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404B1 -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404B1
KR102368404B1 KR1020210085024A KR20210085024A KR102368404B1 KR 102368404 B1 KR102368404 B1 KR 102368404B1 KR 1020210085024 A KR1020210085024 A KR 1020210085024A KR 20210085024 A KR20210085024 A KR 20210085024A KR 102368404 B1 KR102368404 B1 KR 102368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p
inner cap
outer cap
dr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to KR102021008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01L3/0272Droppe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된 목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용기체결관부와 상기 용기체결관부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중앙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된 내캡천장면부를 구비한 내캡바디부와 상기 연락공의 외측에서 상기 내캡천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피스톤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연락공이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용기체결관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캡과, 둘레면이 상기 피스톤안내관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피스톤안내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단이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안내관부 사이공간에 연통하고 하단이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스포이드관과, 버튼바닥면부와 상기 버튼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버튼측면부와 상기 버튼바닥면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가압기둥을 가지고 상기 가압기둥을 통해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도록 상기 내캡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과 버튼노출개구가 형성된 외캡바닥면부와 상기 외캡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외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노출개구를 통해 상기 버튼바닥면부가 노출되고 상기 외캡측면부가 상기 내캡을 둘러싸고 상기 내캡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외캡과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노출개구를 넘어 상승하도록 상기 버튼을 상기 내캡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버튼지지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내캡을 상기 목부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력을 내캡결합회전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내캡결합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내캡에 제공하고 상기 버튼을 상기 내캡을 향해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력을 버튼하강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버튼하강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버튼에 제공하고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력을 버튼상승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하강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버튼상승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버튼에 제공하고 상기 내캡을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내캡분리회전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내캡분리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내캡에 제공하는 흡배출작동부를 갖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단에, 하측수평안내면과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의 좌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경사안내면과 상기 경사안내면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에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 상측수평안내면을 각각 갖도록 상기 버튼측면부의 외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양각안내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측면부는 하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승강안내홈이 절취형성되고; 상기 외캡은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하단은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버튼에 버튼하강력이 제공되고 상기 버튼이 하강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상기 버튼에 상기 버튼상승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외캡측면부의 내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외캡승강안내돌부와, 상기 외캡측면부의 내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상기 외캡승강안내돌부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외캡회전안내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캡결합회전력은 상기 내캡과 상기 버튼 사이의 탄성지지상태와 상기 외캡승강안내돌부와 상기 하측수평안내면 사이의 접촉상태에 의해 상기 내캡에 제공되고; 상기 내캡은 상기 승강안내홈에 진입하여 상기 버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내캡바디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승강안내벽부와, 상기 내캡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회전안내돌부와 작용하여 상기 내캡에 상기 내캡분리회전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내캡회전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내캡에 큰 내캡분리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흡배출조작이 용이하고 흡배출작동부의 구조가 간단해 진다..

Description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Spuit Typ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캡의 회전조작을 통해 필요한 양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분말, 액체, 겔(gel) 또는 크림(cream), 고체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각 형태와 용도에 적합한 화장품용기에 저장된다.
화장품용기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금씩 배출시켜 사용하게 되며, 이를 위해 화장품용기에는 스포이드 타입, 주사기 타입, 펌프 타입등과 같은 화장품배출수단이 구비된다.
스포이드 타입의 화장품배출수단은 실험실 등에서 실험액 등을 분급(分給)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스포이드(spuit)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액적 형태로 소량씩 배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예정된 액상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화장품용기에 주로 사용된다.
스포이드 타입의 화장품배출수단에 따르면 대략적으로 정량 배출이 가능해 지지만, 사용자의 가압조작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양이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캡의 회전조작을 통해 필요한 양을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3은 종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4는 종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15 및 도16은 각각 종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7은 종래 내캡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바디부(111)와 용기바디부(111)의 상단에 형성된 목부(112)를 구비한 용기부(110)와, 목부(112)의 내부에 설치된 걸름부재(171)와, 목부(112)에 나사 결합되는 내캡(120)과, 내캡(120)에 설치된 피스톤(172) 및 관형태의 스포이드관지지부재(174)와, 용기바디부(11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스포이드관(173)과, 내캡(120)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140)을 구비한 흡배출작동부를 갖고 있다.
