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776B1 -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 - Google Patents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776B1
KR102368776B1 KR1020210093422A KR20210093422A KR102368776B1 KR 102368776 B1 KR102368776 B1 KR 102368776B1 KR 1020210093422 A KR1020210093422 A KR 1020210093422A KR 20210093422 A KR20210093422 A KR 20210093422A KR 102368776 B1 KR102368776 B1 KR 102368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authentication
information
ratio
sequ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택
Original Assignee
박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택 filed Critical 박영택
Priority to KR102021009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776B1/ko
Priority to US17/827,711 priority patent/US2023001257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69Methods for sequen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매체에 구비된 인증수단; 상기 소정의 매체에 대한 고유의 인식값이 저장된 NFT(Non-Fungible Token); 상기 NFT에 입력된 제1인증정보; 및 다수의 DNA로 구성된 상기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제2인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 대비 상기 제2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은 일정한 범위 내인 인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A authentication device related to NFT for using DNA sequences}
본 발명은 NFT(Non-Fungible Token)와 연계되는 인증장치로서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인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프라인의 소정의 매체에 대한 고유의 인식값이 온라인 상의 NFT에 저장된 상태에서, 온라인 상의 NET에 입력된 DNA염기서열정보인 인증정보와, 오프라인의 매체에 구비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DNA염기서열정보인 인증정보를 비교판단하여 매체의 진위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서는 오프라인 상의 매체에 대해서 진위여부에 대해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즉, 그림이나 조각품 같은 예술품의 진위여부, 문서의 진위여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식품에 대한 출처의 진위여부, 기타 물건의 진위여부에 대해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인증하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술품의 경우 그 예술분야의 전문가의 전문감성으로서 인증절차가 진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인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문서의 진위여부는 그 문서의 필체나 그 문서의 재질 등에 대한 감정으로 인증절차가 진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이에 따라 인증절차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고 그 인증이 사람의 판단으로 담보할 수밖에 없어 불확실한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식품의 경우, 식품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식품 재료의 원산지나 유전자 변형 여부를 확인하려는 대중의 수요는 대폭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소비자가 식품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식품의 표지에 표기된 식품 재료의 표시나 원산지 표시 정도가 전부이다. 식품에 표기된 원산지 표시 등이 식품 제공자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숨겨질 염려가 존재하므로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바코드, 각종 인증마크, Void Tag, 홀로그램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시장에서 유통되거나 판매되는 다수의 제품을 판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원산지의 인증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증마크를 표시한 제품은 쉽게 도안의 위조가 가능하고, Void Tag나 홀로그램 스티커도 인증마크와 마찬가지로 위조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기존의 바코드, 각종 인증마크, Void Tag, 홀로그램 스티커 등은 육안 또는 장비가 가시 영역에 있어야만 판독 또는 인식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인쇄 절차를 통해 생산되기 때문에 쉽게 위/변조가 가능하여 다수의 제품이 쉽게 복제가 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위/변조가 쉬운 바코드, 각종 인증마크, Void Tag, 홀로그램 스티커 등의 대안으로, 최근에는 전파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적용된 전파식별 장치가 각광받고 있지만, 실제로 제품의 성격에 따라 RFID 기술을 이용하여 본래의 목적하는바 데로 시스템을 구성하여 성과를 내기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대표적인 일례를 들자면, 농장에서 길러진 축산물과 같이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축산물에 대하여 특정 원산지에서 생산된 축산물인지를 인증하기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다양한 인증절차와 비교하여 보다 진위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장치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 20-0372453 B
(특허문헌 2) KR 20-2010-0035456 A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매체의 진위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담보할 수 있는 인증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본 발명에 따른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는, 소정의 매체에 구비된 인증수단; 상기 소정의 매체에 대한 고유의 인식값이 저장된 NFT(Non-Fungible Token); 상기 NFT에 입력된 제1인증정보; 및 다수의 DNA로 구성된 상기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제2인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 대비 상기 제2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은 일정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인증정보 및 제2인증정보는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는 DNA의 염기서열이 서로 다른 다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포함된 상기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는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전체 개수 대비 