도에서는 본원이 목적하는 우수한 민감도 및 판별력을 얻을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의 기준값이 16.75 ng/ml 미만일 경우 판별력은 최대 55.2%로, 16.75 내지 44.00 ng/ml의 기준값에서의 판별력 대비 약 5% 가량 저하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판별력 최소값은 50%이고, 최대값은 63.6%로, 그 편차가 약 13% 정도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판별력 5% 차이가 본 분야에서 매우 큰 효과상 차이에 해당하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의 기준값이 44.00 ng/ml를 초과하는 경우 민감도가 최대 64.2%로, 16.75 내지 44.00 ng/ml의 기준값에서의 민감도 대비 10% 이상 크게 저하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의 기준값을 16.75 내지 44.00 ng/ml으로 결정하였다. 해당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치주염 위험에 대한 민감도 및 판별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치주염 위험이 높은 대상을 정확히 가려낼 수 없게 되므로, 보건학적으로,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매우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될 것임이 자명하다.
즉, 본원의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에 의하는 경우, 본원의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은 치주염 환자에 대해 75% 이상의 매우 우수한 민감도를 나타내며, 종합적으로 60% 이상의 높은 판별력을 보여 Blicher 등이 제안한국제기준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본원의 국제기준에 적합한 민감도 및 종합적 판별력을 지닌 타액 MMP-9 적정농도 범위는 통상적으로 얻기 힘든 매우 우수한 세계 최초의 결과이다.

Claims (4)

  1.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타액 중의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타액 중의 MMP-9 단백질 농도의 치주염 위험을 선별하는 최적 농도 기준 범위를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범위는 16.75 내지 29.00 ng/ml이며,
    상기 기준 범위에서 치주염 위험 선별에 대한 민감도 85% 이상 및 판별력 60% 이상인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액은 비자극성 타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는 병원, 의원 또는 자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4. 삭제
KR1020210059469A 2021-05-07 2021-05-07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KR10236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469A KR102369004B1 (ko) 2021-05-07 2021-05-07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US17/735,532 US20220357327A1 (en) 2021-05-07 2022-05-03 Optimal range of salivary mmp-9 concentration for screening risk of periodontitis, and method of its application for screening risk of periodontit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469A KR102369004B1 (ko) 2021-05-07 2021-05-07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004B1 true KR102369004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469A KR102369004B1 (ko) 2021-05-07 2021-05-07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57327A1 (ko)
KR (1) KR102369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571B1 (ko) 2022-03-18 2023-05-26 임우진 치주질환 위험성 검사용 치약 포장 세트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gihan Bostanci et al., ‘Validation and verification of predictive salivary biomarkers for oral health’, Sci Rep., 2021. 03., Vol. 11, pp 1-12. *
Nagihan Bostanci et al., ‘Validation and verification of predictive salivary biomarkers for oral health’, Sci Rep., 2021. 03., Vol. 11, pp 1-12. 1부.*
Yun-Chun Wu et al., ‘Salivary biomarker combination prediction model for the diagnosis of periodontitis in a Taiwanese population’, J Formos Med Assoc., 2018, Vol. 117, pp 841-848. *
Yun-Chun Wu et al., ‘Salivary biomarker combination prediction model for the diagnosis of periodontitis in a Taiwanese population’, J Formos Med Assoc., 2018, Vol. 117, pp 841-848.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571B1 (ko) 2022-03-18 2023-05-26 임우진 치주질환 위험성 검사용 치약 포장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7327A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ppilahti et al. Oral rinse MMP‐8 point‐of‐care immuno test identifies patients with strong periodontal inflammatory burden
Mauramo et al. Associations of oral fluid MMP‐8 with periodontitis in Swiss adult subjects
EP2527843A1 (en) A test kit for detecting periodontal disease
Öztürk et al. Evaluation of active matrix metalloproteinase-8 (aMMP-8) chair-side test as a diagnostic biomarker in the staging of periodontal diseases
US20200363430A1 (en) Periodontal disease diagnostic methods, uses and kits
US20030040009A1 (en) Saliva-based methods for preventing and assessing the risk of diseases
US6277587B1 (en) Method of testing for periodontal disease
KR102369004B1 (ko)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를 위한 타액 내 mmp-9 단백질의 적정농도 범위, 이를 이용한 치주염 위험 선별검사방법 및 치주염 선별검사를 위한 정보제공방법
JP7486316B2 (ja) 唾液のil-1ベータ及びmmp-9に基づく軽度の又は進行した歯周炎の診断
WO2019197543A2 (en) Periodontitis diagnostic methods, uses and kits
WO2019197449A1 (en) Diagnostics of mild or advanced periodontitis
US20230393149A1 (en) Diagnostics of gingivitis
JP2024020276A (ja) 歯肉炎の診断方法、使用、キット
Carpenter et al. Sialochemical markers of salivary gland involvement with Sjögren’s syndrome secondary to rheumatoid arthritis and primary biliary cirrhosis
KR102372675B1 (ko) 치주 질환 진단용 마커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JP4696252B2 (ja) 唾液中肝細胞増殖因子の定量による歯周炎の検査方法
KR20210029823A (ko) 타액 중의 mmp-9를 이용한 구강암의 진단 방법, 정보제공방법, 조성물 및 키트
WO2019197444A1 (en) Gingivitis diagnostic methods, uses and kits
EP3407068A1 (en) Diagnostics of mild or advanced periodontitis based on salivary il-1beta and mmp-9
Mohammed et al. Diagnostic Potential of Salivary Biomarker Profiles in Epidemiological Survey of Periodontitis
Hernández Ríos et al. Active MMP-8 quantitative test as an adjunctive tool for early diagnosis of periodontitis
Front et al. Salivary biomarker analysis complementing regular clinical examination
EP3553524A1 (en) Periodontitis diagnostic methods, uses and kits
Kiruthika Effect of Phase I Therapy on Salivary Carboxyterminal Telopetide of Type I Collagen i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Kumar et al. GCF A Pioneer Biomarker: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