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86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864B1
KR102365864B1 KR1020170111776A KR20170111776A KR102365864B1 KR 102365864 B1 KR102365864 B1 KR 102365864B1 KR 1020170111776 A KR1020170111776 A KR 1020170111776A KR 20170111776 A KR20170111776 A KR 20170111776A KR 102365864 B1 KR102365864 B1 KR 10236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opening device
door
bracket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295A (ko
Inventor
이명하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8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하여 작동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가압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상기 캐비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캐비닛에 돌출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을 위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이 구속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단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A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에 형성된 저장공간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도어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대상물을 저장공간에 넣거나 저장공간에서 꺼내기 위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가스켓이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서 밀착되어 저장공간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록 냉기 누설 방지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스켓은 고무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 내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도어의 개방 시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최근에는 오토 클로징 기능이 구현된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상기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등을 사용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조금 열려 있을 때 자동적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냉장고가 전방으로 조금 기울어진 경우에도 냉장고의 도어가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근에 제공되는 냉장고는 이전의 냉장고에 비해서 도어를 개방하는 데 많은 힘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도어를 열기 위해서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보다 큰 힘으로 사용자가 도어를 당겨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PCT 공개특허 WO2016/175562호에는 냉장고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냉장고는, 도어와, 도어 내에 장착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캡 데코 부분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랙을 포함하며, 상기 랙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도어에서 인출 및 도어로 인입된다.
상기 모터의 구동력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서 랙에 전달된다. 따라서 모터의 일방향 구동은 랙의 인출 그리고 타방향 구동은 랙의 인입을 발생킨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랙으로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은 랙와, 상기 랙에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기어와 랙 기어의 맞물림을 통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랙으로 전달된다.
상기 랙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랙은 캐비닛을 밀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여는 힘을 가하지 않고도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는 랙의 인출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일례로, 선행문헌에 개시된 곡선 형태의 랙을 사용하는 경우 대략 25도 각도까지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어의 자동 개방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열지 않고도 저장공간에 접근하여 음식물을 꺼내거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어는 사용자가 저장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어가 소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손이나 발로 도어를 추가로 개방하게 된다. 상기 도어의 인출을 위하여 랙이 도어에서 인출된 후에 상기 랙은 다시 상기 도어로 인입된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된 후 상기 랙이 상기 도어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추가로 개방시킨 후에 상기 도어를 급작스럽게 닫는 경우, 상기 도어가 상기 랙과 충돌하게 되어 상기 랙이나 상기 도어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랙이 도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닫는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충돌에 의한 소음 및 충돌에 의한 도어의 덜컹거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도어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전후 길이는 상기 도어의 전후 길이(도어의 두께)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어려움에 그 구조가 제한적이고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전후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어가 두꺼워져 냉장고의 부피에 대비하여 저장공간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도어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도어 개방장치의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한 상황에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장치를 캐비닛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개방장치를 캐비닛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개방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하여 작동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가압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상기 캐비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캐비닛에 돌출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을 위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이 구속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단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에 관통 형성된 홀이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을 위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에서 돌출되되, 상기 삽입부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외측 둘레면에 접하는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의 돌출된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돌기와 단차지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돌기에 의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부재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은 수지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안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외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감싸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은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제2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양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2 브라켓의 양단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수용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된 상기 장착 프레임이 삽입되는 전면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프레임으로 부터 인출입되어,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도어 개방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도어 개방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도어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와의 접촉을 위해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상단과 상기 캐비닛의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도어 개방장치가 브라켓에 장착되고, 브라켓이 캐비닛에 고정됨에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브라켓을 통해서 캐비닛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힌지 어셈블리를 가압할 때 상기 도어 개방장치에 큰힘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도어의 자동 개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과, 상기 캐비닛에서 돌출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단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을 위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일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한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단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타단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브라켓을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서 