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244B1 -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 Google Patents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244B1
KR102366244B1 KR1020190174438A KR20190174438A KR102366244B1 KR 102366244 B1 KR102366244 B1 KR 102366244B1 KR 1020190174438 A KR1020190174438 A KR 1020190174438A KR 20190174438 A KR20190174438 A KR 20190174438A KR 102366244 B1 KR102366244 B1 KR 10236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terminal
eeg cap
current output
channel b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974A (ko
Inventor
정영진
박재훈
조홍식
서정현
윤도영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젬텍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2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7Hats; Caps; Hoods 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health, e.g. with means for pressing on acupuncture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 모바일 단말(200); 및 유선 단말(300); 를 포함하는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는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 및 유선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모바일 단말(200) 또는 유선 단말(300)에서 연동된 프로그램을 통한 제어 명령 전송에 따라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출력장치부(1b)에 대한 제어를 통해 미세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신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 및 유선 단말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4-채널로 미세전류를 단계별로 출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tDCS 전극이 전기 전도성 젤(gel)을 흐르지 않게 하면서, 특정 극소 부위를 자극하고, 전극 패드에 있어서 콘형태의 플렉시블 재질을 이용해 쉽게 변형이 되어 전도성 젤의 누수를 방지하여 자극 영역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4-channel brain microcurrent stimulation system}
본 발명은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 및 유선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4-채널로 미세전류를 단계별로 출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tDCS 전극이 전기 전도성 젤(gel)을 흐르지 않게 하면서, 특정 극소 부위를 자극하고, 전극 패드에 있어서 콘형태의 플렉시블 재질을 이용해 쉽게 변형이 되어 전도성 젤의 누수를 방지하여 자극 영역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머리에 미세전류를 통과시켜 대뇌 피질 영역 뉴런들의 증가 혹은 감소를 유도하는 tDCS(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뇌자극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자극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자극기는 동작 방법이 복잡하고, 뇌의 자극 지점에 따라 작용하는 현상이 다양하여 병원에서만 사용되어 일반적인 대중들이 손쉽게 이용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비록 기존에 4-채널 이상의 다채널 tDCS 시스템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기존의 시스템의 경우 전극의 부착에 있어서 별다른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새로운 전극 시스템과 결합되는 4-채널 tDCS 시스템을 기반으로 보다 개선된 뇌 자극 및 뇌 인지기능 증진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19344(2012.10.25)호 "실시간 뇌 혈류 반응을 이용한 뇌 자극 시스템(MICROSTIMULATION SYSTEM USING REAL-TIME BLOOD FLOW REAC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 및 유선 단말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4-채널로 미세전류를 단계별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EEG 캡에 장착시킨 복수개의 자극 출력부의 전류출력 연결단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凹) 형상의 홈에 전류출력단의 철(凸) 형상의 돌기를 삽입하여 똑딱이 버튼과 같은 형태로 체결함으로써, EEG 캡에 장착된 복수개의 자극 출력부에 전류출력단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tDCS 전극이 전기 전도성 젤(gel)을 흐르지 않게 하면서, 특정 극소 부위를 자극하도록 하기 위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패드에 있어서 콘형태의 플렉시블 재질을 이용해 쉽게 변형이 되어 전도성 젤의 누수를 방지하여 자극 영역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은,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 모바일 단말(200); 유선 단말(300); 및 복수 개의 자극 출력부(150)가 고정된 EEG 캡(160)을 포함하는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는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 및 유선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모바일 단말(200) 또는 유선 단말(300)에서 연동된 프로그램을 통한 제어 명령 전송에 따라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출력장치부(1b)에 대한 제어를 통해 미세 전류를 출력하되, 상기 EEG 캡(160)에 고정된 자극 출력부(150)는 전류출력단(151), 전류출력 연결단(152), EEG 캡 고정단(153) 및 탄소 또는 실리콘 소재인 콘 타입 접촉 패드(15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며, 콘 타입 접촉 패드(154)는 EEG 캡의 안쪽에 부착되고 나머지 구성요소인 전류출력단(151), 전류출력 연결단(152), EEG 