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438B1 - 향균 문 손잡이 - Google Patents

향균 문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438B1
KR102366438B1 KR1020200100964A KR20200100964A KR102366438B1 KR 102366438 B1 KR102366438 B1 KR 102366438B1 KR 1020200100964 A KR1020200100964 A KR 1020200100964A KR 20200100964 A KR20200100964 A KR 20200100964A KR 102366438 B1 KR102366438 B1 KR 10236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re
core material
door handle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543A (ko
Inventor
여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테크노스
Priority to KR102020010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4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9Sanitary doorknobs or handles, e.g. comprising a disinfec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을 열고 닫는 향균 문 손잡이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문에 결합하는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하여 중심부를 형성하는 심재; 및 상기 중심부의 외면을 감싸 상기 문 손잡이의 외부 모양을 형성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는,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균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향균 문 손잡이에 의하면, 심재는 아연(Zn) 또는 알루미늄(Al)의 금속 소재로 사용하여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고, 커버는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심재에 인서트 사출로 손잡이를 성형함으로써, 연마, 도금, 코팅공정 등의 후 가공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음으로써 제작시간 및 원가를 줄일 수 있고, 제작과정에서 별도의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의 내부에서 심재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줄어들도록 구성하여, 커버의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심재와 커버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재의 중심부에 홈이나 돌기 형상을 가지는 밀착부를 구성함으로써, 커버와 심재의 밀착력을 높여 심재와 커버가 강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의 소재를 향균력을 가지는 소재인 에버모인(Evermoin) 소재를 사용하여, 곰팡이나 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하여 커버를 살균 및 탈취 상태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잦은 문 손잡이의 커버를 청결한 위생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향균 문 손잡이{Antibacterial door handle}
본 발명은 문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일반사무실, 학교, 병원 기타 상업 및 산업용 건물 등 모든 장소에는 사용자가 출입문을 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문의 내면과 외면에 문 손잡이를 구비한다.
통상적인 문 손잡이는 문잠금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문손잡이를 회전시킬 때 문을 열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 손잡이는 바 또는 구형태인 것이 많고 내구성을 고려하여 대부분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한 금속제품을 많이 사용한다.
다이캐팅으로 제작하는 경우, 연마, 도금, 코팅공정 등의 후가공 처리가 필수적으로 들어가며,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문 손잡이를 제작하기 어렵다.
또한, 문 손잡이는 하루에도 많은 사람들이 여러 번에 걸쳐 출입문을 열고 닫기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접촉에 따라 감염되는 병원균은 문 손잡이를 통해 사람간에 전파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일정 정도 이상의 내구성도 가지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고, 또한, 각종 병원균을 차단할 수 있는 문 손잡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207843호 (공고 2012.12.04.)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심재는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고, 외부 커버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인서트 사출로 제조하여, 불필요한 제조 공정을 줄이고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할 수 있는 향균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병원균을 차단할 수 있는 향균 기능을 가진 소재를 커버에 적용한 향균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을 열고 닫는 향균 문 손잡이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문에 결합하는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하여 중심부를 형성하는 심재; 및 상기 중심부의 외면을 감싸 상기 문 손잡이의 외부 모양을 형성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는,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균 손잡이를 제공한다.