상가 장착 브라켓의 타단만을 고정시키더라도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상기 캐비닛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리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셋째, 상기 삽입부는 홀이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므로, 상기 결합돌기와 삽입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일단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넷째, 상기 결합돌기가 단차진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의 돌출된 단부에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기만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서 도어 개방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부재가 연장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상기 브라켓이 금속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가압할 때 상기 도어 개방장치에 큰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도어의 자동 개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섯째,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에 의한 오염으로 부터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고장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일곱째,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된 상기 장착 브라켓이 삽입되는 전면 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도어를 개방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단을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해서 노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 도어를 개방 후 상기 체결부재를 탈거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된 상기 장착 브라켓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을 상기 캐비닛으로 부터 탈거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덟째,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상기 캐비닛에 장착시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된 상기 장착 브라켓을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시키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삽입부 고정되어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후단이 고정되고, 그 후 상기 체결부재로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단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전단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장착 브라켓의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의 전단을 체결부재로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상기 캐비닛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 작업이 단순화되어, 교체 및 수리 작업 후 재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냉장고의 상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내부의 도어 개방장치와 힌지 어셈블리의 접촉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서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도어 개방장치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서 도어가 개방될 때의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캐비닛의 상면에 장착된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도어 개방장치의 후측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도어 개방장치의 결합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도어 개방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탈거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냉장고의 상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일예로 주방이나 특정 공간에 가구장이 설치되고 상기 가구장 내에 상기 냉장고(1)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은 가구장의 전면을 개폐하는 가구장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10),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가구장 내로 수용되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가구장 도어에 연결되어 함께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 도어의 회전시 상기 가구장 도어와 연결된 상기 도어(20)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구장 도어가 상기 도어(20)의 외측에서 상기 도어(20)를 커버하여, 상기 도어(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힌지 어셈블리(3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다관절 힌지 어셈블리일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를 푸시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 개방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기설정된 조건이나 상태에서 구동하게 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도어(20)는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힘이 현저히 줄어들거나 힘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일 예로, 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 방식의 입력부를 통해서 개방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는, 일측이 상기 도어(2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가 가구장 도어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므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는 일측이 상기 가구장 도어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후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20)의 닫힘 속도가 줄어들도록 하는 댐퍼(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40)는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4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로 댐핑력을 제공하여 상기 도어(20)가 부드럽게 닫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1)가 개시되나,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가 아닌 냉장고에도 본 발명의 도어 개방장치(50) 및 힌지 어셈블리(30)에 대한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댐퍼(40)와 도어 개방장치(50)를 커버하는 케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댐퍼(40)와 도어 개방장치(50)가 구비되는 공간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가구장 도어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을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상기 저장실을 차폐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적어도 상기 댐퍼(40)와 도어 개방장치(50)가 구비되는 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면과 둘레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40)와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케이스(100)에 의해서 전방으로 최대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40)와 도어 개방장치(50)가 상기 케이스(100)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케이스 도어(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도어(11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서 상기 댐퍼(40)와 도어 개방장치(50)가 구비되는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도어(11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개구(도 10, 120)를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도어(110)는 힌지장치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개구(120)를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케이스 도어(110)는 상기 케이스(100)에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상기 댐퍼(40) 및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와 접촉할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5)는 상기 댐퍼(40)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와 접촉하기 위해서 관통하는 관통하는 제1 개구부(116)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와 접촉하기 위해서 관통하는 제2 개구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내부의 도어 개방장치와 힌지 어셈블리의 접촉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서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와 상기 댐퍼(4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도어 개방부(540)와, 상기 댐퍼(40)의 실린더(43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댐퍼(40)의 실린더(43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의 일측에 접촉 및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도어 개방부(540)는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동작할 경우, 상기 도어 개방부(54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한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브라켓(200)에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200)이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의 