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955B1 - 열전도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열전도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955B1
KR102365955B1 KR1020150103212A KR20150103212A KR102365955B1 KR 102365955 B1 KR102365955 B1 KR 102365955B1 KR 1020150103212 A KR1020150103212 A KR 1020150103212A KR 20150103212 A KR20150103212 A KR 20150103212A KR 102365955 B1 KR102365955 B1 KR 10236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ound
probe sensor
sensor unit
thermal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655A (ko
Inventor
김경열
류희환
이강렬
이대수
권태혁
이소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0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9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ndu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o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에 관입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온도를 측정하는 탐침 센서부; 상기 탐침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시간대별 탐침 센서부의 온도를 기록하는 데이터 로거; 상기 탐침 센서부가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탐침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탐침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에 의해 기록된 시간대별 탐침 센서부의 온도 및 상기 탐침 센서부에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측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도도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본 발명은 열전도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에 천공을 형성한 후 써멀 구리즈를 주입하고 이어 천공에 탐침 센서부를 관입하여 지중 전력구 주변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열전도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배전선 등은 급격하게 많은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당한 발열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발열 현상은 전력의 송전 효율을 낮추기 때문에, 전력구 내부를 냉각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전력구 주변의 매질의 열 물성치 측정 및 상태 예측은 보다 효율적인 냉각 시스템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며, 전력구 주변 지반의 장기적 거동을 측정 및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전력구 내부 온도 예측 시스템은 설계상 일률적인 수치의 열전도도를 적용한다는 단점이 있고, 이미 개발된 열전도도 측정 시스템은 탐침의 얇은 두께로 인해 풍화토나 풍화암에의 적용이 어렵고, 측정범위가 좁으며, 다양한 매질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지중 열전도도 측정 시스템은 순환수를 이용해 지중과 열 교환한 후 순환수의 온도 변화를 읽어 열전도도를 계산한다. 그러나, 종래의 열전도도 측정 시스템은 순환수를 순환시킬 수 있을 만한 보어홀과, 순환수와 보충수 탱크, 순환 펌프, 및 유량계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당한 크기의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1654호(2014.10.16)의 '토양의 열전도도를 추정하는 방법, 추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에 천공을 형성한 후 써멀 구리즈를 주입하고 이어 천공에 탐침 센서부를 관입하여 지중 전력구 주변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열전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파괴 공법으로서 깊은 심도 및 다양한 지반에서의 열전도도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 결과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켜 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전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의 열전도도를 적은 비용으로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 빠르고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열전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 전력구 굴착면 주변 지반의 종류 예를 들어 토사 및 암반 지반에 관계없이 열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전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전도도 측정 장치는 지반에 관입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온도를 측정하는 탐침 센서부; 상기 탐침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시간대별 탐침 센서부의 온도를 기록하는 데이터 로거; 상기 탐침 센서부가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탐침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탐침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에 의해 기록된 시간대별 탐침 센서부의 온도 및 상기 탐침 센서부에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측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탐침 센서부는 금속 재질의 봉 형태로 길이 대 외경 비율이 설정값 이상으로 형성되고, 지반에 관입되어 지반에 열을 전달하는 관입부; 상기 관입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에 위치하고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발열부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열부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열부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민무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열부의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탐침 센서부가 지반에 관입될 수 있도록 천공을 형성하는 지반 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탐침 센서부의 열전도를 위한 써멀 그리즈를 천공 내부에 주입하는 써멀 그리즈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써멀 그리즈는 은가루, 알루미늄가루, 구리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그리즈 혼합되어 열전도도가 3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탐침 센서부를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에 관입하여 지중 전력구 주변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은 비파괴 공법으로서 깊은 심도 및 다양한 지반에서의 열전도도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 결과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켜 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의 열전도도를 적은 비용으로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 빠르고 손쉽게 측정한다.