목부(112)는 외표면 하단에 스토퍼돌기(112a)가 형성된다.
내캡(120)은 요형(凹形)의 내캡바디부(130)와, 내캡바디부(130)에서 연장 형성된 피스톤안내관부(121)와, 피스톤안내관부(121)의 외표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안내리브(129)를 갖고 있다.
내캡바디부(130)는 용기체결관부(131)와, 용기체결관부(131)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내캡천장면부(132)를 갖고 있다.
용기체결관부(131)는 외표면 하단에 외캡회전보조홈(131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캡천장면부(132)와의 연결 영역에는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내캡회전안내홈(13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체결관부(131)는 내표면 하단에 스토퍼홀더(131c)가 형성된다.
스토퍼홀더(131c)는 한 쌍의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내캡천장면부(132)는 중앙영역에 연락공(132a)이 형성된다.
피스톤안내관부(121)는 연락공(132a)의 외측에서 내캡천장면부(13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캡(120)은 연락공(132a)이 용기바디부(111)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용기체결관부(131)를 통해 목부(112)에 나사 결합된다.
스포이드관지지부재(174)는 내표면 상단에 스포이드체결홈(174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스포이드관지지부재(174)는 피스톤(172)과 피스톤안내관부(121) 사이공간에 설치된다.
피스톤(172)은 둘레면이 피스톤안내관부(121)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피스톤안내관부(1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스포이드관(173)은 직선상의 스포이드관바디부(173a)와, 스포이드관바디부(173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스포이드관플랜지(173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포이드관(173)은 스포이드관바디부(173a)의 상단이 피스톤(172)과 피스톤안내관부(121) 사이공간에 연통하고 스포이드관바디부(173a)의 하단이 용기바디부(11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스포이드관(173)의 설치는 스포이드관플랜지(173b)가 스포이드체결홈(174a)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흡배출작동부는 버튼(140)에 더하여 내캡(12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캡(150)과, 버튼(140)을 내캡(120)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버튼지지스프링(161)을 갖고 있다.
버튼(140)은 버튼바닥면부(141)와, 버튼바닥면부(14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버튼측면부(142)와, 버튼바닥면부(141)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가압기둥(143)과, 버튼측면부(142)의 외표면에 형성된 양각안내벽부(144)를 갖고 있다.
버튼측면부(142)는 외표면 하단에 버튼이탈방지돌부(145)가 형성된다.
가압기둥(143)은 버튼측면부(142)의 하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된다.
양각안내벽부(144)는 상단에 경사안내면(144b)과, 경사안내면(144b)의 좌측단으로부터 버튼바닥면부(141)에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 수평안내면(144a)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140)은 가압기둥(143)을 통해 피스톤(172)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외캡(150)은 버튼노출개구(151a)가 형성된 외캡바닥면부(151)와, 외캡바닥면부(15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외캡측면부(152)와, 외캡측면부(152)의 내표면에 형성된 외캡승강안내돌부(153), 외캡회전안내돌부(157) 및 외캡회전보조돌부(155)를 갖고 있다.
외캡승강안내돌부(153)는 외캡(150)을 회전조작할 때 하단이 경사안내면(144b)과 수평안내면(144a)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외캡회전안내돌부(157)는 내캡회전안내홈(131b)에 진입하도록 하단이 절곡되어 있다.
외캡회전보조돌부(155)는 외캡회전보조홈(131a)에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캡(150)은 버튼노출개구(151a)를 통해 버튼바닥면부(141)가 노출되고 외캡측면부(152)가 내캡(12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외캡(150)은 외캡회전보조돌부(155), 외캡회전보조홈(131a), 외캡측면부(152)의 내표면과 피스톤안내관부(121)의 외표면에 나누어 형성된 요철결합구조에 의해 내캡(1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버튼지지스프링(161)은 내캡천장면부(132)의 상면과 버튼측면부(142)의 하단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버튼지지스프링(161)은 버튼(140)이 버튼노출개구(151a)를 넘어 상승하도록 버튼(140)을 내캡(120)에 대해 탄성지지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흡배출작동부의 동작을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캡(120), 버튼(140) 및 외캡(150)은 용기부(110)에서 분리되어 있고 외캡회전안내돌부(157)는 내캡회전안내홈(131b)의 우측단에 접근해 있고 외캡승강안내돌부(153)는 하단이 경사안내면(144b)의 우측단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즉,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버튼(140)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1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외캡(1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내캡(120)과 버튼(140) 사이의 탄성지지상태와 외캡승강안내돌부(153)와 수평안내면(144a) 사이의 접촉상태에 의해 내캡결합회전력이 내캡(120)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내캡(120)은 버튼(140)이 상승된 상태로 목부(112)에 결합된다(도18 참조). 내캡결합회전력은 내캡(120)을 목부(112)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력을 의미한다.
