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371B1 -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371B1
KR102364371B1 KR1020210118986A KR20210118986A KR102364371B1 KR 102364371 B1 KR102364371 B1 KR 102364371B1 KR 1020210118986 A KR1020210118986 A KR 1020210118986A KR 20210118986 A KR20210118986 A KR 20210118986A KR 102364371 B1 KR102364371 B1 KR 10236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information
body shape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승
이용
최지현
박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즈랩
Priority to KR102021011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과 신체형태를 인식하는 동안 컴퓨터의 모니터가 꺼지거나 잠김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신호가 일정시간 미감지되면 컴퓨터의 보안환경을 조성하는 화면보호기에 대한 보안컨트롤러가,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가 구성된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등록하는 개인정보 등록단계;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촬영화상에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탐색하는 촬영화상 탐색단계; 등록된 개인정보에서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응한 안면정보와, 상기 신체형태이미지에 대응한 신체형태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검색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개인정보 검색단계;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의 검색 결과에 따라 화면보호기의 보안환경 조성 여부를 처리하는 보안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METHOD OF BLOKING SUSPENDING SCREEN PLAYING BASED ON FACE AND BODY RECOGNI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과 신체형태를 인식하는 동안 컴퓨터의 모니터가 꺼지거나 잠김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 분야에서 보안 정책은 사용자 또는 조직이 컴퓨터 운영체제에 설정하는 보안 프로토콜의 집합이다. 일반적으로 침입 탐지, 방화벽 설정, 사용자 액세스 암호, 로그인 및 특정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 사용 절차를 포함하며, 조직의 정보 기술 부서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운영체제 보안 정책을 결정하고 설정한다.
KISA 정보보안 실천 수칙(기업편)에 따르면 개인 및 공용 업무 환경의 컴퓨터는 정기적으로 보안점검을 요하고 있고, 요구항목으로는 백신 설치, 보안 업데이트, 화면보호기 설정, 비밀번호 변경 등이 포함된다.
그 중 컴퓨터의 보안 프로그램 중 하나인 '화면보호기'는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비인가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악의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일정 시간이 지나면 모니터의 화면이 꺼지거나 컴퓨터가 잠김 상태(이하 '보안환경')로 전환되어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물론 컴퓨터 자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일정시간 동안 컴퓨터의 입력장치(예: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것으로 간주하여 동작한다. 그런데 종래 화면보호 기술은 동작 조건에 있어 다음과 같은 한계와 문제를 일으킨다. 첫째,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조작하지 않으며 작업을 위해 화면을 응시하여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화면보호기는 강제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콘텐츠를 장시간 응시해야 하는 업무 혹은 사용 환경에서는 보안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오히려 장애 요소가 되는 한계를 가진다. 둘째,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후 화면보호기의 동작 이전까지는 모니터의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무방비로 비인가자에게 컴퓨터의 모든 제어권을 넘기므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노출은 물론 컴퓨터가 범죄에 악용되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상술한 한계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컴퓨터 사용에 정당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실재를 파악해서 화면보호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0-0038878호(2000.07.0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사용에 정당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실재를 파악해서 화면보호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의 제공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신호가 일정시간 미감지되면 컴퓨터의 보안환경을 조성하는 화면보호기에 대한 보안컨트롤러가,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가 구성된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등록하는 개인정보 등록단계;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촬영화상에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탐색하는 촬영화상 탐색단계;
등록된 개인정보에서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응한 안면정보와, 상기 신체형태이미지에 대응한 신체형태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검색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개인정보 검색단계; 및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의 검색 결과에 따라 화면보호기의 보안환경 조성 여부를 처리하는 보안처리단계;
