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263B1 -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263B1
KR102364263B1 KR1020210110009A KR20210110009A KR102364263B1 KR 102364263 B1 KR102364263 B1 KR 102364263B1 KR 1020210110009 A KR1020210110009 A KR 1020210110009A KR 20210110009 A KR20210110009 A KR 20210110009A KR 102364263 B1 KR102364263 B1 KR 10236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
unit
type
wal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월
지익준
Original Assignee
김재월
지익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월, 지익준 filed Critical 김재월
Priority to KR102021011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생한 압력으로 살균액, 살충액, 방향액 등과 같은 기능액을 소정의 공간에 미립자 형태로 분사하는 건타입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고정설치되고 직류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고정설치되거나 분리되며 권총 모양의 외관을 갖는 건타입 함체부와, 분사노즐과 펌프와 흡입관을 포함하는 분사부와 건타입 함체부에 노출되며 기능액 분사 작동을 선택하는 작동버튼과 기능 선택을 위한 선택버튼 및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거치대에 고정설치되면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원부와, 기능액 저장용기와, 기능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건타입 함체부가 거치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기능액을 공기 중으로 분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과 고정설치 자동 분사용으로 모두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방역 용도로 사용 시에 공간 방역 및 타겟 방역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Gun-type functional fluid automatic spraying device for both wall-mounting}
본 발명은 살균액, 살충액, 방향액 등과 같은 기능액을 소정의 공간에 미립자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생한 압력으로 작동하되 사용자가 장치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기능액을 분사할 수 있는 건타입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설치되어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기능액 분사 동작이 이루어지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자동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를 고압의 기체와 함께 분사하여 액체를 미스트 형태로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일명 '스프레이' 또는 '분사기' 또는 '살포기'라 일컫는 분사장치는 소정의 공간이나 대상에 대하여 액체 상태의 물질을 에어로졸 상태로 분사하는 분사 수단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고, 도 1 종래의 일반적인 분사장치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액체를 미스트 또는 에어로졸 상태로 만들어 어떤 공간이나 대상에 살포하는 역할은 한다.
위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분사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상기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무기'라 일컫는 것으로 수동으로 레버를 당기는 동작으로 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레버를 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다른 형태는 상기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의 압축가스와 액체가 함께 용기 충전하여 분사노즐이 결합된 유출관을 눌러 용기의 유출관이 개방되면 충전된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압축가스와 함께 액체가 유출관으로 유출되면서 분사노즐에 통해 분사되는 분사장치로써 살충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고 소정의 목적을 갖는 특정한 액체를 분사하는 용도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가스와 액체를 캔과 같은 밀폐용기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연간 37만톤의 캔이 생산되고 있고 이중 재활용이 되는 경우는 17만톤에 그쳐 상당히 많은 량의 폐기물을 유발하고 있어 액체를 충전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분무기에 비해 많은 폐기물을 발생하는 문제와 가연성 압축가스의 사용으로 인한 폭발위험과 가연성 압축가스로 인한 환경파괴를 유발하는 문제를 유발하는 등 여러가지 이유에서 비친환경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분사동작이 이루어지는 분사장치와 달리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사동작이 이루어지는 자동 분사장치도 있다.
상기 자동 분사장치는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할 액체를 포함하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설치되며, 통상적으로 프로그램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액체를 소정의 공간으로 자동 분사한다.
특히, 이러한 자동 분사장치는 코로나 19로 공간 방역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공중이 이용하는 공간과 같이 전염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장소(공간)에 설치되어 살균액을 정기적으로 분사하거 모션 감지를 통해 살균액을 분사하는 공간 방역 수단으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식 자동 분사장치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됨에 따라 주로 소정의 공간에 대한 방역, 방향 등과 같은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도 1의 (a)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사장치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최근, 배터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상기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동 분무기는 도 2 전동 분무기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펌프를 이용하여 액체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전동 분무기로 대체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 분무기는 상기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통적인 분무기의 형태로 하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통을 갖고 상부에 펌프와 배터리 등이 설치되는 구조의 전동 분무기가 있고, 상기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총 모양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이용할 수 있어 종래 일반적인 분무기 형태의 전동 분무기에 비해 사용이 편리한 건타입 전동 분무기가 있다.