본 발명은 지중 전력구 굴착면 주변 지반의 종류 예를 들어 토사 및 암반 지반에 관계없이 열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도 측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형 탐침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무늬형 탐침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천공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멀 그리즈 주입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멀 그리즈 주입 비트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침 센서부를 지중에 관입하여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도 측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도 측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형 탐침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무늬형 탐침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천공부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멀 그리즈 주입부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멀 그리즈 주입 비트의 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침 센서부를 지중에 관입하여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도 측정 장치는 탐침 센서부(10), 데이터 로거(30), 전원 공급부(20) 및 측정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열전도도 측정 장치는 탐침 센서부(10)를 지반에 관입시키기 위해 지반에 천공(80)을 형성하는 지반 천공부(60), 및 탐침 센서부(10)에서 발생된 열이 지반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천공(80) 내부에 써멀 그리즈를 주입하는 써멀 그리즈 주입부(70)를 포함한다. 지반 천공부(60) 및 써멀 그리즈 주입부(70)는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탐침 센서부(10)는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에 관입되고 열을 발생시켜 지반에 전달하고 이때 자신의 온도를 측정한다. 탐침 센서부(10)는 지반에 관입되고 자신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탐침 센서부(10)는 기계적 강도와 전기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지반에 용이하게 관입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상기한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 이외에도 다양한 전력구 주변 지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풍화토, 풍화암, 연암, 경암 등 다양한 매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탐침 센서부(10)는 관입부(11), 발열부(12) 및 온도 센서(13)를 포함한다.
관입부(11)는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에 관입되는 것으로서, 중공의 봉 형태로 형성된다. 일 예로, 관입부(11)는 그 굵기가 약 1~6mm, 길이가 15~30cm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길이 대 외경 비율이 설정값 예를 들어 30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관입부(11)는 기계적 강도와 전기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관입부(11)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구 세그먼트의 뒷채움재를 통해 원지반까지 관입될 수 있다.
관입부(11)는 상기한 봉 형태로 형성되되, 나사산 형태 또는 민무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관입부(11)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나사산 형태의 관입부(11)는 암반 지반 관입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관입부(11)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민무늬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12)는 관입부(11) 내부에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전원 공급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열을 발생시킨다. 발열부(12)에서 발생된 열은 관입부(11)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온도 센서(13)는 발열부(12)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 센서(13)로는 발열부(12)의 열에 의해 그 저항값이 변화되는 써미스터가 채용될 수 있다. 온도 센서(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부(12)의 온도를 감지하는 바, 발열부(12)의 온도변화는 지반의 열전도도가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고, 지반이 열전도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반의 열전도도에 의해 변화되는 발열부(12)의 온도 변화를 기반으로 해당 지반의 열전도도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탐침 센서부(10)의 단부에는, 탐침 센서부(10)가 지반의 천공(80)에 용이하게 관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50)는 그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고, 이 중공을 통해 탐침 센서부(10)가 삽입되어 천공(80)에 관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50)는 탐침 센서부(10)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가이드부(50)에 탐침 센서부(10)를 삽입하여 천공(80)에 편리하게 관입시킬 수 있다.
데이터 로거(30)는 상기한 탐침 센서부(10)의 온도 센서(13)에 의해 측정된 발열부(12)의 온도를 시간대별로 기록하여 측정 제어부(40)에 입력한다.
전원 공급부(20)는 측정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발열부(12)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발열부(12)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20)는 설정전압 이상의 직류전압을 설정시간 동안 일정하게 공급한다.
측정 제어부(40)는 데이터 로거(30)에 의해 기록된 시간대별 온도와 전원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 등을 이용하여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한다. 발열부(12)의 온도 변화는 지반의 열전도도가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고, 지반의 열전도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측정 제어부(40)는 임의의 시간에서의 발열부(12)의 온도, 및 전원 공급부(20)를 통해 발열부(12)에 공급된 전력Q를 이용하여 열전도도를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부(12)의 온도T는 관입부(11)의 지름과 시간t을 통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즉, 측정 제어부(40)는 시간t1과 시간 t2 사이의 온도 변화량, 및 전력을 기반으로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한다.
