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190B1 - 세대 열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대 열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90B1
KR102368190B1 KR1020210058762A KR20210058762A KR102368190B1 KR 102368190 B1 KR102368190 B1 KR 102368190B1 KR 1020210058762 A KR1020210058762 A KR 1020210058762A KR 20210058762 A KR20210058762 A KR 20210058762A KR 102368190 B1 KR102368190 B1 KR 10236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ource
pipe
heat exchang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이영주
조형동
김준
최승태
김한진
윤재용
양경삼
김아람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샘시스템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3Domestic delivery stations hav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9Continuous 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서 열원을 냉수와 열 교환하여 급탕을 생성하며, 이물질이생성된 열교환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열원 및 냉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부에 연결되며, 열원 및 냉수가 교차하여 열 교환하는 교환부와 교환부에 연결되며, 열 교환된 급탕을 실내로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순환부에 형성되며, 교환부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세대 열교환 시스템{Heat-Exchanging System of Household}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서 열원을 냉수와 열 교환하여 급탕을 생성하며, 이물질이생성된 열교환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세척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세척수 및 약품을 <16> 공급받아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조; 상기 세척수 저장조의 세척수를 압송하여 제공하는 세척수 공급 장치; 압축 공기를 발생하여 제공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상기 세척수 공급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혼합시켜 유출하는 세척수 입구 장치; 상기 판형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 저장조로 회수하는 세척수 출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 입구 장치는 세척수 주입구, 압축 공기 주입구 및 세척수 토출구를 갖는 무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 장치와 상기 무화 노즐의 세척수 주입구,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무화 노즐의 압축 공기 주입구, 상기 세척수 출구 장치와 상기 세척수 저장조는 각각 정방향 세척용 배관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 주입구로 세척수가 주입되고 상기 압축 공기 주입구로 압축 공기가 주입되며, 상기 주입된 세척수 및 압축 공기를 서로 혼합시켜 미립자 상태로 변환시킨 후 상기 세척수 토출구로 토출되며,상기 세척수 입구 장치의 출구 측 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미립자 상태의 세척수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의 내부로 주입시켜 세척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세척액체와 공기를 혼합하여 이상유동(two-phase flow) 상태의 세척용 혼합유체를 형성하고, 이를 공급하기 위한 플로우믹스유닛과; 상기 플로우믹스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용 혼합유체가 판형 열교환기의 공급포트로 공급되는 정방향 세척 또는 배출포트로 공급되는 역방향 세척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역콘트롤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로우믹스유닛은 워터펌프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세척액체를 공급받는 [0017] 액체공급관과, 상기 액체공급관에 개재되어 세척액체의 통유량을 조절하는 액체조절밸브와, 에어컴프레서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고압에어를 공급받는 에어공급관과, 상기 에어공급관에 개재되어 고압에어의 통유량을 조절하는 에어조절밸브와, 상기 액체공급관 및 에어공급관과 공통적으로 연결됨으로 상기 액체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세척액체와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고압에어가 혼합되도록 하여 세척용 혼합유체를 형성하는 믹스노즐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케이싱과, 제1 포트 개구, 제2 포트 개구, 제1 측부 및 제1 측부에 대향하는 제2측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판형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열전달판은 (ⅰ) 제1 유체를 위한 제1 세트의 유동 채널이 열전달판 사이의 하나 걸러 하나씩 있는 간극(interspace)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가 제1 및 제2 포트 개구에 존재하도록 그리고 (ⅱ) 제2 유체를 위한 제2 세트의 유동 채널이 열전달판 사이의 다른 하나 걸러 하나씩 있는 간극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가 제1 및 제2 측부에 존재하도록 케이싱 내에 배열되고 그리고 서로 결합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버너 및 주열교환기가 구비된 연소실과; 이 연소실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주열교환기의 난방출구 파이프가 연결되고, 펌프인 호스와 보충수 호스가 장착되는 물탱크와; 상기 펌프인 호스의 끝단이 연결되며, 난방수 배출관이 장착되고, 가열된 난방수가 온수 열교환기 또는 주난방배관으로 흐르게 하는 2방향 순환펌프와; 상기 2방향 순환펌프의 난방수 배출관이 연결되어 있는 온수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온수 열교환기를 본체의 하판에 수직으로 위치시키며; 상기 온수 열교환기의 하측 후방에는 난방수 회수공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난방수 배출공과 주난방배관의 사이에는 중간에 난방수 회수부가 형성된 난방수 연결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0894982 B1 (2009년04월20일) KR 10-1860326 B1 (2018년05월16일) KR 10-2019-0080975 A (공개일자 2019년07월08일) KR 20-2000-0009887 U (2000년06월05일)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서 열원을 냉수와 열 교환하여 급탕을 생성하며, 이물질이생성된 열교환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열원 및 냉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00); 상기 유입부(100)에 연결되며, 열원 및 냉수가 교차하여 열 교환하는 교환부(200); 상기 