상기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제1비율과, 상기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전체 개수 대비 다른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제2비율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 대비 상기 제2비율은 일정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수단의 전체가 판독되어 도출된 상기 제2인증정보에서 상기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 대비, 상기 인증수단의 일부분만이 판독되어 도출된 상기 제2인증정보에서 상기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은 일정한 범위 내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인증절차에서 DNA염기서열정보가 이용되어 어떠한 매체나 물건 등의 진위여부가 인증되는 바, 쉽게 복제할 수 없는 DNA염기서열정보로 인하여 매체의 진위여부에 대한 정확한 인증을 담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매체나 물건의 진위여부를 인증하되, 전체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 중에서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 대비, 다른 한 DNA 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이와 일치한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한 인증정보로 어떠한 매체나 물건 등의 진위여부를 인증할 수 있어 진위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진위여부에 대한 정확한 인증으로 인하여 위조 매체의 출현이 현저히 나아질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온라인 상의 NFT에 저장된 고유의 인식값을 갖는 오프라인 상의 어떠한 매체에 대한 진위여부에 대한 정확한 인증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인증정보에 포함된 DNA염기서열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장치는 소정의 매체에 구비된 인증수단 및 NFT(Non-fungible Token)를 포함할 수 있다. NFT에는 소정의 매체에 대한 고유의 인식값이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NFT에는 제1인증정보가 입력된 상태일 수 있으며,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제2인증정보가 도출될 수 있는데, 제1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 대비 상기 제2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이 일정한 범위 내일 수 있다.
즉, 제2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이 제2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을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 내의 인증값인 경우, 상술한 소정의 매체가 NFT로 인정되는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되는 진정한 매체로 인증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이 10%인 상태에서, 제2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이 6% 내지 8%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매체가 NFT로 인정되는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되는 진정한 매체라고 인증될 수 있지만, 제2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이 6% 내지 8%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4% 또는 9% 등)에는 소정의 매체가 NFT로 인정되는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되지 않은 위조 또는 복제된 매체로서, 진정한 매체라고 인증될 수 없다.
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서,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표시하는 토큰일 수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되는 토큰으로서 각 토큰마다 고유의 인식값을 가지고 있어 다른 토큰으로 대체가 불가능한 토큰을 지칭한다. 즉, 게임, 예술품이나 부동산 등의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화하여 소유권이나 판매 이력 등이 명확하게 특정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NFT에는 오프라인에서의 그림이나 조각 등의 예술품에 대한 고유의 인식값이 포함되어 있어, NFT를 통하여 이러한 예술품에 대한 소유권이나 판매 이력 등이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즉, 위조나 복제가 어려운 이러한 NFT에는 예술품 등에 대한 소유권이나 판매 이력 등 고유의 인식값이 생성되어 저장되어 있어, 이러한 예술품 등의 소유권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NFT에 저장된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되는 매체와 이러한 NFT로 인증되는 오프라인 상의 매체가 일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자산을 표시하는 NFT가 온라인 상에서 이전됨에 따라 예술품 등의 실제의 매체의 소유권이 오프라인 상에서 이전되어야 하지만, 실질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이전되는 NFT에 입력된 인식값에 해당하는 매체가 정확하게 오프라인 상에서 이전되는지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오프라인 상에서 이전되는 예술품 등의 매체가 온라인 상에서 이전되는 NFT에 입력된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하는 매체인지가 확인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상의 실제의 매체에는 인증수단이 구비되고, 이러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제2인증정보가 도출될 수 있고, 오프라인 상의 실제의 매체에 대한 고유의 인식값이 저장된 NFT에 별도의 제1인증정보가 입력된 상태일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 NFT가 이전되고, 이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실제의 매체가 NFT 이전에 따라 이전되는 경우, 이러한 제1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 대비 상기 제2인증정보로 인증되는 인증값이 일정한 범위 내라면, 이전된 매체가 이전된 NFT에 입력된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되는 매체임이 인증될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의 NFT와 오프라인 상에서의 매체 간의 인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인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상술한 제1인증정보 및 제2인증정보를 포함한 인증정보는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는 DNA의 염기서열이 다른 서로 다른 다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DNA염기서열정보는 DNA의 염기서열로 구분되는 정보를 지칭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로 구성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 중에서,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 대비 다른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이 일정한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수의 비율이 일정할 수 있다.