캡 고정단(153)은 EEG 갭의 외부에 EEG 캡 고정단(153)을 활용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EEG 캡 고정단(153)을 활용하여 천 재질의 EEG 캡(160)과 연결하고, EEG 캡 고정단(153)의 제 1 측(하향 방향측)에 형성된 수용홀로 콘 타입 접촉 패드(154)가 연결되는 구조로서, EEG 캡 고정단(153)의 제 2 측(상향 방향측)으로는 전류출력 연결단(152)이 EEG 캡 고정단(153)의 상단에 형성된 2개의 음각 단자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전류출력단(151)은 철(凸) 형상의 돌기(151a)가 전류출력 연결단(152)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凹) 형상의 홈(152a)에 똑딱이 버튼과 형태로 삽입 체결되어 상단을 구성하는 원판 형태를 덮는 방식으로 내측이 홈으로 구성된 원판 수용단을 통해 전류출력 연결단(152)에 체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제어 명령에 포함된 단계 정보에 따라 0 내지 3 단계에 해당하는 총 4 단계의 미세전류를 출력장치부(1b)를 통해 출력하는 MCU(1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MCU(130)는, 0 단계의 경우 미세전류를 출력하지 않으며, 1 단계는 0.6mA, 2 단계는 1.2mA, 3 단계는 1.8mA의 미세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은, 통신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 및 유선 단말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4-채널로 미세전류를 단계별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EEG 캡에 장착시킨 복수개의 자극 출력부의 전류출력 연결단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凹) 형상의 홈에 전류출력단의 철(凸) 형상의 돌기를 삽입하여 똑딱이 버튼과 같은 형태로 체결함으로써, EEG 캡에 장착된 복수개의 자극 출력부에 전류출력단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은, tDCS 전극이 전기 전도성 젤(gel)을 흐르지 않게 하면서, 특정 극소 부위를 자극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은, 전극 패드에 있어서 콘형태의 플렉시블 재질을 이용해 쉽게 변형이 되어 전도성 젤의 누수를 방지하여 자극 영역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1)에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의 외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양 방향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1)에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에 연결되는 자극 출력부(15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1)에 적용하는 EEG 캡을 사람의 머리에 씌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1)에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의 외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양 방향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1)에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에 연결되는 자극 출력부(15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1)은 컨트롤부(1a), 출력장치부(1b)로 이루어지는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 및 유선 단말(300)를 포함함으로써,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 및 유선 단말(300) 간에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는 컨트롤부(1a) 및 출력장치부(1b)로 구분되며, 컨트롤부(1a)는 I/O 인터페이스(110), 송수신모듈(120) 및 MCU(130)를 포함하며, 출력장치부(1b)는 출력단자(100c), 전류 증폭기(OP amp)(141) 및 Tap potentiometer(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는 스마트폰 등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200)이나 PC 등에 해당하는 유선 단말(300)과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Bluetooth 방식을 통해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 후, 모바일 단말(200) 또는 유선 단말(300) 등에서 연동된 프로그램을 통한 제어 명령 전송에 따라 MCU(130)가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출력장치부(1b)에 대한 제어를 통해 미세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명령을 수신한 MCU(130)는 제어 명령에 포함된 단계 정보에 따라 0 내지 3 단계에 해당하는 총 4 단계의 미세전류를 출력장치부(1b)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0 단계의 경우 미세전류를 출력하지 않으며, 1 단계는 0.6mA, 2 단계는 1.2mA, 3 단계는 1.8mA의 미세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출력장치부(1b) 상에서 Tap potentiometer(142)는 컨트롤부(1a)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미세전류 단계에 따라 가변저항을 제어하여 전류를 전류 증폭기(OP amp)(141)로 출력하고 전류 증폭기(141)는 미리 설정된 배율에 따라 전류를 증폭하여 출력단자(100c)를 통해 미세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부(1a)는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된 전원 스위치(100a)가 구비됨으로써, 전원 스위치(100a) 온(ON)에 따라 컨트롤부(1a)의 구성요소, 그리고 출력장치부(1b)의 구성요소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공할 수 있으며, 충전단자(100b)를 통해 배터리로 제공되는 전원에 대한 과전압을 방지하면서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a와 같이 송수신 모듈(120)에는 블루투스 안테나(100b)가 연결됨으로써, 모바일 단말(200) 및 유선 단말(300)과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의 케이스 양옆에 반달모양의 라운드를 주어 사용자가 잡고 있을 때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극 출력부(150)는 도 3과 같이 전류출력단(151), 전류출력 연결단(152), EEG 캡 고정단(153), 콘 타입 접촉 패드(154)로 구성된다.
