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454B1 - 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 Google Patents

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454B1
KR102368454B1 KR1020210082289A KR20210082289A KR102368454B1 KR 102368454 B1 KR102368454 B1 KR 102368454B1 KR 1020210082289 A KR1020210082289 A KR 1020210082289A KR 20210082289 A KR20210082289 A KR 20210082289A KR 102368454 B1 KR102368454 B1 KR 10236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auge
earth pressure
gauge body
diaphragm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순종
Original Assignee
전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종 filed Critical 전순종
Priority to KR102021008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4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7Details about the mounting of the sensor to support or cover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8Details about the circuit board integration, e.g.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surface or encaps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4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flexible diaphragms
    • G01L9/005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flexible diaphragms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 G01L9/006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flexible diaphragms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metallic strain gauges fixed to an element other than the pressure transmitting diaphrag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earth pressure gauge comprises: an earth pressure gauge main body; and a jig plate surrounding the earth pressure gauge main body and having a protrusion positioned to be spaced from the earth pressure gauge main body.

Description

토압계의 외부 하우징 구조{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아래의 설명은 측정 토압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토압계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measuring earth pressure gaug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arth pressure gauge capable of reducing a measurement error.

토압계는, 흙쌓기 층이나 옹벽과 지반 사이 등에 설치하여 토압이나 주변 지반의 하중으로 인한 토압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The earth pressure gauge is a device that measures the earth pressure caused by the earth pressure or the load of the surrounding ground by installing it between the soil pile layer or the retaining wall and the ground.

토압계의 적용 범위로는 지반과 콘크리트 벽면 사이의 토압 측정, 기초 지반내 상재 하중으로 인한 응력 측정, 댐이나 흙쌓기 층 내의 방향에 따른 응력의 크기 측정, 터널의 숏크리트의 응력측정 등이 있다.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earth pressure gauge includes the measurement of the earth pressure between the ground and the concrete and the wall surface, the measurement of the stress due to the burial load in the foundation ground, the measurement of the magnitude of the stress along the direction within the dam or pile, and the measurement of the stress of the shotcrete in the tunnel.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69842호에는, 전기식 동적 토압계가 개시된다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0069842, an electric dynamic earth pressure gauge is disclosed.

토압계는 예를 들어, 중력 방향에 수직 또는 수평한 어느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토압계가 흙쌓기 층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등과 같이, 전방향에서 토압계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측정 대상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전달되는 측압(lateral pressure)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의 영향은 측정 값에 오차를 유발하게 되어, 토압계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Earth pressure gauges are used, for example, to measure loads acting in either direction perpendicular or horizontal to the direction of gravity. However,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earth pressure gauge from all directions, such as when the earth pressure gauge is installed inside the pile layer, lateral pressure transmitted from a direction other than the measurement target exists. Such an influence of pressure causes an error in the measured valu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arth pressure gauge is deteriora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3007호(2003.12.15)\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413007 (December 15, 2003)\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다양한 방식으로 측압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측정 값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압계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n earth pressure gauge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the influence of lateral pressure in various ways,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a measured valu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토압계는, 토압계 본체; 및 상기 토압계 본체를 둘러싸며, 상기 토압계 본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지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arth pressure gauge,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nd a jig plate surrounding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nd having a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상기 토압계 본체는,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센서 설치 면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센서 설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설치 면의 변형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격된 외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어프램과 함께, 상기 센서를 감싸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may include: a diaphragm having a sensor installation surface disposed toward a direction of pressure to be measured; a sensor installed on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to detect a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and a cover having an outer wall spaced outwardly from the diaphragm and forming a space surrounding the sensor together with the diaphragm.

상기 돌출부는,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이 직접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may prevent a force transmit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of pressure to be measur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상기 돌출부는,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이 상기 토압계 본체에 전달되기 전에 분산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have an inclined shape so that a force transmit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of pressure to be measured is distributed before being transmitted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상기 지그 플레이트는, 상기 토압계 본체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및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토압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jig plate may include: a base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nd an accommodating space located inside the protrusion and accommodating the earth pressure gauge.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from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각도는, 45도 미만일 수 있다.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may be less than 45 degrees.