다음에 버튼(140)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120)이 목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1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승강안내돌부(153)의 하단이 경사안내면(144b)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버튼(140)에 버튼하강력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내캡(120)이 목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140)은 하강한다. 버튼하강력은 버튼(140)을 내캡(120)을 향해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력을 의미한다.
외캡승강안내돌부(153)가 경사안내면(144b)을 넘어 수평안내면(144a)에 도달했다는 사실은 버튼(140)의 하강위치를 보고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외캡승강안내돌부(153)의 하단이 수평안내면(144a)에 도달할 때 외캡회전안내돌부(157)는 내캡회전안내홈(131b)의 좌측단에 도달한다.
다음에 내캡(120)이 목부(112)에 나사결합되고 버튼(140)이 하강한 상태에서 외캡(1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캡회전안내돌부(157)가 내캡회전안내홈(131b)의 좌측단을 가압하여 내캡(120)에 외캡(150)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홀더(131c)에 스토퍼돌기(112a)가 구속된다.
다음에 스토퍼홀더(131c)에 스토퍼돌기(112a)가 구속되고 버튼(140)이 하강위치에 있고 내캡(120)이 목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1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승강안내돌부(153)의 하단이 경사안내면(144b)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버튼(140)에 버튼상승력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내캡(120)이 목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140)은 원위치로 상승한다. 버튼상승력은 버튼(140)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력을 의미한다. 버튼(140)은 원위치로 상승하는 동안 피스톤(172)과 피스톤안내관부(121) 사이공간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용기바디부(111)에 저장된 화장품은 스포이드관(173)을 통해 피스톤(172)과 피스톤안내관부(121) 사이공간에 유입된다.
외캡승강안내돌부(153)의 하단이 경사안내면(144b)의 우측단에 도달할 때 외캡회전안내돌부(157)는 내캡회전안내홈(131b)의 우측단에 도달한다.
다음에 스토퍼홀더(131c)에 스토퍼돌기(112a)가 구속되고 버튼(140)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120)이 목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1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회전안내돌부(157)가 내캡회전안내홈(131b)의 우측단을 가압하여 외캡(150)의 회전력이 내캡(120)에 제공되어 스토퍼홀더(131c)에 대한 스토퍼돌기(112a)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에 스토퍼홀더(131c)에 대한 스토퍼돌기(112a)의 구속상태가 해제되고 버튼(140)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120)이 목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1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회전안내돌부(157)가 내캡회전안내홈(131b)의 우측단을 가압하여 내캡(120)에 내캡분리회전력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버튼(140)이 상승된 상태로 내캡(120)이 목부(112)로부터 분리된다. 내캡분리회전력은 내캡(120)을 목부(112)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의미한다.