일례를 도시한 도 2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인증정보에는 A, B, C, D, E, F, G, H, I, J, K 종류 및 기타 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종류에 따른 DNA염기서열정보는 서로 다른 DNA의 염기서열로 구분되는 DNA염기서열정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증정보는 염기서열이 서로 다른 다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로 구성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은 다른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상관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특정종류의 개수의 비율 대비 다른 특정종류의 개수의 비율은 일정한 범위 내일 수 있다.
일례를 도시한 도 2에서 A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이 10%이고, C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이 7%인 바, A종류의 개수의 비율 대비 C종류의 개수의 비율은 10:7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제1인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서 A종류의 개수의 비율 대비 C종류의 개수의 비율은 10:7이고, 제2인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A종류의 개수의 비율 대비 C종류의 개수의 비율은 10:7인 경우에는, 인증대상 매체가 해당 NFT에 저장된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되는 매체인 것으로 인증될 수 있다. 나아가, 일정한 범위인 10: 6 내지 10: 8인 경우에도 인증대상 매체가 해당 NFT에 저장된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되는 매체로 인증될 수 있다.
하지만, 일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다시 말해, 제1인증정보에는 10:7이지만 제2인증정보에는 10:9이거나 10:5 등, 10:6 내지 10: 8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도출되는 경우, 인증대상 매체는 해당 NFT에 저장된 고유의 인식값에 해당되는 매체가 아니며, 따라서 위조나 복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술한 예는 설명을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정한 범위 내에서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 간의 개수의 비율은, 몇몇 제한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한정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다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포함된 상기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는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전체 개수를 100%로 한정한 상태에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 간의 개수의 비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일례에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서 A, C, F, G, H, I, K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추출한 다음, A, C, F, G, H, I, K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을 100%로 한정한 상태에서, A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10%로 하고 C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6 내지 8%으로 하여, 어느 한 특정종류의 개수의 비율 대비 다른 특정종류의 개수의 비율을 일정한 범위 내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인증의 정도가 더욱 높아져 위조나 복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오프라인 상의 매체에 구비되되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의 전체가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서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은, 인증수단의 일부분만이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서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비율 대비 일정한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
즉, 반드시 다수의 DNA으로 구성된 인증수단 전체가 판독되어 도출될 필요없이, 일정 부분만을 판독하여 도출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 간의 개수의 비율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프라인 상의 매체에 구비되되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의 전체에서, 염기서열이 서로 다른 다종류의 DNA가 인증수단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기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 간의 개수의 비율이 인증수단 어느 일정 부분에서도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증의 정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인증절차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소정의 매체로 이루어진 단위매체에서, 단위매체의 전체에 포함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상기 인증정보에서의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 대비, 단위매체의 일부분에 포함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서의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 또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증수단에 분포된 다수의 DNA는 배경 DNA 및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가 혼합된 상태일 수 있다.
배경 DNA는 동물에서 취득하거나 식물에서 취득할 수 있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DNA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일 수 있다.
상술한 인증절차에 적용되는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판독되어 도출되는 DNA는 이러한 인위적인 방법으로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이다.
즉, 자연계에 존재하는 DNA와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가 혼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의 염기서열은 다종류이고, 마찬가지로 배경 DNA의 염기서열도 다종류인데, 이러한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의 다종류의 염기서열은 배경 DNA의 다종류의 염기서열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례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A, C, F, G, H, I, K종류의 DNA는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로서, B, D, E, J 및 기타 종류의 DNA인 배경 DNA의 염기서열과 다른 염기서열을 갖는 DNA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의 염기서열과 배경 DNA 염기서열의 동일성 여부는 DNA 증폭에 사용되는 프라이머 등을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DNA염기서열정보를 인증절차에서 이용하고자, 인증절차과정에서 확인되는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구비시키기 위해 인위적인 방법으로 임의적으로 DNA을 제조한 후, 배경 DNA와 혼합하여 인증수단에 분포시킬 수 있다.
일단 배경 DNA의 염기서열과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의 염기서열이 다르다고 확인되면, 각각의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는 증폭을 통하여 필요한 양만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증수단에 분포된 전체 DNA(배경 DNA +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에 투입되는 각각의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의 정량을 한정한 상태에서, 이미 알려진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 각각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각각의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 개수를 계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인증수단에 분포된 전체 DNA 중에서 각각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즉, 특정종류의 DNA를 판독하여 도출된 각각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를 비교하여 개수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매체에 인증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는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대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에 따르며, 인증수단에 분포된 DNA에 대한 기술적 특징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인증수단에 분포된 DNA에 대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을 따른다.