상기 지그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토압계 본체에 고정되는 체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압계 본체의 저면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을 따라서, 상기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 고정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jig plate further includes a jig plate insertion hole for passing a fastening member fixed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through the base,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long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the A cover fix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jig plate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상기 토압계 본체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포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포트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may include a wire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to the outside; and a guide port for guiding the wire, wherein the ji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ort insertion part recessed in one sid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guide port can be inserted.

상기 토압계 본체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내측으로 0.2 mm 이상 1 mm 이하로 이격될 수 있다.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by 0.2 mm or more and 1 mm or less inward.

상기 토압계 본체 및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토압계 본체로 직접적인 힘의 전달을 방지하면서도,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유연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nd the protrusion, a flexible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while preventing direct force transmission from the protrusion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may be install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측압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토압계의 외부면으로부터, 센서가 장착되는 다이어프램까지의 압력 전달 경로를 구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transmission pa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to which the lateral pressur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to which the sensor is mounted may be structurally separa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측압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토압계의 외부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토압계의 측방으로부터 다이어프램까지 전달되는 힘을 줄여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id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to the diaphragm by the external force may be reduced by dispersing the force by forming the external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to which the lateral pressure is directly transmitted to be inclined.

결과적으로, 측정 대상이 아닌 측압이 실제 측정 값에 미치는 영향을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토압계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lateral pressure, which is not a measurement target, on the actual measurement value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thu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arth pressure gaug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가 콘크리트 벽면 사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의 상면도와, 2가지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 본체(내측 하우징)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 본체(내측 하우징)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 본체(내측 하우징)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단면 및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상면, 단면, 저면 및 부분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그 플레이트(외측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그 플레이트(외측 하우징)의 상면, 단면 및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earth pressure gauge is installed between concrete w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arth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top view of the earth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cut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6 is a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inn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inn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inn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and a bottom surface of a diaphrag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a cross-section, a bottom surface,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arth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view showing a jig plate (out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a cross-section, and a bottom surface of a jig plate (out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well, and detailed descriptions with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가 콘크리트 벽면 사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earth pressure gauge is installed between concrete w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1)는, 토압계(1)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토압계(1)가 토압계(1)의 콘크리트 벽면 상에 설치되면, 토압계(1)는, 콘크리트 벽면 사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 벽면에 평행한 방향의 압력은 토압계(1)에 노이즈로 작용하게 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값에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1 and 2 , the earth pressure gaug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or measuring the pressure ac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1 . For example, as in FIGS. 1 and 2 , when the earth pressure gauge 1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wall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1, the earth pressure gauge 1 measures the pressure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concrete walls. can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pressur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crete wall acts as a noise to the earth pressure gauge 1, causing an error in the value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1)를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때, 토압계(1) 주변에 있는 쌓인 흙 등의 건축재료는 토압계(1)를 향하여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압력을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은 압력은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값에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Similarly, by arranging the earth pressure gaug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it is noted that the pressure ac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can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building material such as accumulated soil around the earth pressure gauge 1 acts on the pressur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vity direction toward the earth pressure gauge 1, and this pressure is an error in the value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will cause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1)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측압(lateral pressure)의 전달 경로 상에 위치하는 내부 구조물들을 상호 이격시키거나, 측압을 분산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외부 구조물을 부가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측정 대상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전달되는 측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상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Earth pressure gaug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described below, spaced apart internal structures located o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lateral pressure from each other, or adding an additional external structure capable of distributing the lateral pressure Through the method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teral pressure transmitted from a direction other than the measurement target. Hereinafter, the above structure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arth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1)는, 토압계 본체(12), 지그 플레이트(14) 및 와이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 the earth pressure gaug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 a jig plate 14 , and a wire 16 .

한편, 이하, "포함할 수 있다"는 기재는, 어느 구성요소가 언급된 다른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는 의미로써, 반드시 언급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혀 둔다. On the other han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may include" means that any component can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other components mentioned, and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all the components mentioned. make it clear

예를 들어, 토압계(1)는, 지그 플레이트(14)를 구비하지 않고, 토압계 본체(12) 및 와이어(16)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토압계 본체(12)에 대한 설명이 토압계(1)에 준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arth pressure gauge 1 may include only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and the wire 16 without the jig plate 14 . In this case, the description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may be applied mutatis mutandis to the earth pressure gauge 1 .

