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346B1 - 빗물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빗물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346B1
KR102368346B1 KR1020210163955A KR20210163955A KR102368346B1 KR 102368346 B1 KR102368346 B1 KR 102368346B1 KR 1020210163955 A KR1020210163955 A KR 1020210163955A KR 20210163955 A KR20210163955 A KR 20210163955A KR 102368346 B1 KR102368346 B1 KR 10236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oupling
storage tank
recycling device
reservoi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훈
이민경
Original Assignee
한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관 filed Critical 한현관
Priority to KR102021016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1/042Details thereof,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빗물 여과 유닛 및, 파이프를 통해 상기 빗물 여과 유닛으로부터 이동한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용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 여과 유닛은, 빗물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필터 모듈, 바닥에 설치되어 빗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탱크 및,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필터 모듈과 임시 저장 탱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 모듈을 통과한 후 상기 임시 저장 탱크에 저장되면서 차오르는 빗물을 상방향으로 여과하는 역류 필터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 여과 유닛과 저장용 탱크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지 않고 빗물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재활용할 수 있고, 대부분의 이물질은 임시 저장 탱크의 바닥에 가라앉고 일부 이물질은 상기 역류 필터 모듈에 의해 여과되는 것에 의해 역류 필터 모듈의 수명이 길어지고 한층 확실한 여과가 가능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빗물 재활용 장치{Rainwater Recycling Device}
본 발명은 빗물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물질 여과 구성이 간단하며 퇴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빗물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버려지는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물청소나 과수원 급수 또는 농업용수 등으로 빗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빗물을 모아서 저장해야 하는데, 대부분 지상에 고정 설치되거나 지하에 매설되는 관계로 초기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이동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빗물이 저장된 장소 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빗물을 깨끗하게 저장하기 위해 저장탱크에 유입되기 전에 미리 빗물을 여과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필터 유닛이 복잡하여 설치가 어렵고 교체하는 작업 또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 유닛이 설치된 쪽을 향해 빗물이 흐르면서 이물질이 쌓이기 때문에 자주 필터 유닛을 교체해야 했고 유동 저항이 커서 저장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빗물의 저장용량의 확장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재활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1838899호 (2018.03.0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및 설치가 자유로워서 설치 장소에 특별히 구애받지 않고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빗물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인 빗물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 저장 용량을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빗물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장치는,
빗물 여과 유닛; 및
파이프를 통해 상기 빗물 여과 유닛으로부터 이동한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용 탱크;
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 여과 유닛은,
빗물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필터 모듈;
바닥에 설치되어 빗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탱크; 및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필터 모듈과 임시 저장 탱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 모듈을 통과한 후 상기 임시 저장 탱크에 저장되면서 차오르는 빗물을 상방향으로 여과하는 역류 필터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모듈은 다수의 여과 구멍이 형성되는 경사진 필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 필터 모듈은 하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용기형의 구조체로서, 상기 제1 개구에는 역류 필터가 폐쇄 구조로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필터 모듈을 통과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역류 필터를 통과한 빗물이 유출되며 상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역류 필터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유입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의 주변에는 빗물을 모으기 위한 돔형의 집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시 저장 탱크는,
상단에 상기 제1 개구와 연통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며 하단에 제3 개구가 형성되는 제1 저장통 본체; 및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제3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와 제1 뚜껑의 결합부분을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뚜껑의 테두리 근방 상단에는 테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하단 근방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 요철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요철부와 제2 결합 요철부 사이에는 제1 패킹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와 제1 뚜껑은 제1 체결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하단 근방에는 외측으로 제2 결합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뚜껑의 테두리에는 제3 결합 플랜지가 연장되며, 상기 제2 결합 플랜지와 제3 결합 플랜지는 상기 제1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제1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드레인홀의 상부에 제1 리프팅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용 탱크는,