Figure 112015070845240-pat00001
여기서, λ는 열전도도이며, t1과 t2는 시간이며, T는 발열부(12)의 온도이며, Q는 전원 공급부(20)를 통해 발열부(12)에 공급된 전력이다.
지반 천공부(60)는 탐침 센서부(10)가 지반에 관입될 수 있도록 지반에 천공(8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지반 천공부(6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제어부(61), 천공 전동부(62) 및 드릴 비트(63)를 포함한다.
드릴 비트(63)는 지반에 천공(80)을 형성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는 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형성되어 천공 전동부(62)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기 설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비트 몸통부(631), 비트 몸통부(631)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시 지반을 드릴링하여 지반에 천공(80)을 형성하는 헤드부(633), 및 비트 몸통부(631)의 타측에 형성되어 비트 몸통부(631)를 천공 전동부(62)에 결착시키는 천공 비트 결착부(632)를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부(633)는 비트 몸통부(631)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비트 몸통부(631)의 후면 배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천공 전동부(62)는 천공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드릴 비트(63)를 회전시켜 지반에 천공(8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천공 제어부(61)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천공 전동부(6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천공 전동부(62)가 구동하고, 천공 전동부(62)에 결착된 드릴 비트(63)가 회전하면서 헤드부(633)가 지반을 드릴링하여 지반에 천공(80)을 형성한다.
써멀 그리즈 주입부(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반 천공부(60)에 의해 형성된 천공(80)에 써멀 그리즈(634)를 주입한다. 써멀 그리즈(634)는 열전도도가 3W/(mK) 이상인 물질을 사용한다. 써멀 그리즈 주입부(7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멀 그리즈 전동부(72), 써멀 그리즈 주입 비트(75), 써멀 그리즈 저장부(71), 표시부(73) 및 주입 제어부(74)를 포함한다.
써멀 그리즈 저장부(71)는 내부에 써멀 그리즈(634)를 저장하고, 저장된 써멀 그리즈(634)를 써멀 그리즈 전동부(72)에 공급한다.
써멀 그리즈 주입 비트(75)는 써멀 그리즈 전동부(72)에 결착되어 써멀 그리즈 전동부(72)로부터 전달되는 써멀 그리즈(634)를 천공(80) 내부에 주입한다.
써멀 그리즈 주입 비트(75)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써멀 그리즈(634)를 이송시키는 중공부(752)가 형성되는 써멀 그리즈 주입관(751), 및 써멀 그리즈 주입관(751)의 일측에 형성되어 써멀 그리즈 주입관(751)을 써멀 그리즈 전동부(72)에 결착시키는 주입관 결착부(753)를 포함한다. 이에, 써멀 그리즈(634)는 써멀 그리즈 주입관(751) 내부의 중공부(752)를 통해 천공(80) 내부로 주입된다.
써멀 그리즈 전동부(72)는 주입 제어부(74)의 제어신호에 따라 써멀 그리즈 저장부(71)로부터 공급된 써멀 그리즈(634)를 가압하여 써멀 그리즈 주입 비트(75)를 통해 천공(80) 내부에 강제적으로 주입한다.
표시부(73)는 써멀 그리즈(634)를 주입하기 위한 써멀 그리즈 전동부(72)의 주입압력 및 써멀 그리즈(634)의 주입량 등을 표시한다. 이외에도 표시부(73)는 써멀 그리즈 주입부(70)의 주입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주입 제어부(74)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써멀 그리즈 전동부(72)를 제어하고, 써멀 그리즈 전동부(72)의 동작에 따른 동작 상태, 예를 들어 써멀 그리즈(634)의 주입 압력과 주입량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써멀 그리즈 주입관(751)이 주입관 결착부(753)에 의해 써멀 그리즈 전동부(72)에 결착된 상태에서, 주입 제어부(74)의 제어신호에 따라, 써멀 그리즈 전동부(72)가 구동하면, 써멀 그리즈 저장부(71)에 저장된 써멀 그리즈(634)는 써멀 그리즈 주입 비트(75)를 통해 천공(80) 내부로 주입된다.