한편, 자극 출력부(150) 중 EEG 캡 고정단(153)을 활용하여 천 재질의 EEG 캡과 연결하고, EEG 캡 고정단(153)의 제 1 측(하향 방향측)에 형성된 수용홀로 콘 타입 접촉 패드(154)가 연결되는 구조이며, EEG 캡 고정단(153)의 제 2 측(상향 방향측)으로는 전류출력 연결단(152)이 EEG 캡 고정단(153)의 상단에 형성된 2개의 음각 단자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전류출력단(151)은 전류출력 연결단(152)의 상단을 구성하는 원판 형태를 덮는 방식으로 내측이 홈으로 구성된 원판 수용단을 통해 전류출력 연결단(15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출력단(151)은 출력단자(100c)을 통해 출력장치부(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자극 출력부(150)는 전류출력단(151)과 전류출력 연결단(152)의 구조를 활용해 똑딱이와 같은 형태로 출력장치부(1b)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콘 타입 접촉 패드(154)를 구비하는 자극 출력부(150) 결합체는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결합체는 동일한 단계로 미세전류를 출력하게 되고, 1개의 콘 타입 접촉 패드(154) 결합체가 Anode가 되는 경우, 나머지 3개의 콘 타입 접촉 패드(154) 결합체는 Cathode가 되어 미세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한다.
구조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극 출력부(150)에 대해서 살펴보면, 자극 출력부(150)의 전극을 구성하는 콘 타입 접촉 패드(154)는 EEG 캡의 안쪽에 부착되고 나머지 구성요소인 전류출력단(151), 전류출력 연결단(152), EEG 캡 고정단(153)은 EEG 갭의 외부에 EEG 캡 고정단(153)을 활용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극 출력부(150)에서 콘 타입 접촉 패드(154)의 재질을 탄소 또는 실리콘 100%로 구성할 수 있는데, 만약 100%의 순수한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도성이 없으며, 물질자체가 피부에 닿지 않아서 버닝현상을 막을 수 있다.