교환부(200)에 연결되며, 열 교환된 급탕을 실내로 순환시키는 순환부(600); 상기 순환부(600)에 형성되며, 상기 교환부(200)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유입부(100); 교환부(200); 순환부(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교환부(200)에 형성되며, 열원과 냉수가 이동하는 이동배관(300); 상기 이동배관(300)의 단부에 형성되며, 열원과 냉수가 교환하는 열교환기(400); 상기 이동배관(300)과 상기 열교환기(40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5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유입부(100); 교환부(200); 순환부(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이동배관(300)은 열원이 공급되는 열원배관(310); 상기 열교환기(400)에 연결되며, 열 교환된 급탕 및 냉수가 환수되는 환수배관(320); 상기 열원배관(310) 및 상기 환수배관(3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순환부(600)로 급탕 및 열원을 공급하는 공급배관(3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유입부(100); 교환부(200); 순환부(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이동배관(30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500)에 삽입되는 이동함체(340); 상기 이동함체(340)에 타공되어 형성되며, 열원, 냉수, 급탕 중 선택된 하나가 이동하는 이동홀(341);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유입부(100); 교환부(200); 순환부(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열원배관(310)에 형성되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밸브(311);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유입부(100); 교환부(200); 순환부(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열교환기(400)에 형성되며, 열원 및 냉수에 의하여 열 교환이 발생하는 교환함체(410); 상기 교환함체(4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배관(300)이 체결되는 체결포트(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유입부(100); 교환부(200); 순환부(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교환함체(4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열교환기(4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장치(411); 상기 세척장치(411)가 체결되며, 상기 체결포트(420)와 상기 교환함체(4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역세포트(41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유입부(100); 교환부(200); 순환부(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순환부(600)에 형성되며, 급탕 및 열원을 실내로 분배하는 분배기(6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유입부(100); 교환부(200); 순환부(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어부(700)에 형성되며, 실내에서 순환되는 급탕의 온도를 설정하는 조작장치(710); 상기 조작장치(710)에서 조작된 정보를 상기 교환부(200)로 전달하는 제어장치(7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지역 난방 등으로 공급되는 열원을 냉수에 의하여 열교환함에 따라 급탕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량밸브에서 유량 및 온도가 측정되어 열교환하는 열원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원을 열교환하지 않고 세대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연장관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세척장치가 설치되어 열교환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열교환기를 세척 및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가 복수로 결합되어 급탕의 용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대 열교환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수분리기가 결합된 열교환 시스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세척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가 교체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복수의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챔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함체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열원 및 냉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00); 상기 유입부(100)에 연결되며, 열원 및 냉수가 교차하여 열 교환하는 교환부(200); 상기 교환부(200)에 연결되며, 열 교환된 급탕을 실내로 순환시키는 순환부(600); 상기 순환부(600)에 형성되며, 상기 교환부(200)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100)는 건물의 기계실에 형성되며, 열원과 냉수를 각각 투입하는 투입관(110); 상기 교환부(200)에서 환수되는 열원 및 급탕과 냉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110)은 복수의 세대 내에 형성되는 상기 교환부(200)로 열원 및 냉수를 각각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600)는 급탕 및 열원을 실내로 분배하는 분배기(6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610)는 바닥, 주방, 화장실 중 선택된 하나로 급탕을 분배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600)에 형성되며, 상기 분배기(610)를 조절하는 조절장치(620); 상기 조절장치(620)에 의하여 상기 분배기(610)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6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건물의 기계실에서 공급되는 열원을 냉수와 열교환함에 따라 설정된 온도의 급탕을 세대내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건물의 기계실 등에 형성된 유입부(100)에서 지역 난방 등의 열원 및 냉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유입부(100)는 열원과 냉수를 각각 투입하는 투입관(110)과 교환부(200)에서 환수되는 열원, 급탕, 냉수가 배출되는 배출관(120)이 형성된다. 이때, 투입관(110)은 복수의 세대 내에 형성되는 교환부(200)로 열원 및 냉수를 각각 투입하는 것으로 교환부(200)에서 열원이 냉수에 의하여 온도가 조절되어 세대 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환부(200)는 세대의 보일러 등과 같이 냉수를 가열하는 것이 아닌 기계실에서 온도가 상승한 열원을 상수도인 냉수에 의하여 열교환을 하여 급탕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순환부(600)는 실내에 형성되는 바닥 난방, 주방 및 화장실의 온수 등으로 형성되며, 온도조절기 등에 의하여 온도가 조절된다.