즉, 일반적인 분무기가 레버를 당기는 동작에서 가해지는 힘으로 액체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반면, 전동 분무기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펌프를 이용하여 펌핑되어 압력이 상승된 액체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한다.
이처럼 종래 전동 분무기는 사용자의 힘을 전기에너지의 힘으로 대체한 것에 불과하고, 전동 분무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 평소 충분한 충전상태를 유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보관이 불편한 단점과 사용자의 목적에 따른 사용에 의해서만 이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직접 사용에 따른 편리성이 있는 반면에 활용성이 매우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전동 분무기 관련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18-0060846호 발명의 명칭 '충전식 자동 분무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펌프를 이용하여 자동 분사하도록, 상기 용기와 결합되고 분사노즐 및 손잡이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일측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흡입측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토출측은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스위치, 충전포트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충전식 자동 분무기는 충전식 자동 펌핑 수단을 갖추고 있어 간편한 조작에도 분무 기능이 수행되고, 자동 펌핑 수단에 더하여 분사노즐의 회전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분무기를 고정한 상태에서도 분사노즐의 회전각 변경만으로 분사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용기의 하부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용기의 최대 하부 지점에 흡입관의 선단이 위치되도록 용기의 하부에 자석을 배치하고 있어 분무기의 액체를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서만 작동이 됨에 따라 최근 공간 방역의 요구에 따라 공간에 고정설치되어 프로그램에 의해 액체를 소정이 시간 간격으로 자동 분사하거 모션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분사하는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20-0067783호 발명의 명칭 '고전염성 바이러스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자동 소독액 분사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고전염성 바이러스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자동 소독액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람이 밀집되는 실내의 출입구측에 설치되어 고 전염성 바이러스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마련된 소독액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가능하고, 저장된 소독액을 미스트형태로 분사하면서 분사거리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며, 실내에 출입하는 출입구측으로 RF수신단말기(150)에 의해 RF수신영역(152)이 설정되고, RF 수신영역이 진입된 출입하는 사람이 소독액의 분사위치에 위치됨을 감지하도록 포토센서(160)가 마련된 소독액 자동분사장치(100)와; 상기 소독액 자동분사장치의 RF 수신영역으로 진입한 사람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담은 고유ID가 부여되고, RF 수신단말기와 양방 교신하도록 마련된 RF 발신단말기(200)와; 상기 RF 수신단말기의 수신영역에 진입한 RF 수신단말기의 고유ID의 정보를 담아 저장하고, 상기 포토센서에 의한 소독액 분사위치의 좌표값을 전송받아 소독액의 분사거리, 분사량을 제어하여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제어부(17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염성 바이러스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자동 소독액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사람이 밀집되는 장소의 방역소독과 개인의 방역소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특별한 인력없이도 지속적인 바이러스의 살균 및 소독이 가능하여 바이러스 전파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고 전염성 바이러스에 의한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고, 이동이 편리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빠르게 설치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간편하고 빠르게 개인 신원확인 및 저장을 통해 바이러스의 전파경로를 쉽게 도출하여 바이러스 전파차단이 가능하며, 소독액의 분사 범위를 조절하여 특정 장소에서 개인에 이르는 적정 소독액의 분사가 가능하여 불필요한 소독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공간 방역에 있어서 위와 같은 장점이 있으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작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에 소정의 지점에 대한 소독이나 방역이 필요한 경우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래기술은 식당 입구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는 있으나 식당에서 손님이 사용한 후 해당 테이블에 대한 소독이나 방역, 손님이 사용한 화장실에 대한 소독이나 방역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소독 장비를 이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며, 고정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동작되고,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한 자동분사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벽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동작되고 충전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에 따라 액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온감지센서를 포함하여 피검사자의 체온을 검사할 수 있는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는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벽면에 고정설치되고 직류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고정설치되거나 분리되며 권총 모양의 외관을 갖는 건타입 함체부; 기능액을 미스트화 하여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기능액을 소정의 압력으로 펌핑하여 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로 기능액을 공급하는 흡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과 흡입관은 외부로 노출되는 분사부;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노출되며 기능액 분사 작동을 선택하는 작동버튼과 기능 선택을 위한 선택버튼 및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펌프의 구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상기 건타입 함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가 상기 거치대에 