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059B1 -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059B1
KR102368059B1 KR1020210043593A KR20210043593A KR102368059B1 KR 102368059 B1 KR102368059 B1 KR 102368059B1 KR 1020210043593 A KR1020210043593 A KR 1020210043593A KR 20210043593 A KR20210043593 A KR 20210043593A KR 102368059 B1 KR102368059 B1 KR 10236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feeder
feeding
feeding table
b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섭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와이에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와이에치 filed Critical 합자회사 와이에치
Priority to KR102021004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0Feed racks
    • A01K1/105Movable feed barriers, slides or fe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의 가축에게 조사료 베일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재(21)의 상측으로 전면펜스(22)와 측면펜스(23)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이대(20); 상기 급이대(20)에 상치되는 베일(15)을 로프(31)로 지지하는 지지부재(30); 상기 급이대(20)의 위치변동을 유발하도록 축사(10)와 급이대(20) 사이에 구성되는 이동부재(40); 및 상기 이동부재(40)를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베일 형태의 볏짚을 가축에게 고르게 급이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바탕으로 수확 과정에서 혼입된 이물질을 일정한 영역으로 수집하여 청소하기 용이하므로 생력화의 실효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Roughage feeding apparatus for ruminants}
본 발명은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산농가에서 베일러로 수확한 볏짚을 가축에게 조사료로 급이하기 위한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배합사료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축산물의 수입개방, 축산물 소비 증가율 감소 등으로 성장률이 정체되면서 수요가 둔화되고 있다. 축산업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사료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조사료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조사료는 초식가축의 주 영양소 공급원으로서 소화 및 대사 장애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하기 적합하다. 특히 반추동물의 경우 양질의 조사료의 확보와 더불어 베일 형태의 조사료를 자동으로 급이하는 장치가 중요하다.
베일 형태의 조사료를 급이하는 장치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3284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54733호 등의 특허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전자의 특허문헌은 공급틀, 공급틀에 힌지결합되는 상부덮개와 측면덮개; 공급틀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틀; 하부틀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흘러나온 조사료를 받치는 받침틀; 하부틀에 연결 설치되며 원형베일조사료을 거치하는 거치틀; 거치틀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조사료를 끌어당기는 체인부;를 포함한다. 이에, 축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의 특허문헌은 베이스 프레임에 일정 간격의 수직바로 형성된 전면 급이 팬스; 원형 볏짚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볏짚받침플레이트; 원형 볏짚의 후면부를 전면으로 밀어주는 후면부 볏짚받침 플레이트; 전면 급이 팬스에 장착된 전동윈치; 및 전동윈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에, 개체들이 볏짚을 고르게 섭취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상기한 특허문헌에 의하면 베일 형태의 볏짚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혼입된 뿌리나 흙 등을 빗자루로 매일 쓸어 모아 버리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기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3284호 "원형베일 조사료의 자동 급이기" (공개일자 : 2012.01.10.)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54733호 "원형볏짚 자동 급이장치" (공개일자 : 2019.05.2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산농가에서 베일 형태의 볏짚을 가축에게 고르게 급이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바탕으로 수확 과정에서 혼입된 이물질을 일정한 영역으로 수집하여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사의 가축에게 조사료 베일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재의 상측으로 전면펜스와 측면펜스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이대; 상기 급이대에 상치되는 베일을 로프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급이대의 위치변동을 유발하도록 축사와 급이대 사이에 구성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급이대는 경사를 이루는 바닥판재의 저면에 캐스터를 구비하고, 캐스터의 적어도 일부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급이대에 장착된 홀더에 로프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홀더는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재는 급이대의 전후방향 이동을 유발하는 전동실린더, 급이대의 좌우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더와 이동레일, 급이대의 좌우회전을 허용하는 힌지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제어기를 기반으로 하고 급이대에 설치되는 중량검출기, 접근검출기, 위치검출기를 연결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급이 상태를 