이때, 순환부(600)는 교환부(200)에서 열교환된 급탕이 공급되는 분배기(610)로 형성되며, 분배기(610)는 조절장치(620)에 의하여 급탕의 유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급탕의 유량은 유량조절밸브(621)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조절장치(620)에 의하여 분배기(610)로 공급되는 유량이 조절된다. 또한, 제어서버는 복수의 온도조절기에 의하여 분배기(610)를 제어하는 것이며, 제어서버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제어되거나 제어부(700)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제어부(700)는 교환부(200)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교환부(200)에서 열원의 열교환에 따른 급탕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열원을 냉수에 의하여 열교환시켜 급탕을 세대로 공급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있어서, 상기 교환부(200)에 형성되며, 열원과 냉수가 이동하는 이동배관(300); 상기 이동배관(300)의 단부에 형성되며, 열원과 냉수가 교환하는 열교환기(400); 상기 이동배관(300)과 상기 열교환기(40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배관(300)은 열원 및 냉수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317); 상기 이동배관(300)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318);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0)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400)를 착탈시키는 착탈장치(5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열교환기(400)의 착탈을 위해 분리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열교환기(400)가 수용되는 수용챔버(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챔버(520)에 수용되는 복수의 열교환기(400)는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교환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교환부(200)는 열원과 냉수가 서로 교차하도록 이동하는 열교환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환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과 냉수가 케이스(500) 내부에서 이동하는 이동배관(300)이 형성되며, 이동배관(300)은 열원 및 냉수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317)와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318)가 형성된다. 이때, 이동배관(300)으로 흐르는 열원의 온도가 온도센서(317)에서 측정되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이동배관(300)으로 흐르는 열원의 유량을 제어하여 급탕의 온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열원의 온도가 낮으면 유량을 높여 열 교환에 따른 급탕의 온도를 제어하고 온도가 높으면 유량을 낮게 하여 급탕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배관(300)의 단부에는 열교환기(400)가 형성되며, 열교환기(400)는 열원과 냉수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설정된 온도의 급탕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배관(300) 및 열교환기(400)가 형성된 케이스(5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제어부(700)와 통신하여 급탕이 생성된다. 케이스(500)는 열교환기(400)의 착탈을 위해 케이스(500)에서 분리되는 커버가 형성되며, 커버는 열교환기(400)가 위치한 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가 형성된 위치에는 열교환기(400)를 착탈시키는 착탈장치(510)가 형성되며, 착탈장치(510)는 열교환기(400)가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착탈장치(510)와 커버는 열원 및 냉수가 흐르면 열교환기(400) 내부가 스케일, 부식 등에 의하여 열교환기(400)에 파울링(Fouling) 현상이 발생할 경우 열교환기(400)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스케일, 부식 등에 의한 이물질에 의하여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열교환기(400)를 세척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하여 전문 장비에 의하여 세척하는 것이다. 그리고 열교환기(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열교환기(400)를 수용하는 수용챔버(520)가 형성된다. 수용챔버(520)에는 복수의 열교환기(400)가 형성되며, 각각의 열교환기(400)는 개폐밸브에 의하여 연결됨에 따라 필요 용량에 따라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복수의 열교환기(400)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하나의 열교환기(400)만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배관(300)은 열원이 공급되는 열원배관(310); 상기 열교환기(400)에 연결되며, 열 교환된 급탕 및 냉수가 환수되는 환수배관(320); 상기 열원배관(310) 및 상기 환수배관(3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순환부(600)로 급탕 및 열원을 공급하는 공급배관(330);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열원배관(310) 및 상기 환수배관(320)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500)에 노출되며, 타단부는 상기 열교환기(400)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330)은 상기 열원배관(310)과 상기 환수배관(3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330)은 상기 열원배관(310)에서 연장되는 제 1공급배관(331); 상기 환수배관(320)에서 연장되는 제 2공급배관(3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배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동배관(300)은 케이스(500) 내부에 복수로형성되어 열교환기(400)로 열원, 냉수, 급탕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배관(300)은 유입부(100)에서 공급되는 열원 및 냉수가 공급되는 열원배관(310)이 형성되며, 열원배관(310)은 공급배관(330)으로 열원을 이동시키는 제 1연장관(333)이 형성된다. 