버튼(140)이 상승된 상태로 내캡(120)이 목부(112)로부터 분리되면 버튼(140)을 가압하는 동작(반복가압 동작 포함)에 의해 피스톤(172)과 피스톤안내관부(121) 사이공간에 저장된 화장품은 스포이드관(17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따르면, 외캡회전안내돌부(157)의 절곡부분이 내캡회전안내홈(131b)의 우측단을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내캡분리회전력이 내캡(120)에 제공되기 때문에 내캡(120)에 큰 내캡분리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버튼(140)에 버튼상승력을 제공하기 전에 외캡(1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홀더(131c)에 스토퍼돌기(112a)를 구속시키는 단계와 내캡(120)에 내캡분리회전력을 제공하기 전에 외캡(1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홀더(131c)에 대한 스토퍼돌기(112a)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흡배출조작이 어렵고 흡배출작동부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0366호(공개일자: 2020년 08월 26일, 발명의 명칭: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캡에 큰 내캡분리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흡배출조작이 용이하고 흡배출작동부의 구조가 간단한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된 목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용기체결관부와 상기 용기체결관부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중앙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된 내캡천장면부를 구비한 내캡바디부와 상기 연락공의 외측에서 상기 내캡천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피스톤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연락공이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용기체결관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캡과, 둘레면이 상기 피스톤안내관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피스톤안내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단이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안내관부 사이공간에 연통하고 하단이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스포이드관과, 버튼바닥면부와 상기 버튼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버튼측면부와 상기 버튼바닥면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가압기둥을 가지고 상기 가압기둥을 통해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도록 상기 내캡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과 버튼노출개구가 형성된 외캡바닥면부와 상기 외캡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외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노출개구를 통해 상기 버튼바닥면부가 노출되고 상기 외캡측면부가 상기 내캡을 둘러싸고 상기 내캡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외캡과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노출개구를 넘어 상승하도록 상기 버튼을 상기 내캡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버튼지지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내캡을 상기 목부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력을 내캡결합회전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내캡결합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내캡에 제공하고 상기 버튼을 상기 내캡을 향해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력을 버튼하강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버튼하강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버튼에 제공하고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력을 버튼상승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하강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버튼상승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버튼에 제공하고 상기 내캡을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내캡분리회전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내캡분리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내캡에 제공하는 흡배출작동부를 갖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단에, 하측수평안내면과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의 좌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경사안내면과 상기 경사안내면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에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 상측수평안내면을 각각 갖도록 상기 버튼측면부의 외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양각안내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측면부는 하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승강안내홈이 절취형성되고; 상기 외캡은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하단은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버튼에 버튼하강력이 제공되고 상기 버튼이 하강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상기 버튼에 상기 버튼상승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외캡측면부의 내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외캡승강안내돌부와, 상기 외캡측면부의 내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상기 외캡승강안내돌부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외캡회전안내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캡결합회전력은 상기 내캡과 상기 버튼 사이의 탄성지지상태와 상기 외캡승강안내돌부와 상기 하측수평안내면 사이의 접촉상태에 의해 상기 내캡에 제공되고; 상기 내캡은 상기 승강안내홈에 진입하여 상기 버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내캡바디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승강안내벽부와, 상기 내캡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회전안내돌부와 작용하여 상기 내캡에 상기 내캡분리회전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내캡회전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외캡승강안내돌부가 상측수평안내면에 도달했다는 사실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내캡은 상기 내캡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캡회전안내돌부는 상기 외캡승강안내돌부가 상기 경사안내면을 넘어 상기 상측수평안내면에 도달할 때 상기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를 타고 넘어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포이드관의 설치구조가 간단해지도록, 상기 내캡은 상기 연락공과 상기 피스톤안내관부 사이에서 상기 내캡천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표면에는 스포이드체결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포이드관지지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이드관은 직선상의 스포이드관바디부와 상기 스포이드관바디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스포이드관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스포이드관플랜지가 상기 스포이드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튼의 누름조작이 용이해지고 버튼지지스프링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튼지지스프링은 상기 내캡천장면부의 상면 중 상기 피스톤안내관부의 외측 영역과 상기 버튼바닥면부의 내표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품의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기둥은 상기 버튼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캡측면부의 내표면에 한 쌍의 외캡회전안내돌부를 형성하고 내캡바디부의 외표면에 내캡회전안내면을 형성하여,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이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회전안내돌부가 내캡회전안내면을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내캡분리회전력이 내캡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큰 내캡분리회전력을 안정적으로 내캡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흡배출조작이 용이하고(종래와 달리 버튼에 버튼상승력을 제공하기 전에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홀더에 스토퍼돌기를 구속시키는 단계와 내캡에 내캡분리회전력을 제공하기 전에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홀더에 대한 스토퍼돌기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단계가 없음), 흡배출작동부의 구조가 간단해진다(종래의 스토퍼홀더와 스토퍼돌기가 필요 없음).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종단면도,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기부에서 분리된 내캡, 버튼 및 외캡 영역의 단면도,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내캡, 버튼 및 외캡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캡을 분할하여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을 분할하여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캡을 분할하여 도시한 도면,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종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결합사시도,
도14는 종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종단면도,
도15 및 도16은 각각 종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17은 종래 내캡의 사시도,
도18은 종래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기부에서 분리된 내캡, 버튼 및 외캡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의 내캡, 버튼 및 외캡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캡을 분할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을 분할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캡을 분할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바디부(11)와 용기바디부(11)의 상단에 형성된 목부(12)를 구비한 용기부(10)와, 목부(12)의 내부에 설치된 걸름부재(71)와, 목부(12)에 나사 결합되는 내캡(20)과, 내캡(20)에 설치된 피스톤(72)과, 용기바디부(1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스포이드관(73)과, 내캡(20)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40)을 구비한 흡배출작동부를 갖고 있다.