소정의 매체는 다수의 DNA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는 매체이면 어떠한 매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매체는 잉크, 인주, 종이, 생수 또는 라면일 수 있다.
이러한 매체를 제조하는 경우, 다종류 염기서열을 갖는 다수의 DNA(배경 DNA + 임의적으로 제조된 DNA)가 이러한 매체에 혼합되되, 매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혼합된 상태에서 매체가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이 매체에 혼합되는 과정은, 매체의 성질 또는 매체의 제조과정을 고려하여, 매체의 제조과정 중에 또는 매체가 완성된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잉크인 경우 잉크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다수의 DNA를 혼합하되, 제조되는 잉크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게 충분히 교반된 상태로 혼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조되는 단위량의 잉크에 혼합되는 DNA는 엄청난 양과 숫자(일례로, 100만개의 종류의 DNA으로서 100만개를 훨씬 초과하는 개수)로 혼합되는 바, 충분한 교반이 이루어지면 단위량의 잉크 부분 부분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느 한 부분에서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 간의 개수의 비율은 다른 한 부분에서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 간의 개수의 비율과 동일하거나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종류 다수의 DNA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혼합됨에 따라, 소정의 매체로 이루어진 단위매체 전체에서뿐만 아니라 단위매체의 일부분에서 추출한 인증수단을 판독하여 도출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서도,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 대비 다른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이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몇몇 제한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한정된 상태에서 몇몇 일정한 범위 내에서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 간의 개수의 비율이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추출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에서 판독되어 도출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 또는 몇몇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로 한정된 상태에서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은, 다수의 DNA가 매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분포되기 때문에, 매체 전체에서 추출한 인증수단을 판독하여 도출하거나 매체 일부분에서 추출한 인증수단을 판독하여 도출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인증절차는, 우선적으로 매체에 구비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을 판독하여 도출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 중에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 등이 기설정된 개수의 비율을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인증수단을 포함하고,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는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NFT와 연계된 소정의 매체에 구비된 인증수단을 통하여 인증절차를 거치는 인증장치인 제1실시예, 또는 소정의 매체에 구비된 인증수단을 통하여 인증절차를 거치는 인증장치인 제2실시예와 달리,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매체에 더불어,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 자체로서 인증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매체에 구비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인증이 필요한 제품, 부동산이나 동산 또는 광고물 등 물건에 부착되거나 구비됨으로써 해당 물건의 진위여부에 대한 인증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일례로, 어떠한 물건을 판매한 경우, 그 물건의 출처의 진위여부를 인증하고자 하는 경우, 그 물건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된 인증수단을 판독하여 도출한 인증정보로 그 물건의 출처의 진위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대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에 따르며, 마찬가지로 인증수단에 분포된 DNA에 대한 기술적 특징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인증수단에 분포된 DNA에 대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을 따른다.
인증절차는, 우선적으로 물건 등에 부착되거나 구비된 다수의 DNA로 구성된 인증수단을 판독하여 도출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 중에서,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비율 등이 기설정된 개수의 비율을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소정의 매체에 구비된 인증수단;
    상기 소정의 매체에 대한 고유의 인식값이 저장된 NFT(Non-Fungible Token);
    상기 NFT에 입력된 제1인증정보; 및
    다수의 DNA로 구성된 상기 인증수단이 판독되어 도출된 제2인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수단에 구성된 다수의 DNA는 자연계로부터 취득된 다종류의 DNA 및 인위적으로 제조된 다종류의 DNA를 포함하며,
    상기 자연계로부터 취득된 다종류의 DNA의 DNA염기서열은 상기 인위적으로 제조된 다종류의 DNA의 DNA염기서열과 서로 다르며,
    상기 인위적으로 제조된 다종류의 DNA의 개수는, 상기 인위적으로 제조된 다종류의 DNA의 정량에 상기 인위적으로 제조된 다종류 DNA 각각의 무게와 크기가 반영되어 계산되며,
    상기 제1인증정보 및 제2인증정보는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는 DNA의 염기서열이 서로 다른 다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포함된 상기 다수의 DNA염기서열정보는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인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는 상기 인위적으로 제조된 다종류의 DNA의 DNA염기서열로 구분되는 DNA염기서열정보이며,
    상기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전체 개수 대비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제1비율과, 상기 다수의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전체 개수 대비 다른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의 개수의 제2비율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 대비 상기 제2비율은 일정한 범위 내인 인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의 전체가 판독되어 도출된 상기 제2인증정보에서 상기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 대비, 상기 인증수단의 일부분만이 판독되어 도출된 상기 제2인증정보에서 상기 어느 한 특정종류의 DNA염기서열정보가 차지하는 개수의 비율은 일정한 범위 내인 인증장치.
