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440B1 -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FOR CAPABLE OF REMODELING DIGITAL DOORLOCK INTO BASED IoT AND REMODE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FOR CAPABLE OF REMODELING DIGITAL DOORLOCK INTO BASED IoT AND REMODE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440B1
KR102367440B1 KR1020200118302A KR20200118302A KR102367440B1 KR 102367440 B1 KR102367440 B1 KR 102367440B1 KR 1020200118302 A KR1020200118302 A KR 1020200118302A KR 20200118302 A KR20200118302 A KR 20200118302A KR 102367440 B1 KR102367440 B1 KR 10236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battery
battery module
digital do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102020011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7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cluding means for monitoring voltage, e.g. for indicating low battery stat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del a popular digital door lock in the market into a smart digital door lock with high functionality to be wirelessly operated by a smartphone. On-site installation (self-installation is also possible) is easy. Minimum battery power is consumed while allowing internet of things (IoT) functions link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o use the digital door lock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replacing batteries. Unlocking of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controlled by using an operation panel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using a smartphone. The digital door lock has an additional guiding function for personal belongings. Moreover, even while the digital door lock is inoperable due to the discharge of batteries of the digital door lock, the inoperability of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resolved by using a smartphone of a user or a smartphone battery without usual emergency measures.

Description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를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 방법{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FOR CAPABLE OF REMODELING DIGITAL DOORLOCK INTO BASED IoT AND REMODELING METHOD THEREOF}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nd a digital door lock remode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급형의 디지털도어락을 스마트폰으로 무선 작동시킬 수 있는 고급형의 스마트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이 가능하고,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로 사용되는 일회용 소모품인 건전지(1차 전지)를 대신하는 대용량이고 오랫동안(1000번 내외로 재충전 가능)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소모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IoT(Internet of Things)기반의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 리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model an entry-level digital door lock into a high-end smart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operated wirelessly with a smartphone, and a battery (primary battery) which is a disposable consumable used as a battery of the digital door lock. ), which can be used for a long time (rechargeable about 1000 times), and can minimize battery power consumption, is related to an IoT (Internet of Things)-based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and a remodeling method thereof.

요즈음에는 출입문에 디지털 도어락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고 있다. 디지털도어락은 열쇠를 들고 다니는 번거로움은 물론 분실에 대한 우려가 없어 사용자에게 무척 편리하다. These days, digital door locks are being used quite a lot on entrance doors. Digital door locks are very convenient for users because they do not have to worry about losing the keys as well as the hassle of carrying them around.

또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동해 문열림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고, 터치패드에 있는 흔적을 없애기 위한 허수 입력이나 손바닥 터치, 스마트폰 연동으로 출입한 사람을 파악하는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기능 등 보안을 한층 강화한 디지털 도어락 제품도 시중에 나오고 있다. Also, recently, digital door locks that provide a door opening function by interlocking with a smartphone through Bluetooth are on the market. Digital door lock products with enhanced security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IoT) function are also on the market.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도어락은 배터리로서 대부분이 건전지(1차 전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도어락이 있는 출입문의 잦은 사용과 IoT기능이나 블루투스 연동기능의 사용으로 인해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 소모가 더욱 빠르게 발생하고 있다. However, most of these digital door locks use batteries (primary batteries) as batteries, and the battery consumption of digital door locks is occurring faster due to frequent use of doors with door locks and use of IoT functions or Bluetooth interlocking functions.

디지털도어락 제품은 대개가 건전지를 4개 내지 8개 내장을 하는데, 하루에 10번 동작시키면 6~10개월 정도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출입자가 많아 하루에 더 잦은 사용을 하거나 IoT기능이나 블루투스 연동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 제품은 사용자나 관리자가 수시로 배터리 교체 걱정을 해야 한다. Most digital door lock products have 4 to 8 built-in batteries, and if operated 10 times a day, they can be used for only 6 to 10 months. Therefore, for digital door lock products that are used more frequently in a day due to a large number of people entering or having an IoT function or Bluetooth interworking function, users or administrators have to worry about replacing the battery frequently.

또 도어락 배터리의 교체 시기가 되어 경고알람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교체가 제때 이루어지질 않아 건전지가 완전 방전이 되면 디지털 도어락은 동작불능 상태가 된다. 이런 난처한 상황이 되면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자나 관리자는 9V의 사각형 건전지를 구입해서 디지털 도어락 외부 비상충전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임시 작동시키거나(일반적으로는 잘 알지 못하는 방법이다), 열쇠업자와 같은 수리업자에게 출장비를 지불하고 디지털 도어락이 작동되도록 해야한다. In addition, when it is time to replace the door lock battery and there is a warning alarm, if the replacement is not done in time and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the digital door lock becomes inoperable. In such an embarrassing situation, the user or manager of the digital door lock purchases a 9V square battery and supplies current to the external emergency charging terminal of the digital door lock to temporarily operate the digital door lock (this is a method that is not well known), or a key maker You'll have to pay travel expenses to a repairman such as a retailer and get the digital door lock to work.

이러한 일은 여간 번거롭고 불편하며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일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망된다. This work is cumbersome, inconvenient, and has to be paid for, so improvement is desired.

또한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지털도어락의 건전지수납함에 넣는 전지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전원을 생성하기 위해 승압을 해주어야하므로 배터리 소모를 유발시켜 2차 전지의 잦은 재충전을 해주어야 하므로 일반 사용자들이 그 사용을 꺼리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개선도 요망된다. In addition, if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i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the battery in the battery compartment of the digital door lock by recharging it. Because it has to be recharged frequently, general users are reluctant to use it. Therefore, improvement is also desired.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6844호 "도어 락의 기능확장용 배터리팩 및 그를 구비한 도어 락"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6844 "Battery pack for function extension of door lock and door lock having sa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급형의 디지털도어락을 스마트폰으로 무선 작동시킬 수 있는 고급형의 스마트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이 가능함과 함께 현장 설치가 용이한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del a low-end digital door lock into a high-end smart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operated wirelessly with a smartphone, and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that is easy to install on site and It is to provide the remodeling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oT(Internet of Things)기능을 가능케 하면서도 최소한의 배터리전력을 소모하도록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that enables an Internet of Things (IoT) function while consuming a minimum amount of battery power, and a remode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도어락의 배터리로 사용되는 일회용 소모품인 건전지(1차 전지)를 대신하며 대용량이고 오랫동안(1000번 내외로 재충전 가능)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batteries (primary batteries), which are disposable consumables used as batteries for digital door locks, and to be able to use IoT-based digital door locks for a long time (rechargeable about 1000 times) with a large capac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and a method for remodel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제 제어를 할 수 있으며 개인 소지품 휴대를 안내하는 부가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that can control locking and unlocking of a digital door lock using a smartphone and can implement an additional function guiding the carrying of personal belongings; It is to provide the remodeling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에도 통상적인 비상조치없이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를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불능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및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that can release the disabled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using one's own smartphone or smartphone auxiliary battery without normal emergency measures even in the inoperable state due to battery discharge of the digital door loc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delabl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and a remodeling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서, 출입문 개폐를 위한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 및 도어락전원의 공급을 위해 마련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를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와는 독립되어서 내부몸체 부근에 설치되게 구성하며;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is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into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 battery module for a digital door lock provided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and supplying power to the door lock The case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body independent of the inner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실내 화재에 대응된 온도를 감지하는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배터리부의 출력이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디지털 도어락본체 각각에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배터리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배터리전원 상시공급선과,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디지털도어락본체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작동요구 여부에 따라 배터리부의 출력전원을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내 모듈회로부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단속 공급되게 통제하는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와,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의 동작전원 공급으로 웨이크업되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모바일기기와의 무선교신에 의한 도어락 제어와 디지털 도어락본체와의 인터페이스에 의한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며,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로 모듈 동작전원의 차단을 명령하고 디스에이블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한다.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includes a battery unit, a battery condition check unit for checking the charging/dis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unit, a fire temperature sensing switch for detecting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 indoor fire, and a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having a mobile app, and a battery power supply line whose output is connected to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and the digital door lock body, respectively, to supply battery power to the battery unit at all times A module that controls the intermittent supply by converting the output power of the battery part into the operating power of the module circuit part in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art,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and the digital door lock body. It wakes up by supplying operating power from the supply power control unit and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and performs door lock control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mobile devices through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door lock control by interface with the digital door lock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battery module control unit that commands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to cut off the module operating power and is disabled as a preset non-use time elapses.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는,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 실내측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In additio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operation request of the indoor user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상기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의 작동요구 여부에 따라 배터리부의 출력전원을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내 모듈회로부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단속 공급되게 통제하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intermittent supply by converting the output power of the battery unit to the operating power of the module circuit unit in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whether an operation request of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sensing unit is required.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도어락 제어를 위해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회로부와 배선으로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of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by wiring for door lock control. .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회로부와의 배선 연결을 위해서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문열림센서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데드볼트의 제어 신호선, 도어락본체의 건전지 전극 배터리전원선 각각에 연결되는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ignal line of the door unlock button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for wiring connection with the circuit part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the door lock body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emodeling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each of the detection signal line of the door open sensor provided in the inner body, the control signal line of the dead bolt provided i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battery electrode battery power line of the door lock body.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와 배터리모듈케이스가 출입문 내실측면에 설치되는 일체형 브라켓에 함께 탑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battery module case are configured to be mounted together on an integrated bracket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는. 배터리부와 도어락본체간의 배터리전원 상시 공급선 상에는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ower control switch is further provided on the battery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battery unit and the door lock body.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이 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를 비도통시켜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배터리전원이 미공급되게 제어하여 사용자 작동불능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구성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although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unit is in a state of exhaustion of the battery, but turns off the battery power control switch as the battery level becomes the cutoff threshold value reserved for emergency power use, the battery is stored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switch to a non-operable state by controlling the power not to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이 됨에 따라 도어락본체의 조작패널을 디스에이블시켜서 실외측 사용자 작동불능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unit is exhausted by the user, but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reserved for battery emergency power u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configuration for disabling the operation panel of the door lock body to switch to an outdoor user inoperable state as the blocking threshold value is reached.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의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부를 도통시켜 도어락본체에 비상전력용도 예비분의 도어락전원을 공급하여서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제어하는 구성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i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n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below the blocking threshold value recognized by the user as battery exhaustion. In response to a door lock emergency start request through the mobile app of the mobile device, the battery power cut-off switch part is turned on to supply the door lock power for emergency power use to the door lock body, thereby controlling the inoperability of the door lock body to be released. characterized by having.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의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도어락본체의 조작패널이 인에이블되게 제어하여 도어락본체내 조작패널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제어하는 구성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i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n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below the blocking threshold value recognized by the user as battery exhaustion. In response to a door lock emergency start request through the mobile app of the mobile device, the control panel of the door lock body is controlled to be enabled, and the control panel in the door lock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configuration to control so that the inoperative state of the operation panel is released.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재충전가능한 대용량 배터리 및 건전지중의 선택된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elected one of a rechargeable large-capacity battery and a dry cell.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상기 재충전가능한 대용량 배터리는 완전충전전압이 4.2V인 리튬이온배터리 및 리튬폴리머배터리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hargeable large-capacit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ne of a lithium ion battery and a lithium polymer battery having a full charge voltage of 4.2V.