내캡(20)은 요형(凹形)의 내캡바디부(30)와, 내캡바디부(30)에서 연장 형성된 피스톤안내관부(21) 및 스포이드관지지관부(22)와, 내캡바디부(30)에 형성된 한 쌍의 승강안내벽부(23), 한 쌍의 내캡회전안내면(25) 및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24)를 갖고 있다.
내캡바디부(30)는 용기체결관부(31)와, 용기체결관부(31)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내캡천장면부(32)와, 내캡천장면부(3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관부(33)를 갖고 있다.
용기체결관부(31)는 외표면 하단에 외캡회전보조홈(31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내캡천장면부(32)는 중앙영역에 연락공(32a)이 형성된다.
보조관부(33)는 피스톤안내관부(21)의 외측에서 후술하는 버튼측면부(42)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피스톤안내관부(21)는 연락공(32a)의 외측에서 내캡천장면부(3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스포이드관지지관부(22)는 연락공(32a)과 피스톤안내관부(21) 사이에서 내캡천장면부(3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스포이드관지지관부(22)는 내표면 상단에 스포이드체결홈(22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 쌍의 승강안내벽부(23)는 후술하는 승강안내홈(42a)에 진입하여 버튼(40)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도록 보조관부(33)의 상단에 형성된다.
한 쌍의 내캡회전안내면(25)은 보조관부(33)의 외표면에 형성된다.
한 쌍의 내캡회전안내면(25)은 버튼(40)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외캡(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회전안내돌부(57)와 작용하여 내캡(20)에 내캡분리회전력을 제공한다. 내캡분리회전력은 내캡(20)을 목부(12)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의미한다.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24)는 보조관부(33)의 외표면에 형성된다.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24)의 형성은 외캡승강안내돌부(53)가 상측수평안내면(44c)에 도달할 때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24)를 타고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캡(20)은 연락공(32a)이 용기바디부(11)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용기체결관부(31)를 통해 목부(12)에 나사 결합된다.
피스톤(72)은 둘레면이 피스톤안내관부(21)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피스톤안내관부(21)의 내부에 설치된다.
피스톤(72)은 버튼(40)이 하강할 때 스포이드관지지관부(2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간섭회피홈(72a)이 저면에 절취 형성된다.
스포이드관(73)은 직선상의 스포이드관바디부(73a)와, 스포이드관바디부(73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스포이드관플랜지(73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포이드관(73)은 스포이드관바디부(73a)의 상단이 피스톤(72)과 피스톤안내관부(21) 사이공간에 연통하고 스포이드관바디부(73a)의 하단이 용기바디부(11)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스포이드관(73)의 설치는 스포이드관플랜지(73b)가 스포이드체결홈(22a)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흡배출작동부는 버튼(40)에 더하여 내캡(2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캡(50)과, 버튼(40)을 내캡(20)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버튼지지스프링(61)을 갖고 있다.
버튼(40)은 버튼바닥면부(41)와, 버튼바닥면부(4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버튼측면부(42)와, 버튼바닥면부(41)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가압기둥(43)과, 버튼측면부(42)의 외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양각안내벽부(44)를 갖고 있다.
버튼측면부(42)는 하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승강안내홈(42a)이 절취 형성된다.