를 포함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정시간 알림에 맞춰 컴퓨터의 보안환경을 조성하고 해제조건이 발생하면 보안환경을 해제하는 화면보호기의 동작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가 구성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모듈;
컴퓨터의 사용자를 촬영해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가 구성된 촬영화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컴퓨터의 보안환경 조성을 위한 지정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
상기 촬영화상을 탐색해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모듈;
인식된 상기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개인정보에서 검색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이미지 판별모듈; 및
상기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의 개인정보 등록이 확인되면 화면보호기에 의한 보안환경 조성을 제한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보안컨트롤러가 구성된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컴퓨터에 장착 혹은 연결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신체형태를 인식하는 동안 컴퓨터의 입력장치 동작과 상관없이 보안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하므로, 사용자는 화면보호기의 동작에 상관없이 컴퓨터를 이용해 자유롭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부재 중 컴퓨터의 제어권 방치 시간을 현저하게 줄여서 컴퓨터에 대한 비인가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하게 편리성을 주는 측면이 아니라 화면보호기의 주기를 짧게 설정하더라도 사용자가 모니터의 화면을 보는 동안은 화면이 잠기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면보호기 주기를 길게 하거나 풀어놓고 사용하는 일을 방지하여 오히려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면보호기의 실행 타이머를 조작하여 증가하는 보안 위협과 업무 및 환경 유지에 관한 트레이트 오프(Trade off)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지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지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시되는 방지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지방법에서 모니터를 확인하는 사용자의 안면 모습과 신체형태를 이미지로 수집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지방법에서 개인정보 등록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지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지시스템에 구성된 보안컨트롤러(10)는, 지정시간 알림에 맞춰 컴퓨터의 보안환경을 조성하고 해제조건이 발생하면 보안환경을 해제하는 화면보호기(40)를 제어하고,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가 구성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모듈(11); 컴퓨터의 사용자를 촬영해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가 구성된 촬영화상을 생성하는 카메라(12); 상기 컴퓨터의 보안환경 조성을 위한 지정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13); 상기 촬영화상을 탐색해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모듈(15); 인식된 상기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개인정보에서 검색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이미지 판별모듈(16); 상기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의 개인정보 등록이 확인되면 화면보호기(40)에 의한 보안환경 조성을 제한하는 제어모듈(17)을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모듈(11)은, 안면이미지가 포함된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이미지가 포함된 신체형태정보가 구성된 개인정보를 관리한다. 안면정보에 포함된 안면이미지는 안면인식을 위해 필요한 정보, 일 예를 들어 얼굴 윤곽 정보, 미간 거리, 얼굴 내에 눈, 코 입 간의 거리 등을 포함하며, 기타 안면인식으로 사용자를 구분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기초 정보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안면정보는 사용자의 안면이미지 변화 이력과 이미지 분석에 따른 발생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체형태정보는 사용자의 흉부를 포함한 상반신을 대상으로 하며, 일 예를 들어 상반신의 윤곽, 착용 의류의 디자인과 무늬와 패턴 및 색상 등의 정보, 상반신의 움직임에 관한 관찰 정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모듈(11)은 필요에 따라 상기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를 삭제한다.
카메라(12)는 컴퓨터의 사용자를 촬영해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가 구성된 촬영화상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컴퓨터의 모니터(30)에 출력되는 내용을 보기 위해 모니터(30)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일반적으로 카메라(12)는 사용자의 안면 촬영을 위해 모니터(30)의 상측에 배치된다(도 3 참조).
타이머(13)는 상기 컴퓨터의 보안환경 조성을 위한 지정시간을 체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보호기(40)는 보안을 위해 모니터(30)의 화면을 끄거나, 본인 확인 없이는 컴퓨터의 구동을 제한하는 잠김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보안환경 조성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체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보안환경 조성을 위해 마우스와 키보드 등의 컴퓨터의 입력신호가 미감지되어야 하는 시간이 타이머(13)에 지정시간으로 세팅되고, 타이머(13)는 상기 입력장치가 입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은 시간이 지정시간에 이르렀는지를 체크한다. 또한, 타이머(13)는 컴퓨터의 보안환경 조성을 방지하기 위해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의 탐색 개시 시간을 지정해서 해당 지정시간을 체크한다.
