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650B1 -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650B1
KR102364650B1 KR1020190021947A KR20190021947A KR102364650B1 KR 102364650 B1 KR102364650 B1 KR 102364650B1 KR 1020190021947 A KR1020190021947 A KR 1020190021947A KR 20190021947 A KR20190021947 A KR 20190021947A KR 102364650 B1 KR102364650 B1 KR 102364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memo
user terminal
pla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438A (ko
Inventor
이석무
Original Assignee
이석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무 filed Critical 이석무
Priority to KR1020190021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6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사용자들과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 및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에 의해 일정이나 메모를 통해 계획을 세운 사용자와 일정이나 메모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일정이나 메모의 생성, 수정, 삭제 및 계획 수행 결과를 통지, 관리할 수 있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Managing schedule and memo Capable of sharing schedule and memo info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사용자들과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정 관리 또는 메모 기능은 사용자가 본인의 일정이나 메모를 관리하는 용도로 국한된다. 그룹 관리가 가능한 일정 관리 또는 메모 기능이라 하더라도 일반적으로는 각 사용자가 작성한 일정이나 메모를 그룹에 공유하는 정도의 기능만 수행가능하다.
따라서 일정 관리나 메모를 작성한 사용자가 해당 일정이나 메모를 직접 삭제/수정하거나 각 일정/메모에 할당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여 자동 삭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번 작성된 일정이나 메모가 삭제되거나 편집되지는 않는다.
즉 각 일정과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간이 경과하면 '지난 일정'으로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해당 일정에 대한 수행 여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나 서비스가 제공된 바는 없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이나 메모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가 편집하고 관리하거나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안된 바가 없다.
예를들면 자녀의 일정이나 메모를 부모가 직접 관리하고 일정이나 메모에 대한 계획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지할 수 있는 상호 작용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590982 B1 KR 10-2018-0014919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일정이나 메모를 통해 계획을 세운 사용자와 일정이나 메모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일정이나 메모의 생성, 수정, 삭제 및 계획 수행 결과를 통지, 관리할 수 있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의 수행 여부를 파악하여 공유하는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통지해줌으로써 계획의 수행 여부를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 및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와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제 1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 및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와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이나 메모를 통해 계획을 세운 사용자와 일정이나 메모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일정이나 메모의 생성, 수정, 삭제 및 계획 수행 결과를 통지, 관리할 수 있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의 수행 여부를 파악하여 공유하는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통지해줌으로써 계획의 수행 여부를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표시 화면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중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은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 및 서비스 제공 서버(30)를 포함한다.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한다.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 및 파악된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10)과 공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10) 및 제 2 사용자 단말(20)은 각각 일정을 공유하고자 하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이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10) 및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일정 및 메모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일정 및 메모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 (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제 1 사용자 단말(10) 및 제 2 사용자 단말(20)은 IP 할당된 단말기로서 인터넷등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 간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 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30)를 더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제 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와 파악된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일정 및 메모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회원 가입을 받는다.
그리고 제 1 사용자 단말(1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 생성되거나 편집되는 공유 대상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에 제 1 사용자 단말(1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서비스 제공 서버(30) 간, 제 2 사용자 단말(20)과 서비스 제공 서버(30) 간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하고,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한다. 즉, 제 1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정 및 메모에 대해 제 2 사용자 단말(20)을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에 의한 편집이 가능한 것이다.
반대로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에 의해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이루어지면 편집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변경 내용을 제 2 사용자 단말(20)에 표시되도록 공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이 일간, 주간, 월간 또는 연간 단위의 타임 테이블 형식으로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화면 출력한다. 이때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는 편집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및 메모를 공유하기로 그룹화 설정된 제 2 사용자 단말(20)에게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을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제 2 사용자 단말(20) 사용자가 신속하게 일정 및 메모의 편집 사실 및 편집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20) 역시 일간, 주간, 월간 또는 연간 단위의 타임 테이블 형식으로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화면 출력한다. 여기서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는 제 1 사용자 단말(10) 사용자가 수행할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이다.