하단에 제4 개구가 형성되는 제2 저장통 본체; 및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제4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와 제2 뚜껑의 결합부분을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뚜껑의 테두리 근방 상단에는 테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3 결합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하단 근방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4 결합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제3 결합 요철부와 결합하는 제4 결합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결합 요철부와 제4 결합 요철부 사이에는 제2 패킹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와 제2 뚜껑은 제2 체결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하단 근방에는 외측으로 제5 결합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뚜껑의 테두리에는 제6 결합 플랜지가 연장되며, 상기 제5 결합 플랜지와 제6 결합 플랜지는 상기 제2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제2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2 드레인홀의 상부에 제2 리프팅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상단에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용 탱크의 측면에는 2개 이상의 유입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 여과 유닛 및, 파이프를 통해 상기 빗물 여과 유닛으로부터 이동한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용 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빗물 여과 유닛과 저장용 탱크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지 않고 빗물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빗물 여과 유닛은, 빗물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필터 모듈, 바닥에 설치되어 빗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탱크 및,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필터 모듈과 임시 저장 탱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 모듈을 통과한 후 상기 임시 저장 탱크에 저장되면서 차오르는 빗물을 상방향으로 여과하는 역류 필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대부분의 이물질은 임시 저장 탱크의 바닥에 가라앉고 일부 이물질은 상기 역류 필터 모듈에 의해 여과되는 것에 의해 역류 필터 모듈의 수명이 길어지고 한층 확실한 여과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역류 필터 모듈은 하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용기형의 구조체로서, 상기 제1 개구에는 역류 필터가 폐쇄 구조로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필터 모듈을 통과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역류 필터를 통과한 빗물이 유출되며 상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역류 필터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유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의 주변에는 빗물을 모으기 위한 돔형의 집수홈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 모듈을 통과한 빗물이 상기 집수홈에 모이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제1 개구를 통해 임시 저장 탱크에 임시 저장되고, 서서히 차올라서 상기 제1 개구를 지나 역류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빗물이 유동하는 반대쪽 즉, 역류 필터의 아래쪽에서 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임시 저장 탱크는, 상단에 상기 제1 개구와 연통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며 하단에 제3 개구가 형성되는 제1 저장통 본체 및,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제3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저장통 본체로부터 제1 뚜껑을 간단히 분리하여 상기 임시 저장 탱크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제1 드레인홀이 형성되어 청소시 물 배출이나 불완전 여과수가 쓰일 수 있는 특정 사용처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드레인홀의 상부에 제1 리프팅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잡아올려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용 탱크는, 하단에 제4 개구가 형성되는 제2 저장통 본체 및,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제4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제2 저장통 본체로부터 제2 뚜껑을 간단히 분리하여 상기 저장용 탱크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제2 드레인홀이 형성되어 청소시 물 배출이나 불완전 여과수가 쓰일 수 있는 특정 사용처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2 드레인홀의 상부에 제2 리프팅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잡아올려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상단에는 걸림구가 형성되므로 카고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운반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용 탱크의 측면에는 2개 이상의 유입출공이 형성되므로, 빗물의 저장 및 배출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저장용 탱크가 연결되어 연속적인 빗물 저장을 통해 대용량 저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빗물 여과 유닛을 나타내는 상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빗물 여과 유닛을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역류 필터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저장용 탱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저장용 탱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임시 저장 탱크에서 제1 저장통 본체와 제1 뚜껑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저장용 탱크에서 제2 저장통 본체와 제2 뚜껑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장치(1000)는, 빗물 여과 유닛(100) 및, 파이프(P)를 통해 상기 빗물 여과 유닛(100)으로부터 이동한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용 탱크(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빗물 여과 유닛(100)과 저장용 탱크(200)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지 않고 빗물 재활용이 가능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빗물 여과 유닛(100)은, 빗물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필터 모듈(300), 바닥에 설치되어 빗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탱크(400) 및,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필터 