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557B1 -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557B1
KR102368557B1 KR1020200021684A KR20200021684A KR102368557B1 KR 102368557 B1 KR102368557 B1 KR 102368557B1 KR 1020200021684 A KR1020200021684 A KR 1020200021684A KR 20200021684 A KR20200021684 A KR 20200021684A KR 102368557 B1 KR102368557 B1 KR 10236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probe
synthetic resin
connector
res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762A (ko
Inventor
황문기
이정인
원성철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20002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5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electrically condu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경 일측에 관로탐사선을 구비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복수의 전선이 꼬인 형태인 심선과, 상기 심선의 외각에 랩핑되는 주석이 도금된 도선과, 상기 심선과 도선을 테프론 소재로 피복한 탐사선으로 구성된 관로탐사선이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되되, 상기 관로탐사선 각각은 커넥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PLASTIC PIPE WITH WIRE FOR PIPELINE DETECTION}
본 발명은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관로란 물이나 가스 따위의 유체가 흐르는 관을 뜻하며, 상수관, 하수관, 가스관 및 송유관 등이 있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관로가 지하에 매설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매설된 관로에 하자가 발생되어 보수공사를 할 경우, 하자가 발생된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지하에 새로운 관로를 매설하기 위해 굴착작업을 하거나, 건축공사 등을 위해 굴착작업을 할 때, 관로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자칫 가스누출이나 상하수도관의 파열 등의 대형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배관망에 사용되는 파이프에 관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탐사선(신호선)을 구비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07574호(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합성수지관의 매설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관로탐사선이 보유되어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을 개시한다.
선행기술은 두 개 이상의 합성수지관들을 가지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일단에는 서로에 대하여 접속하여 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속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접속관부와 인접하는 외면에 그 일단을 잡고 풀어낼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들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들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관로탐사선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접속수단과,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관로탐사선을 수용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보유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 이상이 접속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합성수지관의 외측에 전원접속기구에 의하여 접속이 간편하도록 관로탐사선이 보유되어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관로탐사선의 보유를 위하여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장착되는 링의 외경이 합성수지관의 최대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속관부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구비되는 관로탐사선은 단일심선 또는 단일재질의 연선으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파손이 없는 정상적인 배관망의 위치만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충격에 의해 단일관로탐사선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KR 10-1201784 B1
본 발명은 노이즈 현상을 줄일 수 있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를 방지하고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탐사선의 연결 부분인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한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경 일측에 관로탐사선을 구비하는 합성수지관은 꼬인 형태인 복수의 심선과, 상기 복수의 심선의 외각에 랩핑되는 주석이 도금된 도선과, 상기 심선과 도선을 테프론 소재로 피복한 탐사선으로 구성된 관로탐사선이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되되, 상기 관로탐사선 각각은 커넥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하네스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의 두께는 0.05 내지 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선은 0.07 내지 0.09mm 두께의 주석이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탐사선은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탐사선과 상기 커넥터는 밀폐용 부재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탐사선의 양측에는 다른 관로탐사선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보호하는 보호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탐사선은 45 내지 55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개의 심선을 꼬인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노이즈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석을 도금함으로써, 산화를 방지하고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로탐사선의 탐사선에 테프론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용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관로탐사선의 연결 부분인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탐사선을 구비하는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탐사선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선 및 도선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탐사선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보호용 부재가 장착된 관로탐사선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탐사선간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탐사선을 구비하는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100)은 외경 일측에 관로탐사선(300)을 구비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합성수지관(100)이 결합하여 배관망을 형성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0)의 압출시 합성수지관(100) 내부에 전선을 내삽하게 되면 높을 압력을 받게 되는 합성수지관(100)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관로탐사선(300)은 합성수지관(100)의 외부에 위치한다.
관로탐사선(300)은 합성수지관(100)과 같은 관로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관로를 유지 및 관리하도록 도움을 주는 장치로, 적어도 둘 이상의 관로탐사선(300)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관로탐사선(300)은 탐사선(310), 커넥터(320) 및 밀폐용 부재(330)로 구성될 수 있다.
관로탐사선(300)은 보호용 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탐사선(310)의 내부에는 심선(314)과 도선(318)을 포함할 수 있다.