KR1020210093422A 2021-07-16 2021-07-16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 KR102368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422A KR102368776B1 (ko) 2021-07-16 2021-07-16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
US17/827,711 US20230012571A1 (en) 2021-07-16 2022-05-29 Authentication device related to nft for using dna base seque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422A KR102368776B1 (ko) 2021-07-16 2021-07-16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776B1 true KR102368776B1 (ko) 2022-02-28

Family

ID=8049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422A KR102368776B1 (ko) 2021-07-16 2021-07-16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12571A1 (ko)
KR (1) KR102368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266A1 (ko) * 2022-09-02 2024-03-07 주식회사 메디클라우드 Nft화된 유전자 정보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3626A (ja) * 2012-05-09 2015-08-13 エーピーディーエヌ (ビー.ブイ.ア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ジタル表現およびその認証を用いる物理的暗号化タガントの検証
US20200076798A1 (en) * 2018-08-28 2020-03-05 Ofer A. LIDSKY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genetic sequence
US20200175524A1 (en) * 2018-11-29 2020-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 authentication using a microfluidic rea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3626A (ja) * 2012-05-09 2015-08-13 エーピーディーエヌ (ビー.ブイ.ア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ジタル表現およびその認証を用いる物理的暗号化タガントの検証
US20200076798A1 (en) * 2018-08-28 2020-03-05 Ofer A. LIDSKY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genetic sequence
US20200175524A1 (en) * 2018-11-29 2020-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 authentication using a microfluidic rea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266A1 (ko) * 2022-09-02 2024-03-07 주식회사 메디클라우드 Nft화된 유전자 정보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32615A (ko) * 2022-09-02 2024-03-12 주식회사 메디클라우드 시퀀싱 리드값을 이용한 플랫폼 기반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61032B1 (ko) * 2022-09-02 2024-04-25 주식회사 메디클라우드 시퀀싱 리드값을 이용한 플랫폼 기반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2571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2744B2 (en) Product authentication method
CN102646363B (zh) 文字防伪、条码组合标识结构及方法
CN106897891B (zh) 一种查验商品真伪的方法和系统
CN107486627B (zh) 形成识别标记的方法以及通过该方法形成的识别标记
US91530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secure document
CN109726780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包装材料验证方法、装置和系统
US11748768B2 (en) Commodity anti-counterfeit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natural biological information
EP1661051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fraudulent item
US20090302101A1 (en) Process for product traceability without addition or modification of the material using a digital signature obtained from one or more intrinsic product characteristics
CN112384373B (zh) 物件防伪保护
WO2015126697A2 (en) Secure diamond smart cards and exchange systems therefor
KR102368776B1 (ko)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nft와 연계된 인증장치
CN101356538A (zh) 投入流通领域的物品的验证方法
CN106326961A (zh) 用于保护对象、物品、文档、包装和/或标签的真实性免于模仿、伪造和盗窃的方法
CN104239928B (zh) 一种防伪印刷品以及对应的防伪方法
CN104881811A (zh) 票据信息电子化的管理方法、系统和装置
CN115953175A (zh) 一种基于表层标识的多重防伪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9949050B (zh) 基于区块链的产品鉴定分析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2368793B1 (ko) Dna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인증장치
KR102368782B1 (ko) 매체에 포함된 dna의 염기서열정보를 이용한 인증장치
CN106897886A (zh) 出版物管理方法及系统
MXPA05011530A (es) Metodo para rastrear y encontrar articulos envasados marcados.
CN201425813Y (zh) 条形码埋藏计算机数据结构纹理产品
US20130185217A1 (en) Feature specification for authentication feature
RU2263354C1 (ru)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продук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