이미지 인식모듈(15)은 카메라(12)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상기 촬영화상을 탐색해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인식한다. 카메라(12)의 촬영으로 생성된 촬영화상은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는 물론 주변의 배경이미지가 구성된다. 따라서 이미지 인식모듈(15)은 영상분석 기술을 통해 촬영화상을 분석해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탐색하고 구성된 기초 정보 등을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 검색을 위한 필요 정보를 인식한다. 이미지 인식모듈(15)은 CNN 등의 딥러닝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인정보 식별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미지 판별모듈(16)은 인식된 상기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개인정보에서 검색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이미지 인식모듈(15)과 연계해서 사용자 관리모듈(11)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검색하며, 동일 또는 유사이미지 검색을 위한 딥러닝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모듈(17)은 상기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의 개인정보 등록이 확인되면 화면보호기(40)에 의한 보안환경 조성을 제한한다. 즉, 촬영화상에서 인식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에 대응하는 개인정보가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의 권한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보안환경 조성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방지시스템에 관한 좀 더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상기 방지시스템 기반의 방지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지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시되는 방지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지방법에서 모니터를 확인하는 사용자의 안면 모습과 신체형태를 이미지로 수집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지방법은, 입력신호가 일정시간 미감지되면 컴퓨터의 보안환경을 조성하는 화면보호기(40)에 대한 보안컨트롤러(10)가,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가 구성된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등록하는 개인정보 등록단계(S10); 보안컨트롤러(10)가 촬영화상에서 안면이미지(IM1)와 신체형태이미지(IM2)를 탐색하는 촬영화상 탐색단계(S20); 등록된 개인정보에서 안면이미지(IM1)에 대응한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이미지에 대응한 신체형태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검색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개인정보 검색단계(S30); 보안컨트롤러(10)가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의 검색 여부에 따라 컴퓨터의 보안환경 조성 여부를 처리하는 보안처리단계(S40);를 포함한다.
각 구성 단계별로 설명한다.
S10; 개인정보 등록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지시스템에 구성된 보안컨트롤러(10)의 사용자 관리모듈(11)은 컴퓨터의 이용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수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면정보는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위해 필요한 정보이고, 얼굴 윤곽 정보, 미간 거리, 얼굴 내에 눈, 코 입 간의 거리 등을 포함하며, 기타 안면인식으로 사용자를 구분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기초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안면이미지(IM1) 변화 이력과 이미지 분석에 따른 발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체형태정보는 사용자의 흉부를 포함한 상반신을 대상으로 하며, 일 예를 들어 상반신의 윤곽, 착용 의류의 디자인과 무늬와 패턴 및 색상 등의 정보, 상반신의 움직임에 관한 관찰 정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모듈(11)에 의한 개인정보는 안면정보 및 신체형태정보 이외에도 사용자 식별을 위한 바이오 정보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S20; 촬영화상 탐색단계
보안컨트롤러(10)의 카메라(12)는 지정된 시간에 맞춰 컴퓨터의 사용자를 촬영하고, 이미지 인식모듈(15)은 상기 촬영을 통해 생성된 촬영화상을 탐색해서 개인정보 검색을 위해 필요한 안면이미지(IM1)와 신체형태이미지(IM2)를 인식한다. 촬영화상에 대한 탐색은 일반적인 영상분석 기술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2)의 사용자 촬영과 촬영화상 탐색은 지정된 시간에 맞춰 이루어지며, 타이머(13)는 컴퓨터의 입력장치가 입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은 시간이 지정시간에 이르렀는지를 체크한다. 만일 화면보호기(40)가 보안환경을 조성할 시점에 이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지시스템의 보안컨트롤러(10)는 화면보호기(40)의 동작 이전에 카메라(12) 촬영과 촬영화상 탐색 및 개인정보 인식을 선처리한다. 이외에도 타이머(13)의 지정시간은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발생 여부와 상관 없이 안면이미지(IM1)와 신체형태이미지(IM2)의 탐색 개시 시간을 지정해서 해당 지정시간을 주기로 체크한다.
S30; 개인정보 검색단계
보안컨트롤러(10)의 이미지 판별모듈(16)은 이미지 인식모듈(15)이 인식한 안면이미지(IM1)에 대응하는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이미지(IM2)에 대응하는 신체형태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자 관리모듈(11)에서 검색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안면이미지(IM1)와 신체형태이미지(IM2)는 단순히 이미지 비교 방식으로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으나, 안면이미지(IM1) 또는 신체형태이미지(IM2) 내에서 특정 부위의 디자인과 패턴, 색상, 크기 등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미지 비교 기술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알고리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안면이미지(IM1)와 신체형태이미지(IM2)에 대응하는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를 검색함에 있어서, 촬영화상에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모두 탐색한 후에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를 모두 검색할 수도 있으나, 이외에도 촬영화상에서 안면이미지(IM1)를 우선 탐색한 이후에 해당하는 안면정보를 검색하고, 안면이미지(IM1) 또는 안면정보가 미검색되면, 촬영화상에서 신체형태이미지(IM2)를 추가 탐색하고, 탐색된 신체형태이미지(IM2)에 대응한 신체형태정보를 검색하여 현재 컴퓨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안면이미지(IM1) 탐색과 안면정보 검색을 우선 진행한 후에 안면이미지 또는 안면정보가 미확인되면, 신체형태이미지(IM2)와 신체형태정보를 추가 확인하는 것이다.