또한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 배터리모듈 제어부에서의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은 5초 내지 1분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IoT-based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non-use time in the battery module controller is 5 seconds to 1 minu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를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보급형 디지털도어락의 내부몸체의 회로중에서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문열림센서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데드볼트의 제어 신호선, 도어락본체의 건전지 전극 배터리전원선 각각에 연결되는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를 외부로 연장시키는 과정과, 디지털도어락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하는 대용량의 배터리부와 출입문 개폐를 위한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기능, 배터리 전력 최소화가 가능한 배터리전원의 통제기능,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를 모바일기기로 알려주는 알림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부를 갖는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이 탑재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연결케이블을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내부몸체에서 연장된 리모델링 케이블 커넥터와 접속시키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와 디지털도어락의 내부몸체를 일체형 브라켓에 함께 탑재시켜서 출입문 내실측면에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lso, 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gital door lock remodeling method using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 door unlocking provided i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mong the circuits of the inner body of the entry-level digital door lock Remodeling cable connectors connected to each of the button detection signal line, the door open sensor detection signal line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the dead bolt control signal line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battery electrode battery power line of the door lock body. The process of extending to the outside, a large-capacity battery that supplies battery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a wireless connection function with a mobil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 battery power control function that can minimize battery power, Connecting the connecting cable of the battery module case for a digital door lock equipped with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having a circuit part for notifying a mobile device of an inoperable state to a remodeling cable connector extending from the inner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ocess of mounting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inner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together on an integrated bracket and installing the battery module case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본 발명은 시중에 있는 저렴한 보급용 디지털도어락을 스마트폰으로 무선 작동시킬 수 있는 고기능의 스마트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이 가능함과 함께 현장 설치(자가 설치도 가능)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또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IoT(Internet of Things)기능을 가능케 하면서도 최소한의 배터리전력을 소모하도록 하여서 디지털 도어락을 배터리 교체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제 제어를 할 수 있으며, 개인 소지품 휴대를 안내하는 부가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에도 통상적인 비상조치없이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를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불능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model a cheap digital door lock on the market into a high-function smart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operated wirelessly with a smartphone, and easy on-site installation (self-installation is also possible).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digital door lock to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by enabl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function that is linked with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devices and consuming the minimum battery pow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igital door lock using a smartphone, and an additional function for guiding the carrying of personal belongings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inoperable state due to battery discharge of the digital door lock,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by using one's own smartphone or smartphone auxiliary battery without conventional emergency meas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의 설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및 배터리모듈 케이스 간의 개략 연결 및 설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외부 몸체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의 제어회로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의 회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을 통해 진입한 설정모드 화면창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도어 오픈되게 제어하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마스크를 이용해서 도어 오픈되게 제어하는 예시도.
1 is an installa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figuration view of Figure 1;
3 is a schematic connection and installation configuration diagram between an external body and an internal body of a digital door lock body, and a battery module case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uter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of FIG. 5;
7 is an exemplary view of a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scree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of a setting mode screen window entered through a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of controlling the door to be opened using a smart phone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of controlling the door to be opened using a mask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요즈음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와 접속 가능한 IoT(Internet of Things)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이 보급되고 있지만 스마트폰으로 무선접속시 많은 건전지(배터리) 전력소모로 인해 실제로는 적극 사용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또한 화재 발생시에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대용량 원통형 배터리(재충전 가능한 전지)를 디지털 도어락에 수납시에는 화재시 폭발로 인한 도어락 기능의 망실 염려로 인해 현실적 채용이 힘들다. Although digital door locks with IoT (Internet of Things) functions that can be connected to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re becoming popular these days, it is difficult to use them actively in reality due to the consumption of a lot of battery (battery) power when connected wirelessly with a smartphone. In addition, when a large-capacity cylindrical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such as a lithium-ion battery is stored in a digital door lock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difficult to realistically adopt it due to concerns about the loss of the door lock function due to an explosion in the event of a fire.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재시 폭발로 인한 도어락 기능의 망실이 없도록 구현하여 리튬이온배터리와 같은 재충전가능한 대용량의 원통형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최소한의 배터리전력이 소모되도록 회로부를 구현하여서 설령 건전지(1차 전지)를 사용하더라도 무리 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디지털 도어락을 배터리 교체없이도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을 허락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rechargeable large-capacity cylindrical battery such as a lithium-ion battery by implementing so that there is no loss of the door lock function due to explosion in case of fire, and by implementing a circuit part so that the minimum battery power is consumed, even if the battery (primary battery) It can be applied without any problem even if you use a digital door lock and allows you to use the digital door lock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시중에 판매되는 보급형의 디지털도어락을 스마트폰으로도 무선 제어(잠금해제나 상태확인)할 수 있는 고급형의 스마트 디지털도어락 및 최소배터리 소모의 스마트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이 가능케하고 아울러 별 어려움이 없이 현장 설치(자가 설치도 가능)가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del the low-end digital door lock sold on the market into a high-end smart digital door lock that can wirelessly control (unlock or check the status) even with a smartphone and a smart digital door lock that consumes minimal battery. It is implemented so that on-site installation (self-installation is possible) is possible without difficul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의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의 설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기기(40)와의 무선접속되는 고급형의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서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외부몸체(2a)와 내부몸체(2b), 및 배터리모듈 케이스(10)간의 개략 연결 및 설치 구성도이다. 1 is an installa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into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and FIG. In a wirelessly controlled battery module device that can be remodeled into a high-end digital door lock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40, the outer body 2a and the inner body 2b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and the battery module case (10)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nection and installa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는 출입문 개폐를 위한 모바일기기(40)와의 무선접속기능, 배터리 전력 최소화가 가능한 배터리전원의 통제기능,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를 모바일기기(스마트폰)로 알려주는 알림기능,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에도 통상적인 비상조치(9V 건전지를 구입해서 비상 배터리전원 공급)없이 자신의 모바일기기(스마트폰)나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를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불능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reless connection function with a mobile device 40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a battery power control function capable of minimizing battery power, and an operation by discharging the battery of the digital door lock. Notification function to notify the mobile device (smartphone) of the inoperability state, even if the digital door lock is inoperable due to battery discharge, without the usual emergency measures (purchasing 9V batteries to supply emergency battery power) It includes a function that can release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using a smartphone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는 화재시 배터리 폭발로 인한 도어락본체(2)에서의 도어락 기능의 망실이 없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와는 구분되고 독립되게 구성하며, 출입문의 내실측면에 설치되는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 부근에 설치된다.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2 as shown in FIGS. 1 and 2 so that there is no loss of the door lock function in the door lock body 2 due to battery explosion in case of fire. (2b) is configured independently and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본 발명에서는 출입문에 디지털 도어락을 장착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출입문 내실측면에 설치되는 하나의 일체형 브라켓(20)상에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와 배터리모듈케이스(10)가 함께 탑재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일체형 브라켓(20) 제공은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와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현장 설치(자기 설치가 가능함)를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gital door lock is mounted on the door,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inner body 2b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and the battery module case are placed on one integrated bracket 20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1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together. The provision of the integrated bracket 20 helps to facilitate on-site installation (self-installation is possible) of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and the battery module case 10 .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는 착탈형의 배터리부(14)와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 제어용의 회로기판(16)이 내장된다. 배터리부(14)의 삽입된 배터리 교환을 위한 모듈배터리 커버(12)를 구비한다.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vable battery unit 14 and a circuit board 16 for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for digital door lock. A module battery cover 12 for replacing the inserted battery of the battery unit 14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부(14)는 동일사이즈의 건전지(1차 전지)에 대비해 수배이상 대용량인 리튬이온전지(배터리)나 리튬폴리머전지(배터리)로 구성되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다. 또 본 발명에서 배터리부(14)는 본 발명이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되게 구현하므로 필요에 따라 건전지(1차 전지)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attery unit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lithium ion battery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battery) having a large capacity several times or more compared to a battery (primary battery) of the same size and is a rechargeable battery.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ttery unit 14 is implemented to minimize battery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use a dry cell (primary battery) as necessary.

