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106B1 -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06B1
KR102368106B1 KR1020170045242A KR20170045242A KR102368106B1 KR 102368106 B1 KR102368106 B1 KR 102368106B1 KR 1020170045242 A KR1020170045242 A KR 1020170045242A KR 20170045242 A KR20170045242 A KR 20170045242A KR 102368106 B1 KR102368106 B1 KR 102368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sposed
lens
lens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755A (ko
Inventor
장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0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55A/ko
Priority to KR1020220023281A priority patent/KR102512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3Scanning systems hav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fibres, light guides or waveguides as scann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및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and driving method of LiDAR}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광을 목표물을 향하여 조사하고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라이다는 기상 관측이나 거리 측정 등의 용도를 위해 활용되다가, 최근에는 자율 주행 및 무인 발렛 파킹을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라이다는, 광을 물체에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광출력 모듈에서는 렌즈의 형상에 따라 화각이 고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광출력 모듈에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또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적용하는 경우 화각의 변위량은 소량에 그쳐 문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충격에도 약하여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렌즈 크기는 축소하면서 넓은 화각(FOV, field of view)의 구현이 가능한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및 라이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및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는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상기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과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구동 방법은 광원에 상측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를 포함하는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가 배치된 제1홀더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렌즈부가 배치된 제2홀더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홀더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렌즈부가 상기 제2방향과 반대되는 제4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광원의 스캐닝(Scanning)이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렌즈 크기 축소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전장이 축소될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이 구현 가능하며, X축/Y축의 화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는 별도의 구동 유닛을 통해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Y1 - Y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마그넷(313), 제1코일(314), 제2마그넷(323), 제2코일(324)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구동부'라 칭하고 또 다른 하나를 '제3구동부'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4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제1마그넷(313)이 제2하우징(312)에 위치하며, 제1코일(314)이 제1하우징(31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마그넷(323)이 제4하우징(322)에 위치하며, 제2코일(324)이 제3하우징(321)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광을 목표물을 향하여 조사하고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라이다는 기상 관측이나 거리 측정 등의 용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라이다는 자율 주행 및 무인 발렛 파킹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는, 광출력 모듈과 광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기판(410), 수광 센서(미도시),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광출력 모듈에서 광원(420)을 수광 센서(미도시)로 대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광수신 모듈에서, 방열부재(430)는 생략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의 기판(41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광출력 모듈의 기판(41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수광 센서는,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센서는,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출력 모듈은,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출력 모듈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광출력 모듈은,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이 포함된 라이다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10)는 케이스(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라이다(10)의 구동을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하면에는 별도의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2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20)와 상기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25)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케이스(20)의 외면에는 각각 광출력 모듈(30)과, 광수신 모듈(50)의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광출력 모듈(30)과 상기 광수신 모듈(50)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되는 영역은 상기 광출력 모듈(30)에서 조사되는 빛이 출사 또는 입사되기 위한 렌즈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들은, 표면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외면 중 상기 광수신 모듈(50)이 노출되는 영역에는, 상기 광수신 모듈(50)에 인접하여 광 가이드(60)가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0)에는 상기 광수신 모듈(50)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홀의 외주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수신 모듈(50)이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에 노출된다할 때,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호 대향하는 복수의 가이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 가이드(60)의 상호 마주하는 면은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62)과, 상기 수직면(6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6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인접한 복수의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직선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면(61)은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1 내지 1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광출력 모듈(30)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수신 모듈(50)로 가이드되도록 한다. 이는, 반사된 광이 상기 광수신 모듈(50)의 제1 광수신 렌즈(52)로 입사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광수신 모듈(50)과 상기 광출력 모듈(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출력 모듈(30)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광수신 모듈(30)에 직접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연성기판(40)을 외부로 연장시키기 위한 기판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홀(22)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성기판(40)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성기판(40)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부에서 타 구성부품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성기판(40)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거나, 구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송신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라이다(10)는 상기 광출력 모듈(30)과 상기 광수신 모듈(50)을 포함한다.