감지하면서 전동실린더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일 형태의 볏짚을 가축에게 고르게 급이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바탕으로 수확 과정에서 혼입된 이물질을 일정한 영역으로 수집하여 청소하기 용이하므로 생력화의 실효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축사에 적용된 상태의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부분 확대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수단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축사(10)의 가축에게 조사료 베일(15)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축산농가에서 베일러로 수확한 볏짚인 베일(15)을 가축에게 조사료로 급이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축사(10)는 우사로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축사(10)는 울타리(13)로 구획되는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으로 트랙터(TR)가 출입되는 통로를 갖춘다. 축사(10)는 통로를 비롯한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바닥재(11)를 형성한다. 바닥재(11)는 콘크리트를 사용한 평탄한 구조이면서 배수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축사(10)는 협의적으로 울타리(13)로 구획되는 단위 공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이대(20)가 바닥판재(21)의 상측으로 전면펜스(22)와 측면펜스(23)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급이대(20)를 구성하는 바닥판재(21), 전면펜스(22), 측면펜스(23)가 나타난다. 급이대(20)는 축사(10)의 통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닥판재(21)의 일면(전방)에 전면펜스(22)가 연결되고, 전면펜스(22)의 양측면에 측면펜스(23)가 연결된다. 전면펜스(22)와 측면펜스(23)는 힌지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닥판재(21)와 전면펜스(22)도 힌지를 개재하여 연결될 수 있다. 트랙터(TR)로 운반된 베일(15)은 급이대(20)의 대략 후방으로 로딩되어 주로 바닥판재(21)와 전면펜스(22)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급이대(20)는 경사를 이루는 바닥판재(21)의 저면에 캐스터(25)를 구비하고, 캐스터(25)의 적어도 일부는 높이조절부(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급이대(20)에 구성되어 있는 캐스터(25)와 높이조절부(27)가 나타난다. 바닥판재(21)가 경사를 이루면 베일(15)이 전면펜스(22)에 밀착되어 급이에 유리할뿐더러 베일(15)에 혼입된 뿌리나 흙 등의 이물질을 전방의 수거부(28)에 수집하여 청소하기 용이하다. 바닥판재(21)의 전후방으로 장착된 캐스터(25)는 바닥재(11) 상에서 급이대(20)의 원활한 위치변동을 조력한다. 높이조절부(27)는 전방의 캐스터(25) 또는 후방의 캐스터(25)에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7)는 텔레스코픽 관체를 나선이나 핀으로 연결하는 기구적 방식이 적합하지만, 솔레노이드, 리드스크류-모터 등의 전기적 방식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높이조절부(27)는 바닥판재(21)의 경사 각도를 변동하는 역할도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30)가 상기 급이대(20)에 상치되는 베일(15)을 로프(31)로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에서, 급이대(20)에 상치된 베일(15)이 지지부재(30)의 로프(31)로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로프(31)는 2개 이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부분적으로 탄성변형되는 신축성을 갖출 수 있다. 로프(31)의 적어도 일부에는 폭이 넓은 밴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30)는 급이대(20)에 장착된 홀더(33)에 로프(31)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홀더(33)는 로프(3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지지부재(30)에 구성되어 있는 홀더(33)와 길이조절부(35)가 나타난다. 홀더(33)는 로프(31)를 걸거나 푸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측면펜스(23) 또는 전면펜스(22)에 장착된다. 홀더(33)에 긴밀하게 지지되는 로프(31)는 베일(15)의 볏짚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길이조절부(35)는 코드릴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고, 홀더(33)와 연계하여 로프(31)에 탄성력을 인가한 상태로 지지한다. 베일(15)이 급이되는 과정에서 크기(직경)가 축소되더라도 전면펜스(2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재(40)가 상기 급이대(20)의 위치변동을 유발하도록 축사(10)와 급이대(20) 사이에 구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재(40)가 축사(10)의 울타리(13)와 급이대(20) 사이에 구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인접한 축사(10) 사이에 배치되는 급이대(20)는 베일(15)을 로딩하는 트랙터의 진입방향, 축사(10)에 수용된 가축 개체수의 차이, 바닥판재(21)의 수거부(28)에 수집되는 이물질의 청소 등의 환경에 대응하도록 위치변동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재(40)는 급이대(20)의 전후방향 이동을 유발하는 전동실린더(41), 급이대(20)의 좌우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더(42)와 이동레일(43), 급이대(20)의 좌우회전을 허용하는 힌지핀(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부재(40)를 구성하는 전동실린더(41), 슬라이더(42), 이동레일(43), 힌지핀(45)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구성품은 일부만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전부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전동실린더(41)는 일단이 울타리(13)에 고정되고 타단이 급이대(20)의 전면펜스(22)에 직간접으로 연결된다. 전동실린더(41)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스크류를 통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적용된다. 도 2는 전동실린더(41)에 의하여 급이대(20)가 축사(10)에 근접한 상태이고, 도 3은 전동실린더(41)에 의하여 급이대(20)가 축사(10)에서 멀어진 상태이다.