한편, 토압계(1)가 토압계 본체(12) 및 지그 플레이트(14)를 모두 구비할 경우, 토압계 본체(12) 및 지그 플레이트(14)는, 각각 "내측 하우징(12)" 및 "외측 하우징(14)"으로 지칭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arth pressure gauge 1 includes both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and the jig plate 14,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and the jig plate 14 are "inner housing 12" and " Note that it may also be referred to as "outer housing 14".

토압계 본체(12)는,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는 부분으로써,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122, 도 8 참조)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is a part that directly receives the pressure to be measured, and may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122 (refer to FIG. 8 ) for measuring the pressure.

지그 플레이트(14)는, 토압계 본체(1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토압계 본체(12)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지그 플레이트(14)에 의하면, 측방으로부터 토압계 본체(12)로 전달되는 측압을 분산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jig plate 14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can be accommodated, and may wrap the side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 According to the jig plate 14, the lateral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side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can be dispers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와이어(16)의 일단은, 토압계 본체(12)에 수용된 센서(122)에 연결되어, 센서(122)에서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One end of the wire 16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122 accommodated in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to transmit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122 to the outside.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의 상면도와, 2가지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 본체(내측 하우징)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 본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 본체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top view of the earth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cut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6 is a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inn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 본체(12)는, 지그 플레이트(1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토압계 본체(12)는, 다이어프램(121), 센서(122), 오링(123)(O-ring), 커버(125) 및 가이드 포트(127)를 포함할 수 있다.5 to 8 ,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ccommodated in the jig plate 14 .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may include a diaphragm 121 , a sensor 122 , an O-ring 123 (O-ring), a cover 125 , and a guide port 127 .

다이어프램(121)은,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센서 설치 면(1211)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 설치 면(1211)은,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변형을 일으키는 부분이다. 센서 설치 면(1211)은, 다이어프램(121)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diaphragm 121 may include a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is a portion that deforms in response to the pressure to be measured.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diaphragm 121 .

센서(122)는, 센서 설치 면(1211)에 설치되어, 센서 설치 면(1211)의 변형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2)는, 외부 하중에 대하여 저항 값이 변화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nsor 122 may be installed on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to detect a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 For example, the sensor 122 may be formed as a strain gauge whos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with respect to an external load.

커버(125)는, 다이어프램(121)을 수용하며, 다이어프램(121)과 함께 센서를 감싸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125)는, 다이어프램(121)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격된 외측벽(1252)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벽(1252)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다이어프램(121)의 측방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차단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The cover 125 accommodates the diaphragm 121 and may form a space surrounding the sensor together with the diaphragm 121 . The cover 125 may include an outer wall 1252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121 in an out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outer wall 1252, it is possible to block or redu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ide of the diaphragm 121 from the outside.

오링(123)(O-ring)은, 다이어프램(121)의 저면 및 커버(125)의 상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오링(123)은, 다이어프램(121) 및 외측벽(125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센서(122)를 감싸는 공간으로 습기 또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링(123)은, 다이어프램(121)의 플랜지(1212)의 저면에 형성된 오링 삽입 홈(1213, 도 9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The O-ring 123 (O-ring)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121 and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125 . The O-ring 123 may prevent moisture or water from entering the space surrounding the sensor 122 through the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diaphragm 121 and the outer wall 1252 . For example, the O-ring 123 may be inserted into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refer to FIG. 9 )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1212 of the diaphragm 121 .

오링(123)은, 다이어프램(121) 및 커버(125)에 비하여 유연한 재질(예: 고무 또는 실리콘)로 형성될 수 있다. 오링(123)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측방에서 커버(125)를 통하여 다이어프램(121)으로 인가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다이어프램(121)으로 전달되는 측압(lateral pressure)을 차단 또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ring 123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eg, rubber or silicone) compared to the diaphragm 121 and the cover 125 . The O-ring 123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absorb a force applied to the diaphragm 121 through the cover 125 from the 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block or reduce the lateral pressure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121 while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가이드 포트(127)는, 와이어(16)를 보호 및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와이어(16)보다 강성한 재질로 형성되며, 커버(125)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포트(127)는, 커버(125)의 외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이어프램(121) 및 커버(12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포트(127)는 측방에서 바라볼 때, 다이어프램(121)과는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도 11 참조). 가이드 포트(127)는, 커버(125)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이드 포트(127)의 구멍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The guide port 127 is a structure for protecting and guiding the wire 16 , is formed of a material stronger than the wire 16 , an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125 . For example, the guide port 127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cover 125 , thereby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diaphragm 121 and the cover 125 . For example, the guide port 127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diaphragm 121 when viewed from the side (see FIG. 11 ). The guide port 127 has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 125 , thereby reduc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hole of the guide port 127 .