확인결과 안면부에 대한 개인정보와 신체형태부에 대한 개인정보 중 하나 이상이 검색되면, 현재 사용자는 컴퓨터에 대한 이용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S40; 보안처리단계
보안컨트롤러(10)의 제어모듈(17)은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의 검색 결과에 따라 컴퓨터의 보안환경 조성 여부를 처리한다. 즉, 현재 컴퓨터 사용자가 사용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화면보호기에 의한 동작이 지정시간에 맞춰 정상 동작하게 하고,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화면보호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이다.
보안처리단계(S4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한다.
S41; 조성방지조건 충족 확인 단계
개인정보 검색단계(S30)에서 확인된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의 검색 여부를 확인한다. 보안컨트롤러(10)에 구성된 이미지 판별모듈(16)의 검색 결과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가 검색되면 제어모듈(17)은 컴퓨터의 보안환경의 조건방지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이미지 판별모듈(16)의 검색 결과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가 미검색되면 제어모듈(17)은 컴퓨터의 보안환경의 조건방지조건을 미충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S42; 보안환경 제한단계
제어모듈(17)은 보안환경의 조성방지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하면, 화면보호기(40)를 제어해서 컴퓨터의 보안환경 조성을 제한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조작하지 않아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아도 조성방지조건을 충족하였다면 컴퓨터 사용권한을 갖는 사용자가 컴퓨터의 모니터(30)를 주시하며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모니터(30)의 화면을 끄거나 컴퓨터를 잠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보안환경 제한단계(S42)에서 보안컨트롤러(10)의 제어모듈(17)이 보안환경 조성을 제한하기 위해 보안환경의 조성 주기를 체크하는 타이머(13)를 초기화하거나, 타이머(13)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결국, 화면보호기(40)의 보안환경 조성이 입력신호가 미수신된 시점을 개시로 10분 단위로 진행된다면, 제어모듈(17)은 조성방지조건의 충족 시점에 타이머(13)를 초기화해서 10분을 재시작하게 하거나, 타이머(13)의 10분 카운트를 중단시켜서 화면보호기(4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보안환경 제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촬영화상 탐색단계(S20)와 개인정보 검색단계(S30)와 보안환경 처리단계(S40)의 실행은 지정된 시간을 주기로 순환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화면보호기(40)의 보안환경 조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면보호기(40)의 실행 시간과는 무관하게 자체적으로 지정된 주기에 따라 사용자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지시스템의 보안컨트롤러(10)에 실행을 위한 주기가 1분으로 지정하면, 보안컨트롤러(10)는 1분을 주기로 안면이미지(IM1)와 신체형태이미지(IM2)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를 검색하여 보안환경 조성 조건의 충족 여부를 결정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보안환경 제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촬영화상 탐색단계(S20)와 개인정보 검색단계(S30)와 보안환경 처리단계(S40)의 실행은 보안환경 조성을 위해 설정된 타이머(13)의 시간을 주기로 순환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화면보호기(40)의 보안환경 조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팅된 화면보호기(40)의 실행 시간에 맞춰 보안컨트롤러(10)의 실행 주기가 자동으로 지정되어서 사용자 확인을 위한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면보호기(40)의 실행 주기가 10분으로 설정된 경우에 보안컨트롤러(10)의 실행 주기는 10분으로 지정되어서, 10분을 주기로 촬영화상 탐색단계(S20)와 개인정보 검색단계(S30)와 보안환경 처리단계(S40)를 실행하며 사용자의 사용 권한 여부와 보안환경 조성 조건 충족 여부를 확인한다.
S43; 보안환경 조성단계
제어모듈(17)은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가 미검색되어서 보안환경의 조성방지조건을 미충족하면 화면보호기(40)가 정상 실행되도록 해서 컴퓨터의 보안환경을 조성한다. 따라서 컴퓨터는 화면보호기(40)에 의해 모니터(30)의 화면이 꺼지거나 잠김 상태로 전환되어서, 권한이 없는 사용자는 물론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본인 확인을 받지 않으면 모니터(30)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없고, 컴퓨터 이용 역시 제한된다.