고정설치되면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원부;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흡입관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소정의 기능액을 저장하는 기능액 저장용기; 및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상기 분사부를 통해 공기중으로 미스트화되어 분사되는 기능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기능액을 공기 중으로 분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거치대는 상부가 개방된 상부 개방면을 갖는 박스 형태를 갖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의 하부부분과 기능액 저장용기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삽입되어 일체된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형 거치대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탈착홈을 갖되, 상기 건타입 함체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측면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3방향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벽면과 결합할 수 있는 'ㄷ'자형 거치대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노즐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펌프가 작동하는 동안 발광이 이루어져 미스트화 되어 분사되는 기능액을 조명하며, LED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400 nm ~ 500 nm의 자외선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설치되어 노출되는 체온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체온을 상기 디스플레이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설치되어 노출되는 모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는 기능액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이미지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결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는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의 식별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유의 식별이미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작동을 제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기능액은 살균액, 살충액, 방향액, 탈취액 중 어느 하나의 액체 물질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작동과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는 기능액의 종류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이미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제어부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건타입 함체부는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부를 갖고, 상기 분사부의 분사노즐은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건타입 함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기 퇴치액 훈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부와, 상기 적외선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건타입으로 사용자가 휴대하여 기능액을 미스트화 하여 분사하는 기능과 함께 벽면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동작되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휴대용과 고정설치 자동 분사용으로 모두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캔에 압축가스와 액체를 투입하여 1회용으로 사용하던 제품들을 대체함으로써 빈 캔으로 인한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캔에 투입된 압축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한 상태에서의 수동 작동과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의 자동 작동이 가능하여 공간 방역 및 타겟 방역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ㄷ'자형 거치대를 통하여 다양한 위치와 벽면에 다양한 방향으로 기능액을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LED 소자 내지 자외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통하여 미스트화 된 기능액의 분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자외선을 통해 살균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체온감지센서를 포함하여 피검사자의 체온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모션감지센서를 포함하여 모션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훈증부를 포함하여 모기퇴치를 위한 훈증매트 또는 훈증액을 사용하여 모기를 퇴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동부를 통하여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기능액의 기능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기능액에 따라 동작이 제한됨으로 안전한 사용환경의 제공과 폐기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는 리모컨을 통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분사장치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전동 분무기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에 따른 거치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에 따른 거치대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부와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에 따른 기능액 저장용기와 기능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스마트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회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모기 퇴치액 훈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도 3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건타입의 전동 분무기의 구조를 갖되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충전과 함께 자동분사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 등과 같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프로그램된 설정에 따라 기능액을 침실과 같은 공간(S)에 대하여 자동으로 분사하는 자동 분사 기능을 수행하여 공간 방역과 같은 역할을 수행 함과 동시에 거치대에서 분리되어 휴대가 가능함에 따라 침대와 같은 소정의 타겟(T)에 대한 수동 분사가 가능하여 타켓 방역과 같은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도 4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장치(20)와 연결되고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거치대(110)와, 상기 거치대(110)에 탈착되는 건타입 