다이어프램(121) 및 커버(125)에는, 각각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 및 커버 삽입 홀(1254)이 형성되고, 해당 구조물을 통하여, 체결 부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토압계(1)의 설치 방향에 무관하게, 다이어프램(121)이 커버(125)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and a cover insertion hole 1254 are formed in the diaphragm 121 and the cover 125, respectively, and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earth pressure gauge 1 , the diaphragm 121 can mainta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over 125 .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단면 및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and a bottom surface of a diaphrag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121)은, 센서 설치 면(1211), 플랜지(1212), 오링 삽입 홈(1213) 및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diaphragm 12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 a flange 1212 , an O-ring insertion groove 1213 , and a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

센서 설치 면(1211)은, 다이어프램(121)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센서 설치 면(1211)의 내측 면에는 센서(12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is a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iaphragm 121 , and the sensor 122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

플랜지(1212)는, 센서 설치 면(1211)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고, 센서 설치 면(121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212)는, 센서 설치 면(1211)의 둘레를 감싸며, 센서 설치 면(12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구조로 제공되어, 센서 설치 면(1211)을 향하여 측압(lateral pressure)이 전달되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플랜지(1212)는, 충분한 두께를 가지므로,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도입할 필요 없이, 플랜지(1212) 상에 다른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예: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 또는 오링 삽입 홈(1213) 등)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The flange 1212 may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 and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 The flange 1212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and is provided in a relatively thick structure compared to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so that the lateral pressure is transmitted toward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can reduce In addition, since the flange 1212 has a sufficient thickness, there is no need to introduce other additional components, and there is no need to introduce a structure (eg, a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or an O-ring) for coupling with other components on the flange 1212 . Insertion groove 1213, etc.) can be formed.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은,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을 따라서, 커버(125)의 커버 삽입 홀(1254, 도 10 참조)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은, 플랜지(1212)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다이어프램(121) 및 커버(125)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은, 다이어프램(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커버 삽입 홀(1254)을 관통한 체결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The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cover insertion hole 1254 (refer to FIG. 10 ) of the cover 125 along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The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may have a groove shape that is recessed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1212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121 and the cover 125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may be disposed in a radially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aphragm 121 . For example,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 and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cover insertion hole 1254 may be coupled thereto.

오링 삽입 홈(1213)은, 오링(123)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써, 예를 들면, 플랜지(1212)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is a portion into which the O-ring 123 is inserted. For example,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may have a shape of a groove recessed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1212 .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오링 삽입 홈(1213)은, 커버(125)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측압(lateral pressure)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커버(125)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오링 삽입 홈(1213)을 플랜지(1212)에 형성함으로써, 측압이 다이어프램(121)으로 전달되는 영향을 최대한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오링 삽입 홈(1213)을, 커버(125)에 형성할 경우, 오링 삽입 홈(1213)이 가이드 포트(127)에 간섭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설계 조건에 따르면, 커버(125)의 두께가 그만큼 두꺼워지게 된다. 그러나 오링 삽입 홈(1213)을, 커버(125)가 아닌 플랜지(1212)에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전체 토압계(1)의 두께를 낮추어, 좁은 공간에도 적용 가능한 토압계(1)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unlike the drawings,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may be formed in the cover 125 . However,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rigidity of the cover 125 to which the lateral pressure directly acts is lowered. Accordingly, by forming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in the flange 1212 , the effect of lateral pressure being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121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is formed in the cover 125 ,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guide port 127 . According to such design conditions, the The thickness becomes that much thicker. However, by forming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in the flange 1212 rather than the cover 125, this problem is solved, and the thickness of the entire earth pressure gauge 1 is lowered, and the earth pressure gauge 1 applicable to a narrow space. can provide

예를 들면, 오링 삽입 홈(1213)은,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오링 삽입 홈(1213)이 다이어프램 고정 홈(1214)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may be located inside the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irtightness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O-ring insertion groove 1213 is located outside the diaphragm fixing groove 1214 .