제 1연장관(333)은 열원을 열 교환하지 않고 세대로 직접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관으로 바로 전달한다. 그리고 열원배관(310) 및 환수배관(320)은 일단부가 열교환기(400)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열교환기(400)와 접하는 위치에 나선결합되도록 결합장치(342)가 형성된다. 그리고 환수배관(320)은 열원이 열교환기(400)에서 열 교환된 급탕과 온도가 상승한 냉수가 유입부(100)로 환수되는 것이며, 환수배관(320)은 열원배관(310)과 동일하게 제 2연장관(334)이 형성되어 급탕이 공급배관(330)으로 급탕을 전달한다. 공급배관(330)은 열원배관(310)에서 연장되는 제 1연장관(333)이 결합되어 열원을 공급하는 제 1공급배관(331)과 환수배관(320)에서 연장되는 제 2연장관(334)이 결합되어 급탕을 공급하는 제 2공급배관(332)이 형성된다. 이때, 급탕은 순환부(600)의 유량조절밸브(621)에 의하여 유량이 조절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열원배관(310)에 형성되며, 세척 및 열원 공급시 증기와 수분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350);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기수분리기(350)는 상기 열원배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원배관(31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열원배관(310)은 기수분리기(350)가 결합되어 증기와 수분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원배관(310)은 도 4를 참조하면, 일단부에 기수분리기(350)(separator)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기수분리기(350)는 열교환기(400)를 세척하거나 열원이 공급될 때 용존 산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수분리기(350)는 가로막이판, 철망, 사이클론 등의 장치에 의하여 증기의 수분을 분리하는 것으로 열원이 공급될 때 증기는 배출하고 수분만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는 용존산소의 유입에 의하여 부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의 온도 상승에 따라 소음 및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기수분리기(350)는 열원의 압력과 온도 조건에 따라 용존산소량 변화가 발생하므로 용존산소량의 변화를 예측하여 수분과 증기를 분리하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배관(30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500)에 삽입되는 이동함체(340); 상기 이동함체(340)에 타공되어 형성되며, 열원, 냉수, 급탕 중 선택된 하나가 이동하는 이동홀(341);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동함체(34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이동함체(34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342);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341)은 상기 이동함체(34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341)에 삽입되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삽입체(343);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341)에 결합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동홀(341)을 연결하는 연결체(3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배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동배관(300)은 케이스(500) 내부에 열교환기(400)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간단한 가공으로 다양한 이동홀(341)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배관(300)은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케이스(500)에 삽입되는 이동함체(340)가 형성되며, 이동함체(34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동함체(340)는 드릴 등의 천공장치에 의하여 이동홀(341)을 형성하며, 이동홀(341)은 설정된 배관의 위치에 이동함체(340)를 천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홀(341)은 이동함체(340)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이동홀(341)은 서로 접하도록 관통된다. 그리고 이동홀(341)을 통해 이동홀(341)의 위치를 조절할 때 유로삽입체(343)가 이동홀(341)에 삽입되어 유로를 형성한다. 유로삽입체(343)는 실링재로 형성되어 외부로 급탕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함체(340)는 복수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경우 결합장치(342)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며, 결합장치(342)는 볼트와 너트로 형성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이동함체(340)를 결합할 때는 이동홀(341)이 접하는 위치에 연결체(344)가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이동홀(341)을 통해 이동하는 열원 및 급탕이 복수의 이동함체(34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연결체(344)는 각각의 이동홀(341)에 삽입체는 삽입관이 형성되며, 복수의 삽입관 사이에는 접합판이 형성되어 복수의 이동함체(340) 사이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배관(300)은 이동함체(340)에 이동홀(341)을 천공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열원배관(310)에 형성되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밸브(311);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유량밸브(311)는 열원이 이동하는 관로(312); 상기 관로(312)에서 승하강하며, 유속 및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체(313);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관로(312)에 형성되며, 