모듈(300)과 임시 저장 탱크(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 모듈(300)을 통과한 후 상기 임시 저장 탱크(400)에 저장되면서 차오르는 빗물을 상방향으로 여과하는 역류 필터 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차오르는 빗물을 역류 필터 모듈(500)에 의해 여과한 상태에서 저장용 탱크(200)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이물질은 임시 저장 탱크(400)의 바닥에 가라앉고 일부 이물질은 상기 역류 필터 모듈(500)에 의해 여과되기 때문에 역류 필터 모듈(500)의 수명이 길어지고 한층 확실한 여과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 모듈(300)은 다수의 여과 구멍(311)이 형성되는 하향 경사진 필터 플레이트(310)를 포함하므로 비교적 큰 입도의 이물질이 1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으며 여과된 이물질은 바로 빗물 여과 유닛(10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여과 구멍(311)은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과 배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필터 모듈(500)은 하부에 제1 개구(510)가 형성되는 용기형의 구조체로서, 상기 제1 개구(510)에는 역류 필터(520)가 폐쇄 구조로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필터 모듈(300)을 통과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530)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역류 필터(520)를 통과한 빗물이 유출되며 상기 파이프(P)가 연결되는 유출구(54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 모듈(520)을 통과한 빗물이 상기 유입구(530)로 유입되어 제1 개구(510)를 통해 임시 저장 탱크(400)에 임시 저장되고, 서서히 차올라서 상기 제1 개구(510)를 지나 역류 필터(52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상기 역류 필터(520)의 아래쪽에서 여과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입구(530)에는 상기 역류 필터(520)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유입관(55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역류 필터(520)에 의해 여과된 빗물은 더 차올라서 상기 유출구(540)로 유출되며 파이프(P)를 통해 저장용 탱크(200)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 유입구(530)의 주변에는 빗물을 모으기 위한 돔형의 집수홈(560)이 형성되어 빗물이 모여서 임시 저장 탱크(40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임시 저장 탱크(400)는, 상단에 상기 제1 개구(510)와 연통하는 제2 개구(411)가 형성되며 하단에 제3 개구(412)가 형성되는 제1 저장통 본체(410) 및, 상기 제1 저장통 본체(410)의 제3 개구(4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뚜껑(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저장통 본체(410)와 제1 뚜껑(420)의 결합부분을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뚜껑(420)의 테두리 근방 상단에는 테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 요철부(4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본체(410)의 하단 근방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 플랜지(413)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 요철부(421)와 결합하는 제2 결합 요철부(41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요철부(421)와 제2 결합 요철부(414) 사이에는 제1 패킹 부재(430)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본체(410)와 제1 뚜껑(420)은 제1 체결 볼트(44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임시 저장 탱크(400)에 임시 저장된 빗물이 누설되는 경우가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체결 볼트(440)를 풀어서 상기 임시 저장 탱크(400) 바닥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저장통 본체(410)의 하단 근방에는 외측으로 제2 결합 플랜지(41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뚜껑(420)의 테두리에는 제3 결합 플랜지(422)가 연장되며, 상기 제2 결합 플랜지(415)와 제3 결합 플랜지(422)는 상기 제1 체결볼트(44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통 본체(410)의 측면 하부에는 제1 드레인홀(416)이 형성되어 청소시 물 배출이나 불완전 여과수가 쓰일 수 있는 특정 사용처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통 본체(41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드레인홀(416)의 상부에 제1 리프팅 플랜지(41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잡아올려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저장 탱크(400)와 유사하게, 상기 저장용 탱크(200)는, 하단에 제4 개구(211)가 형성되는 제2 저장통 본체(210) 및, 상기 제2 저장통 본체(210)의 제4 개구(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뚜껑(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저장통 본체(210)와 제2 뚜껑(220)의 결합부분을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뚜껑(220)의 테두리 근방 상단에는 테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3 결합 요철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저장통 본체(210)의 하단 근방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4 결합 플랜지(217)의 하면에는 상기 제3 결합 요철부(221)와 결합하는 제4 결합 요철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결합 요철부(221)와 제4 결합 요철부(212) 사이에는 제2 패킹 부재(230)가 개재되고, 상기 제2 저장통 본체(210)와 제2 뚜껑(220)은 제2 체결 볼트(24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통 본체(210)의 하단 근방에는 외측으로 제5 결합 플랜지(21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뚜껑(220)의 테두리에는 제6 결합 플랜지(222)가 연장되며, 상기 제5 결합 플랜지(213)와 제6 결합 플랜지(222)는 상기 제2 체결볼트(240)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통 본체(210)의 측면 하부에는 제2 드레인홀(214)이 형성되어 청소시 물 배출이나 불완전 여과수가 쓰일 수 있는 특정 사용처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통 본체(21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2 드레인홀(214)의 상부에 제2 리프팅 플랜지(21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잡아올려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저장통 본체(210)의 상단에는 걸림구(216)가 형성되어 카고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운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저장용 탱크(200)의 제2 저장통 본체(210) 측면에는 2개 이상의 유입출공(218)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P)에 연결되어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거나 사용처에 사용을 위한 유출구로서 역할을 한다.