가압기둥(43)은 버튼측면부(42)의 하단을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각 양각안내벽부(44)는 상단에 하측수평안내면(44a)과, 하측수평안내면(44a)의 좌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경사안내면(44b)과, 경사안내면(44b)의 좌측단으로부터 하측수평안내면(44a)에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 상측수평안내면(44c)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40)은 가압기둥(43)을 통해 피스톤(72)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외캡(50)은 버튼노출개구(51a)가 형성된 외캡바닥면부(51)와, 외캡바닥면부(5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외캡측면부(52)와, 외캡측면부(52)의 내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외캡승강안내돌부(53), 한 쌍의 외캡회전안내돌부(57) 및 한 쌍의 버튼경사제한돌부(56)와, 외캡측면부(52)의 내표면 하단에 형성된 외캡회전보조돌부(55)를 갖고 있다.
각 외캡승강안내돌부(53)는 상측의 폭이 넓고 하측의 폭이 좁은 기역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 쌍의 외캡승강안내돌부(53)는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되고 버튼(40)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 하단(상측의 폭이 넓은 부분의 하단)이 상측수평안내면(44c)에 접촉하고,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되고 버튼(40)이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외캡(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하단이 경사안내면(44b)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버튼(40)에 버튼상승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버튼상승력은 버튼(40)을 하강위치에서 원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한 쌍의 외캡승강안내돌부(53)는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되고 버튼(40)이 상승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하측수평안내면(44a)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외캡승강안내돌부(53)는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되고 버튼(40)이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외캡(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하단이 경사안내면(44b)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버튼(40)에 버튼하강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버튼하강력은 버튼(40)을 내캡(20)을 향해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력을 의미한다.
한 쌍의 외캡회전안내돌부(57)는 외캡측면부(52)의 내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외캡승강안내돌부(53)에 나란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버튼경사제한돌부(56)는 외캡(50)과 버튼(40)사이의 이격거리를 일부영역에서 줄여 사용자가 버튼(40)의 가장자리를 가압할 때 발생하는 버튼(40)의 경사각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외캡회전보조돌부(55)는 외캡회전보조홈(31a)에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캡(50)은 버튼노출개구(51a)를 통해 버튼바닥면부(41)가 노출되고 외캡측면부(52)가 내캡(2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외캡(50)은 외캡회전보조돌부(55)와 외캡회전보조홈(31a)에 의해 내캡(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버튼지지스프링(61)은 내캡천장면부(32)의 상면 중 보조관부(33)와 피스톤안내관부(21) 사이영역과 버튼바닥면부(41)의 내표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버튼지지스프링(61)은 버튼(40)이 버튼노출개구(51a)를 넘어 상승하도록 버튼(40)을 내캡(20)에 대해 탄성지지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흡배출작동부의 동작을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캡(20), 버튼(40) 및 외캡(50)은 용기부(10)에서 분리되어 있고, 한 쌍의 외캡승강안내돌부(53)는 각각 하단이 하측수평안내면(44a)에 접촉한 것으로(버튼이 상승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버튼(40)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외캡(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내캡(20)과 버튼(40) 사이의 탄성지지상태와 외캡승강안내돌부(53)와 하측수평안내면(44a) 사이의 접촉상태에 의해 내캡결합회전력이 내캡(20)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내캡(20)은 버튼(40)이 상승된 상태로 목부(12)에 결합된다(도11 참조).
다음에 버튼(40)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승강안내돌부(53)의 하단이 경사안내면(44b)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버튼(40)에 버튼하강력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40)은 하강한다.
외캡승강안내돌부(53)가 경사안내면(44b)을 넘어 상측수평안내면(44c)에 도달했다는 사실은 버튼(40)의 하강위치를 보고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캡회전안내돌부(57)가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24)를 타고 넘어갈 때 나는 소리를 듣고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버튼(40)이 하강위치에 있고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승강안내돌부(53)의 하단이 경사안내면(44b)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버튼(40)에 버튼상승력이 제공되고(도12a 참조), 이에 따라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40)은 원위치로 상승한다. 버튼(40)은 원위치로 상승하는 동안 피스톤(72)과 피스톤안내관부(21) 사이공간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용기바디부(11)에 저장된 화장품은 스포이드관(73)을 통해 피스톤(72)과 피스톤안내관부(21) 사이공간에 유입된다.
다음에 버튼(40)이 상승위치에 있고(외캡승강안내돌부가 하측수평안내면에 접촉하고)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도12b 참조) 외캡회전안내돌부(57)가 내캡회전안내면(25)을 가압하여 내캡(20)에 내캡분리회전력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버튼(40)이 상승된 상태로 내캡(20)이 목부(12)로부터 분리된다.