열원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장치(314);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314)는 수동 및 자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체(315); 상기 회전체(315)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관로(312)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다이어프램(3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량밸브(311)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유량밸브(311)는 열원배관(310)에 형성되어 열원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밸브(311)는 도 5를 참조하면, 열원배관(310)의 중간에 형성되거나 열원배관(310)의 단부와 열교환기(400) 사이에 형성되며, 열원이 열교환기(400)로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한다. 유량밸브(311)는 열원이 이동하는 관로(312)가 형성되며, 관로(312)는 제어부(700)에서 측정한 온도 및 유량에 따라 조절체(313)가 조절되어 열원의 유속 및 압력을 조절한다. 조절체(313)는 유량밸브(311)의 하단에 형성되며, 탄성체가 형성되어 열원의 유속 및 압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유량밸브(311)는 열원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장치(314)가 형성되며, 차단장치(314)는 수동 및 자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체(315)가 형성되며, 회전체(315)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체(315)의 회전에 따라 관로(312)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다이어프램(3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량밸브(311)는 제어부(700)에서 제어되는 급탕의 온도에 따라 열원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량밸브(311)는 열원배관(310)에 형성되는 온도센서(317) 및 유량센서(318)가 유량밸브(311)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400)에 형성되며, 열원 및 냉수에 의하여 열 교환이 발생하는 교환함체(410); 상기 교환함체(410)에 형성되며, 열원 및 냉수가 순환하는 순환판; 상기 교환함체(4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배관(300)이 체결되는 체결포트(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교환함체(410)는 복수의 상기 순환판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판형 열교환기(400)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체결포트(420)는 상기 교환함체(4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체결포트(42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배관(300)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분리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체결포트(420)는 상기 이동배관(300)에서 공급 및 배출되는 급탕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열교환기(400)는 판형 열교환기(400)로 형성되어 열원을 냉수에 의하여 열 교환시켜 급탕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기(400)는 열원 및 냉수에 의하여 열 교환이 발생하는 교환함체(410)가 형성되며, 교환함체(410)는 복수의 교환홀이 형성되어 냉수와 열원이 각각 순환하는 순환판이 형성된다. 이러한 순환판은 복수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하나의 순환판에는 냉수가 순환되고 접하는 타 순환판에는 열원이 순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열원 및 냉수가 순환되는 순환판이 서로 접하여 급탕이 순환된다. 그리고 열교환기(400)는 일면에 이동배관(300)이 체결되는 체결포트(420)가 형성되며, 체결포트(420)는 이동배관(300)이 억지끼움, 나선결합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배관(300)의 타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장치가 형성되며, 이동배관(300)에서 열교환기(400)가 간단히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열교환기(400)의 내부가 이물질에 의하여 효율이 낮아질 경우 열교환기(400)를 교환하는 것이다. 또한, 체결포트(420)는 이동배관(300)에서 공급 및 배출되는 급탕 및 열원이 차단하는 것으로 열교환기(400)를 교체할 때 열원, 급탕, 냉수가 열교환기(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교환함체(4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열교환기(4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장치(411); 상기 세척장치(411)가 체결되며, 상기 체결포트(420)와 상기 교환함체(4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역세포트(412);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411)는 상기 순환판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역세포트(412)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세척포트(413);를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411)는 상기 세척포트(413)가 차단된 후 상기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5)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는 알갱이 및 기포가 첨가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6)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역세포트(412)가 제거된 후 체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7)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역세포트(412)는 상기 세척장치가 결합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제 1역세포트; 상기 제 1역세포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 2역세포트;를 포함한다.