자극 출력부(150)에서 콘 타입 접촉 패드(154)와 EEG 캡 고정단(153)은 천 재질의 EEG 캡(160)에 전극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똑딱이 형태의 부착단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콘 타입 접촉 패드(154)와 EEG 캡 고정단(153)은 EEG 캡을 전극을 고정하는 형태로 사용되며, 전류출력 연결단(152)까지가 사전 연결되는 영역이다. 이후 tDCS 시스템 전극 출력부와 연결된 전극에 해당하는 전류출력단(151)과 전류출력 연결단(152)의 구조를 이용해 tDCS를 자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전류 자극을 위해서는 콘 타입 접촉 패드(154)와 EEG 캡 고정단(153)에 전도성 Gel을 가득 채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머리에 씌운 EEG 캡(160)은 EEG 캡(160)에 형성시킨 복수 개의 관통공(미도시)을 이용하여 사람의 머리에 맞닿는 부분인 내면에 콘 타입 접촉 패드(154)가 위치하고, 콘 타입 접촉 패드(154)의 돌기 부분이 EEG 캡(160)의 외부에 위치한 EEG 캡 고정단(153)의 삽입공 내에 삽입되어 자극 출력부(150)의 EEG 캡 고정단(153)이 EEG 캡(160)에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EEG 캡 고정단(153)의 외부에 플러그 형상의 전류출력 연결단(152)이 체결된 상태에서 EEG 캡(160)이 보관되어지며, 사람의 머리에 미세전류를 자극시키고자 할 경우 EEG 캡(160)에 장착된 복수개의 자극 출력부(150)의 전류출력 연결단(152)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凹) 형상의 홈(152a)에 전류출력단(151)의 철(凸) 형상의 돌기(151a)를 삽입하여 똑딱이 버튼과 같은 형태로 체결함으로써, EEG 캡에 장착된 복수개의 자극 출력부(150)의 전류출력 연결단(152)에 전류출력단(151)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은 새로운 전극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tDCS시스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상용의 편의성 극대화를 통한 뇌 기능 재활 및 증진 기여하여 국민의 삶의 질 증진에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기존에 개발된 대부분의 tDCS 시스템의 경우에 헤어밴드 타임이거나, 혹은 임의의 위치를 줄 또는 밴드로 부착하는 형태를 가져왔다. 그러나 실제 뇌 자극영역을 선정하는 기준으로는 EEG(electroencephalography) 10-20 시스템 또는 EEG 10-10 시스템을 주로 이용해 왔으며, 이러한 좌표시스템의 사용을 위해서는 EEG 캡(electroencephalography cap)의 활용이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EEG 캡에 적용할 수 있는 개발된 tDCS 4-채널 system에 새로운 전극 부착 장치에 해당하는 자극 출력부(15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tDCS 전극은 전기 전도성 젤(gel)을 흐르지 않게 하면서, 특정 극소 부위를 자극할 수 있으며, 특히, 콘 형태의 실리콘 재질은 머리카락에 의해 쉽게 변형이 되어 전도성 젤의 누수를 방지하여 자극 영역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1a : 컨트롤부
1b : 출력장치부
100 :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
110 : I/O 인터페이스
120 : 송수신모듈
130 : MCU
141 : 전류 증폭기(OP amp)
142 : Tap potentiometer
150 : 자극 출력부
151 : 전류출력단
152 : 전류출력 연결단
153 : EEG 캡 고정단
154 : 콘 타입 접촉 패드
160 : EEG 캡
200 : 모바일 단말
300 : 유선 단말

Claims (6)

  1.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 모바일 단말(200); 유선 단말(300); 및 복수 개의 자극 출력부(150)가 고정된 EEG 캡(160)을 포함하는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에 있어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는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 및 유선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모바일 단말(200) 또는 유선 단말(300)에서 연동된 프로그램을 통한 제어 명령 전송에 따라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출력장치부(1b)에 대한 제어를 통해 미세 전류를 출력하되,
    상기 EEG 캡(160)에 고정된 자극 출력부(150)는 전류출력단(151), 전류출력 연결단(152), EEG 캡 고정단(153) 및 탄소 또는 실리콘 소재인 콘 타입 접촉 패드(15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며, 콘 타입 접촉 패드(154)는 EEG 캡의 안쪽에 부착되고 나머지 구성요소인 전류출력단(151), 전류출력 연결단(152), EEG 캡 고정단(153)은 EEG 갭의 외부에 EEG 캡 고정단(153)을 활용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EEG 캡 고정단(153)을 활용하여 천 재질의 EEG 캡(160)과 연결하고, EEG 캡 고정단(153)의 제 1 측(하향 방향측)에 형성된 수용홀로 콘 타입 접촉 패드(154)가 연결되는 구조로서, EEG 캡 고정단(153)의 제 2 측(상향 방향측)으로는 전류출력 연결단(152)이 EEG 캡 고정단(153)의 상단에 형성된 2개의 음각 단자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전류출력단(151)은 철(凸) 형상의 돌기(151a)가 전류출력 연결단(152)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凹) 형상의 홈(152a)에 똑딱이 버튼과 형태로 삽입 체결되어 상단을 구성하는 원판 형태를 덮는 방식으로 내측이 홈으로 구성된 원판 수용단을 통해 전류출력 연결단(152)에 체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장치(100)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뒤 제어 명령에 포함된 단계 정보에 따라 0 내지 3 단계에 해당하는 총 4 단계의 미세전류를 출력장치부(1b)를 통해 출력하는 MCU(1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MCU(130)는,