구성들을 커버하는 프레임(도 5, 510)은, 수지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0)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상기 브라켓(200)에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200)이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됨에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개방장치(50)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를 밀때,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에 큰힘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고정에 의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를 안정적으로 밀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어 개방장치(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의 도어 개방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50)는, 구동부(550)와, 상기 구동부(550)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도어 개방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부(540)는, 상기 구동부(55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접하는 전단에는 로러(5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545)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의 회동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구동부(550)와 상기 도어 개방부(540)가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10)은 하부 프레임(511)과 상기 하부 프레임(511)과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511)에는 상기 구동부(550)와 상기 도어 개방부(540)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512)는 상기 구동부(550) 및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50)는, 구동 모터(551)와, 상기 구동 모터(551)의 동력을 상기 도어 개방부(54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51)는 일 예로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51)는 상기 하부 프레임(51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5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51)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으며, 전원 열결부재(90)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재(9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단을 통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재(90)는 전선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연결부재(90)는 다수의 분할된 전선 및 다수의 부분 전선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전원 연결부재(90)는 다수의 전선과 다수의 전선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선은, 상기 구동 모터(551)와 연결되는 제1 전선과, 상기 캐비닛(10)의 전원과 연결되는 제2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전선 연결된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전선과 연결된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장착된 상기 장착 브라켓을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인입시킬 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고정 브라켓(23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단에서 상기 제2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상기 결합돌기(55)가 상기 삽입부(235)에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서로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552)는 복수의 기어(5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553)는 상기 구동 모터(55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구동을 위한 힘을 상기 도어 개방부(540)로 전달하는 감속 기어일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구동 모터(551)의 제어를 위한 피씨비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피씨비는 상기 하부 프레임(5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51)가 상기 하부 프레임(51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511)에 장착되므로, 상기 피씨비와 상기 구동 모터(551)의 용이한 연결을 위하여 상기 피씨비는 상기 하부 프레임(511)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프레임(510) 내에 위치된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홀 센서는 상기 하부 프레임(511)의 하측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5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부(540)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단부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와의 접촉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5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일면에는 렉기어(5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541)는 상기 기어(553)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기어(553)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541)는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상기 프레임(510) 내부에 위치되는 후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40)는 상기 프레임(5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40)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실린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30)는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0)은 일 예로 상기 프레임(510)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430)는 상기 프레임(5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댐퍼(4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 또는 오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430)는 상기 탄성부재 또는 오일의 댐핑력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의 닫힘 속도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를 가압 위치를 정확하게 가압하고, 안정적인 가압을 위해서 견고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는,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제1힌지 프레임(310)과, 상기 가구장 도어 또는 상기 도어(20)에 고정되는 제2힌지 프레임(320)과, 상기 제1힌지 프레임(310) 및 상기 제2힌지 프레임(320)에 연결되는 링크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 프레임(320)은 일 예로 상기 도어(20)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322)와, 상기 도어 고정부(322)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링크 유닛(330)이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부(540)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링크 유닛(330)을 민다.
상기 링크 유닛(330)은, 상기 도어 개방부(540)로부터 미는 힘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20)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저장실을 개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중심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복수의 링크(332, 340, 350, 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유닛(330)은, 제1힌지(314)에 의해서 상기 제1힌지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제1링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유닛(330)은 상기 제1힌지(314)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링크(332)에 연결되는 제2링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340)는 제2힌지(342)에 의해서 상기 제1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링크(340)의 복수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관절 링크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부재 중 일 부재에 상기 제2힌지(342)가 형성되고, 복수의 부재중 다른 부재에 제6힌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유닛(330)은, 상기 제1힌지(314)와 상기 제2힌지(342) 사이 영역에서 상기 제1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링크(350)는, 제3힌지(352)에 의해서 상기 제1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유닛(330)은 상기 제3링크(350) 및 상기 제1힌지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링크(360)는 제4힌지(362)에 의해서 상기 제3링크(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5힌지(364)에 의해서 상기 제1힌지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힌지(362)는 상기 제1힌지(314) 보다 상기 냉장고 도어에 가깝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링크(340)는, 제6힌지(344)에 의해서 상기 제2힌지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링크(350)는, 제7힌지(354)에 의해서 상기 제2힌지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6힌지(344)와 상기 제7힌지(35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힌지(362)와 상기 제2힌지(342) 사이의 거리 보다 짧다.