대개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에는 도 1 및 도 2의 일예에서와 같이 건전지 4개 수용 가능한 건전지 수납함(9)을 가지며, 1.5V짜리 건전지 4개가 직렬연결되어서 6V의 도어락전원을 제공한다. 또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에 구비된 건전지 수납함의 다른 예시로는 건전지 8개 수용 가능한 형태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서로 직렬 연결된 좌측 2열의 1.5V짜리 건전지 4개(6V제공)와 서로 직렬연결된 우측 2열의 1.5V짜리 건전지 4개(6V제공)가 병렬 연결되어서 6V의 도어락전원을 제공한다. Usually,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has a battery storage box (9) capable of accommodating four batteries as in the example of FIGS. 1 and 2, and four 1.5V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supply 6V door lock power. to provide.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battery compartment provided in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there is a form that can accommodate 8 batteries, and in this case, 4 1.5V batteries in the left two row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6V provided) and 4 1.5V batteries (6V provided) in the right 2 row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provide 6V door lock power.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에 있는 건전지 수납함에 건전지를 넣지 않아도 된다. 이는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와는 별도로 마련된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 고방전 대용량의 배터리부(14)를 수용하는 배터리수납함이 마련되기 때문이다.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수납함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대용량 배터리인 리튬이온전지(배터리)나 리튬폴리머전지(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어서 배터리부(14)를 구성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ut the batteries in the battery compartment in the inner body (2b)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This is because the battery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the high-discharge-capacity battery unit 14 is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 A lithium ion battery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battery), which is a rechargeable large-capacity battery,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ompartment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to constitute the battery unit 14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부(14)는 배터리수납함내 인쇄회로기판상에 고정된 전극 겸용 수납브라켓(18)에 끼워져 수납될 수 있다. .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battery unit 14 may be accommod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electrode combined storage bracket 18 fix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battery compartment. .

배터리부(14)는 배터리 소진시에 착탈된 후, 별도의 전용충전기에 의해 충전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별도 충전기 구비 구성이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부피 및 제작단가를 줄이는데에 있어 바람직하다. After the battery unit 14 is detached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it is configured to be charged by a separate dedicated charger. Such a configuration with a separate charger is preferable in reducing the volume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 넣어지는 리튬이온전지(배터리)는 배터리 크기에 비해 용량이 큰 편이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주로 내장 사용되며, 동일 크기의 니켈 카드뮴 배터리보다 용량이 약 3배 높고 메모리 현상이 없는 관계로 배터리의 용량이 줄어들지 않아 오랫동안(500번 내외로 재충전 가능함)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리튬폴리머 전지(배터리)는 리튬이온 전지(배터리)보다 얇고 폭발 위험이 적은 충전지이다. 또 리튬이온 전지(배터리)보다 더 안정적이며 가볍고 리튬이온 전지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가능(1000번 내외로 재충전이 가능함)하고 특히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이점이 있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더 비싸지만 그 사용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폭발 위험성도 가장 적으며 전해질의 누액 현상도 없음은 물론이고 자연방전이 적으며 메모리효과도 없는 장점이 있다. The lithium-ion battery (battery) put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capacity compared to the size of the battery, so it is mainly used in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has a capacity of about 3 compared to a nickel-cadmium battery of the same size. Because it is twice as high and there is no memory phenomeno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does not decrease,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rechargeable about 500 times). In addition, a lithium polymer battery (battery) is thinner than a lithium ion battery (battery) and is a rechargeable battery with less risk of explosion. In addition, it is more stable and lighter than a lithium ion battery (battery), can be used for a longer time than a lithium ion battery (rechargeable about 1000 times),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is in increasing trend. The risk of explosion is minimal, and there is no electrolyte leakage, as well as less natural discharge and no memory effect.

본 발명의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부(14)의 일 예로서 18650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방전용(대용량) 186050 제품일 경우 2600mAh용량과 아울러 완전 충전시 전압이 4.2V이며 정격전압은 3.7V가 된다. As an exampl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an 18650 lithium-ion battery can be used, and in the case of a high-discharge (large capacity) 186050 product, the voltage is 4.2V and the rated voltage is 3.7V with 2600mAh capacity and full charge. becomes

본원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서 예컨대 완충전 전압 4.2V, 정격전압 3.7V, 용량 3000mAh와 같은 고방전용 대용량 배터리(예컨대 18650리튬이온배터리 등)로 디지털도어락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6V로의 승압을 위한 승압회로부(지속 작동시 상당한 전류소모가 있음)가 없어도 디지털 도어락이 4.2V ~ 3.43V 범위 내에서 충분히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experiments, for example, when supplying battery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with a high-discharge high-capacity battery (eg, 18650 lithium-ion battery, etc.) such as a full-charge voltage of 4.2V, a rated voltage of 3.7V, and a capacity of 3000mAh, for boosting to 6V It was confirmed that the digital door lock operates sufficiently normally within the range of 4.2V to 3.43V even without the step-up circuit unit (there is significant current consumption during continuous operation).

더욱이 디지털도어락이 설치된 출입문을 사용자가 하루 1O번 출입하는 것으로 가정한 후 실험해 본 결과 용량 3000mAh와 같은 고방전용 대용량 배터리(18650 리튬이온배터리 1개 채용한 경우)의 배터리 전원전압이 0.01V 낮아지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10일로 나타내는 등 고방전용 대용량 배터리로 된 배터리부(14)를 사용하되 승압회로부를 생략한 채로 장기간(하루 10번 사용 경우에는 이론상으로는 770일) 사용하여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Furthermore, assuming that the user enters and exits the door equipp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10 times a da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battery power voltage of a high-discharge high-capacity battery with a capacity of 3000 mAh (when one 18650 lithium-ion battery is employed) is lowered by 0.01V.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battery unit 14 made of a high-capacity battery for high discharge is used, such as the period required for 10 days, but with the boost circuit unit omit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oretically, 770 days in the case of using 10 times a day). .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모듈케이스(10)가 디지털 도어락본체(2)에 직접 잠금해제요청을 할 수 있고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 있는 대용량 배터리부(14)의 출력전원(배터리전원)을 도어락본체(2)가 사용할 수 있도록 배선연결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case 10 can make a request to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directly, and the output power (battery power) of the large-capacity battery unit 14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is transferred to the door lock body ( 2) Connect the wiring so that it can be us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보급형 디지털도어락으로서 도어락본체(2)의 도어락본체 회로기판(4)의 회로중에서 내부몸체(2b)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8)의 감지신호선(K1), 내부몸체(2b)에 구비된 문열림센서(49)의 감지신호선(K3), 데드볼트(7)의 제어 신호선(OPN), 내부부저의 부저작동 제어신호선(BZ_OFF), 건전지 전극 배터리전원선(PWR) 각각에 연결되도록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6)를 구성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5, as a popular digital door lock, the door lock release button 8 provided on the inner body 2b among the circuits of the door lock body circuit board 4 of the door lock body 2 is detected. Signal line (K1), the detection signal line (K3) of the door open sensor (49) provided on the inner body (2b), the control signal line (OPN) of the dead bolt (7), the buzzer operation control signal line of the internal buzzer (BZ_OFF), the battery The remodeled cable connector 6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ode battery power lines (PWR).

도어락본체(2)의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6)는 도어락본체 회로기판(4)의 외부로 연장되게 구성하여서, 배터리모듈케이스(10)내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16)에 연장된 연결케이블(17)과 접속될 수 있다. The remodeling cable connector (6) of the door lock body (2) is configure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door lock body circuit board (4), and the connection cable (17) extended to the battery module control circuit board (16)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 can be connected with

배선 배치 예시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예에서와 같이 도어락본체(2)의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6)는 내부몸체(2B)내에 비어있는 건전지수납함(9)에 위치시킬 수 있다. 현장 설치자는 배터리모듈케이스(10)내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16)에 연장된 연결케이블(17)을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에 구비된 건전지수납함(9) 하측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진입시켜서 건전지 수납함(9)에 위치한 리모델링 케이블 커넥터(6)에 끼워 접속시켜줌으로써 배선연결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wiring arrangemen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2 and 3, the remodeled cable connector 6 of the door lock body 2 can be located in the battery storage box 9 that is empty in the inner body 2B. The on-site installer connects the connection cable 17 extended to the battery module control circuit board 16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to the battery storage box 9 provided in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perforated below. By entering through the hole and inserting into the remodeling cable connector (6) located in the battery compartment (9), the wiring can be connected.

출입문 실외측에 위치되는 조작패널(도 4의 50)이 있는 외부몸체(2a)의 케이블커넥터(3)는 브라켓(20) 설치 이전에 출입문에 형성된 설치통공을 통해 출입문 실내측으로 넘어오고,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에 내장된 도어락본체 회로기판(4)의 회로커넥터(5)에 끼워져 접속될 수 있다. The cable connector 3 of the outer body 2a having the operation panel (50 in FIG. 4) locat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passes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formed in the door before the bracket 20 is installed to the inside side of the door, and the door lock body It can be connected to the circuit connector (5) of the door lock body circuit board (4) built into the inner body (2b) of (2).