한편, 보안환경이 조성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지방법은 보안환경 조성단계(S43)에서 보안컨트롤러(10)가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삭제한다. 신체형태정보는 사용자의 흉부를 포함한 상반신을 대상으로 하며 상반신은 착용 의류가 바뀔 수 있으므로, 신체형태정보가 보조적인 개인정보로서 삭제 관리될 수 있다.
S44; 보안환경 해제 단계
화면보호기(40)가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식별을 위한 개인정보 등이 입력되면 컴퓨터는 사용 권한을 갖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정상 동작한다. 이후 화면보호기(40)는 동작 시점을 시작으로 보안환경 조성을 위한 지정시간이 카운트된다.
S45; 개인정보 재등록 단계
컴퓨터의 보안환경이 해제되면, 보안환경 조성단계(S43)에서 삭제된 사용자의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를 사용자의 개인정보로 재수집해서 등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삭제 대상은 신체형태정보일 수 있다. 제어모듈(17)은 사용자의 상반신을 촬영하며 신체형태이미지(IM2)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사용자 식별을 위한 신체형태정보를 생성한다. 신체형태정보의 재등록 과정은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별도의 절차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나, 컴퓨터 사용 중인 사용자의 상반신 촬영과, 촬영화상 탐색을 통한 신체형태이미지(IM2) 생성과, 영상 분석 등을 통한 특징점 추출 등의 절차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동일한 사용자라면 안면의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안면정보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기준정보로서 활용된다.
결국, 사용자의 착용 의류 변화에 맞춰 개인정보가 자동 갱신되고, 안면정보의 일치 확인을 통해 사용자 식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지방법은 화면보호기(40)의 보안환경 조성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하고, 안면과 신체형태에 대한 2중 체크 방식으로 보안성을 강화하여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보안환경 조성이 제한되며, 신체형태정보의 주기적인 갱신을 통해 사용자 식별의 융통성 또한 높일 수 있다.
보안환경이 해제되고 개인정보가 재등록되면, 촬영화상 탐색단계(S20)와 개인정보 검색단계(S30)와 보안환경 제한단계(S40)가 순환 반복하여 실행된다. 촬영화상 탐색단계(S20)와 개인정보 검색단계(S30)와 보안환경 제한단계(S40)의 순환 반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확인을 위한 설정 시간을 주기로 순환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보안환경 조성을 위해 설정된 타이머(13)의 시간을 주기로 순환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지방법에서 개인정보 등록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지방법에서 개인정보 등록단계(S10)는, 보안컨트롤러(10)가 규정치에 맞도록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안면이미지를 수집하고 해당 사용자의 메인이미지로 등록하는 제1단계; 규정치에 제한 없이 일정 시간을 주기로 지정범위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면서 다수의 안면이미지를 수집하는 제2단계; 다수의 상기 안면이미지 중 메인이미지와의 일치율이 지정범위 이내의 모든 안면이미지를 서브이미지로 등록하고, 상기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를 안면정보의 안면이미지로 등록해서, 등록된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가 각각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수집된 안면이미지와 개별적으로 비교되도록 하는 제3단계; 안면정보의 지정된 갱신시간을 체크하는 제4단계; 상기 갱신시간이 도래하면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 중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수집된 안면이미지와의 비교횟수를 확인해서 최고치의 메인이미지 또는 서브이미지를 메인이미지로 등록하고, 상기 제2단계를 시작으로 순환 반복하도록 하는 제5단계;로 구성된다.
개인정보 등록단계(S10)에 구성된 상기 각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단계(S11)는, 보안컨트롤러(10)의 사용자 관리모듈(11)이 카메라(12)를 이용해서 규정치에 맞도록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한다. 여기서 규정치란 안면이미지의 촬영위치와 선명도에 관한 것으로, 촬영 대상의 안면이 촬영화상에서 지정구간 이내이고 촬영된 다수의 안면이미지 중 선명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 안면이미지는 규정치에 맞는 것으로 판단해서 해당 안면이미지를 메인이미지로 등록한다.