상기 심재는, 상기 커버와 밀착하도록, 상기 중심부 외면에 밀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는 돌기 또는 홈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향균 소재인 에버모인(Evermo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향균 문 손잡이는 심재는 아연(Zn) 또는 알루미늄(Al)의 금속 소재로 사용하여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고, 커버는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심재에 인서트 사출로 손잡이를 성형함으로써, 연마, 도금, 코팅공정 등의 후 가공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음으로써 제작시간 및 원가를 줄일 수 있고, 제작과정에서 별도의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의 내부에서 심재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줄어들도록 구성하여, 커버의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심재와 커버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재의 중심부에 홈이나 돌기 형상을 가지는 밀착부를 구성함으로써, 커버와 심재의 밀착력을 높여 심재와 커버가 강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의 소재를 향균력을 가지는 소재인 에버모인(Evermoin) 소재를 사용하여, 곰팡이나 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하여 커버를 살균 및 탈취 상태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잦은 문 손잡이의 커버를 청결한 위생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향균 손잡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 문 손잡이에서 심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 문 손잡이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 문 손잡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 문 손잡이에서 심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 문 손잡이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 문 손잡이(10)는, 문을 열고 닫는 향균 문 문 손잡이(10)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문에 결합하는 회전축(110)을 형성하고, 회전축(110)에서 연장하여 중심부(120)를 형성하는 심재(100); 및 중심부(120)의 외면을 감싸 상기 문 손잡이(10)의 외부 모양을 형성하는 커버(200); 를 포함하고, 심재(100)는,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 문 손잡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균 문 손잡이(10)는 사람이 출입하는 문을 열고 닫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문의 실외측이나 실내측에 설치한다. 이는 록킹장치가 함께 구비되어 있는 형태의 레버형 문 손잡이(10)이거나 록킹장치는 별도로 구비하고 문을 잡는 역할을 하는 고정형 문 손잡이(10)일 수 있다.
향균 문 손잡이(10)는 내부에 금속재의 심재(100)를 중심에 두고 외면에 합성수지의 커버(200)를 형성한다.
심재(100)는, 일단부는 문에 결합하는 회전축(110)을 형성하고, 회전축(110)에서 연장하여 중심부(120)를 형성한다.
회전축(110)은 상기 문에 내장하는 래치유닛에 결합하는 부위로 커버(200)로 덮이지 않고 외부로 돌출한다.
심재(100)는 일단부에 회전축(110)을 형성하고, 회전축(110)에서 연장하여 중심부(120)를 형성하는데, 중심부(120)는 문 손잡이(10)의 모양에 따라 형성한다.
심재(100)에서 회전축(110)은 문 손잡이(10)의 외부로 돌출하는 것이고, 중심부(120)는 문 손잡이(10)의 내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심재(100)는 아연(Zn) 또는 알루미늄(Al)재질이며, 다이캐스팅하여 형성한다.
커버(200)는 중심부(120)의 외면을 감싸 문 손잡이(10)의 외부 모양을 형성한다.
커버(200)는 합성수지 재질이며, 다이캐스팅 된 심재(100)에서 중심부(120)의 외면에 인서트 사출하여 접합한다.
즉, 문 손잡이(10)는 아연(Zn) 또는 알루미늄(Al)의 금속 재질로 다이캐스팅한 심재(100)인 인서트를 사출성형장치의 금형틀에 끼우고 고정한 뒤, 합성수지를 금형틀에 주입하여 커버(200)를 형성하고, 냉각시키는 인서트사출 성형방법으로 제조한다.
문 손잡이(10)의 외부인 커버(200)를 금속이나 비철금속 소재로 작업하지 않기 때문에, 연마, 도금, 코팅공정 등의 후 가공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제작시간 및 원가를 줄일 수 있고, 제작과정에서 별도의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는다.
커버(2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을 통해 심재(100) 중심부(120)의 외면을 감싸 덮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200)는 향균 소재인 에버모인(Evermo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200)의 소재는 에버모인(Evermoin)으로써 향균기능을 가진다.
에버모인(Evermoin) 소재는 곰팡이나 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하여 커버(200)를 살균 및 탈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촉이 잦은 문 손잡이(10)의 커버(200)를 청결한 위생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심재(100)는 중심부(120)가 커버(200)에 덮혀 문 손잡이(10)의 중심을 형성한다. 심재(100)는 금속 재질로써 문 손잡이(10)를 지지하고 그 형상을 유지할 정도면 되기 때문에, 중심부(120)의 길이나 두께 등에서 문 손잡이(10)의 전체 형상과 일치하도록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을 보면, 심재(100)의 중심부(120)는 구부러진 문 손잡이(10)의 형상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길이면에서 문 손잡이(10) 전체와 동일하지 않으며, 두께면에서도 문 손잡이(10)와 일치하지 않는다.
즉, 심재(100)의 중심부(120)는 문 손잡이(10)의 외부 형상인 커버(2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지만 합성수지 재질인 커버(200)의 수축을 막고, 일정 강도를 유지하면서, 문 손잡이(10)를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심재(100)는,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한다.