더욱이, 2개 이상의 저장용 탱크(200)가 상기 유입출공(218)을 통해 연결되어 연속적인 빗물 저장을 통해 대용량 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용 탱크(200)의 하단에는 바퀴(미도시)를 설치하여 이동성을 증대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 기재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빗물 여과 유닛
200... 저장용 탱크
210... 제2 저장통 본체
211... 제4 개구
212... 제4 결합 요철부
213... 제5 결합 플랜지
214... 제2 드레인홀
215... 제2 리프팅 플랜지
216... 걸림구
217... 제4 결합 플랜지
218... 유입출공
220... 제2 뚜껑
221... 제3 결합 요철부
222... 제6 결합 플랜지
230... 제2 패킹 부재
240... 제2 체결 부재
300... 필터 모듈
310... 필터 플레이트
311... 여과 구멍
400... 임시 저장 탱크
410... 제1 저장통 본체
411... 제2 개구
412... 제3 개구
413... 제1 결합 플랜지
414... 제2 결합 요철부
415... 제2 결합 플랜지
416... 제1 드레인홀
417... 제1 리프팅 플랜지
420... 제1 뚜껑
421... 제1 결합 요철부
422... 제3 결합 플랜지
430... 제1 패킹 부재
440... 제1 체결 볼트
500... 역류 필터 모듈
510... 제1 개구
520... 역류 필터
530... 유입구
540... 유출구
550... 유입관
560... 집수홈
1000... 빗물 재활용 장치
P... 파이프

Claims (17)

  1. 빗물 여과 유닛; 및
    파이프를 통해 상기 빗물 여과 유닛으로부터 이동한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용 탱크;
    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 여과 유닛은,
    빗물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필터 모듈;
    바닥에 설치되어 빗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탱크; 및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필터 모듈과 임시 저장 탱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 모듈을 통과한 후 상기 임시 저장 탱크에 저장되면서 차오르는 빗물을 상방향으로 여과하는 역류 필터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역류 필터 모듈은 하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용기형의 구조체로서, 상기 제1 개구에는 역류 필터가 폐쇄 구조로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필터 모듈을 통과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역류 필터를 통과한 빗물이 유출되며 상기 파이프가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다수의 여과 구멍이 형성되는 경사진 필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역류 필터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유입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주변에는 빗물을 모으기 위한 돔형의 집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 탱크는,
    상단에 상기 제1 개구와 연통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며 하단에 제3 개구가 형성되는 제1 저장통 본체; 및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제3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와 제1 뚜껑의 결합부분을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뚜껑의 테두리 근방 상단에는 테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하단 근방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 요철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요철부와 제2 결합 요철부 사이에는 제1 패킹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와 제1 뚜껑은 제1 체결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하단 근방에는 외측으로 제2 결합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뚜껑의 테두리에는 제3 결합 플랜지가 연장되며, 상기 제2 결합 플랜지와 제3 결합 플랜지는 상기 제1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제1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통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드레인홀의 상부에 제1 리프팅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 탱크는,
    하단에 제4 개구가 형성되는 제2 저장통 본체; 및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제4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와 제2 뚜껑의 결합부분을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뚜껑의 테두리 근방 상단에는 테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3 결합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하단 근방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4 결합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제3 결합 요철부와 결합하는 제4 결합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결합 요철부와 제4 결합 요철부 사이에는 제2 패킹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와 제2 뚜껑은 제2 체결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하단 근방에는 외측으로 제5 결합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뚜껑의 테두리에는 제6 결합 플랜지가 연장되며, 상기 제5 결합 플랜지와 제6 결합 플랜지는 상기 제2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제2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상기 제2 드레인홀의 상부에 제2 리프팅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통 본체의 상단에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17.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 탱크의 측면에는 2개 이상의 유입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장치.