함체부(120)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는 분사노즐(131)과 펌프(132)와 흡입관(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사부(130)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부(140)와, 전원부(150)를 내장하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에 체결되는 기능액 저장용기(160)와,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소정의 기능을 갖는 기능액(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110)는 통상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자동분사를 목적으로 하는 위치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가 탈착될 수 있는 구조와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건타입 함체부(120)를 거치하는 거치대(11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공급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거치대(110)에 장착된 건타입 함체부(120)에 구동 내지 충전을 위한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건타입 함체부(120)는 거치대(110)의 장착으로 건타입 함체부(120)와 직류전원공급장치(20)가 거치대(1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건타입 함체부(120)와 거치대(110)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위한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노출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110)는 도 5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에 따른 거치대의 예를 보인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부 개방면을 갖는 박스 형태를 갖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의 하부부분(L)과 기능액 저장용기(160)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삽입되어 일체된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형 거치대(110-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박스형 거치대(110-1)의 경우, 건타입 함체부(120)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장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탈착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레일(1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는 상기 고정레일(112)에 대응하는 레일홈(122)을 갖고, 이와 같은 레일홈(112)은 건타입 함체부(120)의 손잡이 부위(12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액 저장용기(160)를 상기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태로 하는 경우, 이와 같은 사각 기둥 형태의 기능액 저장용기(160)가 박스형 거치대(110-1)의 내벽과 면접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13)을 박스형 거치대(110-1)의 내부 벽면의 대응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110)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의 손잡이(121) 부위와 같은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탈착홈(111)을 갖되,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의 일부를 감싸도록 측면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3방향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벽면과 결합할 수 있는 'ㄷ'자형 거치대(11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상기 박스형 거치대(110-1)와 ㄷ'자형 거치대(110-2)의 구조에 의해 도 6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에 따른 거치대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타입 함체부(120)가 거치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벽면을 기준으로 정면(도 6의 a), 또는 좌측과 우측을 향해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박스형 또는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3방향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벽면과 결합할 수 있는 박스형 거치대(110-1)와 'ㄷ'자형 거치대(110-2)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는 상기 거치대(110)에 고정설치되거나 분리되며 권총 모양의 외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는 상기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와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관을 갖되, 위와 같은 거치대(110)에 탈착할 수 있는 구조와 형태를 갖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자동분사장치로써 이용되고, 사용자가 거치대(110)에 고정되어 있는 건타입 함체부(120)를 분리하여 사용하면 휴대용 분사장치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고정된 위치에서 소정의 공간에 대하여 기능액을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분사하는 자동분사장치로써 이용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기능액을 분사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장치로써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액 저장용기(160)에 담겨져 있는 기능액(170)을 미스트화 하여 분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액체를 미스트화 하여 분사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기능액(170)을 미스트화 하여 분사하는 분사노즐(131)과 기능액(170)을 소정의 압력으로 펌핑하여 유출하는 펌프(132)와 상기 펌프(132)로 기능액(170)을 공급하는 흡입관(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131)과 흡입관(133)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분사부(130)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에 의해 액체를 유입하여 고압으로 유출하고, 고압으로 액체가 유출되는 부위의 말단에 공기와의 충돌로 뭉쳐진 액체가 깨지면서 작은 미립자 형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전동 분무기의 전동 분무 수단에 대응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130)는 도 7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에 따른 분사부와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13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134)는 분사부(130)의 분사노즐(131)을 통해 미스트화 되어 분사되는 기능액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분사노즐(131)의 주변에서 분사되는 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상기 펌프(132)가 작동하는 동안 발광이 이루어져 미스트화 되어 분사되는 기능액을 조명한다.