이에, 도 4(a)처럼 급이대(2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해당 축사(10)의 가축에 대한 급이량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 바닥판재(21)의 이물질을 청소할 때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전동실린더(41)를 전면펜스(22)에 직결하는 대신 슬라이더(42)와 이동레일(43)을 개재하는 간접적 연결도 가능하다. 슬라이더(42)는 전동실린더(41)의 후단에 연결하고 이동레일(4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동레일(43)은 전면펜스(22)의 상단과 결합된다. 이동레일(43)의 양단에는 슬라이더(42)의 이동을 한정하는 브라켓을 설치한다.
이에, 도 4(b)처럼 급이대(20)를 좌우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트랙터로 바닥판재(21)에 베일(15)을 로딩하거나 바닥판재(21)의 이물질을 청소할 때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전동실린더(41)와 전면펜스(22)의 결합에 있어서 힌지핀(45)을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실린더(41)와 전면펜스(22)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대향하는 이동레일(43)과 측면펜스(23) 사이에 2개의 힌지핀(45)을 이용한 양방향 회전 구조를 택한다. 이동레일(43)과 측면펜스(23)는 각각의 양단에 힌지핀(45)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도시 생략)을 갖춘다.
이에, 도 4(c)처럼 급이대(20)를 일측 힌지핀(45) 또는 타측 힌지핀(45)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트랙터로 베일(15)을 로딩하거나 바닥판재(21)의 이물질을 청소할 때 넓은 공간을 확보한다. 물론 급이대(20)와 인접한 축사(10) 간의 급이량 조절의 기능도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50)이 상기 이동부재(40)를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수단(50)의 제어기(52)를 중심으로 하는 회로 연결을 나타낸다. 제어기(5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이며 축사(10)의 내부 그리고/또는 축사(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제어수단(50)은 베일(15)의 급이는 물론 베일(15)의 로딩, 이물질 청소 등의 전반적 생력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제어기(52)를 기반으로 하고 급이대(20)에 설치되는 중량검출기(54), 접근검출기(56), 위치검출기(58)를 연결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급이 상태를 감지하면서 전동실린더(41)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제어기(52)에 중량검출기(54), 접근검출기(56), 위치검출기(58), 전동실린더(41)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중량검출기(54)는 급이대(20)의 일정 영역에 설치되고 베일(15)의 로딩과 크기 변화를 검출한다. 위치검출기(58)는 전면펜스(22)에 설치되고 가축이 급이대(20)에 접근하는 상태를 검출한다. 위치검출기(58)는 급이대(20)의 전후방 이동, 좌우 이동, 회전 상태를 검출한다. 제어기(52)는 중량검출기(54), 접근검출기(56), 위치검출기(58)의 신호를 이용하여 축사(10)에 베일(15)을 급이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제어기(52)는 설정된 이상 조건이 감지되면 외부에 경보를 발생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축사 11: 바닥재
13: 울타리 15: 베일
20: 급이대 21: 바닥판재
22: 전면펜스 23: 측면펜스
25: 캐스터 27: 높이조절부
30: 지지부재 31: 로프
33: 홀더 35: 길이조절부
40: 이동부재 41: 전동실린더
42: 슬라이더 43: 이동레일
45: 힌지핀 50: 제어수단
52: 제어기 54: 중량검출기
56: 접근검출기 58: 위치검출기

Claims (5)

  1. 축사의 가축에게 조사료 베일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재(21)의 상측으로 전면펜스(22)와 측면펜스(23)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이대(20);
    상기 급이대(20)에 상치되는 베일(15)을 로프(31)로 지지하는 지지부재(30);
    상기 급이대(20)의 위치변동을 유발하도록 축사(10)와 급이대(20) 사이에 구성되는 이동부재(40); 및
