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157B1 -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157B1
KR102367157B1 KR1020197032201A KR20197032201A KR102367157B1 KR 102367157 B1 KR102367157 B1 KR 102367157B1 KR 1020197032201 A KR1020197032201 A KR 1020197032201A KR 20197032201 A KR20197032201 A KR 20197032201A KR 102367157 B1 KR102367157 B1 KR 10236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attern
transmission
information
dmrs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875A (ko
Inventor
즈 장
하이 당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2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04L5/10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with dynamo-electric generation of carriers; with mechanical filters or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에는,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을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종래 기술에서 단지 고정적인 자원 상에서만 DMRS를 전송할 수 밖에 없던 것을 모면하여, DMRS를 전송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Description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조 참조 신호(De 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는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참조 신호이다.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서 진행하는 업링크 전송에서, DRMS는 일반적으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과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송신과 관련되며, 업링크 채널에 대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네트워크 장치의 코히렌트 탐지와 복조에 사용된다.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서 진행되는 다운링크 전송에서, DMRS는 또한 사용자 장치 전용 참조 신호(User Equipment specific Reference Signal, UE-specific RS)라 불리며, 데이터의 복조에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에서든지 아니면 다운링크 전송에서든지, 상기 DMRS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위치는 고정적이다. 예를 들면, 업링크 전송에서, DMRS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자원은 하나의 슬롯의 중간에 구비된다. 상기 이러한 고정적인 전송 자원으로 DMRS를 전송하는 방식은 유연성이 떨어진다.
본 출원에서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DMRS를 전송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제1 방면으로,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을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종래 기술에서 단지 고정적인 자원 상에서만 DMRS를 전송할 수 밖에 없던 것을 모면하여, DMRS를 전송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다른 전송 패턴(제1 전송 패턴과 제2 전송 패턴)을 통하여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여, DMRS의 전송을 위하여 다른 전송 방식을 구성하여, 채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DMRS를 전송하는 오버헤드를 절약하는 것 사이의 평형을 유지한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크다.
다른 전송 패턴(제1 전송 패턴과 제2 전송 패턴)을 통하여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여, DMRS의 전송을 위하여 다른 전송 방식을 구성하여, 채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DMRS를 전송하는 오버헤드를 절약하는 것 사이의 평형을 유지한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여, 전송 패턴을 지시하는 것으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하는데 유리하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정보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인 바, 즉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AC) 시그널링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이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복조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채널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전송하는 바, 즉 페이징 메시지와 지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제2 방면으로,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을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종래 기술에서 단지 고정적인 자원 상에서만 DMRS를 전송할 수 밖에 없던 것을 모면하여, DMRS를 전송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제2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다른 전송 패턴(제1 전송 패턴과 제2 전송 패턴)을 통하여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여, DMRS의 전송을 위하여 다른 전송 방식을 구성하여, 채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DMRS를 전송하는 오버헤드를 절약하는 것 사이의 평형을 유지한다.
제2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크다.
제2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여, 전송 패턴을 지시하는 것으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하는데 유리하다.
제2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정보가 하기 정보 중의 어느 한 가지인 바, 즉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AC) 시그널링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이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제2 방면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복조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채널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전송하는 바, 즉 페이징 메시지와 지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제3 방면으로, 단말을 제공하는 바, 상기 단말에는 제1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제2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제공하는 바, 상기 단말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와 통신 인터페이스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존재하고,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명령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며, 또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조작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6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와 통신 인터페이스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존재하고,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명령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며, 또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조작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는 제1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된다.
제8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각 방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단말의 예시적 구조도.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단말의 예시적 블럭도.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도면이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네트워크 장치(11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10)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0)는 특정된 지리 구역을 위하여 통신 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커버 구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와 두 개의 단말을 보여주고 있으나,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각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는 또한 기타 수량의 단말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실체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향상된 롱텀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뉴 라디오(New Radio Access Technology), 5G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에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Telephon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핸드폰(handset) 및 휴대 장치(portable equipment)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해당 단말 장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할 있는 바,예를 들면, 단말 장치는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라 불림),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컴퓨터 등일 수 있고, 단말 장치는 또한 휴대식, 소형의, 핸드핼드, 컴퓨터에 내장된 또는 차량용 이동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기지국, 송신 및 수신점(Transmit and Receive Point, TRP) 또는 접속점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또한 WCDMA 중의 기지국(NodeB)일 수 있으며, 또한 LTE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ved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고, 또한 NR 또는 5G의 기지국(gNB)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DMRS는 고정적인 전송 자원 상에서 전송되고, 고속 이동성 단말로 말하면, DMRS를 전송하는 유연성을 제한할 뿐 아니라, 아울러 채널 평가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 고속 이동 단말로 말하면, 단말의 이동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채널 변화의 속도도 증가되고, 만일 여전히 상기 고정적인 전송 자원 상에서 DMRS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채널에 대하여 실시간 평가를 진행한다면, 채널의 평가 결과 오차가 비교적 커, 채널 평가의 정확성을 떨어트리게 된다.