그리고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 사용자가 수행할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편집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 사용자가 수행할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제 1 사용자 단말(10)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한다.
그리고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제한 시간 이내에서 주기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 정보가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일정 및 메모에 따른 지연된 계획 수행 여부를 더 파악한다.
이때, 제한 시간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분 혹은 1시간 이내로 설정가능하다. 주기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함에 있어 설정된 제한 시간 이내에서 수회 내지 수십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기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1분마다, 혹은 3분마다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같은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가 비록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정확한 시간 이내에 계획대로 수행을 하지못하더라도 수분 내지 수십분이 지연되어 계획 수행을 하면 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분 내지 수십분 이내에라도 계획대로 수행을 한 경우에는 이를 제 2 사용자 단말(20)로 통지해줌으로써 계획 수행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연된다고 계획 수행을 포기하기 보다는 비록 어느정도 지연되더라도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대로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더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10)은 학원에 다니는 자녀가 소지하고, 제 2 사용자 단말(20)은 부모가 소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부모는 원격지에서도 자녀의 일정 관리를 할 수 있고, 나아가 실제 일정에 따른 계획대로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을 뿐이고, 이 외에 제 3 사용자 단말, 제 4 사용자 단말...제 n사용자 단말,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들과 일정 및 메모 관리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은 조직화된 기업에서 동일 그룹에 속하는 팀원들 간에 업무 일정을 공유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하는 팀원들 각각이 자신이 수행해야하는 담당 업무 계획을 일정 및 메모에 업로드하면 업로드 내용 및 그에 대한 수행 여부를 팀원들 간에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하는 팀원들 각각이 자신이 수행해야 하는 담당 업무 계획을 제 2 사용자 단말(20)을 소지하는 상급자가 생성하고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팀원들 간에 공유된 담당 업무의 일정 및 메모를 제 2 사용자 단말(20)을 소지하는 상급자가 생성 및 편집,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업무의 공유 및 조율이 가능한 효과가 도출된다.
이때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에 대한 확인은 계획 수행에 따른 결과물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고서 파일을 업로드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별도의 오프라인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결과물의 공유가 가능하고 그에 대한 평가가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계획된 일정 내에 특정 업무가 처리되고 결과물이 도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평가에 반영하여 업무 수행 평가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 간에 다이렉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10)은 학원에 다니는 자녀가 소지하는 것으로, 제 2 사용자 단말(20)은 부모가 소지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먼저, 학생이 소지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수학 학원 GPS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다(S2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학 학원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것은 맵 이미지상에서 학원 위치를 선택받거나, 직접 학원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학생은 자신이 소지하는 제 1 사용자 단말(10)상에서 신규 일정을 생성한다(S205). 예를 들어 16:00시에 수학학원 수업을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신규 일정을 표시한 화면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한다(S207).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표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 에서 알 수 있듯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 및 메모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화면상에 일정 및 메모를 표시하는 화면의 포맷은 다양하게 사용자 정의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그러나 일정 및 메모를 입력받는 포맷은 계획에 대한 시각 정보 및 장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 프레임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용자 단말(1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 형식으로 일정 및 메모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위치 정보와 시각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제 2 사용자 단말(20)과 공유된다(S210).
즉,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 그리고 파악된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공유한다.
그러면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신규 일정을 표시한 화면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220).
그리고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일정 및 메모에 대해 편집, 삭제가 가능하다(S230).
즉,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하고,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사용자 단말(20)은 편집 요청에 따라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수학 학원에 대한 신규 일정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S235).
이 후에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수학 학원에 대한 신규 일정의 편집이 이루어진 경우에, 편집 알림 메시지 및 편집 내용을 제 1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한다(S240).
그러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저장된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한다(S250).