현장 설치자는 브라켓(20)을 이용하되 일체형 브라켓(20)상에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와 배터리모듈케이스(10)를 함께 탑재시켜서 출입문 내실측면에 고정한다. The on-site installer uses the bracket 20, but mounts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and the battery module case 10 together on the integrated bracket 20 and fixes it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즉, 먼저 배터리모듈케이스(10)를 탑재시킨 일체형 브라켓(20)을 출입문 내실측면에 나사 고정시킨다. That is, first, the integrated bracket 20 on which the battery module case 10 is mounted is screw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그후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의 회로커넥터(5)에 설치통공을 통해 넘어온 외부몸체(2a)의 케이블커넥터(3)를 끼워 접속시키고, 또 내부몸체(2b)로부터 연장된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6)에 배터리모듈케이스(10)내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16)에 연장된 연결케이블(17)을 끼워 접속시킨다. 또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를 일체형 브라켓(20)상에 나사 고정시킴으로써 출입문 내실측면에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와 배터리모듈케이스(10)가 수월하게 설치된다. After that, the cable connector 3 of the external body 2a pass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is connected to the circuit connector 5 of the internal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and connected, and the remodeling extending from the internal body 2b Connect the cable connector (6) by inserting the connecting cable (17) extended to the circuit board (16) for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In addition, by screwing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on the integrated bracket 20, the inner body 2b of the door lock body 2 and the battery module case 10 are easi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저렴한 보급형의 디지털도어락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로 무선 작동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소모전력 최소화로 오래 쓸 수 있는 고급형의 스마트 디지털도어락으로 리모델링된다.By installing in this way, an inexpensive entry-level digital door lock can be operated wirelessly with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and it is remodeled into a high-end smart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minimiz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외부 몸체(2a)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로서, 외부몸체(2a)는 기본적인 조작패널(50)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모듈케이스(10)로부터 연장된 비상충전 USB포트(44)도 포함한다. 사용자가 비상충전 USB포트(44)에 스마트폰용 보조배터리의 케이블 커넥터를 접속하면 디지털 도어락으로의 비상충전이 가능하다.4 is a schematic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uter body 2a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uter body 2a has a basic operation panel 50 and a battery modul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t also includes an emergency charging USB port 44 extending from 10). When the user connects the cable connector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smartphone to the emergency charging USB port 44, emergency charging with the digital door lock is possible.

도 4에서는 비상충전 USB포트(44)를 외부 몸체(2a)상의 조작패널(50) 부근에 구비한 것으로 일예를 하였으나 하나의 예시이며, 외부 몸체(2a)와는 별도의 구비도 가능한 것이다. In Figure 4, although an example is provided with the emergency charging USB port 44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panel 50 on the external body (2a), it is an exampl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separately from the external body (2a).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의 제어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16)에 탑재된 제어회로는, 대용량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부(14)와, 배터리부(14)에 연결되며 도어락본체(2)의 외부몸체(2a)쪽으로 연장되어 출입문 외부로 노출되는 비상충전 USB포트(44)와, 배터리부(14)의 잔량을 포함한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24)와, 출입문 실내 화재에 대응된 화재초기 임계온도(예컨대 55℃)를 감지하는 화재온도감지스위치(26)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갖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28)와, 스마트폰에 의한 도어개폐 작동이 있어도 배터리전력이 최소화되도록 통제하는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와, 배터리모듈장치에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32)와,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배터리충전상태, 모듈전원 공급상태, 근거리 무선통신부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램프(34)와,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알람출력이나 음성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부(36) 및 스피커(SPK)와,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외부에서의 실내측 사용자의 작동요구(출입문 실내측에서의 스마트폰이나 마스크 감지)에 따른 잠금해제 요청을 수행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8)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5 , the control circuit mounted on the battery module control circuit board 16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ge-capacity rechargeable battery unit 14 and a battery unit 14 . ) connected to the external body (2a) of the door lock body (2) and extended toward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 emergency charging USB port 44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 battery state check to check the charge/discharge state includ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unit 14 A smartphone having a unit 24, a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26 that detects a fire initial critical temperature (eg, 55° C.) corresponding to an indoor fire at the door, and a mobile app 42 for managing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ame mobile device 40, a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that controls battery power to be minimized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a smartphone, and a battery module device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related thereto, and a status indicator lamp 34 that displays the battery charging state, the module power supply stat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peration state,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and the battery; An audio unit 36 and a speaker (SPK) for providing an alarm output or voice guid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module control unit 32, and a user's operation request (access door)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a digital door lock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8 for performing a lock release reques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smartphone or a mask from the indoor side is provided.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28)는 블루투스모듈(28a)이나 와이파이모듈(28b)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택일 채용할 경우에는 블루투스모듈(28a)의 장착이 바람직하다. 또 오디오부(36)는 예컨대 음성재생, 구간반복, 전후선택 등의 기능 등이 포함된 MP3 재생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마스크의 자석편을 감지 등으로 외부작동요구하는 외부작동요구 감지부(38)의 감지시에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외출자에게 스마트폰이나 마스크와 같은 소지품을 챙겨가라는 안내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s preferably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Bluetooth module 28a and a Wi-Fi module 28b, and in the case of alternatively employed, the Bluetooth module 28a is preferably installed. In addition, the audio unit 3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MP3 playback chip including functions such as voice reproduction, section repetition, front and rear selection, etc., for example, and requires external operation by detecting a magnet piece of a smartphone or mask When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8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tice to the outsider to take belongings such as a smartphone or a mask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16)에 탑재된 제어회로는, 배터리부(14)의 출력이 근거리 무선통신부(28)와 화재온도감지스위치(26)와 디지털 도어락본체(2)에 각각 연결되어 배터리부(14)의 배터리전원(VDD)을 상시 공급하는 배터리전원 상시공급선(22)이 구성된다. 배터리전원 상시공급선(22)은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도 연결된다. In addition, in the control circuit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6 for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battery unit 14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and a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26 and A battery power supply line 22 tha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igital door lock main body 2 to always supply the battery power V DD of the battery unit 14 is configured. The battery power supply line 22 is also connected to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서는 디지털 도어락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배터리모듈 케이스(32)내 배터리모듈 제어부(32)가 포함된 회로부 거의 대부분에 전원공급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제어 하에 차단되도록 하여서, 배터리모듈 케이스(32)내 모든 회로부가 동작되었을 경우 대비 95~98%의 소비전력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터리 전력을 통제한다.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gital door lock is not used, the power supply to most of the circuit part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in the battery module case 32 is controlled by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The battery power is controlled so that 95 to 98% of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compared to when all circuits in the battery module case 32 are operated.

배터리전원 상시공급선(22)은 디지털 도어락이 작동해야될 때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즉 근거리 무선통신부(28)와 화재온도감지스위치(26)와 디지털 도어락본체(2) 각각에 연결되어서 배터리부(14)의 배터리전원(VDD)을 상시 공급하는 것이다. 또 배터리부(14)의 배터리전원(VDD)을 배터리모듈 케이스(10)내 각부에 단속 공급하도록 통제하는 수단인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도 배터리전원 상시 공급선(22)이 연결된다. The battery power supply line 22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eans for detecting when the digital door lock needs to be operated, that is,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26, and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respectively. The battery power (V DD ) of (14) is always supplied. In addition, the battery power supply line 22 is also connected to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 which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intermittent supply of battery power (V DD ) of the battery unit 14 to each part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

근거리 무선통신부(28)에 상시 배터리전원(VDD)이 공급되더라도 배터리모듈 제어부(32)가 잠든(sleep)상태에 있으므로 활성화 상태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2)와 함께 연동 작동시의 배터리전원 소모율과 대비할 때 근거리 무선통신부(28)에서의 배터리전원 소모는 거의 없다. Even if the battery power (V DD ) is always suppli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since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is in a sleep state,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rate and In preparation, there is almost no battery power consumption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와 화재온도감지스위치(26)와 디지털 도어락본체(2),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8)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작동요구에 따라 배터리부(14)의 출력전원(배터리전원)(VDD)을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내 모듈회로부의 동작전원(Vcc)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되, 단속 공급되도록 통제한다.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is a battery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26,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and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8 The output power (battery power) (V DD ) of (14) is converted into the operating power (Vcc) of the module circuit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and supplied, but controlled to be supplied intermittently.

그리고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동작전원(Vcc) 공급으로 웨이크업(wake up)되며, 근거리통신부(28)를 매개로 모바일기기(40)와의 무선교신으로 도어락 제어와 디지털 도어락본체(2)과의 인터페이스에 의한 도어락 제어를 수행한다.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wakes up by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Vcc)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and the door lock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40 vi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8 The door lock control is performed by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도 6은 도 5의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회로 구성도이다. 6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of FIG.

도 6을 도 5와 함께 참조하여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구성 및 동작과 그와 연계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동작을 함께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and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associated therewit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ogether with FIG. 5 .