상기 광수신 모듈(50)은 광수신 렌즈(52, 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 광수신 렌즈(52)와,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광수신 렌즈(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 가이드(6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광수신 기판(5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 중 상기 제2 광수신 렌즈(54)는 상기 광수신 기판(5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로부터 입사된 광을 통한 신호가 상기 광수신 기판(56)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는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로 용이하게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광수신 렌즈(54)는 집광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후술할 제1렌즈부(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부로 더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광수신 렌즈(52, 54) 영역은 상하 방향길이가 상기 제1렌즈부(110)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광수신 기판(56)의 하측에는 별도의 기판(58)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기판(56)과 상기 별도의 기판(58)은 상호 마주하는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수신 기판(56)과 상기 별도의 기판(58)은 상기 고정나사와 이격된 양측에 별도의 연결기판(57)이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기판(58)의 하측에는 메인기판(90)이 배치되어 상기 광수신 모듈(50)과 상기 광출력 모듈(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판(90)은 상기 라이다(10)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전달하거나, 상기 각 모듈(30, 50)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광출력 모듈(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8은 도6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Y1 - Y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30)은, 기판(410), 광원(42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에서는, 기판(410), 광원(42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방열부재(430)는, 광원(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생략되거나 다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의 상면에는 상기 광원(420) 및 상기 제1방열판(43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의 하면에는 상기 제2방열판(43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일례로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판(410)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메인기판(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렌즈 유닛(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제1렌즈부(1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상기 기판(4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상기 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상기 원(420)은, 상기 기판(4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일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 및/또는 상기 기판(41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광원(420) 및/또는 상기 기판(410)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제1방열판(431) 및 상기 제2방열판(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광원(420)이 배치된 상기 기판(4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기판(41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 및 상기 기판(410)의 사이에는, 상기 광원(42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광원(4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일부에서 상기 광원(4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원판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광원(420)을 수용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나사산에는 제3렌즈배럴(13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의 하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방열판(43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나사못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 및 상기 제1방열판(431)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홀더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유닛(100), 홀더 유닛(200) 및 액츄에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렌즈 유닛(100), 상기 홀더 유닛(2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기판(410)에 실장된 상기 광원(42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광원(420)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렌즈 유닛(100)을 통과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광원(4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고정하는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 모두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FOV, field of view)은, 135도 내지 145도 일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상기 액츄에이터(300)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제3렌즈부(130), 제2렌즈부(120) 및 제1렌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렌즈 유닛(100)에서,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3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1렌즈부(1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렌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렌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렌즈부(110)의 하측에는 광원(420)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렌즈부(13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렌즈부(110)는 순서를 바꾸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유닛(2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주변부는 상기 홀더 유닛(2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상면의 주변부는, 커버(22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제5렌즈(131), 제6렌즈(132) 및 제3렌즈배럴(1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렌즈부(130)에서, 상기 제5렌즈(131), 상기 제6렌즈(132) 및 상기 제3렌즈배럴(13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상기 제5렌즈(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제5렌즈(131)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6렌즈(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유닛(2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주변부는 상기 홀더 유닛(2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의 상면의 주변부는, 상기 커버(22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1 내지 제4렌즈(111, 112, 121, 122)와 비교하여 가장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5렌즈(13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3렌즈(1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의 직경은, 상기 제5렌즈(131)의 직경 보다 작고 상기 제3렌즈(121)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5렌즈(131)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홀더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커버(2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2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2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3렌즈부(13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3렌즈부(13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단은, 