이와 같은 발광부(134)는 발광소자로 LED 소자를 이용하고,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선택하여 발광부(134)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상기 발광부(134)는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LED 소자와 함께 400 nm ~ 500 nm의 자외선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발광부(134)를 통하여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분사되는 기능액을 조명하기 기능 이외에, 조명 수단으로써의 기능과 자외선 살균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에 설치되어 기능액의 분사를 위한 분사부(130)의 펌프(132) 구동을 제어하며, 특히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가 상기 거치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펌프(132)를 구동하여 기능액(170)을 공기 중으로 자동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건타입 함체부(120)가 거치대(110)에 탈착된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건타입 함체부(120)가 거치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는 자동 모드를 제공하고, 건타입 함체부(120)가 거치대(1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수동으로 동작이 이루지는 수동 모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4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에 노출되며 기능액 분사 작동을 선택하는 작동버튼(141)과 기능 선택을 위한 선택버튼(142) 및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표시부(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버튼(141)은 상기 펌프(132)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물리적 스위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타입 함체부(120)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버튼(142)과 디스플레이표시부(143)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타입 함체부(120)의 상단 부위에 위치하되, 사용자 방향인 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디스플레이표시부(143)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선택버튼(142)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선택버튼(142)은 사용을 위한 작동 선택이나 기능 선택 또는 설정 변경 등을 위한 수단으로 작동 개시를 위한 'ON' 버튼과 작동 중지를 위한 'OFF' 버튼, 설정모드 진입과 선택을 위한 'SET' 버튼, 디스플레이표시부(143)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의 이동 내지 값의 증감을 위한 '+' 버튼과 '-'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표시부(143)는 제어부와 사용자 간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화면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로그램에 따라 현재 구동 상태 또는 설정 정보를 제공하고, 설정 변경을 위한 정보 내지 사용자에게 전달할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의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에 설치되어 노출되는 체온감지센서(1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체온감지센서(144)에서 감지된 체온을 상기 디스플레이표시부(143)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체온감지센서(144)는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를 출입 등을 하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비접촉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표시부(143)를 포함하고 있는 제어부(140)에 부가된 구성으로, 이와 같은 체온감지센서(144)는 비접촉으로 체온측정 대상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체온감지센서가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체온감지센서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체온감지센서(144)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타입 함체부(120)의 전단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상부면이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의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에 설치되어 노출되는 모션감지센서(14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모션감지센서(145)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분사부(130)의 펌프(132)를 구동하여 기능액을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션감지센서(145)는 감지 영역에서 소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통상적으로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션감지센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모션감지센서(145)를 더 포함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 내부 또는 입구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분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움직임이 있을 때만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기능을 갖는 기능액을 갖는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를 화장실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실의 방역을 위해 이용하는 경우, 누군가가 화장실을 이용하여 모션감지센서(145)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1분 후에 자동으로 살균액을 화장실 내부 공간에 분사하여 화장실 내부 공간을 방역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와 상기 펌프(132)의 구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상기 도 4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건타입 함체부(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120)가 상기 거치대(110)에 고정설치되면 충전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150)는 충전회로와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회로는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며, 과충전 방지 기능 등을 수행하고, 상기 배터리는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통상의 배터리가 될 수 있으나, 리튬이온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160)는 도 8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에 따른 기능액 저장용기와 기능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액(170)을 밀폐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통상의 액체 저장용기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건타입 함체부(120)에 체결되며, 분사부(130)의 흡입관(133)이 내부에 위치하고, 분사노즐(131)을 통해 분사될 소정의 기능액(170)을 저장한다.
상기 기능액(170)은 소정의 목적으로 미스트화 되어 분사되는 액체로써,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상기 분사부(130)를 통해 공기 중으로 미스트화 되어 분사된다.