배터리모듈 케이스(10)내 근거리 무선통신부(28)에 모바일기기(40)로부터 무선접속신호가 있게 되면 상시 배터리전원(VDD)을 상시 공급받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는 도 5에서와 같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 동작 웨이크업신호 PWR_A를 펄스성 액티브 '하이'상태로 인가한다. When there is a wireless connection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40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that is constantly supplied with battery power (V DD ) is the module as shown in FIG. 5 . The operation wake-up signal PWR_A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30 in a pulsed active 'high' state.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NPN형의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승압부(52)가 인에이블되어서 모듈회로부의 동작전원(Vcc)을 각부에 공급하게 된다.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 의해서 모듈 동작전원(Vcc)을 공급받은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자기가 살아있을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모듈 동작전원(Vcc)이 공급되도록 모듈전원 제어신호 PWR_B를 논리 '하이'상태로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제2 트랜지스터(Q2)에 지속 인가한다.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전원 지속제어에 의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서는 모듈 동작전원(Vcc)을 지속 공급하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second transistor Q2 of the NPN type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is turned on and the boost unit 52 is enabled to supply the operating power Vcc of the module circuit unit to each unit. will be supplied to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which has been supplied with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by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logic ' A high 'stat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econd transistor (Q2)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continuously supplies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by the power supply continuous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

만일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통해서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갖는 모바일기기(40)로부터 출입문의 도어오픈에 대응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내부몸체(2b)의 도어락본체 회로기판(4)으로 도어오픈신호 OPN를 출력한다. 그래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의 무선제어로 도어락본체(2)에서의 도어오픈이 이루어지게 한다. I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receives data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ing of the door from the mobile device 40 having the mobile app 42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the inner body The door open signal OPN is output to the door lock main circuit board 4 of (2b). Therefore, the door is opened in the door lock body 2 by wireless control of the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또 배터리모듈 케이스(10)에서는 출입문 실내 화재에 대응된 화재초기 임계온도(예컨대 55℃)가 되면 상시 배터리전원(VDD)이 화재온도감지스위치(26)가 도통된다. 그에 따라 화재온도감지스위치(26)가 다이오드(D1)를 통해 화재감지신호 SOS를 이진논리 '하이'로 승압부(52)의 인에이블단자(EN)에 인가하며, 승압부(52)는 인에이블되면서 모듈회로부의 동작전원(Vcc)을 각부에 공급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모듈 동작전원(Vcc)을 공급받은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자기가 살아있을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모듈 동작전원(Vcc)이 공급되도록 모듈전원 제어신호 PWR_B를 이진논리 '하이'상태로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제2 트랜지스터(Q2)에 지속 인가한다.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지속 제어에 의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서는 모듈 동작전원(Vcc)를 지속 공급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when the fire initial critical temperature (eg, 55 ℃) corresponding to the indoor fire at the door is reached, the battery power (V DD ) and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26 are conducted. Accordingly,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26 applies the fire detection signal SOS to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boosting unit 52 as binary logic 'high' through the diode D1, and the boosting unit 52 enables When enabled, the operating power (Vcc) of the module circuit is supplied to each part. Accordingly,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supplied with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sets the module power control signal PWR_B to a binary logic 'high' state so that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is continuously supplied while it is alive. It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econd transistor Q2 of the controller 30 .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continuously supplies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by the continuous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화재온도감지스위치(26)로부터 화재감지신호 SOS를 받아서 도어락본체 회로기판(4)으로 도어오픈신호 OPN를 출력한다. 그래서 실내 화재시 도어락본체(2)에서의 도어오픈이 이루어지게 한다.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in the activated state receives the fire detection signal SOS from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26 and outputs the door open signal OPN to the door lock main circuit board 4 . Therefore, the door is opened in the door lock body (2) in case of an indoor fire.

또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8)의 감지신호 K1이나,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에 구비된 문열림센서(49)의 감지신호 K3나, 출입문 실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마스크나 스마트폰 등에 부착된 마그네트의 자장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로 구성 가능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8)의 감지신호 K2에 의해서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 동작 웨이크업신호 PWR_C가 액티브 논리 "로우"상태로 인가된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signal K1 of the door unlock button 8 provided on the inner body 2b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or the door open sensor 49 provided on the inner body 2b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By the detection signal K3 of the battery module case ( 10), the operation wake-up signal PWR_C is applied to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in an active logic “low” state.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PNP형의 제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승압부(52)가 인에이블되어서 모듈회로부의 동작전원(Vcc)을 각부에 공급하게 된다. 모듈 동작전원(Vcc)을 공급받은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자기가 살아있을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모듈 동작전원(Vcc)가 공급되도록 모듈전원 제어신호 PWR_B를 이진논리 '하이'상태로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제2 트랜지스터(Q2)에 지속 인가한다.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제어에 의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서는 모듈 동작전원(Vcc)를 지속 공급하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PNP-type first transistor Q1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is 'turned on' and the boost unit 52 is enabled, so that the operating power of the module circuit unit (Vcc) will be supplied to each department.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receiving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sets the module power control signal PWR_B to a binary logic 'high' state so that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is continuously supplied while it is aliv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econd transistor (Q2) of (30).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continuously supplies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

그러면 활성화상태에 있는 도 5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어느 감지신호 K1,K2,K3가 인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적합한 제어를 수행한다. The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of FIG. 5 in the activated state can check which detection signals K1, K2, and K3 are applied, and performs appropriate control accordingly.

만일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도어잠금해제버튼(8)의 감지신호 K1이나 마스크나 스마트폰 등에 부착된 마그네트의 자장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로 구성 가능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8)의 감지신호 K2가 인지되면 도어락본체 회로기판(4)으로 도어오픈신호 OPN를 출력한다. 그래서 도어락본체(2)에서의 도어오픈이 이루어지게 한다. I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is configured as a reed switch that detects the detection signal K1 of the door unlock button 8 or the magnetic field of a magnet attached to a mask or smartphone, etc., the detection signal K2 of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8 When is recognized, the door open signal OPN is output to the door lock main circuit board (4). So, the door opening in the door lock body (2) is made.

만일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내부몸체(2b)에 구비된 문열림센서(49)의 감지신호 K3가 인지되면 부저음을 꺼주는 부저오프신호 BZ_OFF를 도어락본체 회로기판(4)으로 출력한다. 그래서 도어락본체(2)에서의 도어오픈시에 일반 디지털도어락이 낮은 배터리전압 인식으로 인해서 발생시킬 수 있는 로우배터리상태 부저음이 생략되게 해준다.If the detection signal K3 of the door open sensor 49 provided in the inner body 2b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is recognize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sends a buzzer off signal BZ_OFF to turn off the buzzer sound to the door lock body circuit board ( 4) is output. Therefore,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door lock main body (2), the low battery state buzzer sound that can be generated due to the recognition of the low battery voltage of the general digital door lock is omitted.

도 6에서, 미 설명 참조부호로서, 배터리부(14)와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 사이에 있는 '21'은 파워스위치이고, 'FS'는 퓨즈이다. 참조부호 'R1' ~ 'R8'은 저항이고, 'C1'~'C4'는 커패시터, 'L1'은 인덕터이다. In FIG. 6 , as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21' between the battery unit 14 and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is a power switch, and 'FS' is a fuse. Reference signs 'R1' to 'R8' are resistors, 'C1' to 'C4' are capacitors, and 'L1' are inductors.

도 5로 다시 되돌아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디지털도어락(2)이 사용되지 않고 있는 상태의 판별 기준이 되는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로 모듈 동작전원(Vcc)의 차단을 명령하고 디스에이블된다. 5,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as a preset non-use time, which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state in which the digital door lock 2 is not in use, elapses. (30) commands to cut off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and is disabled.

즉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모듈 동작전원 차단명령에 대응된 모듈전원 제어신호 PWR_B를 논리 '로우'상태로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제2 트랜지스터(Q2)에 인가한다. 그에 따라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고 승압부(52)가 디스에이블되면서 모듈 동작전원(Vcc)의 공급이 차단된다. That is,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applies the module power control signal PWR_B corresponding to the module operation power cutoff command to the second transistor Q2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in a logic 'low' state. Accordingly, the second transistor Q2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is 'turned off' and the boost unit 52 is disabled, thereby cutting off the supply of the module operating power Vcc.

상기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은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메모리(32a)에 저장되며,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타이머(32b)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을 카운트하여 미사용시간의 경과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은 5초 내지 1분까지가 바람직하며, 설계자 선택사항이다. The preset unused time is stored in the memory 32a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ler 32,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ler 32 counts the preset unused time using the timer 32b to check whether the unused time has elapsed. . The preset non-use time is preferably 5 seconds to 1 minute, and is a designer's choic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도어락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즉시로 배터리모듈 케이스(32)내 배터리모듈 제어부(32)를 포함한 회로부 거의 대부분에 전원공급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의 제어 하에 차단되도록 하여서, 배터리모듈 케이스(32)내 모든 회로부가 동작되었을 경우 대비 95~98%의 소비전력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gital door lock is not used, the power supply to most of the circuit part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in the battery module case 32 is immediately cut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 Thus, 95 to 98% of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compared to when all circuits in the battery module case 32 are operated.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한 도어락 무선제어를 수행하면서도 배터리부(14)의 소모전력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unit 14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while performing wireless door lock control using the mobile device 40 .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부(14)에서 배터리 소진이 있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모듈케이스(10)내의 배터리부(14)에 병렬 연결되고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외부몸체(2a)쪽으로 노출되어진 비상충전 USB포트(44)를 이용해서 비상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출입문 밖에 있는 사용자가 도어락본체(2)의 외부몸체(2a)쪽으로 노출된 비상충전 USB포트(44)에 스마트폰용 보조배터리의 케이블 커넥터를 접속하게 되면 디지털 도어락으로의 비상충전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in the battery unit 14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ttery unit 14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and is digitally Emergency charg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emergency charging USB port 44 exposed toward the outer body 2a of the door lock body 2 . That is, when a user outside the door connects the cable connector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a smartphone to the emergency charging USB port 44 exposed toward the outer body 2a of the door lock body 2, emergency charging with the digital door lock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하여서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에도 통상적인 비상조치없이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할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 phone,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unlocked using one's own smart phone even in an inoperable state due to battery discharge without the usual emergency measures. can also be implemented.