상기 제1렌즈부(11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단은, 상기 제1렌즈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한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하고 제1축 방향과 상이한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 방향은 'X축 방향'이라 칭하고, 상기 제2축 방향은 'Y축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1축 방향으로 2.8mm 내지 3.2mm 만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2축 방향으로 88㎛ 내지 92㎛ 만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135도 내지 145도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수평 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절홀(24, 도 1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홀(24)은, 상기 케이스(20)의 측면 중 상기 제2렌즈부(120)와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부(120)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조절홀(24)에 별도의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제2렌즈부(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3렌즈(121), 제4렌즈(122) 및 제2렌즈배럴(1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렌즈부(120)에서, 상기 제3렌즈(121), 상기 제4렌즈(122) 및 제2렌즈배럴(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6렌즈(132)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렌즈(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3렌즈(121)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4렌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렌즈(121) 및 상기 제4렌즈(122)는, '구동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6렌즈(132)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4렌즈(1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2렌즈배럴(1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4렌즈(122)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의 직경은, 상기 제4렌즈(122)의 직경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3렌즈(1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5렌즈(13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제2렌즈배럴(1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3렌즈(1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4렌즈(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3렌즈(12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4렌즈(12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홀더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렌즈배럴(1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제1홀더부(10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광원(4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의 내주면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의 내주면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 상기 제2렌즈(112) 및 상기 제1렌즈배럴(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렌즈부(110)에서, 상기 제1렌즈(111), 상기 제2렌즈(112) 및 상기 제1렌즈배럴(11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4렌즈(122)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렌즈(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렌즈(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 및 상기 제2렌즈(112)를 수용하며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렌즈 배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4렌즈(122)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2렌즈(112)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1렌즈배럴(11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1렌즈(111) 및 상기 제2렌즈(112)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포커싱(focusing)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렌즈(111)는, '포커싱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111)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광원(4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22)는, 상기 제1렌즈배럴(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111)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컬리메이팅(collimating)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광원(420)에서 조사되는 광을 통해 평행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렌즈(112)는, '컬리메이팅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렌즈(11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2렌즈(11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렌즈(11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2렌즈(11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후술하는 제2홀더부(10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3렌즈부(13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내부에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3렌즈부(130) 는 고정하고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2렌즈부(120) 또는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홀더 유닛(200)에서,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210)와 상기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20)의 제조 시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렌즈 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5렌즈(131)의 상면의 주변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홀더(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 중 상기 제5렌즈(131)의 외주측 영역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내부에 상기 광원(42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기판(4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제1방열판(43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방열부재(4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기판(4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의 상단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홀더(210)의 하단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직육면체의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액츄에이터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 수용홈은, 액츄에이터 수용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최외곽 형상인 원기둥형인 상기 제3렌즈배럴(133)을 수용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렌즈배럴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 수용홀은, 렌즈배럴 수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최외곽 배럴이 원기둥형인 렌즈 유닛(100)을 수용하고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액츄에이터(30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하단과 상단은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더(210)는, 중간 부분은 단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제5렌즈(131)의 상면의 주변부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홀더(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홀더(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내부에 