이때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고서와 같은 결과물의 촬영 영상을 업로드 하는 방식으로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타인의 승인을 받아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일예로 학원 강사 또는 직장의 상급자에 의한 계획 수행 승인 방식으로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이 학원 스케줄인 경우에는, 학원과 보호자간 소통을 위한 서비스 웹페이지를 통해 학원 담당 교사가 수업 출석 확인을 입력하는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학원이나 학원 차량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이용하여 제 1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학생의 식별 정보가 인식될 경우에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을 수행한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을 학원 담당 교사가 소지한 경우에 숙제나 예정되지 않았던 보충 수업이 새로운 일정으로 추가될 경우에 제 1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학생의 일정 및 메모 내용이 편집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저장된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가 확인되면, 제 2 사용자 단말(20)로 계획 수행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260).
그리고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 각각은 계획대로 수행 완료 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 출력한다(S270, S275).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중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에서 알 수 있듯이, 계획된 대로 수행이 되지 않은 경우에, 제 1 사용자 단말(10)은 계획 미수행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S500).
그리고 계획 미수행 알림 메시지를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면(S510), 제 2 사용자 단말(20)도 계획 미수행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S520).
이후에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과 메신저 혹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형태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S530).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계획 미수행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 1 사용자 단말(10)과 통신 채널을 연결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제 2 사용자 단말(20)의 소지자의 선택에 의해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미수행 일정에 대한 정보 수정 요청이 입력되면(S540), 미수행 일정 및 메모에 대한 내용을 편집한다(S545). 한편,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 미수행 일정에 대한 정보 수정 요청이 입력되면(S550), 미수행 일정 및 메모에 대한 내용을 편집할 수도 있다(S55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일간, 주간, 월간 또는 연간 단위의 타임 테이블 형식으로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화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아직 계획에 따른 수행 시각이 도래하지 않은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도 가능하고, 이미 계획에 따른 수행 시각이 도래하여 시효 만료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20) 역시 일간, 주간, 월간 또는 연간 단위의 타임 테이블 형식으로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화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제 1 사용자 단말(10)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은 편집된 일정 및 메모 정보 내용을 공유한다(S56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제한 시간 이내에 주기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위치 정보가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일정 및 메모에 따른 지연된 계획 수행 여부를 더 파악한다(S570).
이때, 제한 시간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분 혹은 1시간 이내로 설정가능하다. 주기적으로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함에 있어 설정된 제한 시간 이내에서 수회 내지 수십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기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1분마다, 혹은 3분마다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파악한다.
여기서 주기적으로 일정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 뿐 아니라 전술한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같은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가 비록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정확한 시간 이내에 계획대로 수행을 하지못하더라도 수분 내지 수십분이 지연되어 계획 수행을 하면 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분 내지 수십분 이내에라도 계획대로 수행을 한 경우에는 이를 제 2 사용자 단말(20)로 통지해줌으로써 계획 수행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연된다고 계획 수행을 포기하기 보다는 비록 어느정도 지연되더라도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대로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더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사용자 단말(20)을 소지한 사용자가 타인 즉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소지자의 일정 및 메모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학부모가 소지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수학 학원 GPS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다(S6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학 학원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것은 맵 이미지상에서 학원 위치를 선택받거나, 직접 학원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학부모는 자신이 소지하는 제 2 사용자 단말(20)상에서 제 1 사용자 단말 소지자인 자녀가 수행해야할 신규 일정을 생성한다(S605). 예를 들어 16:00시에 수학학원 수업을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면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신규 일정을 표시한 화면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한다(S607).
그리고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 생성된 일정 및 메모 정보 내용은 제 1 사용자 단말(10)과 공유된다(S610).
즉,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 생성된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공유한다.
그러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 생성된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신규 일정을 표시한 화면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620).
그리고 이때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도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 생성된 일정 및 메모에 대해 편집,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도 생성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및 삭제가 가능하다(S630, S640).
즉,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하고,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이 후에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소지자가 수행하도록 생성된 수학 학원에 대한 신규 일정의 편집이 이루어진 경우에, 편집 알림 메시지 및 편집 내용을 제 1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한다(S650).