도 1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상면, 단면, 저면 및 부분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a cross-section, a bottom surface,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25)는, 지지부(1251), 외측벽(1252), 커버 고정 홀(1253), 커버 삽입 홀(1254), 내부 공간(1255) 및 설치 구멍(1256)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cover 1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1251 , an outer wall 1252 , a cover fixing hole 1253 , a cover insertion hole 1254 , an internal space 1255 and an installation hole ( 1256) may be included.

지지부(1251)는, 외측벽(1252)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플랜지(1212)의 저면에 접촉되어 다이어프램(12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51)는, 외측벽(1252)으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측벽(1252)의 내측에 수용된 다이어프램(121)을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251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er wall 1252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1212 to support the diaphragm 121 . The support part 1251 may support the diaphragm 121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wall 1252 by having a stepped shape inwardly from the outer wall 1252 .

외측벽(1252)은, 다이어프램(121) 및 커버(125)가 조립된 상태에서, 다이어프램(121)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벽(1252)으로부터 다이어프램(121)이 내측으로 이격된 이격 간격은, 0.2 mm 이상 0.3 mm 이하일 수 있다. 이격 간격이 0.2 mm 미만일 경우, 외력에 의한 외측벽(1252)의 미세 변형으로 인하여 외측벽(1252) 및 다이어프램(121)이 서로 접촉할 염려가 있다. 또한, 이격 간격이 0.3 mm를 초과할 경우, 수분이 해당 간격으로 유입되어 센서(122)의 고장 또는 부품의 부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격 간격은, 0.2 mm 이상 0.3 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경우, 다이어프램(121)이 외측벽(1252)으로부터 내측으로 0.25mm 이격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The outer wall 1252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121 in an outwar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121 and the cover 125 are assembled. For example, a spacing between the outer wall 1252 and the diaphragm 121 inward may be 0.2 mm or more and 0.3 mm or less. When the spacing is less than 0.2 mm, the outer wall 1252 and the diaphragm 121 may contact each other due to micro-deformation of the outer wall 1252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interval exceeds 0.3 m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oisture flows into the interval to cause malfunction of the sensor 122 or corrosion of parts. Accordingly, such a problem can be solved by setting the spacing to be 0.2 mm or more and 0.3 mm or less. 9 to 11 , an example in which the diaphragm 121 is spaced apart by 0.25 mm inward from the outer wall 1252 is shown.

한편,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121) 및 외측벽(1252) 사이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에, 유연 부재(예: 고무 또는 실리콘)(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격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여 외측벽(1252)으로부터 다이어프램(121)으로 직접적인 힘의 전달을 방지하면서도, 수분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for example, a flexible member (eg, rubber or silicone)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a space spaced apart in the radial direction between the diaphragm 121 and the outer wall 1252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while preventing the direct force transmission from the outer wall 1252 to the diaphragm 121 by sufficiently securing the separation distance.

커버 고정 홀(1253)은, 커버(125) 및 지그 플레이트(14)를 상호 체결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커버(125) 및 지그 플레이트(14)에는, 각각 커버 고정 홀(1253) 및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145, 도 13 참조)이 형성되고, 해당 구조물을 통하여, 체결 부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커버 고정 홀(1253)은, 토압계 본체(12)의 저면에 형성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을 따라서,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145)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토압계(1)의 설치 방향에 무관하게, 토압계 본체(12)가 지그 플레이트(14)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cover fixing hole 1253 is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cover 125 and the jig plate 14 to each other. A cover fixing hole 1253 and a jig plate insertion hole 145 (refer to FIG. 13) are formed in the cover 125 and the jig plate 14, respectively, and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tructure. there is. The cover fixing hole 125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jig plate insertion hole 145 along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earth pressure gauge 1,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jig plate 14.

커버 삽입 홀(1254)은, 지지부(1251)를 관통하여 플랜지(1212)에 고정되는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삽입 홀(1254)은,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단차진 공간으로 제공됨으로써, 커버 삽입 홀(1254)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의 헤드부가 커버(125)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버 삽입 홀(1254) 및 커버 고정 홀(1253)은 상호 오버랩 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고정 홀(1253)은, 상호 인접한 2개의 커버 삽입 홀(12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ver insertion hole 1254 may pass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fixed to the flange 1212 through the support 1251 . For example, the cover insertion hole 1254 is provided as two stepped spac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head of the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cover insertion hole 1254 does not protrude downward of the cover 125 . can The cover insertion hole 1254 and the cover fixing hole 1253 may be formed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ver fixing hole 1253 may be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cover insertion holes 1254 .