이와 같은 기능액(170)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제거를 위한 살균액, 파리와 모기와 같은 날벌레를 제거하기 위한 살충액, 공간의 발향 위한 방향액,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액 중 어느 하나의 액체 물질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다양한 기능액(170)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기능액(170)을 분별하고, 더 나아가 기능액(170) 별로 장치의 작동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160-2)는 기능액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이미지(161)를 포함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식별이미지(161)를 스캔하는 스캔부(14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식별이미지(161)에 따라 제어부(140)의 제어기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이미지(161)는 소정의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에 따라 예를 들어 기능액(170)이 살충액인 경우,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관련 법규에 따라 거치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분사되는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이미지(161)는 상기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액 저장용기(160-1)는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이미지(161-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고유의 식별이미지(161-1)를 스캔하는 스캔부(146)를 포함하여, 상기 고유의 식별이미지(161-1)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작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기능액(170)이 저장된 기능액 저장용기(160-1)의 재사용을 방지하여 기능액(170)의 사용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기능액(170)의 사용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기능액(170)이 저장된 기능액 저장용기(160-1)의 고유의 식별이미지(161-1)의 정보가 '356475699' 인 경우, 상기 스캔부(146)를 통해 고유의 식별이미지(161-1)가 스캔되면, 상기 정보 '356475699'는 제어부(140)에 저장되고, 이후 다시 고유의 식별이미지(161-1)가 스캔되어 입력된 정보가 '356475699'이면, 제어부(140)는 작동을 제한하여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9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스마트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의 상기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47)을 포함하여 스마트 단말기(20)와 통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47-1)에 의해 작동과 설정이 변경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48)은 사용자에게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의 다양한 작동 상태와 기능액 잔여량, 교체시기, 배터리 충전량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자동 분사 간격, 분사량 등 작동에 따른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액 저장용기(160)가 기능액의 종류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이미지(16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식별이미지(161)를 스캔하는 스캔부(146)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이미지(161)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147-1)으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147-1)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제어부(140)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부(148)와, 상기 적외선 수광부(148)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14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적외선 수광부(148)와 리모컨(148-1)을 더 포함하여, 리모컨(148-1)으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의 작동 여부와 설정 변경을 원격으로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도 10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회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타입 함체부(120)는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부(124)를 갖고, 상기 분사부(130)의 분사노즐(131)은 상기 회동부(123)에 설치되어 상기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회동부(124)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동되거나 전기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동되는 경우는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가 벽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분사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고, 전기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를 휴대한 상태에서 보다 넓이 영역에 분사할 시에 사용자가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를 의도적으로 좌우로 움직이지 않아도 자동으로 움직이는 회동부(124)에 의해 보다 넓은 영역에 분사가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10)는 제어부(140) 및 전원부(150)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일명 '전기모기향'이라 일컫는 장치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도 11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의 모기 퇴치액 훈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타입 함체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기 퇴치액 훈증부(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기 퇴치액 훈증부(124)는 상기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기 퇴치액이 함침된 패드(124-1)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과 수납된 패드(124-1)의 하부에서 가열을 하는 가열판으로 이루어져 통상의 패드형 전기모기향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패드에 함침된 모기 퇴치액을 훈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판은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전원부(150)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한다.
또한, 모기 퇴치액 훈증부(124)는 상기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기 퇴치액(124-2)을 저장하고, 모기 퇴치액 흡수봉과 상기 모기 퇴치액 흡수봉의 일부를 가열하여 흡수된 모기 퇴치액이 훈증되도록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통상의 액상 전기모기향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저장된 모기 퇴치액을 훈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기 퇴치액 흡수봉의 가열은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며, 전원부(150)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본 발명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20 : 직류전원공급장치
30 : 스마트 단말기
110 : 거치대
110-1 : 박스형 거치대
110-2 : 'ㄷ'자형 거치대
111 : 탈착홈
112 : 고정레일
120 : 건타입 함체부
123 : 회동부
124 : 모기 퇴치액 훈증부
124-1 : 패드
124-2 : 모기 퇴치액
121 : 손잡이 부위
122 : 레일홈
130 : 분사부
131 : 분사노즐
132 : 펌프
133 : 흡입관
134 : 발광부
140 : 제어부
141 : 작동버튼
142 : 선택버튼
143 : 디스플레이표시부
144 : 체온감지센서
145 : 모션감지센서
146 : 스캔부
147 : 블루투스 통신모듈
147-1 : 애플리케이션
148 : 적외선 수광부
148-1 : 리모컨
150 : 전원부
160 : 기능액 저장용기
161 : 식별이미지
161-1 : 고유의 식별이미지
170 : 기능액

Claims (15)

  1. 벽면에 고정설치되고 직류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고정설치되거나 분리되며 권총 모양의 외관을 갖는 건타입 함체부;