여기서, 지반 천공부(60)와 써멀 그리즈 주입부(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반 천공부(60)와 써멀 그리즈 주입부(70)가 전동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포함한다.
도 8 에는 탐침 센서부(10)가 전력구 주변의 지반에 실제 관입되어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예가 도시되었다.
도 8 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지반 천공부(60)를 이용하여 전력구 세그먼트의 뒷채움재와 지반에 천공(80)을 형성한다.
이어 사용자는 써멀 그리즈 주입부(70)를 이용하여 천공(80) 내부에 써멀 그리즈(634)를 주입한다. 주입되는 써멀 그리즈(634)로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중, 은가루, 알루미늄 가루, 구리 가루를 그리즈에 섞음으로써 최종 열전도도가 3 W/(mK) 이상인 써멀 그리즈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천공(80) 내부에 써멀 그리즈(634)가 주입되면, 사용자는 탐침 센서부(10)를 천공(80) 내부에 관입한다. 탐침 센서부(10)가 관입되면, 측정 제어부(40)는 전원 공급부(20)를 제어하여 발열부(12)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발열부(12)에 의해 발생된 열이 관입부(11)를 통해 지반에 전달되고, 온도 센서(13)는 발열부(12)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로거(30)는 온도 센서(13)에 의해 감지된 발열부(12)의 온도를 시간대별로 기록한다.
측정 제어부(40)는 데이터 로거(30)로부터 발열부(12)의 시간대별 온도를 전달받고, 전원 공급부(20)를 통해 해당 시간대에 공급된 전력을 검출하며, 이 시간대별 온도 및 전력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수학식1을 통해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탐침 센서부(10)를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에 관입하여 지중 전력구 주변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고, 비파괴 공법으로서 깊은 심도 및 다양한 지반에서의 열전도도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 결과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켜 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중 전력구 주변의 지반의 열전도도를 적은 비용으로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 빠르고 손쉽게 측정한다.
게다가, 본 실시예는 지중 전력구 굴착면 주변 지반의 종류 예를 들어 토사 및 암반 지반에 관계없이 열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탐침 센서부
11: 관입부
12: 발열부
13: 온도 센서
20: 전원 공급부
30: 데이터 로거
40: 측정 제어부
50: 가이드부
60: 지반 천공부
61: 천공 제어부
62: 천공 전동부
63: 드릴 비트
631: 비트 몸통부
632: 천공 비트 결착부
633: 헤드부
634: 써멀 그리즈
70: 써멀 그리즈 주입부
71: 써멀 그리즈 저장부
72: 써멀 그리즈 전동부
73: 표시부
74: 주입 제어부
75: 써멀 그리즈 주입 비트
751: 써멀 그리즈 주입관
752: 중공부
753: 주입관 결착부
80: 천공

Claims (8)

  1. 지반에 관입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온도를 측정하는 탐침 센서부;
    상기 탐침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시간대별 탐침 센서부의 온도를 기록하는 데이터 로거;
    상기 탐침 센서부가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탐침 센서부에 설정전압 이상의 직류전압을 설정시간 동안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탐침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에 의해 기록된 시간대별 탐침 센서부의 온도 및 상기 탐침 센서부에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측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탐침 센서부는 금속 재질의 봉 형태로 길이 대 외경 비율이 설정값 이상으로 형성되고, 지반에 관입되어 지반에 열을 전달하는 관입부; 상기 관입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에 위치하고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관입부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탐침 센서부가 지반에 관입될 수 있도록 천공을 형성하는 지반 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탐침 센서부의 열전도를 위한 써멀 그리즈를 천공 내부에 주입하는 써멀 그리즈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써멀 그리즈는 은가루, 알루미늄가루, 구리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그리즈 혼합되어 열전도도가 3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발열부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 측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열부의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도 측정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50103212A 2015-07-21 2015-07-21 열전도도 측정 장치 KR10236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12A KR102365955B1 (ko) 2015-07-21 2015-07-21 열전도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12A KR102365955B1 (ko) 2015-07-21 2015-07-21 열전도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655A KR20170012655A (ko) 2017-02-03