심재(100)는 상기 일단부에 회전축(110)을 형성하고, 중심부(120)는 커버(200)에 덮혀 문 손잡이(10)의 내부 중심을 형성한다.
중심부(120)는 상기 일단부인 회전축(110)에서 연장하여 문 손잡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을 같이 참조하면, 심재(100)는 상기 일단부인 회전축(110)에서 단면적이 가장 크며, 상기 회전축(110)에서 연장한 중심부(120)는 상기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한다. (상기 타단부는 상기 심재(100) 일단부의 반대편을 나타낸다.)
심재(100)는 회전축(110)에서 최대의 단면적을 형성하며, 중심부(120)는 상기 타단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들어 상기 타단부의 끝에서 최소의 단면적을 형성한다.
중심부(120)의 단면은 심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대칭적으로 감소한다. 중심부(120)의 단면은 원형을 형성하여, 원형의 지름이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심재(100)의 중심부(120)는 커버(200)의 모양에 따라서 중심부(120)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커버(200)의 외형에 대응하여 중심부(120)의 형상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
커버(200)를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구성하면, 커버(200)에 덮히는 심재(100)의 중심부(120)의 단면적도 이에 대응하여 줄어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는, 커버(200)의 형상과 무관하게 삼재의 중심부(120)는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심재(100)는, 커버(200)와 밀착하도록, 중심부(120) 외면에 밀착부(130)를 형성한다.
밀착부(130)는 합성수지인 커버(200)와 심재(100)의 접착력을 높이고, 커버(200)가 깨지거나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200)와 심재(100)가 강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밀착부(130)는 심재(100)의 중심부(120) 외면에 형성하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밀착부(130)는 돌기(131) 또는 홈(미도시)으로 형성한다.
돌기(131)는 중심부(120) 외면에서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돌기(131)는 중심부(120) 외면에서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여러 개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131)는 중심부(120)에서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하는 대칭으로 좌우는 엇갈리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돌기(131)는 심재(100)의 중심부(120) 단면적을 줄이면서도 커버(200)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늘려주어 심재(100)와 커버(200)의 밀착을 높이고, 커버(200)의 깨짐이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돌기(131)는 끝단부를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돌기(131)의 끝단부를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커버(200)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역시 밀착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밀착부(130)는 홈(미도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미도시)은 심재(100)의 중심주에 소정의 깊이로 파여져 형성할 수 있다.
홈(미도시)은 중심부(120) 외면에서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여러 개를 구비할 수 있다. 홈(미도시)은 중심부(120)에서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하는 대칭으로 좌우는 엇갈리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홈(미도시)은 심재(100) 중심주를 관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홈(미도시)의 경우에도 심재(100)의 중심부(120) 단면적을 줄이면서도 커버(200)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늘려주어 심재(100)와 커버(200)의 밀착을 높이고, 커버(200)의 깨짐이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심재(100)의 중심부(120)에 돌기(131)와 홈(미도시)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홈(미도시)과 돌기(131)를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다.