버튼(40)이 상승된 상태로 내캡(20)이 목부(12)로부터 분리되면 버튼(40)을 가압하는 동작(반복가압 동작 포함)에 의해 피스톤(72)과 피스톤안내관부(21) 사이공간에 저장된 화장품은 스포이드관(7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캡측면부(52)의 내표면에 한 쌍의 외캡회전안내돌부(57)를 형성하고 내캡바디부(30)의 외표면에 내캡회전안내면(25)을 형성하여, 버튼(40)이 상승위치에 있고 내캡(20)이 목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캡회전안내돌부(57)가 내캡회전안내면(25)을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내캡분리회전력이 내캡(20)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큰 내캡분리회전력을 안정적으로 내캡(2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흡배출조작이 용이하고(종래와 달리 버튼에 버튼상승력을 제공하기 전에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홀더에 스토퍼돌기를 구속시키는 단계와 내캡에 내캡분리회전력을 제공하기 전에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홀더에 대한 스토퍼돌기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단계가 없음), 흡배출작동부의 구조가 간단해진다(종래의 스토퍼홀더와 스토퍼돌기가 필요 없음).
그리고 외캡승강안내돌부(53)가 상측수평안내면(44c)에 도달할 때 타고 넘어가도록 보조관부(33)의 외표면에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24)를 형성함으로써, 외캡승강안내돌부(53)가 경사안내면(44b)을 넘어 상측수평안내면(44c)에 도달했다는 사실은 버튼(40)의 하강위치를 보고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캡회전안내돌부(57)가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24)를 타고 넘어갈 때 나는 소리를 듣고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캡천장면부(3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스포이드관지지관부(22) 연장 형성하고 스포이드관지지관부(22) 체결되도록 스포이드관(73)을 설치함으로써, 스포이드관(73)의 설치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내캡천장면부(32)의 상면 중 피스톤안내관부(21)의 외측 영역과 버튼바닥면부(41)의 내표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버튼지지스프링(61)을 설치함으로써, 버튼지지스프링(61)의 권선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버튼(40)의 누름조작이 용이해지고 버튼지지스프링(61)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측면부(42)의 하단을 넘어 돌출되도록 가압기둥(43)을 형성함으로써, 피스톤(72)의 이동거리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화장품의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0, 110: 용기부 11, 111: 용기바디부
12, 112: 목부 20, 120: 내캡
21, 121: 피스톤안내관부 22: 스포이드지지관부
23: 승강안내벽부 24: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
30, 130: 내캡바디부 31, 131: 용기체결관부
32, 132: 내캡천장면부 33: 보조관부
40, 140: 버튼 41, 141: 버튼바닥면부
42, 142: 버튼측면부 43, 143: 가압기둥
44, 144: 양각안내벽부 50, 150: 외캡
51, 151: 외캡바닥면부 52, 152: 외캡측면부
53, 153: 외캡승강안내돌부 61, 161: 버튼지지스프링
72, 172: 스포이드관

Claims (5)

  1.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된 목부를 구비한 용기부와, 용기체결관부와 상기 용기체결관부의 상단 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중앙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된 내캡천장면부를 구비한 내캡바디부와 상기 연락공의 외측에서 상기 내캡천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피스톤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연락공이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용기체결관부를 통해 상기 목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캡과, 둘레면이 상기 피스톤안내관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피스톤안내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단이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안내관부 사이공간에 연통하고 하단이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스포이드관과, 버튼바닥면부와 상기 버튼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버튼측면부와 상기 버튼바닥면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가압기둥을 가지고 상기 가압기둥을 통해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도록 상기 내캡의 상측에 설치된 버튼과 버튼노출개구가 형성된 외캡바닥면부와 상기 외캡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관형태의 외캡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노출개구를 통해 상기 버튼바닥면부가 노출되고 상기 외캡측면부가 상기 내캡을 둘러싸고 상기 내캡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외캡과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노출개구를 넘어 상승하도록 상기 버튼을 상기 내캡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버튼지지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내캡을 상기 목부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력을 내캡결합회전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내캡결합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내캡에 제공하고 상기 버튼을 상기 내캡을 향해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력을 버튼하강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버튼하강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버튼에 제공하고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력을 버튼상승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하강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버튼상승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버튼에 제공하고 상기 내캡을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내캡분리회전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의 회전력을 상기 내캡분리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내캡에 제공하는 흡배출작동부를 갖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단에, 하측수평안내면과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의 좌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경사안내면과 상기 경사안내면의 좌측단으로부터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에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 상측수평안내면을 각각 갖도록 상기 버튼측면부의 외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양각안내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측면부는 하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승강안내홈이 절취형성되고;