상기 제3렌즈부(13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제5렌즈(131)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중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의 측면은, 상기 홀더(2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 및 상기 홀더(21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 및 상기 홀더(2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상기 렌즈 유닛(1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된 상기 렌즈 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 또는 상기 제1렌즈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 또는 상기 제1렌즈부(110)를를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광축'은 '상하 방향', '수직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광축에 수직인 방향'은, '전후좌우 방향', '수평 방향' 및 'X축/Y축 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1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은 경사를 이루도록 만날 수 있다. 또한,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이때, 제1축은 'X축'으로 호칭되고, 제2축은 'Y축'으로 호칭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서로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제1렌즈부(110)는 X축 방향, 상기 제2렌즈부(120)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하우징(1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하우징(1100)에 결합되는 제1 구동 유닛(1001) 및 제2 구동 유닛(1002) 및 기판(331, 3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액츄에이터(300)에서,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 및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 상기 기판(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0)의 상, 하측에는 커버(39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39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커버와 상기 하우징(1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상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1홀더부(1010), 제1 마그넷(1012), 제1코일(1014), 제1가이드부(101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에서, 상기 제1홀더부(1010), 상기 제1 마그넷(1012), 상기 제1코일(1014), 상기 제1가이드부(101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하우징 기판(350)에 의해 상, 하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기판(350) 중 광축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렌즈부(1100)를 상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3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기판(350)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상기 하우징 기판(350)은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기판(350)은 상기 하우징(1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기판(350)은 제1코일(1014), 제2코일(1034), 제1홀더부(1010), 제2홀더부(103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 하면에는 전술한 제1코일(1014), 제2코일(1034), 제1홀더부(1010), 제2홀더부(1030)가 결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상기 제1코일(1014), 제2코일(1034), 제1홀더부(1010), 제2홀더부(1030)의 배치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코일(1014)을 안착시키기 위한 코일 안착부(353)가 상기 제1코일(1014)의 위치 및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014)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코일(1014)을 2개를 배치하였으나, 설계에 따라 1개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코일(1014)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1014)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측에 상기 제1홀더부(10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 기판(350)에는 상기 제1코일(1014)이 배치되기 위한 제1 코일 결합부(1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014)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040)은 제2렌즈부(120)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1014)은, 상기 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제1 가이드볼(1016)과, 상기 제1 가이드볼(1016)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 가이드홈(10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볼(1016)은 상기 제1홀더부(10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면 중 상기 제1 가이드볼(1016)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홈(10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사이에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의 중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의 하면 중 상기 제1 마그넷(1012)의 배치영역과 상기 제1가이드부(1015)의 중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상기 제1홀더부(1010)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00)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끝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제1코일(1014)과 하우징(1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부(1010)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가 수용되기 위한 제1 결합홀(10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홀(1011)은 대략 상기 제1홀더부(101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부(120)의 제2렌즈배럴(1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와 제1홀더부(1010)는 나사결합 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 후 에폭시나 열경화성 접착제로 추가로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부(1010)는 중심에 상기 제2렌즈부(120)가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제1 마그넷(1012)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홀더부(1010)는 제2렌즈부(120)가 끼워지는 홀더몸체(1010a)와, 상기 홀더몸체(1010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마그넷(1012)가 배치되는 마그넷 결합부(10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2홀더부(1030), 제2 마그넷(1032), 제2코일(1034), 제2가이드부(1035)을 포함할 수 잇다. 다만,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에서, 상기 제2홀더부(1030), 상기 제2 마그넷(1032), 상기 제2코일(1034), 상기 제2가이드부(103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34)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에 2개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코일(1034)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1034)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상측에 상기 제2홀더부(10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 기판(350) 에는 상기 제2코일(1034)이 배치되기 위한 제2 코일 결합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34)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34)은 상기 제1렌즈부(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상기 제2코일(1034)의 배치 방향은, 복수의 상기 제1코일(1014)의 배치 방향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34)은, 상기 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제2 가이드볼(1036)과, 상기 제2 가이드볼(1036)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 가이드홈(10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볼(1036)은 