그리고, 상기 제4링크(360)의 길이는 상기 제1링크(33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도어 개방장치와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서 도어가 개방될 때의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5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롤러(545)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롤러(545)는 상기 제1링크(33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부(540)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접촉되므로, 상기 도어 개방부(540)는 상기 도어(20)의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부(540)의 롤러(545)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단으로 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댐퍼(40)의 실린더(43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접촉된다. 이때, 이 때 상기 댐퍼(40) 내부의 탄성부재 또는 오일은 수축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에 필요한 힘이 줄어들고, 상기 댐퍼(40)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는 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댐퍼(40)는 상기 도어 개방부(540) 보다 상기 제1힌지(314)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구동 모터(55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5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 개방부(540)는 상기 제1링크(332)를 밀게 된다. 즉, 상기 도어 개방부(540)는 초기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링크(332)를 민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개방부(540)는 상기 제1링크(332)에서 상기 제4힌지(362)와 제2힌지(342) 사이 영역을 민다.
그러면,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제1링크(332)는 상기 제1힌지(31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4링크(332)는 상기 제5힌지(36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제1링크(332)와 상기 제4링크(332)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에서 멀어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4링크(360)의 길이가 상기 제1링크(332)의 길이 보다 짧으므로, 상기 제1링크(332)의 회전 시 상기 제1링크(332)의 회전 각도 보다 상기 제4링크(360)의 회전 각도가 크다. 따라서, 상기 제4링크(360)는 상기 제1링크(332)에 의한 상기 도어(20)의 회전 시 회전 각도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제로 상기 제1링크(332)의 회전 각도 보다 더 큰 각도로 상기 도어(20)가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캐비닛의 상면에 장착된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브라켓(20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브라켓(200)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안착되는 제1 브라켓(210), 상기 제1 브라켓(210)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상기 제1 브라켓(210)에 고정시키는 제2 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0)는, 상기 제1 브라켓(210)의 후단 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단을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 및 상기 고정 브라켓(23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30)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 브라켓(230)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스크류 또는 볼트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210)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안착되도록,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220)은 다수회 절곡된 구조로 제공되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상면과 측면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220)의 양단은 상기 제1 브라켓(210)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220)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 브라켓(220)은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전반부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 20)의 사이에 구속되어, 상기 제1 브라켓(2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210)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브라켓(210)의 전단에는 상하로 관통된 체결구(도 9, 216)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216)를 관통하는 체결부재(7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0)는 스크류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체결구(216)는 상기 제1 브라켓(210)의 전단 상면에서 좌우측으로 이격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7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1 브라켓(210)의 전단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브라켓(210)의 후단 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23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30)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장착된 상기 제1 브라켓(210)을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단 또는 상기 제1 브라켓(210)의 후단을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브라켓(2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도어 개방장치의 후측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도어 개방장치의 결합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도어 개방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5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230)에는 상기 도어 결합 돌기(55)가 삽입되는 삽입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면에 상기 삽입부(23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30)에 상기 삽입부(235)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55)가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 돌기(55)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에 형성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나, 상기 결합 돌기(55)는 상기 제1 브라켓(210)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로들어 상기 제1 브라켓(210)의 후단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55)가 상기 제1 브라켓(21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결합 돌기(55)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부(235)가 상기 고정 브라켓(230)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 돌기(55)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상기 프레임(5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55)가 상기 프레임(51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510)이 수지 소재로 성형됨에 따라서 상기 결합 돌기(55)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30)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31)와, 상기 고정부(23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1)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스크류 또는 볼트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35)는 상기 절곡부(232)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35)에 상기 결합 돌기(55)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232)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30)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서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35)는 좌우로 이격된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30)가 상기 캐비닛(10)에서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의 사이에 구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210)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안착되는 안착부(211)와, 상기 안착부(211)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체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1)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16)는 상기 체결부(212)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210)은 상기 제2 브라켓(220)과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안착부(211)의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3)는 상기 제2 브라켓(220)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220)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상면과 양측면을 소정의 폭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220)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2 브라켓(220)의 양단은 상기 결합부(213)와 겹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겹치도록 위치된 상기 제2 브라켓(220)의 단부와 상기 결합부(213)는, 스크류 또는 볼트에 의해서 관통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상면과 양측면에는, 상기 제2 브라켓(220)과 상기 결합부(213)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함몰부(59)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510)의 상면과 양측면에 상기 제2 브라켓(220)과 상기 결합부(213)가 수용되는 상기 