탐사선(310)의 양 끝단에는 복수의 심선(314)과 도선(318)이 결합되는 커넥터(320)가 위치하며, 각각의 관로탐사선(300)은 커넥터(320)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복수개의 관로탐사선(300)은 커넥터(32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합성수지관(100)의 외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넥터(320)는 하네스 형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네스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 및 이탈시키는 접속물로, 배선의 단순화, 수리의 용이,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탐사선(310)과 커넥터(320)의 일부는 밀폐용 부재(3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개의 관로탐사선(300)은 45 내지 55m의 길이를 가지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관로탐사선(300)은 양면테이프(200)를 통해 합성수지관(100)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로탐사선(300)의 하면에 위치한 양면테이프(200)에 의해 합성수지관(100)의 외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로탐사선(300)의 탐사선(3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탐사선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선 및 도선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선 및 도선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탐사선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보호용 부재가 장착된 관로탐사선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탐사선(300)의 탐사선(310)은 내부에 심선(314) 및 도선(3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선(318) 내부에는 꼬인 형태의 복수의 심선(314)이 포함될 수 있다.
심선(314)의 두께는 0.05 내지 0.1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선(318)은 복수개의 전선(316)으로 구성되며, 심선(314)의 외각을 랩핑할 수 있다.
또한, 도선(318)을 구성하는 전선(316)은 0.07 내지 0.09mm 두께의 주석이 도금된 것일 수 있다.
도선(318)은 플루오린 원자와 탄소 원자로 만드는 플루오린화 탄소수지인 테프론 소재로 피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테프론 소재는 뛰어난 내열성, 내부식성 및 내마찰성의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테프론 소재로 제작된 탐사선(31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탐사선(310) 내측에 위치한 심선(314) 및 도선(318)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탐사선(310)과 커넥터(320)는 밀폐용 부재(330)로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밀폐용 부재(330)는 열수축튜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밀폐용 부재(330)로 이용되는 열수축튜브는 전선을 절연하는데 사용되는 수축 가능한 플라스틱 튜브로, 전기 작업의 연선 및 단선 도체, 연결부, 조인트 및 단자에 내마모성과 환경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열수축튜브의 특성(열 반응에 의한 수축성)에 따라 밀폐용 부재(330)인 열수축튜브가 탐사선(310)의 일부와 커넥터(320)의 일부를 감싼 상태로 열을 열수축튜브에 가함으로써, 탐사선(310)과 커넥터(320)의 일부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관로탐사선(300)의 양끝단에는 보호용 부재(34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용 부재(340)는 탐사선(310) 일측 부분, 즉 밀폐용 부재(330)와 인접한 부분을 커버하면서 밀폐용 부재(330)에 의해 밀폐된 커넥터(320)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부분(커넥터 부분)이 오픈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관로탐사선(300)이 상호 연결될 때, 보호용 부재(340)는 각각의 관로탐사선(300)을 연결시키는 연결 부분인 커넥터(32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호용 부재(340)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튜브일 수 있다. 이러한 열수축튜브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관로탐사선(300)과 다른 하나의 관로탐사선(300)이 커넥터(320)를 통해 상호 연결될 때, 하나의 관로탐사선(300)의 일단에 형성된 보호용 부재(340)와 다른 하나의 관로탐사선(300)의 타단에 형성된 보호용 부재(340)가 상호 연결된 후 보호용 부재(340)인 열수축튜브에 열을 가해 관로탐사선(300)간 연결된 부분을 밀폐시킴으로써, 커넥터(320)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수축튜브를 이용하여 관로탐사선(300)간의 연결 부분인 커넥터(320)를 보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관로탐사선(300)의 일단 및 타단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보호용 부재를 이용하여 관로탐사선(300)을 서로 연결시킨 후 커넥터(320) 부분을 보호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탐사선간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탐사선(300)의 일단에 위치한 제 1 보호용 부재(340a)의 직경과 타단에 위치한 제 2 보호용 부재(340b)의 직경의 크기가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제 및 제 2 보호용 부재(340a, 340b)는 끼움 결합이 가능한 직경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관로탐사선(300)의 커넥터(320)와 다른 관로탐사선(300)의 커넥터(320)를 연결할 때, 다른 관로탐사선(300)의 타단에 위치한 제 2 보호용 부재(340b)는 어느 하나의 관로탐사선(300)의 일단에 위치한 제 1 보호용 부재(340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보호용 부재(340a, 340b)간 고정성과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보호용 부재(340b)의 내측 또는 제 1 보호용 부재(340a)의 외측에는 접착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착부재(400)는 접착제이거나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합성수지관 : 100
양면테이프 : 200
관로탐사선 : 300
탐사선 : 310
전선 : 316
심선 : 314
도선 : 318
커넥터 : 320
밀폐용 부재 : 330
보호용 부재 : 340
접착부재 : 400

Claims (9)

  1. 외경 일측에 관로탐사선을 구비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꼬인 형태인 복수의 심선과, 상기 심선의 외각에 랩핑되는 주석이 도금된 도선과,