그 첫번째 일예로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배터리부(14)와 도어락본체(2)간에 연결된 배터리전원 상시공급선(22)상에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46)를 더 구비하며, 배터리모듈 제어부(32)가 배터리부(14)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까지 내려가면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부(46)를 비도통시켜서 디지털 도어락본체(2)에 배터리전원(VDD)이 미공급되게 제어하여 디지털도어락이 사용자 작동불능상태로 전환되게 해준다. 상기 차단임계값은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메모리(32a)에 저장되어 있다. As a first example, as shown in FIG. 5, a battery power intermittent switch 46 is further provided on the battery power constant supply line 22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unit 14 and the door lock body 2,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unit 14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a state of battery exhaustion, but falls to the cut-off threshold value at which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reserved for battery emergency power purposes, the battery power cut-off switch unit 46 is de-conducted and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is controlled so that the battery power (V DD ) is not supplied, so that the digital door lock is switched to the user inoperable state. The cut-off threshold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32a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불능 상태로 전환한 후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기기(40)로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불능상태를 해제해주면서 사용자에게 패널티를 부여하여서 재충전이 가능한 대용량 배터리부(14)를 조속히 충전하도록 강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digital door lock is switched to the unusable state,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is released with the mobile device 40 possessed by the user. It is desirable to force the user to quickly charge the rechargeable large-capacity battery unit 14 by giving a penalty to the user while releasing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즉 동작불능상태에 놓인 디지털 도어락에 접근한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에 다운로드된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 앱(42)을 이용해서 무선접속을 수행하면 상시 배터리전원을 공급받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가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게 알려서 배터리모듈 제어부(32)가 깨어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when a user who approaches the digital door lock placed in an inoperable state performs wireless connection using the mobile app 42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downloaded to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battery power is supplied at all times. The receiv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nforms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so that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can wake up.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 의해 활성화된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매개로 모바일기기(40)와 무선접속할 수 있다.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activated by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may wirelessly connect to the mobile device 40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예컨대, 3.9V) 이하의 도어락본체(2)의 동작불능상태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매개로 모바일기기(40)의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부(46)를 도통시켜 도어락본체(2)에 배터리부(16)로부터 출력되는 비상전력용도 예비분의 도어락전원을 공급하여서 도어락본체(2)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제어한다. 그 후 사용자는 디지털 도어락본체(2)의 조작패널(50)을 이용하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해서 디지털도어락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For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of the mobile device 40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n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2 below the blocking threshold (eg, 3.9V) that the user recognizes as battery exhaustion As there is a door lock emergency start request through the mobile app 42 ,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conducts the battery power intermittent switch unit 46 to provide emergency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unit 16 to the door lock body 2 . By supplying a spare door lock power, the door lock body (2) is controlled so that the inoperable state is released. After that, the user can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by using the operation panel 50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2 or by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 phone.

그 두번째 일예로서는, 배터리부(14)와 도어락본체(2)간에는 배터리전원 상시 공급선(22)이 그대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되,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배터리부(14)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까지 낮아지게 되면 도어락본체(2)에서 외부몸체(2a)에 구비된 조작패널(50)을 디스에이블시켜서 사용자 작동불능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As a second example, the battery power supply line 22 is 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unit 14 and the door lock body 2 as it is,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control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 the battery unit 14 by the user. Although it is recognized as exhausted, when the battery level is lowered to the cut-off threshold value reserved for emergency power use, the door lock body 2 disables the operation panel 50 provided on the external body 2a to disable the user's operation. to be converted to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불능 상태(사용자는 배터리소진상태로 인식함)로 전환한 후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도록 구현한다.After the digital door lock is switched to the unusable state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is exhausted),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is released using the mobile device 40 possessed by the user.

즉 동작불능상태에 놓인 디지털 도어락에 접근한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에 다운로드된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 앱(42)을 이용해서 무선접속을 수행하면 상시 배터리전원을 공급받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가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게 알려서 배터리모듈 제어부(32)가 깨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28)는 블루투스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이 바람직하며, 와이파이 모듈로도 가능하다. That is, when a user who approaches the digital door lock placed in an inoperable state performs wireless connection using the mobile app 42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downloaded to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battery power is supplied at all times. The receiv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nforms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so that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can wake up.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is preferably a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ay also be a Wi-Fi module.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 의해 활성화된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매개로 모바일기기(40)와 무선접속할 수 있다.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activated by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may wirelessly connect to the mobile device 40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의 도어락본체(2)의 동작불능상태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매개로 모바일기기(40)의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도어락본체(2)의 조작패널(50)이 인에이블되게 제어하여 도어락본체(2)내 조작패널(50)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디지털도어락(2)의 조작패널(50)을 이용하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해서 디지털도어락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In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2 below the cutoff threshold value recognized by the user as battery exhaustion, the mobile app 42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of the mobile device 40 via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As there is an emergency start request for the door lock through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controls the operation panel 50 of the door lock body 2 to be enabled to release the inoperable state of the operation panel 50 in the door lock body 2 will make it Then, the user can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by using the operation panel 50 of the digital door lock 2 or by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 phone.

또한 사용자는 평소 사용시에는 디지털도어락의 외부몸체(2a)에 있는 조작패널(50)을 이용하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해서 디지털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normal use, the user can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by using the operation panel 50 on the external body 2a of the digital door lock or by using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 phone.

즉 도어락본체(2)에는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 있는 배터리부(14)의 배터리전원(VDD)이 상시 공급되고 있으므로 조작패널(50)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으로 E도어락 잠금해제를 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battery power (V DD ) of the battery unit 14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is always supplied to the door lock body 2 , the door lock E can be unlocked by inputting a password to the operation panel 50 , etc. can

또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해서 디지털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락에 접근한 실외측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 앱(42)을 이용해서 무선접속을 수행하면 상시 배터리전원(VDD)을 공급받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가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게 알려서 배터리모듈 제어부(32)가 깨어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using the mobile device 40, an outdoor user who has accessed the digital door lock has a mobile device for managing the door lock battery module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downloaded to the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phone. When a wireless conn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app 42,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receiving constant battery power (V DD ) notifies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so that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can wake up. .

그에 따라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에 의해 활성화된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매개로 모바일기기(40)와 무선접속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activated by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may wirelessly connect to the mobile device 40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8 .

사용자가 모바일기기(40)의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42)을 통해 도어락 잠금해제를 요구함(생체인식 방식으로도 가능)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부(28)를 매개로 배터리모듈 제어부(32)로 무선전송되고, 배터리모듈 제어부(32)는 도어오픈신호 OPN을 도어락본체(2)로 인가하므로 도어락본체(2)가 잠금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As the user requests unlocking the door lock through the mobile app 42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of the mobile device 40 (also possible with biometric metho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 32),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applies the door open signal OPN to the door lock body 2, so that the door lock body 2 unlocks the door.

또한 사용자는 평소에도 모바일기기(40)를 이용해서 배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모듈관리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battery status by using the mobile device 40 on a regular bas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nage the modul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40)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 화면 예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40)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을 통해 진입한 설정모드 화면창(82)의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of the mobile device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of the mobile device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etting mode screen window 82 entered through (80).

모바일 기기(40)는 배터리모듈 케이스(10)의 활성화상태에서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2)와의 무선 교신을 통해서 도 7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모바일 기기(40)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에 배터리잔량, 기동요구버튼이나 도어잠금해제버튼, 도어 상태 등을 표시한다 The mobile device 40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in the activated state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as shown in FIG. 7 ,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of the mobile device 40 . ), the battery level, start request button, door unlock button, door status, etc. are displayed.

도 7에 도시된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내 '배터리잔량'의 표시에서 '4.2V'는 배터리부(14) 만충전시에 전압값이며, '3.7V'는 경고임계값으로서 사용자에게 배터리 충전필요가 있음을 경고알람하기 위한 임계값이다. '3.49V'는 차단 임계값으로서 배터리부(14)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전압값이며, '3.43V'는 도어락 실제 동작불능값이다. In the display of 'remaining battery level' in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shown in FIG. 7 , '4.2V' is a voltage value when the battery unit 14 is fully charged, and '3.7V' is a warning threshold value to the user. It is a threshold value for warning that charging is necessary. '3.49V' is a cut-off threshold, and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unit 14 is in a state of exhaustion, but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reserved for the purpose of battery emergency power, and '3.43V' is the actual operation of the door lock. is the value

사용자는 도 7에서와 같이 모바일기기(40)의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을 통해 배터리잔량을 확인할 수 있어 도어락용 배터리부(14)의 배터리 관리가 매우 수월하다. The user can check the remaining battery level through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of the mobile device 40 as shown in FIG. 7 , so that the battery management of the battery unit 14 for the door lock is very easy.