상기 제2 홀더(103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하면 중 상기 제2 가이드볼(1036)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2 가이드홈(10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사이에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의 중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의 하면 중 상기 제2 마그넷(1032)의 배치영역과 상기 제2가이드부(1035)의 중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상기 제2홀더부(1030)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00)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끝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제2코일(1034)과 하우징(1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홀더부(1030)에는, 상기 제1렌즈부(110)가 수용되기 위한 제2 결합홀(10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홀(1031)은 대략 상기 제2 홀더(103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렌즈부(110)의 제3렌즈배럴(13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홀더(1030)는 중심에 상기 제1렌즈부(110)가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제2 마그넷(1032)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2홀더부(1030)는 제1렌즈부(110)가 끼워지는 홀더몸체(1030a)와, 상기 홀더몸체(1030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마그넷(1032)가 배치되는 마그넷 결합부(103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상기 제2홀더부(103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더 자세하게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양단에 상기 제1 마그넷(1012)이 배치되는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양단에 상기 제2 마그넷(1032)이 배치되는 상기 제2홀더부(1030)는, 마그넷의 배치 형태가 상호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코일(1014)과 상기 제2코일(1034)의 배치 형태 또한 상호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구동 유닛(1001)이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 유닛(1002)이 상기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홀더부(1010)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홀더부(1030)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1015)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1홀더부(1010)는 제2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035)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2홀더부(1030)는 제1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홀더부(1010)가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고, 제1가이드부(1015)가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제1가이드부(1015)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홀더부(1030)가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제2가이드부(1035)가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홀더부(1030)와 제2가이드부(1035)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제2홀더부(10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부(1015)와 제2가이드부(1035)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부(1015)와 제2가이드부(1035)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더부(101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사이에는 제1기판(331)이 배치된다. 상기 제1기판(331)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10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코일(1014)은 상기 제1기판(331)의 상면에서, 상기 제1코일(10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판(332)의 하면에는 상기 제2코일(1034)이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3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기판(331)은 상기 하우징(1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기판(331)에는 홀(332)이 형성된다. 상기 홀(332)은 상기 제1기판(332)의 상,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332)과 상기 제1코일(1014) 사이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1015)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332)과 상기 제2코일(1034) 사이에는 상기 제2가이드부(1035)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홀더부(1030)와 상기 하우징 기판(350)의 사이에는 제2기판(333)이 배치된다. 상기 제2기판(333)은 상기 제2코일(10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1 마그넷(1012)과 상기 제1코일(1014)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2 마그넷(1032)과 상기 제2코일(1034)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개별적인 구동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므로, 렌즈 크기 축소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전장이 축소될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이 구현 가능하고, X축/Y축의 화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부(120)와 상기 제1렌즈부(110)는 개별적인 구동으로 동작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X축/Y축 구동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3렌즈부(130) 및 광원(420)은 기판(410)에 대하여 고정된다. 다만, 제1렌즈부(110) 및 제2렌즈부(120)는, 기판(410)에 대하여 각각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렌즈부(120)의 이동을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110)의 이동을 Y축 방향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제2렌즈부(120)가 X축 방향, 상기 제1렌즈부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렌즈부(110, 120)는 3축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은, 도 10의 start로 표시된 지점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후,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2렌즈부(120)를 X축과 평행한 제1방향으로 제2거리(L2) 만큼 이동시킨다(도 10의 A 참조). 보다 상세히, 제1코일(10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홀더부(1010)의 제1마그넷(313)이 제1코일(1014)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제2렌즈부(120)가 배치된 상기 제1홀더부(1010)가 제1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홀더부(1030)는 고정된다.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1렌즈부(110)를 Y축 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제1거리(L1) 만큼 이동시킨다(B). 보다 상세히, 제2코일(1034)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홀더부(1030)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1032)이 제2코일(1034)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제1렌즈부(110)가 배치된 상기 제2홀더부(1030)가 제2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제1 구동 유닛(1001)은, 제2렌즈부(120)를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제2거리(L2) 만큼 이동시킨다(C). 이 경우에도, 제1코일(10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렌즈부(120)가 배치된 상기 제1홀더부(1010)가 일체로 이동한다.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은, 제1렌즈부(110)를 제2방향으로 제1거리(L1) 만큼 이동시킨다(D). 이 경우에도, 제2코일(1034)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렌즈부(120)가 포함된 제2홀더부(1030)가 제2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한다.
이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유닛(1001)과 제2 구동 유닛(1002)이 교대로 작동하여 제2렌즈부(120) 또는 제1렌즈부(110)를 이동시킨다(도 7의 E, F, G 참조).