그러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저장된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한다(S660).
이때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고서와 같은 결과물의 촬영 영상을 업로드 하는 방식으로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타인의 승인을 받아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일예로 학원 강사 또는 직장의 상급자에 의한 계획 수행 승인 방식으로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이 학원 스케줄인 경우에는, 학원과 보호자간 소통을 위한 서비스 웹페이지를 통해 학원 담당 교사가 수업 출석 확인을 입력하는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학원이나 학원 차량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이용하여 제 1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학생의 식별 정보가 인식될 경우에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을 수행한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을 학원 담당 교사가 소지한 경우에 숙제나 예정되지 않았던 보충 수업이 새로운 일정으로 추가될 경우에 제 1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학생의 일정 및 메모 내용이 편집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저장된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가 확인되면, 제 2 사용자 단말(20)로 계획 수행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670).
그리고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 각각은 계획대로 수행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 출력한다(S680, S685).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30)가 포함되는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제 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와 파악된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한다.
먼저, 학생이 소지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로 수학 학원 GPS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S700, S70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학 학원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것은 맵 이미지상에서 학원 위치를 선택받거나, 직접 학원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학생은 자신이 소지하는 제 1 사용자 단말(10) 상에서 신규 일정을 생성하고(S710),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로 전송한다(S715). 예를 들어 16:00시에 수학 학원 수업을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신규 일정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S720). 즉 도 4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제 2 사용자 단말(20)과 공유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신규 일정을 표시한 화면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한다(S730).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신규 일정을 표시한 화면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735).
그리고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20)에서 제 1 사용자 단말(10)에서 생성된 일정 및 메모에 대해 편집, 삭제가 가능하다(S740, 745).
제 2 사용자 단말(20)은 편집된 일정 및 메모 정보 내용을 서비스 제공 서버(30)로 전달한다(S750).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편집된 일정 및 메모 정보 내용을 저장하고(S755), 이를 다시 제 1 사용자 단말(10)로 전달한다(S760).
즉,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2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하고, 제 2 사용자 단말(20)은 제 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이후에,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저장된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한다(S770).
이때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제 1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고서와 같은 결과물의 촬영 영상을 업로드 하는 방식으로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타인의 승인을 받아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일예로 학원 강사 또는 직장의 상급자에 의한 계획 수행 승인 방식으로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이 학원 스케줄인 경우에는, 학원과 보호자간 소통을 위한 서비스 웹페이지를 통해 학원 담당 교사가 수업 출석 확인을 입력하는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학원이나 학원 차량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이용하여 제 1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학생의 식별 정보가 인식될 경우에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을 수행한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20)을 학원 담당 교사가 소지한 경우에 숙제나 예정되지 않았던 보충 수업이 새로운 일정으로 추가될 경우에 제 1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학생의 일정 및 메모 내용이 편집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저장된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가 확인되면, 제 1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로 계획 수행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S780),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제 2 사용자 단말(20)로 계획 수행 완료 메시지를 전달한다(S785).