중심부(120)를 관통하는 관통홈(미도시)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관통홈(미도시) 사이 사이에 돌기(131)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중심부(120)에서 관통홈(미도시)이 형성하는 부분의 단면을 두껍게 형성하여 홈(미도시)인 동시에 돌기(131)의 역할도 동시에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심재(100)의 중심부(120) 단면적이 감소할수록, 돌기(131)의 길이는 길어지고, 홈(미도시)의 깊이는 깊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심재(100)의 중심부(120)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돌기(131)의 길이를 늘리고, 홈(미도시)의 깊이는 깊게하여 커버(200)와 심재(100)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밀착부(130)의 형상을 갈고리 모양(미도시)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갈고리의 방향은 심재(100)의 중심부(120) 단면적이 감소하는 쪽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갈고리 모양은 커버(200)와의 접촉 면적을 높여주고, 합성수지인 커버(200)의 내부를 잡아주어 심재(100)와 커버(200)가 강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갈고리 모양도 심재(100)의 단면적이 감소할수록 상기 갈고리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렇듯, 심재(100)는 아연(Zn) 또는 알루미늄(Al)의 금속 소재로 사용하여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고, 커버(200)는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심재(100)에 인서트 사출로 문 손잡이(10)를 성형함으로써, 연마, 도금, 코팅공정 등의 후 가공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제작시간 및 원가를 줄일 수 있고, 제작과정에서 별도의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200)의 내부에서 심재(100)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줄어들도록 구성하여, 커버(200)의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심재(100)와 커버(200)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심재(100) 중심부(120)에 홈(미도시)이나 돌기(131) 형상을 가지는 밀착부(130)를 구성함으로써, 커버(200)와 심재(100)의 밀착력을 높여 심재(100)와 커버(200)가 강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200)의 소재를 향균력을 가지는 소재인 에버모인(Evermoin) 소재를 사용하여, 곰팡이나 박테리아의 번식을 억제하여 커버(200)를 살균 및 탈취 상태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접촉이 잦은 문 손잡이(10)의 커버(200)를 청결한 위생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문 손잡이(10)
심재(100)
회전축(110)
중심부(120)
밀착부(130)
돌기(131)
홈(132)
커버(200)

Claims (4)

  1. 문을 열고 닫는 향균 문 손잡이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문에 결합하는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하여 중심부를 형성하는 심재; 및
    상기 중심부의 외면을 감싸 상기 문 손잡이의 외부 모양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는,
    상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밀착하도록, 상기 중심부 외면에 밀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밀착부는, 돌출 형성된 돌기 또는 함몰된 홈이고,
    상기 커버는 합성수지 재질이며, 다이캐스팅된 상기 심재에서 상기 중심부의 외면에 인서트 사출하여 접합되고,
    상기 심재의 상기 중심부 단면적이 감소할수록 상기 돌기의 길이는 길어지고, 상기 홈의 깊이는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균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향균 소재인 에버모인(Evermo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균 손잡이.
KR1020200100964A 2020-08-12 2020-08-12 향균 문 손잡이 KR10236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64A KR102366438B1 (ko) 2020-08-12 2020-08-12 향균 문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64A KR102366438B1 (ko) 2020-08-12 2020-08-12 향균 문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43A KR20220020543A (ko) 2022-02-21
KR102366438B1 true KR102366438B1 (ko) 2022-02-23

Family

ID=8047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964A KR102366438B1 (ko) 2020-08-12 2020-08-12 향균 문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4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7722A (ja) * 2014-09-12 2017-09-21 ホ キム、ドク 交換用ドア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843B1 (ko) 2011-12-15 2012-12-04 김용범 도어손잡이의 항균처리방법 및 그 처리방법에 따른 도어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7722A (ja) * 2014-09-12 2017-09-21 ホ キム、ドク 交換用ドア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543A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4974S1 (en) Door lock escutcheon
USD661814S1 (en) Door
KR102366438B1 (ko) 향균 문 손잡이
USD494455S1 (en) End cap for shower rod
DE60022414D1 (de) Innere Auskleidung einer Tür mit integrierter Fensterführung und damit ausgerüstete Tür
AU2018275570B2 (en) Anti-ligature turn piece
USD485960S1 (en) Door for security safes and gun cabinets
USD527114S1 (en) Door jamb
USD552254S1 (en) Steel door
USD494052S1 (en) End cap for shower rod
USD485042S1 (en) Door for security safes and gun cabinets
USD494845S1 (en) End cap for shower rod
USD545394S1 (en) Water treatment assembly
USD478387S1 (en) Door
USD551776S1 (en) Steel door
USD934671S1 (en) Door jamb
KR200302179Y1 (ko) 유리문 프레임
USD496439S1 (en) Shower enclosure with door
CN207110699U (zh) 一种用磁性来旋转开关的安全锁
USD586474S1 (en) Lavatory door
USD561911S1 (en) Portion of an overhead garage door facade
USD551777S1 (en) Steel door
KR101741890B1 (ko) 매립형 컵핸들 도어
USD495785S1 (en) Shower enclosure with door
USD495784S1 (en) Shower enclosure with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