    상기 심선과 도선을 테프론 소재로 피복한 탐사선으로 구성된 관로탐사선이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되되,
    상기 관로탐사선 각각은 커넥터로 연결되고,
    상기 관로탐사선과 상기 커넥터는 밀폐용 부재로 밀폐되고,
    상기 관로탐사선의 양측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다른 관로탐사선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보호하는 보호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용 부재는 상기 밀폐용 부재와 인접한 부분을 커버하면서 상기 밀폐용 부재에 의해 밀폐된 상기 커넥터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이 오픈된 형태를 가지고,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튜브이며,
    하나의 상기 관로탐사선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보호용 부재와 다른 하나의 상기 관로탐사선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보호용 부재가 상호 연결된 후 상기 보호용 부재인 상기 열수축튜브에 열을 가해 상기 관로탐사선간 연결된 부분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하네스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의 두께는 0.05 내지 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0.07 내지 0.09mm 두께의 주석이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탐사선은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탐사선은 45 내지 55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1020200021684A 2020-02-21 2020-02-21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10236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84A KR102368557B1 (ko) 2020-02-21 2020-02-21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84A KR102368557B1 (ko) 2020-02-21 2020-02-21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62A KR20210106762A (ko) 2021-08-31
KR102368557B1 true KR102368557B1 (ko) 2022-02-28

Family

ID=7748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684A KR102368557B1 (ko) 2020-02-21 2020-02-21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54B1 (ko) * 2007-07-24 2007-10-25 주식회사 고리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100838633B1 (ko) 2007-11-26 2008-06-16 윤상운 압착 편조선을 이용한 관로 탐사선 및 그 연결 방법
KR200444885Y1 (ko) 2007-10-02 2009-06-12 현대파이프(주) 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용 폴리에틸렌관
JP2012104404A (ja) * 2010-11-11 2012-05-31 Yazaki Corp 電線
KR101201784B1 (ko) * 2012-07-03 2012-11-15 주식회사 고리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101567748B1 (ko) 2015-07-24 2015-11-09 현대파이프(주) 매설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023B1 (ko) * 2009-05-13 2011-08-23 장동원 합성수지파이프 접착형 탐지테이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54B1 (ko) * 2007-07-24 2007-10-25 주식회사 고리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200444885Y1 (ko) 2007-10-02 2009-06-12 현대파이프(주) 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용 폴리에틸렌관
KR100838633B1 (ko) 2007-11-26 2008-06-16 윤상운 압착 편조선을 이용한 관로 탐사선 및 그 연결 방법
JP2012104404A (ja) * 2010-11-11 2012-05-31 Yazaki Corp 電線
KR101201784B1 (ko) * 2012-07-03 2012-11-15 주식회사 고리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101567748B1 (ko) 2015-07-24 2015-11-09 현대파이프(주) 매설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62A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01817B2 (en) Optical cable shield layer connection
CN101183780B (zh) 海底光纤复合电力电缆接头盒及其连接工艺
US7381900B2 (en) Power cable for direct electric heating system
CN102474090B (zh) 用于海底电缆的接头
AU2014369340B2 (en) A PIP trace heating connection assembly
US4699459A (en) Joint for optical fiber submarine cables
RU196562U1 (ru) Кабелепровод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WO2018052311A1 (en) Umbilical fluid line, umbilical, and method
KR102368557B1 (ko)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EP2321685B1 (en) Optical fibre composite electric power cable comprising a repair box
JP2006345623A (ja) 水底ケーブル用ジョイント
US20240177889A1 (en) Power cable system having different conductor connecting part , and power cable connection method having different conductors
EP3930129A1 (en)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CN106448834A (zh) 耐火阻燃交联聚乙烯绝缘分支电缆
EP0887807A1 (en)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
CN110462937A (zh) 耐腐蚀电管道系统
EP1312962A2 (en) Earthing electrode assembly for submerged electrical apparatus
US11881692B2 (en)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
CN216133986U (zh) 一种全复原式电缆熔接头
EP3663622B1 (en) Umbilical with semiconductive outer sheath
CN213241985U (zh) 一种环保防水高承压电缆
JP2017093278A (ja) 電力ケーブル接続構造
Bow et al. Chemical Moisture Barrier Cable for Underground Systems
NO20210762A1 (en) An umbilical cable system and appurtenant method
JP4966212B2 (ja) ケーブルジャンパー線の被覆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