이후, 제2단계(S12, S13, S14)는 보안컨트롤러(10)의 사용자 관리모듈(11)이 규정치에 제한 없이 일정 시간을 주기로 촬영화상에서 지정구간에 위치한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며 다수의 안면이미지를 수집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안면이미지 수집은 메인이미지 등록을 위한 안면 촬영과는 달리 컴퓨터를 사용하는 중에 자유롭게 동작하는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를 수집하는 과정이므로, 일정 시간에 도달하면 사용자 관리모듈(11)은 사용자의 안면이 지정구간에 이르면 촬영해서 안면이미지를 수집한다. 수집된 안면이미지는 다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S15, S16)는 다수 개의 상기 안면이미지가 수집되면, 수집된 안면이미지를 메인이미지와 비교해서 다수의 상기 안면이미지 중 메인이미지와의 일치율이 지정범위 이내인 안면이미지들을 서브이미지로 등록한다. 상기 메인이미지와 수집된 안면이미지 간의 일치율 비교는 CNN 등 딥러닝 기술을 통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사용자 관리모듈(11)은 상기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를 안면정보의 안면이미지로 등록하고, 이후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수집된 안면이미지는 등록된 메인이미지 및 서브이미지와 각각 개별적으로 비교한다. 따라서 사용자 확인을 위해 촬영화상에서 탐색 및 추출된 안면이미지를 안면정보에 구성된 안면이미지, 즉 메인이미지 및 서브이미지와 각각 개별적으로 비교해서, 상기 메인이미지와 사용자 확인을 위한 안면이미지가 서로 불일치해도 서브이미지와 일치한다면 해당 안면이미지의 사용자는 보안컨트롤러(10)에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한다.
제4단계(S17)는 보안컨트롤러(10)의 사용자 관리모듈(11)이 안면정보의 지정된 갱신시간을 체크한다. 사용자 관리모듈(11)에 등록된 안면정보는 컴퓨터 사용 방식에 대한 사용자의 자세와 이용 습관에 맞춰 갱신해서 사용자 확인이 보다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안면정보의 갱신은 지정된 시간을 주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관리모듈(11)은 해당 갱신시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한다.
제5단계(S18, S19)는 상기 갱신시간이 도래하면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 중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수집된 안면이미지와의 비교횟수를 확인해서 최고치의 메인이미지 또는 서브이미지를 메인이미지로 갱신하고, 상기 제2단계를 시작으로 순환 반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수집된 안면이미지는 메인이미지 및 서브이미지와 각각 개별적으로 비교되므로, 컴퓨터를 사용 중인 사용자가 보안컨트롤러(10)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경우, 이때 비교된 메인이미지 또는 서브이미지는 카운트 된다. 카운트 결과 메인이미지가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수집된 안면이미지의 빈번한 비교 대상일 수 있으나, 오히려 서브이미지가 빈번한 비교 대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 서브이미지 수집 당시의 사용자 자세가 컴퓨터 사용의 주 자세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서브이미지를 메인이미지로 변경하고, 상기 메인이미지는 서브이미지로 변경한다. 또한, 이후 서브이미지의 갱신을 위해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 수집을 위한 안면의 촬영위치 체크 단계(S12)를 시작으로 메인이미지 갱신 단계(S19)까지 순환 반복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보안컨트롤러 12; 카메라 30; 모니터
IM1; 안면이미지 IM2; 신체형태이미지

Claims (10)

  1. 입력신호가 일정시간 미감지되면 컴퓨터의 보안환경을 조성하는 화면보호기에 대한 보안컨트롤러가,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가 구성된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등록하는 개인정보 등록단계;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촬영화상에서 안면이미지와 신체형태이미지를 탐색하는 촬영화상 탐색단계; 등록된 개인정보에서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응한 안면정보와, 상기 신체형태이미지에 대응한 신체형태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검색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개인정보 검색단계;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의 검색 결과에 따라 화면보호기의 보안환경 조성을 처리하는 보안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등록단계는,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규정치에 맞도록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안면이미지를 수집하고 해당 사용자의 메인이미지로 등록하는 제1단계;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규정치에 제한 없이 일정 시간을 주기로 지정구간에 위치한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면서 다수의 안면이미지를 수집하는 제2단계;
    다수의 상기 안면이미지 중 메인이미지와의 일치율이 지정범위 이내인 안면이미지들을 서브이미지로 등록하고, 상기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를 안면정보의 안면이미지로 등록해서, 등록된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가 각각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수집된 안면이미지와 개별적으로 비교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보안컨트롤러가 안면정보의 지정된 갱신시간을 체크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갱신시간이 도래하면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 중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수집된 안면이미지와의 비교횟수를 확인해서 최고치의 메인이미지 또는 서브이미지를 메인이미지로 갱신하고, 상기 제2단계를 시작으로 순환 반복하도록 하는 제5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처리단계는,
    상기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가 검색되어서 보안환경의 조성방지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보안컨트롤러는 컴퓨터의 보안환경 조성을 제한하는 보안환경 제한단계; 또는