그리고, 배터리모듈 관리화면창(80)에서 '설정'버튼을 눌러 설정모드로 들어가면 도 8에서와 같은 설정모드 화면창(82)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서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도어락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기기(40)에서의 경고알람전압 임계값 확인과 함께 알람 볼륨의 조절 설정도 사용자가 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40)에서의 비밀번호 설정이 있으면 모바일기기(40)의 내부메모리는 물론이고 배터리모듈케이스(10)의 배터리모듈 제어부(32)에서도 내부 메모리(32a)에 배터리모듈장치를 통한 도어락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And, when the 'Setting' button is pressed on the battery module management screen window 80 to enter the setting mode, the setting mode screen window 82 as shown in FIG. 8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mobile device user can set the same password as the door lock password. In addition, the user can also set the alarm volume adjustment along with the confirmation of the warning alarm voltage threshold in the mobile device 40 . If there is a password setting in the mobile device 40, the door lock is unlocked through the battery module device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mobile device 40 as well as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of the battery module case 10 in the internal memory 32a. You can save a password fo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출자(실내측 사용자)는 평소 사용시에는 디지털도어락의 내부몸체(2b)에 있는 도어잠금해제버튼(8)을 누르지 않고 스마트폰이나 마스크를 이용해서 디지털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utsider (indoor user) can use a smartphone or mask to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without pressing the door unlock button 8 on the inner body 2b of the digital door lock during normal use. may b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도어 오픈되게 제어하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마스크를 이용해서 도어 오픈되게 제어하는 예시도이다. 9 is an exemplary view of controlling the door to be opened using a smart phone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IoT-b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diagram of controlling the door to be opened using a mask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the digital door lock.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나 마스크(64)룰 이용해서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해제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의 경우에는 그 일측에 예컨대 리드스위치로 구현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8)가 감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도 9에서와 같이 자석편(60)이 부착된다. 또 마스크(62)의 경우에는 그 일부(걸이부나 본체면)에 자석편(60)이 매립된 장식물(62)이 부착된다. In order to enable immediate unlocking of the digital door lock using the mobile device 40 or mask 64 rule such as a smart phone, in the case of a mobile device 40 such as a smart phone, a reed switch is implemented on one side, for example. A magnet piece 60 is attached as shown in FIG. 9 so that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8 can perform a sensing operation. Also, in the case of the mask 62, a decoration 62 in which the magnet piece 60 is embedded is attached to a part (the hook portion or the body surface) of the mask 62 .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 구비된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8)는 외출자가 자석편(60)이 부착된 모바일기기(40)나 마스크(64)를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10)에 바싹 갖다 대면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30)가 인식하여서 배터리모듈 제어부(32)를 깨운다. 그에 따라 활성화된 배터리모듈 제어부(32)가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38)에서의 실내측 사용자의 작동요구(출입문 실내측에서의 스마트폰이나 마스크 감지)에 따른 잠금해제 요청을 인식하여 도어락본체(2)로 디지털 도어락 잠금해제 요청을 하게 된다.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8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allows an outsider to use the mobile device 40 or the mask 64 with the magnet piece 60 attached to the battery module case 10 for the digital door lock. ),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0 recognizes it and wakes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 Accordingly, the activated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recognizes the unlock request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quest of the indoor user (smartphone or mask detection at the indoor side of the door) from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38, and the door lock body (2) to request to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그에 따라 도어락본체(2)에서의 도어락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며, 또 배터리모듈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마스크나 스마트폰를 챙겨가라는 등의 안내방송이 오디오부(36) 및 스피커(SPK)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Accordingly, the door lock is unlocked in the door lock main body 2, and an announcement such as to take a mask or a smartphone is performed through the audio unit 36 and the speaker SPK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 .

그러므로 외출자(실내측 사용자)는 외출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40)나 마스크(64)만을 이용해서 디지털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소지품을 챙겨가라는 안내방송까지도 들을 수 있다. Therefore, an outing person (indoor user) can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using only the mobile device 40 or the mask 64 such as a smart phone when going out, and can even hear announcements telling them to take their belongings.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본 발명은 보급용 디지털도어락을 스마트폰으로 무선 작동시킬 수 있는 고급의 스마트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remodeling a digital door lock for distribution into a high-end smart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operated wirelessly with a smartphone.

(2)-- 도어락본체 (2a)-- 외부몸체
(2b)-- 내부몸체 (3)-- 케이블 커넥터
(4)-- 도어락본체 회로기판 (5)-- 회로커넥터
(6)--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 (7)-- 데드볼트
(8)-- 도어잠금해제버튼 (9)-- 건전지수납함
(10)-- 배터리모듈케이스 (12)-- 모듈배터리 커버
(14)-- 배터리부 (16)--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
(17)-- 연결케이블 (18)-- 전극 겸용 수납브라켓
(20)-- 브라켓 (21)-- 파워스위치
(22)-- 배터리전원 상시 공급선 (24)-- 배터리상태 체크부
(26)-- 화재온도감지스위치 (28)-- 근거리 무선통신부
(30)--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 (32)-- 배터리모듈 제어부
(32a)-- 메모리 (32b)-- 타이머
(34)-- 화재온도감지스위치 (36)-- 오디오부
(SPK)-- 스피커 (38)--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
(40)-- 모바일기기
(42)--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
(46)--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 (48)-- 문열림센서
(50)-- 조작패널
(2)-- Door lock body (2a)-- External body
(2b)-- Inner body (3)-- Cable connector
(4)-- Door lock body circuit board (5)-- Circuit connector
(6)-- Remodeling cable connector (7)-- Dead bolt
(8)-- Door unlock button (9)-- Battery compartment
(10)-- Battery module case (12)-- Module battery cover
(14)-- Battery part (16)-- Circuit board for battery module control
(17)-- Connection cable (18)-- Electrode storage bracket
(20)-- Bracket (21)-- Power switch
(22)-- Battery power supply line (24)-- Battery status check part
(26)--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28)--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32)-- Battery module control unit
(32a)--memory (32b)--timer
(34)--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36)-- Audio part
(SPK)-- Speaker (38)--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40)-- mobile device
(42)-- Mobile app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46)-- Battery power cut-off switch (48)-- Door open sensor
(50)-- Operation panel