종래 통신 시스템 중의 DMRS 전송 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래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종래의 통신 시스템 중의 DMRS의 전송 방식의 기초 상에서, 계속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하여, 채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DMRS의 전송 방식은 대체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전송 방식1: 제1 유형의 DMRS만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제1 유형의 DMRS는 일반 상황(예를 들면, 실내에 위치하는 단말, 또는 도시 도로에서 이동하는 단말) 하에서 채널에 대하여 효과적인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DMRS를 전송할 때,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DMRS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즉 한 시간 도메인 전송 유닛(예를 들면, 하나의 슬롯)의 중간의 OFDM 부호의 전송 자원 상에서 DMRS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한 시간 도메인 전송 유닛(예를 들면, 하나의 슬롯) 중의 앞쪽에 위치한 OFDM 부호(예를 들면, 하나의 슬롯 중의 첫번째 OFDM 부호)에서 DMRS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방식2: 제1 유형의 DMRS와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한다. 고속 이동의 단말의 상황 하에서의 채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유형의 DMRS를 전송하는 기초 상에서, 아울러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즉 선택가능한 곳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바, 한 시간 도메인 전송 유닛 내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통하여, 채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제1 유형의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은 한 시간 도메인 전송 유닛(예를 들면, 한 슬롯) 중의 첫번째 OFDM 부호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자원은 해당 시간 도메인 전송 유닛 내의 두번째 OFDM 부호에 위치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는 또한 추가 참조 신호(Additional Reference Signal, Additional RS)라 칭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아래 도 2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210: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는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서 전송되는 참조 신호, 또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는 참조 신호로 이해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는 DMRS일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제1 전송 패턴과 제2 전송 패턴은 상호 독립적인 전송 패턴일 수 있고, 제1 전송 패턴과 제2 전송 패턴은 각각 다른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 방식2의 응용 상황, 예를 들면 높은 이동성의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서 DMRS를 전송하는데, 다시 말하면 채널 평가를 진행하는 난이도가 비교적 큰 상황에 적응될 있으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 방식1의 응용 상황, 예를 들면 실내에 위치한 단말 또는 도시 도로 상에서 이동하는 단말, 다시 말하면 채널 평가를 진행하는 난이도가 비교적 작은 상황에 적응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제2 전송 패턴의 기초 상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자원을 추가한 전송 패턴일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제1 전송 패턴은 제2 전송 패턴의 기초 상에서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자원을 부가한 것이다.
다른 전송 패턴(제1 전송 패턴과 제2 전송 패턴)을 통하여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여, DMRS의 전송을 위하여 다른 전송 방식을 구성하여, 채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DMRS를 전송하는 오버헤드를 절약하는 것 사이의 평형을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크고, 대체 가능하게,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밀도가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밀도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에 의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확정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에 의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상태 정보는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통신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단말의 이동 속도,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일 수 있다.
220: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의 전송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220 단계에는, 단말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참조 신호이다.
220 단계에는 또한, 단말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참조 신호이다.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을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종래 기술에서 단지 고정적인 자원 상에서만 DMRS를 전송할 수 밖에 없던 것을 모면하여, DMRS를 전송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정보가 제1 필드의 값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필드가 1비트(bit)이고, 제1 필드의 값이 1일 때,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고, 제1 필드의 값이 0일 때,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1 필드가 1bit이고, 제1 필드의 값이 0일 때,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고, 제1 필드의 값이 1일 때,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제2 필드는 제1 정보 중의 선택가능한 필드일 수 있고, 제1 정보가 선택가능한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정보에 제2 필드가 포함되면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고, 제1 정보에 제2 필드가 포함되지 않으면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1 정보에 제2 필드가 포함되지 않으면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고, 제1 정보에 제2 필드가 포함되면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정보가 하기 정보 중의 어느 한 가지인 바, 즉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이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제1 정보가 시스템 정보일 때, 제1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은 제1 정보 후 전송하는 DMRS의 전송 패턴을 지시할 수 있다.