    기능액을 미스트화 하여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기능액을 소정의 압력으로 펌핑하여 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로 기능액을 공급하는 흡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과 흡입관은 외부로 노출되는 분사부;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노출되며 기능액 분사 작동을 선택하는 작동버튼과 기능 선택을 위한 선택버튼 및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펌프의 구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상기 건타입 함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가 상기 거치대에 고정설치되면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원부;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흡입관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소정의 기능액을 저장하는 기능액 저장용기; 및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상기 분사부를 통해 공기중으로 미스트화되어 분사되는 기능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기능액을 공기 중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부가 개방된 상부 개방면을 갖는 박스 형태를 갖고,
    상기 건타입 함체부의 하부부분과 기능액 저장용기가 상기 개방면을 통해 삽입되어 일체된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형 거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탈착홈을 갖되, 상기 건타입 함체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측면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3방향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벽면과 결합할 수 있는 'ㄷ'자형 거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노즐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펌프가 작동하는 동안 발광이 이루어져 미스트화 되어 분사되는 기능액을 조명하며, LED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400 nm ~ 500 nm의 자외선 파장을 출력하는 자외선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설치되어 노출되는 체온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체온을 상기 디스플레이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타입 함체부에 설치되어 노출되는 모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는
    기능액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이미지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기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는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의 식별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유의 식별이미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작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은
    살균액, 살충액, 방향액, 탈취액 중 어느 하나의 액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작동과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액 저장용기는 기능액의 종류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여, 상기 식별이미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제어부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타입 함체부는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부를 갖고, 상기 분사부의 분사노즐은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타입 함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기 퇴치액 훈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부와, 상기 적외선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KR1020210110009A 2021-08-20 2021-08-20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KR10236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09A KR102364263B1 (ko) 2021-08-20 2021-08-20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009A KR102364263B1 (ko) 2021-08-20 2021-08-20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263B1 true KR102364263B1 (ko) 2022-02-16

Family

ID=8047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009A KR102364263B1 (ko) 2021-08-20 2021-08-20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2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440U (ja) * 1993-04-27 1994-11-15 サラヤ株式会社 液体噴射器
JPH10328590A (ja) * 1997-05-30 1998-12-15 Hirose Electric Co Ltd スプレー缶自動噴霧器
JP2006518666A (ja) * 2003-02-21 2006-08-17 ミオ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表面殺菌及び現場殺菌用の電解槽
WO2019024975A1 (en) * 2017-07-31 2019-02-07 Medical Scientific Innovations - Msi METHOD AND DEVICE FOR DISINFECTING THE SK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440U (ja) * 1993-04-27 1994-11-15 サラヤ株式会社 液体噴射器
JPH10328590A (ja) * 1997-05-30 1998-12-15 Hirose Electric Co Ltd スプレー缶自動噴霧器
JP2006518666A (ja) * 2003-02-21 2006-08-17 ミオ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表面殺菌及び現場殺菌用の電解槽
WO2019024975A1 (en) * 2017-07-31 2019-02-07 Medical Scientific Innovations - Msi METHOD AND DEVICE FOR DISINFECTING THE SK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9311A1 (en) Multifunction Disinfection Drone Apparatus and Method
KR101160247B1 (ko) 살균소독고
KR101225222B1 (ko) 자동연막 살충 살균 정화기
US10799838B1 (en) Multifunctional misting system
JP2005118534A (ja) 柔軟性を有する自律的液体霧化カートリッジにより空気を芳香化し、殺菌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ネットワーク
ES2578713T3 (es) Un dispositivo de esterilización y descontaminación
US20140117051A1 (en) Fluid product dispensing head
KR20160028109A (ko) TiO2의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모자 살균기
WO2021194650A1 (en) Multifunction disinfection drone apparatus and method
KR102364263B1 (ko) 벽걸이 겸용 건타입 기능액 자동분사장치
EP1689603B1 (en) A mist-spraying apparatus
KR20190122449A (ko) 안정형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미립자 분사장치
US20090169420A1 (en) Time controlled scenting system
KR101914290B1 (ko) 출입문 시건 제어 장치를 부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JP3165150U (ja) 可搬式対人除菌装置
US8916107B2 (en) Portable decontamination and deodorization systems
KR102526296B1 (ko) 공간 방역 및 타겟 방역 겸용 살균액분사장치
KR101743592B1 (ko) 가정용 자동 소독기
KR102300859B1 (ko) 발냄새 제거 장치
KR101618456B1 (ko)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EP4309681A1 (en) Lamp with integrated sanification system
CA1149786A (en) Disinfecting device
KR102295043B1 (ko) 게이트형 소독제 분사 장치
JP3231605U (ja) 除菌装置
KR102411103B1 (ko) 사용성이 향상된 전신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