    상기 이동부재(40)를 설정된 조건으로 가동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30)는 급이대(20)에 장착된 홀더(33)에 로프(31)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홀더(33)는 로프(3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35)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재(40)는 급이대(20)의 전후방향 이동을 유발하는 전동실린더(41), 급이대(20)의 좌우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더(42)와 이동레일(43), 급이대(20)의 좌우회전을 허용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힌지핀(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이대(20)는 경사를 이루는 바닥판재(21)의 저면에 캐스터(25)를 구비하고, 캐스터(25)의 적어도 일부는 높이조절부(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제어기(52)를 기반으로 하고 급이대(20)에 설치되는 중량검출기(54), 접근검출기(56), 위치검출기(58)를 연결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급이 상태를 감지하면서 전동실린더(41)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KR1020210043593A 2021-04-02 2021-04-02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KR10236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593A KR102368059B1 (ko) 2021-04-02 2021-04-02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593A KR102368059B1 (ko) 2021-04-02 2021-04-02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059B1 true KR102368059B1 (ko) 2022-02-28

Family

ID=8049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593A KR102368059B1 (ko) 2021-04-02 2021-04-02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0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84B1 (ko) 1995-11-27 2005-06-02 레오 파마 에이/에스 류코트리엔길항제로서디올을함유하는퀴놀린유도체
KR20130097379A (ko) * 2012-02-24 2013-09-03 고상열 볏짚의 자동 급이장치
KR20190054733A (ko) 2017-11-14 2019-05-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형볏짚 자동 급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84B1 (ko) 1995-11-27 2005-06-02 레오 파마 에이/에스 류코트리엔길항제로서디올을함유하는퀴놀린유도체
KR20130097379A (ko) * 2012-02-24 2013-09-03 고상열 볏짚의 자동 급이장치
KR20190054733A (ko) 2017-11-14 2019-05-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형볏짚 자동 급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649B1 (en) Grain distribution sensor and control
US7900556B2 (en) Method for automated application of inoculants onto forage materials and measurement of moisture for optimum application
KR100994487B1 (ko)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US10257987B2 (en) Feed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KR102368059B1 (ko) 가축의 조사료 공급장치
JP3877335B2 (ja) 家畜飼育用小屋
KR100972457B1 (ko)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US6481373B2 (en) Programmable hay-forage feeder
CN111066667A (zh) 一种具有定量功能的养殖喂食机
KR101197396B1 (ko) 이동식 양방향 사료 공급장치
CN212414322U (zh) 一种自动化养殖鸡的系统
CN108174677B (zh) 一种秸秆联合收获打捆机
KR101869468B1 (ko)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CN112119927A (zh) 一种喂料均匀的畜牧业自动喂料器
CN211793618U (zh) 一种牛羊养殖用草料架
CN218736597U (zh) 鹌鹑养殖笼
CN215302244U (zh) 一种用于畜牧养殖的投料装置
CN110383991A (zh) 一种干湿两用自动入料铡草机
CN220140471U (zh) 畜牧养殖颗粒饲料投喂系统
KR101047049B1 (ko) 사일리지 볏짚 공급기
CN112021191B (zh) 一种畜牧自动上料喷洒分离装置
CN214413818U (zh) 用于鸭笼养的饲料槽
CN220654402U (zh) 一种犊牛用喂奶装置
CN214552750U (zh) 一种畜牧用自动供料饲养栏
CN215500931U (zh) 一种泥鳅养殖用投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