(실시예 7-8)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7-7에 있어서, 상기 제 2역세포트에 체결되며,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배출관(4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세척장치(411)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세척장치(411)는 열교환기(400)에 체결되어 열교환기(400)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장치(411)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체결포트(420)와 교환함체(4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역세포트(412)에 결합되는 것이며, 역세척 방식으로 열교환기(4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세척장치(411)는 교환함체(4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며, 세척장치(411)는 펌프에 의하여 5kgf/cm^2의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장치(411)는 일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세척관과 충전식으로 형성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호스가 연결되는 세척함체가 형성된다. 세척함체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조작함에 따라 세척수가 세척관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함체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변환하는 고압모터 등의 고압장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세척수는 60℃이상의 온수를 역방향으로 30분 이상 순환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미세 알갱이 및 미세기포가 첨가되어 고압으로 세척수가 분사됨에 따라 이물질에 타격을 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관은 세척수를 역세포트(412)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역세포트(412)는 열원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척포트(413)가 형성된다. 세척포트(413)는 세척장치(411)가 역세포트(412)에 결합되기 위하여 탈거되는 것으로 역세포트(4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세척포트(413)가 탈거된 역세포트는 세척장치(411)가 결합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제 1역세포트와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 2역세포트가 형성된다. 제 1역세포트와 제 2역세포트는 수직으로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역세포트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배출관(414)이 결합되며, 세척배출관(414)은 일단부가 확대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좁은 유로로 높은 유속을 형성하여 작업성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유속을 저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척장치(411)는 제어부(700)에서 열교환기(400)의 수명을 판단하여 알림으로 알리면 세척관을 열교환기(400)에 연결하여 세척수로 열교환기(400)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세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에 형성되며, 실내에서 순환되는 급탕의 온도를 설정하는 조작장치(710); 상기 조작장치(710)에서 조작된 정보를 상기 교환부(200)로 전달하는 제어장치(720);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720)는 상기 유량밸브(311)의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의 세대 열교환 시스템은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720)는 상기 열교환기(400)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열교환기(400)의 교환 시기를 알리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7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실내에서 순환되는 급탕의 온도에 따라 열교환기(40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700)는 급탕의 온도를 설정하는 조작장치(710)가 형성되며, 조작장치(710)에 의하여 조작된 정보를 교환부(200)로 전달하여 제어하는 제어장치(720)가 형성된다. 제어장치(720)는 이동배관(300) 및 유량밸브(311)에 형성된 온도센서(317), 유량센서(318)에 의하여 측정된 유량 및 온도를 활용하여 현재 급탕의 온도를 판단하며, 이와 반대로 유량 및 압력을 조절하여 급탕의 온도를 조작장치(710)에서 설정된 정보의 온도로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장치(720)는 열교환기(400)의 유량 및 효율을 측정하여 열교환기(400)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열교환기(400)의 교환 시기는 세대의 거주자 및 관제서버로 공급하여 열교환기(400)를 세척하거나 교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100: 유입부 110: 투입관
120: 배출관 200: 교환부
300: 이동배관 310: 열원배관
311: 유량밸브 312: 관로
313: 조절체 314: 차단장치
315: 회전체 316: 다이어프램
317: 온도센서 318: 유량센서
320: 환수배관 330: 공급배관
331: 제 1공급배관 332: 제 2공급배관
333: 제 1연장관 334: 제 2연장관
340: 이동함체 341: 이동홀
342: 결합장치 343: 유로삽입체
344: 연결체 350: 기수분리기
400: 열교환기 410: 교환함체
411: 세척장치 412: 역세포트
413: 세척포트 414: 세척배출관
420: 체결포트 500: 케이스
510: 착탈장치 520: 수용챔버
600: 순환부 610: 분배기
620: 조절장치 621: 유량조절밸브
700: 제어부 710: 조작장치
720: 제어장치

Claims (9)

  1. 열원 및 냉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00);
    상기 유입부(100)에 연결되며, 열원 및 냉수가 교차하여 열 교환하는 교환부(200);
    상기 교환부(200)에 연결되며, 열 교환된 급탕을 실내로 순환시키는 순환부(600);
    상기 순환부(600)에 형성되며, 상기 교환부(200)의 유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00);
    상기 교환부(200)에 형성되며, 열원과 냉수가 이동하는 이동배관(300);
    상기 이동배관(300)의 단부에 형성되며, 열원과 냉수가 교환하는 열교환기(400);
    상기 이동배관(300)과 상기 열교환기(40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500);
    상기 케이스(500)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400)를 착탈시키는 착탈장치(510);
    상기 열교환기(400)에 형성되며, 열원 및 냉수에 의하여 열 교환이 발생하는 교환함체(410);
    상기 교환함체(4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배관(300)이 체결되는 체결포트(420);를 포함하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배관(300)은 열원이 공급되는 열원배관(310);
    상기 열교환기(400)에 연결되며, 열 교환된 급탕 및 냉수가 환수되는 환수배관(320);
    상기 열원배관(310) 및 상기 환수배관(3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순환부(600)로 급탕 및 열원을 공급하는 공급배관(330);을 포함하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배관(30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500)에 삽입되는 이동함체(340);
    상기 이동함체(340)에 타공되어 형성되며, 열원, 냉수, 급탕 중 선택된 하나가 이동하는 이동홀(341);을 포함하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원배관(310)에 형성되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밸브(311);를 포함하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환함체(4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열교환기(4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장치(411);
    상기 세척장치(411)가 체결되며, 상기 체결포트(420)와 상기 교환함체(4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역세포트(412);를 포함하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600)에 형성되며, 급탕 및 열원을 실내로 분배하는 분배기(610);를 포함하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에 형성되며, 실내에서 순환되는 급탕의 온도를 설정하는 조작장치(710);
    상기 조작장치(710)에서 조작된 정보를 상기 교환부(200)로 전달하는 제어장치(720);를 포함하는 세대 열교환 시스템.