Claims (17)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으로의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에 있어서,
출입문 개폐를 위한 실외측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기능, 배터리 전력 최소화가 가능한 배터리전원의 통제기능, 모바일기기에서의 도어오픈 요구에 따른 도어오픈기능,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를 모바일기기로 알려주는 알림기능,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실외측 모바일기기에서의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에 따른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 해제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부를 갖는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이 탑재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를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와는 독립되어서 내부몸체 부근에 설치되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와 유선연결되게 구성하고,
보급형 디지털도어락의 내부몸체의 회로중에서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문열림센서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데드볼트의 제어 신호선, 도어락본체의 건전지 전극 배터리전원선 각각에 연결되는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가 내부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게 구성하며,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충방전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상태 체크부와,
실내 화재에 대응된 온도를 감지하는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도어락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갖는 모바일기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배터리부의 출력이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디지털 도어락본체 각각에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배터리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배터리전원 상시공급선과,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디지털도어락본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작동요구 여부에 따라 배터리부의 출력전원을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내 모듈회로부의 동작전원이 되게 변환하여 단속적으로 공급되게 통제하는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와,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의 동작전원 공급으로 웨이크업되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모바일기기와의 무선교신에 의한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되, 출입문 개폐를 위해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구비한 실외측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기능, 배터리 전력 최소화가 가능한 배터리전원의 통제기능, 모바일기기에서의 도어오픈 요구에 따른 도어오픈기능,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를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통해 알려주는 알림기능,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배터리모듈 관리 및 도어락 제어용 모바일앱을 구비한 실외측 모바일기기에서의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에 따른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 해제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와 화재온도감지스위치와 디지털도어락본체 중에서의 작동요구 미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로 모듈 동작전원의 차단을 명령하고 디스에이블되는 배터리모듈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I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that can be remodeled into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Wireless connection function with outdoor mobil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attery power control function that can minimize battery power, door open func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 request from mobile devices, A digital door lock equipped with a battery module control circuit board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to notify the device, and a circuit for releasing the door lock body inoperable state in response to an emergency door lock emergency start request from an outdoor mobile device in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The battery module case for digital door lock is independent of the inner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and is installed near the inner body and connected to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by wire.
Among the circuits of the inner body of the entry-level digital door lock, the detection signal line of the door unlock button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the detection signal line of the door open sensor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dead bolt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The control signal line of the door lock body, the battery electrode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remodeled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each battery power line ar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inner body to the outside,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and
a battery state check unit for checking the charging/dis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unit;
A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that detects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 indoor fire;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having a mobile app for door lock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door lock control;
A battery power supply line through which the output of the battery un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and the digital door lock body to supply battery power to the battery unit at all times;
A module that controls the intermittent supply by converting the output power of the battery unit to the operating power of the module circuit unit in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whether operation is requested from at least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fire temperature sensing switch, and the digital door lock body a power supply control unit;
It wakes up by supplying operating power from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and performs door lock control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mobile devices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 connection function with mobile devices, battery power control function that can minimize battery power, door open function according to door open request from mobile devices, battery module management and Notification function through the mobile app for door lock control, battery module management in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and release function of the door lock body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tart request of the door lock from an outdoor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mobile app for door lock control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fire temperature detection switch, and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that commands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to cut off the operating power of the module and disables as the non-input of the operation request among the digital door lock body passes a preset time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 실내측 사용자의 작동요구를 감지하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모듈 공급전원 통제부는, 외부 작동요구 감지부의 작동요구 여부에 따라 배터리부의 출력전원을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내 모듈회로부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단속 공급되게 통제하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operation reque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request of an indoor user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The module supply power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intermittent supply by converting the output power of the battery unit into the operating power of the module circuit unit in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whether the operation request of the external operation request sensing unit is required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that can be remodeled based on digital door locks.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도어락 제어를 위해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회로부와 배선으로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of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and wiring for door lock control, IoT-based digital door lock remodeling possibl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본체의 회로부와의 배선 연결을 위해서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문열림센서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데드볼트의 제어 신호선, 도어락본체의 건전지 전극 배터리전원선 각각에 연결되는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The door lock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etection signal line of the door unlock button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the detection signal line of the door open sensor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door lock for wiring connection with the circuit part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modeling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each of the dead bolt control signal line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main body and the battery electrode battery power line of the door lock body.
제1항에 있어서,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와 배터리모듈케이스가 출입문 내실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함께 탑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2]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battery module case are mounted together on a bracket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도어락본체간의 배터리전원 상시 공급선 상에는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이 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를 비도통시켜서 디지털 도어락본체에 배터리전원이 미공급되게 제어하여 사용자 작동불능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구성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battery unit and the door lock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ttery power cut-off switch,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although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battery level of the battery unit is in a state of exhaustion of the battery, but turns off the battery power control switch as the battery level becomes the cutoff threshold value reserved for emergency power use, the battery is stored in the digital door lock body.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power to be unsupplied and converts the user to an inoperable state.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배터리잔량이 사용자가 배터리 소진상태로 인식하지만 배터리 비상전력 용도로 배터리잔량이 예비되어 있는 차단임계값이 됨에 따라 도어락본체의 조작패널을 디스에이블시켜서 실외측 사용자 작동불능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disables the operation panel of the door lock body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battery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a battery exhausted state, but becomes a cutoff threshold value for whic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reserved for emergency power use.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configuration to convert the outdoor user to an inoperable state.
제6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의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전원 단속스위치부를 도통시켜 도어락본체에 비상전력용도 예비분의 도어락전원을 공급하여서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제어하는 구성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is a door lock emergency start request through the mobile app of the mobile device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below the cutoff threshold value recognized by the user as battery exhaustion. IoT-based digital door lock remodeling possible wireles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inoperativ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to be released by supplying the door lock power for emergency power use to the door lock body by conducting the battery power control switch part accordingly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는 사용자가 배터리소진으로 인식하는 차단임계값 이하의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매개로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도어락본체의 조작패널이 인에이블되게 제어하여 도어락본체내 조작패널의 동작불능상태가 해제되게 제어하는 구성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is a door lock emergency start request through the mobile app of the mobile device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n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below the cutoff threshold value recognized by the user as battery exhaustion.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ha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panel of the door lock body to be enabled to release the inoperative state of the operation panel inside the door lock body according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재충전가능한 대용량 배터리 및 건전지중의 선택된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unit is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lected one of a rechargeable large-capacity battery and a dry cel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가능한 대용량 배터리는 완전충전전압이 4.2V인 리튬이온배터리 및 리튬폴리머배터리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11.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rechargeable large-capacity battery is one of a lithium ion battery and a lithium polymer battery having a full charge voltage of 4.2V.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2]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a Bluetooth module.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의 제어 하에 배터리충전상태, 모듈전원 공급상태, 근거리 무선통신부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램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IoT-based digital door lock remodeling possible wireless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atus indicator lamp for displaying the battery charging state, module power supply state,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peration state battery modu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모듈 제어부의 제어 하에 알람출력이나 음성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부 및 스피커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dio unit and a speaker for providing an alarm output or voice guid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미사용시간은 5초 내지 1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The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reset non-use time is 5 seconds to 1 minut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배터리부에 연결되며 도어락본체의 외부몸체쪽으로 연장되어 출입문 외부로 노출되는 비상충전 USB포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
[Claim 5] The wireless control for remodeling IoT-based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charging USB port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extending toward the out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battery module device.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를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보급형 디지털도어락의 내부몸체의 회로중에서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도어잠금해제버튼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문열림센서의 감지신호선, 도어락본체의 내부몸체에 구비된 데드볼트의 제어 신호선, 도어락본체의 건전지 전극 배터리전원선 각각에 연결되는 리모델링 케이블커넥터를 구비시켜 외부로 연장시키는 과정과,
디지털도어락에 배터리전원을 공급하는 대용량의 배터리부와 출입문 개폐를 위한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기능, 배터리 전력 최소화가 가능한 배터리전원의 통제기능, 디지털도어락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동작불능상태를 모바일기기로 알려주는 알림기능,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실외측 모바일기기에서의 도어락 비상 기동요구에 따른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 해제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부를 갖는 배터리모듈 제어용 회로기판이 탑재된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의 연결케이블을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내부몸체에서 연장된 리모델링 케이블 커넥터와 접속시키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도어락용 배터리모듈케이스와 디지털도어락의 내부몸체를 일체형 브라켓에 함께 탑재시켜서 출입문 내실측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기기와의 무선접속기능중에서는 도어락본체의 동작불능상태에서 모바일기기의 모바일앱을 통해 도어락 기동요구가 있음에 따라 배터리모듈케이스의 회로부가 활성화되게 하는 제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이 가능한 무선제어 배터리모듈장치를 이용한 디지털도어락 리모델링 방법.
In a digital door lock remodeling method using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n IoT-based digital door lock,
Among the circuits of the inner body of the entry-level digital door lock, the detection signal line of the door unlock button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the detection signal line of the door open sensor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dead bolt provided on the inner body of the door lock body The process of extending to the outside by providing a remodeling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each of the control signal line of the door lock body, the battery electrode of the door lock body, and the battery power line;
A large-capacity battery that supplies battery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a wireless connection function with a mobil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 battery power control function that minimizes battery power, and a digital door lock that is inoperable due to battery discharge are converted to a mobile device. Battery for digital door lock equipped with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battery module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that notifies, and a circuit that performs a function to release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according to an emergency start request for the door lock from an outdoor mobile device when the door lock body is inoperabl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onnecting cable of the module case to the remodeling cable connector extending from the inner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Mounting the battery module case for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inner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together on an integrated bracket and installing it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Among the wireless connection functions with the mobile device, the control for activating the circuit part of the battery module case in response to a door lock activation request through the mobile app of the mobile device in the inoperable state of the door lock body is included. A digital door lock remodeling method using a wireless control battery module device capable of remodeling a digital door lock.
KR1020200118302A 2020-09-15 2020-09-15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FOR CAPABLE OF REMODELING DIGITAL DOORLOCK INTO BASED IoT AND REMODELING METHOD THEREOF KR1023674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302A KR102367440B1 (en) 2020-09-15 2020-09-15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FOR CAPABLE OF REMODELING DIGITAL DOORLOCK INTO BASED IoT AND REMODE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302A KR102367440B1 (en) 2020-09-15 2020-09-15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FOR CAPABLE OF REMODELING DIGITAL DOORLOCK INTO BASED IoT AND REMODE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440B1 true KR102367440B1 (en) 2022-02-25

Family

ID=8049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302A KR102367440B1 (en) 2020-09-15 2020-09-15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FOR CAPABLE OF REMODELING DIGITAL DOORLOCK INTO BASED IoT AND REMODE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4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541A (en) * 2003-02-14 2003-03-06 (주) 성아하이테크 Door lock apparatus of electronic type
KR200356844Y1 (en) 2004-04-22 2004-07-19 주식회사 아이레보 Function Extension Battery-Pack of Door Lock and Door Lock having the same
KR20070054519A (en) * 2005-11-23 2007-05-29 김경동 Charging system by using radio communication for doorlock
KR20080030221A (en) * 2006-09-29 2008-04-04 주식회사 아이레보 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battery change period of digital doorlock by using power isolation function
KR20120045914A (en) * 2010-11-01 2012-05-09 김선규 One or multiple electronic touch sensor using wireless door lock apparatus
JP2014066040A (en) * 2012-09-25 2014-04-17 Shibutani:Kk Electric lock device
KR101640086B1 (en) * 2015-01-12 2016-07-18 주식회사 아마다스 Emergency charging device and method in door lock equip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541A (en) * 2003-02-14 2003-03-06 (주) 성아하이테크 Door lock apparatus of electronic type
KR200356844Y1 (en) 2004-04-22 2004-07-19 주식회사 아이레보 Function Extension Battery-Pack of Door Lock and Door Lock having the same
KR20070054519A (en) * 2005-11-23 2007-05-29 김경동 Charging system by using radio communication for doorlock
KR20080030221A (en) * 2006-09-29 2008-04-04 주식회사 아이레보 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battery change period of digital doorlock by using power isolation function
KR20120045914A (en) * 2010-11-01 2012-05-09 김선규 One or multiple electronic touch sensor using wireless door lock apparatus
JP2014066040A (en) * 2012-09-25 2014-04-17 Shibutani:Kk Electric lock device
KR101640086B1 (en) * 2015-01-12 2016-07-18 주식회사 아마다스 Emergency charging device and method in door lock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2597B2 (en) Power distribution in a portable device
CN110602598B (en) Wireless earphone, charging box and wireless earphone charging system
US8841798B2 (en) Method, apparatus for emergency power supply and device associated thereto
KR102166635B1 (en)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BASED IoT FOR DIGITAL DOOR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339760B2 (en) Charger
KR102277821B1 (en)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BASED IoT FOR DIGITAL DOOR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513214A (en) Intelligent key box
KR102367440B1 (en) CORDLESS CONTROLLED BATTERY MODULE APPARATUS FOR CAPABLE OF REMODELING DIGITAL DOORLOCK INTO BASED IoT AND REMODELING METHOD THEREOF
CN104993548A (en) Intelligent safe sounding mobile power supply
CN207910547U (en) A kind of luggage case
WO2019141156A1 (en) Suitcase and power supply management method therefor and power supply management module thereof
JPH09198571A (en) Charging stand for battery for portable telephone
CN204578131U (en) A kind of car emergency starts power supply
CN200987443Y (en) Antitheft wallet
CN113507156A (en) Energy storage BMS dormancy and awakening circuit
CN210918553U (en)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onic lock
CN111754687A (en) Wireless charging type intelligent water meter
CN206729469U (en) Optical, mechanical and electronic integration is anti-to forget anti-lost multifunctional intellectual bag
CN110648430A (en) Adopt fingerprint or pupil identification mode to charge cabinet that charges that cell-phone or treasured charges
CN212289533U (en) Storage battery charger with anti-theft function
CN220184872U (en) Electric motor car tail-box switching control system
CN216252200U (en) Energy storage BMS dormancy and awakening circuit
TW201601416A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210264215U (en) Electronic lock key
CN210726800U (en) Circuit system of safety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