내부 공간(1255)은, 센서(122)를 감싸는 공간으로써, 지지부(1251)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센서(122) 및 와이어(16)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센서 설치 면(1211)이 변형되는 과정에서, 내부 공간(1255)에 수용된 부품들 간에 상호 물리적 간섭을 일으켜 측정 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space 1255 is a space surrounding the sensor 122 , and may have a stepped shape inward from the support 1251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by sufficiently securing a space in which the sensor 122 and the wire 16 can be accommodated, in the process of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being deformed, mutual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125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ausing interference and causing measurement error.

설치 구멍(1256)에는, 가이드 포트(127)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 구멍(1256)은, 외측벽(1252) 및 지지부(1251)를 관통하여, 내부 공간(1255)에 연통되는 구멍이다.A guide port 127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1256 . The installation hole 1256 is a hole that passes through the outer wall 1252 and the support portion 1251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1255 .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압계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arth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다이어프램(121), 센서(122) 및 커버(125)가 조립된 상태에서, 센서 설치 면(1211)이, 나머지 부분보다 돌출된 형상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하중이 플랜지(1212)에 의해 간섭되어, 센서 설치 면(1211)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압력 측정에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121 , the sensor 122 , and the cover 125 are assembled, it can be seen that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has a protruding shape than the rest. Through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load to be measured is interfered with by the flange 1212 and is not properly transmitted to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1211, thus reducing the problem of generating an error in pressure measurement can give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그 플레이트(외측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측 하우징의 상면, 단면 및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jig plate (out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a cross section, and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그 플레이트(14)는, 베이스(141), 수용 공간(142), 돌출부(143),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145) 및 포트 삽입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12 and 13 , the jig plate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se 141 , an accommodation space 142 , a protrusion 143 , a jig plate insertion hole 145 and a port insertion part 146 . ) may be included.

베이스(141)는, 토압계 본체(12)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141)는, 토압계 본체(12)의 저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141 ma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 The base 141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

수용 공간(142)은, 돌출부(143)의 내측에 위치하고, 토압계(1)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142)은, 토압계(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ccommodation space 142 is located inside the protrusion 143 and can accommodate the earth pressure gauge 1 . For example, the accommodation space 14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1 .

돌출부(143)는, 토압계 본체(12)를 둘러싸며, 토압계 본체(12)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143)에 의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 즉, 측압(lateral pressure)에 의해 전달되는 힘이 직접적으로 다이어프램(12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압계 본체(12)는, 돌출부(143)로부터 내측으로 0.2 mm 이상 1 mm 이하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격 간격이 0.2 mm 미만일 경우, 외력에 의한 돌출부(143)의 미세 변형으로 인하여 돌출부(143) 및 토압계 본체(12)가 서로 접촉할 염려가 있다. 또한, 이격 간격이 1 mm를 초과할 경우, 흙 등의 건축재료가 해당 간격으로 유입되어 돌출부(143)로부터 토압계 본체(12)로 압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간격은, 0.2 mm 이상 1 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의 경우, 토압계 본체(12)가 돌출부(143)로부터 내측으로 0.5mm 이격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The protrusion 143 surrounds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 According to such a protrusion 143, the force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that is, the force transmitted by the lateral pressu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121. there is. For example,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143 inward by 0.2 mm or more and 1 mm or less. When the spacing is less than 0.2 mm, there is a fear that the protrusion 143 and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micro-deformation of the protrusion 143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interval exceeds 1 mm, the building material such as soil is introduced into the interval and can function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pressure from the protrusion 143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 Accordingly, such a problem can be solved by setting the spacing to be 0.2 mm or more and 1 mm or less. In the case of FIGS. 10 to 13 ,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shows an example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143 inward by 0.5 mm.