KR1020210058762A 2021-05-06 2021-05-06 세대 열교환 시스템 KR10236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62A KR102368190B1 (ko) 2021-05-06 2021-05-06 세대 열교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62A KR102368190B1 (ko) 2021-05-06 2021-05-06 세대 열교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190B1 true KR102368190B1 (ko) 2022-02-28

Family

ID=8049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62A KR102368190B1 (ko) 2021-05-06 2021-05-06 세대 열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1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887U (ko) 1998-11-13 2000-06-05 전주범 온수 열교환기의 난방수 연결구
KR100894982B1 (ko) 2007-12-28 2009-04-24 한상철 판형 열교환기 세척 시스템
KR101700534B1 (ko) * 2015-11-03 2017-01-3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860326B1 (ko) 2016-11-29 2018-05-23 한국난방관리(주) 판형 열교환기 세척시스템
KR20190080975A (ko) 2014-05-13 2019-07-08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판형 열교환기
KR102160305B1 (ko) * 2019-03-28 2020-09-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탕라인을 열원으로하는 급탕 난방 통합 배관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887U (ko) 1998-11-13 2000-06-05 전주범 온수 열교환기의 난방수 연결구
KR100894982B1 (ko) 2007-12-28 2009-04-24 한상철 판형 열교환기 세척 시스템
KR20190080975A (ko) 2014-05-13 2019-07-08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판형 열교환기
KR101700534B1 (ko) * 2015-11-03 2017-01-3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860326B1 (ko) 2016-11-29 2018-05-23 한국난방관리(주) 판형 열교환기 세척시스템
KR102160305B1 (ko) * 2019-03-28 2020-09-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탕라인을 열원으로하는 급탕 난방 통합 배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9253A1 (en) Floor drain
CN112218695A (zh) 用于过滤管道及加热系统中循环的流体的装置和方法
US202100529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CN104048556A (zh) 换热器脉冲循环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369978B1 (ko) 고압 세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68190B1 (ko) 세대 열교환 시스템
KR101860326B1 (ko) 판형 열교환기 세척시스템
US9777932B2 (en) System for energy recovery and cleaning of heat exchangers in shower applications
KR20130052085A (ko) 세척장치를 포함한 보일러
KR100671956B1 (ko)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의 열매체유 가열장치
CN217442380U (zh) 盘管的循环溶液清洗系统
CN206224214U (zh) 自动控制计量的计量槽
KR20110005464A (ko) 난방배관 세척용 플로우콘트롤 장치
KR20200002789U (ko) 판형 열교환기 세척장치
KR20110056177A (ko) 빗물이용 냉난방 겸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CN209782989U (zh) 燃气壁挂炉换热系统自动双向循环清洗机
CN216845876U (zh) 一种水路管控装置
CN210688401U (zh) 镜柜预即混水系统
CN211823954U (zh) 换热装置以及精馏系统
KR102584026B1 (ko) 온수 분배기 결합 병렬형 급탕 가열 유닛
KR20200024615A (ko) 휴대용 난방배관 세척장치
CN210740506U (zh) 一种热交换机组
CN210886650U (zh) 一种用于安装在洗衣龙内部的换热器及洗衣龙
CN220103869U (zh) 一种换热器管束冲洗装置
CN209762323U (zh) 壁挂炉出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