그리고 제 1 사용자 단말(10)과 제 2 사용자 단말(20) 각각은 계획대로 수행 완료 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 출력한다(S790, S795).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길찾기 서비스 서버 혹은 네비게이션 서비스 서버에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해당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에 따라 약속 장소까지 이동에 필요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길찾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대중 교통 길안내 앱과 연동되어 대중 교통 이용할 경우에 이동 경로 정보와 교통량을 반영하여 약속 장소까지 이동 시간을 고려한 출발 예상 시각을 미리 제 1 사용자 단말(10) 및 제 2 사용자 단말(20)로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사용자 현 위치에서 약속 장소까지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시킴으로써 도착 예상 시각을 산출하고, 약속 시각 이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를 미리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확인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바로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시켜 약속 장소에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길안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제 1 사용자 단말(10)은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약속 시각 이내에 실제 약속 장소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약속 시각 이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출력해주는 알림 메시지 및 네비게이션 앱의 실행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20)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결제 시스템과 연동될 수도 있다. 즉, 약속 장소에서 카드 결제나 카카오페이 삼성 페이와 같은 결제 수단을 통한 결제가 이루어 졌는지, 현금 영수증이 발급 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계획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제 시스템 및 결제 수단이라 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 1 사용자 단말 20 : 제 2 사용자 단말
30 :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 및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되,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제한 시간 이내에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가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지연된 계획 수행 여부를 더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계획 수행에 따른 결과물의 촬영 영상을 업로드받거나 타인의 승인을 받아 계획 수행 여부를 더 파악하고,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주기적으로 지연된 계획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와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일간, 주간, 월간 또는 연간 단위의 타임 테이블 형식으로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화면 출력하되,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은 일간, 주간, 월간 또는 연간 단위의 타임 테이블 형식으로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화면 출력하되,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 1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일정 및 메모 정보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 및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내용을 반영하여 화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되,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제한 시간 이내에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가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라 계획된 시각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지연된 계획 수행 여부를 더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계획 수행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계획 수행에 따른 결과물의 촬영 영상을 업로드받거나 타인의 승인을 받아 계획 수행 여부를 더 파악하고,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주기적으로 지연된 계획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 정보와 상기 파악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따른 계획 수행 여부 정보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일간, 주간, 월간 또는 연간 단위의 타임 테이블 형식으로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화면 출력하되,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은 일간, 주간, 월간 또는 연간 단위의 타임 테이블 형식으로 상기 계획에 대한 일정 및 메모를 화면 출력하되,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이 수행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일정 및 메모에 대한 편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10. 삭제
KR1020190021947A 2019-02-25 2019-02-25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64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47A KR102364650B1 (ko) 2019-02-25 2019-02-25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47A KR102364650B1 (ko) 2019-02-25 2019-02-25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38A KR20200103438A (ko) 2020-09-02
KR102364650B1 true KR102364650B1 (ko) 2022-02-21

Family

ID=7244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47A KR102364650B1 (ko) 2019-02-25 2019-02-25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6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013A (ja) * 2004-12-15 2006-06-29 Nec Corp 携帯端末、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82B1 (ko) 2004-04-02 2006-06-19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메모 및 일정관리 시스템
KR102125493B1 (ko) * 2014-12-19 2020-06-23 (주)에스모바일 위치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위치 제공 서버,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KR20180014919A (ko) 2016-08-02 2018-02-12 송태윤 안드로이드 기반 하에서 사설 와이파이 무선공유기(ap)의 기능과 gps 기능을 이용한 특정 위치 출입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ap 의 다자간 등록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013A (ja) * 2004-12-15 2006-06-29 Nec Corp 携帯端末、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38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07981A1 (en) Calendaring location-based events and associated travel
US9740999B2 (en) Real time customer access to location, arrival and on-site time data
US201900573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time management
KR20110028216A (ko) 위치 인식을 통한 동적 이벤트 계획
US20180308063A1 (en)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tributed Beacons
US9823084B2 (en) Coordinating arrival and departure times
Kaur et al. Smart tourist for dubai city
US20180060828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ppointments
US11983676B2 (en) Dynamic event naming
US10607193B1 (en) Event monitoring system
KR101741953B1 (ko) 위치기반 실시간 일거리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110352A1 (en) Scheduling calendar events based on social analytics
JP2022515513A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1609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event planning
US8862103B2 (en) Dynamic navigational system
US20160364696A1 (en) Meeting scheduler for automated face-to-face meeting generation
JP6633733B1 (ja) 外勤者業務管理システム
KR102364650B1 (ko) 일정 및 메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일정 및 메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102711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unique identifier
US100366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 user's 4D trajectory
US98388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xt beacons
KR20170111489A (ko) 위치 기반 오프라인 강의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943854B1 (ko) 모임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모임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146251A (ko) 위치 기반의 지리 관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867465B1 (ko) 사용자 적응적인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