한편, 예를 들어, 토압계 본체(12) 및 돌출부(143)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유연 부재(예: 고무 또는 실리콘)(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격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여, 돌출부(143)로부터 토압계 본체(12)로 직접적인 힘의 전달을 방지하면서도, 이물질의 유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for example, a flexible member (eg, rubber or silicone)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a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and the protrusion 143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while ensuring a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to prevent direct force transmission from the protrusion 143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

돌출부(143)는, 예를 들어,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이 토압계 본체(12)에 전달되기 전에 분산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143)는, 베이스(141)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4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143 may have an inclined shape so that, for example, a force transmit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ressure to be measured is distributed before being transmitted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143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432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from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141 .

경사면(1432)에 의하면, 토압계 본체(12)의 측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경사면(1432)에 수평한 방향으로는 분산되고, 경사면(143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즉, 경사면(1432)의 수직 항력 방향)으로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토압계 본체(12)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측압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41)에 대한 경사면(1432)의 각도(θ)는, 45도 미만일 수 있다. 경사면(1432)의 각도(θ)가 45도 미만일 때, 측압(lateral pressure)의 분산 정도가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경사면(1432)의 각도(θ)가 30도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음을 밝혀 둔다. According to the inclined surface 1432 ,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sid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main body 12 is distributed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inclined surface 1432 , 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1432 (ie, inclined surface 1432 ). in the direction of normal drag). Accordingly, the lateral pressur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can be remarkably reduced. For example, 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1432 with respect to the base 141 may be less than 45 degrees. When 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1432 is less than 45 degrees, the degree of dispersion of lateral pressure may significantly increase. It should be noted that FIGS. 11 to 13 exemplarily illustrate a case where 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1432 is 30 degrees.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145)은, 베이스(141)를 관통하여 토압계 본체(12)에 고정되는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145)은,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단차진 공간으로 제공됨으로써,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145)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의 헤드부가 지그 플레이트(14)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jig plate insertion hole 145 may pass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fixed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through the base 141 . For example, the jig plate insertion hole 145 is provided as two stepped spac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head of the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jig plate insertion hole 145 protrudes below the jig plate 14 . can make it not happen.

포트 삽입부(146)는, 가이드 포트(127)가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부(143)의 일측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포트 삽입부(146)는, 돌출부(143)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 공간(142) 및 외부를 측방으로 연통되게 할 수 있다. 포트 삽입부(146)는, 가이드 포트(127)의 삽입 공간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토압계 본체(12)가 지그 플레이트(14)에 결합시킬 때,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145) 및 커버 고정 홀(1253, 도 10 참조)이 상호 정렬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토압계(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ort insertion part 146 may be recessed in one side of the protrusion part 143 so that the guide port 127 can be inserted. The port insertion part 146 may be formed in a shape penetrating the protrusion 143 ,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142 and the outside laterally. The port insertion part 146 not only functions as an insertion space of the guide port 127, but also when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12 is coupled to the jig plate 14, the jig plate insertion hole 145 and the cover fixing hole (1253, see Fig. 10) also performs a function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it can help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earth pressure gauge (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측압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토압계의 외부면으로부터, 센서가 장착되는 다이어프램까지의 압력 전달 경로를 구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측압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토압계의 외부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토압계의 측방으로부터 다이어프램까지 전달되는 힘을 줄여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상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측정 대상이 아닌 측압이 실제 측정 값에 미치는 영향을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토압계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transmission pa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to which the lateral pressur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to which the sensor is mounted may be structurally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id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to the diaphragm by the external force may be reduced by dispersing the force by forming the external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to which the lateral pressure is directly transmitted to be inclined.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effect of the lateral pressure, which is not the measurement target, on the actual measurement value can be remarkably reduced,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arth pressure gauge.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structures, devices,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re us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1: 토압계
12: 토압계 본체(내측 하우징)
121: 다이어프램
1211: 센서 설치 면
1212: 플랜지
1213: 오링 삽입 홈
1214: 다이어프램 고정 홈
122: 센서
123: 오링(O-ring)
125: 커버
1251: 지지부
1252: 외측벽
1253: 커버 고정 홀
1254: 커버 삽입 홀
1255: 내부 공간
1256: 설치 구멍
127: 가이드 포트
14: 지그 플레이트(외측 하우징)
141: 베이스
142: 수용 공간
143: 돌출부
1432: 경사면
145: 지그 플레이트 삽입 홀
146: 포트 삽입부
16: 와이어
1: earth pressure gauge
12: Earth pressure gauge body (inner housing)
121: diaphragm
1211: sensor mounting surface
1212: flange
1213: O-ring insertion groove
1214: diaphragm fixing groove
122: sensor
123: O-ring (O-ring)
125: cover
1251: support
1252: outer wall
1253: cover fixing hole
1254: cover insertion hole
1255: interior space
1256: installation hole
127: guide port
14: Jig plate (outer housing)
141: base
142: accommodation space
143: protrusion
1432: slope
145: jig plate insertion hole
146: port insert
16: wire