함몰부(5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9)는 상기 제2 브라켓(220)과 상기 결합부(213)의 전후방향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브라켓(220)과 상기 결합부(21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브라켓(220)과 결합부(213)는 상기 함몰부(59)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제2 브라켓(220)과 제1 브라켓(130)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55)는, 상기 삽입부(235)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35)에 삽입되지 않는 제1돌기(56)와, 상기 제1돌기(56)에서 돌출되며 상기 삽입부(235)에 삽입되는 제2돌기(5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55)는 서로 단차지는 제1돌기(56)와 제2돌기(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57)가 상기 삽입부(2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56)는 상기 삽입부(235)의 둘레면과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면과 상기 고정 브라켓(230)의 사이에는 상기 제1돌기(56)의 돌출된 길이 만큼의 이격 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15)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551) 또는 상기 피씨비로 연결되는 전선(90)이 연장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551) 또는 피씨비와 연결된 전선은 상기 이격 공간(15)을 통해서 상기 프레임(510)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51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케이스 도어(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개구(120)를 통해서 전후방으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에 의해서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서 장착 및 탈거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탈거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도어(110)를 개방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가 구비된 공간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120)를 통해서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도어(1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120)를 통해서 상기 체결부재(70)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0)의 체결을 해제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는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과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120)를 통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다시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브라켓(210)과 제2 브라켓(220)에 고정된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120)를 통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삽입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70)를 체결하여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삽입 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 돌기(55)가 상기 고정 브라켓(230)의 삽입부(235)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후단이 유동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70)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브라켓(210)을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전단이 유동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도어(11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70)의 체결상태만을 해제한 후,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전방으로 인출시켜 교체나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50)를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냉장고(1)가 빌트인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가구장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케이스 도어(11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50)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하여 작동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가압하는 도어 개방장치;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상기 캐비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캐비닛에 돌출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을 위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이 구속되도록 관통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단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 또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단에서 돌출되되, 상기 삽입부 보다 크게 형성된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의 돌출된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돌기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에 의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부재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에 관통 형성된 홀이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장착을 위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돌기는,
    상기 삽입부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돌기만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은 수지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안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외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감싸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제2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양측면을 감싸며, 상기 제2 브라켓의 양단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수용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장착된 상기 장착 브라켓이 삽입되는 전면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프레임으로 부터 인출입되어,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도어 개방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도어 개방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도어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와의 접촉을 위해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상단과 상기 캐비닛의 상단을 연결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70111776A 2017-09-01 2017-09-01 냉장고 KR10236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76A KR102365864B1 (ko) 2017-09-01 2017-09-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76A KR102365864B1 (ko) 2017-09-01 2017-09-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95A KR20190025295A (ko) 2019-03-11
KR102365864B1 true KR102365864B1 (ko) 2022-02-23

Family

ID=6575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76A KR102365864B1 (ko) 2017-09-01 2017-09-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8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12B1 (ko) * 2004-06-15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167726B1 (ko) * 2005-05-03 2012-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공기청정기의 설치구조
KR101480459B1 (ko) * 2008-06-11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168B1 (ko) * 2011-09-11 2013-09-23 김준규 냉장고 자동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12B1 (ko) * 2004-06-15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101167726B1 (ko) * 2005-05-03 2012-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공기청정기의 설치구조
KR101480459B1 (ko) * 2008-06-11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95A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4990B1 (en) Refrigerator
US10364599B2 (en) Refrigerator
KR101652591B1 (ko) 냉장고
EP2385331B1 (en)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3568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조립방법
US9869112B2 (en) Refrigerator
US20100236279A1 (en) Refrigerator
US20110050065A1 (e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764042A1 (en) Refrigerator
US20090179539A1 (en) Refrigerator door stop
KR20120124693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KR20240014567A (ko)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KR10159417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EP3543632A1 (en) Refrigerator
EP3764038B1 (en) Refrigerator
KR102425367B1 (ko) 냉장고
EP3936798A1 (en) Refrigerator
KR102365864B1 (ko) 냉장고
KR20190015968A (ko) 2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190128421A (ko) 냉장고
KR102442380B1 (ko) 냉장고
KR101977985B1 (ko) 냉장고
CN218494123U (zh) 离合传动机构和冰箱
KR20190025303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92945B1 (ko) 도어 자동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