    상기 외캡은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하단은 상기 하측수평안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버튼에 버튼하강력이 제공되고 상기 버튼이 하강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상기 버튼에 상기 버튼상승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외캡측면부의 내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외캡승강안내돌부와, 상기 외캡측면부의 내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상기 외캡승강안내돌부에 나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외캡회전안내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캡결합회전력은 상기 내캡과 상기 버튼 사이의 탄성지지상태와 상기 외캡승강안내돌부와 상기 하측수평안내면 사이의 접촉상태에 의해 상기 내캡에 제공되고;
    상기 내캡은 상기 승강안내홈에 진입하여 상기 버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내캡바디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승강안내벽부와, 상기 내캡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이 상승위치에 있고 상기 내캡이 상기 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외캡회전안내돌부와 작용하여 상기 내캡에 상기 내캡분리회전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내캡회전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외캡승강안내돌부가 상기 경사안내면을 넘어 상기 상측수평안내면에 도달할 때 타고 넘어가도록 상기 내캡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내캡버튼상승확인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연락공과 상기 피스톤안내관부 사이에서 상기 내캡천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표면에는 스포이드체결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포이드관지지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이드관은 직선상의 스포이드관바디부와 상기 스포이드관바디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스포이드관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스포이드관플랜지가 상기 스포이드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지지스프링은 상기 내캡천장면부의 상면 중 상기 피스톤안내관부의 외측 영역과 상기 버튼바닥면부의 내표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둥은 상기 버튼측면부의 하단을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KR1020210085024A 2021-06-29 2021-06-29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KR102368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24A KR102368404B1 (ko) 2021-06-29 2021-06-29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24A KR102368404B1 (ko) 2021-06-29 2021-06-29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404B1 true KR102368404B1 (ko) 2022-02-28

Family

ID=8049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024A KR102368404B1 (ko) 2021-06-29 2021-06-29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1622A1 (zh) * 2022-05-18 2023-11-23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滴管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02Y1 (ko) * 2012-11-27 2014-02-27 펌텍코리아 (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74769Y1 (ko) * 2013-08-21 2014-10-16 (주)톨리코리아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790033B1 (ko) * 2015-09-14 2017-10-26 (주)톨리코리아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KR102150366B1 (ko) *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02Y1 (ko) * 2012-11-27 2014-02-27 펌텍코리아 (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74769Y1 (ko) * 2013-08-21 2014-10-16 (주)톨리코리아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790033B1 (ko) * 2015-09-14 2017-10-26 (주)톨리코리아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KR102150366B1 (ko) *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1622A1 (zh) * 2022-05-18 2023-11-23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滴管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4922B2 (ja) 液体製品ないしペースト状製品用の分与装置 及びこの分与装置用の副板
JP4637187B2 (ja) 液体収納容器
KR101923306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US8016164B2 (en) Low height precompression pump
KR10192864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2368404B1 (ko)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JP2020512054A (ja) 異種物質の混合容器
KR20170078588A (ko) 스포이트 용기
KR102424147B1 (ko)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JPH10235241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KR102381811B1 (ko) 화장품용기
KR200380613Y1 (ko) 에어리스펌핑형 화장품용기
EP3508435B1 (en) Dispensing container
EP3922361A1 (en) Dispenser
KR200492591Y1 (ko) 펌핑식 튜브용기
KR102576233B1 (ko) 화장품용기
KR102631669B1 (ko) 펌핑식 화장품용기
JP2009012785A (ja) 液注出容器
KR102556042B1 (ko) 화장품용기
KR20240034471A (ko)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KR102137560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JP7486456B2 (ja) スポイト容器
KR102556039B1 (ko) 화장품용기
KR101975504B1 (ko) 펌프 용기
JP5009038B2 (ja) レフィ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