KR102365955B1 true KR102365955B1 (ko) 2022-02-25

Family

ID=5815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212A KR102365955B1 (ko) 2015-07-21 2015-07-21 열전도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9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9962A (ja) 2001-01-30 200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相変化を利用した熱伝達媒体を備えた光素子モジュール
JP2007263957A (ja) 2006-03-01 2007-10-11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地下水流れ状態推定装置及び方法、土壌の有効熱伝導率推定方法、並びに地盤調査方法
JP2009145204A (ja) * 2007-12-14 2009-07-02 Asahi Kasei Homes Co 地中熱伝導率計測用のプローブ、地中熱伝導率計測装置及び地中熱伝導率計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869A (en) * 1989-02-06 1992-01-21 Alcan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gases
KR100705910B1 (ko) * 2005-07-22 2007-04-10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도성 그리스 복합체
KR101483853B1 (ko) * 2013-04-08 2015-01-21 한국과학기술원 토양의 열전도도를 추정하는 방법, 추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9962A (ja) 2001-01-30 200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相変化を利用した熱伝達媒体を備えた光素子モジュール
JP2007263957A (ja) 2006-03-01 2007-10-11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地下水流れ状態推定装置及び方法、土壌の有効熱伝導率推定方法、並びに地盤調査方法
JP2009145204A (ja) * 2007-12-14 2009-07-02 Asahi Kasei Homes Co 地中熱伝導率計測用のプローブ、地中熱伝導率計測装置及び地中熱伝導率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655A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1385A1 (en) Methodology and system for producing fluids from a condensate gas reservoir
CN113418957B (zh) 土体的导热系数测试方法及系统
KR102365955B1 (ko) 열전도도 측정 장치
Beier et al. Borehole thermal resistance from line-source model of in-situ tests
Sui et al. Comprehensive modeling for temperature distributions of production and geothermal wells
US8016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borehole heat exchanger in the earth
KR20160035642A (ko) 토양의 열저항 측정장치
Wu et al. A semi-analytical solution to the transient temperature behavior along the vertical wellbore after well shut-in
US9557437B2 (en) Monitoring movement in fluid-containing environment via variable heating
JP5350038B2 (ja) 電気探査比抵抗法
Palabiyik et al. Pressure and Temperature Behaviors of Single-Phase Liquid Water Geothermal Reservoirs under Various Production/Injection Schemes
JP2008069521A (ja) 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CN102053103A (zh) 钻入式原位分层测试岩土热物性参数的方法及所用装置
CN110057866A (zh) 一种土体-结构界面加热对土体温度影响的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05863627A (zh) 高温钻进实验装置
CN102071672A (zh) 贯入式原位分层测试岩土热物性参数的方法及所用装置
KR100643716B1 (ko) 히팅수단과 온도모니터링장치를 이용한 지반 그라우팅 성과판단방법
Kavanaugh Determining thermal resistance
Kumar et al. Field Application of an Analytical Model for Estimating the Downhole Temperatures due to Wellbore Friction
He et al. An integrated model for productivity prediction of cyclic steam stimulation with horizontal well
JP2019111642A5 (ko)
CN109238916A (zh) 一种实验室用水泥浆检测台
Goff et al. ROCK MELTING: A SPECIALTY DRILLING SYSTEM FOR IMPROVEDHOLE STABILITY IN GEOTHERMAL WELLS
Kumar et al. Analytical model to characterize “smear effect” observed while drilling with casing
Corradi et al. Numerical simulation of the thermal response test within comsol multiphysics®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