이후, 제2 구동 유닛(1002)이 제2방향과 반대인 제4방향으로 제1거리(L1)의 3배만큼 이동시킨다(H). 이로써, 제1렌즈부(110)는, End/Start로 표시된 지점에 도착하게 되고 1회 사이클(cycle)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제1렌즈부(110)의 구동 사이클은 20Hz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되는 제1거리(L1)는, 0.6mm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Y축 변위량은 0.6mm일 수 있다. 또한, 제2거리(L2)는, 4mm 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X축 이동 변위량은 4mm일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제1렌즈부(110)와 상기 제2렌즈부(120)의 이동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부(110)와 상기 제2렌즈부(120) 중 어느 일 렌즈부의 이동은 타 렌즈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각 렌즈부가 개별적,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1마그넷; 및
    상기 제2홀더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부는 제1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2홀더부는 제2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상호 수직한 렌즈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하우징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홀더부와 상기 하우징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기판은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과 상기 제1코일 사이에 제1가이드부가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홀과 상기 제2코일 사이에 제2가이드부가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의 하면에는 제1 가이드볼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볼이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제1 가이드홈이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의 상면에는 제2 가이드볼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가이드볼이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제2 가이드 홈이 배치된 렌즈 구동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 상기 제2홀더부 및 상기 제1기판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제1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는 제2커버가 결합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코일이 결합되는 제1코일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제2코일이 결합되는 제2코일 결합부가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부는 제1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2홀더부는 제2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상호 수직한 광출력 모듈.
  11.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상기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
    상기 제1홀더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1마그넷;
    상기 제2홀더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2마그넷;
    상기 제2렌즈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부; 및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부는 제1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2홀더부는 제2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1홀더부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상호 수직한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12. 광원에 상측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및 제2렌즈부와, 상기 제1렌즈부와 결합되는 제1홀더부와,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는 제2홀더부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기판과, 상기 제1홀더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1마그넷 및 상기 제2홀더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는 라이다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가 배치된 제1홀더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렌즈부가 배치된 제2홀더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홀더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3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렌즈부가 상기 제2방향과 반대되는 제4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판의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부는 상기 제2방향 또는 상기 제4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3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4방향과 상호 수직한 라이다의 구동 방법.

KR1020170045242A 2017-04-07 2017-04-07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 KR102368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42A KR102368106B1 (ko) 2017-04-07 2017-04-07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
KR1020220023281A KR102512573B1 (ko) 2017-04-07 2022-02-22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42A KR102368106B1 (ko) 2017-04-07 2017-04-07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281A Division KR102512573B1 (ko) 2017-04-07 2022-02-22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55A KR20180113755A (ko) 2018-10-17
KR102368106B1 true KR102368106B1 (ko) 2022-02-28

Family

ID=640993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242A KR102368106B1 (ko) 2017-04-07 2017-04-07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및 라이다의 구동방법
KR1020220023281A KR102512573B1 (ko) 2017-04-07 2022-02-22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281A KR102512573B1 (ko) 2017-04-07 2022-02-22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8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1608A (zh) * 2019-03-05 2020-11-20 伟摩有限责任公司 具有多个自由度的光传送器的对准
KR102649194B1 (ko) * 2019-04-04 202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cross-talk 방지 구조
US20220317253A1 (en) * 2021-04-02 2022-10-06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ED ADHESIVE BONDING IN A LiDA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4448B2 (en) * 2005-09-30 2007-09-25 Institut National D'optique Short range LIDAR apparatus having a flat spatial response
KR100878544B1 (ko) * 2007-05-17 2009-01-13 마이크롭틱스 주식회사 모바일용 줌 렌즈
KR20100043333A (ko) * 2008-10-20 2010-04-29 (주)캠톤 광학식 상보정 장치
KR101771778B1 (ko) * 2014-04-11 2017-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36827B1 (ko) * 2015-09-23 2023-05-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632301B2 (ja) * 2015-10-02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573B1 (ko) 2023-03-20
KR20220027135A (ko) 2022-03-07
KR20180113755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57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CN109690887B (zh) 光输出模块和lidar
KR20180029585A (ko)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20150119928A (ko) 이미지 센서
JP2021124729A (ja) 離散可変焦点アセンブリ及び装置
KR102624097B1 (ko) 라이다
KR20220103897A (ko) 라이다
KR102553963B1 (ko)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481506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361051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463901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545310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2023007443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37691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438245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20180026143A (ko)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487277B1 (ko)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102145917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2285248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2296767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2396345B1 (ko) 렌즈 구동장치
KR20220062477A (ko) 렌즈 구동장치
KR20110121018A (ko) 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