제1 정보가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DCI일 때, 단말은 부팅 등록 시 먼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야 하고, 그 후 단말은 아이들 상태로 전환되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을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스템 정보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 정보(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일 수 있다.
제1 정보는 또한 미래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와 작용이 같은 정보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셀 선택 정보, 주파수 대역폭 지시, 시스템 정보 변경 대크 등 셀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으며; 또한 공공 무선 자원 구성, 주파수 정보, 단말이 업링크 클럭에서 동기화하도록 제어하는 기간 등 접속 제한 정보일 수 있으며; 또한 공공 셀의 재선택 정보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복조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채널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전송하는 바, 즉 페이징 메시지와 지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하는 바, 다시 말하면, 해당 지시 정보는 미래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와 작용이 같은 정보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 블럭1(System information block, SIB1)과 작용이 같은 정보일 수 있는 바, 상기 단말을 보조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접속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에는,
310: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며;
320: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통신 상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복조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채널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전송하는 바, 즉 페이징 메시지와 지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위의 내용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으며, 아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장치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장치가 도 2 중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단말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단말(400)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수신 유닛(410);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의 전송을 진행하는 전송 유닛(4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정보가 하기 정보 중의 어느 한 가지인 바, 즉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AC) 시그널링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이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복조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채널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전송하는 바, 즉 페이징 메시지와 지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500)에는,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송신 유닛(510);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유닛(5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상기 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 상기 통신 상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확정하는 확정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정보가 하기 정보 중의 어느 한 가지인 바, 즉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AC) 시그널링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이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복조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채널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전송하는 바, 즉 페이징 메시지와 지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단말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단말(600)에는 기억장치(610), 프로세서(620), 입력/출력 인터페이스(630)와 통신 인터페이스(640)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610), 프로세서(620), 입력/출력 인터페이스(630)와 통신 인터페이스(640) 사이는 통신 연결되고, 해당 기억장치(61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620)는 해당 기억장치(61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입력/출력 인터페이스(6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조작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하며,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64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640)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640)는 또한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의 전송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620)는 범용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640)는 예를 들면 송수신기 유형의 송수신 장치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600)과 기타 장치 또는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구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해당 기억장치(61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2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20)는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62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은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61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20)가 기억장치(61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정보가 하기 정보 중의 어느 한 가지인 바, 즉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AC) 시그널링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이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복조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채널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전송하는 바, 즉 페이징 메시지와 지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700)에는 기억장치(710), 프로세서(720),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30)와 통신 인터페이스(740)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710), 프로세서(720),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30)와 통신 인터페이스(740) 사이는 통신 연결되고, 해당 기억장치(71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720)는 해당 기억장치(71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30)을 제어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조작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하며,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74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740)는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740)는 또한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720)는 범용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740)는 예를 들면 송수신기 유형의 송수신 장치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700)과 기타 장치 또는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구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해당 기억장치(71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72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2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72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은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71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720)가 기억장치(71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전송 패턴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에 상기 선택가능한 참조 신호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취득하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정보가 하기 정보 중의 어느 한 가지인 바, 즉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AC) 시그널링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이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는 제1 채널에 대하여 복조를 진행하고, 상기 제1 채널은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전송하는 바, 즉 페이징 메시지와 지시 정보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일부 시스템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A에 대응되는 B”는 B는 A와 관련되고, A에 의하여 B를 확정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하지만 A에 의해 B를 확정한다는 것은 단지 A에 의하여 B를 확정한다는 것을 뜻하지 않고, 또한 A 및/또는 기타 정보에 의하여 B를 확정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확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부 또는 일부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때, 전부 또는 일부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명령이 포함된다. 컴퓨터 상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로딩 및 실행할 때, 전부 또는 일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과정 또는 기능을 생성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컴퓨터 스테이션,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컴퓨터 스테이션,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가능한 매체 집적체를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데이프), 광 매체(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30)