Claims (5)

토압계 본체; 및
상기 토압계 본체를 둘러싸며, 상기 토압계 본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압계 본체는,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센서 설치 면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센서 설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설치 면의 변형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격된 외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어프램과 함께, 상기 센서를 감싸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축을 따라 상기 토압계 본체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이 상기 토압계 본체에 전달되기 전에 분산되도록,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갈수록 경사진 형상을 갖고,
상기 토압계 본체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토압계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및
가이드 포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포트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토압계.
earth pressure gauge body; and
Surrounding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nd having a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 diaphragm having a sensor mounting surfac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a sensor installed on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to detect a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sensor installation surface; and
A cover having an outer wall spaced outwardly from the diaphragm and forming a space surrounding the sensor together with the diaphragm,
The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lo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and the force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to be measured is distributed before being transmitted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It has an inclined shape from the outside toward the center,
a base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n accommodating space located inside the protrusion and accommodating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nd
Earth pressure gauge further comprising a port insertion portion recess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guide port can be inser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토압계.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from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압계 본체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압계 본체 및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토압계 본체로 직접적인 힘의 전달을 방지하면서도,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유연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계.
According to claim 1,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 wire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to the outside;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 for guiding the wire,
A flexible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while preventing direct force transmission from the protrusion to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is installed in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earth pressure gauge body and the protrusion.
KR1020210082289A 2021-06-24 2021-06-24 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KR1023684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89A KR102368454B1 (en) 2021-06-24 2021-06-24 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89A KR102368454B1 (en) 2021-06-24 2021-06-24 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454B1 true KR102368454B1 (en) 2022-02-25

Family

ID=8049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89A KR102368454B1 (en) 2021-06-24 2021-06-24 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45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71A (en) * 1995-06-30 1997-01-17 Minebea Co Ltd Earth pressure meter
JPH11248567A (en) * 1998-03-02 1999-09-17 Minebea Co Ltd Earth pressure gauge
KR100413007B1 (en) 2001-05-15 2003-12-31 주식회사 제이씨계측 Soil Pressure Gauge of Strain Gauge Ty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71A (en) * 1995-06-30 1997-01-17 Minebea Co Ltd Earth pressure meter
JPH11248567A (en) * 1998-03-02 1999-09-17 Minebea Co Ltd Earth pressure gauge
KR100413007B1 (en) 2001-05-15 2003-12-31 주식회사 제이씨계측 Soil Pressure Gauge of Strain Gauge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657B2 (en) Inclinometer system
US11828632B2 (en) Ultrasonic sensor arrangement for flow measurements having a coupling element
KR102368454B1 (en) Out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JP2007205740A (en) Tiltmeter using fbg optical fiber sensor
KR102349086B1 (en) Inner housing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gauge
US20040200292A1 (en) Pressure converter
US20150013467A1 (en) Pressure sensor
EP3546911B1 (en) Force sensor
KR20150047237A (en) Float protection type water level detecting sensor
KR101949419B1 (en)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seismometer
JPS6221117B2 (en)
JP3924361B2 (en) Pressure transmitter
BR102022001035A2 (en) PRESSURE SENSOR
US10948298B2 (en) Inertial unit with suspended inertial device
KR20230017521A (en) Sensing module for underground inclinometer and multi-function underground inclinometer including same
KR20120109185A (en) A connecting structure of sensor cable and its connecting method
KR102046526B1 (en) Pressure sensor
KR950009159Y1 (en) Protector cover of load cell
KR20150131439A (en)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KR200496855Y1 (en) Instrument case having a separable battery package of measuring instrument for monitoring pipeling condition
KR20230001208U (en) Instrument case for underground laying type measuring instrument
US11808614B2 (en) Field device
CN114323373B (en) Sensor for measuring vertical and lateral effective stress of saturated soil
CN215492157U (en) Anchor cable stress sensor
KR102655151B1 (en) Weight measur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