    0 단계의 경우 미세전류를 출력하지 않으며, 1 단계는 0.6mA, 2 단계는 1.2mA, 3 단계는 1.8mA의 미세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74438A 2019-12-24 2019-12-24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KR102366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38A KR102366244B1 (ko) 2019-12-24 2019-12-24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38A KR102366244B1 (ko) 2019-12-24 2019-12-24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74A KR20210081974A (ko) 2021-07-02
KR102366244B1 true KR102366244B1 (ko) 2022-02-22

Family

ID=7689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438A KR102366244B1 (ko) 2019-12-24 2019-12-24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5207A (zh) * 2023-09-11 2023-11-17 深圳般意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语言皮层的经颅电刺激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2204A (zh) * 2016-12-28 2017-03-22 广州市艾生维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纽扣式电极贴片
WO2017200891A1 (en) * 2016-05-16 2017-11-23 Neuroelectrics Inc. Headcap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or recording eeg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047B1 (ko) 2011-04-21 2013-06-1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감속기
KR20160095579A (ko) * 2015-02-03 2016-08-11 (주)정우메디칼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개인용 경두개직류자극장치
KR102032694B1 (ko) * 2017-12-15 2019-10-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채널 경두개 직류 자극(tDCS)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891A1 (en) * 2016-05-16 2017-11-23 Neuroelectrics Inc. Headcap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or recording eeg signals
CN106512204A (zh) * 2016-12-28 2017-03-22 广州市艾生维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纽扣式电极贴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74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1153460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20170224990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uromodulation
US20200338348A1 (en) Multimodal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f Treatment, Feedback Collection and Remote Therapist Control
AU2016354596A1 (en) EEG headsets with precise and consistent electrode positioning
US20130282095A1 (en) Headband for External Occipital Neurostimulation
US20130231730A1 (en) Electrode arrangement
JPS5841570A (ja) 筋肉刺激装置及び方法
CN102612354A (zh) 确定植入物调配中的刺激电平参数
CN104704858A (zh) 具有标准有线接口的听力假体
WO202015073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dulation of integrated neural networks to influence composite sensory processes
US1132491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non-invasive transcutaneous neurostimulation of the neck and ear vagus nerves via electrical, magnetic and haptic stimulation
KR102366244B1 (ko) 4-채널 뇌 미세전류 자극 시스템
JP7087346B2 (ja) 電気治療器、制御方法、および治療システム
CN111182831B (zh) 用于冥想增强的系统和方法
US10857360B2 (en)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or
CN109045468B (zh) 一种耳部迷走神经刺激系统及其装置
US202201182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aniocervical and auricular neuromodulation
KR102512499B1 (ko) 미주신경자극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
KR101318989B1 (ko)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KR20210091934A (ko) 헬스 케어를 위한 IoT 기반 멀티타입 EMS 슈트
US20190314626A1 (en) Apparatus for outputting electric stimulation pulses
CN219355096U (zh) 一种具有骨传导功能的神经调控设备及系统
EP3498166B1 (en) Device for diagnosis and/or treatment of tinnitus and a system for electrical and magnetic stimulation of the ear
US20240139465A1 (en) Electrostimulator device for sleep in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