  1.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되며;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3.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5. 단말로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수신 유닛;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의 전송을 진행하는 전송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되며;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 중의 제1 필드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제2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네트워크 장치로서,
    단말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가 전송하고자 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패턴이 제1 전송 패턴 또는 제2 전송 패턴인 것을 지시하는 송신 유닛;
    상기 제1 전송 패턴 또는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전송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정보가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이 상기 제2 전송 패턴이 지시하는 전송 유닛 내에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DM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자원의 수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97032201A 2017-04-27 2017-04-27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KR102367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2239 WO2018195871A1 (zh) 2017-04-27 2017-04-27 参考信号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875A KR20200002875A (ko) 2020-01-08
KR102367157B1 true KR102367157B1 (ko) 2022-02-23

Family

ID=6391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201A KR102367157B1 (ko) 2017-04-27 2017-04-27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171763B2 (ko)
EP (1) EP3614703B1 (ko)
JP (1) JP2020519087A (ko)
KR (1) KR102367157B1 (ko)
CN (2) CN112332969B (ko)
AU (1) AU2017411954A1 (ko)
BR (1) BR112019022343A2 (ko)
CA (1) CA3061389C (ko)
MX (1) MX2019012489A (ko)
PH (1) PH12019502413A1 (ko)
RU (1) RU2736778C1 (ko)
SG (1) SG11201909979WA (ko)
WO (1) WO2018195871A1 (ko)
ZA (1) ZA201907750B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4768B2 (en) * 2008-12-11 2013-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performed by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036301B (zh) * 2009-09-29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链路下行解调参考信号的传输方法、装置及中继系统
CN102413572B (zh) 2011-09-28 2017-06-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mrs及其信令的发送方法及装置
CN102404854B (zh) * 2011-11-04 2018-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解调参考信号的资源配置方法及系统
US20150003356A1 (en) * 2012-01-16 2015-01-01 Lg Electronics Inc. Demodulation-reference-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94318A1 (en) * 2012-05-03 2013-11-07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update of tmgi list in lte embms
WO2013169160A1 (en) * 2012-05-11 2013-11-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 design for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s
EP3252986B1 (en) * 2012-08-10 2021-10-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944665B (zh) * 2013-01-18 2018-08-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解调参考信号的发送方法、装置和系统
WO2014130082A1 (en) * 2013-02-21 2014-08-28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cellular networks
WO2014161142A1 (en) * 2013-04-01 2014-10-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base station, method of generating dmrs, and transmission method
US10171225B2 (en) * 2013-04-01 2019-01-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signal mapping method
CN104125186B (zh) * 2013-04-28 2019-08-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解调参考信号图样信息的选取方法、系统及装置
CN104144504A (zh) 2013-05-10 2014-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参考信号的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9337974B2 (en) * 2014-03-28 2016-05-10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generation and signaling of feedback for supporting adaptiv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CN106688295B (zh) 2014-08-07 2020-12-01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CN114599119A (zh) * 2014-10-31 2022-06-07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基站及通信终端
CN106470088B (zh) * 2015-08-14 202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mrs端口或映射关系的通知、确定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0117
3GPP R1-1700135*
3GPP R1-1704233*
3GPP R1-1704397
3GPP R1-17044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61389A1 (en) 2019-10-24
US20200204334A1 (en) 2020-06-25
EP3614703A1 (en) 2020-02-26
SG11201909979WA (en) 2019-11-28
AU2017411954A1 (en) 2019-11-21
CN112332969B (zh) 2022-12-20
CN109565425B (zh) 2020-12-01
US11171763B2 (en) 2021-11-09
JP2020519087A (ja) 2020-06-25
CN109565425A (zh) 2019-04-02
KR20200002875A (ko) 2020-01-08
EP3614703A4 (en) 2020-04-15
BR112019022343A2 (pt) 2020-08-04
MX2019012489A (es) 2019-12-02
ZA201907750B (en) 2021-04-28
CA3061389C (en) 2023-02-14
EP3614703B1 (en) 2022-02-09
WO2018195871A1 (zh) 2018-11-01
RU2736778C1 (ru) 2020-11-20
PH12019502413A1 (en) 2020-07-06
CN112332969A (zh)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526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8098790A1 (zh) 测量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10377832A1 (en) Mobility enhancement in a connected state
RU2748706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8126414A1 (zh) 传输数据的方法和通信设备
RU2725174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200178233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2928231B1 (en) Carrier-based rsrq metric for efficient small cell offloading
US2021006811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0904867B2 (en) Uplink control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284419B2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367157B1 (ko)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WO20240926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physical layer measurement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20731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KR20210022633A (ko) 무선 링크 모니터링의 방법과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