KR1020210163955A 2021-11-25 2021-11-25 빗물 재활용 장치 KR10236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955A KR102368346B1 (ko) 2021-11-25 2021-11-25 빗물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955A KR102368346B1 (ko) 2021-11-25 2021-11-25 빗물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346B1 true KR102368346B1 (ko) 2022-02-25

Family

ID=8049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955A KR102368346B1 (ko) 2021-11-25 2021-11-25 빗물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3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263Y1 (ko) * 2003-07-26 2003-10-17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우수 저수장치
KR101355342B1 (ko) * 2012-08-09 2014-01-23 (주) 하나환경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20170087840A (ko) * 2017-07-06 2017-07-31 제재헌 담배꽁초수거통이 구비된 도로용 빗물받이
KR101838899B1 (ko) 2017-08-07 2018-03-15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초록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KR20190028852A (ko) * 2017-09-11 2019-03-20 (주)우영엔지니어링 오염수 처리 시스템
JP2020203709A (ja) * 2019-06-18 2020-12-24 株式会社ベルテクノ 耐蝕性貯水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263Y1 (ko) * 2003-07-26 2003-10-17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우수 저수장치
KR101355342B1 (ko) * 2012-08-09 2014-01-23 (주) 하나환경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20170087840A (ko) * 2017-07-06 2017-07-31 제재헌 담배꽁초수거통이 구비된 도로용 빗물받이
KR101838899B1 (ko) 2017-08-07 2018-03-15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초록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KR20190028852A (ko) * 2017-09-11 2019-03-20 (주)우영엔지니어링 오염수 처리 시스템
JP2020203709A (ja) * 2019-06-18 2020-12-24 株式会社ベルテクノ 耐蝕性貯水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5986C (en) Storm water runoff treatment system
US6799591B2 (en) Wash fluid containment system
US10173835B2 (en) Waste collection container with water separation reservoir
KR102368346B1 (ko) 빗물 재활용 장치
KR101765132B1 (ko) 스크린 맨홀
US20110042383A1 (en) Hydrocarbon collection system
KR100690583B1 (ko) 빗물받이
KR100370712B1 (ko) 압축식 진개차의 오수유출 방지장치
CN211337388U (zh) 一种便于分离污水的垃圾桶
KR200449615Y1 (ko) 맨홀의 슬러지 배출장치
CN207107562U (zh) 自卸式垃圾运输车车箱除污水系统
US20170072340A1 (en) Waste water separation vessel
KR101984013B1 (ko) 슬러지 케이크 저장호퍼용 슬러지 케이크 배출 가이드장치
KR200213922Y1 (ko) 압축식 진개차의 오수유출 방지장치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KR20110077134A (ko) 도로용 빗물받이
CN111806935A (zh) 一种垃圾车用垃圾收集车厢
KR20210001413U (ko) 슬러지 탈수장치
CN201169549Y (zh) 整体隔油池
CN208618454U (zh) 可拆卸防滑井盖
CN215609771U (zh) 一种石油加工用废料回收装置
KR101207391B1 (ko) 수면부상형 사방여과방식 우수처리장치
CN211635334U (zh) 一种新型自动油水分离器
CN208086562U (zh) 一种固液分离垃圾转运车
CN216223137U (zh) 一种移动式污水收集固液分离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