    상기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가 미검색되어서 보안환경의 조성방지조건을 미충족하면, 상기 보안컨트롤러는 컴퓨터의 보안환경을 조성하는 보안환경 조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컨트롤러는 촬영화상에서 안면이미지가 미탐색되거나 촬영화상에서 탐색된 안면이미지에 대응하는 안면정보가 미검색되면, 상기 촬영화상 탐색단계에서 신체형태이미지를 촬영화상에서 탐색하고, 상기 개인정보 검색단계에서 신체형태이미지에 대응한 신체형태정보를 검색하여 개인정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환경 제한단계에서 보안환경 조성을 제한하기 위해 보안컨트롤러는 보안환경 조성을 위한 지정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를 초기화하거나,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화상 탐색단계와 개인정보 검색단계와 보안환경 처리단계가 사용자 확인을 위해 순환 반복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화상 탐색단계와 개인정보 검색단계와 보안환경 처리단계가 보안환경 조성을 위해 설정된 타이머의 시간을 주기로 순환 반복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환경 조성단계에서 보안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안면정보와 신체형태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삭제하고;
    상기 보안환경 조성단계 이후에 보안환경이 해제되면, 상기 보안환경 조성단계에서 삭제된 사용자의 안면정보 또는 신체형태정보를 사용자의 개인정보로 재수집해서 등록하는 개인정보 재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환경 조성단계 중에 보안환경이 해제되면, 상기 촬영화상 탐색단계와 개인정보 검색단계와 보안환경 제한단계가 순환 반복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18986A 2021-09-07 2021-09-07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KR10236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986A KR102364371B1 (ko) 2021-09-07 2021-09-07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986A KR102364371B1 (ko) 2021-09-07 2021-09-07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371B1 true KR102364371B1 (ko) 2022-02-23

Family

ID=8049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986A KR102364371B1 (ko) 2021-09-07 2021-09-07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3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78A (ko) 1998-12-09 2000-07-05 윤종용 사용자를 인식하는 화면 보호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화면 보호기 처리 방법
JP2006114018A (ja) * 2004-09-14 2006-04-27 Fuji Photo Film Co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00074580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미래인식 얼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얼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244180B1 (ko) * 2020-09-21 2021-04-2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얼굴 등록 및 갱신에 기반한 얼굴인식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78A (ko) 1998-12-09 2000-07-05 윤종용 사용자를 인식하는 화면 보호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화면 보호기 처리 방법
JP2006114018A (ja) * 2004-09-14 2006-04-27 Fuji Photo Film Co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00074580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미래인식 얼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얼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244180B1 (ko) * 2020-09-21 2021-04-2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얼굴 등록 및 갱신에 기반한 얼굴인식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434B1 (ko) 생체 검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비일시적 기록 매체
JP6481249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293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6295534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07807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42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gion based access control operations using BIM
US20220076515A1 (en) Face authentication apparatus
EP3545462A1 (en) Analysis of reflections of projected light in varying colors, brightness, patterns, and sequences for liveness detection in biometric systems
CN104169933A (zh) 用于认证用户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71969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869235A (zh) 一种安全门禁方法及系统
JP2009259269A (ja) 顔画像記録システム及び顔画像記録方法
CN113574562A (zh) 面部认证系统以及面部认证方法
KR102104397B1 (ko) 유해물 관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915392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被写体検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364371B1 (ko) 안면과 신체형태 인식을 통한 화면보호 동작 방지방법
JP2010182056A (ja) パスワード入力装置及びパスワード照合システム
KR20200059643A (ko) 영상 분석 기반의 금융자동화기기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CA3055600C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a vms by intelligently employing access control information therein
US202203278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chiavone et al. Continuous user identity verification for trusted operators in control rooms
CN112102551A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157412A (zh) 一种人员准入系统及方法
KR101053474B1 (ko) 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2391076B1 (ko) 생체 인식에 따른 랜섬웨어 동작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